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50191B1 - 수전함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수전함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191B1
KR101050191B1 KR1020090125465A KR20090125465A KR101050191B1 KR 101050191 B1 KR101050191 B1 KR 101050191B1 KR 1020090125465 A KR1020090125465 A KR 1020090125465A KR 20090125465 A KR20090125465 A KR 20090125465A KR 101050191 B1 KR101050191 B1 KR 101050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formwork
main body
cover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8487A (ko
Inventor
강옥수
Original Assignee
강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옥수 filed Critical 강옥수
Priority to KR1020090125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191B1/ko
Publication of KR20110068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1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식 벽체에 매설되는 수전함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지정된 수요처의 각 위치에 뒤틀림 없이 정확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수전함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전함 설치방법은 거푸집과 콘크리트를 통해 형성되는 옹벽식 벽체에 매설되어 건물의 외부 및 보일러로부터 유입되는 냉온수를 건물 내부의 각 수요처로 분배하는 수전본체와 수전커버로 구성된 수전함 설치방법에 있어서,
시공도면을 통해 상기 옹벽식 벽체에 상기 수전함이 매설되는 각 수요처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S1);
설정된 위치를 토대로 상기 거푸집의 표면에 상기 수전커버를 각 수요처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세팅하여 고정하는 단계(S2);
상기 거푸집에 고정된 상기 각 수전커버의 위치와 대응되며, 시디(CD)관이 연결된 수전본체를 준비하는 단계(S3);
상기 시디(CD)관이 연결된 상기 수전본체를 상기 거푸집에 고정된 상기 수전커버에 결합시키는 단계(S4);
상기 수전본체와 상기 수전커버가 결합된 상기 거푸집을 상기 옹벽식 벽체가 세워지는 위치에 직립으로 배치하는 단계(S5);
배치된 상기 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을 거쳐 상기 옹벽식 벽체를 완성하는 단계(S6); 및
상기 거푸집과 상기 수전커버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거푸집을 상기 옹벽식 벽체로부터 해체시켜 상기 수전함의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S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수전함 설치방법은, 거푸집을 이용하여 각 수요처에 시공되는 수전함의 시공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동일한 시공의 경우 시공의 편리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수전함, 거푸집, 옹벽, 콘크리트, 시디(CD)관

Description

수전함 설치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a water panel box}
본 발명은 수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식 벽체에 매설되는 수전함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지정된 수요처의 각 위치에 뒤틀림 없이 정확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수전함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가정주택 등의 건물 내에는 급수 및 급탕을 위한 배관이 설치되어 있는데,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온수관을 싱크대 하부, 붙박이장, 드레스룸 등에 설치되어 있는 분배기로 유도하고, 상기 분배기로부터 세탁실, 발코니, 화장실, 욕실, 보일러실, 다용도실 등의 각 수요처로 연결하고 있다.
상기 분배기로부터 각 수요처로 이송되는 냉온수배관을 살펴보면, 외면이 굴곡이 진(일명 자바라 형상의 CD관) 파이프 보호관의 내부에 파이프가 통과하는 형상으로, 보호관에 둘러싸인 채로 방바닥이나 거실의 바닥을 통과해 화장실이나 욕실로 향하고, 각 실의 입구에 설치된 각각의 수전함으로부터 연결관을 결속하여 세탁실, 발코니, 욕조, 세면대, 변기 등에 냉,온수를 공급하게 된다.
종래 수전함의 바닥매설 방식은 작업 후의 개보수가 쉽지 않은 것으로, 예컨 대 사용 중에 냉,온수 배관이 동파로 인해 파손되거나 누수현상이 발생하면, 바닥에 묻혀있는 냉,온수 배관이나 수전함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결국 방 바닥이나 마루바닥을 해체하여 복개한 다음 일일이 점검한 후 개보수 후에는 다시 매설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바닥매설 방식 대신에 화장실이나 욕실 등의 각 수요처 부근 벽체에 직접 매설하고 각 수전함으로부터 다른 수전함으로 분기하여 연결하는 점프방식의 벽체매설형 수전함 배관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벽체는 벽돌을 서로 교차하여 적층 하거나 서로 맞대어 적층 하는 조적식이나,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하는 옹벽식이 있으나, 근래에는 옹벽식이 구조적으로 높은 강성을 갖음에 따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옹벽식은 수전함이 각 수요처에 배치되도록 옹벽의 골조를 형성하는 기 배근 된 철근을 이용하게 된다. 정확하게는, 수전함이 설치되는 위치를 파악하여 기 배근 된 철근에 결속선을 이용하여 철근에 수전함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한, 수전함의 설치시 철근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별도의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수전함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수요처에 위치되도록 설치하였다.
