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48917B1 - 2륜식 수동운반대차 - Google Patents

2륜식 수동운반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917B1
KR101048917B1 KR1020110012191A KR20110012191A KR101048917B1 KR 101048917 B1 KR101048917 B1 KR 101048917B1 KR 1020110012191 A KR1020110012191 A KR 1020110012191A KR 20110012191 A KR20110012191 A KR 20110012191A KR 101048917 B1 KR101048917 B1 KR 101048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otation
downward
loading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조
유환희
Original Assignee
유환희
강현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환희, 강현조 filed Critical 유환희
Priority to KR1020110012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91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0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having a prop or stand for maintain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10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wheel axles to increase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부(10)와, 이 적재부(10)의 저면부를 지지하며 후단에는 손잡이(24)가 구비된 지지프레임(20)과, 이 지지프레임(20)에 장착되며 중앙부에는 적재부(10)의 전후방향을 따라 회전축(37)이 형성된 지지브래킷(30)과, 상기 지지브래킷(30)의 회전축(3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브래킷(40)과, 이 회동브래킷(40)에 장착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차축(51)과, 이 차축(51)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바퀴(50)와, 상기 지지프레임(20)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브레이크슈(23)와, 상기 회동브래킷(40) 또는 지지브래킷(30)에 구비되어 회동브래킷(4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44)를 포함하며, 불규칙한 바닥면을 주행할 때 상기 회동브래킷(40)과 바퀴(50)가 회전축(37)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됨에 따라 적재부(10)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륜식 수동운반대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2륜식 수동운반대차{A two wheel-type hand cart}
본 발명은 2륜식 수동운반대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운전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진행방향에 대해 좌우로 경사진 바닥면에서도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이 쏟아지는 것이 방지되는 2륜식 수동운반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1륜식 수동운반대차는 농가나 건축현장 등과 같이 차량이 운행되기 어려운 좁은 이동통로가 많은 장소에서 많은 양의 사료나 건축자재를 운반시키는데 효과적이어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1륜식 수동운반대차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수동운반대차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1륜식 수동운반대차는 하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적재부(1)와, 이 적재부(1)의 하면을 지지하며 전단 및 후단부에는 하향 연장된 한 쌍의 수직바(3)와 브레이크바(4)가 구비된 지지프레임(2)과, 상기 한 쌍의 수직바(3) 사이를 연결하는 차축(6)과, 이 차축(6)에 구비된 하나의 바퀴(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2)의 말단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7)가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 1륜식 수동운반대차는 적재부(1)를 지지하는 바퀴(5)가 하나이기 때문에, 적재부(1)에 대량의 물품이 적재될 경우 물품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면 대차가 전복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전복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상기 대차를 물품이 치우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더 주면서 전진시켜야 하므로, 힘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도 2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수동운반대차를 진행방향에 대해 좌우로 경사진 바닥면이나 도랑, 기타 불규칙적인 바닥면을 따라 이동시킬 때, 적재부(1)에 작용하는 중력(W)의 방향과 적재부(1)를 받쳐주는 힘{수직항력(N); 여기서는 적재부(1)의 바닥면과 직교되는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외력(F)이 작용하지 않으면 적재부(1)에 작용하는 중력(W)에 의해서 대차가 좌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려면, 작업자는 상기 대차를 좌우측으로 밀어주면서 전진시켜야 하므로 힘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기 적재부(1)에 대량의 물품이 적재된 경우에는, 작업자는 물품의 무게로 인해 상기 대차에 더 많은 외력을 가해야 하므로 힘이 더 많이 들게 되며 힘을 덜 가하게 되면 곧바로 대차가 기울어지게 되어, 물품이 적재부(1)에서 쏟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1륜식 수동운반대차는 어느 정도 숙련이 요구되므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적재부와 수평으로 설치된 구동축의 양단에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바퀴를 장착한 2륜식 수동운반대차가 제작되었다. 