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41810B1 - 영상기기 및 그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기기 및 그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810B1
KR101041810B1 KR1020040068046A KR20040068046A KR101041810B1 KR 101041810 B1 KR101041810 B1 KR 101041810B1 KR 1020040068046 A KR1020040068046 A KR 1020040068046A KR 20040068046 A KR20040068046 A KR 20040068046A KR 101041810 B1 KR101041810 B1 KR 101041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ion
level
video device
ambient noise
audio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9389A (ko
Inventor
허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8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810B1/ko
Priority to US11/168,384 priority patent/US7586549B2/en
Priority to EP05015534A priority patent/EP1631080A3/en
Priority to CNB2005100976503A priority patent/CN100440953C/zh
Publication of KR20060019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소음 레벨에 따라 캡션 기능을 자동 수행할 수 있는 영상기기 및 그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캡션 기능을 구비하고 튜너 및 채널 디코더부와, 음성 출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영상 기기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기 주변의 음량을 검출하는 주변음량 검출부와, 상기 주변음량 검출부에서의 검출된 주변 음량의 소음 레벨과 상기 영상기기의 현재음성출력 레벨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캡션 온/오프를 자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영상기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기기에서의 캡션 기능 자동 온/오프 수행이 가능하다.
자동 캡션

Description

영상기기 및 그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Display apparatus and auto caption turn-on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티브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캡션 온 상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캡션 온 상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따른 영상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제 2 실시 예에 따른 영상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따른 영상기기에서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 제 2 실시 예에 따른 영상기기에서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튜너 및 채널 디코더부 20 : 제어부
30 : 데이터 처리부 40 : 디스플레이부
50 : 음성 출력부 60 : 주변음량 검출부
70 : 현재음성레벨 기억부 80 : 현재음량 검출부
본 발명은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기기 및 그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티브이는 캡션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캡션 데이터가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경우, 시청자의 기호에 따라 영어/일어/불어… 등의 캡션을 선택하여 볼 수 있다.
캡션이란 '자막'을 의미하며 캡션신호(자막)가 입력된 TV프로그램이나 비디오 테이프 등의 캡션신호를 자동 감지하여 프로그램의 대사를 TV화면상에 영문자막으로 나타나는 기능이다.
이와 같은 티브이는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가정에서 많이 시청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직장이나 고속버스, 기차, 대합실 등에도 많이 설치되어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티브이의 음성출력부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고 주변이 시끄러워지면 티브이의 볼륨을 조절하여 음량을 크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음량 조절은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다시 말하면 주변이 시끄럽다고 해서 티브이의 볼륨을 계속해서 올리는 경우 티브이 자체가 소음이 되는 것이다.
또한 티브이의 소음이 주변에 묻히는 경우 음량을 크게 하더라도 주변 소음 때문에 티브이 자체의 대화가 잘 들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티브이의 메뉴에서 캡션 온 기능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티브이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티브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티브이는 튜너 및 채널 디코더부(10), 제어부(20), 데이터 처리부(30), 디스플레이부(40) 및 음성 출력부(50)로 구성된다.
튜너 및 채널 디코더부(10)는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국하는 튜너와 선국된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전송 스트림 형태로 디코딩한다.
데이터 처리부(30)는 튜너 및 채널 디코더부(10)에서 전송 스트림 형태로 디코딩된 데이터를 재생 및 저장할 수 있도록 인코딩 및/또는 디코딩한다.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30)에서 처리된 영상 및 캡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음성 출력부(5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30)에서 처리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어부(20)는 데이터 처리부(30)를 포함한 티브이 전체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티브이에서는 사용자가 리모컨이나 키버튼을 이용하여 티브이 채널을 선국하면 채널단(10)의 채널디코더에서는 선국된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전송 스트림 형태로 디코딩하고, 데이터 처리부(30)에서는 이을 디스플레이부(40)와 음성 출력부(50)로 출력한다.
