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856B1 - 다초점 난시용 렌즈제작몰드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다초점 난시용 안경렌즈 - Google Patents
다초점 난시용 렌즈제작몰드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다초점 난시용 안경렌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7856B1 KR101047856B1 KR1020100094459A KR20100094459A KR101047856B1 KR 101047856 B1 KR101047856 B1 KR 101047856B1 KR 1020100094459 A KR1020100094459 A KR 1020100094459A KR 20100094459 A KR20100094459 A KR 20100094459A KR 101047856 B1 KR101047856 B1 KR 1010478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stigmatism
- mold
- center
- engraved
- multifocal
- Prior art date
Links
- 201000009310 astigmatism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08000001491 myopia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4379 myopia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10000001215 vagina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50 progres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525 retin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326 engrav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17 polish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0356 Congenital anomal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571 Visual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2428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7 corne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0766 irregular astigmat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257 visi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3 visual impair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28—Bifocal lenses; Multifocal len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초점 난시용 렌즈제작몰드에서 이중초점형성부가 형성된 전방몰드와 후방몰드의 정면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초점 난시용 렌즈제작몰드에서 이중초점형성부가 형성된 전방몰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초점 난시용 렌즈제작몰드에서 누진다초점형성부가 형성된 전방몰드와 후방몰드가 전후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고 안경착용자의 난시축 각도에 맞게 일정각도로 회전된 상태의 정면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초점 난시용 렌즈제작몰드의 전방몰드와 후방몰드가 전후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고 난시교정부가 각도조절된 상태에서 그 사이에 합성수지액이 주입된 상태의 단면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초점 난시용 렌즈제작몰드를 통해 제작된 누진다초점 난시용 안경렌즈의 정면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초점 난시용 렌즈제작몰드를 통해 제작된 이중초점 난시용 안경렌즈의 정면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초점 난시용 렌즈제작몰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전방몰드와 후방몰드의 정면개략도
도 9는 종래 다초점 난시용 렌즈제작몰드의 전방몰드와 후방몰드의 정면개략도
도 10은 종래 다초점 난시용 렌즈제작몰드의 전방몰드와 후방몰드가 전후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고 그 사이에 합성수지액이 주입된 상태의 단면개략도
3a, 3b. 수평기준선 4. 이중초점형성부
5, 5'. 누진다초점형성부 6a, 6b, 6a', 6b'. 수평기준점
7, 7'. 원용초점형성부 8, 8'. 근용초점형성부
9. 좌우식별부호 10. 근용초점도수
11. 이중초점도수 12, 12'. 후방몰드
13. 난시교정부 14. 난시축표시부
15, 15'. 고정용 테이프 16, 16'. 합성수지액
17. 근시및난시도수 18. 보조난시축표시부
19a, 19b. 다초점 난시용 안경렌즈 20. 누진다초점부
21. 원용초점부 22. 근용초점부
23. 원용도수측정포인트 24. 근용도수측정포인트
25. 이중초점부 26. 중심포인트
27a, 27b. 수평기준포인트
Claims (8)
- 전면부에는 가운데부분의 좌우양측 외곽부분에 각각 수평기준선(3a)(3b)이 표기되어 있고 후면부에는 누진다초점형성부(5)가 상하방향으로 음각형성되어 있으며 후면부 가운데부분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수평기준점(6a)(6b)이 음각형성되어 있는 유리재질의 전방몰드(2)와, 전면부가 근시도수에 따라 일정한 곡률반경(R1)을 지니도록 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형성되어 있으며 전면부 가운데부분에는 좌우 수평방향으로 난시도수에 따라 일정한 곡률반경(R2)을 지닌 난시교정부(13)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되어 있고 후면부에는 가운데부분을 기준으로 상부 외곽부분에 0°에서 180°까지 일정각도로 분할된 난시축표시부(14)가 표기되어 있는 유리재질의 후방몰드(12)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전방몰드(2)와 후방몰드(12)를 전후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겹쳐보이는 전방몰드(2)의 수평기준선(3a)(3b)과 후방몰드(12)의 난시축표시부(14)를 통해 안경착용자의 난시축 각도에 맞게 전방몰드(2) 또는 후방몰드(12)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난시교정부(13)가 안경착용자의 난시축과 동일한 각도로 위치되도록 하여 다초점 난시용 안경렌즈(19a)를 제작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난시용 안경제작몰드.
