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47481B1 - 차축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축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481B1
KR101047481B1 KR1020090080050A KR20090080050A KR101047481B1 KR 101047481 B1 KR101047481 B1 KR 101047481B1 KR 1020090080050 A KR1020090080050 A KR 1020090080050A KR 20090080050 A KR20090080050 A KR 20090080050A KR 101047481 B1 KR101047481 B1 KR 101047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circumferential surface
inner ring
outer ring
n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449A (ko
Inventor
송재명
여인준
백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to KR102009008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4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22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48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6Hubs adapted to be fixed on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30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 B60B2310/305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와 휠이 장착되는 허브 및 이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허브베어링을 구비한 차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축 조립체는, 내주면에 제1외륜궤도와 제2외륜궤도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차체에 연결된 외륜, 외주면에 상기 제1외륜궤도와 대응하여 제1내륜궤도가 형성되고 외측이 휠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허브, 상기 허브의 회전중심부에 형성된 홀의 내주면 안으로 압입되고, 상기 제2외륜궤도와 대응하여 그 내측의 외주면에 제2내륜궤도가 형성된 내륜, 및 상기 제1외륜궤도와 상기 제1내륜궤도 사이 및 상기 제2외륜궤도와 상기 제2내륜궤도 사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외륜에 대해서 상기 허브와 상기 내륜이 함께 상대 회전하도록 하는 구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 베어링, 내륜, 외륜

Description

차축 조립체{AXLE ASSEMBLY}
본 발명은 차축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디스크와 휠이 장착되는 허브 및 이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허브베어링을 구비한 차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축은 부착되어 있는 바퀴를 통해 차의 무게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륜 차축과,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종동륜 차축으로 구분 된다.
또한, 현가방식에 따라 좌/우 바퀴를 1개의 차축으로 결합한 일체식 차축과, 좌/우 바퀴가 각각 별개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는 분할식 차축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동륜 차축은 엔진에서 변속기 및 종감속기어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역할과, 노면에서 받는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의 힘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전륜 구동차의 앞차축이나 후륜 구동차의 뒤차축이 여기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종동륜 차축은 노면에서 받는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의 힘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륜 구동차의 뒤차축이나 후륜 구동차의 앞차축이 여기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차축은 허브를 통해 바퀴의 휠과 연결되게 있는 바, 상기 허브의 내측단부에는 먼지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카바가 씌워져 있다.
한편, 상기 허브는 허브베어링을 통해서 휠과 함께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데, 상기 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허브베어링의 조립구조는 견고해야 하고, 그 내구성이 높아야 한다.
또한, 허브베어링의 내륜을 상기 허브에 압입하고, 상기 내륜의 내측 가장자리를 오비탈포링하여 상기 허브에 고정하는 경우, 상기 내륜의 형상이나 그 치수가 변하여 정밀도와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조립구조를 갖고 있어서 견고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차축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허브에 내륜을 장착하고 고정할 때, 내륜의 형상이나 치수가 정밀하게 유지되어 조립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내구성이 향상된 차축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축 조립체는, 내주면에 제1외륜궤도와 제2외륜궤도가 각각 형성되고, 차체에 연결된 외륜, 외주면에 상기 제1외륜궤도와 대응하여 제1내륜궤도가 형성되고 외측이 휠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허브, 상기 허브의 회전중심부에 형성된 홀의 내주면 안으로 압입되고, 상기 제2외륜궤도와 대응하여 그 내측의 외주면에 제2내륜궤도가 형성된 내륜, 및 상기 제1외륜궤도와 상기 제1내륜궤도 사이 및 상기 제2외륜궤도와 상기 제2내륜궤도 사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외륜에 대해서 상기 허브와 상기 내륜이 함께 상대 회전하도록 하는 구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허브의 내주면에는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그 내경이 커지도록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허브의 내주면으로 삽입된 상기 내륜의 그 단부면은 상기 단차에 의해서 형성된 제1대응면과 설정된 갭(G)이 형성되도록 압입되고, 상기 허브의 단부면과 상기 내륜의 외주면에 형성된 단차면 사이에는 밀착면(330)이 형성되며, 상기 제1대응면과 상기 단부면 사이에 갭(G)이 줄어들도록 조여지는 조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임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허브와 상기 