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078B1 - Rear impact actuator for car headrest - Google Patents
Rear impact actuator for car headres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9078B1 KR101049078B1 KR1020090044007A KR20090044007A KR101049078B1 KR 101049078 B1 KR101049078 B1 KR 101049078B1 KR 1020090044007 A KR1020090044007 A KR 1020090044007A KR 20090044007 A KR20090044007 A KR 20090044007A KR 101049078 B1 KR101049078 B1 KR 1010490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rest
- pusher
- spring
- weight
- shaf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e.g. detach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부(41)가 분리되는 헤드레스트(40)에 있어서, 자동차 추돌 사고시 비 전자식 작동에 의해 헤드레스트(40)의 전면부(41)가 전개스프링(42)의 전개로 인해 전방으로 튀어 나가가게 되어 탑승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도록 한 자동차 헤드레스트용 후방충격 작동구에 대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eadrest 40 in which the front part 41 is separated, the front part 41 of the headrest 40 is moved forward due to the deployment spring 42 by non-electronic operation in the event of an automobile collision. It is about a rear impact actuator for a car headrest that protrudes to support the occipital head of the occupant.
헤드레스트 Headres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면부(41)가 분리되는 헤드레스트(40)에 있어서, 자동차 추돌 사고시 비 전자식 작동에 의해 헤드레스트(40)의 전면부(41)가 전방으로 튀어 나가게 되어 탑승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도록 한 자동차 헤드레스트용 후방충격 작동구에 대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자동차의 시트 상단부에 장착되어 자동차 추돌사고시 탑승자의 후두부를 지지하여 경추의 부상을 최소화하고, 운전 중 탑승자의 후두부를 편안하게 받쳐주어 안전하고 쾌적한 운전에 일조하는 것으로,The car headrest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seat of the car to support the occipital head of the occupant in the event of a car crash to minimize cervical spine injuries and to comfortably support the occipital head of the occupant while driving, contributing to safe and comfortable driving.
그 구성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프레임에 스폰지와 같은 쿠션재로 감싸 채우고 다시 직물이나 가죽으로 감싼 것이다.Its construction consists of a metal or plastic frame wrapped with a sponge-like cushion material and then wrapped with fabric or leather.
보통의 운전자는 후두부와 헤드레스트 사이에 주먹 하나 정도의 공간을 두고 운전을 하게 되는데, 추돌사고시 이 주먹 하나 공간에 머리가 순간 뒤로 꺾여 경추 에 부상을 당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으며,The average driver drives a space between the back of the head and the headrest with a space of about one fist, an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the head is bent backwards momentarily in the space of the fist, causing injury to the cervical spine.
이러한 추돌사고시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범퍼에 충격센서를 부착하고 이 센서의 전자신호에 따라 헤드레스트가 순간 전방으로 꺾어지거나 이동되는 헤드레스트용 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나,In order to prevent injuries in the event of a collision accident, a shock sensor is attached to the bumper, and a head restraint device in which the headrest is bent or moved momentarily forward according to the electronic signal of the sensor has been developed.
이러한 전자장치는 구성이 복잡하고, 가격이 매우 비싼 이유로 일부 대형 고급차에만 적용이 되고 있어 대중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These electronic devices have a disadvantage that is not popular because they are applied only to some large luxury cars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the configuration and the high price.
본 발명은 추돌사고와 같은 후방 충격시 헤드레스트의 전면부가 전방으로 튀어나가 탑승자의 후두부를 지지하여 경추를 보호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를 구성하되,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ead restraint for a car to protect the cervical spine by supporting the back of the head of the headrest in the front of the headrest in the event of a rear collision such as a collision accident,
비 전자식 작동에 의해 헤드레스트의 전면부가 전방으로 튀어나가 후두부를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경추를 보호하는 헤드레스트를 구성하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It is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o configure a headrest that protects the cervical spine at low cost by configuring the front part of the headrest to protrude forward to support the back head by non-electronic operation.
