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49179B1 - 격리막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 Google Patents

격리막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179B1
KR101049179B1 KR1020070112030A KR20070112030A KR101049179B1 KR 101049179 B1 KR101049179 B1 KR 101049179B1 KR 1020070112030 A KR1020070112030 A KR 1020070112030A KR 20070112030 A KR20070112030 A KR 20070112030A KR 101049179 B1 KR101049179 B1 KR 101049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membrane
ion exchange
redox flow
flow battery
redo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6087A (ko
Inventor
진창수
신경희
이범석
전명석
전영갑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12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179B1/ko
Publication of KR20090046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17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6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 H01M10/3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교환막의 양쪽에 다공성 고분자막이 부착된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격리막 구조 및 상기 격리막 구조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격리막 구조는 이온교환막만의 양측에 다공성 고분자막을 부착하여 얇은 두께를 갖는 이온교환막의 취약점이었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적용되어, 전해액의 흐름현상에 발생되는 압력차를 이온교환막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감소하여 전지의 수명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셀의 내부 저항 증가 없이 양극과 음극을 구별 짓는 전해질 격리막의 보호와 셀의 단락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레독스 플로우 전지, 이온교환막, 격리막, 다공성 고분자막, 하우징셀

Description

격리막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A redox flow battery containing the separator membrane}
본 발명은 격리막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있어 양극 및 음극 전해질이 혼합되지 않도록 구분하고 이온의 통과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온교환막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격리막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전기 및 전자분야의 고도성장에 의존하여 전지산업 또한 함께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왔으며, 특히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다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획기적인 용량의 개선을 통해 소형 및 경량의 전지에서 고용량의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2차전지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2차 전지는 높은 효율의 에너지저장시스템으로 소형 모바일용으로터 중대형 ups나 전력 저장용의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어 왔으며, 그 용도로서 반도체 및 액정분야, 오디오와 같은 음향분야, 휴대전화, PDA, 노트북과 같은 정보통신분야에서 주요 핵심부품으로 사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특히 최근 친환경적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연료전지로서 배터리와 함께 조합하여 load levelling 등으로의 응용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2차 전지들은 더욱 안정한 에너지 공급과 효율이 높은 에너지 변환시스템의 개발을 요구받고 있으며, 이에 최근 전력 저장등 대형화 시스템에 가장 적합한 고용량 및 고효율의 2차 전지로서 레독스 플로우 전지(redox flow battery)가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다른 전지와는 다르게 활성물질이 고체가 아닌 수용액 상태의 이온으로 존재하며 양극과 음극에서 각 이온들의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에너지를 저장하는 메카니즘을 가진다.
도 1은 종래 레독스 플로우 전지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크기를 갖는 셀하우징(1)은 그 중심을 가로지르며 설치된 이온교환막(10)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와 같이 분리된 셀하우징(1)의 좌. 우 양쪽에 각각 양극(21)과 음극(22)이 위치하고 있으며, 셀하우징(1)의 상,하단에는 각각의 전극반응에 사용되는 전해액의 유입구(31,32)와 유출구(41,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외부에 별도로 장착된 탱크에 보관된 양극 전해질(catholyte)과 음극 전해질(anolyte)이 셀하우징(1)에 유입됨에 따라 충방전이 일어나게 되며, 상기 양 극 및 음극 전해질은 이온교환막(10)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어 전해액간의 혼합이 방지되고 이온의 전달만 허용되며, 충전과 방전시에 각 전극의 적층전지 또는 단위 전지의 전해질 통로를 따라 흐르면서 순환된다.
이러한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전기 부하를 포함하는 외부 회로에 전기적 부하를 연결하여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서 방전되며, 반대로 전지에 외부 전원을 연결하여 전류를 유입되게 함으로서 충전이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양극 전해질 용액(catholyte)은 레독스 커플이 두가지 가전자 상태 중 높은 쪽으로 산화될 때 충전되며, 레독스 커플이 두가지 가전자 상태 중 낮은 쪽으로 환원될 때 방전이 된다. 역으로 음극 전해질 용액(anolyte)은 레독스 커플이 두가지 가전자 상태 중 낮은 쪽으로 환원될 때 충전되며, 레독스 커플이 두가지 가전자 상태 중 높은 쪽으로 산화될 때 방전된다.
