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943B1 - Body surface potential measurement device using electric non-contact ECG - Google Patents
Body surface potential measurement device using electric non-contact EC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1943B1 KR101041943B1 KR1020090007399A KR20090007399A KR101041943B1 KR 101041943 B1 KR101041943 B1 KR 101041943B1 KR 1020090007399 A KR1020090007399 A KR 1020090007399A KR 20090007399 A KR20090007399 A KR 20090007399A KR 101041943 B1 KR101041943 B1 KR 1010419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dy surface
- surface potential
- electrocardiogram
- contact
- ec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421 electrostatic potential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19622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0125 myocardial infar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47 cardia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07 myocard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2383 Angina Pector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4418 Electrolyte imbal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119 arrhyth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93 arrhythmi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6 bayesian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9 copper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078 coronary arte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5 diasto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65 electrocardi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14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37 heart atri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65 myocardi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11 non-condu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081 physical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61 ventri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1—Furni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3—Ca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ue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using specific filters therefor, e.g. Kalman or adaptive fil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53—Details of waveform analysis characterised by using trans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Cardi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 측정시에 발생하는 전기적 왜곡을 제거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정밀한 심전도를 이용하여 체표면 전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surface potential measurement device using an electrical non-contact electrocardiogram,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is to remove the electrical distortion generated during the electrical non-contact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and to measure the body surface potential by using a precise ECG obtained through this It is to provide a device.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는 피검사자의 신체에 직접적인 접촉 없이 의복의 적소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앰프 부착형 전극을 가로 및 세로로 구성되는 격자형으로 배열한 심전도 측정부와, 상기 심전도 측정부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노이즈를 필터링하며,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A/D 변환부와, 상기 A/D 변환부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가받은 신호들을 분석하는 컴퓨터와, 본 발명에 따른 체표전위 측정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피검사자의 신체에 직접적인 접촉 없이 의복의 적소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접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는 인가받은 다수개의 심전도 신호들을 이차원 평면상에 매핑하는 방법으로 피검사자 체표면 전위 분포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를 개시한다.To this end, the body surface potential measurement device using the electrical non-contact electrocardi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cardiogram of a plurality of amplifier-attached electrodes arranged in close proximity to a place of clothing without direct contact with an examinee's body in a lattice structure consisting of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 measurement unit, a signal proces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CG measuring unit to filter external noise, and amplify the filtered signal, an A / D converter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ignal processor, and A A compute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 D converter and analyzes the applied signals, a power supply that supplies power to the body surface potential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placed in close proximity to the garment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subject. A ground plane installed therein, wherein the computer is configured to Discloses a body surface potential measuring apparatus using the electric non-contact ECG characterized in that the analysis of the examinee body surface potential distribution by mapping on.
심전도, 체표전위, 비접촉, 앰프부착형 전극, 바이어스 저항 Electrocardiogram, Body Potential, Non-Contact, Amplifier Attached Electrode, Bias Resis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easuring body surface potential using an electro-contact electrocardiogram (ECG).
심전도란, 심장의 수축에 따른 활동 전류를 곡선으로 기록한 것으로 심장 전기도의 약칭이다.Electrocardiogram is the abbreviation for cardiac electrical conductivity, which is a curve recording the active current according to the contraction of the heart.
심근의 흥분은 정맥동(靜脈洞)에서 일어나 심방, 심실 방향으로 나아가므로 이 흥분을 임의의 두 점에서 전류계(심전계)에 유도하면 심장의 활동전류가 그래프로 묘사된다.The excitation of the myocardium occurs in the sinus sinus and leads to the atrium and ventricular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excitation is induced on an ammeter (electrocardiograph) at any two points, the heart's active current is depicted graphically.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심근이 활동할 때 일어나는 전기적인 흥분으로 인해 발생되는 활동 전위가 신체의 표면에 전달된 후 전류에 의한 파형으로 기록되는 것이 심전도이며, 심장질환을 진단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Using this method, the electrocardiogram generated by the electrical excitation generated by the myocardial activity is transmitted to the surface of the body and recorded as an electric wave, which is very important in diagnosing heart disease.
여기서, 심장의 기저부(基底部)가 흥분해서 첨부(尖部)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음성이 될 때 전류계의 지침(바늘)이 위쪽으로 향하게 곡선을 그릴 경우, 등전위선(等電位線)에서 돌출하는 곳을 W. 에인트호벤의 명명에 따라 P파, Q파, R파, S파, T파, U파라고 한다.Here, when the base of the heart is excited and electrically negative with respect to the appendage, when the guide of the ammeter is curved upwards, it protrudes from the equipotential line. The place is called P wave, Q wave, R wave, S wave, T wave and U wave according to the name of W. Eindhoven.
이렇게 심장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심전도를 얻는 방법으로는 양손, 오른손과 왼발, 왼손과 왼발의 표준지유도(標準肢誘導)를 이용한 심전도 측정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에 단극유도(單極誘導), 흉부유도 등이 있다.As a method of obtaining an electrocardiogram for diagnosing a heart diseas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method using standard guidance of both hands, right hand and left foot, left hand and left foot is used. In addition, unipolar induction and chest Induction, etc.
심전도 측정은 협심증이나 심근경색(心筋梗塞) 등의 관동맥 질환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부정맥(不整脈)이나 전해질이상(電解質異常) 등을 진단함에 있어, 또는 수술 중의 심장이상의 유무의 조사, 확인함에 있어 그 응용면이 넓고, 심장질환의 진단학상 매우 중요하다.Electrocardiogram measurements are used to diagnose coronary artery disease such as angina pectoris and myocardial infarction, as well as to diagnose various arrhythmias and electrolyte abnormalities, or to investigate and confirm the presence of cardiac abnormalities during surgery. It is broad and very important for the diagnosis of heart disease.
