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47986B1 -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986B1
KR101047986B1 KR1020100119159A KR20100119159A KR101047986B1 KR 101047986 B1 KR101047986 B1 KR 101047986B1 KR 1020100119159 A KR1020100119159 A KR 1020100119159A KR 20100119159 A KR20100119159 A KR 20100119159A KR 101047986 B1 KR101047986 B1 KR 101047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adsorbent
desorption
lithium ions
reaction vesse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영
정경우
김준수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19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986B1/ko
Priority to CN201180015894.6A priority patent/CN102918170B/zh
Priority to EP11843525.4A priority patent/EP2644720A4/en
Priority to PCT/KR2011/007594 priority patent/WO2012070769A1/ko
Priority to US13/635,132 priority patent/US9771632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6/00Obtaining alkali,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22B26/10Obtaining alkali metals
    • C22B26/12Obtaining lith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2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with moving ad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22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physical processes, e.g. by filtration, by magnetic means, or by thermal decomposition
    • C22B3/24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physical processes, e.g. by filtration, by magnetic means, or by thermal decomposition by adsorption on solid substances, e.g. by extraction with solid res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CCD 방식으로 흡착 및 탈착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흡착율 65±5% 및 탈착율 95±3%를 달성할 수 있는 염수로부터 리튬 이온을 추출할 수 있는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은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중 하나의 흡착 반응 용기 내에 염수를 공급하는 염수 공급 단계; 상기 염수가 공급된 흡착 반응 용기에 흡착제를 투입한 후, 상기 염수와 흡착제가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내부 각각을 차례로 역류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에 리튬 이온을 흡착하는 리튬 이온 흡착 단계; 및 상기 리튬 이온이 흡착된 흡착제가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 내부 각각을 차례로 역류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로부터 리튬 이온을 탈착하는 리튬 이온 탈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및 그 방법{ADSORPTION AND DESORPTION DEVICE OF LITIUM ION USING COUNTER CURRENT DECANTATION PROCESS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CD(Counter Current Decantation) 방식으로 리튬 이온의 흡착 및 탈착을 수행함으로써 염수로부터 리튬 이온을 효과적 및 경제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노트북 및 전기자동차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이동형 에너지원에 대한 국제적인 수요가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원으로서 특히, 리튬 이차전지의 활용이 폭발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현재, 리튬 이차전지 산업은 한국, 일본, 중국 등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급증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수요에 따라 핵심원료인 리튬의 소모량도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태양광 및 풍력 발전소에 필요한 리튬 이온 배터리 규모를 정량화하기는 어려우나, 그린카(green car)와 더불어 리튬 이온 배터리의 또 다른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리튬은 향후 수십년간 이차전지가 주도할 에너지혁명의 중심에 있는바, 리튬 이온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기술의 확보는 장기적 자원안보 차원에서 필수 불가결한 선택이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염수(brine)에 포함된 리튬 이온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중이다.
염수에는 리튬, 마그네슘, 나트륨, 염소 등 많은 성분들이 이온의 형태로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염수로부터 리튬 이온을 추출하는 과정은 마그네슘 제거 과정, 리튬이온 흡탈착 과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리튬이온 흡탈착 과정의 경우 마그네슘 이온이 제거된 염수에 흡착제를 투입하여 일정 시간 동안 리튬 이온을 흡착시킨 후, 상기 리튬 이온이 흡착된 흡착제를 염산과 같은 강산 용액에 투입하여 리튬 이온을 다시 탈착하는 공정으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리튬 흡탈착 과정은 리튬 이온을 흡착 및 탈착시키는 데 장 시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리튬 이온의 흡착량 및 탈착량이 낮아 생산 수율이 저조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염수로부터 추출되는 리튬 이온을 경제적 및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것을 통해 리튬 이온의 추출 효율성은 높이면서 추출 비용은 절감할 수 있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은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중 하나의 흡착 반응 용기 내에 염수를 공급하는 염수 공급 단계; 상기 염수가 공급된 흡착 반응 용기에 흡착제를 투입한 후, 상기 염수와 흡착제가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내부 각각을 차례로 역류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에 리튬 이온을 흡착하는 리튬 이온 흡착 단계; 및 상기 리튬 이온이 흡착된 흡착제가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 내를 차례로 역류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로부터 리튬 이온을 탈착하는 리튬 이온 탈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제는 망간 산화물 또는 알루미늄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망간 산화물은 화학식 HnMn2-xO4(여기서, 1≤n≤1.33, 0≤x≤0.33, n≤1+x 임)를 충족할 수 있다.
