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47757B1 -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 - Google Patents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757B1
KR101047757B1 KR1020100004681A KR20100004681A KR101047757B1 KR 101047757 B1 KR101047757 B1 KR 101047757B1 KR 1020100004681 A KR1020100004681 A KR 1020100004681A KR 20100004681 A KR20100004681 A KR 20100004681A KR 101047757 B1 KR101047757 B1 KR 101047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heat sink
shape
coupling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병일
Original Assignee
권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병일 filed Critical 권병일
Priority to KR1020100004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757B1/ko
Priority to PCT/KR2010/000485 priority patent/WO201109023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means for 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e.g.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21V29/7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diverging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fan-like or star-like cross-section
    • F21V29/77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diverging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fan-like or star-like cross-section the planes containing the fins or blades having the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the elements having apertures, ducts or channels, e.g. heat radiation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에 관한 것으로서, 판 형상을 가지며, 두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전체적으로 내부에 공동부를 갖는 통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히트싱크단위체 - 상기 통형상의 상하 양단부에 대응하는 각 히트싱크단위체의 양측에는 홈 또는 돌기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된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각각 형성됨-와; 상기 각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제3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통형상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고정판과; 상기 제2결합부에 결합되는 제4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통형상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고정판과; 상기 공동부가 유지된 채로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을 상호 조임고정함으로써 상기 각 히트싱크단위체들이 통형상을 견고히 유지하도록 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히트싱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별도의 보강부재 없이도 통형상을 견고히 유지할 수 있고, 냉각공기의 순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방열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HEATSINK FOR LAMP}
본 발명은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히트싱크의 조립 및 분해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히트싱크의 형상을 견고히 고정하고 방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히트싱크는 전기, 전자제품에 내설되는 발열부품에 장착되어 발열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해당제품의 사용시 제품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로 일하여 제품이 파손되거나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히트싱크는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긴 수명, 저전력 구동 등의 경제적 장점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장점으로 차세대 조명으로 각광받고 있는 엘이디용 조명등에도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용 히트싱크조립체(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판형상의 히트싱크단위체(110)들이 두께 방향으로 다수 적층되어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원통의 내부 공동부에는 각 히트싱크단위체(110)들을 원통모양으로 지지하기 위한 중심고정부(111)가 마련된다.
판형상의 히트싱크단위체(110)들을 다수 적층하는 방법은 종래 일일히 수작업으로 이루어졌으나, 이를 히트싱크단위체(110)를 성형하면서 동시에 적층하는 방법을 본원 출원인이 개발하여 이미 특허등록(제932855호)한 바 있다.
한편, 종래 적층된 히트싱크단위체(110)를 원통형상으로 고정할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고정부(111)의 외부에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정했으며, 중심부의 상하부에는 다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판(115, 117)을 고정하고, 상부 고정판(115)위에 엘이디소자(160)가 장착된 회로기판(150)을 안착함으로써 히트싱크조립체(100)를 조립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히트싱크 조립체(100)는 각 히트싱크단위체(110)를 실리콘 접착제를 통하여 중심고정부(111)에 고정했기 때문에 원통형상을 견고히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강링(140)을 별도로 마련해야 하므로 작업공정수가 증가하고 원가가 상승하여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전도성 또는 전기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엘이디소자(160)에서 발생된 열이 접착제(112)를 통해 각 히트싱크단위체(110)로 전달되므로 접착이 불량한 경우, 방열성능이 저하되어 히트싱크의 기능 자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히트싱크조립체(100)는 열전도 및 전기전도성의 신뢰도가 낮아 전체적으로 균일한 도금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금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히트싱크를 조립을 완료하기 전에 별도로 도금작업을 위한 고정구를 사용하여 히트싱크단위체(110)들을 고정하고, 도금작업을 수행한 후에 먼저 다시 고정구를 해제한 다음 조립작업을 수행해야 했다. 