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44445B1 - 돈사 순환형 친환경 돈분뇨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돈사 순환형 친환경 돈분뇨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445B1
KR101044445B1 KR20110016209A KR20110016209A KR101044445B1 KR 101044445 B1 KR101044445 B1 KR 101044445B1 KR 20110016209 A KR20110016209 A KR 20110016209A KR 20110016209 A KR20110016209 A KR 20110016209A KR 101044445 B1 KR101044445 B1 KR 101044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anaerobic
solid
microorganisms
treated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10016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용
김동진
Original Assignee
김선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용 filed Critical 김선용
Priority to KR20110016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44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사에 별도의 난방이 필요 없고 친환경적으로 가축사의 분뇨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돈사(1)의 바닥판(2)을 통공(3)이 형성된 구조로 하고 돈사(1)의 바닥(5)은 돼지 분뇨가 모이도록 구성된 발효조(10)와, 발효조(10)에서 인출된 돼지 분뇨에서 고형물을 분리하는 고액분리장치(40)와, 고형물이 분리된 뇨폐수를 혐기성 미생물과 호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처리하는 생물반응기(50)와, 생물반응기에서 처리된 뇨 일부를 고액분리장치(40)로 공급하여주는 미생물분리장치(58)와, 미생물분리장치(58)에서 유입되는 처리수를 수용함과 아울러 이를 발효조(10)로 반송시키는 미생물저장조(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고액분리장치(40)에는 공기를 주입하여 분뇨에 부유하는 고형물을 상등시켜 제거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생물반응기(50)는, 고액분리장치(40)로 부터 처리수를 받아 혐기성 미생물로 탈질 처리하는 무산소조(51)와, 무산소조(51)로 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폭기장치(52)와 산소측정기(54)가 구성된 곳에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분해 반응을 시키는 폭기조(53)와, 상기 폭기조(53)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탈포장치(55)와, 상기 폭기조(53)로 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재차 혐기성 미생물로 탈질처리하는 제2무산소조(56)와, 상기 제2무산소조(56)로 부터 유입되는 폐수를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 분해처리하는 제2폭기조(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처리 방법상 특징은, 돈사(1)의 바닥판(2)을 통공(3)이 형성된 구조로 하고 돈사(1)의 바닥(5)은 돼지 분뇨가 모이도록 구성된 발효조(10)에 미생물을 투입하여 돈분뇨를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발효조(10)에서 인출한 돼지 분뇨에서 고형물을 분리하는 고액분리단계; 고형물이 분리된 뇨폐수를 혐기성 미생물과 호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생물반응기로 탈질 및 유기물 분해처리하는 생물반응 처리단계; 생물반응기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미생물분리장치(58)에 저장하고 그 처리수를 고액분리장치(40)로 공급하여주는 미생물공급단계; 미생물분리장치(58)에서 유입되는 처리수를 미생물저장조(59)에 저장하고, 아울러 이를 발효조(10)로 반송시키는 미생물 반송 주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고액분리단계는, 고액분리장치(40)에서 처리되되, 고액분리장치(40) 내에는 공기를 주입하고 이공기를 임펠러를 갖춘 회전체에 의한 회전으로 주입된 공기의 공기방울이 미세하게 뽀개어져 그 미세하게 쪼개어진 기포가 분뇨에 부유하는 고형물을 감싸 그 고형물을 상등시켜 제거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생물반응처리단계는, 고액분리장치(40)로 부터 처리수를 받아 무산소조(51)에서 혐기성 미생물로 탈질 처리하는 혐기성미생물 처리단계와; 무산소조(51)로 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폭기장치(52)와 산소측정기(54)가 구성된 폭기조(53)에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분해 반응을 시키는 호기성미생물 처리단계와, 