또한 방송신호에 캡션 데이터가 있고, 사용자가 티브이의 메뉴 기능을 통해 캡션 기능을 온하였다면 제어부(20)에서는 이를 판단하여 데이터 처리부(30)를 통 해 캡션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40)로 출력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캡션 온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화면의 소정영역의 캡션 창 영역에 캡션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티브이의 메뉴 기능을 통해 음성을 뮤트(mute)시킬 수 있다. 물론 음성 출력 상태에서 캡션을 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캡션 온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음성을 뮤트(mute) 시키는 경우, 화면의 소정영역에 '조용히'라는 문구가 디스플레이됨과 동시에 캡션 창 영역에 캡션 데이터가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티브이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캡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리모컨을 이용하여야 하는데, 이는 수동적이라는 문제점이 있고, 대합실이나 기차, 고속버스 등에서는 리모컨 자체가 주변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갑작스럽게 주변이 시끄러워지는 경우에는 음량을 높이더라도 주변의 소음과 티브이에서의 출력되는 음성이 섞이는 경우 정확히 어떤 음성이 출력되는지를 알 수 없고 캡션 기능을 갑작스럽게 수행하기 위하여 절대적으로 리모컨을 이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캡션 온/오프가 가능한 영상기기 및 그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캡션 기능을 구비하고 튜너 및 채널 디코더부와, 음성 출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영상 기기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기 주변의 음량을 검출하는 주변음량 검출부와, 상기 주변음량 검출부에서의 검출된 주변 음량의 소음 레벨과 상기 영상기기의 현재음성출력 레벨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캡션 온/오프를 자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영상기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기기는 상기 영상기기의 현재음성출력 레벨을 기억하는 현재음성레벨 기억부 또는 상기 영상기기의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을 검출하는 현재음량 검출부가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영상기기의 캡션 자동 온/오프 모드가 선택되면 주변소음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기기 사용자가 설정한 현재음성출력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기기의 캡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캡션 상태와 상기 주변소음레벨과 상기 현재음성출력레벨에 따라 상기 캡션의 자동 온/오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캡션의 자동 온/오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캡션 상태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주변소음레벨이 상기 현재음성출력레벨 이상이면, 상기 자동 캡 션 온을 수행하고, 상기 캡션 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주변소음 레벨이 상기 현재음성출력레벨 미만이라면, 상기 자동 캡션 오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동 캡션 온/오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 캡션 온/오프를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주변소음레벨이 상기 현재음성출력레벨 이상인 상태 또는 상기 주변소음레벨이 상기 현재음성출력 레벨 미만인 상태가 설정된 소정시간과 설정된 소정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캡션의 자동 온/오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캡션 상태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주변소음레벨과 상기 현재음성출력레벨의 차이값이 임계레벨 이상이면, 상기 자동 캡션 온을 수행하고, 상기 캡션 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주변소음레벨과 상기 현재음성출력레벨의 차이값이 상기 임계레벨 이상이면, 상기 자동 캡션 오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임계레벨은 -10dB ∼ +10dB 사이에서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상기 영상기기 제조시 미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기기에서의 캡션 자동 온/오프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는 튜너 및 채널 디코더부(10), 제어부(20), 데이터 처리부(30), 디스플레이부(40), 음성 출력부(50), 주변음량 검출부(60) 및 현재음성 레벨 기억부(70)로 구성된다.
주변음량 검출부(60)는 영상기기 주변의 음량을 검출하여 이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한 후 제어부(20)로 전송한다.
제어부(20)는 영상기기를 제어함과 함께, 캡션 기능 자동 온/오프를 기억하고 있다가 상기 캡션 기능 자동 온 모드시에는 영상기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음성 출력부(50)를 통해 현재 출력되는 음성(audio)출력 레벨과, 주변음량 검출부(60)에서 검출된 주변음량의 소음레벨에 따라 캡션 기능의 자동 온/오프를 수행을 제어한다.