내륜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구름부재에 형성되는 프리로드(pre load)를 조절하여 상기 내륜을 상기 허브에 장착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허브의 외주면의 외측에 회전방향으로 형성되고 허브볼트 장착홀이 형성된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휠, 상기 플랜지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디스크, 상기 휠, 상기 플랜지의 허브볼트 장착홀, 및 상기 디스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허브볼트, 상기 허브볼트의 내측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휠을 상기 허브에 고정하는 휠너트, 및 상기 허브볼트의 외측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허브에 상기 디스크를 고정하는 디스크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볼트가 관통하는 허브볼트 장착홀의 내주면에는 그 직경이 작아지는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허브볼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단차와 대응하여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허브볼트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는 상기 디스크너트에는, 상기 디스크너 트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상기 허브볼트의 중심부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제1너트경사면이 둘레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너트경사면과 대응하여 상기 디스크의 내측면에는 제1경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허브볼트의 타측 단부에 체결되는 상기 휠너트에는, 상기 휠너트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상기 허브볼트의 중심부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제2너트경사면이 둘레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너트경사면과 대응하여 상기 휠의 외측면에는 제2경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가 체결되는 상기 플랜지의 내측면에서, 상기 플랜지에 체결되는 상기 허브볼트 주위로 보강부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는 상기 보강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허브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허브볼트는 상기 허브의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허브볼트 장착홀에 압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허브볼트 장착홀의 내주면과 상기 허브볼트가 접하는 면은 널링(knurling)가공될 수 있다.
상기 외륜은 너클을 통해 상기 차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너클에 장착되는 더스트커버, 및 상기 외륜과 상기 더스트커버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더스트커버와 상기 외륜을 상기 너클에 고정하는 고정볼트;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의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상기 허브볼트 장착홀들은 상기 허브의 회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허브볼트 장착홀들 사이에 스페어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임부재는, 상기 허브의 회전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홀과 상기 내륜의 회전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허브와 상기 내륜을 고정하고 그들 내부에 프리로드를 가변시키는 조임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륜의 내주면, 상기 허브의 내주면, 및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스플라인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허브에 상기 내륜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허브의 내주면과 상기 내륜의 내주면에 스플라인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축 조립체에서, 내륜이 허브에 견고하게 삽입되어 내구성과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내륜은 허브에 프리로드가 형성되도록 조립됨으로써 허브베어링의 구름안정성이 향상되고 소음이 감소된다.
또한, 허브에 삽입되는 내륜의 그 단부면이 제1대응면과 갭을 두고 조립되고, 그 갭을 줄여가면서 조립함으로써 조립정밀도를 높이고 프리로드(pre load)의 양을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플랜지를 관통하는 허브볼트 장착홀의 내주면에 제2대응면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여 허브볼트의 외주면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허브볼트가 더욱 견고하게 지지된다.
또한, 디스크를 플랜지에 고정하는 디스크너트에 제1너트경사면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여 디스크에 경사홈을 형성함으로서, 조립정밀도를 높이고 견고함을 향상시킨다.
또한, 디스크가 장착되는 플랜지의 내측면에는 허브볼트가 주위로 보강부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디스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되, 상기 보강부들 사이에는 빈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킨다.
뿐만 아니라, 허브에 내륜을 압입하여 조립하고, 상기 내륜을 오비탈포밍하여 상기 내륜을 상기 허브에 고정할 때 발생되는 상기 내륜의 형상이나 치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립정밀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브와 허브베어링을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브와 허브베어링을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를 외측에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축 조립체는 너클(100), 더스트커버(110), 외륜(120), 내륜(130), 고정볼트(140), 허브(150), 플랜지(160), 허브볼트(170), 디스크너트(180), 및 브레이크 디스크(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허브(150)와 상기 내륜(130)의 회전중심부에 형성된 홀의 내주면에는 스플라인(195)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60)에는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관통하는 허브볼트 장착홀(197)들이 형성된다.