상기 흡착제의 평균 입도는 1 ~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착 용액은 염산, 황산 및 질산을 포함하는 강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는 제1 내지 제3 흡착 반응 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온 흡착 단계는, 상기 제1 흡착 반응 용기 내에 채워진 염수 및 흡착제가 1차적으로 역류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에 리튬 이온이 1차적으로 흡착되는 제1 흡착 단계; 상기 제1 흡착 단계를 거친 반응물을 제2 흡착 반응 용기에 투입시켜 상기 반응물이 2차적으로 역류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에 리튬 이온이 2차적으로 흡착되는 제2 흡착 단계; 및 상기 제2 흡착 단계를 거친 반응물을 제3 흡착 반응 용기에 투입시켜 상기 반응물이 3차적으로 역류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에 리튬 이온이 3차적으로 흡착되는 제3 흡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온 흡착 단계에 의하여, 상기 흡착제에 흡착되는 리튬 이온의 흡착율은 65±5%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는 제1 내지 제3 탈착 반응 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온 탈착 단계에 의하여, 상기 흡착제로부터 탈착되는 리튬 이온의 탈착율은 95±3%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는 흡착제에 리튬 이온을 흡착시키기 위해 투입되는 염수와 흡착제가 각각의 내부에서 차례로 역류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및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하류에 배치되며, 상기 흡착제로부터 리튬 이온을 탈착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와 연결되는 연결 라인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로부터 빠져나온 리튬 이온이 흡착된 흡착제가 각각의 내부에서 차례로 역류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제는 망간 산화물 또는 알루미늄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망간 산화물은 화학식 HnMn2-xO4(여기서, 1≤n≤1.33, 0≤x≤0.33, n≤1+x 임)를 충족할 수 있다.
상기 흡착제의 평균 입도는 1 ~ 50㎛일 수 있다.
상기 탈착 용액은 염산, 황산 및 질산을 포함하는 강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는 제1 내지 제3 흡착 반응 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착제에 흡착되는 리튬 이온의 흡착율은 65±5%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는 제1 내지 제3 탈착 반응 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착제로부터 탈착되는 리튬 이온의 탈착율은 95±3%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을 이용할 경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내를 차례로 역류되도록 하여 리튬 이온을 흡착한 후,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 내를 연속적으로 역류되도록 하여 리튬 이온을 탈착시킴으로써, 흡착율 65±5% 및 탈착율 95±3%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을 이용할 경우, 염수로부터 효과적 및 경제적으로 리튬 이온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에 대하여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온 흡착 단계 및 리튬 이온 탈착 단계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 반응 용기 내에서의 흡착 반응을 설명하기 위한 반응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에 대하여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온 흡착 단계 및 리튬 이온 탈착 단계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은 염수 공급 단계(S110), 리튬 이온 흡착 단계(S120) 및 리튬 이온 탈착 단계(S130)를 포함한다.
염수 공급 단계
염수 공급 단계(S110)에서는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112, 114, 116) 중 하나의 흡착 반응 용기(112) 내에 염수를 공급한다.
