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886B1 - Parking rod - Google Patents
Parking r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3886B1 KR101043886B1 KR1020080135955A KR20080135955A KR101043886B1 KR 101043886 B1 KR101043886 B1 KR 101043886B1 KR 1020080135955 A KR1020080135955 A KR 1020080135955A KR 20080135955 A KR20080135955 A KR 20080135955A KR 101043886 B1 KR101043886 B1 KR 1010438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vehicle
- wheel
- contact
- push ro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11 Urethane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60S9/16—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for operating only on one end of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5/00—Crowbar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손쉽게 주차된 차량을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바퀴 이외의 부분에는 전혀 접촉이 되지 않아 타인의 차량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주차 차량용 밀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a simple structure, and also in the parking vehicle push rod that can be easily operated without damaging the vehicle of other people because it does not contact at all except the wheels. It is about.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된 차량(10)을 소정의 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밀대에 있어서, 판형상의 본체(31)와, 이 본체(31)의 저면 후단부 측에 돌출 형성되어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구비된 받침부(32,33)와, 상기 본체(31)의 후단부 측에 구비되어 후방 상부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손잡이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31)는 차량(10)의 전측방 또는 후측방에서 바닥면에 접촉된 바퀴(11)의 곡률부(R) 측에 그 상면의 선단부 측이 접촉되도록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34)를 가압하여 누르게 되면 그 가압력이 상기 받침부(32,33)에 의해 상기 본체(31)의 선단부 측에 전달되어 차량(10)을 움직이도록 된 주차 차량용 밀대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ush rod provided to move the parked vehicle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late-shaped main body 31 and protruding to the bottom end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31 to the bottom surface It comprises a support portion 32, 33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and a handle portion 34 provid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main body 31 and inclined to the rear upper portion, the main body 31 is a vehicle The front end or rear side of the wheel 11 is inserted into contact with the curvature portion R side of the wheel 11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is inserted so that the tip end side of the upper surface, in this state by pressing the handle 34 When pressed, the press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tip end side of the main body 31 by the support parts 32 and 33, thereby providing a parking vehicle push rod which is configured to move the vehicle 10.
주차, 바퀴, 밀대, 받침부, 롤러, 손잡이부, 만곡부 Parking, wheel, push rod, support, roller, handle, bend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차 차량용 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주차된 차량을 소정의 거리만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주차 차량용 밀대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vehicle push r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rking vehicle push rod that can be easily mo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a parked vehicle.
일반적으로 급속한 차량 증가로 인해 주차공간이 부족함에 따라 지정된 주차라인이 아닌 차량이 진행해야 하는 통행로에도 임시적으로 주차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통행로에 임시적으로 주차된 차량은 주차라인에 주차된 차량의 진행을 가로막아 다른 차량에 의해 진행을 방해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임시주차 차량은 사이드기어를 풀어 둔 상태로 주차되어 사람이 밀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In general,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king spaces, there is a frequent occurrence of temporary parking even in the passageway where the vehicle should proceed rather than the designated parking line. Interrupting the progress of a parked vehicle is interrupted by other vehicles. In this case, the temporary parking vehicle is usually parked with the side gears released so that a person can move when pushed.