이러한 심전도는 근전도, 뇌파, 생체 임피던스 신호와 더불어 대표적인 생체 전기 신호로서, 피검사자의 건강 상태를 비관혈적(non-invasive)인 방법으로 진단하는데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신호이며, 심전도는 호흡 신호와 함께 가장 기본이 되는 바이탈 신호로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 electrocardiogram is a representative bioelectric signal along with EMG, EEG, and bioimpedance signals, and is the most basic signal for diagnosing a subject's health in a non-invasive manner. It is a vital vital signal and is widely used in clinical practice.
하지만 현재 상용화되어 병원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심전도계측장비는 사지에 각 1개씩 그리고 흉부에 6개의 전극을 붙여서 총 12개의 lead를 구성하여 측정을 하고 있으나, 심근 경색을 포함하여 다수의 질병을 잘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ECG measuring equipment, which is commercially available and widely used in hospitals, measures 12 leads by attaching 1 electrode to each limb and 6 electrodes on the chest, but does not measure many diseases including myocardial infarction. I have a problem
한편, 체표면 전위 분포는 약 64개 내지 128개에 달하는 전극을 피부를 직접 부착하여 흉부 모든 부위의 심전도를 측정하여, 이차원 평면에 매핑(mapping) 시키고, 심장의 활동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으로 파악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ody surface potential distribution can be determined by directly attaching about 64 to 128 electrodes to the skin, measuring ECG of all parts of the chest, mapping them to a two-dimensional plane, and monitoring the activity of the heart. have.
이러한, 체표면 전위 분포의 측정은 상체의 전위 차이를 가지고 측정하는 것이므로, 각 전극에서 측정되는 심전도가 정밀하고 왜곡이 없어야만 한다. Since the body surface potential distribution is measured with the difference in the potential of the upper body, the ECG measured at each electrode should be accurate and free of distortion.
상기와 같이 체표면 전위 분포를 파악하는 방법은 Simon D. Carley의 논문(Simon D. Carley, Michelle Jenkins, Kevin Mackway Jones, 'Body surface mapping versus the standard 12 lead ECG in the detection of myocardial infraction amongst Emergency Department patiens: a Bayesian approach', Resuscitation Volume 64, Issue 3, March 2005, pages 309-314)에 언급된 바와 같이, 심근 경색이나 다른 심장 질환들에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12 유도 심전도 장치에 비해 질병 진단력이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body surface potential distribution is described by Simon D. Carley (Simon D. Carley, Michelle Jenkins, Kevin Mackway Jones, 'Body surface mapping versus the standard 12 lead ECG in the detection of myocardial infraction amongst Emergency Department) patiens: a Bayesian approach ', Resuscitation Volume 64, Issue 3, March 2005, pages 309-314), compared to 12-induced ECG devices used in myocardial infarction or other heart diseases. It is known to be excellent.
하지만, 이를 측정시에 검사자가 피검사자의 피부에 전극을 일일이 붙여야 하고, 피검사자는 측정 준비시 부터 측정 후 전극이 제거될 때 까지 움직임의 제약을 받게 되며, 한 번의 검사를 위해 많은 시간적 손해를 본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measuring this, the inspector must attach the electrode to the skin of the examinee one by one, and the examinee is restricted from movement from the preparation of the measurement until the electrode is removed after the measurement, and it causes a lot of time loss for one test. There is this.
또한, 전극이 일회용이므로 한 번의 검사를 위해 많은 수의 전극이 낭비된다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number of electrodes are wasted for one inspection because the electrodes are disposable.
최근에 소개되고 있는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 계측장치는 피부와 전극 간에 커패시턴스를 형성하여 옷을 입은 상태에서도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In recent years, the electrical non-contact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forms a capacitance between the skin and the electrode and can measure the electrocardiogram even when dressed.
이와같은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의 특성상 이 전극을 이용하여 체표변위 측정 을 하게 되면 전극을 일일이 붙일 필요도 없어서 검사시간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피부 접촉식 전극의 폐기물도 생기지 않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al non-contact electrocardiogram, the body surface displacement measurement using this electrode does not require attaching the electrodes one by on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inspection tim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waste of the skin-contact electrode will not be generated.
도 1에는 비접촉 심전도 측정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비접촉 심전도 계측장치에 관한 기술은 임용규에 의해 논문으로 게재된 바 있다(Yong Gyu Lim, Ko Keun Kim, Suk Park 'ECG measurement on a chair without conductive contact',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ume: 53, Issue: 5 on page(s): 956-959, 2006-04-18).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non-contact ECG measurement. The technique of the non-contact ECG measuring device has been published in the paper by Yong-Gyu Lim (Yong Gyu Lim, Ko Keun Kim, Suk Park 'ECG measurement on a chair without conductive contact',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ume: 53, Issue: 5 on page (s): 956-959, 2006-04-18).
상기 논문에서 앰프형 전극은 입력저항이 1013 [Ω], 입력 커패시턴스가 1 [pF]을 가지는 OPA124를 OP앰프로 사용하였으나, OP앰프의 입력단에 바이어스 임피던스 3 [GΩ]을 접지와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 시스템을 통하여 심전도를 측정하여 보면 피부와 전극 간에 있는 옷이 일종의 고대역 필터를 형성하여, 저주파 대역의 신호에 있어서 왜곡이 생기게 되고, 이는 비접촉 심전도 계측장치로는 심박율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above paper, the amplifier type electrode used OPA124 with 10 13 [Ω] input resistance and 1 [pF] as an op amp, but it was used by connecting bias impedance 3 [GΩ] to the ground of the op amp It was. However, when measuring ECG through this system, clothing between skin and electrode forms a kind of high-band filter, which causes distortion in low-frequency signal, which can not be used for non-contact ECG measurement except heart rate. There is this.
