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331B1 - toilet - Google Patents
toil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0331B1 KR101050331B1 KR1020097003257A KR20097003257A KR101050331B1 KR 101050331 B1 KR101050331 B1 KR 101050331B1 KR 1020097003257 A KR1020097003257 A KR 1020097003257A KR 20097003257 A KR20097003257 A KR 20097003257A KR 101050331 B1 KR101050331 B1 KR 1010503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irt
- toilet seat
- seat mounting
- bowl
- toil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Toilet Suppli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점수가 적게 코스트의 낮은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되는 스커트부(1)와 이 스커트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볼부(5)와 스커트부(1)의 상부에 접합되어 변좌가 재치되는 변좌재치면을 가지는 변좌재치부(6)를 구비하여 볼부(5)와 변좌재치부(6)가 합성 수지에 의해 단일의 부재로서 성형된다. 이 성형은, 변기를 구성하는 부품의 점수를 절감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having a low cost with low parts score.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kirt seat 1 formed of a synthetic resin, a ball seat 5 disposed inside the skirt section, and a toilet seat on which the toilet seat is placed. With the toilet seat mounting part 6 which has a mounting surface, the ball | bowl part 5 and the toilet seat mounting part 6 are shape | molded by a synthetic resin as a single member. This molding reduces the score of the parts constituting the toilet bowl.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의 합성 수지제 부품에 의해 구성되는 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bowl composed of a plurality of synthetic resin parts.
종래, 복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변기로서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이 변기는, 3개의 부품, 즉, 스커트부와, 이 스커트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볼부(bowl portion)와, 아래쪽으로 개구하는 형상의 림부(rim portion)를 가진다. 상기 볼부의 상단은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어, 그 돌출부가 상기 스커트부의 상단에 접합된다. 상기 림부는 상기 볼부의 상단을 덮도록 배치되어 당해 볼부 및 상부에 접합된다.Conventionally, what is shown by
이 변기는, 스커트부, 볼부, 및 림부라고 하는 3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므로, 이들의 부품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개수가 많고, 또 부품끼리의 접합 개소도 많다. 이것은 당해 변기의 코스트를 상승시킨다.Since this toilet consists of three parts, a skirt part, a ball part, and a rim part, there are many molds for shape | molding these parts, and there are many joining points of parts. This raises the cost of the toilet bowl.
[특허 문헌 1:일본국 특허 제3436004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3436004]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부품 점수가 적고 코스트가 낮은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되는 스커트부와, 이 스커트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볼부와, 상기 스커트부에 접합되고, 변좌가 재치(載置)되는 변좌재치면을 가지는 변좌재치부를 구비하여 상기 볼부와 상기 변좌재치부가 합성 수지에 의해 단일 부재로서 성형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with a low cost and a low part sc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kirt portion formed of a synthetic resin, a ball portion disposed inside the skirt portion, and a toilet seat mounting surface joined to the skirt portion and on which the toilet seat is placed. It has a toilet seat mounting portion, the ball portion and the toilet seat mounting portion is molded as a single member by a synthetic resin.
이 변기에서는, 상기 볼부와 상기 변좌재치부가 합성 수지에 의해 단일 부재로서 성형되는 것으로, 당해 볼부와 당해 변좌재치부가 각각 별도 부품으로 성형되는 종래의 변기에 비해 부품 점수가 줄어든다. 이 부품 점수의 절감은, 각 부품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개수를 줄이고, 부품끼리의 접합 개소도 줄인다. 이에 의해, 당해 변기의 코스트가 절감된다.In this toilet bowl, the ball portion and the toilet seat mounting portion are molded as a single member by a synthetic resin, and the parts score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oilet in which the ball portion and the toilet seat mounting portion are each formed as separate components. This reduction in the number of parts reduces the number of molds for forming each part and also reduces the joining points between the parts. This reduces the cost of the toilet bowl.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변기의 스커트부 및 볼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b)는 당해 스커트부와 당해 볼부의 조립 사시도이다.1: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kirt part and the ball part of the toilet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b)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said skirt part and the said bowl part.
도 2는 상기 스커트부와 상기 볼부의 접합에 대한 제1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1st form about the junction of the said skirt part and the said bowl part.
도 3은 상기 스커트부와 상기 볼부의 접합에 대한 제2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2nd form about the junction of the said skirt part and the said bowl part.