따라서, 도금 및 조립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접착제를 통하여 히트싱크를 조립한 후에는 분해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부분적으로 히트싱크단위체(110)들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도 조립체 전체를 폐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히트싱크 조립체(100)는 내부 공동부가 중심고정부(111)에 의해 채워져 있으므로 열교환을 위한 냉각공기의 순환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효과적인 방열을 위해서는 각 히트싱크단위체(110)로 전달된 열이 냉각공기와 열교환을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냉각공기가 히트싱크조립체(100)의 중심부분으로 순환이 잘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 히트싱크 조립체(100)는 중심부가 중심고정부(111)에 의해 채워져 있으므로 외부에서 송풍된 냉각공기가 원통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열교환이 용이하지 않아 방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원과 각 히트싱크 단위체들이 직접 면접촉됨으로써 전기전도성 및 열전도성에 대한 신뢰성을 유지하면서도 히트싱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보강부재 없이도 통형상을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있는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형상의 내부 공동부가 유지된 채로 조립되므로 냉각공기의 순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방열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 형상을 가지며, 두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전체적으로 내부에 공동부를 갖는 통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히트싱크단위체 - 상기 통형상의 상하 양단부에 대응하는 각 히트싱크단위체의 양측에는 홈 또는 돌기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된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각각 형성됨-와; 상기 각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제3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통형상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고정판과; 상기 제2결합부에 결합되는 제4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통형상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고정판과; 상기 공동부가 유지된 채로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을 상호 조임고정함으로써 상기 각 히트싱크단위체들이 통형상을 견고히 유지하도록 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발광 조명구용 히트싱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히트싱크단위체는 상기 통형상의 내측에 위치하는 중앙부와, 상기 통형상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중앙부로부터 확장된 방열면적을 가지며 연장된 방열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중앙부의 상측에,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중앙부의 하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히트싱크단위체가 원통형상으로 적층되는 경우,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는 각 히트싱크단위체의 동일위치에 홈 형상으로 마련되어 전체적으로 원형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3결합부 및 제4결합부는 이에 대응하여 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의 형상은 사각, 삼각 또는 원형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며, 상기 제3결합부 및 제4결합부는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스크류로 마련되며,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의 중앙에는 체결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고정판 또는 제2고정판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마련되어 다른 하나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1고정판 또는 제2고정판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각 중앙부가 상기 제1고정판 또는 제2고정판과 면접촉이 가능하도록, 상기 중앙부의 상측 또는 하측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중앙부로부터 이웃하는 상기 중앙부로 절곡연장된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판, 제2고정판 또는 히트싱크단위체 중 하나 이상에는 복수의 방열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판 또는 제2고정판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공동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의 상부 또는 하부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돌출부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각 고정판이 결합될 때 상기 각 히트싱크단위체가 통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고정판 및 제2고정판 사이에 마련된 봉형상의 연결부와, 상기 각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 체결되는 체결스크류로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에 따르면, 통형상의 히트싱크단위체 구성에 제1고정판 및 제2고정판을 맞대고 체결부재로 조임고정하면 되므로 히트싱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또한, 히트싱크단위체과 각 고정판을 결합부 및 돌출부를 통하여 결합함으로써 별도의 보강부재 없이도 통형상을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통형상의 내부 공동부가 유지된 채로 조립되므로 냉각공기의 순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방열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결합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조명구용 히트싱크(1)는 히트싱크단위체(10)와, 제1고정판(31)과, 제2고정판(33)과, 체결부재(50)를 포함한다.
히트싱크단위체(10)는 판 형상을 가지며 두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전체적으로 내부에 공동부(2)를 갖는 통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통형상이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통 일수도 있고, 사각통과 같은 다각통형상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원형통형상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각 히트싱크단위체를 적층하여 원 통 형상으로 구성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 본원출원인에 의해 먼저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932855호에 개시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히트싱크단위체(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형상의 내측에 위치하는 중앙부(11)와, 통형상의 외측방향으로 중앙부(11)로부터 확장된 방열면적을 가지며 연장된 방열날개(13)를 포함한다.
통형상의 상하 양단부에 대응하는 각 히트싱크단위체(10)의 양측에는 홈 또는 돌기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된 제1결합부(41) 및 제2결합부(42)가 각각 형성된다.
제1결합부(41) 및 제2결합부(42)는 후술한 제1고정판(31)과 제2고정판(33)에 형성된 제3결합부(43)와 제4결합부(44)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각 히트싱크단위체(10)들이 별도의 보강부재 없이도 원통형상을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제1결합부(41) 및 제2결합부(42)는 홈 또는 돌기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제1결합부(41)는 홈형상으로 마련되고 제2결합부(42)는 돌기 형상으로 마련되는 등 서로 다른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나아가, 각 히트싱크단위체(10)에 형성된 제1결합부(41)의 모양이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물론 상기 각 경우에 있어서 제3결합부(43) 및 제4결합부(44)의 모양은 각각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한편, 제1결합부(41) 및 제2결합부(42)의 구체적인 모양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41a), 삼각(41b), 원형(41c)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제1결합부(41)와 제3결합부(43) 그리고, 제2결합부(42)와 제4결합부(44)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제1고정판(31) 및 제2고정판(33)에 의해 히트싱크단위체(10)들이 통형상의 모양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한 각 결합부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결합부(41)는 중앙부(11)의 상측에, 제2결합부(42)는 중앙부(11)의 하측에 각각 형성된다.