비접촉식 체표면 전위 분포의 측정은 상체의 전위 차이를 가지고 측정하는 것이므로, P파 Q파 R파 S파 T파 모두 각 전극에서 측정되는 심전도가 정밀하고 왜곡이 없어야만 한다.Since the measurement of the non-contact body surface potential distribution is performed with the difference of the potential of the upper bod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d at each electrode should be precise and free from distortion in both P wave Q wave R wave S wave T wav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 측정시에 발생하는 전기적 왜곡을 제거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정밀한 심전도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짧은 시간 안에 피험자가 거부감을 느끼지 않도록 체표면 전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removing the electrical distortion generated during the electrical non-contact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and using the precise electrocardiogram obtained through the body surface so that the subject does not feel rejection in a simple and short ti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measuring a potential.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는 피검사자의 신체에 직접적인 접촉 없이 의복의 적소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앰프 부착형 전극을 가로 및 세로로 구성되는 격자형으로 배열한 심전도 측정부와, 상기 심전도 측정부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노이즈를 필터링하며,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A/D 변환부와, 상기 A/D 변환부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가받은 신호들을 분석하는 컴퓨터와, 본 발명에 따른 체표전위 측정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피검사자의 신체에 직접적인 접촉 없이 의복의 적소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접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는 인가받은 다수개의 심전도 신호들을 이차원 평면상에 매핑하는 방법으로 피검사자 체표면 전위 분포를 분석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body surface dislocation measuring device using the non-contact electrocardi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amplifier-attached electrode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stalled close to the right place of the garment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examinee.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unit arranged in a lattice form, a signal proces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unit to filter external noise, and amplify the filtered signal, and an A / electric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A D conversion unit, a computer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 / D conversion unit, a computer for analyzing the applied signal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body surface potenti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irect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examinee A ground plane installed in close proximity to the garment, without the need for a plurality of authorized A method for mapping electrocardiographic signals on a two-dimensional plane can be analyzed examinee body surface potential distribution.
상기 심전도 측정부는 가로로 7개, 세로로 7개가 배열되는 총 49개의 앰프 부착형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total of 49 amplifier-attached electrodes arranged in seven horizontally and seven vertically.
상기 앰프 부착형 전극은, 일측에 구비되는 전극면과, 상기 전극면을 통하여 입력되는 생체 신호를 증폭 및 임피던스 변환시키기 위한 프리앰프와, 상기 프리앰프의 외측에 구비되는 실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de with an amplifier may include an electrode surface provided at one side, a preamplifier for amplifying and impedance converting a biosignal input through the electrode surface, and a shield provided outside the preamplifier.
상기 프리앰프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바이어스 저항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바이어스 저항의 값은 100 기가옴일 수 있다.A bias resist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preamplifier, and the value of the bias resistor may be 100 gigaohms.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앰프 부착형 전극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신호 처리부에 인가되는 심전도 신호는 순차적으로 고역통과필터, 신호 증폭기 및 저역통과필터를 통과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amplifier-attached electrodes, and the ECG signal applied to the signal processor may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high pass filter, the signal amplifier, and the low pass filter.
상기 고역통과필터는 0.05 Hz 이상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2차 고역통과필터일 수 있다.The high pass filter may be a second high pass filter for passing a signal of 0.05 Hz or more.
상기 증폭기는 500 V/V인 전압 증폭기일 수 있다.The amplifier may be a voltage amplifier that is 500 V / V.
상기 저역통과필터는 250 Hz 이하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2차 저역통과필터일 수 있다.The low pass filter may be a secondary low pass filter for passing a signal of 250 Hz or less.
상기 A/D 변환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아날로그 심전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The A / D converter may convert an analog electrocardiogram signal input through the signal processor into a digital signal.
상기 컴퓨터는 상기 A/D 변환부로부터 인가받은 다수개의 심전도 신호들을 앙상블 에버리지하며, 이를 이차원 평면상에 매핑하는 방법으로 다수개의 심전도 신호로부터 피검사자 체표면 전위 분포를 분석할 수 있다.The computer may ensemble a plurality of electrocardiogram signals received from the A / D converter, and analyze the subject surface potential distribution from the plurality of electrocardiogram signals by mapping them on a two-dimensional plane.
상기 컴퓨터는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랩탑 컴퓨터일 수 있다.The computer may be a desktop computer or a laptop computer.
상기 전원 공급부는 직류 전압원 또는 교류 전압원일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may be a DC voltage source or an AC voltage source.
본 발명에 따른 체표전위 측정장치가 의자에 적용될 경우, 의자의 등받이부에 상기 심전도 측정부가 설치되고, 의자의 좌석부 중 피검사자의 둔부가 위치하는 곳에 상기 접지판이 설치될 수 있다.When the body surface potenti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hair, the ECG measuring unit is installed at the back of the chair, and the ground plate may be installed at the position of the buttocks of the examinee among the seats of the chair.
본 발명에 따른 체표전위 측정장치가 침대에 적용될 경우, 피검사자의 어깨가 위치하는 침대시트 상부면 일측에 상기 심전도 측정부가 설치되고, 피검사자의 둔부가 위치하는 침대시트 상부면 타측에 상기 접지판이 설치될 수 있다.When the body surface potential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ed, the ECG measurement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sheet where the shoulder of the examinee is positioned, and the ground plate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sheet where the hip of the examinee is located. Can be.