이후, 수전함이 설치되면 배근 된 철근의 양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거푸집이 배치되고, 상기 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면서 콘크리트의 양생을 거쳐 거푸집이 제거된 후 벽체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수전함은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벽체에 매설되어 수요처의 위치에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옹벽식 벽체를 통한 수전함의 매설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수전함이 철근에 고정될 때 최초에 정확한 위치선정이 이루어지더라도 철근 자체의 휨 발생과 함께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해 밀리면서 위치가 틀어지게 되어 하자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욕조 또는 세면기와 같은 경우 정확한 위치선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둘째, 수전함 설치시 철근과의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수전함이 설치되고자 하는 부위의 철근을 절단함으로써 양생 된 벽체의 강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건물전체의 강도를 약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셋째, 수전함을 고정하기 위한 작업공수 및 별도의 지지부재의 사용에 따른 시공인력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시공기간이 늘어남과 함께 이에 따른 시공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옹벽식 벽체의 시공시 수전함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과정이 없이 수전함의 매설위치가 정확하게 선정되도록 하는 수전함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거푸집과 콘크리트를 통해 형성되는 옹벽식 벽체에 매설되어 건물의 외부 및 보일러로부터 유입되는 냉온수를 건물 내부의 각 수요처로 분배하는 수전본체와 수전커버로 구성된 수전함 설치방법에 있어서, 시공도면을 통해 상기 옹벽식 벽체에 상기 수전함이 매설되는 각 수요처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S1); 설정된 위치를 토대로 상기 거푸집의 표면에 상기 수전커버를 각 수요처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세팅하여 고정하는 단계(S2); 상기 거푸집에 고정된 상기 각 수전커버의 위치와 대응되며, 시디(CD)관이 연결된 수전본체를 준비하는 단계(S3); 상기 시디(CD)관이 연결된 상기 수전본체를 상기 거푸집에 고정된 상기 수전커버에 결합시키는 단계(S4); 상기 수전본체와 상기 수전커버가 결합된 상기 거푸집을 상기 옹벽식 벽체가 세워지는 위치에 직립으로 배치하는 단계(S5); 배치된 상기 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을 거쳐 상기 옹벽식 벽체를 완성하는 단계(S6); 및 상기 거푸집과 상기 수전커버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거푸집을 상기 옹벽식 벽체로부터 해체시켜 상기 수전함 의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S7);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거푸집에 세팅된 상기 각 수전커버의 위치와 대응되며 시디(CD)관이 연결된 수전본체를 준비하는 단계(S3)에서, 상기 수전본체와 시디(CD)관의 연결은 세팅된 상기 각 수전커버의 위치와 대응되게 사전에 제작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전본체와 시디(CD)관의 연결은 세팅된 상기 각 수전커버의 위치와 대응되게 사전에 제작되는 단계에서, 각 수전본체의 내부에는 시디(CD)관과 연결되고 수요처의 수전구와 결합되는 배관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어느 하나의 수전본체에는 메인관이 연결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에 세팅된 상기 각 수전커버의 위치와 대응되며 시디(CD)관이 연결된 수전본체를 준비하는 단계(S3)에서, 상기 각 수전본체 사이에 연결되는 시디(CD)관이 최단경로로 설치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수전함 설치방법에 의하면, 거푸집을 이용하여 각 수요처에 시공되는 수전함이 정확하게 시공되도록 함으로서 벽체의 시공 후 수전함의 틀어짐에 따른 하자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전함의 위치를 사전에 파악하여 수전함의 위치를 정확하게 선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동일한 시공이 이루어지는 경우 시공의 편리성이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전함이 거푸집에 고정된 상태로 매설됨에 따라 기 배근된 철근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어 건물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수전함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부재 및 시공인력이 필요치 않아 작업공수가 줄어들게 되어 시공기간의 단축과 함께 시공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수전함(100) 설치방법은 옹벽식 벽체(400)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거푸집(200)에 수전함(100)을 사전에 설치함으로써 벽체 형성 이후 상기 수전함(100)이 각 수요처의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함(100) 설치방법 중 거푸집(200)에 수전함(10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전함(100)은 옹벽식 벽체(400)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벽체의 양측으로 직립 되게 설치되는 거푸집(200)에 설치되어 있다.
