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332B1 -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device and mobile phone using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device and mobile phone us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0332B1 KR101050332B1 KR1020100096681A KR20100096681A KR101050332B1 KR 101050332 B1 KR101050332 B1 KR 101050332B1 KR 1020100096681 A KR1020100096681 A KR 1020100096681A KR 20100096681 A KR20100096681 A KR 20100096681A KR 101050332 B1 KR101050332 B1 KR 1010503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mobile phone
- batteries
- connector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배터리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는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폰 본체, 써미스터가 내장된 제1 배터리 및 제1 배터리와 동일한 제2 배터리를 동시에 장착하여 휴대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 배터리 및 제1 배터리 위에 적층되는 제2 배터리를 병렬 연결하는 배터리 커넥터, 및 제2 배터리 및 배터리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와 결합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는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커넥터를 제공하여 하나의 단말기에 2개 이상의 착탈식 배터리를 동시에 장착함으로써 배터리의 교체없이 장시간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에너지 이퀄라이저의 제공 및 배터리의 온도 모니터링을 통하여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apparatus that can be equipped with two or more batteries at the same time and a mobile phone using method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phone body, a first battery with a built-in thermistor, and a second battery stacked on the first battery and the first battery to simultaneously supply power to the mobile phone body by simultaneously mounting the same second battery as the first battery. It provides a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device comprising a battery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parallel and a rear cover coupled to the mobile phone body to accommodate the second battery and the battery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wo or more removable batteries in one terminal at the same time by providing a battery connector, it is possible to use the terminal for a long time without replacing the battery, it is possible to use safely through the provision of an energy equalizer and the temperature monitoring of the battery.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 이상의 배터리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는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apparatus that can be equipped with two or more batteries at the same time and a mobile phone using method using the same.
최근 휴대전화 및 인터넷 통신의 비약적인 발달과 함께 통화기능 이외에도 인터넷 브라우징, 음악 또는 동영상 재생은 물론 다양한 게임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스마트폰이 등장하고, 점차 시장점유율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phones and Internet communication, multimedia smartphones capable of various games, as well as Internet browsing, music or video playback, in addition to call functions have emerged, and the market share is gradually increasing.
전화 통화 이외에 영화감상이나 인터넷 브라우징등 비교적 전력소모가 큰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경우 현재 판매되고 있는 스마트폰의 경우 연속 사용시간은 수시간에 불과하다.In addition to phone calls, when watching movies or browsing the Internet, which requires relatively high power consumption, simultaneous use of smartphones is only a few hours.
이 경우, 사용자는 별도의 마련된 충전기 등을 통해 수시로 충전을 하거나, 착탈식 배터리를 동시에 여러 개 휴대하며 번갈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을 수 밖에 없다. In this case, the user may have to charge from time to time through a separate charger or the like, or may experience inconvenience in using multiple removable batteries at the same tim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금까지의 대안은 외장 전원(충전지 등)을 별도로 마련하여 휴대하는 방식이다.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외장 전원은 휴대폰의 외부에 장착되며, 휴대폰의 배터리에 직접 연결되는 방식이 아닌, 충전커넥터(일반적으로 USB 커넥터)에 연결되어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시간을 늘리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3.7 V 외장 배터리를 5 V 로 승압하여 충전커넥터(USB 커넥터)로 보내고, 휴대폰 내부의 3.7 V 배터리를 충전하는 2단계의 전압 변환 과정을 거치게 되어, 에너지효율이 70% 이하로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Until now, an alternative to solve this problem is to prepare an external power supply (eg, a battery) and carry it separately. Existing external power is sold on the outside of the phone and is not connected directly to the phone's battery, but rather connected to a charging connector (usually a USB connector) to extend the use time by charging the battery inside. This method boosts the 3.7 V external battery to 5 V, sends it to the charging connector (USB connector), and performs a two-step voltage conversion process to charge the 3.7 V battery inside the mobile phone. There is a problem.
또한 기존 외장 전원은 휴대폰 제조사 외에서 제조한 대용량 배터리를 제공하므로 비교적 가격이 높아 시장성이 좋지 않으며, 제공한 배터리의 폭발 및 화재의 위험성도 따르게 된다.In addition, the existing external power supply provides a large-capacity battery manufactured by a non-mobile phone manufacturer, which is relatively high in price, and therefore, the marketability is not good, and the risk of explosion and fire of the provided battery also follow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휴대폰에 2개 이상의 착탈식 배터리를 동시에 장착하여 에너지 효율적이며 경제성 있는 방식으로 휴대폰의 사용시간을 늘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ims to increase the use time of the mobile phone in an energy efficient and economical manner by simultaneously mounting two or more removable batteries in one mobile phone.