상기 흡착 반응 용기(112)는 이와 연결되는 염수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의 염수를 공급받는다. 이때,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염수 공급원으로부터 흡착 반응 용기(112)에 공급되는 염수는 남미의 우유니 또는 아타카마 염호에서 채취한 염수 등이 될 수 있다.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염수 공급 단계(S110) 이전 또는 후에 마그네슘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슘 제거 단계에서는 염수(brine)에서 마그네슘 이온(Mg2+)을 제거한다. 마그네슘 이온(Mg2+)은 리튬 이온(Li+)에 비하여 이온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후술할 리튬 이온 흡착시, 리튬 이온과 함께 마그네슘 이온도 함께 흡착되는 경향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리튬 이온의 흡착 과정 이전에 염수에서 미리 마그네슘이 제거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마그네슘의 제거는 마그네슘 수산화물(Magnesium hydroxide), 마그네슘 수산염(Magnesium oxalate), 마그네슘 탄산염(Magnesium carbonate) 등의 형태로 마그네슘 이온을 석출물로 침전시켜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리튬 이온 흡착 단계
리튬 이온 흡착 단계(S120)에서는 염수가 공급된 흡착 반응 용기(112)에 흡착제를 투입한 후, 상기 염수와 흡착제가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114, 116) 내부 각각을 차례로 역류되도록 하여, 역류 과정에서 흡착제에 리튬 이온이 흡착되도록 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 반응 용기 내에서의 흡착 반응을 설명하기 위한 반응 모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흡착제(160)는 망간 산화물 또는 알루미늄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리튬 이온(155)을 흡착하는 효율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망간 산화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용될 수 있는 망간 산화물의 예로는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HnMn2-xO4(여기서, 1≤n≤1.33, 0≤x≤0.33, n≤1+x 임)
의 망간 산화물을 들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2]
H1.33Mn1.67O4
의 리튬 산화물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망간 산화물을 흡착제(160)로 이용할 경우, 망간 산화물 및 염수 간의 화학 반응식은 하기 화학식 3
[화학식 3]
H1.33Mn1.67O4+0.59Li+ → H0.74Li0.59Mn1.67O4+0.59H+
를 충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착 반응 용기(112) 내에 공급되는 염수(150)와 흡착제(160)는 역류디캔테이션(counter current decantation: CCD) 방식으로 채워 넣게 된다. 상기 CCD 방식이란 반응 용기 내에 침강되거나 또는 채워질 고체와 액체의 흐름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배치되게 하는 연속식 다단 침강 분리법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착 반응 용기(112) 내에 공급된 염수(150)와 흡착제(160)는 흡착 반응 용기(112)로부터 흡착제(160)가 완전 침강되거나 완전 부유되지 않는 중간 상태, 즉 흡착 반응 용기(112) 전체 부피의 50%정도로 흡착제(160)가 부유되도록 교반자(140)를 회전시켜 일정 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흡착제(160)에 리튬 이온(155)이 흡착되고, 흡착제(160)의 수소는 분해되어 제거된다.
이때, 상기 흡착제(160)의 평균 입도는 1 ~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흡착제(160)의 평균 입도가 1㎛ 미만일 경우에는 그 입도가 너무 미세하여 일정 속도 이하의 낮은 교반 속도에도 흡착제(160)가 침강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상기 흡착제(160)의 평균 입도가 50㎛를 초과할 경우에는 일정 속도 이상에서도 침강하게 되어 원하는 일정 수준 이상의 리튬 이온 흡착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는, 하나의 예를 들면, 제1, 제2 및 제3 흡착 반응 용기(112, 114, 11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튬 이온 흡착 단계는, 제1 흡착 단계, 제2 흡착 단계 및 제3 흡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착 단계에서는 제1 흡착 반응 용기(112) 내에 채워진 염수(150) 및 흡착제(160)가 1차적으로 역류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160)에 리튬 이온(155)이 1차적으로 흡착된다.
제2 흡착 단계에서는 상기 제1 흡착 단계를 거친 반응물(170)을 제2 흡착 반응 용기(114)에 투입한 후, 상기 반응물(170)이 2차적으로 역류하도록 하여 흡착제(160)에 리튬 이온(155)이 2차적으로 흡착된다.
제3 흡착 단계에서는 상기 제2 흡착 단계를 거친 반응물(170)을 제3 흡착 반응 용기(116)에 투입한 후, 상기 반응물(170)이 3차적으로 역류하도록 하여 흡착제(160)에 리튬 이온(155)이 3차적으로 흡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흡착 반응 용기(112, 114, 116) 내에 투입되는 염수(150) 및 흡착제(160)가 각 흡착 반응 용기 내에서 CCD 방식에 의하여 역류하는 과정에서 고체와 액체의 흐름이 서로 반대가 되어 염수(150)로부터 흡착제(160)에 흡착되는 리튬 이온(155)의 농도를 단계적으로 높여나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온 흡착/탈착 방법을 이용할 경우, 최종 단계에서 흡착제(160)에 흡착되는 리튬 이온(155)의 흡착율은 65±5%를 가질 수 있다.
