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337B1 - Easy brick transport cart - Google Patents
Easy brick transport car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1337B1 KR101041337B1 KR1020080104082A KR20080104082A KR101041337B1 KR 101041337 B1 KR101041337 B1 KR 101041337B1 KR 1020080104082 A KR1020080104082 A KR 1020080104082A KR 20080104082 A KR20080104082 A KR 20080104082A KR 101041337 B1 KR101041337 B1 KR 1010413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ck
- support
- main body
- bricks
- side plat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1/145—Unloading equipment for pushing the load from the carrier platfo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 B62B1/0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62—Tiles, bricks, paving slab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차가 용이한 벽돌 운반용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바퀴와 손잡이가 구비되고 벽돌을 하차할 수 있도록 개방된 구조이되, 후면판의 하단에 벽돌을 받치는 받침턱이 형성된 지지대가 설치되고, 개방된 전면부의 하단에는 받침턱이 내측으로 형성된 분리지지대가 수평으로 분리되게 설치되어, 본체의 내부에 벽돌을 적층시켜 운반장소로 옮긴 후 분리지지대를 본체에서 분리하고 본체를 후방으로 살짝 당겨주기만 하면 그 적층된 형상 그대로 운반 장소의 바닥에 하차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벽돌을 재차 적층시키는 노동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됨으로써 벽돌 운반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벽돌 운반용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ck transport cart that is easy to get off, and more specifically, a moving wheel and a handle are provided, and the structure is open to get off the brick, the support is formed with a support base for supporting the brick at the bottom of the back plate On the lower end of the open front part, the support base is installed horizontally separated by the support jaw, and the bricks are stacked inside the main body to move to the transport place, and then the separation suppor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to the rear slight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ck transport cart that maximizes the efficiency of brick transport work by saving labor and time of stacking bricks again by allowing the user to unload the floor of the transport site as it is.
본 발명에 따르면, 벽돌을 수용할 수 있도록 후면판과 두 개의 측면판으로 삼면이 둘러싸이고 전면부가 개방된 일정 높이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손잡이와 바퀴가 각각 설치된 벽돌운반용 손수레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는 벽돌을 하차할 수 있도록 개방되고 후면판의 하단에는 받침턱이 내측으로 형성된 지지대가 고정 부착되며, 개방된 전면부의 하단에는 상기 받침턱과 대향하는 받침턱이 내측으로 형성된 분리지지대가 삽입편에 의거 양 측면판의 수평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양 측면판의 수직프레임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한 지렛대 원리로 수평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된 삽입편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밀편이 하단에 돌설되어 분리지지대를 분리시킨 후 탄성수단에 의해 원래상태로 복귀되는 밀바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 벽돌 운반용 손수레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ree-sided main body is surrounded by a rear plate and two side plates to accommodate the brick,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of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brick transport cart installed with handles and wheels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body, respectively;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is opened to get off the brick, and the support base is formed with the support jaw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rear plate is fixed, the lower end of the open front portion facing the support jaw is separated formed inwardly The support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frame of both side plates according to the insertion piece, and the vertical frame of the both side plates pushes the insertion piece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frame forward by the lever principle around the hinge. The mill bar is protruded at the bottom to separate the separation support, and then the mill bar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means. The brick carrying carts are provided to Jing.
벽돌, 운반, 손수레, 밀바, 지지대. 분리지지대, 밀편, 탄성밴드, Bricks, haul, carts, mill bars, supports. Separation support, compact, elastic band,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차가 용이한 벽돌의 운반용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바퀴와 손잡이가 구비되고 벽돌을 하차할 수 있도록 개방된 구조이되, 후면판의 하단에 벽돌을 받치는 받침턱이 형성된 지지대가 설치되고, 개방된 전면부의 하단에는 받침턱이 내측으로 형성된 분리지지대가 수평으로 분리되게 설치되어, 본체의 내부에 벽돌을 적층시켜 운반장소로 옮긴 후 분리지지대를 본체에서 분리하고 본체를 후방으로 살짝 당겨주기만 하면 그 적층된 형상 그대로 운반 장소의 바닥에 하차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벽돌을 재차 적층시키는 노동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됨으로써 벽돌 운반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벽돌 운반용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t for easy transport of bricks, and more particularly, a support wheel having a wheel and a handle and an open structure for discharging bricks, and having a support bas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ar plate to support bricks. Is installed, and the separation support formed with the support jaw is installed horizontally at the bottom of the open front part, and the bricks are stacked inside the main body to move to the transport place, and then the separation suppor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is moved backward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ck transport cart that maximizes the efficiency of brick transport work by saving labor and time of re-laying bricks by simply pulling lightly and getting it to the floor of the transport site as it is. .