현재 음성레벨 기억부(70)는 음성 출력부(50)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레벨(dB)을 제어부(20)에서 기입(write)하는 것에 따라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 장치이다. 여기서 현재음성레벨 기억부(70)는 별도의 메모리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지만 기존에 영상기기의 여러 메모리 장치, 바람직하게는 EEPROM이나 플래쉬 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HDD)의 여유 메모리 영역을 이용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서의 영상기기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 명 제 1 실시예에서의 현재음성레벨 기억부(70) 대신에 음성 출력부(50)에서 출력되는 음량을 검출하여 이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한 후 제어부(20)로 전송하는 현재음량 검출부(80)가 구성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에서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에서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은 캡션모드에 대하여 기존의 수동 온/오프 모드 이외에 자동 온/오프 모드가 추가된 영상기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영상기기의 캡션모드가 자동 온/오프 수행모드로 선택되면, 주변소음을 검출한다(S10).
이어서 사용자가 설정한 음성출력 레벨을 검출한다(S30). 이는 사용자에 의해 현재의 음성출력 레벨이 조정되면 제어부(20)에서는 이를 현재음성레벨 기억부(70)에 기입(write)하였다가 리드(read)하거나, 음성 출력부(50)에서 출력되는 음성출력 레벨에 대하여 현재음량 검출부(80)를 통해 검출하도록 한다.
그 다음 현재 영상기기의 캡션 모드의 상태를 판단한다(S50).
판단결과(S50) 캡션 오프 상태이면 주변소음레벨이 영상기기에서 출력되는 현재음성출력레벨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70).
판단결과(S70) 캡션 오프상태에서의 주변소음레벨이 영상기기에서 출력되는 현재음성출력레벨 미만이면 다시 주변 소음레벨과 사용자가 설정한 음성출력 레벨을 검출한다(S10,S30).
그러나 판단결과(S70) 캡션 오프상태에서의 주변소음레벨이 영상기기에서 출 력되는 현재음성출력 레벨 이상이면 설정값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한다(S90). 여기서 설정값으로는 소정시간(예를 들면 1-2초)단위로, 주변소음레벨이 현재음성출력 레벨 이상인 횟수가 소정횟수(예를 들면 2-5회)를 초과하는 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하면 설정값을 부여함으로써 캡션 오프 상태에서 불필요한 캡션 온을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판단결과(S90) 설정값을 초과하였으면 캡션 온을 수행한다(S110).
그리고 판단결과(S50) 캡션 온 상태이면, 주변소음레벨이 사용자가 설정한 음성출력레벨 미만인가를 판단한다(S130).
판단결과(S130) 주변소음 레벨이 사용자가 설정한 음성출력레벨 미만이 아니라면 다시 주변 소음레벨과 사용자가 설정한 음성출력 레벨을 검출한다(S10,S30).
그러나 판단결과(S130) 주변소음 레벨이 사용자가 설정한 음성출력레벨 미만이라면 설정값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한다(S150). 여기서의 설정값 역시 S90단계에서의 설정값과 동일하다. 다시 말하면 설정값을 부여함으로써 캡션 온 상태에서 불필요한 캡션 오프를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판단결과(S150) 설정값을 초과하였으면 캡션을 오프한다(S170).
도 7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에서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에서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은 캡션모드에 대하여 기존의 수동 온/오프 모드 이외에 자동 온/오프 모드가 추가된 영상기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영상기기의 캡션모드가 자동 온/오프 수행모드로 선택되면, 주변소음을 검출한다(S210).
이어서 사용자가 설정한 음성출력 레벨을 검출한다(S230).
그 다음 주변소음 레벨과 사용자가 설정한 음성출력 레벨의 차이값을 구한다(S250).
그 다음 현재 영상기기의 캡션 모드의 상태를 판단한다(S270).