리튬 이온 탈착 단계
리튬 이온 탈착 단계(S130)에서는 리튬 이온(155)이 흡착된 흡착제(160), 즉 반응물(170)이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122, 124, 126) 내부 각각을 차례로 역류하도록 하여 리튬 이온(155)이 흡착된 흡착제(160)로부터 리튬 이온(155)을 탈착한다.
이러한 리튬 이온 탈착 단계(S130)를 수행하는 것에 의하여 리튬 이온(155)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탈착 용액은 염산, 황산 및 질산을 포함하는 강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는, 하나의 예를 들면, 제1, 제2 및 제3 탈착 반응 용기(122, 124, 12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탈착 반응 용기(122, 124, 126) 내에 투입되는 리튬 이온(155)이 흡착된 흡착제(160)가 CCD 방식에 의하여 역류하는 과정에서 고체와 액체의 흐름이 서로 반대가 되어 리튬 이온(155)이 흡착된 흡착제(160)로부터 탈착되는 리튬 이온의 농도를 단계적으로 높여나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튬 이온 탈착 단계(S130)에 의하여, 상기 흡착제(160)로부터 탈착되는 리튬 이온(155)의 탈착율은 95±3%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 탈착 반응 용기(122, 124, 126)를 모두 통과한 반응물(170)은 도시하지 않은 배출부를 통해 배출시키거나, 제1 내지 제3 흡착 반응 용기(112, 114, 116)로 반송시켜 재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D 방식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은 일련의 반복 공정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에서는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내부 각각을 차례로 역류하도록 하여 리튬 이온을 흡착한 후,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 내부 각각을 차례로 역류하도록 하여 리튬 이온을 탈착시킴으로써, 흡착율 65±5% 및 탈착율 95±3%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염수로부터 효과적 및 경제적으로 리튬 이온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12 : 흡착 반응 용기
140 : 교반자
150 : 염수
155 : 리튬
160 : 흡착제

Claims (19)

  1.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중 하나의 흡착 반응 용기 내에 염수를 공급하는 염수 공급 단계;
    상기 염수가 공급된 흡착 반응 용기에 흡착제를 투입한 후, 상기 염수와 흡착제가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내부 각각을 차례로 역류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에 리튬 이온을 흡착하는 리튬 이온 흡착 단계; 및
    상기 리튬 이온이 흡착된 흡착제가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 내부 각각을 차례로 역류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로부터 리튬 이온을 탈착하는 리튬 이온 탈착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염수가 공급된 흡착 반응 용기에 흡착제를 투입한 후, 상기 염수 및 흡착제를 교반자에 의하여 회전시켜, 상기 흡착제가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내부 각각에서 침강되거나, 또는 부유되지 않는 중간 상태가 되도록 하되,
    상기 흡착제는 망간 산화물 또는 알루미늄 산화물이고, 상기 흡착제의 평균 입도는 1 ~ 50㎛이며, 탈착 용액은 염산, 황산 및 질산을 포함하는 강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간 산화물은
    화학식 HnMn2-xO4(여기서, 1≤n≤1.33, 0≤x≤0.33, n≤1+x 임)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는
    제1 내지 제3 흡착 반응 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온 흡착 단계는,
    상기 제1 흡착 반응 용기 내에 채워진 염수 및 흡착제가 1차적으로 역류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에 리튬 이온이 1차적으로 흡착되는 제1 흡착 단계;
    상기 제1 흡착 단계를 거친 반응물을 제2 흡착 반응 용기에 투입시킨 후, 상기 반응물이 2차적으로 역류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에 리튬 이온이 2차적으로 흡착되는 제2 흡착 단계; 및
    상기 제2 흡착 단계를 거친 반응물을 제3 흡착 반응 용기에 투입시킨 후, 상기 반응물이 3차적으로 역류하도록 하여 상기 흡착제에 리튬 이온이 3차적으로 흡착되는 제3 흡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는
    제1 내지 제3 탈착 반응 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방법.