아울러,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스마트폰에는 2개의 배터리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추가 배터리의 구입이 불필요하며, 다수의 배터리를 장착하는 구조물과 안전을 위한 회로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경제적으로 휴대폰의 사용시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since a commercially available smart phone includes two batteries, it is not necessary to purchase additional batteries, and only a structure for mounting a plurality of batteries and a circuit for safety ar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mobile phone economically. It is intended to be extensible.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폰 본체, 써미스터가 내장된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1 배터리와 동일한 제2 배터리를 동시에 장착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로서, 상기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는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1 배터리 위에 적층되는 제2 배터리를 병렬 연결하는 배터리 커넥터, 및 상기 제2 배터리 및 배터리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와 결합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커넥터의 하단 및 상단에는 각각 제1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단 커넥터 및 상기 제2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단 커넥터가 형성되며, 상기 휴대폰 본체는 상기 배터리 커넥터의 하단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제1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apparatus that can be supplied to the mobile phone main body by simultaneously mounting the mobile phone main body, the first battery with a built-in thermistor and the same second battery as the first battery; The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apparatus includes a battery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first battery and a second battery stacked on the first battery in parallel, and a rear cover coupled with the mobile phone main body to receive the second battery and the battery connector. And a lower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battery and an upper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respectively, at the lower and upper ends of the battery connector, wherein the mobile phone body is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or of the battery connect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It provides batteries for cell phones attached to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 본체, 써미스터가 내장된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1 배터리와 동일한 제2 배터리 및 제3 배터리를 동시에 장착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로서, 상기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는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1 배터리 위에 적층되는 제2 배터리를 병렬 연결하는 제1 배터리 커넥터, 상기 제2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위에 적층되는 제3 배터리를 병렬 연결하는 제2 배터리 커넥터, 및 상기 제2 배터리, 제3 배터리, 제1 배터리 커넥터 및 제2 배터리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와 결합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배터리 커넥터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휴대폰 본체와 제1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접촉연결하는 제1 단자 및 상기 제1 단자와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2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촉연결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터리 커넥터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배터리와 제3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접촉연결하는 제3 단자 및 상기 제3 단자와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3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촉연결되는 제4 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가 상기 제1 ~ 제3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phone body by simultaneously mounting a mobile phone body, a first battery with a built-in thermistor and the same second battery and a third battery as the first battery, The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battery connector configured to parallelly connect the first battery and a second battery stacked on the first battery, and a second battery connected to the third battery stacked on the second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n parallel. And a rear cover coupled to the mobile phone main body to receive a battery connector, and the second battery, the third battery, the first battery connector, and the second battery connector, wherein the first battery connector protrudes downwards, A first terminal for electrically contacting the cellular phone body and the first battery and lateral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erminal For example, a second terminal electrically contacted with the second battery, wherein the second battery connector protrudes downwar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and the third battery, and the third terminal. And a fourth terminal electrically spaced in contact with the third battery and laterally spaced from the terminal, such that the mobile phone main body can receive power from the first to third batterie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 본체, 상기 휴대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2개의 배터리, 상기 2개의 배터리를 병렬 연결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커넥터, 및 상기 2개의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와 결합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는 휴대폰에 복수의 배터리를 동시에 장착하는 휴대폰 사용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폰 본체, 배터리 커넥터, 상기 2개의 배터리, 및 후면 커버를 조립하여 장착하는 제 1단계; 상기 2개의 배터리의 전압차를 측정하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휴대폰과 상기 2개의 배터리와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는 제 2단계; 및 상기 전압차가 설정된 값 이하에 도달하면 상기 휴대폰과 상기 2개의 배터리와의 전기적 연결이 복구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ccommodates a mobile phone body, two batterie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phone body, a battery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body by connecting the two batteries in parallel, and accommodates the two batteries and the battery connector A method of using a mobile phone for simultaneously mounting a plurality of batteries in a mobile phone including a rear cover coupled to the mobile phone body, the first step of assembling and mounting the mobile phone body, the battery connector, the two batteries, and the rear cover ; Measuring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two batteries and exceeding a set value, wherein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phone and the two batteries is cut off; And a third step of recoveri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phone and the two batteries when the voltage difference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커넥터 및 배터리 커버를 제공하여 하나의 단말기에 2개 이상의 착탈식 배터리를 동시에 장착함으로써 배터리의 교체없이 장시간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N 개의 배터리를 장착할 경우, 1개의 배터리에서 소모되는 전류가 1/N 줄어들고 배터리 내부의 화학반응이 느려지면, 자체 발열도 감소되어 N 배 이상(일반적으로 N * 1.2 배 이상)의 시간을 사용 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발열의 감소는 배터리 사용시간도 증가할 뿐 아니라, 배터리와 휴대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connector and a battery cover may be provided to simultaneously mount two or more removable batteries in one terminal,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use the terminal for a long time without replacing the battery. In general, when N batteries are installed, when the current consumed by one battery is reduced by 1 / N and the chemical reaction inside the battery is slowed down, the self-heating is also reduced to N times or more (typically N * 1.2 times or more) times. Can be used to maximize energy efficiency. Reducing fever not only increases battery life, but also extends the life of batteries and cell phones.