전면부(41)가 분리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40)에 있어서,In the
헤드레스트(40) 내에 장착되는 케이스(11)는 밀림구(21)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삽입구(12)와 회전고리(25)가 축봉(28)에 끼워져 회동 되도록 회전고리홈(13)이 구성되고,The
누름대(34)에 눌려 케이스(11) 쪽으로 이동되는 밀림구(21)는 내부에 밀림구(21)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3)이 구성되고, 측면 일부에는 누름대(34)와 맞닿는 경사면(22)이 형성되며,The
축봉(28)에 끼워져 회전고리홈(13) 내에서 회동되는 회전고리(25)는 한쪽이 전개스프링(42)을 거는 걸고리(26)가, 반대쪽은 밀림구(21)의 외면과 맞닿는 지지대(27)가 형성되며,Rotating
케이스(11)에 부착되는 반덮개(35)는 밀림구(21)의 이탈을 막도록 경사면(22)을 제외한 측면과 맞닿으며, 축핀(39)이 끼워진 축핀구멍(37)이 형성되고,The
축핀(39)에 끼워져 회동되는 축(31)은 하부에 무게추(32)가 구성되고 측부에는 경사면(22)과 맞닿는 누름대(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The
헤드레스트(40) 내에 고정된 회동축봉(53)에 끼워져 회동되는 회동추(51)는 하부에는 회동무게추(54)가 구성되고, 측부에는 전개스프링(42)을 걸어 탄성을 억제하는 회동걸고리(55)가 구성되며,The
일반적인 차량의 움직임에 회동추(51)가 회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비틀림스프링(52)은 그 한쪽이 회동추(51)에 연결되고 반대쪽은 헤드레스트(40)에 끼워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레스트용 후방충격 작동구.The
본 발명은 추돌사고와 같은 사고시 비 전자적인 작동에 의해 헤드레스트(40)의 전면부(41)가 전방으로 튀어 나가 탑승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occipital head of the occupant of the
구성이 단순하고 제작비용이 낮아 가격 경쟁력이 높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출고된 자동차시트에 본 발명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를 간단히 교환하여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추돌사고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simple configuration and low production cost not only have high price competitiveness, but also have the advantage of simply replacing the present invention car headrest with existing car seats,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caused by collision. have.
본 발명은 전면부(41)가 분리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40)를 구성하되, 내부에 전면부(41)가 튀어나도록 하는 전개스프링(42)을 걸어 탄성을 억제하고, 후방 충격시 전개스프링(42)의 걸림을 해제하여 전개스프링(42)의 탄성에 의해 전면부(41)가 전방으로 튀어나가도록 헤드레스트(40)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성은 도 1 및 도 2를 예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케이스(11)는 헤드레스트(40) 내에 장착되는 것으로,
밀림구(21)의 일부가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되는 삽입구(12)와, 회전고리(25)가 축봉(28)에 끼워져 회동 되도록 회전고리홈(13)이 구성되고, 반덮개(35)를 고정하는 고정핀(38)이 끼워지는 핀끼움홈(15)이 형성된다.The
밀림구(21)는 회전고리(25)의 회동에 따라 누름대(34)에 눌려 케이스(11) 쪽으로 슬라이드 되는 것으로, The
밀립구(21)의 내부에는 삽입구(12) 내에 지지되어 밀림구(21)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3)이 구성되고, 측면 일부에는 누름대(34)에 맞닿으면서 누름대(34)의 위치에 따라 밀림구(21)를 케이스(11) 쪽으로 이동시키는 나사선 모양의 경사면(22)이 형성된다. The inside of the
회전고리(25)는 축봉(28)에 끼워져 회전고리홈(13)에 삽입되어 밀림구(21)의 위치에 따라 고정되거나 회동하는 것으로, Rotating
한쪽은 탄성이 억제된 전개스프링(42)을 거는 걸고리(26)가, 반대쪽은 밀림구(21)의 외면과 맞닿아 회전고리(25)를 고정시키는 지지대(27)가 형성되되, 회전고리홈(13)을 기준으로 걸고리(26) 보다 지지대(27)가 무겁기 때문에 회전고리(25)가 회동할 경우 지지대(27)가 하측을 향하도록 회동된다. One end of the
반덮개(35)는 고정핀(38)에 끼워져 케이스(11)에 부착되는 것으로,
밀림구(21)가 케이스(11)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경사면(22)을 제외한 측면 과 맞닿도록 형성하되, 축핀(39)이 끼워지는 축핀구멍(37)이 형성된다.The
추(31)는 축핀(39)에 끼워져 회동되는 것으로, The
추(31)의 하부에는 무게추(32)가 구성되고 측부에는 경사면(22)과 맞닿도록 누름대(34)가 형성된다. 누름대(34)눈 경사면(22)과의 접촉이 원활하도록 누름돌기(34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예를 도 3 내지 도 4를 예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oper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도 3의 (A) 및 도 4에서와 같이 전면부(41)가 전방으로 분리되는 헤드레스트(40) 내에 장착된 본 발명은 전개스프링(42)이 탄성이 억제되어 회전고리(25)의 걸고리(26)에 걸려 고정되며, 반대편인 지지대(27)는 밀림구(21)의 외면과 맞닿아 회전고리(25)가 회동되지 못하고,As shown in FIGS. 3A and 4,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the