  10. 삭제
  11. 흡착제에 리튬 이온을 흡착시키기 위해 투입되는 염수와 흡착제가 각각의 내부에서 차례로 역류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및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하류에 배치되며, 상기 흡착제로부터 리튬 이온을 탈착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와 연결되는 연결 라인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로부터 빠져나온 리튬 이온이 흡착된 흡착제가 각각의 내부에서 차례로 역류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염수 및 흡착제는 교반자에 의하여 회전되어, 상기 흡착제가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 내부 각각에서 침강되거나, 또는 부유되지 않는 중간 상태가 되도록 하되,
    상기 흡착제는 망간 산화물 또는 알루미늄 산화물이고, 상기 흡착제의 평균 입도는 1 ~ 50㎛이며, 탈착 용액은 염산, 황산 및 질산을 포함하는 강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망간 산화물은
    화학식 HnMn2-xO4(여기서, 1≤n≤1.33, 0≤x≤0.33, n≤1+x 임)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착 반응 용기는
    제1 내지 제3 흡착 반응 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17. 삭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탈착 반응 용기는
    제1 내지 제3 탈착 반응 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19. 삭제
KR1020100119159A 2010-11-26 2010-11-26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및 그 방법 Active KR101047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159A KR101047986B1 (ko) 2010-11-26 2010-11-26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및 그 방법
CN201180015894.6A CN102918170B (zh) 2010-11-26 2011-10-12 利用逆流倾析工艺的锂离子吸附/解吸装置及其方法
EP11843525.4A EP2644720A4 (en) 2010-11-26 2011-10-12 DEVICE AND METHOD FOR ABSORPTION AND DESORPTION OF LITHIUMIONS USING A CCD PROCESS
PCT/KR2011/007594 WO2012070769A1 (ko) 2010-11-26 2011-10-12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및 그 방법
US13/635,132 US9771632B2 (en) 2010-11-26 2011-10-12 Apparatus and method for adsorbing and desorbing lithium ions using a CCD pro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159A KR101047986B1 (ko) 2010-11-26 2010-11-26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986B1 true KR101047986B1 (ko) 2011-07-13

Family

ID=4492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159A Active KR101047986B1 (ko) 2010-11-26 2010-11-26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71632B2 (ko)
EP (1) EP2644720A4 (ko)
KR (1) KR101047986B1 (ko)
CN (1) CN102918170B (ko)
WO (1) WO2012070769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081B1 (ko) 2013-10-16 2014-01-0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에어레이션을 이용한 리튬 탈착 장치
KR101450856B1 (ko) * 2012-10-16 2014-10-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는 과정 중 망간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기 위한 흡착제의 제조 방법
KR20200100798A (ko) * 2017-12-27 2020-08-26 2661881 온타리오 리미티드 염수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
CN112695211A (zh) * 2020-12-01 2021-04-23 西安蓝深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从盐湖卤水中分离锂的连续离交方法
KR20210107722A (ko) * 2018-12-18 2021-09-01 스탠다드 리튬 리미티드 알칼리를 첨가하여 염수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
WO2025135710A1 (ko) * 2023-12-18 2025-06-26 포스코홀딩스 주식회사 리튬 함유 용액으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리튬 회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9170B2 (ja) * 2013-12-04 2017-09-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44353B1 (ko) * 2015-01-28 2015-08-1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수중 거치식 리튬 회수 장치 및 방법
JP7542949B2 (ja) 2016-11-14 2024-09-02 ライラック ソリューションズ,インク. コーティングされたイオン交換粒子を用いたリチウム抽出
US10604414B2 (en) 2017-06-15 2020-03-31 Energysource Minerals Llc System and process for recovery of lithium from a geothermal brine