히트싱크단위체(10)가 원통형상으로 적층되는 경우, 제1결합부(41) 및 제2결합부(42)는 각 히트싱크단위체(10)의 동일위치에 홈형상으로 마련되어 전체적으로 원형홈을 형성하며, 제3결합부(43) 및 제4결합부(44)는 이에 대응하여 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히트싱크단위체(10)의 동일위치에 제1결합부(41) 및 제2결합부(42)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각 히트싱크단위체(10)가 동일한 모양을 가지게 되므로 생산이 용이할 뿐 아니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형상을 이루고 나면 제1결합부(41) 또는 제2결합부(42) 들이 원과 같은 일정한 형상을 갖게 되므로, 제3결합부(43) 및 제4결합부(44)는 이에 대응하는 링형상으로 만들면 되므로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각 중앙부(11)의 상측 또는 하측 중 하나 이상에는 중앙부(11)로부터 이웃하는 중앙부(11)로 절곡연장된 절곡부(12a)가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12a)는 제1고정판(31) 또는 제2고정판(33)과 면접촉 됨으로써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제1고정판(31)은 제1결합부(41)에 결합되는 제3결합부(43)를 가지며, 상기 통형상의 상측 단부에 결합된다. 제1고정판(31)의 상부에는 엘이디소자(160)가 장착된 회로기판(150)이 안착된다.
제2고정판(33)은 제2결합부(42)에 결합되는 제4결합부(44)를 가지며, 상기 통형상의 하측 단부에 결합된다.
한편, 제1고정판(31) 또는 제2고정판(33) 중 하나 이상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부(2)의 형상에 대응하는 돌출부(45)가 형성되고, 중앙부(11)의 상부 또는 하부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돌출부(45)에 대응하는 돌출부 수용홈(1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고정판(31) 및 제2고정판(33)을 통형상의 상하부에 결합시킬 때 각 히트싱크단위체(10)들을 원통모양으로 용이하게 정렬시키는 것이 용이하며, 제1고정판(31) 및 제2고정판(33)이 고정된 후에는 각 결합부(41,42,43,44)와 함께 통형상을 견고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1고정판(31), 제2고정판(33), 또는 히트싱크단위체(10) 중 하나 이상에는 복수의 방열공(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방열면적이 극대화됨은 물론, 냉각공기가 히트싱크(1) 내외부로 순환이 용이해지므로 열교환이 활발해져 방열효과가 향상된다.
체결부재(50)는 공동부(2)가 유지된 채로 제1고정판(31)과 제2고정판(33)을 상호 조임고정함으로써 각 히트싱크단위체(10)들이 통형상을 견고히 유지하도록 한다.
즉, 제1고정판(31)과 제2고정판(33)이 체결부재(50)에 의해 단단히 조임고정된 후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히트싱크단위체(10)들은 원통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은 각 고정판(31, 35)에 의해 제한되고, 방사방향으로의 이동은 각 결합부(41,42,43,44)에 의해 제한되며,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은 절곡부(12a)에 의해 제한되므로 통형상의 모양이 견고히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체결부재(50)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스크류(51)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고정판(31)과 제2고정판(33)의 중앙에는 체결공(52)이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체결부재(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판(31) 또는 제2고정판(33)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마련되어 다른 하나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고정판(31) 또는 제2고정판(33) 중 다른 하나에는 체결부재(50')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공(53)이 마련되며, 제1고정판(31)과 제2고정판(33)을 서로 조임고정할 때에는 체결부재(50')가 체결공(5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고정판(31) 또는 제2고정판(33)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체결할 수 있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판(31) 또는 제2고정판(33) 중 어느 하나의 중심부를 다른 하나를 통하여 연장한 후에 체결부재(50)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판(31) 및 제2고정판(33) 사이에 봉형상의 연결부(55)를 마련하고, 체결스크류(51)를 각 고정판(31, 33)을 관통하여 연결부(55)의 양단에 체결할 수도 있다.
