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49666B1 - 사용자 인식 카드 시스템 및 스마트키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식 카드 시스템 및 스마트키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666B1
KR101049666B1 KR1020090020648A KR20090020648A KR101049666B1 KR 101049666 B1 KR101049666 B1 KR 101049666B1 KR 1020090020648 A KR1020090020648 A KR 1020090020648A KR 20090020648 A KR20090020648 A KR 20090020648A KR 101049666 B1 KR101049666 B1 KR 101049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key
confirmation request
signal
request signal
antenn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2328A (ko
Inventor
이호진
박남숙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0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666B1/ko
Publication of KR20100102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66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인식 카드(Personal Identification Card: PIC)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키의 검출 속도를 향상시키는 사용자 인식 카드 시스템 및 스마트키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의 수신에 대해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스마트키와, 좌측 또는 우측 도어에 제1LF 안테나와 제2LF 안테나를 구비하며, 스마트키 검출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1LF 안테나와 제2LF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1안테나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와 상기 제2안테나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를 각각 제1LF 안테나와 제2LF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도어락 해제 신호를 차체제어 모듈(Body Control Modulation: BCM)로 출력하여 도어락을 해제시키는 개인 식별 카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IC, FOB, LF, 안테나, 인식, 속도

Description

사용자 인식 카드 시스템 및 스마트키 검출 방법{PERSONAL IDENTIFICATION CARD SYSTEM AND METHO FOR DETECTING FOB}
본 발명은 사용자 인식 카드(Personal Identification Card: PIC)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키 검출 속도를 향상시키는 사용자 인식 카드 시스템 및 스마트키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전자 및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자동차에는 운전자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전자 및 통신 기술들이 접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 중 하나가 사용자 인식 카드(Personal Identification Card System: PIC) 시스템이다. PIC 시스템은 통상 스마트키와 PIC 유닛으로 구성되어 스마트키를 구비한 운전자가 자동차에 접근만 해도 운전자 인증 수행 후 자동으로 도어락 해제를 수행하거나 물리적 접촉 없이 시동을 걸거나 끌 수 있는 편리한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PIC 시스템이 자동차에 적용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구성 및 실외의 스마트키 검출 절차를 설명한다.
우선, PIC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4개 이상의 장파(Low Frequency: LF) 안테나들과, PIC 유닛(10)과 스마트키(FOB)(20)로 구성된다.
2개의 LF 안테나는 차량 프런트(Front)와 리어(Rear)에 설치되어 실내에 있는 스마트키(20)를 검출하기 위해 PIC 유닛(10)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LF 안테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를 각각 송신하고 , 나머지 2개의 LF 안테나는 좌우측 도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자동차로 접근하는 스마트키(20)를 검출하기 위해 PIC 유닛(10)에서 출력되는 좌우측 LF 안테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를 각각 송신한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자동차로 접근하는 스마트키 검출에 따른 도어락 해제에 관련된 것이므로, 이하 프런트 LF 안테나와 리어 LF 안테나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PIC 유닛(10)에서의 일반적인 스마트키(20) 검출 방법을 설명하면, PIC 유닛(10)은 스마트키 검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한다(S100). 스마트키 검출 이벤트란 운전자가 자동차에서 내리면서 차량 내의 스마트키 동작을 위한 스위치의 눌림(Switch Push)에 의한 도어락 신호의 발생 또는 스마트키의 도어락 스위치의 눌림에 의한 도어락 신호의 발생을 의미한다. 여기서 도어락이란 도어를 락킹(Locking)시키기 위한 제어신호 또는 도어가 락(Locked)되었을 때의 도어 락 상태 신호 등이 될 수 있다.
스마트키 검출 이벤트가 발생하면, PIC 유닛(10)은 좌측(Left) LF 안테나를 통해 LF 신호인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S101).
그러면 스마트키(20)는 상기 좌측 LF 안테나를 통해 송신된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로부터 LF 안테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수신 처리 과정을 수행하고(S103), 수신처리 과정 후 좌측 LF 안테나에 대한 초단파 신호인 응답신호를 PIC 유닛(10)으로 송신한다(S105). 그러나 LF 안테나를 통해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가 송신되었을지라도 스마트키(20)가 상기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의 수신 범위 밖에 있는 경우 상기 S103과정과 S105과정은 수행되지 않는다.
