KR101051144B1 - Impedance Compensation Device for Communication Equipment - Google Patents
Impedance Compensation Device for Communication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1144B1 KR101051144B1 KR1020090043991A KR20090043991A KR101051144B1 KR 101051144 B1 KR101051144 B1 KR 101051144B1 KR 1020090043991 A KR1020090043991 A KR 1020090043991A KR 20090043991 A KR20090043991 A KR 20090043991A KR 101051144 B1 KR101051144 B1 KR 1010511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 impedance
- input
- terminal
-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2—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 관련 규약으로 표준화된 임피던스에 따라, 통신장비의 통신 임피던스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통신장비의 임피던스 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입력단자(120)와, 입력단자(120)로 입력되는 신호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보상기구(140)와, 입력단자(120)를 통한 신호 입력을 확인해서 보상기구(1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150)와, 조정된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단자(170)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보상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보상기구(140)는, 입력단자(120) 및 출력단자(170)와 통신가능하게 배치되는 통신부(142); 통신부(142) 또는 출력단자(170)와 탈착하도록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되, 탄발체(143b)의 탄발로 통신부(142)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통신편(143); 일단부가 통신편(143)을 가압하도록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자화가능한 재질의 회동블록(144a)을 구비한 가압부재(144); 회동블록(144a)의 중앙부와 일극(N 또는 S)이 마주하게 배치되는 영구자석(145a)과, 회동블록(144a)의 양단부와 각각 마주하면서 상기 일극과 반대인 타극으로 자화되는 제1,2코어(145b, 145b')와, 제1,2코어(145b, 145b')에 권취되고 제어기(150)와 통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솔레노이드(145c, 145c')를 구비한 전자석(145)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150)는 입력단자(120)의 신호 입력을 확인해서 제1,2솔레노이드(145c, 145c')의 통전을 제어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edance compensation device of a communication device to maintain a constant communication impedanc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mpedance standardized by wire-wireless communication related protocols, the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120 and the input terminal 120 Compensation mechanism 140 for adjusting the impedance of the input signal, the controller 150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compensation mechanism 140 by checking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120, and the output of the adjusted signal is output An impedance compensator (100) comprising a terminal (170), wherein the compensation mechanism (140)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142) dispos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an input terminal (120) and an output terminal (170); A communication piece 143 fixedly movably to be detachable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42 or the output terminal 170 and spaced apart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42 by the ball of the ball body 143b; A pressing member 144 having a rotating block 144a of a magnetizable material,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fixed to press the communication piece 143;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are magnetized to the opposite poles opposite to the one poles while facing the permanent magnets 145a facing the center of the rotating block 144a and the one pole N or S, respectively. Electromagnet 145 having cores 145b and 145b 'and first and second solenoids 145c and 145c' wound on the first and second cores 145b and 145b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50. The controller 150 checks the signal input of the input terminal 120 to control the energiz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olenoids 145c and 145c '.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 관련 규약으로 표준화된 임피던스에 따라, 통신장비의 통신 임피던스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통신장비의 임피던스 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edance compensation device of a communication device to maintain a constant communication impedanc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mpedance standardized by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related protocol.
무선 주파수(RF) 시스템이나 측정기의 임피던스 표준은 주로 사용되는 선로의 특성이나 회로의 특성에 따라 선정된다.Impedance standards for radio frequency (RF) systems or meters are often chose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nes or circuits used.
일 예로, 음향 주파수에서는 전화선을 기준으로 600옴, 단파, 텔레비전 등(1GHz 이하)에서는 75옴, 이동 무선, 마이크로파 등(100MHz 이상)에서는 50옴 등이 있다.For example, 600 ohms based on telephone lines at acoustic frequencies, 75 ohms at shortwaves, televisions (1 GHz or less), and 50 ohms at mobile radios, microwaves (100 MHz or more).