도 4는 상기 스커트부와 상기 볼부의 접합에 대한 제3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3rd form about the junction of the said skirt part and the said bowl part.
도 5는 상기 스커트부와 상기 볼부의 접합에 대한 제4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4th form about the junction of the said skirt part and the said bowl part.
도 6은 상기 스커트부와 상기 볼부의 접합에 대한 제5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 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5th form about the junction of the said skirt part and the said bowl part.
도 7은 상기 스커트부와 상기 볼부의 접합에 대한 제6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6th form about the junction of the said skirt part and the said bowl part.
도 8은 상기 스커트부와 상기 볼부의 접합에 대한 제7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7th form about the junction of the said skirt part and the said bowl part.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ferable form for implementing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이 실시 형태에 관한 변기는, 도 1(a),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스커트부(1)와 볼부(5)를 구비한다. 도 1(a)은, 상기 스커트부(1)와 상기 볼부(5)의 분해 사시도, 도 1(b)은, 상기 스커트부(1)와 상기 볼부(5)의 조립 사시도이다. 상기 스커트부(1)는, 내측에 공간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지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볼부(5)는, 상기 스커트부(1)의 내측에 배치되어 또한 그 내측에 공간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진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통 형상을 이룬다. 상기 볼부(5)는, 후술하는 것처럼 변좌재치부와 일체로(단일 부재로서)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된다.The toilet bowl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상기 스커트부(1) 및 상기 볼부(5)는, 모두, 사출 성형, 압축 성형, 진공 성형 등에 의해 성형되는 합성 수지 성형품이다. 그 성형 재료로서는, 주로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내약품성이 있는 PP나 비교적 강도가 있는 아크릴계 수지, 보강재가 들어간 ABS나 PET 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각 성형 부품의 두께는 3~10㎜인 것 이 바람직하다. 또, 각 성형 부품은 비교적 대형이고, 당해 부품에 용착시의 잔류 응력이 잔존하기 쉽기 때문에, 이러한 부품은 아닐링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각 부품에 일반적인 하드 코트재가 코팅되어도 좋다.Both the
상기 스커트부(1)와 상기 볼부(5)는 여러가지 형태로 접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접합 형태의 예를 도 2~도 8에 나타낸다.The
도 2는, 상기 접합에 대한 제1 형태를 나타낸다. 이 형태에서는, 볼부(5)의 상단부에, 변좌가 재치되는 면을 가지는 림부(6)가 당해 볼부(5)와 일체로 형성되어 이 림부(6)가 상기 스커트부(1)의 상부(1b)에 접합된다.2 shows a first embodiment of the junction. In this embodiment, a
상기 림부(6)는, 상벽(6a)과, 이 상벽(6a)의 내측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내벽(6b)과, 이 내벽(6b)의 하단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는 하벽(6c)을 가지고, 이들 상벽(6a), 내벽(6b), 및 하벽(6c)은, 중공부(7)를 둘러싼다.The
상기 상벽(6a)은, 평평한 표면을 가지고, 이 표면에 도시를 생략한 변좌가 재치된다. 즉, 이 상벽(6a)은, 변좌재치면을 형성하는 변좌재치부에 상당한다. 이 상벽(6a)은 상기 하벽(6c)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하는 외단(6d)을 가지고, 이 외단(6d)이 상기 스커트부(1)의 상단부(1a) 위에 재치되어 당해 상단부(1a)의 상면과 당해 외단(6d)의 하면이 용착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The
상기 볼부(5)는, 상기 림부(6)에 더해 상기 하벽(6c)의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중계벽(5g)과, 이 중계벽(5g)으로부터 조금 내측으로 돌출하고, 그 돌출한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본체벽(5a)을 가진다. 상기 하벽(6c)의 외 단은, 상기 중계벽(5g)보다 그 전체 둘레로 걸쳐 바깥쪽을 향해 돌출하는 볼록부(6e)를 구성하고, 이 볼록부(6e)가 상기 스커트부(1)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상기 상단부(1a)의 상면과 상기 외단(6d)의 하면이 접합되어 있다. 상기 하벽(6c), 상기 중계벽(5g), 및 상기 본체벽(5a)의 상단부는, 바깥쪽을 향해 오목한 환형상의 오목부(5f)를 형성한다.In addition to the
