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42833B1 - 셀 밸런싱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셀 밸런싱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833B1
KR101042833B1 KR1020090073741A KR20090073741A KR101042833B1 KR 101042833 B1 KR101042833 B1 KR 101042833B1 KR 1020090073741 A KR1020090073741 A KR 1020090073741A KR 20090073741 A KR20090073741 A KR 20090073741A KR 101042833 B1 KR101042833 B1 KR 101042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lancing
cell
voltage
dischar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6166A (ko
Inventor
김용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3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833B1/ko
Priority to US12/839,664 priority patent/US8421412B2/en
Priority to EP10172465A priority patent/EP2287992A3/en
Publication of KR20110016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83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 밸런싱 기능을 갖는 셀 밸런싱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직렬 연결된 다수의 단위 셀에 대한 셀 밸런싱을 실시하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위 셀들 중 인접한 두 단위 셀 마다 하나씩 마련되는 밸런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런싱부는 상기 인접한 두 단위 셀 중 높은 전압의 단위 셀만 방전되도록 방전 경로를 설정하는 방전부와, 상기 인접한 두 단위 셀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방전부에 동작신호를 제공하는 전압 분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밸런싱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Figure R1020090073741
베어셀, 이차전지, 밸런싱, 회로, FET, 전압, 분배

Description

셀 밸런싱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CIRCUIT FOR BALANCING CELLS AND SECONDARY BATTERY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셀 밸런싱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가 밸런싱 기능을 갖는 셀 밸런싱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통신 및 컴퓨터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급이 늘어나고 있다. 휴대용 전지기기의 전원으로는 재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고출력의 전원이 필요한 경우, 직렬 연결된 다수 개의 단위 셀을 구비하는 이차전지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직렬 연결된 다수의 단위 셀을 구비하는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경우, 셀 밸런싱(cell balancing)이 중요하다. 셀 밸런싱은 직렬 연결된 각 단위 셀 사이의 전압차가 허용범위 내에 있도록 유지시키는 것이다. 셀 밸런싱은 이차전지의 수명 및 출력 전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셀 밸런싱이 되지 않은 단위 셀은 열화되고, 결국에는 이차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출력 전력을 감소시킨다.
종래의 셀 밸런싱은 제어 IC가 각 단위 셀의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고, 제어 IC가 각 단위 셀에 대응하여 형성된 방전 경로를 통해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단위 셀에 대한 방전을 실시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 IC가 없어도 셀 밸런싱을 실시하는 셀 밸런싱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직렬 연결된 다수의 단위 셀에 대한 셀 밸런싱을 실시하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위 셀들 중 인접한 두 단위 셀 마다 하나씩 마련되는 밸런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런싱부는 상기 인접한 두 단위 셀 중 높은 전압의 단위 셀만 방전되도록 방전 경로를 설정하는 방전부와, 상기 인접한 두 단위 셀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방전부에 동작신호를 제공하는 전압 분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밸런싱 회로가 제공된다.
상기 밸런싱부는 상기 인접한 두 단위 셀 중 상기 인접한 두 단위 셀의 평균 전압 보다 높은 전압을 갖는 단위 셀만이 방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전부와 상기 전압 분배부는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압 분배부는 직렬로 연결된 저항값이 동일한 두 개의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전압 분배부의 두 저항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가 상기 방전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밸런싱부의 방전부는, 상기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압 분배부의 동작신호를 전달받는 2개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스위칭부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스위칭 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가 상기 인접한 두 단위 셀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스위칭 소자 중 하나는 P채널 FET이며, 다른 하나는 N채널 FET일 수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스위칭 소자는 소스가 서로 연결되며, 상기 P채널 FET의 드레인은 상기 인접한 두 단위 셀의 음극과 연결되고, 상기 N채널 FET의 드레인은 상기 인접한 두 단위 셀의 양극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채널 FET의 게이트와 상기 N채널 FET의 게이트에 상기 전압 분배부의 동작신호가 전달될 수 잇다.
상기 방전부는 상기 스위칭부가 2개 이상이 병렬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런싱부는 상기 방전부의 양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소비용 저항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셀 밸런싱 회로를 구비하는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성을 따르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 IC 없이도 셀 밸런싱이 가능하므로, 이차전지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 밸런싱 회로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이차전지(100)는 셀 모듈(200)과, 셀 밸런싱 회로(300)를 구비한다.
