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42735B1 - 유자씨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유자씨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735B1
KR101042735B1 KR1020100132329A KR20100132329A KR101042735B1 KR 101042735 B1 KR101042735 B1 KR 101042735B1 KR 1020100132329 A KR1020100132329 A KR 1020100132329A KR 20100132329 A KR20100132329 A KR 20100132329A KR 101042735 B1 KR101042735 B1 KR 101042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tron
discharge
unit
seed
dischar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노
Original Assignee
정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노 filed Critical 정재노
Priority to KR1020100132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4/00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 A23N4/12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for coring fruit
    • A23N4/18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for coring fruit for citrus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3/00Machines for coring or stoning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feeding device
    • A23N3/04Machines for coring or stoning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feeding device with endless feeder-bel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4/00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 A23N4/22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for both splitting and sto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자를 식품으로 가공하기 위해 유자의 씨를 배출하는 과정이 자동화 장치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여, 작업시간의 단축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유자씨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자를 이송하는 이송부(10)와; 상기 이송부(10)에서 이송되는 유자를 공급받아 유자로부터 유자씨를 배출하는 배출부(20)와; 상기 배출부(20)에서 유자를 공급받아 상기 배출부(20)에서 배출되지 않은 유지씨를 재배출하는 분류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유자씨 배출장치{DEVICE FOR EJECTING SEED OF CITRON}
본 발명은 유자씨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자에 포함된 불필요한 유자씨가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유자씨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자는 비타민 C, E, P 뿐만 아니라 항암물질도 다량 함유되어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또한, 유자는 액즙이 풍부하고 향기가 좋아서 요리를 할 때 이용되거나, 감기, 신경통 및 풍의 치료와 예방에 효과가 있고, 티눈과 사마귀 등의 피부질환에는 유자씨를 태워 밥에 버무려 환부에 붙이거나, 유산이나 산후복통에도 유자껍질을 달여먹는 등의 민간요법이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러한 유자는 주로 껍질속에 이러한 생리활성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반드시 껍질을 먹어야 하는 과일이며, 현재 유자의 이용은 주로 유자과육을 설탕에 절여서 만든 유자청을 일정량 물에 타서 차로 이용하거나, 술, 화채, 떡, 정과 및 향신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자는 내부에 다량의 씨가 있는 과육과 과육의 외면을 감싸고 있는 껍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유자를 식품의 형태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과육 내부의 씨를 분리 배출하고 남은 껍질과 과육을 얻어야 한다.
그러나, 유자씨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유자를 절단하거나, 유자를 가압하여 씨가 유자로부터 배출되도록 해야하지만, 이러한 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뤄지게 되면서 작업능률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자씨를 배출하는 과정이 수작업에 의해 이뤄지게 되면서 인력소모 및 비용지출이 많고, 이로 인해 제품원가가 상승하게 되면서 경쟁력을 잃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자에 포함된 불필요한 유자씨가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작업능률과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유자씨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유자의 신선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빠르고 신속하게 유자씨 배출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유자씨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자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유자를 공급받아 유자로부터 유자씨를 배출하는 배출부와; 배출부에서 유자를 공급받아 배출부에서 배출되지 않은 유지씨를 재배출하는 분류부를 포함하되, 분류부는, 일단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며, 표면에는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망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씨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류부는 망체의 타단부를 거치하기 위한 지지롤이 더 포함되되, 지지롤이 접하는 망체의 외주면에는 환형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류부는 망체에 형성된 배출공의 크기가 유입구로부터 토출구로 갈수록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류부는 토출구의 후면으로 