US11365128B2 (en) 2017-06-15 2022-06-21 Energysource Minerals Llc Process for selective adsorption and recovery of lithium from natural and synthetic brines
CN111163852A (zh) 2017-08-02 2020-05-15 锂莱克解决方案公司 使用多孔离子交换珠进行的锂提取
CN111182953A (zh) * 2017-08-02 2020-05-19 锂莱克解决方案公司 用于锂提取的离子交换系统
US11583830B2 (en) * 2017-12-27 2023-02-21 Standard Lithium Ltd. Process for recovery of lithium from brine
JP7427598B2 (ja) 2018-02-28 2024-02-05 ライラック ソリューションズ,インク. リチウム抽出用の粒子トラップを備えたイオン交換反応器
EP3793945B1 (en) * 2018-05-15 2024-11-27 ILiAD IP Company, LLC Process and system for selective adsorption and recovery of lithium from natural and synthetic brines
CN109761249B (zh) * 2018-12-07 2021-07-27 开曼铝业(三门峡)有限公司 解析氧化铝工厂富锂吸附剂中锂的方法和系统
CN110453070A (zh) * 2019-03-11 2019-11-15 西安蓝晓科技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直接从红土镍矿浸提液中提取回收镍的方法
JP2023514803A (ja) 2020-01-09 2023-04-11 ライラック ソリューションズ,インク. 望ましくない金属を分離するための方法
US11904297B1 (en) 2023-01-11 2024-02-20 Iliad Ip Company, Llc Process for manufacturing lithium selective adsorption/separation media
JP7156322B2 (ja) * 2020-02-17 2022-10-19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水酸化リチウムの製造方法
CA3184777A1 (en) * 2020-06-08 2021-12-16 Standard Lithium Ltd. Process for recovery of lithium from brine
JP2023529444A (ja) 2020-06-09 2023-07-10 ライラック ソリューションズ,インク. スケール物質存在下におけるリチウム抽出
CA3199218A1 (en) 2020-11-20 2022-05-27 David Henry SNYDACKER Lithium production with volatile acid
JP7124917B1 (ja) * 2021-03-31 2022-08-24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リチウム含有溶液の製造方法
EP4326413A1 (en) 2021-04-23 2024-02-28 Lilac Solutions, Inc. Ion exchange devices for lithium extraction
WO2023192195A1 (en) 2022-03-28 2023-10-05 Lilac Solutions, Inc. Devices for efficient sorbent utilization in lithium extraction
WO2023192623A2 (en) 2022-04-01 2023-10-05 Lilac Solutions, Inc. Extraction of lithium with chemical additives
US20250171877A1 (en) * 2023-11-29 2025-05-29 Iliad Ip Company, Llc Process and circuit for selective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lithium from multivalent salt-containing solu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7520A (ko) * 2008-11-21 2010-05-3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온체형 망간 산화물 제조 및 리튬 이온 흡착/탈착 공정을 위한 일체형 리튬 회수 장치, 이를 이용한 리튬 회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흡탈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3760A (en) 1975-08-11 1977-08-23 Hiatt Martin H Counter current decantation apparatus
US4291001A (en) * 1979-12-26 1981-09-22 The Dow Chemical Company Recovery of lithium from brine
US4477396A (en) * 1980-08-13 1984-10-16 Battelle Development Corp. Countercurrent flow absorber and desorber
US4578163A (en) * 1984-12-03 1986-03-25 Homestake Mining Company Gold recovery process
JP2002088420A (ja) 2000-09-13 2002-03-27 Mitsubishi Heavy Ind Ltd 海中リチウム採取装置
JP2002167626A (ja) 2000-11-28 2002-06-11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リチウム回収装置および方法
US20030231996A1 (en) 2002-06-18 2003-12-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adsorbing lithium ions from a lithium-containing aqueous solution by a granular adsorbent
US6764584B2 (en) * 2002-10-22 2004-07-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rocess for producing lithium concentrate from brine or seawater
CN100343399C (zh) * 2002-12-27 2007-10-17 中国科学院青海盐湖研究所 二氧化锰法从盐湖卤水中提锂的方法
CN1243112C (zh) * 2002-12-27 2006-02-22 中国科学院青海盐湖研究所 吸附法从盐湖卤水中提取锂的方法
FI116071B (fi) 2003-02-26 2005-09-15 Outokumpu Oy Menetelmä sinkin talteenottamiseksi vastavirtaliuotuksella