- 전면부에는 가운데부분의 좌우양측 외곽부분에 각각 수평기준선(3a)(3b)이 표기되어 있고 후면부 하부에는 원형 또는 반원형의 이중초점형성부(4)가 음각형성되어 있으며 후면부 가운데부분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수평기준점(6a)(6b)이 음각형성되어 있는 유리재질의 전방몰드(2)와, 전면부가 근시도수에 따라 일정한 곡률반경(R1)을 지니도록 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형성되어 있으며 전면부 가운데부분에는 좌우 수평방향으로 난시도수에 따라 일정한 곡률반경(R2)을 지닌 난시교정부(13)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되어 있고 후면부에는 가운데부분을 기준으로 상부 외곽부분에 0°에서 180°까지 일정각도로 분할된 난시축표시부(14)가 표기되어 있는 유리재질의 후방몰드(12)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전방몰드(2)와 후방몰드(12)를 전후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겹쳐보이는 전방몰드(2)의 수평기준선(3a)(3b)과 후방몰드(12)의 난시축표시부(14)를 통해 안경착용자의 난시축 각도에 맞게 전방몰드(2) 또는 후방몰드(12)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난시교정부(13)가 안경착용자의 난시축과 동일한 각도로 위치되도록 하여 다초점 난시용 안경렌즈(19b)를 제작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난시용 안경제작몰드.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몰드(2)는 후면부 가운데부분의 좌우양측에 각각 수평기준점(6a)(6b)이 음각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몰드(2)의 전면 상부에는 좌측렌즈 제작용인지 또는 우측렌즈 제작용인지를 나타내는 좌우식별부호(9)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난시용 안경제작몰드.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몰드(12)는 후면부 하부 가운데부분에 곡률반경(R1)에 따른 근시도수와 곡률반경(R2)에 따른 난시도수를 육안으로 식별가능하도록 근시및난시도수(17)가 인쇄 또는 음각식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몰드(12)의 후면부 가운데부분을 기준으로 하부 외곽부분에는 0°에서 180°까지 일정각도로 분할된 보조난시축표시부(18)가 인쇄 또는 음각식으로 표기되어 있고, 상기 난시교정부(13)는 후방몰드(12)의 전면 가운데부분에 좌우 수평방향으로 난시도수에 따라 일정한 곡률반경(R2)을 지닌 상태에서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후방몰드(12)의 중심부에서 좌우양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게 확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난시용 안경제작몰드.
- 전면부에는 가운데부분을 기준으로 상부 외곽부분에 0°에서 180°까지 일정각도로 분할된 난시축표시부(14)가 인쇄 또는 음각식으로 표기되어 있고 후면부에는 누진다초점형성부(5)가 상하방향으로 음각형성되어 있으며 후면부 가운데부분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수평기준점(6a)(6b)이 음각형성되어 있는 유리재질의 전방몰드(2)와, 전면부가 근시도수에 따라 일정한 곡률반경(R1)을 지니도록 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형성되어 있으며 전면부 가운데부분에는 좌우 수평방향으로 난시도수에 따라 일정한 곡률반경(R2)을 지닌 난시교정부(13)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되어 있고 후면부의 가운데부분 좌우양측 외곽부분에 각각 수평기준선(3a)(3b)이 인쇄 또는 음각식으로 표기되어 있는 유리재질의 후방몰드(12)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전방몰드(2)와 후방몰드(12)를 전후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겹쳐보이는 전방몰드(2)의 난시축표시부(14)와 후방몰드(12)의 수평기준선(3a)(3b)을 통해 안경착용자의 난시축 각도에 맞게 전방몰드(2) 또는 후방몰드(12)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난시교정부(13)가 안경착용자의 난시축과 동일한 각도로 위치되도록 하여 다초점 난시용 안경렌즈(19a)를 제작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난시용 안경제작몰드.
- 전면부에는 가운데부분을 기준으로 상부 외곽부분에 0°에서 180°까지 일정각도로 분할된 난시축표시부(14)가 인쇄 또는 음각식으로 표기되어 있고 후면부 하부에는 원형 또는 반원형의 이중초점형성부(4)가 음각형성되어 있으며 후면부 가운데부분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수평기준점(6a)(6b)이 음각형성되어 있는 유리재질의 전방몰드(2)와, 전면부가 근시도수에 따라 일정한 곡률반경(R1)을 지니도록 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형성되어 있으며 전면부 가운데부분에는 좌우 수평방향으로 난시도수에 따라 일정한 곡률반경(R2)을 지닌 난시교정부(13)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되어 있고 후면부의 가운데부분 좌우양측 외곽부분에 각각 수평기준선(3a)(3b)이 인쇄 또는 음각식으로 표기되어 있는 유리재질의 후방몰드(12)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전방몰드(2)와 후방몰드(12)를 전후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겹쳐보이는 전방몰드(2)의 난시축표시부(14)와 후방몰드(12)의 수평기준선(3a)(3b)을 통해 안경착용자의 난시축 각도에 맞게 전방몰드(2) 또는 후방몰드(12)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난시교정부(13)가 안경착용자의 난시축과 동일한 각도로 위치되도록 하여 다초점 난시용 안경렌즈(19b)를 제작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난시용 안경제작몰드.