전술한 체결방법은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리벳 등 다양한 방법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고정판(31)과 제2고정판(33)을 상호 조임고정할 때 원통 내부의 공동부(2)는 체결부재(50)에 의해 채워지지 않고 유지된다. 즉, 도3, 도4, 도6 및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부재(50)는 공동부(2)의 일부만을 차지할 뿐이고 대부분의 공동부(2)는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원통 외부의 일측에서 유입된 냉각공기는 원통의 공동부(2)를 거쳐 다른 쪽 방향으로 직선으로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냉각공기의 순환이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방열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다음, 전술한 구조를 갖는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1)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각 히트싱크단위체(10)를 제조한 후에 각 히트싱크단위체(10)를 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통형상으로 구성한다. 이 때 적층하는 방법은 히트싱크단위체(10) 하나하나를 수작업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고, 전술한 특허등록 제932855호에 개시된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형상의 상하 양단부에 제1고정판(31)과 제2고정판(33)를 맞대어 안착시킨다. 이 때, 돌출부(45)를 돌출부 수용홈(12b)에 안착되어 완전한 통형상으로 정렬되며 동시에 제1결합부(41)와 제3결합부(43)가, 그리고, 제2결합부(42)와 제4결합부(44)가 결합된다. 이 때, 중앙부(11)의 상부와 제1고정판(31) 사이 또는 중앙부(11)의 하부와 제2고정판(33) 사이에 전기 및 열전도성 접착제를 더 도포할 수도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5) 및 돌출부 수용홈(12b)을 형성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제1고정판(31)과 제2고정판(33)을 체결부재(50)를 이용하여 조임고정함으로써 통형상이 견고히 유지되도록 한다.
이상, 전술한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에 따르면, 통형상의 히트싱크단위체 구성에 제1고정판 및 제2고정판을 맞대고 체결부재로 조임고정하면 되므로 히트싱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또한, 히트싱크단위체(10)과 각 고정판(31, 33)을 결합부 및 돌출부를 통하여 결합함으로써 별도의 보강부재 없이도 통형상을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통형상의 내부 공동부가 유지된 채로 조립되므로 냉각공기의 순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방열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1 :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 2 : 공동부
4 : 방열공 10 : 히트싱크단위체
11 : 중앙부 12a : 절곡부
12b : 돌출부 수용홈 13 : 방열날개
31 : 제1고정판 33 : 제2고정판
41 : 제1결합부 42 : 제2결합부
43 : 제3결합부 44 : 제4결합부
45 : 돌출부 50, 50' : 체결부재
51 : 체결스크류 52 : 체결공
53 : 결합공

Claims (10)

  1. 판 형상을 가지며, 두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전체적으로 내부에 공동부를 갖는 통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히트싱크단위체 - 상기 통형상의 상하 양단부에 대응하는 각 히트싱크단위체의 양측에는 홈 또는 돌기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된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각각 형성됨-와;
    상기 각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제3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통형상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고정판과;
    상기 제2결합부에 결합되는 제4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통형상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고정판과;
    상기 공동부가 유지된 채로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을 상호 조임고정함으로써 상기 각 히트싱크단위체들이 통형상을 견고히 유지하도록 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발광 조명구용 히트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단위체는 상기 통형상의 내측에 위치하는 중앙부와, 상기 통형상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중앙부로부터 확장된 방열면적을 가지며 연장된 방열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중앙부의 상측에,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중앙부의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히트싱크단위체가 원통형상으로 적층되는 경우,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는 각 히트싱크단위체의 동일위치에 홈 형상으로 마련되어 전체적으로 원형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3결합부 및 제4결합부는 이에 대응하여 링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의 형상은 사각, 삼각 또는 원형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며, 상기 제3결합부 및 제4결합부는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스크류로 마련되며,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의 중앙에는 체결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고정판 또는 제2고정판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마련되어 다른 하나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1고정판 또는 제2고정판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중앙부가 상기 제1고정판 또는 제2고정판과 면접촉이 가능하도록, 상기 중앙부의 상측 또는 하측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중앙부로부터 이웃하는 상기 중앙부로 절곡연장된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판, 제2고정판 또는 히트싱크단위체 중 하나 이상에는 복수의 방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판 또는 제2고정판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공동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의 상부 또는 하부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돌출부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각 고정판이 결합될 때 상기 각 히트싱크단위체가 통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고정판 및 제2고정판 사이에 마련된 봉형상의 연결부와, 상기 각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 체결되는 체결스크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