이에 따라, 적재부에 대량의 물품을 적재하더라도 또한 물품이 한 쪽으로 치우치더라도 두 개의 바퀴에 의해서 적재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대차가 전복되는 문제는 발생되지 않게 되어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1륜식 수동운반대차의 경우와 같이, 작업자가 대차를 진행방향에 대해 좌우로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면이나 도랑과 같은 장소에서 이동시킬 때에는, 적재부에 작용하는 중력과 수직항력의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지 않기는 마찬가지이므로, 적재부가 좌우로 기울어지게 되어 적재부에서 물품이 쏟아지게 되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또한, 적재부에서 물품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작업자가 적재부에 외력을 가하려면 1륜식 수동운반대차보다 하나의 바퀴가 추가되어 무게가 더 많이 나가므로, 1륜식 수동운반대차보다 더 많은 힘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평탄한 바닥면은 물론 경사진 바닥면이나 도랑 등과 같이 불규칙적인 바닥면을 따라 운행할 때에도 힘이 덜 들고도 적재함의 적재물을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2륜식 수동운반대차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부(10)와, 이 적재부(10)의 저면부를 지지하며 후단에는 손잡이(24)가 구비된 지지프레임(20)과, 이 지지프레임(20)에 장착되며 중앙부에는 적재부(10)의 전후방향을 따라 회전축(37)이 형성된 지지브래킷(30)과, 상기 지지브래킷(30)의 회전축(3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브래킷(40)과, 이 회동브래킷(40)에 장착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차축(51)과, 이 차축(51)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바퀴(50)와, 상기 지지프레임(20)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브레이크슈(23)와, 상기 회동브래킷(40) 또는 지지브래킷(30)에 구비되어 회동브래킷(4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44)를 포함하며, 불규칙한 바닥면을 주행할 때 상기 회동브래킷(40)과 바퀴(50)가 회전축(37)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됨에 따라 적재부(10)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륜식 수동운반대차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전단부에는 수직바(21)가 하측으로 연장되고 후단부에는 상기 브레이크슈(23)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브래킷(30)은 디귿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양측부(33)가 바닥면에 대해 수평인 상태로 배치되어 양측부(33)의 각 단부가 상기 수직바(21)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결합부(31)와, 이 고정결합부(31)의 중앙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회전축(37)이 형성된 하향돌출부(34)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브래킷(40)은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차축(51)이 결합되는 차축연결부(41)와, 이 차축연결부(41)의 중앙부에서 돌출되어 지지브래킷(30)의 하향돌출부(34)의 회전축(3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향돌출부(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륜식 수동운반대차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브래킷(30)의 하향돌출부(34) 또는 회동브래킷(40)의 상향돌출부(42)의 선단에는 상향돌출부(42) 또는 하향돌출부(34)가 삽입되는 삽입홈(43)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37)은 상기 삽입홈(43)의 측벽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43)의 입구를 형성하는 측벽이 내향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44)를 형성하고, 상기 상향돌출부(42) 또는 하향돌출부(33)에는 회동에 따라 상기 스토퍼(44)에 걸려지는 걸림턱(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륜식 수동운반대차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브레이크슈(23)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보조연장바(2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륜식 수동운반대차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프레임(20)에 장착되며 적재부(10)의 전후진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축(37)을 갖는 지지브래킷(30)과, 한 쌍의 바퀴(50)가 장착되며 중앙부가 상기 회전축(3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브래킷(40)을 포함하는 2륜식 수동운반대차를 제공함으로써, 평탄한 바닥면은 물론 진행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이나 도랑 기타 불규칙한 바닥면 주행시에도 적재부(10)가 회전축(37)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적재부(10)에 작용하는 중력과 수직항력이 반대방향이 유지되므로, 작업자는 힘이 보다 덜 들면서도 상기 적재부(10)가 안정된 상태로 운반대차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종래 1륜식 수동운반대차에서 바퀴를 제거한 상태인 지지프레임(20)의 수직부(21)에 장착되며 하향돌출부(33)가 구비된 지지브래킷(30)과, 한 쌍의 바퀴(50)가 장착되며 중앙에는 상향돌출부(42)가 형성된 회동브래킷(40)을 상기 회전축(37)으로 연결 설치하여 제작된 2륜식 수동운반대차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종래 사용되던 지지프레임(20)과 적재부(10)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회동브래킷(40)의 상향돌출부(42)와 지지브래킷(30)의 하향돌출부(33)에 걸림턱(34) 또는 스토퍼(44)를 형성하여, 적재부(10)의 회동을 제한함으로써, 정차시에도 적재부(10)가 회전축(37)을 중심으로 완전히 회동되어 일측으로 쓰러지지 않으면서도 지지프레임(20)과 바퀴(50)간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이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1륜식 수동운반대차의 일례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대차가 경사진 바닥면을 주행하는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륜식 수동운반대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4는 도 3의 확대 도시된 요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측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륜식 수동운반대차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확대 도시된 요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륜식 수동운반대차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부(10)와, 이 적재부(10)의 저면부를 지지하며 후단에는 손잡이(24)가 구비된 지지프레임(20)과, 이 지지프레임(20)에 장착되며 중앙부에는 적재부(10)의 전후방향을 따라 회전축(37)이 형성된 지지브래킷(30)과, 상기 지지브래킷(30)의 회전축(3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브래킷(40)과, 이 회동브래킷(40)에 장착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차축(51)과, 이 차축(51)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바퀴(50)와, 상기 지지프레임(20)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브레이크슈(23)와, 상기 회동브래킷(40) 또는 지지브래킷(30)에 구비되어 회동브래킷(4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적재부(10)는 하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물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대략 저면판과, 이 저면판의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측면판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적재부(10)의 저면판과 전후 측면판을 감싸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적재부(10)를 지지하는 것으로, 말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있도록 된 손잡이(24)가 구비된다. 