이 볼부(5)에서는, 그 내측면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가 상기 중공부(7) 내를 흐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환 형상의 오목부(5f)에도, 상기 볼부(5)의 내측면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의 선회류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이 변기는, 2개의 합성 수지제 부품, 즉, 스커트부(1)와, 변좌재치부를 포함하는 림부(6)가 일체로 성형된 볼부(5)로 이루어지므로, 스커트부, 볼부, 및 림부가 각각 별도 부품으로서 구성되는 종래의 변기에 비해, 각부품을 성형하기 위해 필요한 금형의 개수가 적다. 또, 그 종래의 변기에서는, 그 3개의 구성 부품끼리를 적어도 2개소에서 접합할 필요가 있지만,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변기에서는 스커트부(1)와 볼부(5)를 1개소(도 2에 나타내는 스커트부(1)의 상단부(1a)와 볼부(5)의 림부(6) 상벽(6a)의 외단(6d)과의 접촉 개소)에서 접합하면 충분하다.Since the toilet is composed of two synthetic resin parts, namely, a
즉, 이 변기에서는, 성형용 금형의 필요한 수 및 부품끼리의 접합 개소의 수가 같이 감소되고, 이것이 당해 변기의 코스트를 절감시킨다.That is, in this toilet bowl, the required number of molding dies and the number of joining parts of parts are reduced together, which reduces the cost of the toilet bowl.
또한, 이 변기에서는, 림부(6)의 상벽(6a) 외단(6d)의 하면이 스커트부(1)의 상단부(1a) 위에 재치된 상태에서 당해 상단부(1a)에 접합되기 때문에, 상기 림부(6)에 작용하는 착좌 하중이 상기 스커트부(1)의 상단부(1a)에 의해 받쳐진다. 이는, 상기 변좌재치부인 상벽(6a)의 강성을 향상시킨다.Moreover, in this toilet bowl,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도 3은, 상기 스커트부(1)와 상기 볼부(5)의 접합에 대한 제2 형태를 나타낸다. 이 도 3에 나타내는 스커트부(1)에서는, 그 상부(1b)보다 하부의 두께가 상기 상부(1b)의 두께보다 크고, 그 두께의 차이에 상당하는 단부(1c)가 당해 스커트부(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부(1c)에 상기 볼부(5)에서의 림부(6)의 볼록부(6e)가 걸리게 된다. 이 걸림 상태에서, 상기 볼부(5)의 중계벽(5g)의 외측면이 상기 스커트부(1)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있다.3 shows a second form of the junction of the
즉, 이 접합 형태에서는, 상기 볼록부(6e)가 상기 스커트부(1)의 단부(1c)에 걸리는(즉, 아래로부터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구성한다. 이 단부(1c)에 의한 상기 볼록부(6e)의 걸림은, 상기 림부(6)에 작용하는 착좌 하중이 상기 스커트부(1)의 단부(1c)에 의해도 받쳐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의해, 변좌재치부인 상벽(6a)의 강성을 더 향상시킨다. 또, 상기 볼부(5)의 중계벽(5g)의 외측면과 상기 스커트부(1)의 내측면의 접촉이, 스커트부(1)에 대한 볼부(5)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한다.That is, in this joining form, the
도 4는, 상기 스커트부(1)와 상기 볼부(5)의 접합에 대한 제3 형태를 나타낸다. 이 접합 형태에서는, 상기 림부(6)에 복수의 볼측 리브(6h)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들의 볼측 리브(6h)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고, 상기 상벽(6a)과 상기 하벽(6c) 사이의 내벽(6b)의 외측면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해(즉, 상기 중공부(7) 내에) 돌출한다. 그리고, 이들의 볼측 리브(6h)가 상기 스커트부(1)의 상부(1b)의 내측면에 맞닿는다. 이들의 볼측 리브(6h)는, 변좌재치부인 상벽(6a)을 포함하는 림 부(6)의 강성을 향상시킨다.4 shows a third form of the junction of the
도 5는, 상기 스커트부(1)와 상기 볼부(5)의 접합에 대한 제4 형태를 나타낸다. 이 접합 형태에서는, 림부(6)에 형성되는 볼측 리브(6h)가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볼측 리브(6h)의 구체적인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FIG. 5 shows a fourth form of the junction of the
도 6은, 상기 스커트부(1)와 상기 볼부(5)의 접합에 대한 제5 접합 형태를 나타낸다. 이 도 6에 나타내는 볼부(5)는, 상기 도 2~도 5에 나타내는 중계벽(5g) 및 본체벽(5a)을 가지지만, 상기와 같은 림부(6)를 가지지 않고, 상기 중계벽(5g)의 상단에 직접, 평평한 변좌재치벽(5b)이 연결되어 있다. 즉, 이 변좌재치벽(5b)의 하면에 상기 중계벽(5g)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6 shows a fifth joining mode for joining the
이 변좌재치벽(5b)은 상기 중계벽(5g)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는 외단(5d)을 가지고, 상기 중계벽(5g)의 외측면이 상기 스커트부(1)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상태로 상기 외단(5d)의 하면이 상기 스커트부(1)의 상단부(1a)의 상면에 접합되어 있다.The toilet