셀 모듈(200)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외부에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직렬 연결된 제1 단위 셀(210)과, 제2 단위 셀(220)과, 제3 단위 셀(230)을 구비한다. 각 단위 셀(210, 220, 230)은 보호회로를 구비하지 않는 베어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위 셀(210)은 양극(211)과 음극(212)을 구비한다. 제2 단위 셀(220)은 양극(221)과, 제1 단위 셀(210)의 양극(211)과 음극(222)을 구비한다. 제3 단위 셀(230)은 양극(231)과, 제2 단위 셀(220)의 양극(221)과 연결된 음극(232)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셀 모듈(200)이 직렬 연결된 3개의 단위 셀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셀 모듈(200)은 직렬 연결된 4개 이상의 단위 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셀 밸런싱 회로(300)는 제1 밸런싱부(400)와, 제2 밸런싱부(500)를 구비한다. 셀 밸런싱 회로(300)는 셀 모듈(200)에 대한 셀 밸런싱을 실시한다. 각 밸런싱부(400, 500)는 인접한 두 단위 셀 마다 하나씩 형성된다. 셀 모듈(200)이 직렬 연 결된 4이상의 N개의 단위 셀을 구비하는 경우, (N-1)개의 밸런싱부가 인접한 두 단위 셀 마다 하나씩 대응하여 구비된다.
제1 밸런싱부(400)는 제1 방전부(410)와, 제1 전압 분배부(450)와, 제1, 제2 전력소비용 저항(460a, 460b)을 구비한다. 제1 밸런싱부(400)는 셀 모듈(200)의 제1 단위 셀(210)과 제2 단위 셀(220)에 대한 셀 밸런싱을 실시한다.
제1 방전부(410)는 병렬로 연결된 제1 스위칭부(420)와, 제2 스위칭부(430)와, 제3 스위칭부(440)를 구비한다. 제1 방전부(410)의 양단은 제1 단위 셀(210)의 음극(212) 및 제2 단위 셀(220)의 양극(2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방전 전류의 경로를 설정한다.
제1 스위칭부(420)는 직렬로 연결된 제1 스위칭 소자(421)과, 제2 스위칭 소자(422)를 구비한다. 제1 스위칭 소자(421)와 제2 스위칭 소자(422)의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node)(423)는 제1 단위 셀(210)과 제2 단위 셀(220)의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2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단위 셀(210)의 방전 경로(214)와, 제2 단위 셀(220)의 방전 경로(224)가 형성된다. 제1 단위 셀(210)의 방전 경로(214)는 제1 단위 셀(210)의 양극(211)로부터 두 단위 셀(210, 220)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213)와, 두 스위칭 소자(421, 422)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423)를 차례대로 거쳐 제1 단위 셀(210)의 음극(212)까지 이어지는 경로이다. 제1 단위 셀(210) 의 방전 경로(214) 상에 제1 스위칭 소자(421)가 위치한다. 제2 단위 셀(220)의 방전 경로(224)는 제2 단위 셀(220)의 양극(221)로부터 두 스위칭 소자(421)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423)와, 두 단위 셀(210, 220)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213)를 차례대로 거쳐 제2 단위 셀(220)의 음극(222)까지 이어지는 경로이다. 제2 단위 셀(220)의 방전 경로(224) 상에 제2 스위칭 소자(422)가 위치한다. 제1 스위칭부(420)는 제1 단위 셀(210)과 제2 단위 셀(220) 사이의 전압에 차이가 있을 때, 두 단위 셀(210, 220) 중 높은 전압을 갖는 단위 셀의 방전 경로만을 개방한다.
제1 스위칭 소자(421)는 P채널 FET로 이루어지며, 제1 단위 셀(210)의 방전 경로(214)를 개방하거나 차단한다. 제1 스위칭 소자(421)의 소스(S)는 두 단위 셀(210, 220)의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2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스위칭 소자(421)의 소스(S)에는 제1 단위 셀(210)의 전압이 인가된다. 제1 스위칭 소자(421)의 게이트(G)는 제1 전압 분배부(4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스위칭 소자(421)의 게이트(G)에는 두 단위 셀(210, 220)의 평균 전압이 인가된다. 제1 스위칭 소자(421)의 드레인(D)은 제1 단위 셀(210)의 음극(2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스위칭 소자(421)가 P채널 FET이므로, 제1 스위칭 소자(421)의 게이트(G)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1 스위칭 소자(421)의 소스(S)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작은 경우인 제1 단위 셀(210)의 전압이 두 단위 셀(210, 220)의 평균 전압보다 클 때에만, 제1 스위칭 소자(421)가 온되어, 제1 단위 셀(210)을 방전시킨다.