이러한 양극 전해질과 음극 전해질은 전해질 탱크의 외부에서 펌프를 통하여 셀로 순환되어지는 순환식 (flow mode) 전지 시스템이 있으며, 반면 전해질을 순환시키지 않고 전해액이 전극에 함침되고 셀 내부에 정치되어 작동이 되는 배치 모드(batch mode) 전지 시스템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그 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보다 얇은 이온교환막의 사용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이온교환막은 그 두께가 얇을수록 기계적 강도는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그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격리막 구조에 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온교환막의 두께가 약 100um이하일 경우에는 셀 제조시 멤브레인이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아울러,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서 전해질의 반응은 양극과 음극에서 서로 다르며 전해액의 흐름현상이 존재함에 따라 양극쪽과 음극쪽에서 압력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압력차이는 중간의 이온교환막의 물성에 영향을 주어 전지의 수명과 효율 등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 중에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구성요소로 사용되는 이온교환막에 전기화학적인 활성이 없으며 화학적으로 안정한 다공성 고분자막을 부착시켜 이온교환막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고 이온교환막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격리막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다공성 고분자막이 부착된 이온교환막을 격리막의 구조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온교환막의 양쪽에 샌드위치형으로 전기화학적인 활성이 없는 다공성 고분자막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격리막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격리막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막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디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의 고분자 물질을 필름이나 부직포, 펠트(felt)의 형태로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격리막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셀하우징 내부에 그 중심을 가로지르며 설치된 이온교환막과, 상기 이온교환막에 의해 분리된 셀하우징의 내부에 각각 위치되는 양극 및 음극과, 상기 셀하우징의 상,하단에 전극별로 형성되어 각각의 전극에 사용되는 전해액의 유입 및 유출을 수행하는 각각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막의 양쪽에는 전기화학적인 활성이 없는 다공성 고분자막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있어서, 양극 전해질로 V(IV)/V(V) 레독스 커플을 사용하고, 음극 전해질로 V(II)/V(III) 레독스 커플을 사용한 전바나듐계 레독스 플로우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있어서, 양극 전해질로 할로겐 레독스 커플을 사용하고, 음극 전해질로 V(II)/V(III) 레독스 커플을 사용한 전바나듐계 레독스 플로우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있어서, 양극 전해질로 할로겐을 레독스 커플을 사용하고, 음극 전해질로 설퍼이드 레독스 커플을 사용한 폴리설퍼이드브로민(PSB) 레독스 플로우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있어서, 양극 전해질로 할로겐 레독스 커플을 사용하고, 음극전해질로 아연(Zn) 레독스 커플을 사용한 아연-브롬(Zn-Br) 레독스 플로우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를 제공한 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바이폴라 플레이트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들 사이에 양이온 교환막과 음이온 교환막이 교대로 설치된 레독스 플로우 적층전지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교환막과 음이온 교환막은 양쪽에 샌드위치형의 전기화학적인 활성이 없는 다공성 고분자막이 부착된 격리막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적층전지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격리막 구조는 이온교환막의 양측에 다공성 고분자막을 부착하여 얇은 두께를 갖는 이온교환막의 취약점이었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고, 전해액의 흐름현상에 발생되는 압력차를 이온교환막(10)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감소하여 전지의 수명과 출력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셀의 내부 저항 증가 없이 양극과 음극을 구별 짓는 전해질 격리막의 보호와 셀의 단락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격리막 구조를 갖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를 간략하게 나타 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격리막 구조는 이온교환막(10)의 양쪽, 즉 양극 전해질 및 음극 전해질과 접촉되는 좌. 우면에 샌드위치형으로 다공성 고분자막(51,52)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다공성 고분자 막의 부착은 젖음성이 좋은 막의 특성상 수용성 전해액이나 순수 증류수에 함침시킨 후 부착을 시키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소량의 고분자 결합제를 이온교환막의 네 귀퉁이와 중앙부분에 사용하여 부착을 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다공성 고분자막(51,52)은 고출력을 위하여 이온교환막(10)의 두께를 얇게 하였을 경우 필연적으로 떨어지는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며, 이와 같이 이온교환막(10)에 강도를 충분히 발현시킴과 동시에 그 외부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에 전지에 사용시 양극과 음극에서 서로 다른 전해액의 흐름현상에 발생되는 압력차를 이온교환막(10)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감소하여 전지의 수명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다공성 고분자막(51,52)으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디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의 고분자 물질을 필름이나 부직포, 펠트(felt) 등의 형태로 제작된 것을 사용되며, 이러한 고분자막(51,52)의 기공크기는 사용되는 전해액에 따라 그 이온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크게 한정되지 않으나, 다만 상기 전해액의 이동에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격리막 구조에서 다공성 고분자막(51,52)의 두께가 5~50um 되도록 하 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이온교환막(10)은 그 두께가 25~125um가 되더라도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게 된다. 이는 종래 통상적으로 125um 이상의 두께를 갖던 이온교환막과 비교하여 그 두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고분자막(51,52)이 부착되는 이온교환막(10)으로는 종래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사용되던 나피온(Nafion) 양이온 교환막이 바람직하나, 슬폰산기 또는 카르복실산기를 가지는 양이온 교환막이나 암모늄기 또는 포스포늄기를 가지는 음이온 교환막 모두에 적용 가능한 기술이다.