차단막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망체는 토출구 내측으로 일측은 망체에 연결되고 타측은 토출구의 중앙으로 연장되는 지지대가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이 더 포함되되, 지지프레임의 중앙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체결공에는 모터의 구동축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망체는 내주면에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압편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는 하부에 위치하는 이송컨베이어와,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압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는 이송컨베이어와 가압컨베이어와의 이격된 간격이 이송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는 이송부에서 이송된 유자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롤러와, 가압롤러에서 가압된 유자로부터 유자씨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쉬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롤러는 메쉬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쉬롤러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원형링과 다수개의 횡봉에 의해 격자공간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출편이 구비되되, 돌출편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자에 포함된 불필요한 유자씨가 자동으로 배출됨으로써 작업능률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자씨 배출작업이 빠르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유자의 신선도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유자씨를 배출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뤄지게 됨으로써 인력 및 비용지출이 줄게 되면서 제품에 대한 경쟁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자씨 배출장치에 대한 측면도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자씨 배출장치에서 이송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자씨 배출장치에서 배출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자씨 배출장치에서 메쉬롤러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6a, 6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자씨 배출장치에서 배출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a, 7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자씨 배출장치에서 분류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자씨 배출장치에서 분류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자씨 배출장치에서 분류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자씨 배출장치에 대한 측면도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유자씨 배출장치(1)는 유자를 이송하는 이송부(10)와, 상기 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되는 유자를 공급받아 유자로부터 유자씨를 배출하는 배출부(20)와, 상기 배출부(20)에서 유자를 공급받아 상기 배출부(20)에서 배출되지 않은 유자씨를 재배출하는 분류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유자씨 배출장치(1)는 상기 이송부(10)와, 상기 배출부(20) 그리고 상기 분류부(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10)와, 상기 배출부(20)와 그리고 상기 분류부(3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스위치와, 각 구동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 그리고 각 구동의 속도를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속도조절스위치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자씨 배출장치(1)는 상기 이송부(10)의 끝단과 상기 배출부(20)의 전단 사이에 다수개의 블레이드(41)가 방사 형상으로 형성된 로터(40) 상기 로터(40)의 하부에 이음판(4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터(40)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거나, 상기 이송부(10)에서 이송되는 유자의 진행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이음판(42)은 상기 이송부(10)의 끝단과 상기 배출부(20)의 전단을 연결한다.
상기 분류부(30)의 전면에는 상기 배출부(20)에서 배출되는 유자를 상기 분류부(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판(31)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자씨 배출장치(1)는 상기 이송부(10)의 끝단과 상기 배출부(20)의 전단 사이에 상기 로터(4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되는 유자가 적층되지 않고 상기 배출부(20)로 원활히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자씨 배출장치(1)는 상기 이음판(42)으로 인해 상기 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되는 유자가 상기 배출부(20)와 상기 이송부(10) 사이로 낙하하지 않고 상기 배출부(20)로 진행이 유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유자씨 배출장치(1)는 상기 가이드판(31)으로 인해 상기 배출부(20)에 의해 배출되는 유자가 유실되지 않고 상기 분류부(30)로 원활히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0)에서 이송되는 유자는 절단된 반구형으로 가동되어 이송되며, 절단면은 하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이송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자씨 배출장치(1)는 상기 이송부(10)와, 상기 배출부(20)와, 그리고 상기 분류부(30)가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며, 절단된 다량의 유자는 상기 이송부(10)에서 상기 배출부(20)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부(10)에서 이송되는 유자는 상기 로터(40)와 상기 가이드판(31)에 의해 상기 배출부(20)로 공급된다.