추(31)의 무게추(32)는 중력에 의해 지면 쪽으로 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누름대(34)는 밀림구(21)가 눌리지 않는 경사면(22)에 위치하게 된다. The
상기 전개스프링(42)은 탄성의 억제가 해제되면 헤드레스트(40)의 전면부(41)를 전방으로 튀어나가게 하는 스프링으로 그 구성은 당업자가 구성 가능한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도 3의 (B) 및 도 4에서와 같이 전개스프링(42)의 탄성을 억제한 상태에서 추돌사고와 같은 자동차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a vehicle such as a collision accident in a state in which the elasticity of the
무게추(32)는 관성에 의해 그 순간은 원위치에 있으나, 헤드레스트(40)를 포함한 케이스(11)는 충격에 의해 위치가 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추(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누름대(34)가 밀림구(21)를 누르는 경사면(22)에 위치하게 된다. The
누름대(34)가 눌리면 회전고리(25)의 지지대(27)는 누름대(34)의 외면과 맞닿지 않게 되어 걸고리(26) 쪽보다 무거운 지지대(27)가 하측을 향하여 내려가므로, 이에 따라 회전고리(25)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When the
회전고리(25)의 회동에 의해 걸고리(26)에 걸려 탄성이 억제되던 전개스프링(42)의 걸림이 해제되어 전개스프링(42)이 전면으로 펼쳐지고,By the rotation of the
이 전개스프링(42)이 펼쳐짐으로 인하여 헤드레스트(40)의 전면부(41)가 전방으로 순간 튀어나가게 탑승자의 후두부를 맞닿아 지지하게 된다. Due to the unfolding of the
추(31)가 회동되기 위한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 정도는 무게추(32)의 무게나 스프링(23)의 탄성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The degree of impact energy applied to the vehicle for the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5 및 6을 예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in the following configuration,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5 and 6 as follows.
회동추(51)는 헤드레스트(40) 내에 고정된 회동축봉(53)에 끼워져 회동되는 것으로, Rotating
회동추(51)의 하부에는 회동무게추(54)가 구성되고, 측부에는 전개스프링(42)을 걸어 탄성을 억제하는 회동걸고리(55)가 구성된다.Rotating
비틀림스프링(52)은 일반적인 차량의 움직임에 회동추(51)가 회동되지 못하 도록 고정하는 것으로,
비틀림스프링(52)의 한쪽은 회동추(51)에 연결되고 반대쪽은 헤드레스트(40)에 끼워진다.One side of the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예를 도 7 내지 도 8을 예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oper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8.
도 7의 (A) 및 도 8에서와 같이 전면부(41)가 전방으로 분리되는 헤드레스트(40)에 장착된 본 발명은 탄성이 억제된 전개스프링(42)이 회동추(51)의 회동걸고리(55)에 걸려 고정되고, 회동추(51)는 비틀림스프링(52)의 탄성에 의해 고정되어 일반적인 자동차의 움직임에는 회동이 억제된다.As shown in FIGS. 7A and 8,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도 7의 (B) 및 도 8에서와 같이 전개스프링(42)의 탄성을 억제한 상태에서 추돌사고와 같은 자동차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a vehicle such as a collision accident in a state in which the elasticity of the
회동무게추(54)는 관성에 의해 그 순간은 원위치에 있으나, 헤드레스트(40)는 충격에 의해 위치가 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비틀림스프링(52)의 탄성을 이기고 회동추(5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걸고리(26)에 걸려 탄성이 억제되던 전개스프링(42)의 걸림이 해제되어 전개스프링(42)이 전면으로 펼쳐지고,The
이 전개스프링(42)이 펼쳐짐으로 인하여 헤드레스트(40)의 전면부(41)가 전방으로 순간 튀어나가게 되어 탑승자의 후두부를 지지하게 된다. Due to the
회동추(51)가 회동되기 위한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 정도는 회동무게추(54)의 무게나 비틀림스프링(23)의 탄성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The degree of impact energy applied to the motor vehicle for the
도 1은 본 발명을 예시한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 및 조립 완료상태를 예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mpleted assembly and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따른 작동에 의해 전개스프링의 걸림이 해제되어 헤드레스트의 전면부가 전방으로 튀어나가는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atch of the deployment spring is released by the operation according to FIG. 3 so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headrest pops forward.