수전함(100)은 거푸집(200)과 콘크리트(C)를 통해 형성되는 상기 옹벽식 벽체(400)에 매설되어 건물의 외부 및 보일러로부터 유입되는 냉온수를 건물 내부의 각 수요처인 세탁실, 발코니, 욕조, 세면대, 변기 등으로 분배한다.
상기 수전함(100)은 일단이 개방부를 가지며 둘레에는 냉온수의 유입 및 분기를 위한 다수의 시디(CD)관(130)이 결합되며 각 수요처의 수전구(미도시)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옹벽식 벽체(400)에 매설되는 수전본체(120)와, 상기 수전본 체(120)의 개방부를 커버하는 수전커버(110)로 구성되어 있다.
거푸집(200)은 건물의 내부를 구획하는 상기 옹벽식 벽체(400)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형성하고자 하는 옹벽식 벽체(400)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는 각각 다르게 치수화 되어 있으며, 재질은 통상적으로 강철을 사용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전함(100) 설치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함(100)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함 설치방법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전함(100) 설치방법은 거푸집(200)과 콘크리트(C)를 통해 형성되는 옹벽식 벽체(400)에 매설되어 건물의 외부 및 보일러로부터 유입되는 냉온수를 건물 내부의 각 수요처로 분배하는 수전본체(120)와 수전커버(110)로 구성된 수전함(100) 설치방법에 있어서, 시공도면을 통해 상기 옹벽식 벽체(400)에 상기 수전함(100)이 매설되는 각 수요처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S1)와, 설정된 위치를 토대로 상기 거푸집(200)의 표면에 상기 수전커버(110)를 각 수요처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세팅하여 고정하는 단계(S2)와, 상기 거푸집(200)에 고정된 상기 각 수전커버(110)의 위치와 대응되며, 시디(CD)관(130)이 연결된 수전본체(120)를 준비하는 단계(S3)와, 상기 시디(CD)관(130)이 연결된 상기 수전본체(120)를 상기 거푸집(200)에 고정된 상기 수전커버(110)에 결합시키는 단계(S4)와, 상기 수전본체(120)와 상기 수전커버(110)가 결합된 상기 거푸집(200)을 상기 옹벽식 벽체(400)가 세워지는 위치에 직립으로 배치하는 단계(S5)와, 배치 된 상기 거푸집(200) 사이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양생을 거쳐 상기 옹벽식 벽체(400)를 완성하는 단계(S6)와, 상기 거푸집(200)과 상기 수전커버(110)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거푸집(200)을 상기 옹벽식 벽체(400)로부터 해체시켜 상기 수전함(100)의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S7)로 이루어진다.
도 3a 내지 도 3f를 참조하면, 시공도면을 통해 상기 옹벽식 벽체(400)에 상기 수전함(100)이 매설되는 각 수요처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S1)는, 먼저 건물의 구조가 설계된 시공도면을 참조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옹벽식 벽체(400)의 위치 및 상기 수전함(100)이 벽체에 매설된 상태로 각 수요처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각 수요처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이다.