이 변기에서, 상기 중계벽(5g)의 외측면과 상기 스커트부(1)의 내측면의 접촉은, 이 스커트부(1)에 대한 볼부(5)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한다. 또, 상기 중계벽(5g)과 상기 변좌재치벽(5b)이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변좌재치벽(5b)에 작용하는 착좌 하중이 스커트부(1)의 상단부(1a)에서 받쳐질 뿐만 아니라 중계벽(5g)에서도 받쳐진다. 이는 변좌재치벽(5b)의 강성을 향상시킨다.In this toilet bowl, the contact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도 7은, 상기 스커트부(1)와 상기 볼부(5)의 접합에 대한 제6 형태를 나타낸다. 이 형태에서는, 상기 도 6에 나타낸 볼부(5)에 내측벽(5c)이 더해진다. 이 내측벽(5c)은, 상기 중계벽(5g)보다 내측에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변좌재치벽(5b)의 내측단과 본체벽(5a)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당해 중계벽(5g), 당해 변좌재치벽(5b), 및 당해 본체벽(5a)의 상단부와 더불어 폐공간 즉, 중공부를 둘러싼다. 그리고, 이 중공부 내에 발포체(8)가 충전되어 있다. 이 발포체(8)의 충전은, 볼부(5)의 상부를 보강하고, 변좌재치벽(5b)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이 효과는, 상기 도 2~도 5에 나타내는 중공부(7)로의 발포체의 충전에 의해서도 똑같이 달성된다.7 shows a sixth embodiment of the bonding between the
도 8은, 상기 스커트부(1)와 상기 볼부(5)의 접합에 대한 제7 형태를 나타낸다. 이 형태는, 상기 도 2에 나타내는 형태에서의 볼록부(6e)가 생략되고 중계벽(5g)의 외측면이 스커트부(1)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상벽(6a)과 스커트부(1)가 접합된다.8 shows a seventh form of the junction of the
또한, 이 제7 형태에서는, 상기 스커트부(1)의 내측면에 복수의 스커트부측 리브(1d) 및 복수의 스커트부측 리브(1e)가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스커트부측 리브(1d)는, 상기 볼부(5)에서의 림부(6)의 상벽(6a)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각 스커트부측 리브(1e)는, 상기 본체벽(5a)의 상단의 단부(5h)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형상을 가진다. 즉, 이 단부(5h)는 변좌재치부인 상벽(6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스커트부(1) 측에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구성한다.Moreover, in this 7th aspect, the some skirt
상기 각 스커트부측 리브(1d, 1e)는, 상기 스커트부(1)를 아래로부터 지지함으로써, 변좌재치부인 상벽(6a)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스커트부(1) 전체의 강성도 향상시킨다.Each said skir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부품 점수가 적고 코스트가 낮은 변기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관한 변기는,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되는 스커트부와, 이 스커트부 내부에 배치되는 볼부와, 상기 스커트부의 상부에 접합되어 변좌가 재치되는 변좌재치부를 가지는 변좌재치부를 구비하여 상기 볼부와 상기 변좌재치부가 합성수지에 의해 단일 부재로서 성형된다. 당해 볼부와 당해 스커트부가 합성 수지에 의해 단일 부재로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변좌를 구성하는 부품의 점수를 줄이고, 이에 의해, 각 부품을 성형하기 위해 필요한 금형의 개수를 줄이는 것과 더불어 부품끼리의 접합 개소도 줄인다. 이는, 변기의 코스트 절감에 기여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ilet having a low component score and a low cost. That is,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ilet seat portion having a skirt portion formed of a synthetic resin, a ball portion disposed inside the skirt portion, and a toilet seat portion join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kirt portion to mount the toilet seat. The ball portion and the toilet seat mounting portion are molded as a single member by synthetic resin. The integral formation of the ball section and the skirt section as a single member made of synthetic resin reduces the number of parts constituting the toilet seat,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molds required to mold each part, and joining the parts together. Also reduce the points. This contributes to cost reduction of the toilet bowl.