그러므로 다른 차량에 의해 진행이 방해받는 차량을 움직이고자 할 때에는 가로막고 있는 차량을 밀어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킨 후에 진로를 확보해야 하나, 트럭이나 SUV차량과 같이 비교적 큰 차량의 경우에는 성인남자도 쉽게 밀기 힘 들뿐만 아니라 특히 여성 운전자나 노약자는 차량을 밀어서 움직이기가 힘든 실정이다. Therefore, if you want to move a vehicle whose progress is hindered by other vehicles, you must push the vehicle that is blocking you and move it for a certain distance before securing a course.In the case of a relatively large vehicle such as a truck or SUV, an adult man can easily push it. Not only the power, but especially the female driver or the elderly are difficult to push the vehicl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손쉽게 주차된 차량을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바퀴 이외의 부분에는 전혀 접촉이 되지 않아 타인의 차량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주차 차량용 밀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ved by a simple distance the parked vehicle by a simple structure, and also other parts of the vehicle other than the wheels do not come in contact with other peop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vehicle push rod that can be easily operated without damage.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주차된 차량(10)을 소정의 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밀대에 있어서, 판형상의 본체(31)와, 이 본체(31)의 저면 후단부 측에 돌출 형성되어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구비된 받침부(32,33)와, 상기 본체(31)의 후단부 측에 구비되어 후방 상부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손잡이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31)는 차량(10)의 전측방 또는 후측방에서 바닥면에 접촉된 바퀴(11)의 곡률부(R) 측에 그 상면의 선단부 측이 접촉되도록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34)를 가압하여 누르게 되면 그 가압력이 상기 받침부(32,33)에 의해 상기 본체(31)의 선단부 측에 전달되어 차량(10)을 움직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차량용 밀대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ush rod provided to move the park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32,33)는 상기 본체(31)의 폭에 대응되는 롤러(32)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차량용 밀대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31)는 그 선단부 위치에 양측에 비해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후퇴된 만곡부(3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차량용 밀대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31)와 이 본체(31)의 저면 후방측에 구비되는 받침부(32,33) 및 후방 상부로 경사지도록 연장된 손잡이부(34)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본체(31)의 선단부가 바퀴(11)에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지렛대 원리에 의해 차량(10)을 움직이게 되므로 성인남자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여성 운전자나 노약자 등도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isting of the
또한 차량(10)의 전방과 후방이 아니라 측방에서 앞바퀴 또는 뒷바퀴에 장착 가능하여 바퀴(11) 측에 삽입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차량(10)의 이동상황을 관찰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바퀴(11) 이외의 부분에는 전혀 접촉되지 않으므로 타인의 차량(10)에 손상을 입힐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ront wheel or the rear wheel can be mounted on the front wheel or the rear wheel instead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또한 상기 받침부(32,33)는 본체(31)의 폭에 대응된 롤러(32)로 구비됨으로써, 차량(10)을 움직일 때에 밀대(30)의 이동이 간편하여 연속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보다 신속하게 차량(10)의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본체(31)의 선단부는 양측에 비해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후퇴된 형상으로 된 만곡부(36)가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특성상 차량(10)의 전측방 또는 후측방에서 바퀴(11)에 삽입시킬 때에 바퀴(11)에 접촉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힘의 전달이 원활함과 동시에 작동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판형상의 본체(31)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31)의 후단부 저면에는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돌출된 받침부(32,33)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31)의 후단부 상면에는 후방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된 손잡이부(34)가 구비되어 있다.1 to 6 illustrate a configuration and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te-shaped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32,33)의 일례로 상기 본체(31)의 폭에 대응된 롤러(32)가 구비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본체(31)에는 하향된 브라켓(35)이 형성되어 상기 롤러(32)의 양단을 축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31)의 선단부에는 상기 본체(31)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형성된 와이어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와이어는 그 양측에 비해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후퇴된 만곡부(36)가 형성되어 있다.In this configuration, as an example of the supporting portion (32, 33) is provided with a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된 차량(10)의 바퀴(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렛대 원리에 의해 차량(10)을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에 본 발명은 차량(10)의 범퍼에 의해 바퀴(11)가 가려지는 전방이나 후방의 위치가 아니라 고개를 숙이거나 허리를 굽히지 않더라도 바퀴(11)가 보이는 차량(10)의 전측방이나 후측방의 위치에서 상기 본체(31)의 선단부를 삽입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34)의 선단을 누르게 되면 상기 롤러(32)가 받침대 역할을 하면서 상기 본체(31)의 선단부 측에 힘이 전달되어 차량(10)을 움직이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by such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s 2 to 4, to move the
또한 상기 본체(31)를 바퀴(11) 측에 삽입할 때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만곡된 바퀴(11)의 곡률부(R)에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손잡이부(34)를 눌렀을 때에 상기 본체(31)의 선단부가 바퀴(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본체(31)의 선단부에 와이어가 구비되는 것은 본체(31)의 선단부가 완만한 곡선형태로 구비되어 바퀴(11)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상기 와이어에 만곡부(36)가 형성되는 것은 차량(10)의 측방에서 바퀴(11) 측에 삽입되더라도 접촉되는 면적으로 최대한 넓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10)이 직선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바퀴(11)의 면부위에 보다 큰 힘이 작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when the