본 발명에 따른 체표전위 측정장치가 자동차 운전석에 적용될 경우, 운전석 시트의 좌석부 중 운전자의 허벅지가 위치하는 곳에 상기 심전도 측정부가 설치되고, 운전석 전면에 구비되어 차량의 조향을 조절하는 스티어링 휠에 직접적인 접촉이 가능하도록 접지판이 설치될 수 있다.When the body surface potential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driver's seat, the ECG measuring part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driver's thigh is located among the seats of the driver's seat, and is provid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to directly adjust the steering wheel to adjust the steering of the vehicle. Ground plates may be installed to allow contac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에 의하면,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 측정시에 발생하는 저주파 대역에서의 신호 왜곡을 제거함으로써, 심전도의 P파, T파 및 ST분절의 신호까지 정확한 심전도를 얻을 수 있게 하여, 피검사자의 정신적, 신체적 활동을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ody surface potential measurement apparatus using the non-contact electrocardi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of the P, T, and ST segments of the ECG by removing the signal distortion in the low frequency band generated during the measurement of the non-contact ECG By obtaining accurate ECG, it is effective to accurately detect mental and physical activity of the examinee.
또한, 측정된 정확한 심전도를 이용하여 체표 전위 분포를 검사함에 있어서, 전극을 일일이 부착하지 않고도 쉽게 정확한 체표 전위 분포를 계측할 수 있고, 피검사자가 느끼는 제약감과 불편함을 해소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examining the body surface potential distribution by using the measured accurate electrocardiogram, it is possible to easily measure the accurate body surface potential distribution without attaching the electrodes one by one, an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constraint and discomfort felt by the examinee.
또한, 계측된 체표면 전위 분포 매핑(mapping)도 QRS파와 같은 고주파 이외에 저주파에 속하는 P파, T파 및 ST분절에서의 매핑까지 정확하게 볼 수 있으므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피부 부착형 전극을 통한 체표전위 분포 측정보다 쉽고, 빠르며, 정확한 검사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측정 대상자가 제약감을 느끼지 않으므로 일상생활에서도 체표변위를 측정할 수 있어서 심전도보다 더 정확한 질병유무를 알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measured body surface potential distribution mapping can accurately see mapping from P, T, and ST segments belonging to low frequencies in addition to high frequencies such as QRS waves. It is easier, faster, and more accurate than the distribution measurement,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ubjects do not feel the constraints, so the body surface displacement can be measured in everyday life, and thus the presence of more accurate disease than ECG will be know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in the drawings repres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1)는 심전도 측정부(100), 신호 처리부(200), A/D 변환부(300), 컴퓨터(400), 전원 공급부(500) 및 접지판(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easuring body surface potential using an electrical non-contact EC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body surface
상기 심전도 측정부(100)는 피검사자의 신체에 직접적인 접촉 없이 의복의 적소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앰프 부착형 전극(110)을 포함한다. 도 2에는 상기 앰프 부착형 전극(110)이 가로 방향으로 7개, 세로 방향으로 7개가 배열되어 상기 심전도 측정부(100)에 총 49개의 앰프 부착형 전극(110)이 설치되어 있으나, 다수개의 앰프 부착형 전극(110)이 설치되어 복수의 심전도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으며 여기서 상기 앰프 부착형 전극(110)의 개수나 배열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상기 앰브 부착형 전극(110, Active Electrode)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일측에 전극면(111, Electrode face)을 갖고, 직접적인 신체 접촉 없이 변위 전류를 통하여 입력되는 미세한 생체 신호를 증폭하여 전압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프리앰프(112, pre-amp)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앰프(112)는 그 외측에 구비되는 실드(113. shield)에 의해 차폐되도록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 the
한편, 신체의 표면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시스템에서 생체 전위의 측정은 변위 전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변위 전류란, 인체의 피부와 전극면 간에 전기적 신호의 전달 방식이며, 신체에 전위가 변함에 따라 비전도성 물질, 가령 옷, 이불, 가죽 등을 사이에 둔 전극에도 전압의 변화가 발생되고, 그에 따라 발생되는 전류를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asurement of the biopotential in a system that is not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ody is achieved by the displacement current. Here, the displacement current is a transmission method of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skin and the electrode surface of the human body, and as the potential changes in the body, a change in voltage is generated on an electrode sandwiched between a non-conductive material such as clothes, blankets, and leather. , The current generated accordingly.
예를 들면, 커패시터(Capacitor)를 방전하였을 때 극판 상부의 전하는 외부 도선을 통하여 전도 전류로 흐르고, 그와 동시에 커패시터의 극판 사이에는 전기력밀도가 변화하여 변위 전류가 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전체로서 하나의 전기 회로가 형성되며, 이들 전류에 의하여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자기장이 발생하여 전자기파의 형태로 공간에 전파된다.For example, when the capacitor is discharged, the electric charge on the top of the pole plate flows to the conduction current through an external conductor, and at the same time, the electric force density is changed between the pole plates of the capacitor so that the displacement current becomes one electric circuit as a whole. Is formed and a magnetic field that changes in time by these currents is generated and propagated in space in the form of electromagnetic waves.