제2 스위칭 소자(422)는 N채널 FET로 이루어지며, 제2 단위 셀(220)의 방전 경로(224)를 개방하거나 차단한다. 제2 스위칭 소자(422)의 소스(S)는 두 단위 셀(210, 220)의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2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2 스위칭 소자(422)의 소스(S)에는 제1 단위 셀(210)의 전압이 인가된다. 제2 스위칭 소자(422)의 게이트(G)는 제1 전압 분배부(4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2 스위칭 소자(422)의 게이트(G)에는 두 단위 셀(210, 220)의 평균 전압이 인가된다. 제2 스위칭 소자(422)의 드레인(D)은 제2 단위 셀(220)의 양극(2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스위칭 소자(422)가 N채널 FET이므로, 제2 스위칭 소자(422)의 게이트(G)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2 스위칭 소자(422)의 소스(S)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큰 경우인 제2 단위 셀(220)의 전압이 두 단위 셀(210, 220)의 평균 전압보다 클 때에만, 제2 스위칭 소자(422)가 온되어, 제2 단위 셀(220)을 방전시킨다.
제2 스위칭부(430)와 제3 스위칭부(440)은 제1 스위칭부(42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밸런싱부(400)에 3개의 스위칭부(420, 430, 440)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밸런싱부(400)는 1개, 2개, 또는 4개 이상의 스위칭부를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칭부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방전 전류의 경로가 늘어나므로 밸런싱 전류를 증가시켜 셀 밸런싱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제1 전압 분배부(450)는 제1 단위 셀(210)과, 제2 단위 셀(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방전부(410)의 양단과는 병렬로 연결된다. 제1 전압 분배부(450)는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며 직렬로 연결된 제1 저항(451)과 제2 저항(452)을 구비 한다. 두 저항(451, 452)의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453)는 제1 방전부(410)의 각 스위칭 소자(421, 422, 431, 432, 441, 442)의 게이트(G)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두 저항(451, 452)의 저항값이 동일하므로, 방전부(410)의 각 스위칭 소자(421, 422, 431, 432, 441, 442)의 게이트(G)에는 제1 단위 셀(210)과 제2 단위 셀(220)의 평균 전압이 인가된다. 두 저항(451, 452)은 대체로 수MΩ의 큰 저항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두 저항(451 452)이 연결된 경로를 통해 단위 셀(210, 220)이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 전력소비용 저항(460a)과 제2 전력소비용 저항(460b)은 방전부(410)의 양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전력소비용 저항(460a)은 제1 단위 셀(210)의 음극(2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전력소비용 저항(460a)은 제1 단위 셀(210)의 방전 전류에 의한 소비전력을 증가시켜 밸런싱 시간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제2 전력소비용 저항(460b)은 제2 단위 셀(220)의 양극(2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전력 소비용 저항(460b)는 제2 단위 셀(220)의 방전 전류에 의한 소비전력을 증가시켜 밸런싱 시간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제2 밸런싱부(500)는 제2 방전부(510)와, 제2 전압 분배부(550)와, 제3, 제4 전력소비용 저항(560a, 560b)을 구비한다. 제2 밸런싱부(500)는 셀 모듈(200)의 제2 단위 셀(220)과 제3 단위 셀(230)에 대한 셀 밸런싱을 실시한다.
제2 방전부(510)는 병렬로 연결된 제4 스위칭부(520)와, 제5 스위칭부(530)와, 제6 스위칭부(540)를 구비한다. 제2 방전부(510)의 양단은 제2 단위 셀(220)의 음극(222) 및 제3 단위 셀(230)의 양극(2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방전 전류의 경로를 설정한다.