도 5은 또 다른 본 발명을 예시한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invention
도 6는 또 다른 본 발명의 예시한 사시도6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또 다른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측면도Figure 7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other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는 도 7에 따른 작동에 의해 전개스프링의 걸림이 해제되어 헤드레스트의 전면부가 전방으로 튀어나가는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atch of the deployment spring is released by the operation according to FIG. 7 so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headrest pops forwar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1: 케이스11: case
12: 삽입구12: insertion hole
13: 회전고리홈13: swivel groove
15: 핀끼움홈15: pin fit groove
21: 밀림구21: jungle
22: 경사면22: slope
23: 스프링23: spring
25: 회전고리25: swivel
26: 걸고리26: hook
27: 지지대27: support
28: 축봉28: shaft
31: 추31: Chu
32: 무게추32: weight
34: 누름대34: presser
34a: 누름돌기34a: pusher
35: 반덮개35: half cover
37: 축핀구멍37: shaft pin hole
38: 고정핀38: push pin
39: 축핀39: shaft pin
40: 헤드레스트40: headrest
41: 전면부41: front part
42: 전개스프링42: deployment spring
51: 회동추51: pivot
52: 비들림스프링52: beep spring
53: 회동축봉53: rotating shaft
54: 회동무게추54: weight weight
55: 회동걸고리55: meeting hook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4007A KR101049078B1 (en) | 2009-05-20 | 2009-05-20 | Rear impact actuator for car headres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4007A KR101049078B1 (en) | 2009-05-20 | 2009-05-20 | Rear impact actuator for car headres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5016A KR20100125016A (en) | 2010-11-30 |
KR101049078B1 true KR101049078B1 (en) | 2011-07-15 |
Family
ID=43408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4007A Expired - Fee Related KR101049078B1 (en) | 2009-05-20 | 2009-05-20 | Rear impact actuator for car headres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907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1529B1 (en) * | 2017-09-28 | 2022-02-11 | 주식회사 다스 | Inertia active head res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35429U (en) * | 1996-12-12 | 1998-09-15 | 박병재 | Elevation drive of headrest with built-in seatback |
KR100519232B1 (en) | 2003-09-15 | 2005-10-06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a headrest of an automobile |
-
2009
- 2009-05-20 KR KR1020090044007A patent/KR10104907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35429U (en) * | 1996-12-12 | 1998-09-15 | 박병재 | Elevation drive of headrest with built-in seatback |
KR100519232B1 (en) | 2003-09-15 | 2005-10-06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a headrest of an automobi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5016A (en) | 2010-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49790B2 (en) | Seat back support mechanism | |
CN111845480B (en) | Side impact protection mechanism and child safety seat | |
US7699393B2 (en) | Load limiting (energy management) child restraint seat | |
US5511850A (en) | Child's automobile safety seat | |
JP4008820B2 (en) | Safety headrest for automobile | |
KR20090063580A (en) | Headrest device of vehicle | |
US6957858B2 (en) | Dynamic flip-up head restraint | |
KR100868787B1 (en) | Car Headrests | |
JP7607253B2 (en) | Side impact safety devices, child safety seats and bases | |
US5147110A (en) | Removable headrest assembly for motor vehicle seats | |
KR101049078B1 (en) | Rear impact actuator for car headrest | |
EP2058165B1 (en) | Seat restraining device | |
KR20150063697A (en) | Rear-end collision impact elevation equipment for car seat | |
KR101262970B1 (en) | Mounting bracket for seatback frame and seat frame unit for vehicle | |
CN107487244B (en) | Seat mounting structure and vehicle | |
KR0159477B1 (en) | Neck protection equipment of headrest | |
EP1687154A2 (en) | Safety vehicle headrest cover | |
KR100560691B1 (en) | Rear passenger protective shopping bag hook structure | |
JP2007261327A (en) | Seat structure | |
JP5684934B1 (en) | Headrest | |
KR100521940B1 (en) | Reinforcing device of car sheet | |
KR0175530B1 (en) | Car headrest structure projecting in a collision | |
KR100499779B1 (en) | safety seat of an automobile | |
JPH04356239A (en) | sheet | |
KR200225549Y1 (en) | Car Seat Back 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7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