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배터리를 병렬 연결하여 직접적으로 배터리 용량을 확장하는 방식으로서, 충전 커넥터(일반적으로 USB 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종래의 외장 전원공급 방식에 비하여 에너지 전달 효율을 30%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directly expanding the battery capacity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ies in parallel,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xternal power supply method for supplying power through a charging connector (generally a USB connector) more than 30% energy transfer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은 배터리를 고정하는 기구와 보호회로를 동시에 포함하는 배터리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낮은 가격으로 배터리 사용시간을 확장할 수 있어 우수한 경제성 및 사업성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battery connector including a mechanism for fixing a battery and a protection circuit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battery use time at a low price, thereby providing excellent economy and business feasi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를 이용하여 2개의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폰의 분해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커넥터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2개의 배터리 및 배터리 커넥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장치를 이용하여 3개의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3개의 배터리 및 배터리 커넥터의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본체, 복수의 배터리 및 충전 단자의 개략적인 전극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보호회로 및 에너지 이퀄라이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이퀄라이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two batteries using a battery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C are perspective, front and side views of the battery connector shown in FIG. 1, respectively;
3 shows two batteries and a battery connector shown i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three batteries using a battery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ree batteries and the battery connector shown in FIG. 4;
6 is a schematic electrode configuration of a mobile phone body, a plurality of batteries and a charg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and an energy equa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nergy equa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를 사용하여 2개의 배터리를 동시에 장착한 핸드폰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넥터이며, 도 3은 배터리 커넥터 및 2개의 배터리의 전극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two batteries at the same time using a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to 2c is a battery connec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 battery connector and two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electrode position of a battery.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는 휴대폰 본체(100), 써미스터가 내장된 제1 배터리(110) 및 상기 제1 배터리와 동일한 제2 배터리(120)를 동시에 장착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는 제1 배터리(110) 및 상기 제1 배터리(110) 위에 적층되는 제2 배터리(120)를 병렬 연결하는 배터리 커넥터(200), 및 상기 제2 배터리(120) 및 배터리 커넥터(200)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와 결합되는 후면 커버(300)를 포함한다.1 to 3, a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phone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폰 본체(100)는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것이며, 상기 2개의 배터리(110, 120)는 형상, 크기 및 충전량 등이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mobile phone
상기 배터리 커넥터(200)는 휴대폰 본체(100)와 2개의 배터리(110, 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 커넥터(200)의 하단과 상단에는 각각 하단 커넥터(212) 및 상단 커넥터(222)가 형성된다.The
하단 커넥터(212)는 상기 휴대폰 본체(100)와 제1 배터리(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하단 커넥터(212)는 상기 휴대폰 본체(100)와 제1 배터리(110)의 사이에 끼워져 상기 제1 배터리(110)가 상기 휴대폰 본체(100)에 장착시 상기 배터리 커넥터(200)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단 커넥터(222)는 제1 배터리(110) 위에 적층되는 제2 배터리(22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것이다. 2개의 배터리(110, 120)가 장착되어 사용될 때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단 커넥터(212)과 하단 커넥터(222)는 상호 이격되어, 측방향으로 반대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휴대폰 본체(100)와 제1 배터리(110)의 사이에 상기 배터리 커넥터(200)를 원활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하단 커넥터(212)의 두께는 0.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단 커넥터(212)의 두께가 0.5mm를 초과하는 경우, 제1 배터리(110)가 휴대폰 본체(100)의 배터리 수납공간(102)에 원활하게 삽입되기 어렵기 때문이다.In order to smoothly mount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터리(110) 및 제2 배터리(120)는 각각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제1 노출전극(112) 및 제2 노출전극(212)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 커넥터(212) 및 하단 커넥터(222)는 각각 상기 제1노출전극(112) 및 제2노출전극(122)과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배터리(110) 및 제2 배터리(220)는 적층시 상기 제1 노출전극(112) 및 제2 노출전극(122)이 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Specifically, the
따라서, 휴대폰 본체(100)에 배터리 커넥터(200) 및 제1 배터리(100)를 순차 결합하고, 제1 배터리(110) 위에 제2 배터리(120)를 각 노출전극(112, 122)이 엇갈리도록 제1 배터리(110)의 상면과 제2 배터리(120)의 저면이 접하도록 적층하면, 휴대폰 본체(100)는 배터리 커넥터(200)를 통하여 제1 배터리(110) 및 제2 배터리(120)와 병렬 연결된 전원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Therefore,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를 하나만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2배 이상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교체 또는 별도의 충전 없이 2배 이상의 사용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more than twice the power can be supplied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only one battery, it is possible to secure more than twice the use time without replacing or additional charging of the battery.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폰 본체(100), 배터리 커넥터(200), 제1 배터리(110) 및 제2 배터리(120)가 순차적으로 장착되면, 후면 커버(300)를 휴대폰 본체(100)와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커버(300)에는 휴대폰 본체(10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배터리 커넥터(200) 및 제2 배터리(12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302)이 형성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후면 커버(300)에는 충전용 전극(304)이 형성되어, 후면 커버(300)의 결합시 상기 충전용 전극(304)은 상기 상단 커넥터(2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후면 커버(300)가 장착되면 충전용 전극(304)을 통해 배터리(110, 120)를 분리하지 않고 별도의 충전기(미도시) 등을 통하여 직접 충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기는 휴대폰을 기대어 놓을 수 있는 거치대 형태의 충전기가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일반적으로, 휴대폰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이며, 배터리 내부에는 서미스터를 포함하여 배터리의 온도를 휴대폰의 충전장치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보호회로는 배터리 1개가 단독으로 사용될 때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2개 이상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하는 경우에는 2개 이상의 배터리 모두를 보호 하기 위하여 별도의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In general, a battery used in a mobile phone is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nd the battery includes a thermistor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can be monitored by the charging device of the mobile phone. Since this protection circuit is designed to operate when one battery is used alone, separate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otect both batteries when charging two or more batteries at the same time.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별도의 과열방지용 온도보호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온도보호회로는 배터리 커넥터에 일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parate overheat protection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The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is preferably integrated into the battery connector.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배터리(110)는 휴대폰 본체와 일반적인 방식으로 연결되어, 휴대폰 본체가 상기 제1 배터리(110)의 온도를 측정하여 보호한다. 추가된 배터리(제2 내지 제4 배터리)의 온도는 상기 제1 배터리에 내장되어 있는 서미스터의 저항값을 추가된 배터리(제2 내지 제4 배터리)에 연결된 배터리 커넥터에 내장된 회로에서 모니터링하여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측정되면 휴대폰에 이를 알려주어 충전이 중단되도록 구성된 회로이다. 이때, 미리 설정된 온도는 40℃가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폰 본체에 위험 온도임을 알려주는 방식은 휴대폰의 온도센서 전극과 (-) 전원전극 사이에 저항(R1)을 병렬 연결시키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병렬 연결 시키는 저항값은, 예컨대 온도센서 전극이 10kΩ NTC 써미스터를 사용한 배터리의 경우에는 3kΩ 이하, 100kΩ NTC 써미스터를 사용한 배터리의 경우에는 22kΩ 이하의 저항을 병렬 연결하여, 배터리가 위험 온도 이상임을 휴대폰에 알려주어 충전을 중단시킨다.6 and 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보호 회로는 비교회로와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아나로그적인 방식 또는 A/D 컨버터와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한 디지털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an analog manner consisting of a comparison circuit and a transistor or in a digital manner including an A / D converter and a microcontroller.