제4 스위칭부(520)는 직렬로 연결된 제1 스위칭 소자(521)과, 제2 스위칭 소자(522)를 구비한다. 제1 스위칭 소자(521)와 제2 스위칭 소자(522)의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523)는 제2 단위 셀(220)과 제3 단위 셀(230)의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2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 단위 셀(220)의 방전 경로(225)와, 제3 단위 셀(230)의 방전 경로(234)가 형성된다. 제2 단위 셀(220)의 방전 경로(225)는 제2 단위 셀(220)의 양극(221)로부터 두 단위 셀(220, 230)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223)와, 두 스위칭 소자(521, 522)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523)를 차례대로 거쳐 제2 단위 셀(220)의 음극(222)까지 이어지는 경로이다. 제2 단위 셀(220)의 방전 경로(225) 상에 제1 스위칭 소자(521)가 위치한다. 제3 단위 셀(230)의 방전 경로(234)는 제3 단위 셀(230)의 양극(231)로부터 두 스위칭 소자(521)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523)와, 두 단위 셀(220, 230)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223)를 차례대로 거쳐 제3 단위 셀(230)의 음극(232)까지 이어지는 경로이다. 제3 단위 셀(230)의 방전 경로(234) 상에 제2 스위칭 소자(522)가 위치한다. 제1 스위칭부(520)는 제2 단위 셀(220)과 제3 단위 셀(230) 사이의 전압에 차이가 있을 때, 두 단위 셀(220, 230) 중 높은 전압을 갖는 단위 셀의 방전 경로만을 개방한다.
제1 스위칭 소자(521)는 P채널 FET로 이루어지며, 제2 단위 셀(220)의 방전 경로(225)를 개방하거나 차단한다. 제1 스위칭 소자(521)의 소스(S)는 두 단위 셀(220, 230)의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2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스위칭 소자(521)의 소스(S)에는 제2 단위 셀(220)의 전압이 인가된다. 제1 스위칭 소자(521)의 게이트(G)는 제2 전압 분배부(5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스위칭 소자(521)의 게이트(G)에는 두 단위 셀(220, 230)의 평균 전압이 인가된다. 제1 스위칭 소자(521)의 드레인(D)은 제2 단위 셀(220)의 음극(2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스위칭 소자(521)가 P채널 FET이므로, 제1 스위칭 소자(521)의 게이트(G)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1 스위칭 소자(521)의 소스(S)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작은 경우인 제2 단위 셀(220)의 전압이 두 단위 셀(220, 230)의 평균 전압보다 클 때에만, 제1 스위칭 소자(521)가 온되어, 제2 단위 셀(220)을 방전시킨다.
제2 스위칭 소자(522)는 N채널 FET로 이루어지며, 제3 단위 셀(230)의 방전 경로(234)를 개방하거나 차단한다. 제2 스위칭 소자(522)의 소스(S)는 두 단위 셀(220, 230)의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2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2 스위칭 소자(522)의 소스(S)에는 제2 단위 셀(220)의 전압이 인가된다. 제2 스위칭 소자(522)의 게이트(G)는 제2 전압 분배부(5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2 스위칭 소자(522)의 게이트(G)에는 두 단위 셀(220, 230)의 평균 전압이 인가된다. 제2 스위칭 소자(522)의 드레인(D)은 제3 단위 셀(230)의 양극(2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스위칭 소자(522)가 N채널 FET이므로, 제2 스위칭 소자(522)의 게이트(G)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2 스위칭 소자(522)의 소스(S)에 인가되는 전압 보다 큰 경우인 제3 단위 셀(230)의 전압이 두 단위 셀(220, 230)의 평균 전압보다 클 때에만, 제2 스위칭 소자(522)가 온되어, 제2 단위 셀(220)을 방전시킨다.