상기 폭기조(53)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탈포장치(55)에서 제거하는 탈포단계와; 상기 폭기조(53)로 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제2무산소조(56)에서 재차 혐기성 미생물로 탈질처리하는 2차 혐기성미생물 처리단계와; 상기 제2무산소조(56)로 부터 유입되는 폐수를 제2폭기조(57)에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 분해처리하는 2차 호기성미생물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돈사 순환형 친환경 돈분뇨 처리 장치 및 방법{pig night soil treating apparatus of environment circulation-type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축산 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돈사에 적용되는 친환경 타입의 돈분뇨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축분뇨 처리방법은 수거하여 처리하거나 또는 개별로 축산 폐수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자연순환 공법인 액비 제조 방법과 정화하여 방류하는 방법이 있다
개별처리방법은, 구조상 예를 들어 종래의 돼지 축사 경우,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상의 돈사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통공이 형성된 바닥판이 깔려 있어 이 통공을 통하여 돈분뇨가 아래로 떨어져 모인다
이런 구조 경우, 돈사에서 뇨를 배출한 후 상부에 잔류하는 분은 긁어서 내려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고 집수조에 모아 약품처리하여 방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잔류하는 분뇨로 인해 암모니아 등의 악취가 매우 심하여 가축이 질병에 취약하게 되어 쉽게 질병에 걸린다
이러한 악취원인 물질인 메탄가스, 유화수소, 메틸멜캅탄 등의 가스를 지속적으로 환기 하는 과정에서 동절기에는 많은 난방비가 소요되며 악취로 인한 민원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돈분뇨 처리를 위한 약품이 사용되므로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고액 분리시 돈분의 고형분 및 슬러지가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돈분 처리는 매우 큰 문제이기도 하다
그리고 종래 연속식 처리 장치의 경우, 고농도의 유기물 돈분뇨를 인출하여 순차 저농도로 처리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이송 처리하는데, 이 경우, 혐기성과 호기성 발효가 복합되어 부하가 많이 걸린다. 즉, 호기성 미생물을 투여하여도 미생물의 성장이 불량하고 산소부족으로 혐기성 상태로 되며, 유독한 악취 냄새와 함께 거품이 대량 발생하는 트러블이 생기며 처리기간이 25일 내지 30일의 장기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그 넘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고가의 소포제를 투입하고 또 수분조절제로 톱밥 및 왕겨를 투입하여 퇴비화하는데 이로 인해 처리 비용도 많이 들게 된다.
그리고, 종래 축분뇨를 이용한 액비 제조 공정의 전형적인 예는 돈 분뇨에 함유된 분과 뇨(약 1:9)를 분리하는 고액분리 과정에서 중금속이 다량 함유된 응집제등의 화공약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내에는 약품이 함유되어 있어 퇴비로의 이용이 어렵고, 약품을 사용하지 않는 액비 제조 공정은 돈분뇨 내에 유기물의 농도가 높아 부패가 됨에 따른 악취 발생에 따른 액비 이용에 많은 제약이 따르고 후공정에서는 일반적으로 단순한 호기성 소화에 의한 유기물 분해를 함으로써 제조 과정에서 산소 공급에 많은 전력비가 소요되고 과잉의 기포가 발생하여 외부로 유출되어 악취 발생과 민원 문제가 따르고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 돈사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돈분 저장탱크를 미생물 활성화조로 활용하여 돈분처리 시설의 일부로 활용하여, 돈분뇨 처리에 약품이 전혀 사용되지 않고 돈사 내부를 악취가 없고 쾌적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미생물의 유기물 분해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돈사 내부 바닥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함 으로서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돼지 사육 및 폐수처리 방법과 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겨울철 난방이 전혀 필요 없는 가축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구성에 대하여 상술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돈사(1)의 바닥판(2)을 통공(3)이 형성된 구조로 하고 돈사(1)의 바닥(5)은 돼지 분뇨가 모이도록 