상기 이송부(10)에서 공급된 유자는 상기 배출부(20)에서 유자씨가 배출되고, 유자는 다시 상기 분류부(3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20)에서 배출되지 않은 유자씨는 상기 분류부(30)에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자씨 배출장치(1)는 상기 배출부(20)에서 유자씨가 배출되고, 상기 배출부(20)에서 배출되지 않은 유자씨는 다시 상기 분류부(30)에서 배출됨으로써 유자씨 배출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유자씨 배출장치(1)는 유자씨 배출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다량의 유자를 신속하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단시간에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유자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자씨 배출장치에서 이송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이송부(10)는 하부에 위치하는 이송컨베이어(11)와 상기 이송컨베이어(11)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압컨베이어(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부(1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1)와 상기 가압컨베이어(12)와의 사이 간격이 상기 이송부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송부(1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이송부(10)는 유자가 공급되는 전방으로부터 상기 배출부(20)로 이송되는 후방으로 갈수록 유자를 누르는 압력이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이송부(10)에서 이송되는 유자를 점진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11)로부터 유자가 미끄러지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배출부(20)로 유자가 공급되기 전에 상기 이송부(10)에서 유자를 가압하여 상기 배출부(20)에서 유자씨가 쉽게 배출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자씨 배출장치(1)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1)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가압컨베이어(12)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자씨 배출장치(1)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1)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컨베이어(12)가 수평으로 설치되거나, 상기 이송컨베이어(11)와 상기 가압컨베이어(12)가 각각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면서 상기 이송부(10)의 전면로부터 상기 배출부(20)로 갈수록 이격된 간격이 좁아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컨베이어(12) 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1)의 경사각은 수평면에 대하여 0도 내지 30도에서 형성되거나, 양 컨베이어 사이의 간격이 0도 내지 30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송컨베이어(11) 및 상기 가압컨베이어(12)는 각각 내측으로 컨베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압롤(1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이송부(10)에서 이송되는 유자가 상기 가압컨베이어(12)에 의해 가압되는 과정에서 유자와 접하는 상기 가압컨베이어(12)의 하면과 상기 이송컨베이어(11)의 상면이 만입되면서 가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자씨 배출장치(1)는 유자와 인접하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1)의 상면과 상기 가압컨베이어(12)의 하면이 상기 다수개의 가압롤(13)에 의해 지지되면서 유자의 가압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자씨 배출장치에서 배출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자씨 배출장치에서 메쉬롤러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6a, 6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자씨 배출장치에서 배출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배출부(20)는 상기 이송부(10)에서 이송된 유자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롤러(21)와, 상기 가압롤러(21)에서 가압된 유자로부터 유자씨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쉬롤러(22)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롤러(21)는 상기 이송부(10)의 끝단에 위치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압롤러(21)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상기 메쉬롤러(22)의 외측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롤러(21)는 상기 메쉬롤러(22)와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10)에서 이송된 유자의 상부를 가압하여 유자의 과육으로부터 유자씨가 밀려나오도록 한다.
상기 가압롤러(21)와 상기 메쉬롤러(22)와의 이격된 거리는 1/2로 절단된 유자가 압착될 수 있는 정도의 거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쉬롤러(22)는 상기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타측에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연결되는 중심축(23)이 구비된다.
상기 메쉬롤러(22)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원형링(24)과 다수개의 횡봉(25)이 격자로 형성되면서 다수개의 격자공간(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쉬롤러(22)는 내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출편(2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편(27)은 상기 메쉬롤러(22)에 구비된 횡봉(25)과 횡봉(25) 사이에 위치하며, 일단은 상기 메쉬롤러(22)의 일측 내주면에 인접되고, 타단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쉬롤러(22)와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별개의 다른 구조물에 고정된다.
상기 가압롤러(21)는 오른쪽으로 회전하며, 상기 메쉬롤러(22)는 왼쪽으로 회전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자씨 배출장치(1)는 상기 이송부(10)에서 이송된 유자가 상기 배출부(20)로 공급되면 유자는 상기 가압롤러(21)에 의해 가압되면서 유자씨가 배출되거나, 유자의 과육이 상기 격자공간(26)의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 격자공간(26)의 내부로 인입된 유자의 과육은 회전하는 상기 메쉬롤러(22)에 의해 상기 돌출편(27)과 반복하여 접촉하게 되면서 유자씨는 유자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자씨 배출장치(1)는 상기 가압롤러(21)가 하나의 상기 메쉬롤러(22)의 외측에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쉬롤러(22)가 복수개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메쉬롤러(22)의 상부에 상기 가압롤러(21)가 각각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복수개의 상기 메쉬롤러(22)와, 복수개의 상기 가압롤러(21)와의 이격된 거리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유자씨 배출장치(1)는 상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롤러(21)가 설치되는 위치에 메쉬롤러(22)가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상측에 위치하는 메쉬롤러(22)는 오른쪽으로 회전하며, 하측에 위치하는 메쉬롤러는 왼쪽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자씨 배출장치(1)는 상기 메쉬롤러(22)가 복수개 설치됨으로써 상기 이송부(10)로 공급되는 유자로부터 유자씨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a, 7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자씨 배출장치에서 분류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자씨 배출장치에서 분류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자씨 배출장치에서 분류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분류부(30)는 일단부에 상기 배출부(20)에서 공급되는 유자가 유입되는 유입구(3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유입된 유자가 배출되는 토출구(32)가 형성되며, 표면에는 유자씨가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배출공(33)이 형성되는 망체(34)로 이루어진다.