한편, 이와 같은 다공자 고분자막(51,52)을 이온교환막(10)에 부착시킴에 따라 셀하우징(1)과 이격으로 인해 전해액의 누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다공성 고분자막(51,52)과 셀하우징(1) 사이에 가스켓(미도시)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당해분야에서 밀폐 및 누수방지를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온교환막(10)의 양쪽에 샌드위치형의 다공성 고분자막(51,52)이 부착된 격리막 구조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를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요소로서 소정의 크기를 갖는 셀하우징(1)과, 상기 셀하우징(1)의 중심을 가로지르며 설치되고 양쪽면에 다공성 고분자막(51,52)이 부착된 이온교환막(10)과, 상기 이온교환막(10)의 분리된 셀하우징(1)의 내부 좌. 우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양극(21)과 음극(22)과, 상기 셀하우징(1)의 상,하 단에 형성되어 각각의 전극에 사용되는 전해액의 유입 및 유출을 수행하는 유입구(31,32)와 유출구(41,4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양극(21)과 음극(22)은 통상적인 재질인 탄소펠트, 탄소부직포, 그라파이트 펠트, 그라파이트 플레이트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반응 메카니즘은 상기 양극(21) 및 음극(22)의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와 같은 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양극 전해질과 음극 전해질은 별도의 보관탱크(미도시)에 각각 보관되어 셀하우징(1)에 각각 형성된 전해질 유입구(31,32)를 통해 셀하우징(1) 내부로 유입되어 양극(21) 및 음극(22)과 접촉하여 반응을 일으킨 후, 각각의 전해질 유출구(41,42)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순환시스템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양극 전해질로 V(IV)/V(V) 레독스 커플을 사용하고, 음극 전해질로 V(II)/V(III) 레독스 커플을 사용한 전바나듐계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양극 전해질로 할로겐 레독스 커플을 사용하고, 음극 전해질로 V(II)/V(III) 레독스 커플을 사용한 전바나듐계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양극 전해질로 할로겐을 레독스 커플을 사용하고, 음극 전해질로 설퍼이드 레독스 커플을 사용한 폴리설퍼이드브로민(PSB)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양극 전해질 로 할로겐 레독스 커플을 사용하고, 음극전해질로 아연(Zn) 레독스 커플을 사용한 아연-브로민(Zn-Br)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이온교환막(10)의 양쪽에 샌드위치형의 다공성 고분자막(51,52)이 부착된 격리막 구조는 단전지 및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 레독스 플로우 적층전지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격리막 구조를 갖는 적층전지에 적용된 것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바이폴라 플레이트(B)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B) 간의 양이온 교환막 또는 음이온 교환막으로 이온교환막의 양쪽에 샌드위치형의 다공성 고분자막이 부착된 격리막 구조(M)가 적용된 레독스 플로우 적층전지를 보여주고 있다. 미설명 부호인 (E1)과 (E2)는 각각 양극 전해액(catholyte)과 음극 전해액(anolyte)을 나타낸 것이고, (P1)과 (P2)는 각각 전해액 펌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격리막 구조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시스템의 순환모드 또는 배치 모드(batch mode)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특히 적층전지(스택 모듈단위의 스택전지)뿐만 아니라 단위전지에서도 모두 적용 가능한 기술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 니다.
<실시예1>
나피온(Nafion)을 가로 및 세로 45mmx60mm 크기로 잘라 3% 과산화수소수에 넣어 100℃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고 증류수로 세척하여 이온교환막을 만든 다음, 상기 이온교환막의 양면에 동일한 크기의 다공성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고분자막(Celgard 3501)을 부착하여 격리막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격리막은 하나의 다공성 고분자막의 두께가 25um이고, 이온교환막은 두께가 180um이도록 제작되었다.