JP4765009B2 (ja) 2006-11-21 2011-09-07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リチウム吸着剤を含有する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504190A (ja) 2008-09-29 2012-02-16 韓国地質資源研究院 分離膜貯留層を用いるリチウム回収装置、これを用いるリチウム回収方法、及びこれを用いるリチウム吸脱着システム
US8673225B2 (en) * 2009-03-09 2014-03-18 Dbt-Ict Centre For Energy Biosciences Continuous countercurrent fluidized moving bed (FMB) and/or expanded moving bed (EMB)
CN101654262B (zh) * 2009-09-18 2011-05-11 华东理工大学 一种用于由卤水中提取锂离子的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7520A (ko) * 2008-11-21 2010-05-3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온체형 망간 산화물 제조 및 리튬 이온 흡착/탈착 공정을 위한 일체형 리튬 회수 장치, 이를 이용한 리튬 회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흡탈착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856B1 (ko) * 2012-10-16 2014-10-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는 과정 중 망간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기 위한 흡착제의 제조 방법
KR101347081B1 (ko) 2013-10-16 2014-01-0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에어레이션을 이용한 리튬 탈착 장치
KR20200100798A (ko) * 2017-12-27 2020-08-26 2661881 온타리오 리미티드 염수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
KR102703215B1 (ko) * 2017-12-27 2024-09-09 2661881 온타리오 리미티드 염수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
KR20210107722A (ko) * 2018-12-18 2021-09-01 스탠다드 리튬 리미티드 알칼리를 첨가하여 염수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
KR102758996B1 (ko) 2018-12-18 2025-01-23 스탠다드 리튬 리미티드 알칼리를 첨가하여 염수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
CN112695211A (zh) * 2020-12-01 2021-04-23 西安蓝深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从盐湖卤水中分离锂的连续离交方法
WO2025135710A1 (ko) * 2023-12-18 2025-06-26 포스코홀딩스 주식회사 리튬 함유 용액으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리튬 회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44720A1 (en) 2013-10-02
US20130001168A1 (en) 2013-01-03
WO2012070769A1 (ko) 2012-05-31
EP2644720A4 (en) 2014-04-23
US9771632B2 (en) 2017-09-26
CN102918170B (zh) 2016-02-03
CN102918170A (zh)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986B1 (ko) Ccd 공정을 이용한 리튬 이온의 흡착/탈착 장치 및 그 방법
EP4260935A1 (en) Aluminum-based lithium ion siev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CN105289455A (zh) 一种限制实际使用容量以提高锂离子筛吸附剂寿命的方法
CN105251436A (zh) 提高锂离子筛吸附剂使用寿命的流水线系统及其操作方法
WO2012026061A1 (ja) 金属回収方法及び金属回収装置
WO2022007660A1 (zh) 利用粉状吸附剂进行卤水提锂的方法
CN112777614B (zh) 一种盐湖卤水吸附提锂方法及装置
WO2020115948A1 (ja) リチウム含有溶液の製造方法
CN114086006A (zh) 一种粉末状锂吸附剂耦合中空纤维膜的提锂工艺
CN102120658A (zh) 电解锰生产末端废水中氨氮的处理和回收方法
CN110106356B (zh) 一种粉末型钛系离子交换剂分离盐湖卤水中锂的方法
CN110643831A (zh) 一种无隔膜电化学提锂系统及其提锂方法
CN110592383A (zh) 一种吸附法从粉煤灰中提锂的方法
CN102188959A (zh) 一种吸附污水中氨氮饱和后的沸石的再生方法
CN104986898B (zh) 一种常温铁氧体循环处理重金属污水的方法及装置
CN214829053U (zh) 一种盐湖卤水吸附提锂装置
KR101536737B1 (ko) 해수 내 불순물 정제 장치
CN115364783A (zh) 一种分级结构锂离子筛微球及其制备方法以及使用该微球的电解再生装置和工艺
KR101448606B1 (ko)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는 과정 중 망간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기 위한 흡착제의 제조 방법
KR101541897B1 (ko)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는 과정 중 망간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기 위한 흡착제의 제조 방법
CN117398965B (zh) 一种除硅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214458244U (zh) 一种新型的锂离子提取系统
KR101377760B1 (ko)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는 과정 중 망간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기 위한 흡착제의 제조 방법
CN117721311A (zh) 一种金属氧化物类正极材料的回收方法和回收系统
CN119979907A (zh) 一种动态循环中快速高效捕获锂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7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