본 발명에 관한 변기에서는, 상기 변좌재치부의 외단이 상기 스커트부의상단부 위에 재치되고, 그 재치 상태에서 상기 변좌재치부의 외단과 상기 스커트부의 상단부가 접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합은, 변좌재치부에 작용하는 착좌 하중이 스커트부의 상단부가 받쳐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의해, 변좌재치부의 지지 강성을 높인다. 당해 접합은, 예를 들면 상기 변좌재치부의 외단이 상기 볼부의 다른 부분보다 외측에 돌출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In the toile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outer end of the said toilet seat mounting part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aid skirt part, and the outer end of the said toilet seat mounting part and the upper end of the said skirt part are joined by the mounting state. This joining enables the seating load acting on the toilet seat mounting portion to be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skirt portion, thereby increasing the supporting rigidity of the toilet seat mounting portion. The joining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by the outer end of the toilet seat mounting portion projecting outward from another portion of the bowl portion.
본 발명에 관한 변기에서는, 상기 볼부가 그 변좌재치부보다 하측의 위치에서 바깥쪽을 향해 돌출하는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스커트부의 내측면에 상기 볼록부를 걸리게 하는 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ball portion has a convex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a position lower than the toilet seat mounting portion, and an end portion for engaging the 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kirt portion. .
본 발명에 관한 변기에서는, 상기 볼부 중에, 상기 변좌재치부보다 하측의 부분이 스커트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상기 변좌재치부가 상기 스커트부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은, 상기 스커트부에 대한 상기 볼부의 위치 어긋남을 막는다.In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toilet seat mounting portion is joined to the skirt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bowl portion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portion. The contact prevents misalignment of the bowl with respect to the skirt.
구체적으로는, 상기 볼부가, 상기 변좌재치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바깥쪽을 향해 돌출하고, 이 변좌재치부와의 사이에 중공부를 형성하는 볼록부를 가지고, 이 볼록부가 상기 스커트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상기 변좌재치부가 상기 스커트부에 접합되는 것이 적합하다.Specifically, the ball portion has a convex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a position away from the toilet seat mounting portion and forming a hollow portion between the toilet seat mounting portions, and the 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portion. It is suitable that the toilet seat mounting portion is joined to the skirt portion in a contact state.
이 경우, 상기 볼부는, 상기 변좌재치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의 벽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중공부 내에 돌출하는 볼부측 리브를 가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볼측 리브는, 상기 변좌재치부를 포함하는 상기 볼부의 상단부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볼부측 리브가 상기 스커트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상기 변좌재치부와 상기 스커트부가 접합되면, 보강 효과가 더 높아진다.In this cas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ball portion has a ball portion side rib protruding into the hollow por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between the toilet seat mounting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This ball side rib improves the rigidity of the upper end of the said bowl part containing the said toilet seat mounting part. Moreover, when the said toilet seat mounting part and the said skirt part are joined in the state which the said ball part side rib contacted the inner surface of the said skirt part, a reinforcement effect becomes higher.
또, 상기 중공부 내에 발포체가 충전되어도, 상기 볼부 상단부의 강성이 효과적으로 높아진다.Moreover, even if a foam is filled in the said hollow part, the rigidity of the upper end of the said bowl part becomes high effectively.
또, 상기 볼부는, 상기 변좌재치부의 하면에 직접 연결되는 중계벽을 가지고, 이 중계벽의 외측면이 상기 스커트부의 내측면에 직접 접촉하는 상태에서 당해변좌재치부가 당해 스커트부에 접합되어도 좋다. 이 중계벽은, 상기 변좌재치부에 작용하는 착좌 하중을 받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당해 변좌재치부의 강성의 향상으로 기여한다.Moreover, the said bowl part may have a relay wall directly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aid toilet seat mounting part, and the said toilet seat mounting part may be joined to the said skirt part in the state which the outer side surface of this relay wall directly contacted the inner surface of the said skirt part. This relay wall can receive a seating load acting on the toilet seat mounting portion, thereb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rigidity of the toilet seat mounting portion.