구성된 발효조(10)와, 발효조(10)에서 인출된 돼지 분뇨에서 고형물을 분리하는 고액분리장치(40)와, 고형물이 분리된 뇨폐수를 혐기성 미생물과 호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처리하는 생물반응기(50)와, 생물반응기에서 처리된 뇨 일부를 고액분리장치(40)로 공급하여주는 미생물분리장치(58)와, 미생물분리장치(58)에서 유입되는 처리수를 수용함과 아울러 이를 발효조(10)로 반송시키는 미생물저장조(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고액분리장치(40)는 가압부상실(100)과, 가압부상실(100) 내에 설치되는 임펠러(8)와, 임펠러(8)와 연결되며 몸체 외주에 통공(111)을 형성하는 회전축(17)과, 회전축(17)을 회전시키는 모터(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생물반응기(50)는, 고액분리장치(40)로 부터 처리수를 받아 혐기성 미생물로 탈질 처리하는 무산소조(51)와, 무산소조(51)로 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폭기장치(52)와 산소측정기(54)가 구성된 곳에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분해 반응을 시키는 폭기조(53)와, 상기 폭기조(53)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탈포장치(55)와, 상기 폭기조(53)로 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재차 혐기성 미생물로 탈질처리하는 제2무산소조(56)와, 상기 제2무산소조(56)로 부터 유입되는 폐수를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 분해처리하는 제2폭기조(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처리 방법상 특징은, 돈사(1)의 바닥판(2)을 통공(3)이 형성된 구조로 하고 돈사(1)의 바닥(5)은 돼지 분뇨가 모이도록 구성된 발효조(10)에 미생물을 투입하여 돈분뇨를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발효조(10)에서 인출한 돼지 분뇨에서 고형물을 분리하는 고액분리단계; 고형물이 분리된 뇨폐수를 혐기성 미생물과 호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생물반응기로 탈질 및 유기물 분해처리하는 생물반응 처리단계; 생물반응기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미생물분리장치(58)에 저장하고 그 처리수를 고액분리장치(40)로 공급하여주는 미생물공급단계; 미생물분리장치(58)에서 유입되는 처리수를 미생물저장조(59)에 저장하고, 아울러 이를 발효조(10)로 반송시키는 미생물 반송 주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고액분리단계는, 고액분리장치(40)에서 처리되되, 고액분리장치(40) 내에는 공기를 주입하고 이공기를 임펠러를 갖춘 회전체에 의한 회전으로 주입된 공기의 공기방울이 미세하게 뽀개어져 그 미세하게 쪼개어진 기포가 분뇨에 부유하는 고형물을 감싸 그 고형물을 상등시켜 제거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생물반응처리단계는, 고액분리장치(40)로 부터 처리수를 받아 무산소조(51)에서 혐기성 미생물로 탈질 처리하는 혐기성미생물 처리단계와; 무산소조(51)로 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폭기장치(52)와 산소측정기(54)가 구성된 폭기조(53)에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분해 반응을 시키는 호기성미생물 처리단계와, 상기 폭기조(53)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탈포장치(55)에서 제거하는 탈포단계와; 상기 폭기조(53)로 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제2무산소조(56)에서 재차 혐기성 미생물로 탈질처리하는 2차 혐기성미생물 처리단계와; 상기 제2무산소조(56)로 부터 유입되는 폐수를 제2폭기조(57)에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 분해처리하는 2차 호기성미생물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약품이 전혀 사용되지 않아 친환경적인 돈분뇨처리가 가능하며, 처리된 처리수는 화학 약품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액비로 활용 가능하다
또한 돈사 저부가 발효조로 구성되어 겨울철에도 축사의 보온을 위한 별도의 난방비가 소요되지 않아 매우 경제적이어서 원가 절감에 크게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돈사 저부에의 발효조의 구성에 의해 돈사 내부에 발생되는 악취가 제거될 수 있어 가축이 쾌적한 환경에서 자랄 수 있어 가축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아 더욱 품질 좋은 고기를 양산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를 예시하는 도면