상기 너클(100)은 차체와 연결되고, 상기 더스트커버(110)와 상기 외륜(120)이 상기 너클(100)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볼트(140)는 상기 외륜(120)과 상기 더스트커버(110)를 상기 너클(100)에 고정시킨다.
상기 허브(150)의 회전중심부에 형성된 홀 안으로 상기 내륜(130)이 삽입되고, 상기 내륜(130)의 외주면이 상기 허브(15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허브(150)는 허브베어링에서 회전하는 구조로, 상기 허브베어링은 상기 내륜(130)과 상기 외륜(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허브(150)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플랜지(160)의 외측면으로 휠(400, 도 4)이 장착되고, 상기 휠(400)과 함께 상기 허브(150)와 상기 내륜(130)은 상기 너클에 고정된 상기 외륜(120)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허브(150)와 상기 내륜(130)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외륜(120)과 상기 허브(150) 및 상기 외륜(120)과 상기 내륜(130) 사이에는 볼과 같은 구름부재가 개재된다.
상기 허브(150)의 외주면에 그 회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기 플랜지(160)에는 회전중심부를 기준으로 그 회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허브볼트 장착홀(197)이 형성되고, 상기 허브볼트 장착홀(197)로 상기 허브볼트(170)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플랜지(160)의 외측면으로 상기 휠(400, 도 4)이 장착되고, 상기 플랜지(160)의 내측면으로 상기 디스크(190)가 장착되며, 상기 디스크너트(180)는 상기 허브볼트(170)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디스크(190)를 상기 플랜지(160)의 내측면에 고정한다.
상기 허브볼트 장착홀(197)들 사이에는 스페어홀(200)이 형성되며, 상기 스페어홀(200)은 상기 플랜지(160) 또는 상기 디스크(190)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키고 부품의 중량을 감소시킨다.
아울러, 상기 더스트커버(110)와 상기 외륜(120)을 상기 너클(10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스페어홀(200)을 통해서 상기 고정볼트(140)가 삽입되어 이들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브와 허브베어링을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에서 허브베어링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허브(150)의 회전중심부에 형성된 홀 안으로 상기 내륜(13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내륜(130)은 상기 허브(150)의 내주면(340b)으로 압입되어 고정된 상태이므로 그 결합구조는 견고하다. 따라서, 상기 허브(150)의 내주면(340b)과 상기 내륜(130)의 외주면(340a)은 서로 밀착 고정되어 상기 허브(150)와 상기 내륜(130)은 함께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외륜(120)의 내주면의 외측에는 제1외륜궤도(310a)가 형성되고, 내주면의 내측에는 제2외륜궤도(310b)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허브(15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외륜궤도(310a)와 대응하는 부분에 제1내륜궤도(320a)가 형성되고, 상기 내륜(1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외륜궤도(310b)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내륜궤도(320b)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2외륜궤도가 형성되어 있으나, 제1외륜궤도 및 제2외륜궤도 중 하나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외륜궤도(310a)와 상기 제1내륜궤도(320a) 사이에 제1구름부재(350a)가 개재되고, 상기 제2외륜궤도(310b)와 상기 제2내륜궤도(320b) 사이에 제2구름부재(350b)가 개재된다.