또한, 지지프레임(20)의 전단부에는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수직바(21)가 하향 연장되고, 이 수직바(21)와 손잡이(24) 사이에 수동운반대차의 운행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슈(23)가 하향 연장된다. 상기 수직바(21)의 하단에는 후술할 지지브래킷(30)이 고정 결합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설치판(22)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브래킷(30)은 디귿자 형상이며 중앙부(32)와, 이 중앙부(32)의 양단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부(33)로 이루어진 고정결합부(31)와, 이 고정결합부(31)의 중앙부(32)에서 돌출된 하향돌출부(3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측부(33)의 단부에는 결합공(33a)이 형성되어, 이 결합공(33a)과 설치판(22)의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38)와 너트(39)에 의해 지지브래킷(30)이 수직바(21)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지지브래킷(30)의 양 측부(33)가 적재부(10)의 저면판과 평행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며, 중앙부(32)가 상기 수직바(21)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프레임(3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향돌출부(34)는 고정결합부(3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지지브래킷(30)과 별도로 이루어져서 고정결합부(31)의 중앙부(32)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하향돌출부(34)는 대략 소정 두께를 갖는 판 또는 블록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는 통공(35)이 형성된다. 또한, 하향돌출부(34)의 통공(35)을 중심으로 양측면 하단부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돌출부와 돌출되지 않은 측면에 의해 걸림턱(36)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브래킷(40)은 차축(51)의 양단에 구비된 바퀴(50)를 지지브래킷(30)에 연결 설치하는 것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차축(51)이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차축연결부(41)와, 이 차축연결부(41)의 중앙부에 구비된 상향돌출부(4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향돌출부(42)는 지지브래킷(30)의 하향돌출부(3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에는 상기 하향돌출부(34)가 삽입되는 삽입홈(43)이 형성된다. 또한, 상향돌출부(42)에는 삽입홈(43)을 가로지르는 관통공(45)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향돌출부(34)가 상향돌출부(42)의 삽입홈(4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향돌출부(42)의 관통공(35)과 하향돌출부(34)의 통공(35)을 관통결합하는 볼트가 회전축(37)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37)은 적재부(10)의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의 확대도시된 부분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축(37)을 중심으로 하향돌출부(33)가 상향돌출부(42)의 삽입홈(43) 내부에서 회전되며, 하향돌출부(34)가 회전축(37)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상기 상향돌출부(42)의 삽입홈(43)의 입구측에는 상기 하향돌출부(34)의 걸림턱(36)이 걸려지도록 내향 돌출된 형태의 스토퍼(44)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브래킷(30)이 회전축(37)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지지브래킷(30)에 구비된 스토퍼(44)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한편, 상기 적재부(10)와 지지프레임(20)은 종래에 사용되던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종래에는 지지프레임(20)의 수직부(21)의 하단에 바퀴(50)의 차축(51)이 결합되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직부(21)의 하단에 지지브래킷(30)이 고정 설치될 때 하향돌출부(34)와 축결합되는 회동브래킷(40)에 바퀴(50)의 차축(51)이 결합되므로, 차축(51)이 종래에 비해 적재부(10)에서 좀 더 하측에 위치된다. 즉, 도 6에서 종래 차축의 위치(A)는 본 발명의 차축(51)의 위치(B)보다 상측에 구비되므로, 브레이크슈(23)가 바닥면에 접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슈(23)의 기능이 떨어질 수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브레이크슈(23)에 하측으로 연장된 보조연장바(25)를 결합하여 브레이크슈(23)를 하측으로 연장시키는 효과를 줌으로써, 브레이크슈(23)가 제기능을 다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륜식 수동운반대차의 요부의 작동상태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작업자가 대차의 진행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경사진 바닥면을 따라 대차를 밀면서 이동할 때,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50)의 차축(51)은 경사진 바닥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때, 지지브래킷(30)이 회전축(37)을 중심으로 회동브래킷(40)의 삽입홈(43) 내부에서 회동되므로, 적재부(10)의 저면판은 경사진 바닥면과 평행하게 되지 않고 중력의 방향과 직교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적재부(10)에 가해지는 중력의 방향과 적재부(10)에 작용하는 수직항력이 정반대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적재부(10)가 중력에 의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적재부에 다른 쪽으로 외력을 가해야만 