상기 망체(34)는 원통형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사각, 또는 육각 등의 다각통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망체(34)는 상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32) 내측으로 일측은 상기 망체(34)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토출구(32)의 중앙으로 연장되는 지지대(35)가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36)이 설치된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망체(34)가 모터(M)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상기 지지프레임(36)의 중앙에는 체결공(37)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37)에는 상기 망체(34)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M)의 구동축이 인입되어 결합되거나, 상기 지지프레임(36)의 중앙에 회전축이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기어나, 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분류부(30)는 상기 도 1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망체(34)의 타단부를 회전가능하게 거치하기 위한 지지롤(40)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롤(40)이 접하는 상기 망체(34)의 외주면에는 환형프레임(4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지지롤(40)은 상기 환형프레임(41)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자씨 배출장치(1)는 상기 유입구(31)를 이루는 외주면에 상기 환형프레임(41)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프레임(41)의 하부에는 상기 환형프레임(41)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지지롤(40)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유자씨 배출장치(1)는 상기 지지롤(40)에 의해 상기 망체(34)의 타단부가 거치됨으로써 모터(M)에 가해지는 상기 망체(34)의 하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망체(34)는 상기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가압편(38)이 방상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가압편(38)은 상기 망체(34)의 수평길이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망체(34)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망체(34)의 중앙을 향하도록 돌출 설치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자씨 배출장치(1)는 상기 망체(34) 내부에 수용된 유자가 상기 망체(34)의 회전에 의해 회전과 낙하를 반복하면서 유자로부터 유자씨가 분리되어 배출된다.
상기 망체(34) 내부에 수용된 유자는 상기 망체(34)의 내주면에 고정된 상기 가압편(38)과 반복적으로 충돌하면서 유자로부터 유자씨가 분리되어 배출된다.
또한, 유자로부터 분리된 유자씨는 상기 망체(34)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다수개의 배출공(33)을 통해 상기 망체(34)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 망체(34) 하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유자씨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함이 설치되며, 상기 포집함에는 상기 망체(34)로부터 배출되는 유자씨가 포집된다.
그리고, 상기 망체(34) 내부에 수용된 유자는 상기 토출구(32)를 통해 배출되어 포집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자씨 배출장치(1)는 상기 망체(34)에 형성된 상기 배출공(33)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입구(31)로부터 상기 토출구(32)로 갈수록 상기 배출공(33)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예컨대, 상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망체(34)의 일측에는 작은배출공(33")이 형성되도록 하고, 타측에는 큰배출공(33')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망체(34)에 수용된 유자로부터 배출되는 유자씨와, 유자의 과육, 그리고 유자의 껍질이 각각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자씨 배출장치(1)는 상기 유입구(31)로부터 상기 토출구(32)로 갈수록 배출공의 크기가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망체(34)에 수용된 유자로부터 배출되는 유자씨는 상기 망체의 일측에 형성된 작은배출공(33")으로 통과되고, 상기 유자씨를 제외한 과육은 큰배출공(33')으로 배출되며, 그리고 유자의 껍질은 상기 토출구(32)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유자씨 배출장치(1)는 별도의 분리 작업없이 유자씨와, 유자의 과육, 그리고 유자의 껍질을 분리하여 포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류부(30)는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32)의 전방으로 상기 토출구(32)로부터 배출되는 유자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단막(50)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막(50)은 회전되지 않으며, 상기 토출구(32)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측이 차단되도록 설치되거나, 하측을 제외한 좌,우,상측이 차단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자씨 배출장치(1)는 상기 토출부(32)의 전방으로 상기 차단막(50)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토출구(32)에서 사방으로 배출되는 유자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유자씨 배출장치(1)는 상기 차단막(50)에 의해 상기 망체(34)에 수용된 유자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음으로써 유자를 간편하게 포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자씨 배출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자씨 배출장치 10 : 이송부
11 : 이송컨베이어 12 : 가압컨베이어
20 : 배출부 21 : 가압롤러
22 : 메쉬롤러 24 : 원형링
25 : 횡봉 26 : 격자공간
27 : 돌출편 30 : 분류부
31 : 유입구 32 : 토출구
33 : 배출공 34 : 망체
35 : 지지대 36 : 지지프레임
37 : 가압편 40 : 지지롤
41 : 환형프레임 50 : 차단막

Claims (11)

  1. 유자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유자를 공급받아 유자로부터 유자씨를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에서 유자를 공급받아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지 않은 유지씨를 재배출하는 분류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류부는, 일단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며, 표면에는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망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공의 크기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갈수록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씨 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망체의 타단부를 거치하기 위한 지지롤이 더 포함되되, 상기 지지롤이 접하는 상기 망체의 외주면에는 환형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씨 배출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토출구의 후면으로 차단막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씨 배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는 상기 토출구 내측으로 일측은 상기 망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토출구의 중앙으로 연장되는 지지대가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이 더 포함되되,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앙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모터의 구동축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씨 배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는 내주면에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압편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씨 배출장치.