제2 스위칭부(530)와 제3 스위칭부(540)은 제1 스위칭부(52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밸런싱부(500)에 3개의 스위칭부(520, 530, 540)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밸런싱부(500)는 1개, 2개, 또는 4개 이상의 스위칭부를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칭부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방전 전류의 경로가 늘어나므로 밸런싱 전류를 증가시켜 셀 밸런싱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제2 전압 분배부(550)는 제2 단위 셀(220)과, 제3 단위 셀(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방전부(510)의 양단과는 병렬로 연결된다. 제2 전압 분배부(550)는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며 직렬로 연결된 제3 저항(551)과 제4 저항(552)을 구비한다. 두 저항(551, 552)의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533)는 제2 방전부(510)의 각 스위칭 소자(521, 522, 531, 532, 541, 542)의 게이트(G)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두 저항(551, 552)의 저항값이 동일하므로, 제2 방전부(510)의 각 스위칭 소자(521, 522, 531, 532, 541, 542)의 게이트(G)에는 제2 단위 셀(220)과 제3 단위 셀(230)의 평균 전압이 인가된다. 두 저항(551, 552)은 대체로 수MΩ의 큰 저항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두 저항(551 552)이 연결된 경로를 통해 단위 셀(220, 230)이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3 전력소비용 저항(560a)과 제4 전력소비용 저항(560b)은 제2 방전부(510)의 양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 전력소비용 저항(560a)은 제2 단위 셀(220)의 음극(2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 전력소비용 저항(560a)은 제2 단위 셀(220)의 방전 전류에 의한 소비전력을 증가시켜 밸런싱 시간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제3 전력소비용 저항(560b)은 제3 단위 셀(230)의 양극(2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 전력 소비용 저항(560b)는 제3 단위 셀(230)의 방전 전류에 의한 소비전력을 증가시켜 밸런싱 시간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제, 도1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에 의한 셀 밸런싱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 단위 셀(210)의 전압(V1)이 제2 단위 셀(220)의 전압(V2)보다 큰 경우의 셀 밸런싱 과정을 설명한다. 제1 밸런싱부(400)의 각 스위칭 소자(421, 422, 431, 432, 441, 442)의 소스(S)에는 제1 단위 셀(210)의 전압(V1)이 인가된다. 또한, 제1 밸런싱부(400)의 각 스위칭 소자(421, 422, 431, 432, 441, 442)의 게이트(G)에는 두 단위 셀(210, 220)의 평균 전압((V1+V2)/2)이 인가된다. 제1 밸런싱부(400)의 제2 스위칭 소자(422, 432, 442)의 게이트(G)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2 스위칭 소자(422, 432, 442)의 소스(S)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작게 된다. 그에 따라, 제1 밸런싱부(400)의 제2 스위칭 소자(422, 432, 442)는 오프되어 제2 단위 셀(220)에 대한 방전은 차단된다. 제1 밸런싱부(400)의 제1 스위칭 소자(421, 431, 441)의 게이트(G)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1 스위칭 소자(421, 431, 441)의 소스(S)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작게 된다. 그에 따라, 제1 밸런싱부(400)의 제1 스위칭 소자(421, 431, 441)가 온되어 제1 단위 셀(210)에 대한 방전이 이루어져 제1 단위 셀(210)의 전압(V1)이 제2 단위 셀(220)의 전압(V2)과 동일해질 때까지 떨어지게 된다. 제1 단위 셀(210)의 전압(V1)이 제2 단위 셀(220)의 전압(V2)과 동일해지면, 제1 밸런싱부(400)의 각 스위칭 소자(421, 422, 431, 432, 441, 442)의 소스(S)에 인가되는 전압이 각 스위칭 소자(421, 422, 431, 432, 441, 442)의 게이트(G)에 인가되는 전압과 같아져서 모든 스위칭 소자(421, 422, 431, 432, 441, 442)는 오프되어, 제1 밸런싱부(400)에서의 셀 밸런싱은 중단된다.