도 2 는 고액분리장치에 대한 한 구성예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추가로 상술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돼지(1)의 바닥판(2)을 통공(3)이 있는 것으로 구성하여, 돼지의 분뇨가 아래의 바닥(5)에 떨어지도록 한다. 이 돈사의 하부 구조를 미생물을 활성화시키는 발효조(10)로 본 발명에서는 활용한다. 즉, 호기성 미생물을 발효조(10)에 투입하여 발효로 구성시켜 활용하면 돈사의 악취가 제거된다
바닥판(2)에서 바닥(5) 까지의 높이는 80-90c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미터 이상 깊게 하면 돈분뇨가 지나치게 많고 깊어 발효 조건에 맞지 않아. 깊이가 깊을수록 산소 공급이 부족하여 호기성 발효 조건으로 만들기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든다
발효조(10)에서 발효가 진행되면 많은 열이 발생하는데 그 발생되는 열은 섭씨 약 30도 이상 정도로 발생하므로, 돈사의 난방으로 활용될 수 있어 별도의 난방비가 들지 않게 된다
또한 발효열에 의하여 돈사 내 발효조(10) 내의 돈분뇨의 수분이 증발하므로 폐수량을 줄일 수 있다. 돼지 두당 일일 5리터의 분뇨가 발생하는데,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의 구성에 의하면 약 5리터 가까이 증발이 이루어지므로 1000두 경우 일일 5톤의 폐수를 증발시킬 수 있어 그 증발량이 상당하여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참고로, 돈사 1평에 약 4 마리가 투입되는데 250평이면 약 1000두 정도 사육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별도의 발효조가 불필요하다
발효조(10)에는 배출구(6)와 밸브(7)가 형성되어 발효 처리된 분뇨를 뽑아내어 고액분리장치(40)로 들어간다
고액분리장치에서는 돈부뇨의 고형물과 액상물을 분리하는 장치로 예를들어, 데칸터 등을 사용하여 고형물인 분을 분리하고 나머지 액상물은 생물반응기(50)로 투입된다. 고액분리장치(40)의 다른 예로는 체거름 방식을 채택하여도 되고, 또 다른 혁신적인 방법은, 미세 기포를 생산하여 분뇨폐수에 혼입되어 있는 고형분을 미세한 기포가 둘러싸서 상부로 띄워서 제거하는 방식으로 미세한 부유 고형분까지 제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도 2 에서 보듯이, 가압부상실(100) 내부에 임펠러(8)가 달린 회전축(17)이 설치되어 모터(9)의 작동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축(17)은 파이프 형상으로 그 내부가 공동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17) 외주에 통공(111)이 다수 형성되어 이 통공(111)을 통하여 에어가 분사되어 나온다. 이는 폐수 내에서 공기 방울을 만들어 내고 임펠러(8)는 고속으로 교반 회전하면서 그 발생된 큰 공기 방울을 파쇄한다. 그러면 미세한 공기 방울로 쪼개어 진다. 그 미세한 공기방울 기포(103)는 폐수 내의 뇨 속에 함유되어 있는 분이나 이물질 등의 무거운 부유물들을 감싸서 상부로 부상시킨다. 그리하여 폐수 내의 고형물들을 액상물로부터 분리하여 낸다
아울러 이 공급되는 에어는 액상의 폐수 내에 용해되어 용존산소의 농도를 높여 줌으로써 호기성 미생물을 성장하게 해 주는 환경을 제공한다
생물빈응기(50)는 여러 장치로 구성되는데, 먼저 유입되는 곳은 무산소조(51)이다. 여기에서는 탈질처리를 한다. 돈폐수는 유기물 농도에 비하여 질소 농도가 높기 때문에 선처리로 탈질처리하여야 한다. 폐수처리시 통상 BOD : N : P 의 비율이 100:5:1 정도되어야 하나, 실제 양돈 페수는 BOD:N의 비율이 5:1 정도 불과하므로 탈질 공정을 통하여 질소를 제거하여 주어야 미생물의 밸런스를 맞출 수 있다
무산소조(51)에서 공지의 방법으로 탈질처리가 이루어지면, 다음은 폭기장치(52)가 설치된 폭기조(53)로 유입된다
폭기장치(52)에는 산소측정기(54)가 설치되어 있어 호기성 조건에서의 미생물 발효가 최적이 되도록 폭기 조건을 조절할 수 있다. 폭기장치(52)에는 탈포장치(55)가 함께 설치된다. 그 설치 이유는, 유기물의 농도가 높고 폭기하는 과정에서 미생물의 대사 생성물의 과잉생산에 의하여 기포가 대량발생하여 생물 반응기(50) 외부로 넘침이 발생하여 외부로의 비산이 우려되므로, 기포를 잘게 터뜨려 연속적으로 물로 변환하여 주는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탈포장치(55)는 공지의 여러 시설들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불필요하다
폭기조(53)를 거친 폐수는 제2무산소조(56) 및 제2폭기조(57)로 순차 들어간다. 이곳에서의 처리는 앞선 무산소조(51)와 폭기조(53)에서의 처리방식과 동일하다. 이렇게 한번 더 무산소조 조건에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2 차 탈질처리하고, 또 산소가 공급되는 폭기조 조건으로 호기성 미생물 발효를 시키면 거의 완벽한 폐수처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처리가 완료된 폐수는 미생물분리장치(58)로 들어간 후, 최종 미생물저장조(59)로 들어간다. 미생물저장조(59)에서는 다시 돈사(1)의 발효조(10)로 재투입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순환이 이루어진다. 즉, 미생물저장조(59)에서의 상등수를 연속적으로 돈사의 발효조(10)로 재투입하는 것이다