또한 상기 롤러(32)는 상기 손잡이부(34)를 눌러 힘을 가할 때에 본체(31)가 비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탱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31)에 대응된 폭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롤러(32)는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차량(10)을 움직이고 자 할 때에 이동이 간편하여 연속적으로 미는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롤러(32) 이외에도 받침부(32,33)의 다른 형태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32) 대신에 받침대(33)를 결합할 수도 있으며, 이 받침대(33)는 우레탄 고무나 스틸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볼트 등에 의해 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받침대(33)의 폭은 상기 본체(31)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본체(3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the
한편, 상기 손잡이부(3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31)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거나 길이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이는 본 발명의 밀대(30)의 크기를 줄여 차량(10)의 트렁크 등에 용이하게 휴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본체(31)에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연결봉(37)이 구비되고, 이 연결봉(37)에는 선단부에 손잡이(39)가 형성된 손잡이봉(38)이 착탈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4)는 상기 손잡이봉(38)이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절첩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39)는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대략적으로 디귿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거나 또는 손잡이봉(38)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6,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 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Figure 3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5955A KR101043886B1 (en) | 2008-12-29 | 2008-12-29 | Parking r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5955A KR101043886B1 (en) | 2008-12-29 | 2008-12-29 | Parking r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7882A KR20100077882A (en) | 2010-07-08 |
KR101043886B1 true KR101043886B1 (en) | 2011-06-22 |
Family
ID=4263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35955A Expired - Fee Related KR101043886B1 (en) | 2008-12-29 | 2008-12-29 | Parking r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388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2203B1 (en) | 2021-03-23 | 2021-07-26 | 이호섭 | Electric mover for parked vehicles |
KR20230172864A (en) | 2022-06-16 | 2023-12-26 | 조기권 | Apparatus for moving and stopping parked vehic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21057A (en) | 2000-02-09 | 2001-08-17 | Makkusu:Kk | Engine hanger for automobile |
KR100469955B1 (en) * | 2001-11-16 | 2005-02-07 | 주식회사 평강특장자동차 | Traction car |
KR20070106156A (en) * | 2006-04-28 | 2007-11-01 | 석정건설주식회사 | Vehicle Traction System |
KR100812325B1 (en) | 2007-05-28 | 2008-03-10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Parked Car Folding Pushpin |
-
2008
- 2008-12-29 KR KR1020080135955A patent/KR10104388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21057A (en) | 2000-02-09 | 2001-08-17 | Makkusu:Kk | Engine hanger for automobile |
KR100469955B1 (en) * | 2001-11-16 | 2005-02-07 | 주식회사 평강특장자동차 | Traction car |
KR20070106156A (en) * | 2006-04-28 | 2007-11-01 | 석정건설주식회사 | Vehicle Traction System |
KR100812325B1 (en) | 2007-05-28 | 2008-03-10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Parked Car Folding Pushpi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2203B1 (en) | 2021-03-23 | 2021-07-26 | 이호섭 | Electric mover for parked vehicles |
KR20230172864A (en) | 2022-06-16 | 2023-12-26 | 조기권 | Apparatus for moving and stopping parked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7882A (en) | 2010-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16126A (en) | Snow ski or runner | |
US7261114B2 (en) | Rolling/braking cane | |
US9079595B2 (en) | Mobile cart | |
CN202559842U (en) | Handle assembly and door assembly of telescopic door for vehicle | |
US4244594A (en) | Creeper brake device | |
US20090069159A1 (en) | Folding mechanism of a treadmill | |
US20090093347A1 (en) | Integrated folding mechanism of a treadmill | |
US20160159424A1 (en) | Single-Wheel Structure Transportation Device with Extendable Walking Handle | |
TWI551502B (en) | Multi-function scooter | |
CN103863441B (en) | Vertical Lift type bicycle parking rack | |
US6341614B1 (en) | Collapsible cane | |
US6401888B1 (en) | Rotatable auxiliary wheel seat of a trunk | |
KR101043886B1 (en) | Parking rod | |
US6135479A (en) | Tricycle pushing device | |
JP4105731B2 (en) | Cane | |
KR20140102453A (en) | Wheeled luggage | |
JP2017165308A (en) | Mounting fixture for handle of time trial bicycle and handle of time trial bicycle | |
KR100812325B1 (en) | Parked Car Folding Pushpin | |
KR20090078722A (en) | Link Skateboard | |
US20100275453A1 (en) | Wire saw with sawteeth strip updating structure | |
US20020105155A1 (en) | Child wheeled vehicle | |
JP5084851B2 (en) | Walking carry | |
US6044522A (en) | Hidden handle device of a trunk | |
KR20170000959U (en) | A push stick for parking car | |
KR200464354Y1 (en) | A silver walker having bar adjusting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0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8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90306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2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