상기의 단계에서, 상기 옹벽식 벽체(400)에 매설되어야 할 상기 수전함(100)의 위치, 개수 및 수전함(100) 간의 거리가 결정된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된 위치를 토대로 상기 거푸집(200)의 표면에 상기 수전커버(110)를 각 수요처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세팅하여 고정하는 단계(S2)는, 상기 S1단계에서 파악된 상기 수전함(100)의 위치, 개수 및 수전함(100) 간의 거리를 토대로 하여 준비된 거푸집(200)의 표면에 상기 각 수전함(100)의 수전커버(110)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거푸집(200)과 상기 수전커버(110)의 결합방식은 후술하게 되는 상기 옹벽식 벽체(400)의 형성 후 해체되는 상기 거푸집(200)이 수전커버(110)로부터 용이하게 분해되도록 결합볼트(B)와 결합너트(N)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거푸집(200)과 수전커버(110)의 결합방식은 결합과 해체가 용이하게 이 루어질 수 있는 방식이라면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200)에 고정된 상기 각 수전커버(110)의 위치와 대응되며, 시디(CD)관(130)이 연결된 수전본체(120)를 준비하는 단계(S3)는, 상기 거푸집(200)에 고정된 상기 각 수전커버(110) 간의 거리 및 위치를 동일하게 적용하여 상기 수전커버(110)와 결합되는 상기 각 수전본체(120)를 준비하여 상기 수전본체(120) 사이를 시디(CD)관(130)을 상호 연결시킨다. 정확하게는, 수전본체(120) 및 시디(CD)관(130)이 하나의 어셈블리로 제작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거푸집(200)에 세팅된 상기 각 수전커버(110)의 위치와 대응되며 시디(CD)관(130)이 연결된 수전본체(120)를 준비하는 단계(S3)에서, 상기 수전본체(120)와 시디(CD)관(130)의 연결은 세팅된 상기 각 수전커버(110)의 위치와 대응되게 사전에 제작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미 시공도면을 통해 상기 수전함(100)의 위치 및 개수를 정확하게 선정할 수가 있고, 동일한 시공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대비하여 사전에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거푸집(200)에 세팅된 상기 수전커버(110)와의 결합을 위해 각 시공장소에서 수전커버(110)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수전본체(120)를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며, 상기 거푸집(200)에 고정된 수전커버(110)와의 결합이 바로 이루어짐에 따라 시공의 편리성이 제공됨과 함께 작업공수가 줄어드는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200)에 세팅된 상기 각 수전커버(110)의 위치와 대응되며 시디(CD)관(130)이 연결된 수전본체(120)를 준비하는 단계(S3)에서, 상기 각 수전본체(120) 사이에 연결되는 시디(CD)관(130)이 최단경로로 설치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각 수전본체(120) 사이에 연결되는 시디(CD)관(130)이 최단경로로 설치되기 때문에 최소한의 시디(CD)관(130) 만으로 상기 각 수전본체(120)의 연결이 가능해지고, 이로 인한 원자재의 낭비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전본체(120)와 시디(CD)관(130)의 연결은 세팅된 상기 각 수전커버(110)의 위치와 대응되게 사전에 제작되는 단계에서, 각 수전본체(120)의 내부에는 시디(CD)관(130)과 연결되고 수요처의 수전구와 결합되는 배관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어느 하나의 수전본체(120)에는 메인관(140)이 연결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전본체(120) 및 시디(CD)관(130)이 하나의 어셈블리로 제작되는 상기 수전본체(120)의 내부에는 상기 시디(CD)관(130)과 연결되고, 수요처의 수전구와 결합되어 수전함(100)으로 유입되는 냉온수를 수전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PB연결구(미도시)가 장착된다.
이때, 수전본체(120) 및 시디(CD)관(130)이 하나의 어셈블리로 제작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수전본체(120)에는 메인관(140)이 결합된다. 상기 메인관(140)은 건물의 외부 및 보일러로부터 유입되는 냉온수가 상기 수전본체(120)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바닥에 매설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건물의 구조에 따라 매설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메인관(140)과 결합되는 상기 수전본 체(120)는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시디(CD)관(130)이 연결된 상기 수전본체(120)를 상기 거푸집(200)에 고정된 상기 수전커버(110)에 결합시키는 단계(S4)는, 상기 수전커버(110)와 대응되는 상기 수전본체(120)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거푸집(200)에 상기 수전함(100)의 완전한 배관을 이루는 단계이다.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전본체(120)와 상기 수전커버(110)가 결합된 상기 거푸집(200)을 상기 옹벽식 벽체(400)가 세워지는 위치에 직립으로 배치하는 단계(S5)는, 시공도면상에 표시된 상기 옹벽식 벽체(400)가 세워지는 위치에 상기 거푸집(200)을 세우는 단계이다.
먼저, 상기 옹벽식 벽체(400)를 세우고자하는 지정된 위치에 옹벽식 벽체(400)의 골조를 형성하는 철근(300)을 배근한다. 이후, 배근 된 철근(300)의 양측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옹벽식 벽체(400)의 간격을 파악하여 소정의 거리를 두고 지면으로부터 상기 거푸집(200)을 직립으로 배치시킨다.
이때, 상기 거푸집(200)은 건물의 구조 및 수요처의 위치에 따라 어느 일측은 상기 수전함(100)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는 반면, 양측이 모두 상기 수전함(100)이 장착된 상태일 수도 있으므로 그 배치는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3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된 상기 거푸집(200) 사이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양생을 거쳐 상기 옹벽식 벽체(400)를 완성하는 단계(S6)는, 옹벽식 벽체(400)를 완성하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단계이다.