상기 허브(150)와 상기 내륜(130)을 고정하는 조임부재(300)가 구비되며, 상기 조임부재(300)는 샤프트(300a)와 조임너트(3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300a)는 상기 허브(150)와 상기 내륜(130)의 회전중심부를 관통하고, 상기 샤프트(300a)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상기 허브(150)와 상기 내륜(1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플라인(195)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플라인(195)은 그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허브(150)와 상기 내륜(130)이 조립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샤프트(300a)의 외측단부에 장착되는 상기 조임너트(300b)를 조임으로써 상기 내륜(130), 상기 허브(150), 또는 상기 구름부재(350a, b)는 탄성압축되어 내부에 프리로드(pre load)가 조절된 상태로 서로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허브(150)에 상기 내륜(130)이 압입될 때, 설정된 수치로 내부에 프리로드가 형성되지만, 상기 조임너트(300b)를 이용하여 그 프리로드의 크기를 조절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허브(150)의 내주면(340b)에는 외측에서 내 측 방향으로 그 내경이 커지도록 단차가 형성되고, 그 단차부에는 제1대응면(360a)이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륜(130)이 상기 허브(150)에 삽입될 때, 상기 허브(150)와 상기 내륜이 밀착되는 밀착면(330)이 형성되도록 조립되되, 삽입된 상기 내륜(130)의 단부면(360b)은 상기 제1대응면(360a)과 설정된 갭(G)을 두고 조립된다.
상기 허브(150)와 상기 내륜(130)이 상기 제1,2구름부재(350a, 350b)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륜(120)과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300a)의 외측단부에 장착되는 상기 조임너트(300b)를 조이면, 상기 갭(G)이 줄어들거나 상기 단부면(360b)이 상기 제1대응면(360a)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갭(G)이 줄어들면서 상기 허브(150), 상기 내륜(130), 또는 상기 구름부재(250a, b)는 탄성압축되고 그 내부에 프리로드(pre load) 즉, 압축응력(stress)이 형성된 상태에서 허브베어링이 작동된다.
상기 조임너트(300b)를 이용하여 상기 갭(G)을 줄여가면서 조립함으로써 조립정밀도를 높이고 상기 허브(150)와 상기 내륜(130) 사이에 형성되는 프리로드(pre load)의 양을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허브(150)와 상기 내륜(130) 사이, 상기 제1외륜궤도(310a)와 상기 제1내륜궤도(320a) 사이, 및 상기 제2외륜궤도(310b)와 상기 제2내륜궤도(320b) 사이에 프리로드(pre load)가 조절된 상태에서 조립이 완료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소음이 저감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륜(120)과 상기 허브(150) 사이에 프리로드가 형성되지 않거나 조절되지 않으면 상기 제1구름부재(350a)와 상기 제1외륜궤도(310a) 사이 또는 상기 제1구름부재(350a)와 상기 제1내륜궤도(320a) 사이에 미세 틈이 형성되어 전체적인 조립구조가 헐거워져 내구성이 줄어들고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외륜궤도(310a)와 상기 제2외륜궤도(310b)는 상기 내륜(130)의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제1구름부재(350a)와 상기 제2구름부재(350b)는 상기 제1외륜궤도(310a) 및 상기 제2외륜궤도(310b)와 대응하여 상기 내륜(130)의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2구름부재(350a, 350b)는 스틸재질의 볼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1,2구름부재(350a, 350b)와 상기 궤도들(310a, 310b, 320a, 320b) 사이에 프리로드(pre load)가 형성되므로 구름안정성이 향상되고, 소음이 저감된다.
아울러, 상기 내륜(130)을 상기 허브(150) 안으로 삽입후 고정할 때, 상기 내륜(130)이나 상기 허브(150)의 단부를 절곡하는 코킹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절곡되는 부분의 주위의 치수가 변경되어 치수공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절곡이나 코킹작업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치수공차가 커지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브와 허브베어링을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에서 플랜지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허브(150)와 일체로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160)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상기 허브볼트 장착홀(197)이 형성되고, 상기 허브볼트 장착홀(197)을 통해서 상기 허브볼트(170)가 장착된다.