  7. 제 1항, 제 2항,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하부에 위치하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압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씨 배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가압컨베이어와의 이격된 간격이 상기 이송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씨 배출장치.
  9. 제 1항, 제 2항,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된 유자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롤러와, 상기 가압롤러에서 가압된 유자로부터 유자씨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쉬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씨 배출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는 메쉬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씨 배출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롤러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원형링과 다수개의 횡봉에 의해 격자공간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출편이 구비되되,
    상기 돌출편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씨 배출장치.
KR1020100132329A 2010-12-22 2010-12-22 유자씨 배출장치 KR101042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329A KR101042735B1 (ko) 2010-12-22 2010-12-22 유자씨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329A KR101042735B1 (ko) 2010-12-22 2010-12-22 유자씨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2735B1 true KR101042735B1 (ko) 2011-06-20

Family

ID=44405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329A KR101042735B1 (ko) 2010-12-22 2010-12-22 유자씨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7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541B1 (ko) * 2011-10-31 2014-05-28 풍양토우영농조합법인 유자씨 분리장치의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816B1 (ko) * 2006-07-19 2007-05-16 정재노 유자씨 배출장치
KR100959654B1 (ko) * 2007-11-12 2010-05-26 백성준 씨 분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816B1 (ko) * 2006-07-19 2007-05-16 정재노 유자씨 배출장치
KR100959654B1 (ko) * 2007-11-12 2010-05-26 백성준 씨 분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541B1 (ko) * 2011-10-31 2014-05-28 풍양토우영농조합법인 유자씨 분리장치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02224B1 (en) A plant and a method for extracting puree, or juice from food products of high sizes
CN108522031B (zh) 一种用于农业生产的玉米棒加工装置
KR20120119409A (ko) 현미 가공장치
WO2015192744A1 (zh) 定量投料的慢速榨汁系统及方法
CN105614903A (zh) 一种文冠果剥壳机
KR100840693B1 (ko) 과실가공 시스템
CN106171278A (zh) 青贮穗茎兼收多功能一体玉米收获机
CN107802002A (zh) 百香果榨汁机
CN107348528A (zh) 一种核桃青皮剥离机
KR20130028299A (ko) 슬라이스 커터장치
KR101181013B1 (ko) 착즙장치
CN110280357A (zh) 一种调味品原材料粉碎机
KR20120104903A (ko) 착즙장치
KR101042735B1 (ko) 유자씨 배출장치
CN107048447A (zh) 一种毛豆剥壳装置
CN206612165U (zh) 一种石榴去皮分离装置
KR100718816B1 (ko) 유자씨 배출장치
ES2826698B2 (es) Máquina integrada para procesado de frutos de cáscara dura o blanda
KR20170133764A (ko) 수직형 마늘 탈피장치
CN206284327U (zh) 一种花椒剥皮装置
FI92131B (fi) Laite pyöreiden ja suorakulmaisten olki- ja ruohopaalien repimiseksi/leikkaamiseksi
KR101289536B1 (ko) 유자씨 배출장치
CN213785247U (zh) 一种多粒芡实破壳装置
KR20220069235A (ko) 고추 꼭지 제거장치
CN210610941U (zh) 一种土豆去皮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7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7121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2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