또한, 상기 온도보호회로는 상기 제1 배터리(110) 및 제2 배터리(120)의 전압을 동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양 배터리(110, 120) 사이에 PTC 써미스터 또는 PPTC(polymeri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device)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uses a PTC thermistor or a polymer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device (PPTC) between the
즉, 제1 배터리(100)와 제2 배터리(120)의 전압이 상이한 경우, 양 배터리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양 배터리 사이에 PTC 써미스터 또는 PPTC를 제공하면 상기 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양에 따라 상기 소자의 온도가 변하면서 회로내에 적절한 양의 전류가 안전하게 흐른다. 따라서, 양 배터리(100, 200) 사이의 전압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voltages of the
본 발명은 다수의 배터리를 병렬 장착시, 배터리간의 전압이 다르면 배터리간에 높은 전류가 흘러 화재 또는 고장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다수의 배터리 사이의 전압차를 측정하여 전압차가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병렬연결을 차단시키고 저항을 통해 서서히 전류를 흘려 다수의 배터리 사이의 전압차가 기준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 병렬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에너지 이퀄라이저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batteries are installed in parallel, a high current flows between the batteries when the voltages between the batteries are different, which may cause a fire or failure. Therefore, when the voltage difference exceeds a reference value by measuring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batteries, the parallel connection is performed. It provides an energy equalizer that shuts off and slowly flows current through the resistor to make a parallel connection when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multiple batteries drops below the reference value.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이퀄라이저는 필요에 따라 배터리 커넥터(200) 또는 후면 커버(300)에 내장되어 전압이 다른 배터리를 휴대폰 본체에 곧바로 장착할 수도 있고, 별도로 외부 기기로 제공하여 다수의 배터리의 전압을 동일하게 유지시킨 후에 휴대폰 본체에 장착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energy equa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uilt in the
우선, 에너지 이퀄라이저가 배터리 커넥터(200)에 포함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 1배터리(110)는 기본적으로 언제나 휴대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에너지 이퀄라이저는 제1 배터리(110)와 제2 배터리(120) 사이에 저항(R)을 연결하여 저항(R) 양단의 전압차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가 되는 경우에만 배터리가 병렬 연결되어 휴대폰 본체(1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전압이 다른 2개의 배터리가 저항을 통해 연결되면 전류가 흐르게 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양 배터리 사이의 전압차가 0V에 가깝게 된다. 휴대폰의 안전한 사용을 위하여, 제1 배터리(110) 및 제2 배터리(120) 사이의 전압차가 20mV 이하일 때만 휴대폰 본체(10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rst, the case where the energy equalizer is included in the
본 발명은 배터리 사이의 전압차가 기준값 이하일 경우에도 안전을 더욱 확보하기 위하여 배터리 사이와 휴대폰 본체 사이에 휴즈(F)를 제공한다. 상기 휴즈에는 제한이 없으나, 1회용 휴즈보다는 반복적인 영구 사용이 가능한 폴리휴즈(polyfus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se (F) between the battery and the mobile phone main body to further ensure safety even when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battery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fuse is not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polyfuse capable of repeated permanent use rather than a disposable fuse.
특히, 상기 휴즈로는 PTC 써미스터 또는 PPTC(polymeri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device)를 사용할 수 있는데, PPTC는 리세터블 휴즈(resettable fuse)라고도 하며, PPTC가 장착되면 과전류가 흐르더라도 휴즈가 단락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휴즈의 교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PPTC의 경우 회로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줄(Joule)열에 의해 PPTC가 저저항체에서 고저항체로 변하기 때문이다.In particular, the fuse may be a PTC thermistor or a polymeri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device (PPTC). PPTC is also called a resettable fuse, and when the PPTC is installed, the fuse does not short-circuit even when overcurrent flows. Therefore, it can be used without replacing the fuse. In the case of PPTC, when an overcurrent flows in a circuit, the PPTC is changed from a low resistor to a high resistor by Joule heat generated by the current.