특히, 이동 무선, 마이크로파의 임피던스 표준인 50옴은 전자파 에너지의 전력 전송(power transfer) 특성이 가장 좋은 임피던스 33옴과 RF신호파형의 왜곡(distortion)이 가장 작은 임피던스 73옴을 고려해, 그 중간인 50옴이 선택되었다고 한다.In particular, 50 ohms, the standard for impedance of mobile radio and microwave, is considered to be 33 ohms with the best power transfer characteristics of electromagnetic energy and 73 ohms with the lowest distortion of the RF signal waveform. 50 ohms is said to be selected.
이러한 규약에 따라 통신장비에 적용되는 전기적인 신호의 임피던스는 50옴 으로 통일되었고, 다른 기기와의 호환 등을 고려해 당해 통신장비의 신호 임피던스는 항시 50옴으로 보상되도록 설계되었다.According to these protocols, the impedance of the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was unified to 50 ohms, and considering the compatibility with other devices, the signal impedance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was designed to be always compensated to 50 ohms.
도 1은 종래 임피던스 보상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1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ventional impedance compensator,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일반적인 통신장비는 다양한 채널로부터 전송 및 인입되는 신호를 일괄적으로 집중 수신해서 이를 처리하는 구조가 다수 적용된다. 즉, 다수의 입력단자(120)로 입력된 신호는 단자부(121)를 통해 중심단자부(131)로 집중된 후 출력단자(170)로 출력되는 것이다. 그런데, 50옴으로 통일된 다수의 신호가 중심단자부(131)에 집중되면, 집중된 신호는 전류 대비 전력의 비가 감소하면서 임피던스가 낮아진다. 따라서, 이러한 임피던스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임피던스 보상장치(100)가 적용되었다.The general communication equipment has a number of structures that collectively receive and process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 various channels. That is, the signals input to the plurality of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4개의 입력단자(1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각 입력단자(120)의 단자부(121)를 통해 임피던스 보상장치(100)로 입력되면서 중심단자부(131)에 집중된다. 이때, 상기 단자부(121)는 중심단자부(13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고, 채널선택기구(160)의 제어에 따라 단자부(121)와 중심단자부(131) 간의 통신 여부가 결정된다. 참고로, 채널선택기구(160)는 세팅 값에 따라 단자부(121)와 중심단자부(131)의 통신상태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 보상장치를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For example, the signals input from the four
계속해서, 중심단자부(131)로 집중된 신호는 출력단자(170)로 출력되기 전, 통신부(132)를 통해 보상기구(130)로 유입돼 보상처리된 후 출력단자(170)로 출력된다.Subsequently, the signal concentrated at the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4곳의 입력단자(120) 중 1곳에서 신호가 입력되면 중심단자부(131)로 유입된 신호는 표준인 50옴을 유지하므로, 보상기구(130)는 입력신호를 그대로 출력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2곳 이상에서 신호가 입력되면 중심단자부(131)로 유입된 신호는 표준인 50옴 보다 낮은 임피던스를 갖게 되므로, 보상기구(130)는 상기 임피던스가 50옴이 되도록 보상처리해 출력한다.In more detail, when a signal is input from one of the four
결국, 보상기구(130)를 구비한 임피던스 보상장치(100)는 입력단자(120)로 유입되는 신호에 상관없이 최종 출력신호를 표준과 일치하도록 보상하므로, 규약에 따른 통신장비의 구동을 가능케 한다.As a result, the
이를 위한 종래 보상기구(130)는 입력단자(120)로의 신호입력을 감지하는 제어기(150)의 제어를 받아 구동하는 보상회로기판(PCB; 133)을 구비한다. 보상회로기판(133)은 제어기(150)의 제어에 따라 통신경로를 변경하도록 설계되고, 이에 필요한 다양한 전자부품 등이 실장된다. 보상회로기판(133)의 구조와 구성은 임피던스 보상기술분야에서는 공지,공용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부가설명은 생략한다.The
그런데, 종래 임피던스 보상장치(100)의 보상기구(130)는 제어기(150)의 제어에 따라 임피던스를 보상하는 보상회로기판(133)의 설계 및 제작이 용이치 못하면서, 통신장비 제조분야에서는 비교적 고가의 부품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주변환경에 의한 물리적인 변형이 용이하다는 PCB의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임피던스 보상에 대한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높지 못하면서 임피던스 보상에 대한 신뢰도가 높 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물론, 이러한 임피던스의 불일치는 다른 장비와의 연동 및 호환에 있어 장애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통신 환경에 대한 불량을 초래하므로, 시급히 해소되어야 할 과제였다.Of course, such a mismatch of impedance not only causes a failure in interworking and compatibility with other equipment, but also causes a defect i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therefore, it has to be solved urgently.