PIC 유닛(10)은 상기 좌측 LF 안테나를 통해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 한 후, 좌측 안테나를 통해 송신된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대기하며, 스마트키(20)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응답신호에 포함된 LF 위치 정보의 검출 등의 수신처리 과정(S107)을 수행하고, LF 위치정보에 의한 LF 안테나 위치 파악 및 인증정보에 의해 인증 수행 후 도어락 해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영역 네트워크(Control Area Network: CAN) 또는 국부 인터페이스 네트워크(Local Interface Network: LIN) 등의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차체제어모듈(Body Control Module: BCM)로 송신하여 도어락을 해제시킨다(S117).
그러나 좌측 LF 안테나에 대한 응답신호가 일정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PIC 유닛(10)은 우측 LF 안테나를 통해 LF 신호인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S109).
그러면 스마트키(20)는 상기 우측 LF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LF 안테 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수신처리 과정(S111)을 수행한 후, 상기 LF 안테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PIC 유닛(10)으로 송신한다(S113). 그러나 스마트키가 우측 LF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 밖에 있으면, 상기 S111 및 S113 과정은 수행되지 않는다.
PIC 유닛(10)이 우측 LF 안테나에 단한 UHF 신호인 응답신호를 수신한 경우 LF 안테나 위치 정보 검출 등의 수신처리 과정을 수행하고(S115), 상술한 S117에서 도어락 해제 신호를 BCM으로 송신하여 도어락을 해제시킨다.
그러나 상기 좌우측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들의 송신에 대해 스마트키(20)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술한 과정들을 반복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자동차 외부에 있는 스마트키를 검출하기 위해 좌측 LF 안테나를 통한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 송신, 이에 대한 응답신호 수신 대기, 우측 LF 안테나를 통한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 송신 및 이에 대한 응답신호의 수신 대기라는 4개의 과정을 거쳐 스마트키를 검출하므로, 스마트키를 검출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PIC 시스템의 특성 상 운전자가 도어의 손잡이를 당겨서 문을 열기 전에 PIC 유닛은 스마트키를 검출하여 도어락을 해제해 놓아야 한다. 그러나 스마트키의 검출이 늦어지면 재밍(Jamming) 현상(도어락의 자물쇠가 물려서 빠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여 운전자를 불편하게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IC 유닛과 스마트키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들의 절차를 간소화하여 스마트키를 인식 속도를 향상시키는 사용자 인식 카드 시스템 및 스마트키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PIC 시스템은;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의 수신에 대해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스마트키와, 좌측 또는 우측 도어에 제1LF 안테나와 제2LF 안테나를 구비하며, 스마트키 검출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1LF 안테나와 제2LF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1안테나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와 상기 제2안테나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를 각각 제1LF 안테나와 제2LF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도어락 해제 신호를 차체제어 모듈(Body Control Modulation: BCM)로 출력하여 도어락을 해제시키는 개인 식별 카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출 이벤트는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락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와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가 일정 간격으로 순차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와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가 동시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인 인식 카드 시스템의 스마트키 검출 방법은; 스마트키와 차체제어모듈과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개인 인식 카드 장치를 포함하는 개인 인식 카드 시스템의 스마트키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인 인식 카드 장치가 스마트키 검출 이벤트 발생 시 좌측 또는 우측 도어에 설치된 제1 및 제2 LF 안테나 각각을 통해 제1 및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제1과정과,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제1 및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제2과정과, 상기 개인 인식 카드 장치가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체제어모듈로 도어락 해제 신호를 출력하여 도어락을 해제시키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출 이벤트는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락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와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가 일정 간격으로 순차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와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가 동시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PIC 유닛이 좌측 LF 안테나와 우측 LF 안테나를 통해 각각의 LF 안테나 위치정보를 가지는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를 약간의 시간적 간격을 두고 연속하여 송신하거나 동시에 송신하고, 스마트키는 상기 두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LF 안테나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송신하도록 하여 PIC 유닛이 스마트키를 검출하도록 하므로 스마트키 검출 절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키 검출 절차를 줄일 수 있으므로 스마트키 검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재밍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키 검출에 소요되는 신호 송수신 절차를 줄일 수 있으므로 차량 또는 스마트키의 배터리 전원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PIC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IC 시스템이 적용된 자동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PIC 시스템은 4개의 LF 안테나(131, 132, 133, 134)들과, PIC 유닛(100)과 스마트키(2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좌측 LF 안테나(또는 "제1LF 안테나"라 함)(131)는 좌측 도어에 배치되고, 우측 LF 안테나(또는 "제2LF 안테나"라 함)(132)는 우측 도어에 배치된다. 제1LF 안테나(131) 및 제2LF 안테나(132)는 자동차(1) 외부에 위치하여 자동차(1)로 접근하는 스마트키(200)를 검출한다.