구체적으로, 휴대폰 본체(100)에 배터리 커넥터(200), 제1 배터리(110), 제2 배터리(120) 및 후면 커버(300)가 장착되면, 상기 2개의 배터리(110, 120) 사이의 전압차를 측정하여 비교한다. 측정 결과, 2개의 배터리(110, 120) 사이의 전압차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휴대폰 본체(100)가 제1배터리(11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즉, 2개의 배터리(110, 120) 사이의 전압차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안전을 위하여 제2 배터리(120)의 전기적 연결을 해제하는 것이다. 이 경우, 2개의 배터리(110,120) 사이에 설치된 저항(R)을 통해 안전한 양의 전류가 흐르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2개의 배터리(110, 120) 사이의 전압차가 기준값 이하에 도달하면 휴대폰 본체(100)와 제2 배터리(1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복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2개의 배터리(110, 120) 사이에 설치되는 저항(R)은 1Ω ~ 10kΩ 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when the
또한, 후면 커버(300)에 별도의 표시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양 배터리의 전압차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수단으로는 LCD, LED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separate display means on the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이퀄라이저의 작동은 아나로그적인 방식인 비교기와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도 있고, A/D 컨버터와 마이크로컨트롤러,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디지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energy equalizer may be composed of an analog comparator and a transistor, or may be performed in a digital manner including an A / D converter, a microcontroller and a transistor.
다음, 에너지 이퀄라이저가 별도로 휴대폰 외부에 제공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두 배터리 사이에 저항이 연결되어, 배터리간에 전류가 흘러 전압차가 줄어들게 하고, 전압차를 측정하여 상기 전압차가 일정 전압 이하일 경우에는 LED, 또는 LCD를 통하여 병렬 장착이 가능한 상태임을 알려준다. 이때 배터리 사이에 장착된 저항은 1Ω ~ 10kΩ 사이가 바람직하고, 병렬장착이 가능한 전압차는 20 mV이하가 바람직하다. Next, the case where the energy equalizer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obile phone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a resistor is connected between the two batteries so that current flows between the batteries to reduce the voltage difference, and when the voltage differen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the LED or the LCD indicates that the parallel mounting is possible. At this time, the resistance mounted between the battery is preferably between 1 kV to 10 kK, and the voltage difference that can be mounted in parallel is preferably 20 mV or less.
또한 외부에 별도로 제공된 에너지 이퀄라이저에는 별도의 충전회로를 갖추어 외부 전원이 연결될 경우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도 갖추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desirable that the energy equalizer separately provided to the outside has a separate charging circuit to have a function of charging a battery when an external power source is connected.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3개 이상의 배터리를 동시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개의 배터리를 동시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phone battery device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three or more batteries at the same tim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use of three batteries mounted at the same time will be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는 휴대폰 본체(100), 써미스터가 내장된 제1 배터리(110) 및 상기 제1 배터리(110)와 동일한 제2 배터리(120) 및 제3 배터리(130)를 동시에 장착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는 상기 제1 배터리(110) 및 상기 제1 배터리(110) 위에 적층되는 제2 배터리(120)를 병렬 연결하는 제1 배터리 커넥터(400), 상기 제2 배터리(120) 및 상기 제2 배터리(120) 위에 적층되는 제3 배터리(130)를 병렬 연결하는 제2 배터리 커넥터(500), 및 상기 제2 배터리(120), 제3 배터리(130), 제1 배터리 커넥터(400) 및 제2 배터리 커넥터(500)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100)와 결합되는 후면 커버(500)를 포함한다.4 and 5, the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obile phone
상기 제1 배터리 커넥터(400)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휴대폰 본체(100)와 제1 배터리(110)를 전기적으로 접촉연결하는 제1 단자(412) 및 상기 제1 단자(412)와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2 배터리(120)와 전기적으로 접촉연결되는 제2 단자(422)를 포함한다.The
또한, 상기 제2 배터리 커넥터(500)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배터리(120)와 제3 배터리(130)를 전기적으로 접촉연결하는 제3 단자(512) 및 상기 제3 단자(512)와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3 배터리(130)와 전기적으로 접촉연결되는 제4 단자(522)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3개의 배터리를 적층하여 사용하더라도 각 배터리 사이의 전기적 쇼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배터리의 노출 전극을 최대한 이격시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3개의 배터리(110, 120, 130)의 순차 적층시 각 배터리에 형성된 노출 전극(112, 122, 132)의 위치가 좌우측으로 번갈아 배치될 수 있도록, 제1 배터리 커넥터(400) 및 제2 배터리 커넥터(500)에 형성된 제1 ~ 제4 단자(412, 422, 512, 522)의 위치를 조정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electrical short between each battery even when the same three batteries are stacked, the exposed electrode of each battery is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as far as possible. That is, when sequentially stacking three
3개 이상의 배터리를 적층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2개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3단 이상의 배터리를 고정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In the case where three or more batteries are stacked and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fix three or more batteries,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using two batteri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1 배터리 커넥터(400) 및 제2 배터리 커넥터(500)에 배터리(120, 130)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둘레벽 및 고정수단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ircumferential wall and fixing means for accommodating the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배터리 커넥터(400) 및 제2 배터리 커넥터(500)는 휴대폰 본체(100)와 3개의 배터리(110, 120, 13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일면(402, 502)에 온도보호회로 및 각종 연결단자가 형성되어 하나의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는 둘레벽을 포함한다.That is, the
휴대폰 본체(100)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위치하는 2개의 배터리(120, 130)의 원활한 위치고정을 위해서는, 배터리 커넥터(400, 500)의 둘레벽의 높이는 배터리(120, 130) 높이와 동일하거나 배터리(120, 130)의 높이보다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을 위해서는, 각종 연결단자 및 온도보호회로가 형성된 일면(402, 502)의 높이가 배터리(120, 13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면 커버(300)의 수용공간이 지나치게 커지지 않도록 상기 둘레벽의 두께를 1~2mm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smooth positioning of the two
