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50316B1 -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316B1
KR101050316B1 KR1020030093485A KR20030093485A KR101050316B1 KR 101050316 B1 KR101050316 B1 KR 101050316B1 KR 1020030093485 A KR1020030093485 A KR 1020030093485A KR 20030093485 A KR20030093485 A KR 20030093485A KR 101050316 B1 KR101050316 B1 KR 101050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head
thermal print
thermal
driving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1904A (ko
Inventor
신명선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3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316B1/ko
Publication of KR20050061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providing current or voltage to the thermal head
    • B41J2/355Control circuits for heating-element selection
    • B41J2/3558Voltage control or determ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providing current or voltage to the thermal head
    • B41J2/355Control circuits for heating-element selection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명세표 인자시 써멀프린트헤드에 최초 공급되는 구동전류를 쵸핑제어하여 소비전류의 피크치를 제한함으로써 써멀프린트헤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써멀프린트헤드 인자구동시 스위칭수단을 도통시켜 충전수단에 충전된 전류로 써멀프린트헤드에 고전류를 공급하도록 하는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써멀프린트헤드가 구비된 시스템의 초기 전원투입후 써멀프린트헤드에 최초 인자신호를 출력하기 이전에 상기 스위칭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충전수단에 쵸핑제어를 통해 전원을 충전하고, 이후 써멀프린트헤드의 최초 인자구동부터 매 인자구동시마다 상기 스위칭수단을 쵸핑제어하여 상기 충전수단에 충전되는 전원으로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발명임
써멀프린터, 써멀프린트헤드, 쵸핑, 과전류

Description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 제어방법{Power control method for thermal print head}
도 1은 종래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 제어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 제어회로도,
도 3은 종래 써멀프린트헤드의 최초 인자시 구동전원의 전압 및 전류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써멀프린트헤드의 최초 인자시 구동전원의 전압 및 전류 파형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 12 -- 써멀프린트헤드(TPH),
14 -- 버퍼, 16 -- 스위칭부,
18 -- 제2충전부, 20 -- 과전압방지부,
22 -- 제1충전부.
본 발명은 명세표 인자시 써멀프린터헤드에 최초 공급되는 구동전류를 쵸핑제어하여 소비전류의 피크치를 제한함으로써 써멀프린트헤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써멀프린터헤드의 구동전원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써멀 프린터는 비충격식 프린터의 일종으로서, 열에 반응하는 특수한 종이인 감열지를 사용하여 감열 헤드인 써멀프린트헤드로 열을 종이에 주어 발색시켜 문자나 그림을 나타내는 인자 장치를 일컫는 바, 감열 헤드 자체 내에 인쇄 도트에 해당하는 발열체가 있어서 이 발열체에 전압이 인가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면 발열체가 열을 받게 되어 감열지에 열을 가하여 인쇄하게 된다. 이러한 써멀 프린터는 기존에는 팩스에 많이 채용되었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명세표 프린트, 저널 프린트, 또는 각종 티켓 프린터 등에도 많이 채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써멀프린트헤드의 개략적 구동회로를 도시한 것으로, 제어부(10)는 써멀프린트헤드(12)와 함께 써멀프린트헤드(12)가 채용된 써멀프린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여 감열지에 문자를 인자하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며, 써멀프린트헤드(12)는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공급되는 전원에 의거 발열체가 발열하여 감열지에 각종 문자, 숫자 혹은 화상 등을 인쇄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종래 써멀프린트헤드(12)의 구동에 있어서 제어부(10)에서는 써멀프 린트헤드(12)가 문자를 인자하는데 필요한 시간동안 일정한 레벨의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어부(10)에서는 써멀프린트헤드(12)가 인자하도록 제어할 때 버퍼(14)를 통해 스위칭소자로서 사용되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1)를 지속적으로 온상태로 유지시켜 써멀프린트헤드의 도트를 가열하여 인자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첨부 도 1에 도시된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회로는 인자시 소비전류가 그리 크지 않은 간단한 장치에 사용될 수 있으나, 보다 고품질의 인자가 요구되는 장치에서는 써멀프린트헤드에서 소비되는 전류가 많으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인자시 많은 전류를 필요로 하므로 미리 캐패시터에 충전시켜 사용하고 있다.