다음, 제1 단위 셀(210)의 전압(V1)이 제2 단위 셀(220)의 전압(V2)보다 작은 경우의 셀 밸런싱 과정을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제1 밸런싱부(400)의 제1 스위칭 소자(421, 431, 441)의 게이트(G)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1 스위칭 소자(421, 431, 441)의 소스(S)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크게 된다. 그에 따라, 제1 밸런싱부(400)의 제1 스위칭 소자(421, 431, 441)는 오프되어 제1 단위 셀(210)에 대한 방전은 차단된다. 제1 밸런싱부(400)의 제2 스위칭 소자(422, 432, 442)의 게이트(G)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2 스위칭 소자(422, 432, 442)의 소스(S)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작게 된다. 그에 따라, 제1 밸런싱부(400)의 제2 스위칭 소자(422, 432, 442)가 온되어 제2 단위 셀(220)에 대한 방전이 이루어져 제2 단위 셀(220)의 전압(V2)이 제1 단위 셀(210)의 전압(V1)과 동일해질 때까지 떨어지게 된다. 제2 단위 셀(220)의 전압(V2)이 제1 단위 셀(210)의 전압(V1)과 동일해지면, 제1 밸런싱부(400)의 각 스위칭 소자(421, 422, 431, 432, 441, 442)의 소스(S)에 인가되는 전압이 각 스위칭 소자(421, 422, 431, 432, 441, 442)의 게이트(G)에 인가되는 전압과 같아져서 모든 스위칭 소자(421, 422, 431, 432, 441, 442)는 오프되어, 제1 밸런싱부(400)에서의 셀 밸런싱은 중단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1 단위 셀(210)의 전압(V1)과 제2 단위 셀(220)의 전압(V2)은 동일해진다. 다음, 제2 단위 셀(220)과 제3 단위 셀(230) 사이의 셀 밸런싱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제2 단위 셀(220)의 전압(V2)이 제3 단위 셀(230)의 전압(V3)보다 큰 경우의 셀 밸런싱 과정을 설명한다. 제2 밸런싱부(500)의 각 스위칭 소자(521, 522, 531, 532, 541, 542)의 소스(S)에는 제2 단위 셀(220)의 전압(V2)이 인가된다. 또한, 제2 밸런싱부(500)의 각 스위칭 소자(521, 522, 531, 532, 541, 542)의 게이트(G)에는 두 단위 셀(220, 230)의 평균 전압((V2+V3)/2)이 인가된다. 제2 밸런싱부(500)의 제2 스위칭 소자(522, 532, 542)의 게이트(G)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2 스위칭 소자(522, 532, 542)의 소스(S)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작게 된다. 그에 따라, 제2 밸런싱부(500)의 제2 스위칭 소자(522, 532, 542)는 오프되어 제3 단위 셀(230)에 대한 방전은 차단된다. 제2 밸런싱부(500)의 제1 스위칭 소자(521, 531, 541)의 게이트(G)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1 스위칭 소자(521, 531, 541)의 소스(S)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작게 된다. 그에 따라, 제2 밸런싱부(500)의 제1 스위칭 소자(521, 531, 541)가 온되어 제2 단위 셀(220)에 대한 방전이 이루어져 제2 단위 셀(220)의 전압(V2)이 제3 단위 셀(230)의 전압(V3)과 동일해질 때까지 떨어지게 된다. 제2 단위 셀(220)의 전압(V2)이 제3 단위 셀(230)의 전압(V3)과 동일해지면, 제2 밸런싱부(500)의 각 스위칭 소자(521, 522, 531, 532, 541, 542)의 소스(S)에 인가되는 전압이 각 스위칭 소자(521, 522, 531, 532, 541, 542)의 게이트(G)에 인가되는 전압과 같아져서 모든 스위칭 소자(521, 522, 531, 532, 541, 542)는 오프되어, 제2 밸런싱부(500)에서의 셀 밸런싱은 중단된다.
다음, 제2 단위 셀(220)의 전압(V2)이 제3 단위 셀(230)의 전압(V2)보다 작은 경우의 셀 밸런싱 과정을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제2 밸런싱부(500)의 제1 스위칭 소자(521, 531, 541)의 게이트(G)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1 스위칭 소자(521, 531, 541)의 소스(S)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크게 된다. 그에 따라, 제2 밸런싱부(500)의 제1 스위칭 소자(521, 531, 541)는 오프되어 제2 단위 셀(220)에 대한 방전은 차단된다. 제2 밸런싱부(500)의 제2 스위칭 소자(522, 532, 542)의 게이트(G)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2 스위칭 소자(522, 532, 542)의 소스(S)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작게 된다. 그에 따라, 제2 밸런싱부(500)의 제2 스위칭 소자(522, 532, 542)가 온되어 제3 단위 셀(230)에 대한 방전이 이루어져 제3 단위 셀(230)의 전압(V3)이 제2 단위 셀(220)의 전압(V2)과 동일해질 때까지 떨어지게 된다. 제3 단위 셀(230)의 전압(V3)이 제2 단위 셀(220)의 전압(V2)과 동일해지면, 제2 밸런싱부(500)의 각 스위칭 소자(521, 522, 531, 532, 541, 542)의 소스(S)에 인가되는 전압이 각 스위칭 소자(521, 522, 531, 532, 541, 542)의 게이트(G)에 인가되는 전압과 같아져서 모든 스위칭 소자(521, 522, 531, 532, 541, 542)는 오프되어, 제2 밸런싱부(500)에서의 셀 밸런싱은 중단된다.