상기 스커트부는, 그 상단부와는 다른 위치에서 상기 볼부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지지부는, 상기 변좌재치부의 지지 강성을 더 높일 수 있다.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kirt section has a supporting section for supporting the bowl section from below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upper end section. This support part can further raise the support rigidity of the said toilet seat mounting part.
구체적으로는, 상기 볼부가 상기 변좌재치부보다 하측의 위치에서 바깥쪽을 향해 돌출하는 피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피지지부를 아래로부터 맞닿는 것이, 특히 효과적이다. 당해 지지부는, 상기 변좌재치부에 작용하는 착좌 하중을 받고 당해 변좌재치부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Specifically, it is particularly effective that the ball portion has a supported portion projecting outward from the position lower than the toilet seat mounting portion, and the supporting portion abuts the supported portion from below. The said support part can receive the seating load acting on the said toilet seat mounting part, and can improve the rigidity of the said toilet seat mounting part.
그 경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스커트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피지지부를 걸리게 하는 단부가 되도 좋고, 상기 스커트부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위치에서 당해 스커트부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스커트부측 리브가 되도 좋다.In that case, the said support part may be an edge part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said skirt part, and may be the edge part which catches the said to-be-supported part, and the skirt part side which protrudes inwardl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aid skirt part in several positions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aid skirt part. It may be a rib.
Claims (1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6-198177 | 2006-07-20 | ||
JP2006198177A JP4816296B2 (en) | 2006-07-20 | 2006-07-20 | Toilet bowl |
PCT/JP2007/064326 WO2008010570A1 (en) | 2006-07-20 | 2007-07-20 | Toil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1403A KR20090041403A (en) | 2009-04-28 |
KR101050331B1 true KR101050331B1 (en) | 2011-07-19 |
Family
ID=38956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03257A KR101050331B1 (en) | 2006-07-20 | 2007-07-20 | toilet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2050882B1 (en) |
JP (1) | JP4816296B2 (en) |
KR (1) | KR101050331B1 (en) |
CN (1) | CN101490345B (en) |
WO (1) | WO2008010570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04388B2 (en) * | 2008-02-22 | 2012-12-19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Toilet bowl |
CN101960077B (en) * | 2008-02-29 | 2012-12-26 | Toto株式会社 | Toilet device |
US8291525B2 (en) | 2008-10-03 | 2012-10-23 | B/E Aerospace, Inc. | Vacuum waste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JP2010196246A (en) * | 2009-02-23 | 2010-09-09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Toilet bowl device |
CN102230321B (en) * | 2011-04-12 | 2013-06-05 | 上海琥达投资发展有限公司 | Water-saving thermoplastic-resin-base novel composite material closestoo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JP6436651B2 (en) * | 2014-05-30 | 2018-12-12 | 株式会社Lixil | Toilet bow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10056065A (en) * | 2014-08-18 | 2019-07-26 | 骊住株式会社 | Flushing toiler |
JP2016166497A (en) * | 2015-03-10 | 2016-09-15 | Toto株式会社 | Water closet |
US10041241B2 (en) | 2015-03-30 | 2018-08-07 | B/E Aerospace,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a toilet system on an aircraft |
CN110000894B (en) * | 2019-03-26 | 2024-01-30 | 佛山市顺德区乐华陶瓷洁具有限公司 | High-strength closestoo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CN110053132B (en) * | 2019-03-26 | 2024-01-30 | 佛山市顺德区乐华陶瓷洁具有限公司 | Toilet bow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US12006674B2 (en) | 2019-09-16 | 2024-06-11 | Nina L. Schaldach | Toilet skir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7279A (en) * | 1996-07-24 | 1998-02-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Stool |
JPH1072860A (en) * | 1996-08-29 | 1998-03-17 | Inax Corp | Wall hanged type closet |