했던 종래와 달리 작업자는 적재부(10)에 별도의 외력을 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힘이 적게 들면서도 적재부(10)에 대량의 물품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평탄한 바닥면을 따라 운행될 때에는 두 개의 바퀴(50)에 의해 적재부(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됨은 물론, 경사진 바닥면이나 도랑, 기타 불규칙한 바닥면을 따라 운행할 때에도 적재부(10)에 작용하는 수직항력이 적재부(10)에 작용하는 중력과 정반대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적재부(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는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힘이 적게 들어서, 결국 본 발명의 2륜식 수동운반대차는 보다 힘이 적게 들면서도 좀 더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운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부(10);
    상기 적재부(10)의 저면부를 지지하며, 전단에는 수직바(21)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후단에는 손잡이(24)가 구비된 지지프레임(20);
    디귿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 측부(33)가 바닥면에 대해 수평인 상태로 배치되어 양 측부(33)의 각 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수직바(21)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결합부(31)와, 이 고정결합부(31)의 중앙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적재부(10)의 전후방향을 따라 회전축(37)이 형성된 하향돌출부(34)로 이루어진 지지브래킷(30);
    양단에 한 쌍의 바퀴(5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차축(51)이 횡방향으로 연장결합되도록 횡방향으로 구비된 차축연결부(41)와, 이 차축연결부(41)의 중앙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지지브래킷(30)의 하향돌출부(34)의 회전축(3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향돌출부(42)로 이루어진 회동브래킷(40);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브레이크슈(23); 및
    상기 회동브래킷(40) 또는 지지브래킷(30)에 구비되어 회동브래킷(4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44);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브래킷(30)의 하향돌출부(34) 또는 회동브래킷(40)의 상향돌출부(42)의 선단에는 상향돌출부(42) 또는 하향돌출부(34)가 삽입되는 삽입홈(43)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37)은 상기 삽입홈(43)의 측벽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43)의 입구를 형성하는 측벽이 내향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44)를 형성하고, 상기 상향돌출부(42) 또는 하향돌출부(34)에는 회동에 따라 상기 스토퍼(44)에 걸려지는 걸림턱(36)이 형성되어,
    불규칙한 바닥면을 주행할 때 상기 회동브래킷(40)과 바퀴(50)가 회전축(37)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됨에 따라 적재부(10)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륜식 수동운반대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슈(23)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보조연장바(2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륜식 수동운반대차.
KR1020110012191A 2011-02-11 2011-02-11 2륜식 수동운반대차 Expired - Fee Related KR101048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191A KR101048917B1 (ko) 2011-02-11 2011-02-11 2륜식 수동운반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191A KR101048917B1 (ko) 2011-02-11 2011-02-11 2륜식 수동운반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8917B1 true KR101048917B1 (ko) 2011-07-12

Family

ID=44923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191A Expired - Fee Related KR101048917B1 (ko) 2011-02-11 2011-02-11 2륜식 수동운반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9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1379A (zh) * 2018-06-19 2018-11-13 四川深源钼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砂石专用运输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1573A (ja) * 1997-09-19 1999-04-06 Matsuo Aizawa 米袋運搬用手押し車
KR100531111B1 (ko) * 2003-10-30 2005-11-25 이원식 수레를 위한 균형 유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1573A (ja) * 1997-09-19 1999-04-06 Matsuo Aizawa 米袋運搬用手押し車
KR100531111B1 (ko) * 2003-10-30 2005-11-25 이원식 수레를 위한 균형 유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1379A (zh) * 2018-06-19 2018-11-13 四川深源钼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砂石专用运输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4283B2 (ja) 運搬台車
JP6467124B2 (ja) 走行台車の車輪支持構造
JP6168329B2 (ja) 運搬台車用固定及び回転兼用キャスター
JP2016043885A (ja) 手押し運搬台車
JP5296271B1 (ja) 電動手押し運搬車
JP2013136268A (ja) 運搬用台車
KR101048917B1 (ko) 2륜식 수동운반대차
JP5275005B2 (ja) 運搬用台車
WO2011074458A1 (ja) 手押し式二輪車
JP2009040377A (ja) 搬送車
JP2008012956A (ja) 自転車による牽引台車
KR101328422B1 (ko) 전기 운반차
CN101758844A (zh) 新型手推车
JP3199069U (ja) コンクリート製の畦上を走行させる運搬台車
KR200445099Y1 (ko) 화물운반용 카트
KR101772978B1 (ko) 농업용 운반차의 바퀴 장착장치
KR102165003B1 (ko)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
KR100821119B1 (ko) 석재 운반용 카트
JP4642916B2 (ja) 水路蓋の設置運搬用台車装置
CN206437016U (zh) 一种新型建筑用推车
JP6055247B2 (ja) 運搬台車
JP4048282B2 (ja) 運搬用台車
CN219115498U (zh) 一种手推车防倾斜支杆
JP2007076400A (ja) 自転車付き運搬車
KR20230001239U (ko) 일륜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