본 발명에서는 피검사자의 신체(B)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생체 신호가 변위 전류를 통하여 앰프 부착형 전극(110)으로 입력된 후 증폭 및 임피던스 변환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미세한 생체 신호를 높은 이득값의 전압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앰프 부착형 전극(110)에는 고입력의 임피던스가 발생되도록 이루어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bio-signal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subject (B) of the subject is input to the amplifier-attached
상기 신호 처리부(200)는 상기 심전도 측정부(100)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노이즈를 필터링하며,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한다.The
보다 자세하게, 상기 신호 처리부(200)는 앰프 부착형 전극(110)의 프리앰프(112)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앰프 부착형 전극(110)에서 감지된 심전도(ECG)에 따라 발생되는 생체 신호를 전압으로 변화시키도록 이루어진다.In more detail, the
상기 신호 처리부(200)는 상기 프리앰프(112)를 통과한 생체 신호에서 베이스 라인이 출렁이는 현상을 방지하고, 생체 신호를 전압으로 변환시 생체 신호에 따른 잔류 편차(offset)의 변화를 제거 및 필터링하기 위한 고역통과필터(210)와 미세한 생체 신호를 일정한 배율로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220) 및 상기 증폭기(220)를 통하여 증폭된 후 저역 신호대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저역통과필터(230)를 포함한다.The
여기서, 상기 고역통과필터(210)는 0.05 Hz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통과시키는 2차 sallen-key 고역통과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증폭 기(220)로는 500 V/V인 전압 증폭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저역통과필터(230)로는 250 Hz 이하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통과시키는 저역통과필터가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보통의 심전도는 100 Hz 이하의 신호를 보지만, 차단 주파수(cut-off frequency)에서 위상이 변하게 되므로 심전도 주파수가 50 Hz 정도 미만임을 고려하여 약 250 Hz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상기 A/D 변환부(300)는 상기 신호 처리부(200)를 통하여 입력되는 아날로그 심전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이러한 A/D 변환부(300)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장치라도 상관없으며, 여기서 상기 A/D 변환부(300)의 종류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A /
상기 컴퓨터(400)는 상기 A/D 변환부(300)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가되는 신호들을 분석하여 체표전위 분포를 분석한다.The
보다 자세하게, 상기 컴퓨터(400)는 먼저 상기 A/D 변환부(300)로부터 인가받은 다수개의 심전도 신호들을 R 피크(R peak)를 기준으로 앙상블 에버리지한다.In more detail, the
여기서, 앙상블 에버리지(ensemble average)란, 어느 하나의 실험에서 주기적인 파형이 나올 경우 일정 시간동안의 파형의 평균을 구하는 것으로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다. 여기서는 R피크를 중심으로 앙상블 에버리지를 취하였다.Here, an ensemble average is a method of effectively removing noise by obtaining an average of waveforms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a periodic waveform comes out in one experiment. Here, the ensemble average was taken around the R peak.
다음으로, 이렇게 얻어진 심전도 신호들의 앙상블 에버리지 값을 이용하여 이차원 평면상에 매핑(mapping)하는 방법으로 피검사자 체표면 전위 분포를 분석할 수 있다.Next, the body surface potential distribution of the examinee may be analyzed by mapping onto the two-dimensional plane by using the ensemble average values of the ECG signals thus obtained.
한편, 상기 컴퓨터(400)는 퍼스널 컴퓨터(PC)를 이용할 수 있으며, 종류와 관련하여서는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랩탑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으나, 여기서 상기 컴퓨터의 종류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상기 전원 공급부(500)는 본 발명에 따른 체표전위 측정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500)는 직류 전압원 또는 교류 전압원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체표전위 측정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으며, 여기서 상기 전원 공급부(500)의 종류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상기 접지판(600)은 피검사자의 신체에 직접적인 접촉 없이 의복의 적소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앰프 부착형 전극(110)과의 관계에서 접지(ground)될 수 있도록한다.The
도 3은 피검사자와 앰프 부착형 전극의 접촉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는 앰프 부착형 전극의 구성도이고, 도 5는 앰프 부착형 전극을 모델링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바이어스 저항값에 따른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7은 래의 입력바이어스 저항을 3기가옴으로 비접촉 심전도를 측정했을 경우와 입력바이어스 저항을 100기가옴으로 하였을 때 측정한 심전도 파형을 비교한 그래프이다.FIG.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tact relationship between a test subject and an amplifier-attached electrode,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mplifier-attached electrode,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odel of an amplifier-attached electrode, and FIG.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Fig. 7 is a graph comparing the electrocardiogram waveforms measured when the non-contact ECG was measured at 3 giga ohms and the input bias resistance was 100 giga ohms.
한편, 전극면(111) 및 상기 전극면(111)과 프리앰프(112)까지의 전기적 경로 는 접지에 대해 매우 높은 임피던스를 유지하므로 외부의 노이즈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전극면(111)에서 증폭기(220, 도2참조) 까지의 높은 임피던스 부분을 최소화하여 외부의 입력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 프리앰프(112)가 전극면(111)에 부착되는 앰프 부착형 전극(110)이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 측정장치에서 사용된 전극을 개량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앰프 부착형 전극(110)은 고입력 임피던스 앰프 부착형 전극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의 한쪽면에 동박을 입히고 금도금을 하였으며, 프리앰프(112)로 OPA124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OPA124는 저잡음, 저바이어스 전류, 고입력 임피던스의 반도체 IC 앰프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used in the conventional non-contact electrocardiogram measuring apparatus is improved. That is, the electrode
이 때, 전극의 입력단에서 심전도 신호의 offset이 요동치지 않도록 바이어스 저항을 접지와 맞물려주는데, 종래에는 이 저항으로써 3 기가옴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저항을 사용하였다. At this time, the bias resistor is engaged with the ground so that the offset of the ECG signal does not fluctuate at the input terminal of the electrode. In the past, a resistor having a size of about 3 gigaohms was used as the resistor.