KR1020100004681A 2010-01-19 2010-01-19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 KR101047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681A KR101047757B1 (ko) 2010-01-19 2010-01-19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
PCT/KR2010/000485 WO2011090231A1 (ko) 2010-01-19 2010-01-27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681A KR101047757B1 (ko) 2010-01-19 2010-01-19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757B1 true KR101047757B1 (ko) 2011-07-07

Family

ID=44307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681A KR101047757B1 (ko) 2010-01-19 2010-01-19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47757B1 (ko)
WO (1) WO2011090231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975B1 (ko) * 2011-08-16 2012-04-19 이화진 방열천공이 형성된 방열수단을 구비한 led램프
WO2014204242A1 (ko) * 2013-06-20 2014-12-24 주식회사 엠티티 Led조명 냉각장치
KR101514555B1 (ko) * 2013-10-22 2015-04-23 민광기 방열구조가 구비된 엘이디등 및 그 조립 방법
KR101521976B1 (ko) * 2014-09-26 2015-05-20 (주)신흥티앤엘 접착제로 결합되는 엘이디 램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29546B1 (ko) * 2013-08-30 2015-06-17 주식회사 엠티티 제조가 용이한 led 조명장치의 led 조명냉각장치
KR101560700B1 (ko) * 2013-10-22 2015-10-16 민광기 엘이디등의 방열향상을 위한 방열구조
CN105135251A (zh) * 2015-08-28 2015-12-09 中山市绿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可展开散热器的筒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75150B (zh) * 2012-08-01 2015-12-30 奇鋐科技股份有限公司 散热器结构及其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5756A (ja) 1999-11-02 2001-05-18 Tdk Corp 冷却フィン
KR20090029970A (ko) * 2007-09-19 2009-03-24 하바텍 코포레이션 고효율 방열 기능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 램프 구조체 및어셈블리
KR100933990B1 (ko) 2009-05-20 2009-12-28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다운 램프용 발광다이오드형 조명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6068B2 (ja) * 1995-04-26 2002-09-17 日野自動車株式会社 放熱フィンの取付構造
KR20090002874A (ko) * 2007-07-04 2009-01-09 주식회사 디지탈파이오스 전자부품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5756A (ja) 1999-11-02 2001-05-18 Tdk Corp 冷却フィン
KR20090029970A (ko) * 2007-09-19 2009-03-24 하바텍 코포레이션 고효율 방열 기능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 램프 구조체 및어셈블리
KR100933990B1 (ko) 2009-05-20 2009-12-28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다운 램프용 발광다이오드형 조명등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975B1 (ko) * 2011-08-16 2012-04-19 이화진 방열천공이 형성된 방열수단을 구비한 led램프
WO2014204242A1 (ko) * 2013-06-20 2014-12-24 주식회사 엠티티 Led조명 냉각장치
KR101529546B1 (ko) * 2013-08-30 2015-06-17 주식회사 엠티티 제조가 용이한 led 조명장치의 led 조명냉각장치
KR101514555B1 (ko) * 2013-10-22 2015-04-23 민광기 방열구조가 구비된 엘이디등 및 그 조립 방법
KR101560700B1 (ko) * 2013-10-22 2015-10-16 민광기 엘이디등의 방열향상을 위한 방열구조
KR101521976B1 (ko) * 2014-09-26 2015-05-20 (주)신흥티앤엘 접착제로 결합되는 엘이디 램프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135251A (zh) * 2015-08-28 2015-12-09 中山市绿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可展开散热器的筒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90231A1 (ko)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757B1 (ko) 발광조명구용 히트싱크
RU2607531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TWI407049B (zh) 燈具結構
JP5628950B2 (ja) 光半導体照明装置
EP2378184B1 (en) Lamp assembly
JP6074515B2 (ja) 照明用放熱装置
KR101256865B1 (ko) 조명용 엘이디 램프
RU2644109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ветильник
KR101032498B1 (ko) 냉각장치
US11293632B2 (en) Lamp and light source substrate thereof
TW201207316A (en) Lamp and lamp envelope thereof
JP3177425U (ja) Ledランプの発光源モジュール
TWI353430B (ko)
KR101199402B1 (ko) 조명 장치
KR20170031374A (ko) Led 램프
US20150323167A1 (en) Bulb-type lighting apparatus
KR200463074Y1 (ko) 열방출 구조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엘이디 등기구
JP3183349U (ja) 組立式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の構造
KR101791575B1 (ko) 적층형 히트싱크 및 이를 적용한 엘이디 램프 모듈
RU2464489C2 (ru) Светодиодное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узел источников излучения для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6191910B2 (ja) ランプ
CN103697344A (zh) 灯具
KR200470636Y1 (ko) 고천장 조명용 컨버터 내장형 led 램프
KR101421011B1 (ko) 엘이디 조명 장치
KR101218729B1 (ko) 발광 모듈용 방열기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