또한, 2개의 배터리 커넥터(400, 500)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1 배터리 커넥터(400)의 상면과 제2 배터리 커넥터(500)의 하면에는 각각 복수의 홈(404)과 돌기(504)가 대응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배터리 커넥터(400) 위에 제2 배터리 커넥터(500)가 적층되면, 상기 홈(404)과 돌기(504)가 결합하여 2개의 배터리 커넥터(400, 500)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배터리 커넥터(400)가 휴대폰 본체(100)와 제1 배터리(110)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는 것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In addition, in order to fix the two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의 후면 커버(300)에는 노출 전극(304)이 형성되어 외부 충전기 등에 의한 배터리(110, 120, 130)의 직접 충전이 가능하다.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 exposed
또한, 2개의 배터리 커넥터(400, 500)에는 각각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온도보호회로 및 에너지 이퀄라이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충전시 배터리의 과열을 방지하고, 사용시 배터리의 전압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two
본 발명에 따르면, 2개 이상의 배터리를 휴대폰에 동시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충분한 사용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충전 및 사용시에 각각 과열방지용 온도보호회로 및 에너지 이퀄라이저를 통해 사용자가 2개 이상의 배터리를 장착하더라도 안전하게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batteries can be simultaneously installed and used in a mobile phone to secure sufficient usage time. Furthermore, the user can install two or more batteries through a thermal protection circuit and an energy equalizer to prevent overheating during charging and use, respectively. Even if you can safely use the phone.
100 휴대폰 본체
110, 120, 130 제1 ~ 제3 배터리
200, 400, 500 배터리 커넥터
212, 222 커넥터
300 후면 커버100 cell phone body
110, 120, 130 first to third batteries
200, 400, 500 battery connectors
212, 222 connectors
300 rear cover
Claims (19)
상기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는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1 배터리 위에 적층되는 제2 배터리를 병렬 연결하는 배터리 커넥터, 및 상기 제2 배터리 및 배터리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와 결합되며,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회로를 구비한 후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커넥터의 하단 및 상단에는 각각 제1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단 커넥터 및 상기 제2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단 커넥터가 형성되며, 상기 휴대폰 본체는 상기 배터리 커넥터의 하단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제1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단 커넥터 및 하단 커넥터는 상호 이격배치되어, 상기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의 적층시 양 배터리 사이의 쇼트가 방지되고,
상기 제1배터리 및 제2배터리는 각각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제1노출전극 및 제2노출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 커넥터 및 하단 커넥터는 각각 상기 제1노출전극 및 제2노출전극과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제1배터리 및 제2배터리는 적층시 상기 제1노출전극 및 제2노출전극이 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단 커넥터는 상기 휴대폰 본체와 상기 제1 배터리의 사이에 끼워져, 상기 제1 배터리가 상기 휴대폰 본체에 장착시 상기 배터리 커넥터를 고정시키며,
상기 후면 커버에는 충전용 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충전용 전극의 일단은 상기 상단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후면 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배터리 커넥터에는 상기 충전용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보호회로가 제공되어 충전시 상기 2개의 배터리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A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phone main body by simultaneously installing a mobile phone main body, a first battery having a built-in thermistor, and a second battery identical to the first battery.
The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apparatus is coupled to the mobile phone main body to accommodate the first battery and a second battery stacked on the first battery in parallel, and the second battery and the battery connector, the mobile phone body and A rear cover having a charging circuit connected to charge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Lower and upper ends of the battery connector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a lower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 first battery and an upper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second battery, and the mobile phone body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through a lower connector of the battery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The upper connector and the lower connecto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a short between both batteries is prevented when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are stacked.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each include a first exposure electrode and a second exposure electrod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nd the upper connector and the lower connector are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the first exposure electrode and the second exposure electrode.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are formed such that the first exposure electrode and the second exposure electrode are later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stacked.
The lower connector is inserted between the mobile phone main body and the first battery, to fix the battery connector when the first battery is mounted on the mobile phone main body,
A charging electrode is formed on the rear cover, one end of the charging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or,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ar cover.
The battery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electrode is a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o prevent overheating of the two batteries when charging.
상기 하단 커넥터의 두께는 0.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The method of claim 1,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lower connector is 0.5mm or less.
상기 온도보호회로는 상기 서미스터의 저항값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의 온도가 40℃를 초과하는 경우 배터리의 충전이 중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is configured to stop charging of the battery when the temperature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exceeds 40 ° C.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thermistor.
상기 온도보호회로는 비교회로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거나 A/D 컨버터와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터리의 온도센서 전극과 마이너스 전원전극 사이에 저항을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비교회로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의 온도가 40℃를 초과하는 경우 배터리의 충전이 중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includes a comparison circuit and a transistor or an A / D converter and a microcontroller, and by connecting a resistor in parallel between the temperature sensor electrode and the negative power supply electrode of the first batter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circuit. The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stop the charging of the battery when the temperature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exceeds 40 ℃.