도 5를 참조하면, 앰프 부착형 전극을 모델링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Rs는 피부와 옷의 저항, Rc과 Cc는 옷의 저항과 커패시턴스, Cs는 전극의 기생 커패시턴스, Rb는 바이어스 저항, Ra와 Ca는 OPA124 앰프의 입력저항과 입력커패시턴스이다. 한편, Rc와 Cc가 고대역 필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비접촉 심전도 전극은 저주파 대역에서 왜곡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5, a conceptual diagram of an amplifier-attached electrode is shown. Where Rs is the skin and clothing resistance, Rc and Cc the clothing resistance and capacitance, Cs is the parasitic capacitance of the electrode, Rb is the bias resistance, and Ra and Ca are the input resistance and input capacitance of the OPA124 amplifier. On the other hand, since Rc and Cc form a high band filter, the non-contact ECG electrode exhibits distortion in the low frequency band.
만일 바이어스 저항 Rb의 값이 작아진다면 Rc와 Cc에 의한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게 되고, 여기서 상기 Rb값의 영향 정도를 계산하면 도 6과 같이 된다. If the value of the bias resistor Rb decreases, the influence of Rc and Cc is relatively large, and the degree of influence of the Rb value is calculated as shown in FIG. 6.
도 6을 참조하면, 파란색 실선이 1 기가옴의 바이어스 저항에 해당하는 주파수 특성 곡선이며, 붉은색으로 갈수록 100 기가옴의 바이어스 저항에 해당하는 주파수 특성 곡선이 된다. Referring to FIG. 6, the blue solid line is a frequency characteristic curve corresponding to a bias resistance of 1 gigaohm, and the red color becomes a frequency characteristic curve corresponding to a bias resistance of 100 gigaohms toward r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어스 저항값이 작아지면 10 Hz 이하의 저주파 대역에서 신호의 왜곡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사용되던 3 기가옴 정도의 바이어스 저항값 대신 100 기가옴 정도의 바이어스 저항을 사용하게 되면 저주파 영역부터 고주파 영역까지 골고루 동일한 전압이득을 가지는 신호를 얻어낼 수 있고,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접촉형 심전도 장비와 동일한 심전도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bias resistance is small, signal distortion may occur in a low frequency band of 10 Hz or less. Therefore, if a bias resistor of about 100 giga ohms is used instead of the conventional bias resistance of about 3 gigaohms, a signal having the same voltage gain can be obtained evenly from the low frequency region to the high frequency region. The same electrocardiogram as that of the electrocardiogram device can be obtained.
도 7에는 종래의 3기가옴의 입력바이어스를 가지는 비접촉 심전도 측정장치 및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측정한 심전도 파형을 비교한 그래프를 도시하였다. FIG. 7 is a graph illustrating a comparison of the electrocardiogram waveform measured by the non-contact electrocardiogram measuring apparatus having a conventional 3 gigaohm input bias and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7을 참조하면, 피부에 접촉식으로 측정한 심전도와 바이어스 저항으로 3 기가옴 정도의 저항값을 가지는 저항을 사용하였을 때의 심전도, 그리고 100 기가옴 정도의 저항값을 가지는 바이어스 저항을 사용하였을 때의 심전도를 비교한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다. 3기가옴을 이용하여 측정된 그래프는 ST분절이 있는 저주파 대역에서 왜곡이 생기고 있으나, 100기가옴을 이용하여 측정된 그래프에서는 이러한 왜곡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at is, referring to FIG. 7, an electrocardiogram when a resistor having a resistance value of about 3 gigaohms is used as an electrocardiogram and a bias resistance measured in contact with the skin, and a bias resistor having a resistance value of about 100 gigaohms is used. You can see a graph comparing the ECG when used. The graph measured using 3 gigaohms has distortion in the low frequency band with ST segment, but the graph measured using 100 gigaohms shows no such distor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체표전위 측정장치에서는 비접촉 심전도 전극의 바이어스 저항을 100 기가옴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the body surface potential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bias resistance of the non-contact ECG electrode to 100 gigaohms.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의 신호처리부의 구성도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측정된 파형, 고역통과필터를 통과한 후의 파형 및 저역통과필터를 통과한 후의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a signal processing unit of a body surface potential measurement apparatus using an electrical non-contact electrocardi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A to 9C illustrate measured waveforms, waveforms after passing through a high pass filter, and after passing through a low pass filter. It is a graph showing a waveform.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앰프 부착형 전극(111)을 통하여 피검사자의 심전도가 인가되면, 프리앰프(112)를 통과한 후, 신호 처리부(200)의 고역통과필터(210), 증폭기(220) 및 저역통과필터(230)을 차례로 통과하게 된다. 상기 파형의 개략적인 모습은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되어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8, when the examinee's electrocardiogram is applied through the amplifier-attached
도 10은 각 전극에서 측정된 심전도를 앙상블 에버리지한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P파에서의 체표전위 분포를 도시한 도이고, 도 12a는 및 도 12b는 Q파에서의 체표전위 분포를 도시한 도이며, 도 13a 및 도 13b는 R파에서의 체표전위 분포를 도시한 도이고, 도 14a 및 도 14b는 ST분절에서의 체표전위 분포를 도시한 도이다.FIG. 10 is a graph showing an ensemble-averaged waveform of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d at each electrode, and FIGS. 11A and 11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distribution of body surface potential in P waves, and FIGS. 12A and 12B are diagrams illustrating Q waves. 13A and 13B are diagrams showing the body surface potential distribution in the R wave, and FIGS. 14A and 14B are diagrams showing the body surface potential distribution in the ST segment.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는 피검사자가 심전도 측정부에 옷을 입을 상태로 밀착됨으로써 바로 측정이 시작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총 49개의 심전도를 얻을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심전도를 신호 처리부의 고역통과필터, 증폭기 및 저역통과필터를 통과시키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다. 이렇게 얻어진 정보는 컴퓨터에서 앙상블 에버리지되고, 이를 이차원 평면에 매핑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P파, Q파, R파, S파, ST분절, T파 등에서 체표 전위 분포를 관측하고 질병을 유추할 수 있다.The body surface dislocation measuring device using the non-contact electrocardi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mediately measured by the test subjec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othes to the ECG measurement unit. In this way, a total of 49 electrocardiograms can be obtained. The electrocardiograms are passed through a high pass filter, an amplifier, and a low pass filter of the signal processor, and are converted into analog and digital signals. The information thus obtained is ensemble averaged in a computer and maps it to a two-dimensional plane. In this way, body surface potential distribution can be observed and disease can be inferred from P wave, Q wave, R wave, S wave, ST segment, and T wave.