상기 허브볼트(170)의 내측단부는 상기 플랜지(16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허브볼트(170)의 외측단부는 상기 플랜지(160)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허브볼트 장착홀(197)의 내주면에는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그 내경이 좁아지도록 단차가 형성되고, 그 단차부에 제2대응면(410a)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허브볼트(17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대응면(410a)과 대응하여 걸림턱(410b)이 외주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허브볼트(170)는 상기 플랜지(160)의 상기 허브볼트 장착홀(197)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상기 플랜지(160)의 내측면에는 상기 디스크(190)가 장착되고, 상기 플랜지(160)의 외측면에는 상기 휠(400)이 장착되며, 상기 허브볼트(170)는 상기 휠(400), 상기 플랜지(160)의 상기 허브볼트 장착홀(197), 및 상기 디스크(19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허브볼트(170)의 안쪽 단부에는 상기 디스크너트(180)가 장착되어 상기 디스크(190)를 상기 플랜지(160)에 고정하고, 상기 허브볼트(170)의 바깥쪽 단부에는 휠너트(430)가 장착되어 상기 휠(400)을 상기 플랜지(160)에 고정한다.
상기 디스크너트(180)에는, 상기 디스크너트(180)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그 중심부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제1너트경사면(420a)이 그 둘레방향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너트경사면(420a)과 대응하여 상기 디스크(190)에는 제1경사홈(420b)이 형성된다.
상기 휠너트(430)에는, 상기 휠너트(430)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그 중심부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제2너트경사면(440a)이 그 둘레방향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너트경사면(440a)과 대응하여 상기 휠(400)에는 제2경사홈(440b)이 형성된 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너트경사면(420a)과 상기 제1경사홈(420b)의 구조로 인하여 상기 디스크(190)는 상기 플랜지(160)에 더욱 정밀하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제2너트경사면(440a)과 상기 제2경사홈(440b)의 구조로 인하여 상기 휠(400)은 상기 플랜지(160)에 더욱 정밀하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이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하고, 이들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허브볼트 장착홀(197)의 내주면 또는 상기 허브볼트 장착홀(197)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상기 허브볼트(170)의 외주면은 널링가공되어 이들 사이의 조립구조를 견고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브와 허브베어링을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에서 허브베어링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너클(100)에 상기 더스트커버(110)와 상기 외륜(120)이 장착되고, 상기 고정볼트(140)는 상기 외륜(120)과 상기 더스트커버(110)를 관통하여 상기 너클(100)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외륜(120)과 상기 더스트커버(110)를 상기 너클(100)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볼트(140)는 육각렌치 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브와 허브베어링을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를 내측에서 보여주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허브(150)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플랜지(160)의 내측면에 상기 디스크(190)가 장착되는데, 상기 플랜지(160)를 관통하는 상기 허브볼트 장착홀(197) 주위에 상기 보강부(600)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600)는 상기 허브볼트 장착홀들과 대응하여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기 플랜지(16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190)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서로 인접한 상기 보강부(600)들 사이에는 빈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190)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킨다.