첨부된 도 2를 살펴보면, 써멀프린트헤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의 출력단에는 버퍼(14)를 통해 스위칭부(16)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부(16)의 출력단에는 제2충전부(18)를 통해 써멀프린트헤드(12)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부(16)의 전원단에는 정전압공급부(20)를 통해 구동전원(Vcc)이 연결되는 한편, 상기 정전압부(20)에서 상기 스위칭부(16)의 구동전원단으로 연결되는 전원라인에는 제1충전부(22)가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시스템에 초기 전원이 투입될 때 정전압공급부(20)를 통해 제1충전부(22)에 일정 전원이 충전되어 있게 된다. 이때 정전압공급부(20)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2)의 스위칭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2)의 게이트측에는 제너다이오드(ZD1)가 연결되어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2)의 출력측에서 항상 일정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스위칭부(16)의 전원단에는 항상 안정된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10)에서 써멀프린트헤드(12)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가 출력되면 스위칭부(16)에서 스위칭소자로 사용되고 있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3)가 도통됨에 따라 구동전원(Vcc)은 도통된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3)를 통해 써멀프린트헤드(12)에 인가된다.
그러나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3)와 써멀프린트헤드(12)사이에는 써멀프린트헤드(12)의 구동시 충분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2충전부(18)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초기 인자신호발생시 제2충전부(18)가 구동전원을 과도하게 끌어당겨 과도한 피크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도 3은 이와 같은 종래 써멀프린트헤드 구동전원 제어방법에 따른 피크전류발생을 나타내는 파형도로서, 도면에서 상측 파형은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Vcc)의 전압변동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며, 하측 파형은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Vcc)의 전류변동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3의 파형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초기 인자신호가 발생되는 순간 과도한 전류가 흐르면서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Vcc)은 다소 낮아졌다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인자초기 발생되는 과전류로 인하여 써멀프린트헤드가 손상될 우려가 있으며,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Vcc)라인의 전압이 강하되어 해당 전원라인에 연결된 타 부품의 작용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또한 과전류로 인하여 퓨즈가 단선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명세표 인자를 위해 사용되는 써멀프린트헤드에 초기 구동전원 투입시 발생되는 과전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전원을 스위칭하여 전류쵸핑제어로 소비전류의 피크치를 제한하도록 하는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 제어방법은, 써멀프린트헤드 인자구동시 스위칭수단을 도통시켜 충전수단에 충전된 전류로 써멀프린트헤드에 고전류를 공급하도록 하는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써멀프린트헤드가 구비된 시스템의 초기 전원투입후 써멀프린트헤드에 최초 인자신호를 출력하기 이전에 상기 스위칭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충전수단에 쵸핑제어를 통해 전원을 충전하고, 이후 써멀프린트헤드 인자구동시 일정 듀티비를 가지면서 적정시간동안 반복되는 펄스형태의 인자신호로 상기 스위칭수단을 쵸핑제어하여 상기 충전수단에 충전되는 전원으로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 제어회로를 사용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어부(10)에서 써멀프린트헤드(12)를 구동하는 방법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이하게 이루어져 있다.
즉, 써멀프린트헤드(12)가 장착되는 써멀 프린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는 써멀프린트헤드(12)로 인자신호를 출력하여 명세표에 각종 문자나 숫자 혹은 그래픽 등을 인자하게 되며, 이때 써멀프린트헤드(12)에서는 많은 양의 전류를 필요로 하므로 써멀프린트헤드(12)에 구동전원을 인가하기 이전에 써멀프린트헤드(12)가 인자시 필요로 하는 충분한 전원을 제2충전부(18)에 먼저 충전하여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해 써멀프린트헤드(12)가 장착되는 시스템에 초기 전원이 투입될 때 정전압공급부부(20)를 통해 제1충전부(22)에 일정 전원이 충전된다. 그리고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2)의 스위칭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공급부(20)에서 상기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2)의 게이트측에 제너다이오드(ZD1)가 연결되어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2)의 출력측에서 항상 일정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스위칭부(16)의 전원단에는 항상 안정된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제1충전부(22)에 일정 전원이 충전되어 있고 스위칭부(16)의 전원단에 일정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써멀프린트헤드(12)의 구동을 통해 인쇄용지에 인자를 하기 위하여 제어부(10)에서 일정 듀티비를 가지면서 적정시간동안 반복되는 펄스형태의 인자신호가 발생되면 스위칭부(16)에 있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3)가 반복적으로 스위칭되게 되고,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3)가 도통되는 순간에 구동전원(Vcc)이 제2충전부(18)에 충전된다. 즉 일정 듀티비를 갖는 펄스신호로서 쵸핑제어된 상태로 스위칭부(16)의 스위칭을 제어함에 의해 스위칭온시간에 정전압부(20)로부터 제2충전부(18)로 공급되는 전류량이 급격히 증가되다가 스위칭오프시간이 도래하여 전류흐름이 차단되고, 다시 스위칭온시간이 되어 전류가 증가하기 시작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과전류의 흐름이 제한되어진다. 