미생물분리장치(58)에서는 미생물을 별도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처리된 폐수에 함유된 지나치게 많은 양의 미생물을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처리수 일부를 고액분리장치(40)로 보내는 것이다. 여기서 특히 사용되는 고액분리장치의 예로는, 미세공기방울을 고액분리장치의 처리조 내에서 형성시켜 고형물을 부상시키는 고액분리장치에 적용된다. 이 처리조에 유기물분해에 도움을 주도록 하기 위해 발효 미생물이 포함된 미생물분리장치(58) 내의 폐수를 투입하여, 미생물에 의한 유기질분해에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순환처리에 의하면, 예를들어 돈사에서 폐수가 10톤 발생하면, 고액분리장치(40)에서 약 1 톤이 정도가 고형물로 분리 처리되어 남은 9톤이 생물반응기(50)로 유입되고, 생물반응기(7)에서는 탈포장치(55)에서 약 섭씨 35도 내지 40도의 열이 발생하고 다른 호기 발효조들에서도 열이 발생하므로 이들 열에 의한 폐수에서 대량의 증발이 발생하므로 순환폐수를 일부 빼지 않아도 연속적인 순환처리가 가능하다. 지나치게 많은 양이 순환 될 경우에는 일부 배출시킬 수도 있으나 큰 부하가 걸리는 조건 등이 없는 한, 처리수를 별도로 뽑아 제거하는 일 없이 연속적인 순환처리가 가능하다
상기한 발효조(10)를 갖춘 돈사(1)는 각각의 돈사(1) 마다 구성하여 이들 각각의 돈사에 배출구(6)를 구성하여 일괄적으로 고액분리장치(40) 한곳으로 모아져서 상기한 도 1 의 순환 고정을 거쳐 처리되게 한 후, 최종 처리수를 다시 각각의 돈사(1)로 재순환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비록 돈사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돈사에 한정되지 않고 우사 등의 각종 가축사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장치에서 혐기성처리에 사용되는 박테리아는 예를 들어 아케아, 프로아케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 다른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음은 몰론이다.
1 돈사 2 바닥판
5 바닥 6 배출구
7 밸브 10 발효조
40 고액분리장치 50 생물반응기
51 무산소조 52 폭기장치
53 폭기조 54 산소측정기
55 탈포장치 56 제2무산소조
57 제2폭기조 58 미생물분리장치
59 미생물저장조

Claims (6)

  1. 돈사(1)의 바닥판(2)을 통공(3)이 형성된 구조로 하고 돈사(1)의 바닥(5)은 돼지 분뇨가 모이도록 구성된 발효조(10)와,
    발효조(10)에서 인출된 돼지 분뇨에서 고형물을 분리하는 고액분리장치(40)와,
    고형물이 분리된 뇨폐수를 혐기성 미생물과 호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처리하는 생물반응기(50)와,
    생물반응기에서 처리된 뇨 일부를 고액분리장치(40)로 공급하여주는 미생물분리장치(58)와,
    미생물분리장치(58)에서 유입되는 처리수를 수용함과 아울러 이를 발효조(10)로 반송시키는 미생물저장조(59)를 포함하며,
    상기한 생물반응기(50)는,
    고액분리장치(40)로 부터 처리수를 받아 혐기성 미생물로 탈질 처리하는 무산소조(51)와,
    무산소조(51)로 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폭기장치(52)와 산소측정기(54)가 구성된 곳에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분해 반응을 시키는 폭기조(53)와,
    상기 폭기조(53)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탈포장치(55)와,
    상기 폭기조(53)로 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재차 혐기성 미생물로 탈질처리하는 제2무산소조(56)와,
    상기 제2무산소조(56)로 부터 유입되는 폐수를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 분해처리하는 제2폭기조(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사의 순환형 친환경 돈분뇨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액분리장치(40)는,
    가압부상실(100)과,
    가압부상실(100) 내에 설치되는 임펠러(8)와,
    임펠러(8)와 연결되며 몸체 외주에 통공(111)을 형성하는 회전축(17)과,
    회전축(17)을 회전시키는 모터(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사의 순환형 친환경 돈분뇨 처리 장치
  3. 삭제
  4. 돈사(1)의 바닥판(2)을 통공(3)이 형성된 구조로 하고 돈사(1)의 바닥(5)은 돼지 분뇨가 모이도록 구성된 발효조(10)에 유기물분해를 위한 미생물을 투입하여 돈분뇨를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발효조(10)에서 인출한 분뇨에서 고형물을 분리하는 고액분리단계;
    고형물이 분리된 뇨폐수를 혐기성 미생물과 호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생물반응기에서 탈질 및 유기물 분해처리하는 생물반응 처리단계;
    생물반응기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미생물분리장치(58)에 저장하고 그 처리수를 고액분리장치(40)로 공급하여주는 미생물공급단계;