상기 저항의 크기는 상기 서미스터의 저항값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magnitude of the resistance is determi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sistance value of the thermistor.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의 전압을 동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 커넥터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사이에 연결된 저항 및 비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에너지 이퀄라이저가 제공되며,
상기 후면 커버에는 LED 램프가 제공되어,
병렬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사이의 전압차가 설정된 범위 이하인 경우 상기 LED 램프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The method of claim 1,
In order to keep 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the same, the battery connector is provided with an energy equalizer comprising a resistor and a comparato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The rear cover is provided with an LED lamp,
And the LED lamp is turned on when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onnected in parallel is less than or equal to a set range.
상기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의 전압을 동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비교기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거나 A/D 컨버터와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에너지 이퀄라이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용 전극은 상기 에너지 이퀄라이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에너지 이퀄라이저는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의 전압을 동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사이에 연결된 저항, 비교기, 및 LED 램프를 더 포함하고,
병렬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사이의 전압차가 20mV 이하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LED 램프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energy equalizer including a comparator and a transistor or an A / D converter and a microcontroller to maintain 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the same.
The charging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nergy equalizer,
The energy equalizer further comprises a resistor, a comparator, and an LED lamp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to maintain 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the same;
And the LED lamp is turned 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onnected in parallel is 20 mV or less.
상기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는 내부에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 배터리 사이에 휴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The method of claim 11,
The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device is a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use between both batteries to prevent the overcurrent flows therein.
상기 휴즈는 PTC 써미스터 또는 PPTC(polymeri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device)를 포함하여 과전류가 흐르더라도 상기 휴즈의 교체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fuse includes a PTC thermistor or a polymeri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device (PPTC), so that the fuse can be used without replacing the fuse.
상기 온도보호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의 전압을 동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양 배터리 사이에 PTC 써미스터 또는 PPTC(polymeri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devic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further comprises a PTC thermistor or a polymer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device (PPTC) between the two batteries to maintain the same voltag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상기 저항의 크기는 1 Ω 내지 10k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The method of claim 11,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resistor is 1 kW to 10 kW.
상기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는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1 배터리 위에 적층되는 제2 배터리를 병렬 연결하는 제1 배터리 커넥터, 상기 제2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위에 적층되는 제3 배터리를 병렬 연결하는 제2 배터리 커넥터, 및 상기 제2 배터리, 제3 배터리, 제1 배터리 커넥터 및 제2 배터리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와 결합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배터리 커넥터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휴대폰 본체와 제1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접촉연결하는 제1 단자 및 상기 제1 단자와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2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촉연결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터리 커넥터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배터리와 제3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접촉연결하는 제3 단자 및 상기 제3 단자와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3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촉연결되는 제4 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가 상기 제1 ~ 제3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커넥터는 상기 제2 및 제3 배터리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둘레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배터리 커넥터의 상면과 상기 제2 배터리 커넥터의 하면에는 각각 복수의 홈과 돌기가 대응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커넥터의 적층시 상기 홈에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커넥터가 고정되고,
상기 후면 커버에는 충전회로 및 충전용 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충전용 전극의 일단은 상기 제4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후면 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커넥터는 충전시 상기 제1 ~ 제3 배터리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온도보호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보호회로는 상기 서미스터의 저항값 변화를 관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의 온도가 40℃를 초과하는 경우 충전이 중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A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phone main body by simultaneously installing a mobile phone main body, a first battery having a built-in thermistor, and a second battery and a third battery same as the first battery.
The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apparatus may include a first battery connector configured to parallelly connect the first battery and a second battery stacked on the first battery, and a third battery connected to the third battery stacked on the second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n parallel. A second battery connector, and a rear cover coupled with the mobile phone body to receive the second battery, the third battery, the first battery connector, and the second battery connector;
The first battery connector protrudes downward to have a first terminal for electrically contacting the mobile phone body and the first battery, and a second side that is laterally spaced from the first terminal to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second battery. Including terminals,
The second battery connector protrudes downward to form a third terminal for electrically contacting the second battery and the third battery, and a second terminal that is laterally spaced apart from the third terminal to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third battery. Including 4 terminals,
The mobile phone main body may receive power from the first to third batteries,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onnectors may each include a circumferential wall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and third batteries, and a plurality of grooves and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ttery connector and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attery connector, respectively. Is formed in a corresponding position, the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wh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onnector is stacked,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onnector is fixed,
A charging circuit and a charging electrode are formed on the rear cover, one end of the charging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terminal,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ar cover.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onnectors include a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that prevents the first to third batteries from overheating during charging.
And the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is configured to stop charging when the temperature of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batteries exceeds 40 ° C by observing a resistance value change of the thermistor.
상기 휴대폰 본체, 배터리 커넥터, 상기 2개의 배터리, 및 후면 커버를 조립하여 장착하는 제 1단계;
상기 2개의 배터리의 전압차를 측정하여 상기 전압차가 20mV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병렬 연결된 2개의 배터리 중 하나와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가 하나의 배터리에 의해 전력를 공급받는 제 2단계; 및
상기 전압차가 20mV 이하가 되면 상기 제 2단계에서 차단되었던 배터리의 연결을 복구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가 상기 2개의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사용 방법.