미설명 인출번호 "111"은 "본체"로, 입력단자(120)와 보상기구(130) 및 제어기(150) 등을 고정 지지하는 구성이다.Not described withdrawal number "111" is a "body",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미설명 인출번호 "110"는 "케이스"로, 본체(111)와 커버(116; 도 3 참조)를 포함하는 구성이다.The description number "110" is a "case" and includes a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채널로 입력되는 신호의 출력신호가 일정한 임피던스를 유지하도록 정밀하게 보상하면서도, 신호 보상을 위한 구성의 제작을 경제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통신장비의 임피던스 보상장치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ile precisely compensating for the output signal of the signal input to the multi-channel to maintain a constant impedance, while making it possible to economically produce a configuration for the signal compensation It is a technical problem to provide an impedance compensating device for communication equipment.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수의 입력단자와,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신호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보상기구와, 입력단자를 통한 신호 입력을 확인해서 보상기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와, 조정된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보상장치에 있어서,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a compensation mechanism for adjusting the impedance of the signal input to the input terminal,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compensation mechanism by checking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the adjusted signal In the impedance compensation device,
상기 보상기구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와 통신가능하게 배치되는 통신부; 통신부 또는 출력단자와 탈착하도록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되, 탄발체의 탄발로 통신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통신편; 일단부가 통신편을 가압하도록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자화가능한 재질의 회동블록을 구비한 가압부재; 회동블록의 중앙부와 일극(N 또는 S)이 마주하게 배치되는 영구자석과, 회동블록의 양단부와 각각 마주하면서 상기 일극과 반대인 타극으로 자화되는 제1,2코어와, 제1,2코어에 권취되고 제어기와 통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전자석을 포함하고,The compensation mechanism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A communication piece fixedly movable to be detachable from the communication part or the output terminal, the communication piec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communication part by the ball of the carcass; A pressing member having a rotating block of a magnetizable material,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fixed to press the communication piece; Permanent magnets fac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ting block and the one pole (N or S), the first and second cores magnetized to the opposite pole opposite to the one pole while facing the opposite ends of the rotating block,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cores. An electromagnet having first and second solenoids woun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ler,
상기 제어기는 입력단자의 신호 입력을 확인해서 제1,2솔레노이드의 통전을 제어하는 임피던스 보상장치이다.The controller is an impedance compensation device for controlling the energiz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olenoids by checking the signal input of the input terminal.