판단결과(S270) 캡션 오프 상태이면 주변소음레벨과 현재음성출력레벨의 차이값이 설정된 임계레벨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290). 여기서 임계레벨은 예를 들면 -10 ∼ 10dB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서는 임계값(임계레벨)을 설정해 둠으로서 주변 소음 레벨이 현재 영상기기에서의 출력레벨에 근접하면 미리 캡션을 온시키거나 일정수준까지는 주변소음에 관계없이 캡션을 계속해서 오프상태로 두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작은 음성차이도 싫어하는 사용자는 캡션을 미리 온시킬 수 있도록 하고, 캡션 자체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사용자라면 어느 정도의 주변소음을 감수하도록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선택권을 부여한다. 물론 이를 위하여 영상기기의 캡션모드의 자동 캡션 온/오프 모드에서 임계레벨 조정 모드를 추가하거나, 영상기기 제조시 제조사에서 미리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 역시 캡션 온/오프가 너무 자주 발생됨으로써 사용자 혼란을 야기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판단결과(S290) 캡션 오프상태에서의 주변소음레벨과 현재음성출력레벨의 차이값이 설정값 미만이면 다시 주변 소음레벨과 사용자가 설정한 음성출력 레벨을 검출한다(S210,S230).
그러나 판단결과(S290) 캡션 오프상태에서의 주변소음레벨과 현재음성출력레벨의 차이값이 임계레벨 이상이면 설정값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한다(S310). 여기서 설정값 역시 제 1 실시예에서의 설정값과 동일하다.
판단결과(S310) 설정값을 초과하였으면 캡션 온을 수행한다(S330).
그리고 판단결과(S270) 캡션 온 상태이면 주변소음레벨과 현재음성출력레벨의 차이값이 설정된 임계레벨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350). 여기서 임계레벨 역시 S290 단계에서의 임계레벨과 동일하게 설정한다.
판단결과(S350) 캡션 온상태에서의 주변소음레벨과 현재음성출력레벨의 차이값이 임계레벨 미만이면 다시 주변 소음레벨과 사용자가 설정한 음성출력 레벨을 검출한다(S210,S230).
그러나 판단결과(S350) 캡션 온상태에서의 주변소음레벨과 현재음성출력레벨의 차이값이 임계레벨을 이상이면 설정값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한다(S370). 여기서 설정값 역시 제 1 실시예에서의 설정값과 동일하다.
판단결과(S370) 설정값을 초과하였으면 캡션 오프를 수행한다(S39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 영상기기 및 그의 자동 캡션 제어 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주변의 소음이 심할 경우 영상기기의 캡션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므로 현재 출력되는 음성 내용을 놓치지 않는다.
둘째, 주변의 소음이 줄어들면 영상기기의 캡션을 자동 오프 시킴으로써 사 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킨다.
셋째, 주변의 소음에 대한 임계레벨을 설정하는 경우 불필요한 자동 캡션 온/오프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영상기기의 캡션 자동 온/오프 모드가 선택되면 주변소음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기기 사용자가 설정한 현재음성출력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기기의 캡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캡션 상태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주변소음레벨이 상기 현재음성출력레벨 이상이면, 상기 자동 캡션 온을 수행하고, 상기 캡션 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주변소음 레벨이 상기 현재음성출력레벨 미만이라면, 상기 자동 캡션 오프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에서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캡션 온/오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 캡션 온/오프를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주변소음레벨이 상기 현재음성출력레벨 이상인 상태 또는 상기 주변소음레벨이 상기 현재음성출력 레벨 미만인 상태가 설정된 소정시간과 설정된 소정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에서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
  6. 영상기기의 캡션 자동 온/오프 모드가 선택되면 주변소음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기기 사용자가 설정한 현재음성출력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기기의 캡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캡션 상태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주변소음레벨과 상기 현재음성출력레벨의 차이값이 임계레벨 이상이면, 상기 자동 캡션 온을 수행하고, 상기 캡션 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주변소음레벨과 상기 현재음성출력레벨의 차이값이 상기 임계레벨 이상이면, 상기 자동 캡션 오프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에서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레벨은 -10dB ∼ +10dB 사이에서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상기 영상기기 제조시 미리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에서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
KR1020040068046A 2004-08-27 2004-08-27 영상기기 및 그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 KR101041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046A KR101041810B1 (ko) 2004-08-27 2004-08-27 영상기기 및 그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
US11/168,384 US7586549B2 (en) 2004-08-27 2005-06-29 Video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05015534A EP1631080A3 (en) 2004-08-27 2005-07-18 Video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B2005100976503A CN100440953C (zh) 2004-08-27 2005-08-29 视频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046A KR101041810B1 (ko) 2004-08-27 2004-08-27 영상기기 및 그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389A KR20060019389A (ko) 2006-03-03
KR101041810B1 true KR101041810B1 (ko) 2011-06-17

Family