먼저, 상기 옹벽식 벽체(400)의 골조를 형성하는 철근(300)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거푸집(200) 사이로 적절하게 배합된 콘크리트(C)를 타설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수전함(100)의 상기 수전본체(120)는 타설되는 상기 콘크리트(C)에 의해 자연스럽게 매설된다.
이후,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C)가 소정의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소정의 시간을 경과 시키면서 양생을 거치도록 한다. 이때, 양생 과정을 거치는 콘크리트(C)는 양생에 의해 콘크리트(C)의 강도가 달라짐에 따라 적절한 시간을 두고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도 3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200)과 상기 수전커버(110)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거푸집(200)을 상기 옹벽식 벽체(400)로부터 해체시켜 상기 수전함(100)의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S7)는, 먼저 상기 콘크리트(C)의 양생을 거쳐 형성된 상기 옹벽식 벽체(400)로부터 상기 거푸집(200)을 해체한다.
이때, 상기 수전함(100)의 수전본체(120)는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C)에 의해 매설된 상태임에 따라 상기 거푸집(200)과 분리가 될 수 없는 상태이다. 즉, 상기 거푸집(200)과 상기 수전커버(110)는 상기 결합볼트(B)와 결합너트(N) 의해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거푸집(200)에 상기 수전커버(110)를 고정하는 상기 결합볼트(B)와 결합너트(N)의 고정을 해제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거푸집(200)은 상기 수전커버(110)와 분리가 가능해짐으로 상기 옹벽식 벽체(400)로부터 해체가 가능해진다.
아울러, 상기 수전함(100)은 양생 된 상기 옹벽식 벽체(400)의 외면과 동일 한 면을 이룬 상태로 벽체에 매설이 완료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전본체(120)와 결합 된 상기 수전커버(110)에 각 수요처의 수전구를 연결함으로써 시공을 마무리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전함(100) 설치방법은 거푸집(200)을 이용하여 각 수요처에 시공되는 수전함(100)의 시공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동일한 시공의 경우 시공의 편리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목적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거푸집(200)과 수전커버(110)의 결합방식, 메인관(140)과 결합되는 수전본체(120)의 위치, 옹벽식 벽체(400)를 형성하기 위해 직립되는 거푸집(200)의 배치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고,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짐은 말할 나위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함 설치방법 중 거푸집에 수전함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함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함 설치방법을 나타낸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전함 설치방법에 의해 수전함이 옹벽식 벽체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전함 110 : 수전커버
120 : 수전본체 130 : 시디(CD)관
140 : 메인관 200 : 거푸집
300 : 철근 400 : 옹벽식 벽체
C : 콘크리트 B : 결합볼트
N : 결합너트

Claims (4)

  1. 거푸집(200)과 콘크리트(C)를 통해 형성되는 옹벽식 벽체(400)에 매설되어 건물의 외부 및 보일러로부터 유입되는 냉온수를 건물 내부의 각 수요처로 분배하는 수전본체(120)와 수전커버(110)로 구성된 수전함(100) 설치방법에 있어서,
    시공도면을 통해 상기 옹벽식 벽체(400)에 상기 수전함(100)이 매설되는 각 수요처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S1);
    설정된 위치를 토대로 상기 거푸집(200)의 표면에 상기 수전커버(110)를 각 수요처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세팅하여 고정하는 단계(S2);
    상기 거푸집(200)에 고정된 상기 각 수전커버(110)의 위치와 대응되며, 시디(CD)관(130)이 연결된 수전본체(120)를 준비하는 단계(S3);
    상기 시디(CD)관(130)이 연결된 상기 수전본체(120)를 상기 거푸집(200)에 고정된 상기 수전커버(110)에 결합시키는 단계(S4);
    상기 수전본체(120)와 상기 수전커버(110)가 결합된 상기 거푸집(200)을 상기 옹벽식 벽체(400)가 세워지는 위치에 직립으로 배치하는 단계(S5);
    배치된 상기 거푸집(200) 사이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양생을 거쳐 상기 옹벽식 벽체(400)를 완성하는 단계(S6); 및
    상기 거푸집(200)과 상기 수전커버(110)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거푸집(200)을 상기 옹벽식 벽체(400)로부터 해체시켜 상기 수전함(100)의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S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함(100) 설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200)에 세팅된 상기 각 수전커버(110)의 위치와 대응되며 시디(CD)관(130)이 연결된 수전본체(120)를 준비하는 단계(S3)에서, 상기 수전본체(120)와 시디(CD)관(130)의 연결은 세팅된 상기 각 수전커버(110)의 위치와 대응되게 사전에 제작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함(100) 설치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본체(120)와 시디(CD)관(130)의 연결은 세팅된 상기 각 수전커버(110)의 위치와 대응되게 사전에 제작되는 단계에서, 각 수전본체(120)의 내부에는 시디(CD)관(130)과 연결되고 수요처의 수전구와 결합되는 배관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어느 하나의 수전본체(120)에는 메인관(140)이 연결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함(100) 설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200)에 세팅된 상기 각 수전커버(110)의 위치와 대응되며 시디(CD)관(130)이 연결된 수전본체(120)를 준비하는 단계(S3)에서, 상기 각 수전본체(120) 사이에 연결되는 시디(CD)관(130)이 최단경로로 설치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함(100) 설치방법.