이때 제2충전부(18)에는 적정량의 전원이 충전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3)가 도통되는 초기에 급격한 전원을 끌어오지 않게 되므로 써멀프린트헤드(12)로는 과전류가 흘러가지 않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써멀프린트헤드의 최초 인자시 구동전원의 전압 및 전류 파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에서 상측 파형은 써멀프린트헤드의 인자시 구동전원(Vcc)의 전압변동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며, 하측 파형은 써멀프린트헤드의 인자시 구동전원(Vcc)의 전류변동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의 파형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명세표에 인쇄하기 위해 초기 인자신호가 발생되는 순간부터 인자될 때까지의 일정시간 동안 쵸핑제어된 신호가 제2충전부(18)에 발생되게 되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급격한 피크전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써멀프린트헤드(12)의 구동전원(Vcc)도 미소한 변동은 있지만 비교적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명세표 인자용의 써멀프린트헤드에 과전류가 흐르지 않아 과전류로 인한 헤드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퓨즈 단선을 방지할 있고, 저전류 소비로 인해 써멀프린트헤드 구동전원을 발생시키는 전원공급장치에 무리가 가지 않게 되며, 써멀프린트헤드 구동전원의 전압강하를 방지하여 주변 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한 기술사상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

  1. 써멀프린트헤드 인자구동시 스위칭수단을 도통시켜 충전수단에 충전된 전류로 써멀프린트헤드에 고전류를 공급하도록 하는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써멀프린트헤드가 구비된 시스템의 초기 전원투입후 써멀프린트헤드에 최초 인자신호를 출력하기 이전에 상기 스위칭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충전수단에 쵸핑제어를 통해 전원을 충전하고, 이후 써멀프린트헤드 인자구동시 일정 듀티비를 가지면서 써멀프린트헤드가 문자를 인자하는데 필요한 시간동안 반복되는 펄스형태의 인자신호로 상기 스위칭수단을 쵸핑제어하여 상기 충전수단에 충전되는 전원으로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 제어방법.
KR1020030093485A 2003-12-18 2003-12-18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 제어방법 KR101050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485A KR101050316B1 (ko) 2003-12-18 2003-12-18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485A KR101050316B1 (ko) 2003-12-18 2003-12-18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904A KR20050061904A (ko) 2005-06-23
KR101050316B1 true KR101050316B1 (ko) 2011-07-19

Family

ID=3725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485A KR101050316B1 (ko) 2003-12-18 2003-12-18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3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930B1 (ko) * 1989-06-30 1992-04-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 바이어스회로
KR930012059B1 (ko) * 1990-07-07 1993-1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린트헤드의 쵸핑전류 보상회로
JP2002086768A (ja) 2000-09-18 2002-03-26 Seiko Epson Corp インパクトプリンタのヘッド駆動回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930B1 (ko) * 1989-06-30 1992-04-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 바이어스회로
KR930012059B1 (ko) * 1990-07-07 1993-1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린트헤드의 쵸핑전류 보상회로
JP2002086768A (ja) 2000-09-18 2002-03-26 Seiko Epson Corp インパクトプリンタのヘッド駆動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904A (ko)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9874B2 (en) Power supply device with dead-time control and prin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3534475A (ja) ドライバ回路
CA2138418C (en) Power control system for a printer
JP5451201B2 (ja) 電力供給回路を備えた機器
TW200510185A (en) Integrated circuit and drive scheme for an inkjet printhead
KR101050316B1 (ko) 써멀프린트헤드의 구동전원 제어방법
KR100513733B1 (ko) 잉크젯 헤드 온도 제어 장치
ES2091303T3 (es) Cabezal para impresion por chorros de tinta y circuito de control para el mismo.
US6761424B2 (en) Image pri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TE332809T1 (de) Tintenstrahldruckkopfschaltung, tintenstrahldruckkopf und tintenstrahldruckvorrichtung
EP0706892A3 (en) Printer power supply
JP2005169868A (ja) 記録ヘッドおよび該記録ヘッドを備えた記録装置
KR970020442A (ko) 잉크젯트 프린터의 프린트헤드를 제어하는 회로 및 방법
KR100209512B1 (ko) 2 펜이 적용된 잉크젯 프린터의 헤드 드라이버
US8132895B2 (en) Printhead substrate, printhead, head cartridge, and printing apparatus
JPH05227751A (ja) 電源装置
KR100289608B1 (ko) 잉크젯 프린터에서 액츄에이터 스위칭 회로
JPS61149376A (ja) 印字装置
JP3495871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12131046A (ja) 記録装置、および、電源装置
JP2004222452A (ja) 電源回路
JP2005119244A (ja) 熱転写プリンタ及び電源回路
KR19980012982U (ko) 인쇄헤드의 소모전류 증가시 다중패스 인쇄를 수행하는 잉크젯 프린터
JPS62149473A (ja) 電源装置
JPS6149877A (ja) サ−マルプリンタのモ−タ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2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