아울러, 서로 인접한 상기 보강부(600) 사이 상기 플랜지(160)에 상기 스페어홀(20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허브(150)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디스크(190)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킨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브와 허브베어링을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브와 허브베어링을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를 외측에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브와 허브베어링을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에서 허브베어링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브와 허브베어링을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에서 플랜지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브와 허브베어링을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에서 허브베어링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브와 허브베어링을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를 내측에서 보여주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Claims (16)

  1. 내주면에 제1외륜궤도와 제2외륜궤도가 각각 형성되고, 차체에 연결된 외륜;
    외주면에 상기 제1외륜궤도와 대응하여 제1내륜궤도가 형성되고 외측이 휠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허브;
    상기 허브의 회전중심부에 형성된 홀의 내주면 안으로 압입되고, 상기 제2외륜궤도와 대응하여 그 내측의 외주면에 제2내륜궤도가 형성된 내륜; 및
    상기 제1외륜궤도와 상기 제1내륜궤도 사이 및 상기 제2외륜궤도와 상기 제2내륜궤도 사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외륜에 대해서 상기 허브와 상기 내륜이 함께 상대 회전하도록 하는 구름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허브의 내주면에는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그 내경이 커지도록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허브의 내주면으로 삽입된 상기 내륜의 그 단부면은 상기 단차에 의해서 형성된 제1대응면과 설정된 갭(G)이 형성되도록 압입되고, 상기 허브의 단부면과 상기 내륜의 외주면에 형성된 단차면 사이에는 밀착면(330)이 형성되며,
    상기 제1대응면과 상기 단부면 사이에 갭(G)이 줄어들도록 조여지는 조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임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허브와 상기 내륜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구름부재에 형성되는 프리로드(pre load)를 조절하여 상기 내륜을 상기 허브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외주면의 외측에 회전방향으로 형성되고 허브볼트 장착홀이 형성된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휠;
    상기 플랜지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디스크;
    상기 휠, 상기 플랜지의 허브볼트 장착홀, 및 상기 디스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허브볼트;
    상기 허브볼트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휠을 상기 허브에 고정하는 휠너트; 및
    상기 허브볼트의 타측에 체결되어 상기 허브에 상기 디스크를 고정하는 디스크너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조립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볼트가 관통하는 허브볼트 장착홀의 내주면에는 그 직경이 작아지 는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허브볼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단차와 대응하여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조립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볼트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는 상기 디스크너트에는,
    상기 디스크너트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상기 허브볼트의 중심부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제1너트경사면이 둘레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너트경사면과 대응하여 상기 디스크의 내측면에는 제1경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조립체.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볼트의 타측 단부에 체결되는 상기 휠너트에는,
    상기 휠너트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상기 허브볼트의 중심부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제2너트경사면이 둘레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너트경사면과 대응하여 상기 휠의 외측면에는 제2경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조립체.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가 체결되는 상기 플랜지의 내측면에서, 상기 플랜지에 체결되는 상기 허브볼트 주위로 보강부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는 상기 보강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허브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조립체.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볼트는 상기 허브의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허브볼트 장착홀에 압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허브볼트 장착홀의 내주면과 상기 허브볼트가 접하는 면은 널링(knurling)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조립체.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은 너클을 통해 상기 차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조립체.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너클에 장착되는 더스트커버; 및
    상기 외륜과 상기 더스트커버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더스트커버와 상기 외륜을 상기 너클에 고정하는 고정볼트; 를 더 포함하는 차축 조립체.
  12.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상기 허브볼트 장착홀들은 상기 허브의 회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허브볼트 장착홀들 사이에 스페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조립체.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을 상기 차체에 고정하는 고정볼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볼트의 장착은 상기 스페어홀을 통해서 수행되는 차축조립체.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는,
    상기 허브의 회전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홀과 상기 내륜의 회전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허브와 상기 내륜을 고정하고 그들 내부에 프리로드를 가변시키는 조임너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조립체.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륜의 내주면, 상기 허브의 내주면, 및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스플라인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조립체.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에 상기 내륜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허브의 내주면과 상기 내륜의 내주면에 스플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조립체.