KR1020090125465A 2009-12-16 2009-12-16 수전함 설치방법 Active KR101050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465A KR101050191B1 (ko) 2009-12-16 2009-12-16 수전함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465A KR101050191B1 (ko) 2009-12-16 2009-12-16 수전함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487A KR20110068487A (ko) 2011-06-22
KR101050191B1 true KR101050191B1 (ko) 2011-07-19

Family

ID=44400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465A Active KR101050191B1 (ko) 2009-12-16 2009-12-16 수전함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1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151B1 (ko) * 2013-01-23 2013-04-18 이용석 수전시공지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191B1 (ko) 2002-04-17 2004-05-10 주식회사 피아이피 벽체 매립형 수전용함
KR100559161B1 (ko) 2004-11-23 2006-03-13 주식회사 피아이피 벽체매립형 수전함
KR100780798B1 (ko) 2006-03-13 2007-11-29 주식회사 국민에너지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KR100886360B1 (ko) 2007-05-08 2009-03-03 신기빈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및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용 챔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191B1 (ko) 2002-04-17 2004-05-10 주식회사 피아이피 벽체 매립형 수전용함
KR100559161B1 (ko) 2004-11-23 2006-03-13 주식회사 피아이피 벽체매립형 수전함
KR100780798B1 (ko) 2006-03-13 2007-11-29 주식회사 국민에너지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KR100886360B1 (ko) 2007-05-08 2009-03-03 신기빈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및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용 챔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487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9960A (ko) 깊이조절이 가능한 연장부재를 갖는 벽체매립형 수전함
KR200417925Y1 (ko)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KR101537035B1 (ko) 이중관 구조의 방음공기층과 슬라이딩 지수결합부를 갖는 배관파이프와 배관결합부속과 부분오픈형 배관연결소켓을 포함하는 세대슬랩 부분매립형 오,배수관 배관연결구조와 그 시공방법
KR100586223B1 (ko) 벽체매립형 오픈 수전함
KR101050191B1 (ko) 수전함 설치방법
CN102230339A (zh) 预制厨房及其建造和安装方法
KR100833570B1 (ko)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배관시공방법
KR100684256B1 (ko) 화장실 천장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RU2645315C1 (ru) Инженерный модуль и способ его монтажа
KR101156099B1 (ko) 조적벽체용 수전함의 가이드포인터 및 이를 이용한 수전함의 설치방법
KR20080017112A (ko) 방수 저소음 형 화장실 통합 독립 스리브 부착 통합트랩(에어 덕트, 벽식 양변기 고정대 부착형 ) (kkttss)
JP2000230272A (ja) 建物の水廻り室先組み立て施工法
KR100732939B1 (ko) 벽체 매립형의 배관 연결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439624B1 (ko) 수전함 설치 방법
EP0434725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laying waste pipes in hollow flooring blocks
KR100762918B1 (ko) 벽체 매립형 배관과 점검함의 고정 어셈블리
KR100904507B1 (ko) 수전용 벽체 매입형 헤더
EP3399113A1 (en) Plumbing unit
KR20060103824A (ko) 벽체매립형 수전이음쇠의 커버구조
RU235122U1 (ru) Модуль пожар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KR200352175Y1 (ko) 욕실의 저소음 배수 배관 시공법
US202502092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g wastewater plumbing design and installation in a multi-storey building
KR102351575B1 (ko) 배관 조립체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20070097227A (ko) 2중배관의 주름관 연결관
KR20060021800A (ko) 화장실의 배관이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7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