상기의 본 발명은, 주변환경(온도, 습도) 등과 같은 요인으로 인한 재질적 변화가 최소화되면서 임피던스의 보상을 정밀하게 진행할 수 있고, 보상기구가 기계적인 구성과 구조를 이루면서 제작이 용이하므로 임피던스 보상장치 제작의 경제적 이득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ensation of impedance can be performed precisely while minimizing the material change due to factors such a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emperature, humidity), and the compensation mechanism is easy to manufacture while forming a mechanical structure and structure, so that the impedance compensation The economic benefits of device fabrication can be expected.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 보상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mpedance compens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 보상장치(100')는 기계적인 동작을 통해 신호의 임피던스를 보상하는 보상기구(140)를 포함한다. Impedance compens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보상기구(140)는, 다수의 통신편(143, 143', 143")이 통신부(142)와 방사형으로 통신가능하게 배치되어서, 입력단자(120)의 단자부(121)로부터 이송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된다. 즉, 양단이 각각 입력단자(120)의 단자부(121)와 보상기구(140)의 통신편(143, 143', 143") 및 출력단자(170)의 단자부(171)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신부(142)를 매개로 입력단자(120)와 보상기구(140)가 선택적으로 통신가능하게 되면서, 입력단자(120)를 통한 입력 신호의 임피던스를 보상기구(140)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여기서, 상기 보상기구(140)는 출력단자(170)로 최종 출력되는 신호의 임피던스를 보상하기 위해 신호가 받는 저항을 선택적으로 적용하고, 이를 통해 출력단 자(170)로 출력되는 신호의 임피던스를 보상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120)의 수가 증가하면서 전류 대비 전압이 낮아진 입력 신호의 임피던스를 보상하기 위해 출력단자(170)의 단자부(171) 저항이 차등 적용되도록 함으로서, 출력단자(170)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저하된 임피던스를 보상하는 것이다.Here, th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신호가 입력되는 4개의 입력단자(120)와,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120)의 개수에 따라 임피던스 보상을 위해 적용되는 3개의 보상용 통신편(143, 143', 143")이 적용되었다. 참고로, 통신편(143, 143', 143")은 각기 다른 저항을 갖도록 설계 및 적용되며, 이를 통해 출력단자(170)의 저항이 가변되도록 하였다.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ee
이때, 각각의 통신편(143, 143', 143")은 제어기(15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142)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면서, 출력단자(17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임피던스를 기계적으로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each
미설명 인출번호 "143a, 143a'"는 통신편(143, 143', 143")을 안착지지하는 "안착부"로, 통신편(143, 143', 143")의 승,하강에 대한 완충과 통신편(143, 143', 143")의 접지를 방지한다.Unexplained withdrawal number "143a, 143a '" is a "seating part" for supporting the communication service (143, 143', 143 "), the buffer for the rise and fall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143, 143 ', 143") And grounding of the
"보조저항체"는 과도한 임피던스의 저하를 보상하기 위해 저항을 상대적으로 보충하는 것이다. 참고로, 통신편(143, 143', 143")은 각기 다른 저항을 갖는 재질 또는 크기로 되면서 다른 저항을 갖도록 되고, 비교적 협소한 본체(111)에서 충분한 저항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통신편(143, 143', 143") 및 보조저항체 등은 다양한 배치모습을 보일 수 있을 것이다.An "auxiliary resistor" is one that relatively supplements the resistance to compensate for the drop in excessive impedance. For reference, the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 보상장치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on of the impedance compens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 보상장치(100')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에 연결되는 다수의 입력단자(120)와, 입력단자(120)로 입력된 신호의 임피던스를 보상하는 보상기구(140)와, 보상기구(1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150)와, 다수의 입력단자(1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입력을 제어하는 채널선택기구(160)와, 보상기구(140)에서 임피던스가 보상된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단자(17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입력단자(120) 및 출력단자(170)를 탑재하는 본체(111)와, 보상기구(140)를 고정지지하면서 본체(111)에 지지되는 제1,2지지대(112, 113)와, 제1,2지지대(112, 113)를 상호 연결하는 기둥(114)과, 제1,2지지대(112, 113)를 이격배치하는 스페이서(115)와, 보상기구(140) 및 제어기(150) 등을 수용하면서 이를 보호하도록 본체(111)의 상부를 덮는 커버(116)를 포함한다.The