    미생물분리장치(58)에서 유입되는 처리수를 미생물저장조(59)에 저장하고, 아울러 이를 발효조(10)로 반송시키는 미생물 반송 주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사의 순환형 친환경 돈분뇨 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액분리단계는,
    고액분리장치(40)에서 처리되되, 고액분리장치(40) 내에는 공기를 주입하고 이 공기를, 임펠러를 갖춘 회전체에 의한 회전으로 주입된 공기의 공기방울이 미세하게 분쇄되어, 그 미세하게 분쇄된 기포가 분뇨에 부유하는 고형물을 감싸 그 고형물을 상등시켜 고형물을 제거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사의 순환형 친환경 돈분뇨 처리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한 생물반응처리단계는,
    고액분리장치(40)로 부터 처리수를 받아 무산소조(51)에서 혐기성 미생물로 탈질 처리하는 혐기성미생물 처리단계와,
    무산소조(51)로 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폭기장치(52)와 산소측정기(54)가 구성된 폭기조(53)에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분해 반응을 시키는 호기성미생물 처리단계와,
    상기 폭기조(53)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탈포장치(55)에서 제거하는 탈포단계와,
    상기 폭기조(53)로 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제2무산소조(56)에서 재차 혐기성 미생물로 탈질처리하는 2차 혐기성미생물 처리단계와,
    상기 제2무산소조(56)로 부터 유입되는 처리 폐수를 제2폭기조(57)에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 분해처리하는 2차 호기성미생물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사의 순환형 친환경 돈분뇨 처리 방법.




KR20110016209A 2011-02-23 2011-02-23 돈사 순환형 친환경 돈분뇨 처리 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044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16209A KR101044445B1 (ko) 2011-02-23 2011-02-23 돈사 순환형 친환경 돈분뇨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16209A KR101044445B1 (ko) 2011-02-23 2011-02-23 돈사 순환형 친환경 돈분뇨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445B1 true KR101044445B1 (ko) 2011-06-27

Family

ID=44406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1620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44445B1 (ko) 2011-02-23 2011-02-23 돈사 순환형 친환경 돈분뇨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44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9606A (zh) * 2013-08-08 2013-12-18 浙江爱迪曼水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畜禽养殖污水处理的阻泥式生物厌氧反应器
CN108328735A (zh) * 2018-03-21 2018-07-27 碧沃丰工程有限公司 一种去除养猪场废水中的氨氮的方法
KR101899856B1 (ko) 2017-05-18 2018-09-18 강대민 축산용 미생물 순환 발효 시스템
KR102046936B1 (ko) * 2019-06-20 2019-11-21 김택봉 축산 분뇨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06300A (ko) * 2018-07-10 2020-01-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고온발효 악취 저감형 분뇨 처리 장치
KR20210000219A (ko) 2019-06-24 2021-01-04 주식회사 한화그린 액비순환이 이루어지는 돈사 일체형 폐수처리시설
CN113897310A (zh) * 2021-09-29 2022-01-07 中国科学院成都生物研究所 一种无害化处理病死猪的菌制剂及其使用方法
CN117105457A (zh) * 2023-08-15 2023-11-24 播乐(海南)生态科技院(有限合伙) 一种猪粪尿水无臭资源化处理方法和应用
KR102834513B1 (ko) * 2024-11-01 2025-07-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혐기성 소화 연계 액비순환을 통한 악취 저감 및 에너지 생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316A (ko) * 1997-06-04 1999-01-15 이윤화 축산분뇨속성발효처리장치와 방법
KR200215711Y1 (ko) 2000-10-06 2001-03-15 김경원 축산분뇨의 처리장치
KR100306228B1 (ko) 1999-08-26 2001-09-24 김동주 축산분뇨의 처리방법 및 장치
KR20020015711A (ko) * 1999-07-30 2002-02-28 메리 이. 보울러 3-히드록시프로판알의 제조 방법