상기와 같은 각 밸런싱부(400, 500)에서의 셀 밸런싱 과정은 모든 단위 셀(210, 220, 230)의 전압(V1, V2, V3)가 동일해질 때까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직렬 연결된 3개의 단위 셀(210, 220, 230)에 대한 셀 밸런싱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직렬 연결된 4개 이상의 단위 셀에 대한 셀 밸런싱도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임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들을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 밸런싱 회로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차전지 200 : 셀 모듈
210, 220, 230 : 단위 셀 300 : 셀 밸런싱 회로
400 : 제1 밸런싱부 410 : 제1 방전부
450 : 제1 전압 분배부 460a : 제1 전력소비용 저항
460b : 제2 전력소비용 저항 500 : 제2 밸런싱부
510 : 제1 방전부 550 : 제1 전압 분배부
560a : 제1 전력소비용 저항 560b : 제2 전력소비용 저항

Claims (18)

  1. 직렬 연결된 다수의 단위 셀에 대한 셀 밸런싱을 실시하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위 셀들 중 인접한 두 단위 셀 마다 하나씩 마련되는 밸런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런싱부는 상기 인접한 두 단위 셀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의 단위 셀만 방전되도록 방전 경로를 설정하는 방전부와, 상기 인접한 두 단위 셀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방전부에 동작신호를 제공하는 전압 분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밸런싱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부는 상기 인접한 두 단위 셀 중에서 두 단위 셀의 평균 전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갖는 단위 셀만이 방전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밸런싱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와 상기 전압 분배부는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압 분배부는 직렬로 연결된 저항값이 동일한 두 개의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전압 분배부의 두 저항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가 상기 방전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밸런싱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부의 방전부는, 상기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압 분배부의 동작신호를 전달받는 2개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스위칭부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스위칭 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가 상기 인접한 두 단위 셀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밸런싱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스위칭 소자 중 하나는 P채널 FET이며, 다른 하나는 N채널 F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밸런싱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스위칭 소자는 소스가 서로 연결되며,
    상기 P채널 FET의 드레인은 상기 인접한 두 단위 셀의 음극과 연결되고,
    상기 N채널 FET의 드레인은 상기 인접한 두 단위 셀의 양극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밸런싱 회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채널 FET의 게이트와 상기 N채널 FET의 게이트에 상기 전압 분배부의 동작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밸런싱 회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상기 스위칭부가 2개 이상이 병렬로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밸런싱 회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부는 상기 방전부의 양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소비용 저항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밸런싱 회로.
  10. 직렬 연결된 다수의 단위 셀을 구비하는 셀 모듈;
    상기 다수의 단위 셀들 중 인접한 두 단위 셀 마다 하나씩 마련되는 밸런싱부를 구비하는 셀 밸런싱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셀 밸런싱 회로의 상기 밸런싱부는 상기 인접한 두 단위 셀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의 단위 셀만 방전되도록 방전 경로를 설정하는 방전부와, 상기 인접한 두 단위 셀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방전부에 동작신호를 제공하는 전압 분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부는 상기 인접한 두 단위 셀 중에서 두 단위 셀의 평균 전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갖는 단위 셀만이 방전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와 상기 전압 분배부는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압 분배부는 직렬로 연결된 저항값이 동일한 두 개의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전압 분배부의 두 저항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가 상기 방전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부의 방전부는, 상기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압 분배부의 동작신호를 전달받는 2개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스위칭부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스위칭 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가 상기 인접한 두 단위 셀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스위칭 소자 중 하나는 P채널 FET이며, 다른 하나는 N채널 F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스위칭 소자는 소스가 서로 연결되며,
    상기 P채널 FET의 드레인은 상기 인접한 두 단위 셀의 음극과 연결되고,
    상기 N채널 FET의 드레인은 상기 인접한 두 단위 셀의 양극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P채널 FET의 게이트와 상기 N채널 FET의 게이트에 상기 전압 분배부의 동작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상기 스위칭부가 2개 이상이 병렬로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부는 상기 방전부의 양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소비용 저항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090073741A 2009-08-11 2009-08-11 셀 밸런싱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Expired - Fee Related KR101042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741A KR101042833B1 (ko) 2009-08-11 2009-08-11 셀 밸런싱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US12/839,664 US8421412B2 (en) 2009-08-11 2010-07-20 Cell balancing circuit and secondary battery with cell balancing circuit