여기서, 제1,2지지대(112, 113)는 본 발명에 따른 보상기구(140)의 구조적인 결속 및 지지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본체(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케이스(110)의 경우, 필요에 따라 그 형상과 재질 및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는바, 이하에 기술되는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first and
상기 입력단자(120)는 케이스(110)의 본체(111)에 다수 개가 장착될 수 있 고, 그 장착 위치는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하지는 않을 것이다.A plurality of
상기 보상기구(140)는 입력단자(1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임피던스를 표준에 맞게 보상하는 것으로, 출력단자(170)의 저항을 조정하기 위해 출력단자(170)의 단자부(171)와 탈착가능하게 접촉하는 통신편(143)과, 통신편(143)의 승하강을 위해 가압하는 가압부재(144)와, 가압부재(144)의 구동을 위해 자력을 가하는 전자석(145)을 포함한다.The
통신편(143)은 제1지지대(112)에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되되,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축대(143a)를 구비하고, 제1지지대(112)로부터 상방으로 탄발하는 탄발체(143b)를 포함한다. 이때, 출력단자(170)의 단자부(171)는 통신편(143)의 하방에 위치하므로, 평상시에는 탄발체(143b)의 탄발력에 의해 통신편(143)이 단자부(17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고, 이를 통해 통신편(143)과 단자부(171)는 상호 이격된다.The
참고로, 중심단자부(141)와 출력단자(170)의 단자부(171)는 통신부(142)에 의해 항시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For reference, the
가압부재(144)는 제1지지대(112)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블록(144a)을 포함한다. 이때,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블록(144a)의 일단은 고정축대(143a) 상에 배치되어서, 회동블록(144a)의 회동방향에 따라 고정축대(143a)를 가압할 수 있도록 된다.The pressing
회동블록(144a)은 자력 변화에 의해 구동하므로, 자화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Since the
한편, 가압부재(144)는 판스프링(144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판스프링(144b)은 회동블록(144a)의 일단과 고정축대(143a) 사이에 배치되고, 회동블록(144a)의 회동과 더불어 회동하도록 된다. 따라서, 가압부재(144)가 회동하면서 그 일단이 고정축대(143a)를 가압하면, 당해 가압은 판스프링(144b)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회동블록(144a)이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동해서 고정축대(143a)를 가압할 경우, 회동블록(144a)의 회동각도에 상관없이 판스프링(144b)이 지속적으로 고정축대(143a)를 가압해서, 고정축대(143a)를 구비한 통신편(143)이 항시 출력단자(170)의 단자부(171)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sing
전자석(145)은 가압부재(144)의 회동에 필요한 자력을 가하는 것으로, 회동블록을 자화하는 영구자석(145a)과, 영구자석(145a)을 중심으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2코어(145b, 145b')와, 제1,2코어(145b, 145b')에 각각 권취되는 제1,2솔레노이드(145c, 145c')를 포함하고, 가압부재(144)의 상방에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제2지지대(113)에 고정된다. 참고로, 제2지지대(113)는 제1지지대(112)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고, 기둥(114)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또한, 제1,2지지대(112, 113) 간의 상호 이격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1,2지지대(112, 113)를 상호 지지하는 스페이서(115)를 배치할 수 있다. 참고로 기재된 본 실시예는 제1,2지지대(112, 113)의 이격배치 및 고정을 위한 하나의 수단을 제시한 것으로,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석(145)은 회동블록(144a)을 동작시켜서 통신편(143)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제1,2코어(145b, 145b')에 각각 권취된 제1,2솔레노이드(145c, 145c') 중 어느 제1,2솔레노이드(145c, 145c')에 전기를 공급하느냐에 따라 회동블록(144a)의 회동방향이 결정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2코어(145b, 145b')는 영구자석(145a)에 의해 자화된다. 일 예로, 영구자석(145a)의 극이 상하로 'N'과 'S'으로 되면, 영구자석(145a)으로부터 이격된 제1,2코어(145b, 145b')는 'N'으로 자화된다.In more detail, the first and
한편, 영구자석(145a)의 'S'와 인접한 회동블록(144a)의 중앙부는 'N'으로 자화되고, 회동블록(144a)의 양단부는 각각 'S'로 자화된다. 결국, 영구자석(145a)과 제1,2코어(145b, 145b')은 회동블록(144a)에 인력을 가하게 된다. 이후, 제어기(150)의 제어로 제2솔레노이드(145c')에 충분한 전류가 일시적으로 통전하면, 제2코어(145b')는 'S'의 자성을 갖는다. 물론, 제2솔레노이드(145c')의 권취방향과 통전방향을 제어해 상기 극성을 조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central portion of the