KR100784933B1 (ko) * 2006-12-08 2007-12-11 주식회사 바이오엔텍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유기물 및 질소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316A (ko) * 1997-06-04 1999-01-15 이윤화 축산분뇨속성발효처리장치와 방법
KR20020015711A (ko) * 1999-07-30 2002-02-28 메리 이. 보울러 3-히드록시프로판알의 제조 방법
KR100306228B1 (ko) 1999-08-26 2001-09-24 김동주 축산분뇨의 처리방법 및 장치
KR200215711Y1 (ko) 2000-10-06 2001-03-15 김경원 축산분뇨의 처리장치
KR100784933B1 (ko) * 2006-12-08 2007-12-11 주식회사 바이오엔텍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유기물 및 질소 처리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9606A (zh) * 2013-08-08 2013-12-18 浙江爱迪曼水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畜禽养殖污水处理的阻泥式生物厌氧反应器
CN103449606B (zh) * 2013-08-08 2015-05-27 浙江爱迪曼水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畜禽养殖污水处理的阻泥式生物厌氧反应器
KR101899856B1 (ko) 2017-05-18 2018-09-18 강대민 축산용 미생물 순환 발효 시스템
CN108328735A (zh) * 2018-03-21 2018-07-27 碧沃丰工程有限公司 一种去除养猪场废水中的氨氮的方法
KR20200006300A (ko) * 2018-07-10 2020-01-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고온발효 악취 저감형 분뇨 처리 장치
KR102137399B1 (ko) 2018-07-10 2020-07-2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고온발효 악취 저감형 분뇨 처리 장치
KR102046936B1 (ko) * 2019-06-20 2019-11-21 김택봉 축산 분뇨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00219A (ko) 2019-06-24 2021-01-04 주식회사 한화그린 액비순환이 이루어지는 돈사 일체형 폐수처리시설
CN113897310A (zh) * 2021-09-29 2022-01-07 中国科学院成都生物研究所 一种无害化处理病死猪的菌制剂及其使用方法
CN117105457A (zh) * 2023-08-15 2023-11-24 播乐(海南)生态科技院(有限合伙) 一种猪粪尿水无臭资源化处理方法和应用
KR102834513B1 (ko) * 2024-11-01 2025-07-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혐기성 소화 연계 액비순환을 통한 악취 저감 및 에너지 생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445B1 (ko) 돈사 순환형 친환경 돈분뇨 처리 장치 및 방법
US6126827A (en) High-strength septage biological treatment system
CN103435224A (zh) 一种畜禽养殖污水处理工艺
US20110318778A1 (en) Organic Substrate Treatment System
KR101369718B1 (ko) 음식물 탈리액을 이용한 유기탄소원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5836969B (zh) 一种养猪场废水处理方法
KR102587711B1 (ko) 축산분뇨의 악취 저감 액비 생산 및 순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방법
CN107601755B (zh) 一种养殖场污水生态处理方法
JP2015167912A (ja) 畜産糞尿処理システム
CN108383320A (zh) 一种畜禽养殖废水的集成处理方法
KR20170105950A (ko) 내부공기 순환 및 간헐포기를 통한 고온소화 액비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4961289A (zh) 一种畜禽养殖废水的微纳米曝气高效生物处理技术体系
KR101565503B1 (ko) 가축분뇨 액비화 방법
Liu et al. Optimization of a novel single air-lift sequencing bioreactor for raw piggery wastewater treatment: nutrients removal and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KR20090049671A (ko) 축산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정화처리장치
CN111762974A (zh) 一种养殖废水中的cod及氨氮处理方法及系统
CN110183032A (zh) 一种畜禽养殖废水资源化处理系统
KR100306228B1 (ko) 축산분뇨의 처리방법 및 장치
CN108751622A (zh) 一种按季节调整猪场废水处理流程的控制方法
CN210620525U (zh) 养殖粪污水肥联产装置
CN205528299U (zh) 一种奶牛场废水处理系统
CN204958644U (zh) 一种畜禽养殖废水的微纳米曝气高效生物处理装置
US20020113012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eating waste water
KR19990000316A (ko) 축산분뇨속성발효처리장치와 방법
KR102299806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