이와 같이 양면에 고분자막이 부착된 이온교환막을 도 1과 같이 제작된 시험용 셀에 장착하고, 전극으로 그라파이트 펠트(graphite felt)를 사용한 다음, 전해질에서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격리막에 따른 저항특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첨부된 도 4에 나타내었다.
아울러, 비교예로서 고분자막이 부착되지 않고 단지 180um의 두께를 갖는 나피온 이온교환막으로만 이루어진 격리막에 대해서도 동일한 조건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저항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함께 나타내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교환막에 대한 임피던스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a)는 비교예로서 단지 이온교환막으로만 이루어진 격리막에 대한 측정결과이며, (b)는 본원발명의 다공성 고분자막이 양면에 부착된 격리막에 대한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4의 측정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이온교환막을 단독으로 사용한 (a)의 경우 Rs값은 0.19이며 Rp값은 0.38이었으나, 본 발명에 해당하는 고분자막이 부착된 이온교환막을 사용한 (b)의 경우 Rs값이 0.21이며 Rp값은 0.37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본원발명에 해당하는 격리막의 경우 고분자막이 두께만큼 비교예보다 약 1.3배 두껍지만 저항의 증가는 크게 없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이온교환막의 두께가 동일할 경우 저항의 증가는 없으며 다공성 고분자 막으로 인한 기계적 강도의 증가 효과가 있어 셀의 수명특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다공성 고분자막에 의한 저항 증가가 없으므로 이온교환막의 두께를 줄이고 다공성 고분자막으로 대체하게 되면 저항이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일한 전해질 용액내에서 Rs값이 이온교환막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을 감안하면 같은 종류의 이온교환막에서 두께가 얇을 수록 저항은 적어진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고안된 격리막을 사용할 경우 동일한 격리막의 두께를 가지게 되면 셀의 저항이 감소하여 출력이 증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레독스 플로우 전지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은 격리막 구조를 갖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격리막 구조를 갖는 적층전지에 적용된 것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교환막에 대한 임피던스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 : 셀하우징
10 : 이온교환막
21 : 양극 22 : 음극
31 : 양극 전해액 유입구 32 : 음극 전해액 유입구
41 : 양극 전해액 유출구 42 : 음극 전해액 유출구
51,52 : 다공성 고분자막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셀하우징 내부에 그 중심을 가로지르며 설치된 이온교환막과, 상기 이온교환막에 의해 분리된 셀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양극 및 음극과, 상기 셀하우징의 상,하단에 전극별로 각각의 전극에 사용되는 전해액의 유입 및 유출을 수행하는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온교환막의 양측에 샌드위치형으로 부착되고 전기화학적인 활성이 없으며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디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의 고분자 물질 또는 그 혼합체를 다공성 필름이나 부직포, 펠트(felt)의 형태로 제작한 다공성 고분자막이 격리막으로 적용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있어서,
    상기 양극 전해질 용액으로 할로겐 레독스 커플을 사용하고, 상기 음극 전해질 용액으로 설퍼이드 레독스 커플을 사용한 폴리설퍼이드브로민(PSB) 레독스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7. 셀하우징 내부에 그 중심을 가로지르며 설치된 이온교환막과, 상기 이온교환막에 의해 분리된 셀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양극 및 음극과, 상기 셀하우징의 상,하단에 전극별로 각각의 전극에 사용되는 전해액의 유입 및 유출을 수행하는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온교환막의 양측에 샌드위치형으로 부착되고 전기화학적인 활성이 없으며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디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의 고분자 물질 또는 그 혼합체를 다공성 필름이나 부직포, 펠트(felt)의 형태로 제작한 다공성 고분자막이 격리막으로 적용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있어서,
    상기 양극 전해질 용액으로 할로겐 레독스 커플을 사용하고, 상기 음극 전해질 용액으로 아연(Zn) 레독스 커플을 사용한 아연-브로민(Zn-Br) 레독스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8. 삭제
KR1020070112030A 2007-11-05 2007-11-05 격리막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Active KR101049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030A KR101049179B1 (ko) 2007-11-05 2007-11-05 격리막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030A KR101049179B1 (ko) 2007-11-05 2007-11-05 격리막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087A KR20090046087A (ko) 2009-05-11
KR101049179B1 true KR101049179B1 (ko) 2011-07-14

Family

ID=40856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030A Active KR101049179B1 (ko) 2007-11-05 2007-11-05 격리막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1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714B1 (ko) * 2010-04-09 2012-05-14 전자부품연구원 표면 처리된 카본 펠트 전극을 가지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KR101265201B1 (ko) 2011-04-18 2013-05-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격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US9799906B2 (en) 2011-12-28 2017-10-24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Redox flow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lyte membrane for redox flow secondary battery
KR101632685B1 (ko) * 2013-06-28 2016-06-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탈염 및 염분차 발전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
KR101660566B1 (ko) 2013-11-29 2016-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로우 배터리의 제조방법