-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몰드(2)는 전면부의 가운데부분을 기준으로 하부 외곽부분에 0°에서 180°까지 일정각도로 분할된 보조난시축표시부(18)가 인쇄 또는 음각식으로 표기되어 있고, 상기 난시교정부(13)는 후방몰드(12)의 전면 가운데부분에 좌우 수평방향으로 난시도수에 따라 일정한 곡률반경(R2)을 지닌 상태에서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후방몰드(12)의 중심부에서 좌우양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게 확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난시용 안경제작몰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4459A KR101047856B1 (ko) | 2010-09-29 | 2010-09-29 | 다초점 난시용 렌즈제작몰드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다초점 난시용 안경렌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4459A KR101047856B1 (ko) | 2010-09-29 | 2010-09-29 | 다초점 난시용 렌즈제작몰드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다초점 난시용 안경렌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47856B1 true KR101047856B1 (ko) | 2011-07-08 |
Family
ID=4492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4459A KR101047856B1 (ko) | 2010-09-29 | 2010-09-29 | 다초점 난시용 렌즈제작몰드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다초점 난시용 안경렌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785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5338B1 (ko) | 2016-02-24 | 2016-10-12 | 권순범 |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 록킹장치 |
KR102103335B1 (ko) | 2018-10-29 | 2020-04-22 | 권순범 |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 |
KR20210099460A (ko) | 2020-02-04 | 2021-08-12 | 권순범 |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유지장치 |
KR20210099463A (ko) | 2020-02-04 | 2021-08-12 | 주식회사 이노에스템 |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7869B1 (ko) | 2005-02-04 | 2007-11-21 |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
-
2010
- 2010-09-29 KR KR1020100094459A patent/KR10104785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7869B1 (ko) | 2005-02-04 | 2007-11-21 |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5338B1 (ko) | 2016-02-24 | 2016-10-12 | 권순범 |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 록킹장치 |
KR102103335B1 (ko) | 2018-10-29 | 2020-04-22 | 권순범 |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 |
KR20210099460A (ko) | 2020-02-04 | 2021-08-12 | 권순범 |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유지장치 |
KR20210099463A (ko) | 2020-02-04 | 2021-08-12 | 주식회사 이노에스템 |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02404B2 (en) | Prescription lens and method of making same | |
US9046698B2 (en) | Multi-axis lens design for astigmatism | |
WO2015106375A1 (zh) | 一种宽视场近视周边离焦眼镜片 | |
CN203849514U (zh) | 一种宽视场周边离焦眼镜片 | |
CN201673335U (zh) | 一种矫正视网膜周边离焦眼镜 | |
CN110687689A (zh) | 微透镜周边离焦眼镜片 | |
KR101047856B1 (ko) | 다초점 난시용 렌즈제작몰드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다초점 난시용 안경렌즈 | |
US8449111B2 (en) | Method of making prescription lens | |
CN201845140U (zh) | 一种远视眼周边离焦矫正眼镜 | |
CN106896525B (zh) | 大基弯自由曲面太阳镜的制作方法 | |
US20240280832A1 (en) | Lens element | |
CN105074541B (zh) | 眼镜镜片及其制造方法以及镜片供给系统 | |
EP3004973B1 (en) | Non-progressive corridor bi-focal lens with substantially tangent boundary of near and distal visual fields | |
US9618771B2 (en) | Method for determining a progressive opthalmic lens and a set of semi finished lens blanks | |
CN107290866A (zh) | 超薄眼镜及其镜框制作方法 | |
CN116057457A (zh) | 适于矫正配戴者眼睛的异常屈光的镜片元件的制造方法 | |
CN115185105A (zh) | 一种近视防控镜片及其制备方法 | |
CN207114915U (zh) | 超薄眼镜 | |
CN209148994U (zh) | 平顶形三焦点周边离焦眼镜片 | |
JP2006527383A (ja) | 近用単焦点複合レンズの為の成形モールド | |
CN205809453U (zh) | 周边离焦三光学区眼镜片 | |
CN110161719B (zh) | 一种便携式老花镜 | |
EP3918413A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ctacle lens, finished uncut spectacle lens and semi-finished lens blank | |
CN103309054A (zh) | 一种全离焦压贴镜片 | |
CN221378420U (zh) | 一种远视镜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0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7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