일반적으로 대형트럭을 통해 공급되는 벽돌을 공사현장의 야적장이나 작업장으로 운반할 때는 공사현장의 크고 작은 장비와 자제로 인해 공간이 협소함에 따라 운반의 효율성을 위해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끌 수 있도록 한 벽돌 운반용 손수레를 사용한다. In general, when transporting bricks supplied through large trucks to a yard or a workshop at a construction site, bricks that can be pulled by a worker by hand for efficiency of transportation as space is limited due to large and small equipment and restraint at the construction site. Use a transport cart.
이러한 종래의 벽돌 운반용 손수레는 통상적으로 벽돌을 내부에 쌓을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면서 전면이 개방되도록 내판의 양단과 하단 가장자리에 각각 측판과 하판이 수직으로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판에 각각 이동을 위해 설치된 한 쌍의 이동바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이동시 방향을 잡기 위해 설치된 이동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Such a conventional brick transport cart typically has a space for stacking bricks therein, the side plate and the bottom plate vertically installed at both ends and bottom edges of the inner plate so as to open the front, respectively, and move to both side plates of the body, respectively. Consists of a pair of moving wheels installed for, and a moving handle installed to orient when moving on top of the body.
따라서 기립상태의 본체 내부에 벽돌을 차곡히 쌓은 후 손잡이를 잡고 이동바퀴만이 바닥에 닿도록 본체를 기울이면 본체가 상기 이동바퀴에 의해 쉽게 이동됨으로써 무거운 벽돌을 손쉽게 공사현장의 야적장이나 작업장으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fter stacking the bricks inside the main body in a standing state and holding the handle and tilting the main body so that only the moving wheels touch the floor, the main body is easily moved by the moving wheels, so that the heavy bricks are easily transported to the yard or the work site of the construction site. You can do it.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벽돌 운반용 손수레는 본체의 내판과 하판과 측판이 모두 일체로 구성된 구조이므로, 야적장이나 작업장으로 운반한 벽돌을 그 바닥에 내려놓을 때 벽돌을 일일이 하나씩 집어서 내려놓기에는 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번거로우므로 본체를 전방으로 기울려 벽돌을 바닥으로 쏟아부을 수 밖에 없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brick transport cart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the inner plate, the lower plate and the side plate of the main body are integrally constructed, so when the bricks transported to the yard or the workshop are laid down on the floor, it takes a lot of time to pick up the bricks one by one. It was cumbersome and cumbersome, so we had to lean the body forward to pour bricks to the floor.
그러면 상기 벽돌은 야적장이나 작업장의 바닥에 이리저리 흩어지고 어지럽게 마구 쌓여진 상태가 되므로, 벽돌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야적장이나 작업장의 미관을 보기 좋게 하기 위해 상기 벽돌을 다시 차곡히 쌓아야 하는 시간의 낭비와 불편함이 있었다. Then, the bricks are scattered around and cluttered up on the floor of the yard or the workshop, which is a waste of time and inconvenience of having to stack the bricks agai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bricks and to enjoy the beauty of the yard or the workshop. There was a ham.
그리고 벽돌을 바닥으로 쏟아부을 수 때 상기 벽돌이 바닥 혹은 다른 벽돌과 서로 쉽게 부딪히게 됨으로써 내구성이 약한 모서리부분에 손상이 생겨 못 쓰게 되는 벽돌이 발생하게 되는 폐단도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bricks can be poured into the floor, the bricks easily collide with the floor or other brick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운반된 벽돌을 야적장이나 작업장의 바닥에 운반을 위해 쌓은 형상 그대로 바닥에 내려놓게 하여 벽돌 운반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벽돌을 수용할 수 있도록 후면판과 두 개의 측면판으로 삼면이 둘러싸이고 전면부가 개방된 일정 높이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손잡이와 바퀴가 각각 설치된 벽돌운반용 손수레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는 벽돌을 하차할 수 있도록 개방되고 후면판의 하단에는 받침턱이 내측으로 형성된 지지대가 고정 부착되며, 개방된 전면부의 하단에는 상기 받침턱과 대향하는 받침턱이 내측으로 형성된 분리지지대가 삽입편에 의거 양 측면판의 수평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 하차가 용이한 벽돌 운반용 손수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order to put the transported brick on the floor as it is stacked for transport on the floor of the yard or workshop, so that the brick transport operation can be efficiently, In the ma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with three sides surrounded by a back plate and two side plates to be accommodated and the front part is open, and a handle for wheels and wheel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is a brick It is opened to get off and the support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back plate is fixedly attached to the support base, the support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open front facing the support jaw opposed to the support jaw by the insertion piece Easy to get off the brick cloud,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frame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frame To provide a cart for it is an object.