계속해서, 'S'로 자화된 제2코어(145b')는 'S'로 자화된 회동블록(144a)의 일단부에 척력을 가해 시계방향으로 순간 회전시킨다. 물론, 'S'로 자화된 타단부는 'N'으로 자화된 제1코어(145b)에 인접하면서 인력으로 접하고, 지속적인 자력에 의해 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회동블록(144a)의 타단부에 압력을 받는 통신편(143)은 하방으로 이동해서 출력단자(170)의 단자부(171)와 접하고, 이를 통해 당해 통신편(143)의 저항을 상기 단자부(171)의 저항에 포함시킨다.Subsequently, the
이후, 제어기(150)의 제어로 제1,2솔레노이드(145c, 145c')에 충분한 전류가 일시적으로 통전하면, 제1,2코어(145b, 145b')는 'S'의 자성을 가지면서 회동블록(144a)의 양단부에 척력을 가하고, 상기 척력에 의해 회동블록(144a)은 수평상태 로 복귀된다.Thereafter, when sufficient current is temporarily supplied to the first and
물론, 통신편(143)은 탄발체(143b)의 탄발력으로 승강해서, 출력단자(170)의 단자부(171)로부터 분리된다.Of course, the
상기 제어기(150)는 입력단자(120)의 신호 또는 별도의 제어신호 등을 받아 보상기구(140) 및/또는 채널선택기구(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2솔레노이드(145c, 145c')의 통전 여부를 제어할 것이다.The
상기 채널선택기구(160)는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120)를 확인해서 출력단자와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상기구(140)와 동일한 원리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채널선택기구(160)의 구조는 보상기구(140)의 설명으로 갈음한다.The
미설명 인출번호 "P"는 보상기구(140), 제어기(150) 및 채널선택기구(160) 등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라인"이다. The description number "P" is a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for driving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 보상장치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도면인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the impedance compens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 보상장치(100')는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120)의 수를 확인해서 세팅된 값에 따라 보상기구(140)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동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a)는 한 개의 입력단자(120)로부터 신호가 입력될 시에 보상기구(140)의 구동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점선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상기 구(140) 및/또는 채널선택기구(160)의 통신편(143, 163)이 입력단자(120) 및 출력단자(170)의 단자부(121, 171)와 분리된 상태를 의미하고, 실선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자부(121, 171)와 통신편(143, 163)이 접하는 상태를 의미한다.FIG. 5 (a) shows the driving mode of the
한 개의 입력단자(12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임피던스 표준인 50옴을 유지할 것이므로 보상기구(140)는 동작하지 않고, 입력된 신호는 출력단자(170)를 통해 그대로 출력된다.When a signal is input from one
도 5(b)는 두 개의 입력단자(120)로부터 신호가 입력될 시에 보상기구(140)의 구동모습을 도시한 것이다.FIG. 5 (b) shows the driving mechanism of the
두 개의 입력단자(12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임피던스 표준인 50옴 보다 낮은 임피던스를 보일 것이므로, 보상기구(140)는 낮아진 임피던스를 보상하기 위해 통신편(143)을 출력단자(170)의 단자부(171)에 접촉시킨다.When a signal is input from the two
도 5(c)는 세 개의 입력단자(120)로부터 신호가 입력될 시에 보상기구(140)의 구동모습을 도시한 것이다.FIG. 5 (c) illustrates the driving mechanism of the
세 개의 입력단자(12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두 개의 입력단자(120)로부터 신호가 입력될 때보다 낮은 임피던스를 보일 것이므로, 보상기구(140)는 낮아진 임피던스를 보상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저항이 큰 통신편(143')을 출력단자(170)의 단자부(171)에 접촉시킨다.When a signal is input from the three
도 5(d)는 네 개의 입력단자(120)로부터 신호가 입력될 시에 보상기구(140)의 구동모습을 도시한 것이다.FIG. 5 (d) illustrates the driving mechanism of the
네 개의 입력단자(12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세 개의 입력단자(120)로부 터 신호가 입력될 때보다 낮은 임피던스를 보일 것이므로, 보상기구(140)는 낮아진 임피던스를 보상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저항이 큰 통신편(143")을 출력단자(170)의 단자부(171)에 접촉시킨다.When a signal is input from the four
본 발명에 따른 보상기구(140)가 구비한 통신편(143, 143', 143")의 개수는 실시예에 포함된 통신편(143, 143', 143")의 개수에 가감될 수 있을 것이다.The number of