스마트키(200)는 PIC 유닛(100)과 LF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스마트 키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의 수신신호전계강도를 측정하고, 스트키 확인 요청 신호로부터 LF 안테나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스마트키(200)는 상기 수신된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LF 안테나 위치 정보와 수신신호전계강도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PIC 유닛(100)으로 송신한다.
PIC 유닛(100)은 주기적으로 제1LF 안테나(131) 및 제2LF 안테나(132)의 위치정보를 각각 포함하는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이하 제1LF 안테나(131)를 통해 송신되는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를 "제1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라 하고, 제2LF 안테나(132)를 통해 송신되는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를 "제2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라 한다)들을 생성하여 제1LF 안테나(131) 및 제2LF 안테나(132)를 통해 각각 송신한다.
상기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들에 응답하여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PIC 유닛(100)은 상기 응답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LF 안테나 위치 정보 및 수신신호전계강도를 검출하는 수신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스마트키(200)를 검출한다. 상기 응답신호에는 PIC 유닛(100)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스마트키 식별자와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키 식별자를 포함한다.
상기 도2에서는 시스템 전체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PIC 유닛(100) 및 스마트키(200) 각각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IC 시스템의 PIC 유닛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PIC 유닛은 제어부(110)와 저장부(120)와 LF 송신부(130)와 UHF 통신부(140)와 인터페이스부(15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PIC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10)는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에 실을 제1및 제2 LF 안테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키 확인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UHF 통신부(14)를 통해 입력되는 응답데이터로부터 LF 안테나 위치정보 및 RSSI 및 스마트키 식별자를 검출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하는 수신처리 동작 후, 인증 수행 결과 성공이면 해당 스마트키 검출에 따른 도어락을 해제하기 우한 도어락 해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저장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역과,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임시영역과, 상기 제1LF 안테나(131) 및 제2LF 안테나(132)의 위치정보 및 등록된 스마트키 식별자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된다.
LF 송신부(130)는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제1LF 안테나(131) 및 제2LF 안테나(132) 각각에 대한 스마트키 확인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각각의 스마트키 확인 요청 데이터를 장파 신호에 실어 해당 LF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UHF 통신부(140)는 스마트키(200)와 UHF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UHF 통신부(140)는 스마트키(200)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10)가 인식할 수 있는 응답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차체제어모듈(Body Control Module: BCM-미도시)과 연결되어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는 제어 영역 네트워 크(Control Area Network: CAN) 또는 국부 인터페이스 네트워크(Local Interface Network: LIN) 등이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IC 시스템의 스마트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키(200)는 FOB 제어부(210)와 저장부(220)와 LF 수신부(230)와 수신전계강도 측정부(240)와 UHF 통신부(250)로 구성된다.
FOB 제어부(210)는 스마트키(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FOB 제어부(210)는 스마트키 확인 요청 데이터로부터 LF 안테나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측정된 수신신호전계강도(RSSI)와 검출된 안테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응답데이터를 생성한다.
저장부(220)는 스마트키(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역과,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 영역과, 자신의 고유의 식별자를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LF 수신부(230)는 LF 안테나(231)를 통해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를 FOB 제어부(21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스마트키 확인 요청 데이터로 변환하여 FOB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수신전계강도 측정부(240)는 LF 수신부(230)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의 수신신호전계강도(RSSI)를 측정하여 FOB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UHF 통신부(250)는 PIC 유닛(100)의 UHF 통신부(140)와 UHF 무선 데이터 통 신을 수행한다. 특히 UHF 통신부(250)는 FOB 제어부(210)로부터 입력하는 응답데이터를 UHF 무선신호에 실은 응답신호를 PIC 유닛(100)으로 송신한다.