본 발명의 하차가 용이한 벽돌 운반용 손수레는 벽돌을 운반시 내부에 적층시킨 형상 그대로 운반장소로 옮길 수 있게 됨에 따라, 옮겨진 벽돌을 재차 적층시켜야 하는 작업이 전혀 필요없어 작업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게 됨으로써 벽돌 운반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Easy to get off the brick transport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ved to the transport place as it is stacked in the form of bricks during transport, there is no need to re-laid the transferred bricks again can greatly reduce the work labor Since the work time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there is an effect of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brick transport work.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손수레에 벽돌을 적층시킨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밀바와 분리지지대의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을 통해 벽돌 운반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rm of laminated bricks in the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bar and the separation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and 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brick transporta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하차가 용이한 벽돌 운반용 손수레(100)는 벽돌(B)을 수용할 수 있도록 후면판(1)과 두 개의 측면판(2)(2')으로 삼면이 둘러싸이고 전면부가 개방된 일정 높이의 본체(3)와 상기 본체(3)의 상부와 하부에 손잡이(4)와 바퀴(5)가 각각 설치된 벽돌운반용 손수레에 있어서, 상기 본체(3)의 하부는 벽돌(B)을 하차할 수 있도록 개방되고 후면판(1)의 하단에는 받침턱(6')이 내측으로 형성된 지지대(6)가 고정 부착되며, 개방된 전면부의 하단에는 상기 받침턱(6')과 대향하는 받침턱(7')이 내측으로 형성된 분리지지대(7)가 삽입편(8)에 의거 양 측면판(2)(2')의 수평프레임(9)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양 측면판(2)(2')의 수직프레임(10)에는 힌지(11)를 중심으로 한 지렛대 원리로 수평프레임(9)의 내부에 삽입된 삽입편(9)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밀편(12)이 하단에 돌설되어 분리지지대(8)를 분리시킨 후 탄성밴드(13)에 의해 원래상태로 복귀되는 밀바(1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양 측면판(2)(2')의 상부 외측에는 밀바(14)의 지렛대원리가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밀바(14)의 회전반경을 제어하는 가이드레일(15)이 설치되어 있다.Easy to get off the
And on the upper outer side of both side plates (2) (2 ') is provided with a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면중 미설명부호 16은 벽돌(B)의 운반시 벽돌이 본체(3)의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후면판(1)의 상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이탈방지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하차가 용이한 벽돌 운반용 손수레(100)는 수십개 내지 수백개의 벽돌(B)을 작업자가 장소가 협소한 공사현장 내에서 손쉽게 운반및 하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손수레(100)는 내부에 적층되어 운반되는 벽돌(B)을 그 적층 상태 그대로 운반장소의 바닥으로 내려놓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운반된 벽돌(B)을 다시 적층시켜야 할 필요가 전혀 없으므로 벽돌(B)의 운반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Easy to get off the
삭제delete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하부가 개방된 구조이되; 본체(1)의 후면판(1) 하단에는 받침턱(6')이 내측으로 형성된 지지대(6)가 고정 설치되고; 개방된 전면부의 하단에는 받침턱(7')이 내측으로 형성된 분리지지대(7)가 양단에 돌설된 삽입편(8)에 의해 전방으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lower part of the
상기 분리지지대(7)는 본체(3)의 양 측면판(2)(2') 외측에 각각 회전축(11)을 이용한 지렛대 원리로 삽입편(8)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밀편(12)이 단부에 돌설되고 탄성밴드(13)에 의해 원래상태로 복귀되는 밀바(14)에 의해 분리되는 구조를 가진다. The
따라서 벽돌(B)의 운반을 위해 본체(3)에 벽돌(B)을 적층시킬 때는 상기 분리지지대(7)를 본체(3)의 개방된 전면부의 하단에 결합시켜 고정한 상태로 두고, 벽돌(B)을 운반장소의 바닥에 내려놓을 때는 밀바(14)를 이용하여 분리지지대(7)를 본체(3)에서 분리하게 되면 더 이상 분리지지대(7)의 받침턱(7')이 벽돌(B)을 지지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벽돌(B)을 적층된 형상 그대로 바닥에 내려놓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when the brick (B) is laminated to the main body (3) for transport of the brick (B), the
상기의 작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분리지지대(7)의 삽입편(8)을 본체(3)의 수평프레임(9)의 내부에 삽입하여 분리지지대(7)를 본체(3)의 개방된 전면부의 하단에 고정 설치한다. 그런 다음 운반할 벽돌(B) 다수장을 본체(3)의 내부에 후면판(1)과 분리지지대(7)의 받침턱(6')(7')에 각각 전후로 안착되도록 먼저 깔고 그 상부에 차곡 차곡 적층시키면 받침턱(6')(7')에 안착되게 전후로 배치한 벽돌(B)의 내측 당접면이 서로 물리게 되면서 상측에 적층된 벽돌(B)의 하중에 의한 압박이 교차되는 방향으로 작용함에 따라, 개구된 본체(3)의 저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평평하고 안정되게 적층된다. The abov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First, the
삭제delete
이때 벽돌(B)을 적층할 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층은 가로 혹은 세로로 적층하고 다음 층은 세로 혹은 가로로 적층한다. 즉 서로 이웃하는 층의 벽돌(B)은 서로 교차되게 적층한다. At this time, when stacking the brick (B), as shown in Figure 2, one layer is stack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the next layer is stack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That is, the bricks B of neighboring layers are stacked to cross each other.