EP10172465A EP2287992A3 (en) 2009-08-11 2010-08-11 Cell balancing circuit and secondary battery with cell balancing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741A KR101042833B1 (ko) 2009-08-11 2009-08-11 셀 밸런싱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166A KR20110016166A (ko) 2011-02-17
KR101042833B1 true KR101042833B1 (ko) 2011-06-20

Family

ID=43333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741A Expired - Fee Related KR101042833B1 (ko) 2009-08-11 2009-08-11 셀 밸런싱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21412B2 (ko)
EP (1) EP2287992A3 (ko)
KR (1) KR101042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842B1 (ko) 2012-08-21 2019-02-0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셀 밸런싱 회로의 고장 진단 장치
KR101630002B1 (ko) 2012-11-12 2016-06-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US8901888B1 (en) 2013-07-16 2014-12-02 Christopher V. Beckman Batteries for optimizing output and charge balance with adjustable, exportable and addressable characteristics
KR102570265B1 (ko) 2016-04-26 2023-08-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N108134417B (zh) * 2017-12-21 2021-07-13 江苏罗思韦尔电气有限公司 一种均衡电池内各单体电芯能量的方法
TWI795749B (zh) * 2021-03-24 2023-03-11 邑達電子股份有限公司 電池組及電池組串接結構
KR20230054152A (ko) * 2021-10-15 2023-04-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160B1 (ko) 2005-04-15 2008-05-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의 밸런싱을 위한 스위칭 회로
KR100869709B1 (ko) 2007-03-13 2008-11-2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배터리 셀 밸런싱 장치
KR100908716B1 (ko) 2007-03-02 2009-07-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5155A (en) * 1993-08-09 1998-10-20 Kabushiki Kaisha Toshiba Battery set structure and charge/ discharge control apparatus for lithium-ion battery
FR2776139B1 (fr) * 1998-03-13 2002-03-08 Denso Corp Dispositif d'equilibrage des tensions dans une batterie composee
DE10325759A1 (de) 2003-06-05 2004-12-23 Hermann Briechle Chemieunabhängiges Akkuzellen-Symmetriersystem
US20050077875A1 (en) * 2003-10-14 2005-04-14 Bohley Thomas K. Battery cell balancing circuit
DE102004038534A1 (de) 2004-08-06 2006-03-16 Bosch Rexroth Ag Verlustarmer Spannungsteiler, insbesondere für Zwischenkreise
JP4140585B2 (ja) 2004-08-27 2008-08-27 Fdk株式会社 直列接続した2次電池のバランス補正装置およびその補正方法
JP4186916B2 (ja) * 2004-11-18 2008-11-26 株式会社デンソー 組電池管理装置
JP2007318950A (ja) * 2006-05-27 2007-12-06 Gs Yuasa Corporation:Kk 二次電池のセル電圧バランス装置
JP2008182809A (ja) 2007-01-24 2008-08-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回路、電池パック、及び電池システム
JP4965496B2 (ja) * 2008-04-01 2012-07-0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及びバッテリ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160B1 (ko) 2005-04-15 2008-05-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의 밸런싱을 위한 스위칭 회로
KR100908716B1 (ko) 2007-03-02 2009-07-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869709B1 (ko) 2007-03-13 2008-11-2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배터리 셀 밸런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37433A1 (en) 2011-02-17
EP2287992A2 (en) 2011-02-23
US8421412B2 (en) 2013-04-16
EP2287992A3 (en) 2011-03-30
KR20110016166A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833B1 (ko) 셀 밸런싱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KR102028170B1 (ko) 셀 밸런싱 회로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US20100019724A1 (en) Battery system using secondary battery
KR101387733B1 (ko) 배터리 팩, 배터리 팩 장치 및 전기장치
US7973514B2 (en) Battery cell balancing systems using current regulators
KR101791694B1 (ko)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
US20090220825A1 (en) Battery Pack and Battery Protection Method
JP4407641B2 (ja) 2次電池装置
US20120139479A1 (en) Charge control system of battery pack
KR20130046234A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060077603A1 (en) Protective circuit for a secondary battery pack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935472B2 (en) Battery pack
US20120032513A1 (en) Battery management circuit, battery module and battery management method
WO2014133009A1 (ja) 蓄電池、蓄電池の制御方法、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2105525A (ja) バッテリー制御回路
KR101909104B1 (ko) 배터리팩 밸런싱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
US7643263B2 (en) Controlling over-current from a power supply to a device
US20110025274A1 (en) Energy accumulator
CN111293755B (zh) 一种并联电池组均衡放电的保护电路及可充电装置
KR20140028349A (ko) 셀 밸런싱 장치
KR20060011484A (ko) 배터리 팩
CN112147517B (zh) 电池组检测装置和系统
KR20180125771A (ko) 이중 보호 회로를 구비하는 보조 배터리 장치
JP2010028920A (ja) 充電池の充電装置
KR20220080303A (ko) Led를 이용한 셀 밸런싱 상태 확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