즉, 상기 P파, Q파 등의 각 파는 심장의 상태(수축기, 이완기 등)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 주는 것이지만, 이 때 몸에 퍼지는 심전도 분포를 보면 보다 정확히 질병을 유추해낼 수 있다는 점과 이를 측정하는 시간이 현저히 줄어들고, 전극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체표전위 측정장치의 장점이다.That is, each wave such as the P wave and the Q wave represents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heart (shrinkage, diastolic, etc.), but at this time, the ECG distribution spreading through the body can accurately infer the disease and measure it. It is an advantage of the body surface dislocation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time to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no electrode waste is generated.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body surface dislocation measuring apparatus using an electrical non-contact EC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1)가 의자(50)에 적용될 경우, 상기 심전도 측정부(100)가 피검사자의 양측 어깨가 위치하는 의자의 등받이부(51)에 설치되고, 접지판(600)이 피검사자의 둔부가 위치하는 의자의 좌석부(52)에 설치되어, 피검사자의 심전도를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의자(50)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1)를 설치할 경우 의자의 좌석부(52)에 설치되는 접지판(600)이 기준전압으로 사용된다. 이렇게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의자(50)에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 측정장치(1)를 설치함으로써 피검사자가 체표전위 분포의 측정을 인식하지 않고, 보다 편안하게 체표전위 분포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5, when the body surfac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의자(50)에 설치되는 상기 심전도 측정부(100) 및 접지판(600)이 의자(50)에 노출되게 각각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심전도 측정부(100) 및 접지판(600)이 의자(50)의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심전도 측정부(100) 및 접지판(600)이 의자의 좌석부(52) 또는 등받이부(51)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나, 의자의 좌석부(52) 및 등받이부(51)에 위치시켜 사용하는 방석, 보조 시트 또는 보조 등받이 등에 상기 심전도 측정부(100) 및 접지판(600)이 설치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1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body surface dislocation measuring apparatus using an electrical non-contact EC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1)가 침대(60)에 적용될 경우, 상기 심전도 측정부(100)가 피검사자의 양측 어깨 또는 등이 위치하는 침대(60)의 시트 상부면 일측에 설치되고, 피검사자의 둔부가 위치하는 침대(60)의 시트 상부면 타측에 접지판(600)이 설치되어, 피검사자의 체표전위 분포를 측정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6, when the body surface
이렇게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침대(60)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1)를 설치함으로써 피검사자가 체표전위 분포의 측정을 인식하지 않고, 보다 편안하게 체표전위 분포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Thus, by installing the body surface
도 17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a body surface dislocation measuring apparatus using an electrical non-contact EC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1)가 자동차 운전석 시트(70)에 적용될 경우, 운전석 시트의 좌석부(71) 중 운전자의 허벅지가 위치하는 곳에 상기 심전도 측정부(100)가 설치되고, 운전석 전면에 구비되어 차량의 조향을 조절하는 스티어링 휠(80)에 직접적인 접촉이 가능하도록 접지판(600)이 설치되어, 운전자의 체표전위 분포를 측정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7, when the body surfac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ing a body surface dislocation measuring device using an electrical non-contact EC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비접촉 심전도 측정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non-contact ECG measuremen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easuring body surface potential using an electrical non-contact EC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피검사자와 앰프 부착형 전극의 접촉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tact relationship between the test subject and the amplifier-attached electrode.
도 4는 앰프 부착형 전극의 구성도이다.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ode with an amplifier.
도 5는 앰프 부착형 전극을 모델링한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modeling an amplifier-attached electrode.
도 6은 바이어스 저항값에 따른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6 is a graph show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bias resistance value.
도 7은 종래의 입력바이어스 저항을 3기가옴으로 비접촉 심전도를 측정했을 경우와 입력바이어스 저항을 100기가옴으로 하였을 때 측정한 심전도 파형을 비교한 그래프이다.7 is a graph comparing the electrocardiogram waveforms measured when the non-contact electrocardiogram is measured with a conventional input bias resistor of 3 giga ohms and when the input bias resistance is set to 100 gigaohms.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의 신호처리부의 구성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a signal processing unit of a body surface dislocation measuring apparatus using an electrical non-contact EC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내지 도 9c는 측정된 파형, 고역통과필터를 통과한 후의 파형 및 저역통과필터를 통과한 후의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9A to 9C are graphs showing measured waveforms, waveforms after passing the high pass filter, and waveforms after passing the low pass filter.