이렇게 하면 적층된 벽돌(B)은 서로 지그재그로 물려서 각층의 벽돌(B)이 상층의 벽돌 하중에 의한 압박을 받더라도 개구된 본체(3)의 하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안정되게 적층되며, 만약, 벽돌을 서로 이웃하는 층과 층을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적층하게 되면 각층의 벽돌(B)이 상층의 벽돌(B)의 하중에 의한 압박을 받게 되면그 중간부가 아래로 쳐지면서 본체(3)의 하부로 이탈되는 우려가 있다. In this case, the stacked bricks (B) are zigzag to each other so that the bricks (B) of each layer are stably stacked without exiting to the lower part of the opened body (3) even when the bricks (B) of the upper layer are pressed by the brick load of the upper layer. When the neighboring layers and layers are stack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the bricks B of each layer are pressed by the load of the bricks B of the upper layer, the middle part is struck down and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3. There is concern.
이와같이 벽돌의 적층이 완료되면, 손잡이(4)를 사용하여 본체(3)를 운반장소로 이동시키면 되는데, 이때는 통상의 손수레와 같이 손잡이(4)를 잡고 본체(3)를 후방으로 기울린 상태로 밀면 바퀴(5)만이 바닥에 닿게 되어 운반장소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When the stacking of bricks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3 can be moved to a transport place using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운반장소로 이동시킨 후에는 기울린 본체(3)를 바로 세워 운반장소의 바닥에 벽돌(B)을 내려놓으면 되는데, 이때는 분리지지대(7)를 본체(3)에서 분리한 후 본체(3)를 후방으로 조금씩 당겨주기만 하면 적층된 벽돌(B)은 이를 받치고 있던 분리지지대(7)의 받침턱(7')이 제거되므로서 지지력이 상실되어 적층된 그대로 하차하는 바닥에 내려 놓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fter moving the present invention to a transport place as described above, the inclined main body 3 is placed upright, and the brick B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transport place. In this case, the separating
분리지지대(7)를 분리할 때에는 본체(3)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된 밀바(14)의 상단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당기기만 하면 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바(14)의 하단에 설치된 밀편(12)이 분리지지대(7)의 삽입편(8)을 전방으로 밀게 됨으로써 상기 분리지지대(7)가 본체(3)에서 분리되고, 이로 인해 본체(3)의 내부에 적층된 벽돌(B)은 분리지지대(7)의 받침턱(7')으로부터 자유롭게 되어 본체(3)의 개방된 저부로 빠져나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When the
삭제delete
이때 상기 밀바(14)는 외측에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5)에 의해 자연스럽게 일정반경 내에서 회전되고, 탄성밴드(13)에 의해 당겨진 후 원위치로 탄성 복귀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이와같이 분리지지대(7)를 분리하여 벽돌의 받침상태를 해지시킨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손잡이(4)를 잡고 본체(3)를 후방으로 조금씩 당겨주면 내부에 적층된 벽돌(B)은 자연스럽게 운반장소의 바닥에 그 적층된 형상 그대로 하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is way, the separation support (7) by removing the support state of the brick in the state holding the handle (4) as shown in Figure 5 and pulling the main body 3 to the rear little by little stacked brick (B) Is naturally able to get off at the bottom of the transport place as it is stacked.