상기도 2 내지 도 4에서는 PIC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들에 의한 스마트키 검출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IC 시스템의 스마트키 검출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고, 도 6은 본 발명과 종래 PIC 유닛에서의 스마트키 검출 시간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PIC 유닛(100)은 스마트키 검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한다(S410). 상기 스마트키 검출 이벤트란 운전자가 자동차에서 내리면서 차량 내의 스마트키 동작을 위한 스위치의 눌림(Switch Push)에 의한 도어락 신호의 발생 또는 스마트키의 도어락 스위치의 눌리에 의한 도어락 신호의 발생을 의미한다. 여기서 도어락이란 도어를 락킹(Locking)시키기 위한 제어신호 또는 도어가 락(Locked)되었을 때의 도어 락 상태 신호 등이 될 수 있다.
스마트키 검출 이벤트가 발생하면 PIC 유닛(100)은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1시점(t1)에서 제1LF 안테나(131)를 통해 제1스마트키 확인 요청신호를 송신한다(S411).
상기 제1스마트키 확인 요청신호의 송신 후, PIC 유닛(100)은 일정 시간(t2-t1) 후 제2시점(t2)에서 연속하여 제2LF 안테나(132)를 통해 제2스마트키 확인 요청신호를 송신한다(S413).
그러면 스마트키(200)는 상기 제1 또는 제2스마트키 확인 요청신호가 수신되 면 수신된 스마트키 확인 요청신호로부터 LF 안테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수신 처리 과정을 수행하고(S415), 수신된 스마트키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PIC 유닛(100)으로 송신한다(S417). 스마트키(200)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만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즉, 자동차(1) 외부의 스마트키(200)가 하나의 스마트키 확인 요구 신호만 수신하도록 제1LF 안테나와 제2LF 안테나의 방사패턴 및 송신 전력이 결정된다. 그러나 오류로 인한 제1 및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를 모두 수신하고, 이에 대해 각각의 응답신호를 방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신호의 송신간격 및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의 수신 여부 검출 간격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스마트키(200)의 검출속도를 더 향상시키고 오류로 인한 두 신호의 수신에 대한 각각의 응답신호 송신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1 및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를 제1시점(t1)에서 동시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PIC 유닛(100)은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응답신호로부터 LF 안테나 위치정보 및 스마트키 식별자를 검출하여 저장하며, 스마트키가 등록된 스마트키인지를 인증하는 인증을 수행하는 수신처리 과정을 수행한(S419) 후, 도어 제어 명령, 즉 도어락 해제 명령을 자동차 네트워크, CAN 또는 LIN을 통해 BCM으로 송신하여 도어락을 해제시킨다(S421).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를 제1시점(t1)과, 제2시점(t2)에서 연속하여 송신하고, 하나의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에 대해서 응답신호를 제3시점(t3)에서 수신받아 스마트키 검출을 수행하므로,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이 종래 스마트키 검출시점(t5)보다 t5-t3의 시간만큼 더 빠른 제3시점(t3)에서 스마트키를 검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PIC 시스템에서의 스마트키 검출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IC 시스템 이 적용된 자동차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IC 시스템의 PIC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IC 시스템의 스마트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IC 시스템의 스마트키 검출방법을 나타낸 절차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IC 시스템의 PIC 장치에서의 스마트키 검출방법을 나타낸 절차도
도 7은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의 스마트키 검출 시간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PIC 장치 131: 좌측 LF 안테나
132: 우측 LF 안테나 200: 스마트키

Claims (8)

  1. 제1 및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대해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스마트키와,
    좌측 및 우측 도어에 제1LF 안테나와 제2LF 안테나를 구비하며, 스마트키 검출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1LF 안테나와 제2LF 안테나를 통해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제1LF안테나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와 상기 제2LF안테나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를 각각 상기 제1LF 안테나와 제2LF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도어락 해제 신호를 차체제어 모듈(Body Control Modulation: BCM)로 출력하여 도어락을 해제시키는 개인 식별 카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식 카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이벤트는 상기 스마트키의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한 차량 내의 스위치 눌림 또는 스마트키의 도어락 스위치의 눌림에 의해 발생하는 도어락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식 카드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와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가 일정 간격으로 순차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식 카드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와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가 동시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식 카드 시스템.