도 1은 종래 임피던스 보상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a conventional impedance compensato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 보상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impedance compens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 보상장치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mpedance compens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 보상장치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the impedance compens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Explanation of terms for main parts of attached drawings-
100, 100'; 임피던스 보상장치 110; 케이스 120; 입력단자100, 100 '; An
130, 140; 보상기구 150; 제어기130, 140;
160; 채널선택기구 170; 출력단자160;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3991A KR101051144B1 (en) | 2009-05-20 | 2009-05-20 | Impedance Compensation Device for Communication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3991A KR101051144B1 (en) | 2009-05-20 | 2009-05-20 | Impedance Compensation Device for Communication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5003A KR20100125003A (en) | 2010-11-30 |
KR101051144B1 true KR101051144B1 (en) | 2011-07-22 |
Family
ID=4340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3991A Expired - Fee Related KR101051144B1 (en) | 2009-05-20 | 2009-05-20 | Impedance Compensation Device for Communication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1144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24014A (en) * | 1996-04-04 | 1998-03-03 | The Narda Microwave Corporation | Latching RF switch device |
-
2009
- 2009-05-20 KR KR1020090043991A patent/KR10105114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24014A (en) * | 1996-04-04 | 1998-03-03 | The Narda Microwave Corporation | Latching RF switch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5003A (en) | 2010-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222588B (en) | Electromagnetic relay | |
US7233220B2 (en) | Electrical switching device, relay and electrical apparatus comprising same | |
CN102769227A (en) | Quick connection device for electrical appliance | |
US9076615B2 (en) | Method of forming an integrated electromechanical relay | |
KR20100029782A (en) | Microrelay | |
US9142374B1 (en) | Solenoid linear actua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 |
US6633219B2 (en) | Coil for automated mounting | |
DK2465128T3 (en) | MINIATURE magnet switch fabrics | |
US8143978B2 (en) | Electromechanical rela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 |
KR101051144B1 (en) | Impedance Compensation Device for Communication Equipment | |
US8174343B2 (en) | Electromechanical relay and method of making same | |
US8188817B2 (en) | Electromechanical relay and method of making same | |
US6778045B2 (en) | Telecommunication relay array for DSL network configuraton | |
CN105990626A (en) | Radio frequency coaxial switch having radio frequency compensation structures | |
EP2427892B1 (en) | Magnetic latching actuator | |
US8503152B2 (en) | Circuit board mountable solenoid actuator | |
CN106558458A (en) | Radio-frequency (RF) coaxial with photoelectric coupling instruction structure switch | |
KR101091119B1 (en) | Switch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having the switch | |
CN203799968U (en) | Multipole switch device | |
US11217920B2 (en) |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contactors | |
WO2012016061A2 (en) | Printed circuit board embedded relay | |
KR100872749B1 (en) | Electromagnetic switch | |
CN209880502U (en) | Multichannel electromechanical relay | |
EP3321947A1 (en) | Tampering safe bi-stable relay for high currents | |
US1958713A (en) | Rel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7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