A mobile phone main body, two batterie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phone main body, a battery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main body by connecting the two batteries in parallel, and the mobile phone main body to accommodate the two batteries and the battery connector. A method of using a mobile phone for simultaneously mounting a plurality of batteries in a mobile phone comprising a back cover coupled with,
A first step of assembling and mounting the mobile phone body, a battery connector, the two batteries, and a rear cover;
Measuring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two batteries and disconnecting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one of the two parallel connected batteries when the voltage difference exceeds 20 mV, such that the mobile phone main body is powered by one battery; And
And a third step of restoring the connection of the battery cut off in the second step when the voltage difference is less than 20 mV so that the mobile phone main body is supplied with power by the two batteri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6681A KR101050332B1 (en) | 2010-10-05 | 2010-10-05 |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device and mobile phone us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6681A KR101050332B1 (en) | 2010-10-05 | 2010-10-05 |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device and mobile phone using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50332B1 true KR101050332B1 (en) | 2011-07-19 |
Family
ID=4492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6681A Expired - Fee Related KR101050332B1 (en) | 2010-10-05 | 2010-10-05 |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device and mobile phone using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0332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2647B1 (en) | 2011-11-25 | 2012-05-10 | 김염구 | Mounting device of double battery for mobile phone |
KR101764499B1 (en) * | 2015-11-11 | 2017-08-03 | 김상훈 | Protection cover for mobile phone with a built-in auxiliary battery |
KR20180076507A (en) * | 2016-12-28 | 2018-07-06 | 최경훈 | Smart phone case |
CN108965527A (en) * | 2018-07-19 | 2018-12-07 | 深圳市金汇马科技有限公司 | mobile phone |
CN109510255A (en) * | 2018-10-31 | 2019-03-22 | 深圳欣旺达智能科技有限公司 | Double cell fast charge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
US10904833B2 (en) | 2015-11-17 | 2021-01-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systems and electronic devices |
CN113067092A (en) * | 2021-04-19 | 2021-07-02 | 广东美晨通讯有限公司 | Battery for mobile termin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1002A (en) * | 2004-12-21 | 2006-06-26 | 주식회사 팬택 | Battery management method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plurality of batteries |
KR100852175B1 (en) * | 2007-02-08 | 2008-08-13 |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 Battery pack protection circuit |
KR20090020837A (en) * | 2007-08-24 | 2009-02-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wer control method and power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batteries, a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
-
2010
- 2010-10-05 KR KR1020100096681A patent/KR10105033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1002A (en) * | 2004-12-21 | 2006-06-26 | 주식회사 팬택 | Battery management method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plurality of batteries |
KR100852175B1 (en) * | 2007-02-08 | 2008-08-13 |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 Battery pack protection circuit |
KR20090020837A (en) * | 2007-08-24 | 2009-02-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wer control method and power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batteries, a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2647B1 (en) | 2011-11-25 | 2012-05-10 | 김염구 | Mounting device of double battery for mobile phone |
KR101764499B1 (en) * | 2015-11-11 | 2017-08-03 | 김상훈 | Protection cover for mobile phone with a built-in auxiliary battery |
US10904833B2 (en) | 2015-11-17 | 2021-01-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systems and electronic devices |
US11510144B2 (en) | 2015-11-17 | 2022-11-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systems and electronic devices |
US11844019B2 (en) | 2015-11-17 | 2023-12-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systems and electronic devices |
KR20180076507A (en) * | 2016-12-28 | 2018-07-06 | 최경훈 | Smart phone case |
CN108965527A (en) * | 2018-07-19 | 2018-12-07 | 深圳市金汇马科技有限公司 | mobile phone |
CN109510255A (en) * | 2018-10-31 | 2019-03-22 | 深圳欣旺达智能科技有限公司 | Double cell fast charge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
CN113067092A (en) * | 2021-04-19 | 2021-07-02 | 广东美晨通讯有限公司 | Battery for mobile termin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0332B1 (en) | Mobile phone battery mounting device and mobile phone using method | |
US8278606B2 (en) | Pocketable body warmer | |
US20210094428A1 (en) | Battery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a deeply discharged battery, and 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 | |
US20050280398A1 (en) | Mobile charger | |
US9793729B2 (en)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having removable battery | |
US8058840B2 (en) | Rechargeable battery assembly with movable connector and power conversion circuitry | |
KR960006135B1 (en) | Battery powered energy use | |
US7642749B2 (en) | Rechargeable battery, and apparatus and method of charging the same | |
JPS60241736A (en) | Battery charger | |
US20070247105A1 (en) | Portable battery charger | |
US8405363B2 (en) | Contact module for rechargeable battery,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ontact module and method of preventing rechargeable battery from exploding using the same contact module | |
GB2239567A (en) | Portable radio telephone useable with batteries of different types; battery charging | |
BRPI0608550A2 (en) | bidirectional battery charge controller | |
US20070273326A1 (en) | Charger with internal battery for charging portable batteries | |
CN104242389B (en) | Charging circuit, battery core and mobile terminal | |
AU2020376051B2 (en) | Battery charging device having a temperature sensor for providing temperature compensation during charging, and method of measuring depleted or discharged battery temperature for compensating charging of a battery charging device | |
AU2020362203B2 (en) | Battery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a deeply discharged battery, and 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 | |
US10218191B2 (en) | Rechargeable battery | |
US10312552B2 (en) |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and electricity conducting mechanism thereof | |
TWI326513B (en) | Battery set with replaceable battery and electrical apparatus with battery set | |
CN201638904U (en) |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 |
GB2438437A (en) | Rechargeable Battery Assembly | |
KR20170027347A (en) | wireless charger | |
JP3108480U (en) | Cell phone battery charger | |
CN216290249U (en) | Mobile power supp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0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4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2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4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2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5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104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4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2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