  5. 스마트키와 차체제어모듈과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개인 인식 카드 장치를 포함하는 개인 인식 카드 시스템의 스마트키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인 인식 카드 장치가 스마트키 검출 이벤트 발생 시 좌측 또는 우측 도어에 설치된 제1 및 제2 LF 안테나 각각을 통해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제1 및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제1과정과,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제1 및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제2과정과,
    상기 개인 인식 카드 장치가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체제어모듈로 도어락 해제 신호를 출력하여 도어락을 해제시키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인식 카드 시스템의 스마트키 검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이벤트는 상기 스마트키의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한 차량 내의 스위치 눌림 또는 스마트키의 도어락 스위치의 눌림에 의해 발생하는 도어락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식 카드 시스템의 스마트키 검출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와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가 일정 간격으로 순차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식 카드 시스템의 스마트키 검출 방법.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와 제2 스마트키 확인 요청 신호가 동시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식 카드 시스템의 스마트키 검출 방법.
KR1020090020648A 2009-03-11 2009-03-11 사용자 인식 카드 시스템 및 스마트키 검출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049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648A KR101049666B1 (ko) 2009-03-11 2009-03-11 사용자 인식 카드 시스템 및 스마트키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648A KR101049666B1 (ko) 2009-03-11 2009-03-11 사용자 인식 카드 시스템 및 스마트키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328A KR20100102328A (ko) 2010-09-24
KR101049666B1 true KR101049666B1 (ko) 2011-07-14

Family

ID=43007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64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49666B1 (ko) 2009-03-11 2009-03-11 사용자 인식 카드 시스템 및 스마트키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514B1 (ko) 2012-06-25 2014-03-21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철도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193B1 (ko) * 2012-12-12 2014-06-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의 스마트키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30702B1 (ko) * 2013-10-16 2014-08-1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스마트키의 위치 검색 방법 및 그 장치
CN108872727A (zh) * 2017-05-08 2018-11-23 深圳市新益技术有限公司 汽车遥控钥匙无线测试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0282A (ko) * 1999-08-31 2001-06-15 요한 요트너,헤르베르트 코네감프 무선 작동키에 대한 위치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030060582A (ko) * 2002-01-10 2003-07-1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도어 오픈 시스템과 그 오픈,크로즈 방법 및 트렁크 오픈방법
KR100828447B1 (ko) 2007-05-29 2008-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키를 이용한 통합 아이엠에스 및 그 구현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0282A (ko) * 1999-08-31 2001-06-15 요한 요트너,헤르베르트 코네감프 무선 작동키에 대한 위치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030060582A (ko) * 2002-01-10 2003-07-1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도어 오픈 시스템과 그 오픈,크로즈 방법 및 트렁크 오픈방법
KR100828447B1 (ko) 2007-05-29 2008-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키를 이용한 통합 아이엠에스 및 그 구현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514B1 (ko) 2012-06-25 2014-03-21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철도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328A (ko) 201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423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Bluetooth-based passive entry and passive start (PEPS) for a vehicle
US10239494B2 (en) Secure vehicle access system, key, vehicle and method therefor
EP2492876B1 (en) Electronic key system
JP5685073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5626627B2 (ja) 制御システム
US9805531B2 (en) Access arrangement for a vehicle
EP2492877B1 (en) Electronic key system
US10442398B2 (en) Vehicle control system
US20200122686A1 (en) Vehicle access system
US20170050615A1 (en) Mobile device for a keyless access or actuat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CN105966353A (zh) 车辆无线通信系统、车辆控制装置和便携式机器
US9384610B2 (en) On-board apparatus control system
US20210076203A1 (en) Vehicle authentication apparatus
US9813846B2 (en) Short-distance radio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JP2012107377A (ja) 車両用スマートキーの携帯機探索装置、及び携帯機探索方法
CN111163977B (zh) 访问系统和访问验证方法
EP3329471B1 (en) Improvement to identity code identification in polling identification
US9889819B2 (en) Smart key system
KR101049666B1 (ko) 사용자 인식 카드 시스템 및 스마트키 검출 방법
US9582951B2 (en) Vehicular system, vehicle side unit, and mobile device
JP5566414B2 (ja) 電子キー装置
JP2006348497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US11338773B2 (en) Transmission control device, portable device, vehicle system, transmission control metho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product
CN112752684A (zh) 用于机动车辆的自动访问和起动系统及车辆访问管理方法
JP2014227112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7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