도 10은 각 전극에서 측정된 심전도를 앙상블 에버리지한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10 is a graph showing waveforms of ensemble averaged ECGs measured at each electrode.
도 11a 및 도 11b는 P파에서의 체표전위 분포를 도시한 도이다.11A and 11B are diagrams showing body surface potential distribution in P waves.
도 12a는 및 도 12b는 Q파에서의 체표전위 분포를 도시한 도이다.12A and 12B show body surface potential distribution in Q waves.
도 13a 및 도 13b는 R파에서의 체표전위 분포를 도시한 도이다.13A and 13B are diagrams showing the body surface potential distribution in the R wave.
도 14a 및 도 14b는 ST분절에서의 체표전위 분포를 도시한 도이다.14A and 14B are diagrams showing the body surface potential distribution in the ST segment.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body surface dislocation measuring apparatus using an electrical non-contact EC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body surface dislocation measuring apparatus using an electrical non-contact EC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a body surface dislocation measuring apparatus using an electrical non-contact EC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1: Body surface potential measurement device using an electrical non-contact EC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심전도 측정부 110: 앰프 부착형 전극100: electrocardiogram measuring unit 110: amplifier attached electrode
111: 전극면 112: 프리앰프111: electrode surface 112: preamplifier
113: 실드 200: 신호 처리부 113: shield 200: signal processing unit
210: 고역통과필터 220: 증폭기210: high pass filter 220: amplifier
230: 저역통과필터 300: A/D 변환부230: low pass filter 300: A / D conversion unit
400: 컴퓨터 500: 전원 공급부400: computer 500: power supply
600: 접지판 B: 피검사자의 신체600: ground plate B: the body of the subject
C: 의복 50: 의자C: garment 50: chair
51: 의자의 등받이부 52: 의자의 좌석부51: back of the chair 52: seat of the chair
60: 침대 70: 자동차 운전석 시트60: Bed 70: car driver seat
71: 운전석 시트의 좌석부 80: 스티어링 휠71: seat of the driver's seat 80: steering wheel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7399A KR101041943B1 (en) | 2009-01-30 | 2009-01-30 | Body surface potential measurement device using electric non-contact EC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7399A KR101041943B1 (en) | 2009-01-30 | 2009-01-30 | Body surface potential measurement device using electric non-contact EC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8280A KR20100088280A (en) | 2010-08-09 |
KR101041943B1 true KR101041943B1 (en) | 2011-06-15 |
Family
ID=42754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7399A Active KR101041943B1 (en) | 2009-01-30 | 2009-01-30 | Body surface potential measurement device using electric non-contact EC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194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76770B1 (en) * | 2023-11-02 | 2025-03-05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STEMI prediction model providing device based on ECG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2752B1 (en) * | 2019-09-03 | 2022-05-30 | 한국과학기술원 | Apparatus for amplifying ECG based on two-electrod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24898A (en) * | 2003-08-06 | 2004-01-2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Apparatus for sitting |
KR100736721B1 (en) * | 2004-08-31 | 2007-07-09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Electric non-contact apparatus and method for taking electrocardiograms |
-
2009
- 2009-01-30 KR KR1020090007399A patent/KR10104194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24898A (en) * | 2003-08-06 | 2004-01-2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Apparatus for sitting |
KR100736721B1 (en) * | 2004-08-31 | 2007-07-09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Electric non-contact apparatus and method for taking electrocardiogram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76770B1 (en) * | 2023-11-02 | 2025-03-05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STEMI prediction model providing device based on ECG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8280A (en) | 2010-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36721B1 (en) | Electric non-contact apparatus and method for taking electrocardiograms | |
Kim et al. | The electrically noncontacting ECG measurement on the toilet seat using the capacitively-coupled insulated electrodes | |
US10548497B2 (en) | Systems and methods using flexible capacitive electrodes for measuring biosignals | |
Sun et al. | Capacitive biopotential measurement for electrophysiological signal acquisition: A review | |
JP6238512B2 (en) | Biological signal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CN109171702A (en) | A kind of measuring device and measurement method of contactless electrocardiosignal | |
KR101800706B1 (en) | Apparatus, unit measurer and method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 without noise | |
KR10173697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 | |
Lim et al. | Capacitive measurement of ECG for ubiquitous healthcare | |
Ng et al. | Evolution of a capacitive electromyography contactless biosensor: Design and modelling techniques | |
JPWO2008090862A1 (en) | Fetal electrocardiogram signal measuring method and apparatus | |
Komensky et al. | Ultra-wearable capacitive coupled and common electrode-free ECG monitoring system | |
RU2732344C2 (en) | System, recorder and surface electromyography method | |
KR101843083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logical including multiple unit measurer | |
Kuronen | Epic sensors in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 |
Gargiulo et al. | Giga-ohm high-impedance FET input amplifiers for dry electrode biosensor circuits and systems | |
KR101041943B1 (en) | Body surface potential measurement device using electric non-contact ECG | |
Fauzani et al. | Two electrodes system: Performance on ECG FECG and EMG detection | |
JP2014158576A (en) | Bioelectrode | |
JP2023514508A (en) |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apacitive electrophysiological detection with estimation of electrode-to-skin coupling | |
Purohit et al. | Capacitive Electrode Based Single Lead ECG Detection | |
Przystup et al. | A detector of sleep disorders for using at home | |
TW201620439A (en) | Electrocardio recording system | |
Garcia-Casado et al. | Opened-Ring Electrode Array for Enhanced Non-invasive Monitoring of Bioelectrical Signals: Application to Surface EEnG Recording | |
Prats-Boluda et al. | Flexible concentric ring electrode for non invasive bioelectrical surface recording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