JP2005083085A (en) * | 2003-09-09 | 2005-03-31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Flushing device for water closet |
JP2007255030A (en) * | 2006-03-23 | 2007-10-04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Western-style toilet bowl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42875C (en) * | ||||
CA2152952A1 (en) * | 1993-10-29 | 1995-05-04 | Shuji Inoue | Two-layered, formed toilet sea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JP3272590B2 (en) * | 1995-11-24 | 2002-04-08 | トステム株式会社 | Thermal insulation panel |
JP3668552B2 (en) * | 1996-04-01 | 2005-07-06 | 帝人化成株式会社 | Toilet bowl |
GB9718213D0 (en) * | 1997-08-29 | 1997-11-05 | Chapman David K | Portable toilet |
SE513384C2 (en) * | 1998-05-12 | 2000-09-04 | Bertil Oestbo | Toilet chair for connection to a composting container |
JP2000038762A (en) * | 1998-07-21 | 2000-02-08 | Minosuke Kasatani | Toilet |
JP3661430B2 (en) * | 1998-07-31 | 2005-06-15 | 東陶機器株式会社 | Toilet unit |
JP3952883B2 (en) * | 2002-07-18 | 2007-08-01 | Toto株式会社 | Toilet bowl |
JP2004068293A (en) * | 2002-08-02 | 2004-03-04 | Toto Ltd | Sanitary earthenware |
US7661153B2 (en) | 2002-09-03 | 2010-02-16 | Toto Ltd. | Flush toilet |
JP4263966B2 (en) * | 2003-08-28 | 2009-05-13 | 株式会社岡村製作所 | Chair armrest equipment |
JP4260608B2 (en) * | 2003-11-25 | 2009-04-30 | 寛 藤田 | One piece toilet |
CN1598177A (en) * | 2004-08-12 | 2005-03-23 | 重庆四维瓷业(集团)股份有限公司 | Mfg. method for closet |
-
2006
- 2006-07-20 JP JP2006198177A patent/JP4816296B2/en active Active
-
2007
- 2007-07-20 WO PCT/JP2007/064326 patent/WO200801057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07-20 CN CN2007800274419A patent/CN101490345B/en active Active
- 2007-07-20 EP EP07791064.4A patent/EP2050882B1/en active Active
- 2007-07-20 KR KR1020097003257A patent/KR10105033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7279A (en) * | 1996-07-24 | 1998-02-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Stool |
JPH1072860A (en) * | 1996-08-29 | 1998-03-17 | Inax Corp | Wall hanged type closet |
JP2005083085A (en) * | 2003-09-09 | 2005-03-31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Flushing device for water closet |
JP2007255030A (en) * | 2006-03-23 | 2007-10-04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Western-style toilet bow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050882B1 (en) | 2015-09-02 |
CN101490345A (en) | 2009-07-22 |
WO2008010570A1 (en) | 2008-01-24 |
CN101490345B (en) | 2012-04-11 |
KR20090041403A (en) | 2009-04-28 |
EP2050882A4 (en) | 2011-06-22 |
JP2008025176A (en) | 2008-02-07 |
EP2050882A1 (en) | 2009-04-22 |
JP4816296B2 (en) | 2011-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0331B1 (en) | toilet | |
KR20080069199A (en) | Assembly support of hybrid structure | |
KR20100134083A (en) | Ball joint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 |
KR100880844B1 (en) | Insert molded ball joints and manufacturing method | |
JPH0617617Y2 (en) | Plastic fuel tanks for vehicles | |
JP2012066871A (en) | Resin-made pallet | |
US20060013975A1 (en) | Coherent product including partially separated plastic opposing wall-section components | |
JP4687529B2 (en) | Toilet bowl | |
JP4631771B2 (en) | Toilet bowl | |
KR101925134B1 (en) | Motor mount bracket of plastic material | |
JP4556940B2 (en) | Toilet bowl | |
JP5166892B2 (en) | Toilet bowl | |
JP2007162733A (en) | Cushion member and its forming method | |
JP2010185405A (en) | Resin oil pan | |
KR102623016B1 (en) | Hybrid control arm for vehicle | |
JP4597000B2 (en) | Bumper rubber and bumper rubber manufacturing method | |
CN216293896U (en) | Seat ring | |
JP7443942B2 (en) | door trim structure | |
KR101063392B1 (en) | Car rear package tray | |
JP7058546B2 (en) | Container with lid | |
JP2009107410A (en) | Spoiler reinforcement structure | |
JP3833416B2 (en) | Resin case reinforcement structure | |
JP4687528B2 (en) | Toilet bowl | |
CN108860051A (en) | Shell for safety belt lock | |
KR200294994Y1 (en) | A cover of a water gauge ca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2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