KR101648844B1 (ko) * 2014-05-19 2016-08-17 한국화학연구원 2개 이상의 술폰화 방향족기로 치환된 페닐 펜던트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로부터 제조된 격리막 및 이를 구비한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102011764B1 (ko) 2014-06-13 2019-08-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로우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CN105680082A (zh) * 2014-11-17 2016-06-15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长寿命锌溴液流电池结构及其电解液
CN107210468B (zh) 2015-04-08 2021-02-12 株式会社Lg化学 聚合物电解质膜、电化学电池和液流电池、聚合物电解质膜的制备方法以及液流电池电解液
CN106558711B (zh) * 2015-09-21 2019-06-11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多孔隔膜在有机体系液流电池中的应用
KR101990516B1 (ko) 2015-12-08 2019-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로우 배터리의 전해액 재생방법
KR102127037B1 (ko) 2017-02-28 2020-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WO2018201092A1 (en) * 2017-04-28 2018-11-01 Ess Tech, Inc.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 redox flow battery system
KR102098447B1 (ko) 2017-06-20 2020-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전지 및 흐름 전지, 고분자 전해질막용 조성물, 및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KR102164763B1 (ko) 2017-09-26 2020-10-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흐름 전지
KR102361103B1 (ko) 2017-11-16 2022-0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KR102157935B1 (ko) 2018-01-10 2020-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강화 분리막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강화 분리막 및 레독스 흐름 전지
CN111551610A (zh) * 2020-04-07 2020-08-18 上海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钒电解液浓度测试方法、微型钒电池及钒电解液浓度测试装置
JP2023523554A (ja) * 2020-04-13 2023-06-06 アーバン エレクトリック パワ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メタルフリー高電圧バッテリ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516B1 (ko) * 2002-12-09 2006-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고분자막을 갖는 격리막 구조물 및 분산매 분산형무기화합물에 의한 다공성 고분자 막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516B1 (ko) * 2002-12-09 2006-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고분자막을 갖는 격리막 구조물 및 분산매 분산형무기화합물에 의한 다공성 고분자 막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087A (ko) 200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179B1 (ko) 격리막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US7927731B2 (en) Redox flow cell
EP2997617B1 (en) Flow battery with hydrated ion-exchange membrane having maximum water domain cluster sizes
KR101394255B1 (ko) 레독스 흐름전지 및 그 운전 방법
BG61743B1 (bg) Електрохимично устройство с въздушен електрод за получаванена енергия
US9153832B2 (en) Electrochemical cell stack having a protective flow channel
KR101491300B1 (ko) 이차 전지
JP6405075B2 (ja) 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
KR101570700B1 (ko) 레독스 흐름전지용 매니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전지
KR20130015228A (ko)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격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102144745B1 (ko) 다공성 전극 내 혼합판이 삽입된 레독스 흐름 전지
US10177389B2 (en) Electrochemic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rrosion
Hosseiny et al. Ion exchange membranes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ies
WO2021203935A1 (zh) 用于液流电池的复合电极、液流电池及电堆
US20220238904A1 (en) Redox flow battery
JP2016164858A (ja) バナジウムレドックス電池
US20240194901A1 (en) Separator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10403920B2 (en) Fuel battery cell
CN111448699A (zh) 氧化还原液流电池
US20240194900A1 (en) Post-treatment method of polybenzimidazole-based separator for secondary battery and the post-treated polybenzimidazole-based separator
KR102738419B1 (ko) 정체형 레독스 전지 및 이를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Savinell Flow batteries
EP3223340B1 (en) Separator layer for flow battery
Li et al. pH Differential Power Sources with Electrochemical Neutralisation
US20200127315A1 (en) Ion exchange membrane and flow battery includ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7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1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909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7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0620

Appeal identifier: 2010101006146

Request date: 20100812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8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31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111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106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914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7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