KR1020090080050A 2009-08-27 2009-08-27 차축 조립체 Expired - Fee Related KR101047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050A KR101047481B1 (ko) 2009-08-27 2009-08-27 차축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050A KR101047481B1 (ko) 2009-08-27 2009-08-27 차축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449A KR20110022449A (ko) 2011-03-07
KR101047481B1 true KR101047481B1 (ko) 2011-07-07

Family

ID=43930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050A Expired - Fee Related KR101047481B1 (ko) 2009-08-27 2009-08-27 차축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4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267B1 (ko) * 2012-08-10 2014-04-08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더스트쉴드를 갖는 허브베어링
KR101728024B1 (ko) * 2015-06-02 2017-04-18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휠 허브, 브레이크 디스크, 및 이를 구비한 휠 베어링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423B1 (ko) * 2011-10-26 2013-10-28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차축 어셈블리
KR101327941B1 (ko) * 2011-11-23 2013-11-13 주식회사 일진베어링 휠 베어링 조립체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WO2013100285A1 (ko) * 2011-12-26 2013-07-04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휠 베어링 체결 구조
KR101338447B1 (ko) * 2011-12-26 2013-12-10 주식회사 일진베어링 휠 베어링 체결 구조
EP2835272A4 (en) * 2012-04-06 2017-06-28 Il Jin Global Co., Ltd. Structure and method for coupling wheel bearings
KR101885142B1 (ko) * 2016-08-19 2018-08-03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휠베어링 조립체
KR101965816B1 (ko) * 2018-01-03 2019-04-05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베어링 허브와 브레이크 디스크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KR102222500B1 (ko) * 2020-03-02 2021-03-03 서한산업(주) 더스트 커버와 휠 지지체의 조립체
CN112157429B (zh) * 2020-10-31 2024-07-19 新昌县林泉轴承有限公司 一种高速高承载的轮毂轴承单元及其装配方法
KR102251897B1 (ko) * 2021-02-17 2021-05-13 서한산업(주) 더스트 커버와 휠 지지체의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5032A (ja) * 1983-05-04 1984-11-20 Hosei Brake Kogyo Kk デイスクブレ−キ用樹脂製ダストカバ−の取付装置
JP2002070882A (ja) * 2000-08-31 2002-03-08 Ntn Corp 駆動車輪用軸受装置
JP2004116716A (ja) * 2002-09-27 2004-04-15 Koyo Seiko Co Ltd 転がり軸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5032A (ja) * 1983-05-04 1984-11-20 Hosei Brake Kogyo Kk デイスクブレ−キ用樹脂製ダストカバ−の取付装置
JP2002070882A (ja) * 2000-08-31 2002-03-08 Ntn Corp 駆動車輪用軸受装置
JP2004116716A (ja) * 2002-09-27 2004-04-15 Koyo Seiko Co Ltd 転がり軸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267B1 (ko) * 2012-08-10 2014-04-08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더스트쉴드를 갖는 허브베어링
KR101728024B1 (ko) * 2015-06-02 2017-04-18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휠 허브, 브레이크 디스크, 및 이를 구비한 휠 베어링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449A (ko) 2011-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481B1 (ko) 차축 조립체
KR101451155B1 (ko) 드라이브샤프트의 장착구조
KR102120391B1 (ko) 차량의 액슬 구동장치
JP5250942B2 (ja) 車輪用転がり軸受装置
JP6007655B2 (ja) 車輪用軸受装置
KR101338447B1 (ko) 휠 베어링 체결 구조
JP2006112532A (ja) 車輪用軸受装置
KR101322423B1 (ko) 차축 어셈블리
KR20080026818A (ko) 리어 액슬 어셈블리 및 리어 액슬 어셈블리의 조립방법
KR20060095124A (ko) 종동륜의 차축 조립체
JP2018197598A (ja) 駆動輪用ハブユニット
JP2007326503A (ja) 駆動車輪用軸受装置
KR20120075016A (ko) 허브볼트 및 이를 구비한 휠 베어링 조립체
JP2010058594A (ja) 車軸用軸受の締結構造
KR20140055751A (ko)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와 허브 연결구조
US20060192423A1 (en) Axle assembly of driving wheel
KR20210033632A (ko) 차량 구동륜의 허브와 베어링 체결구조
JP6295599B2 (ja) ホィールカバーダンパ
KR101322428B1 (ko) 휠 베어링 체결 구조
JP4436386B2 (ja) 車輪用軸受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輪用軸受装置
JP2007069704A (ja) 駆動車輪用軸受装置
KR20060108280A (ko) 브레이크 디스크 및 그 조립방법
JP3927471B2 (ja) 駆動車輪用軸受装置
JP2008082348A (ja) 車輪用転がり軸受装置
JPH0673459U (ja) 車輪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