ID=36093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046A KR101041810B1 (ko) 2004-08-27 2004-08-27 영상기기 및 그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86549B2 (ko)
EP (1) EP1631080A3 (ko)
KR (1) KR101041810B1 (ko)
CN (1) CN10044095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1294B2 (en) 2014-07-28 2018-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display method and user terminal for generating subtitles based on ambient noi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8916B2 (ja) * 2003-08-15 2008-07-30 株式会社東芝 字幕制御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06081061A (ja) * 2004-09-13 2006-03-23 Alpine Electronics Inc 音声出力装置及び音声/映像出力装置
JP2006279592A (ja) * 2005-03-29 2006-10-12 Toshiba Corp 放送受信機
US20070294091A1 (en) * 2006-05-10 2007-12-20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Responding to advertisement-adverse content or the like
JP5222543B2 (ja) * 2007-12-10 2013-06-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ジョン装置
JP5735269B2 (ja) * 2010-12-24 2015-06-17 京セラ株式会社 受信装置、携帯通信端末、字幕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字幕表示制御方法
KR101919787B1 (ko) * 2012-05-09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210360B2 (en) 2012-12-28 2015-12-08 Echostar Uk Holdings Limited Volume level-based closed-captioning control
KR102229353B1 (ko) * 2014-10-02 2021-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재생 장치, 동영상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 및 동영상 재생 시스템
US9596429B2 (en) * 2015-05-08 2017-03-14 Echostar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nt when loud background noise is present
US9967631B2 (en) 2015-11-11 2018-05-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audio-based display indicia activation based on viewer preferences
EP3197169A1 (en) * 2016-01-25 2017-07-26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audio detection and corresponding device
CN105828118A (zh) * 2016-03-22 2016-08-03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视频推送方法及装置
CN105872431B (zh) * 2016-04-20 2019-03-1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的噪点检测装置及噪点检测方法
CN105979181B (zh) * 2016-07-07 2019-04-09 青岛海信传媒网络技术有限公司 电视音量控制方法、装置及电视
US10205890B2 (en) * 2016-07-25 2019-02-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ndering in-vehicle media content based on vehicle sensor data
WO2018112789A1 (en) * 2016-12-21 2018-06-28 Arris Enterprises Llc Automatic activation of closed captioning for low volume periods
US11189281B2 (en) 2017-03-17 202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managing operations of electronic device
US10084423B1 (en) 2017-07-21 2018-09-25 Crackl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ume
US10880602B2 (en) 2017-08-15 2020-12-29 Jinglz Inc. Method of objectively utilizing user facial expressions when viewing media presentations for evaluating a marketing campaign
US10609450B2 (en) * 2017-08-15 2020-03-31 Jinglz Inc Method for hands and speech-free control of media presentations
CN112135197B (zh) * 2019-06-24 2022-12-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字幕显示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US10965888B1 (en) 2019-07-08 2021-03-30 Snap Inc. Subtitle presentation based on volume control
US11290786B2 (en) * 2019-09-13 2022-03-29 Dish Network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losed captioning
US11445269B2 (en) * 2020-05-11 2022-09-13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Context sensitive ads
US11861262B2 (en) * 2020-05-28 2024-01-02 Snap Inc. Audio detection and subtitle presence
CN115022577A (zh) * 2022-06-17 2022-09-06 云知声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字幕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463U (ko) * 1996-05-31 1997-12-11 주변소음 적응형 음향조절 제어장치
KR0146101B1 (ko) * 1995-03-30 1998-09-15 구자홍 폰트가 가변되는 캡션장치
KR200161540Y1 (ko) * 1997-03-28 1999-12-01 전주범 음성출력 저하시 캡션기능 자동 실행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KR20010061540A (ko) * 1999-12-28 2001-07-07 송재인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
JP2004304531A (ja) 2003-03-31 2004-10-28 Toshiba Corp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0254B1 (en) * 1990-09-11 2002-04-09 Concourse Communications Limited Audio-visual reproduction
JP3306600B2 (ja) * 1992-08-05 2002-07-24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音量調整装置