따라서 벽돌(B)의 운반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인력의 소모도 최소화할 수 있어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transport operation of the brick (B) can be carried out more easily and quickly can greatly improve the work efficiency. In addition, the consumption of manpower can be minimized, thus greatly reducing the labor force.
이에 따라 단순히 벽돌을 적층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벽돌(B)의 운반시 야적장이나 작업장 등의 운반장소로 운반한 후 운반장소에서 다시 적층하면서 하차하거나, 손수레를 기울여 벽돌(B)을 그대로 그 바닥에 쏟아 붓게 되므로서 야기되던 여러가지의 종래 단점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it is simply structured to stack the brick (B) when transporting to the transport place such as yard or workshop when transporting the brick (B) to get off while laminating again at the transport place, or tilt the brick (B) as it is the flo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mpletely eliminate the various conventional disadvantages caused by pouring into.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분해 사시도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손수레에 벽돌을 적층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rick laminated to the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밀바와 분리지지대의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mill bar and the separation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에 의거 벽돌 운반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ick transport comple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Drawings]
1: 후면판 2,2': 측면판1:
3: 본체 4: 손잡이3: body 4: handle
5: 바퀴 6: 지지대5: wheel 6: support
6': 받침턱 7: 분리지지대6 ': base 7: separation stand
7': 받침턱 8: 삽입편7 ': Base jaw 8: Insert
9: 수평프레임 10: 수직프레임9: horizontal frame 10: vertical frame
11: 힌지 12: 밀편11: hinge 12: piece
13: 탄성수단 14: 밀바
14: 가이드레일 100: 손수레
B: 벽돌13: elastic means 14: Milba
14: guide rail 100: handcart
B: brick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4082A KR101041337B1 (en) | 2008-10-23 | 2008-10-23 | Easy brick transport car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4082A KR101041337B1 (en) | 2008-10-23 | 2008-10-23 | Easy brick transport car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5056A KR20100045056A (en) | 2010-05-03 |
KR101041337B1 true KR101041337B1 (en) | 2011-06-14 |
Family
ID=42272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4082A KR101041337B1 (en) | 2008-10-23 | 2008-10-23 | Easy brick transport car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133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9442B1 (en) * | 2010-09-17 | 2011-04-14 | 이장섭 | Brick trolley |
KR20130014959A (en) * | 2011-08-01 | 2013-02-12 | 이장섭 | Cart for brick transforta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3723Y1 (en) * | 1994-04-13 | 1996-05-06 | 안성식 | Handcart |
-
2008
- 2008-10-23 KR KR1020080104082A patent/KR10104133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3723Y1 (en) * | 1994-04-13 | 1996-05-06 | 안성식 | Handcar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5056A (en) | 2010-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91688B2 (en) | Industrial truck with exchangeable battery block | |
US6386560B2 (en) | Dolly for large appliances | |
US3233753A (en) | Portable shipping container | |
US9302689B2 (en) | Hand truck | |
US8646786B2 (en) | Low profile dolly | |
JPH06199242A (en) | Dolly having platform provided with push grip | |
US5605102A (en) | Hand cart platform | |
US11034372B1 (en) | Elevated forklift mount for a material cart | |
KR101041337B1 (en) | Easy brick transport cart | |
US20120248721A1 (en) | Wood Log and Article Wheeled Barrow | |
KR101225959B1 (en) | Bricks carrying handcart | |
CN111825014A (en) | Dustbin loading auxiliary device of garbage truck | |
US11628871B2 (en) | Mobile apparatus for use at a construction site and method of using the mobile apparatus | |
KR200386756Y1 (en) | Conveyance apparatus | |
JPH0632888Y2 (en) | Steel plate storage | |
KR20090000250U (en) | Vertical trolley with improved center of gravity axis | |
JP2009067186A (en) | Cart having cargo lifting mechanism | |
CN214451175U (en) | Handcart with tight mechanism of stopping | |
US20020070518A1 (en) | Hand truck attachment for retaining cargo | |
JP3140447U (en) | Motorcycle | |
US20030057668A1 (en) | Hand truck attachment | |
JP2017043228A (en) | Transport cart with hand-operated handle | |
KR102454295B1 (en) | An auxiliary apparatus for moving bricks | |
JP7430258B2 (en) | System for handling container walls | |
JP4423373B2 (en) | Transport ca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0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9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1012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0527 Appeal identifier: 2011101000375 Request date: 20110120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1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11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PB0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0303 |
|
PE0801 | Dismissal of amendment |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110303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120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1129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052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10120 Decision date: 20110527 Appeal identifier: 2011101000375 |
|
PS0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PS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601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7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