US5327176A (en) * 1993-03-01 1994-07-0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Automatic display of closed caption information during audio muting
JPH0746500A (ja) * 1993-07-02 1995-02-14 Sony Corp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7123376A (ja) * 1993-10-20 1995-05-12 Hitachi Ltd 文字多重放送受信装置
JPH08320154A (ja) * 1995-05-26 1996-1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電話装置
US6266094B1 (en) * 1999-06-14 2001-07-24 Medialink Worldwide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ggregation and selective retrieval of television closed caption word content originating from multiple geographic locations
US6505153B1 (en) * 2000-05-22 2003-01-07 Compaq Information Technologies Group, L.P. Efficient method for producing off-line closed captions
US6591198B1 (en) * 2000-11-22 2003-07-08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oise outputs of devices in response to ambient noise levels
US20030065503A1 (en) * 2001-09-28 2003-04-03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 Multi-lingual transcription system
US7340263B2 (en) * 2002-11-15 2008-03-0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extual data embedded in broadcast media signals
US20040127198A1 (en) * 2002-12-30 2004-07-01 Roskind James A. Automatically changing a mobile device configuration based on environmental condition
US20060014569A1 (en) * 2004-07-13 2006-01-19 Broadcom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daptive audible user notific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6101B1 (ko) * 1995-03-30 1998-09-15 구자홍 폰트가 가변되는 캡션장치
KR970064463U (ko) * 1996-05-31 1997-12-11 주변소음 적응형 음향조절 제어장치
KR200161540Y1 (ko) * 1997-03-28 1999-12-01 전주범 음성출력 저하시 캡션기능 자동 실행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KR20010061540A (ko) * 1999-12-28 2001-07-07 송재인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
JP2004304531A (ja) 2003-03-31 2004-10-28 Toshiba Corp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1294B2 (en) 2014-07-28 2018-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display method and user terminal for generating subtitles based on ambient noi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86549B2 (en) 2009-09-08
EP1631080A3 (en) 2008-11-12
KR20060019389A (ko) 2006-03-03
CN1741596A (zh) 2006-03-01
US20060044479A1 (en) 2006-03-02
EP1631080A2 (en) 2006-03-01
CN100440953C (zh) 200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810B1 (ko) 영상기기 및 그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
US8111973B2 (en) Television apparatus
JP2001515677A (ja) 複数ソース・キーパッド・チャネル入力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6186849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及びこのテレビジョン受信機の制御方法
KR20050119308A (ko) 전자기기의 시간 설정방법
KR100723096B1 (ko) 음성 출력 레벨 설정 방법 및 장치
WO20141050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contextual content augmentation to provide information on recent events in a media program
CA2508405C (en) Audio volume control
CA238149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auxiliary video information display
JP2007336313A (ja)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
CN112930686B (zh) 接收装置
JP6800052B2 (ja) 映像表示装置
KR100831781B1 (ko) 영상표시기기의 녹화 제어 장치 및 방법
US8191096B2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hannel searching in image display device
US10922046B2 (en) Method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A/V signals in a rendering system and associated rendering apparatus and system
JP2011139359A (ja) 表示装置、停止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720575B1 (ko) 주변 노이즈에 따라 음성모드에서 텍스트모드로 전환하는텔레비전 세트 및 이의 제어방법
KR0113153Y1 (ko) 무신호시 저장화면출력기능을 갖춘 비디오비전
KR100863835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별 시청환경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7228124A (ja) リモコン信号の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US7865056B2 (en) Method of controlling special playback mode of video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KR20050052369A (ko)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출력 방법
KR19980050201A (ko) 외부의 노이즈레벨에 따른 음량자동제어장치
KR20100042702A (ko) 영상표시기기의 오디오 신호 조정 장치 및 방법
KR20070002931A (ko) 튜너를 포함한 디지털 기기의 신호 유무 판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8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8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