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41233B1 - 시트벨트의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벨트의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233B1
KR101041233B1 KR1020080126054A KR20080126054A KR101041233B1 KR 101041233 B1 KR101041233 B1 KR 101041233B1 KR 1020080126054 A KR1020080126054 A KR 1020080126054A KR 20080126054 A KR20080126054 A KR 20080126054A KR 101041233 B1 KR101041233 B1 KR 101041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ever
seat belt
sensor
locking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7474A (ko
Inventor
이형찬
박상희
박일완
조규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송
Priority to KR1020080126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233B1/ko
Priority to PCT/KR2009/007300 priority patent/WO2010068010A2/ko
Publication of KR20100067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23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7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벨트와 아동보호용 시트를 결합하여 운전중 긴급상황 발생시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시트벨트의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하우징 축에 어댑터를 수용하는 홀더센서가 구비되고, 홀더센서의 하단에는 센서와 로킹레버가 구비되며 상단에는 스몰기어와 맞물려서 구동하는 캠에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회전하고, 로킹레버에는 크기가 작은 U형상의 포지션 돌기를 구비하고 공간이 넓은 홀더센서에 W형상의 텐션리브를 구비하여, 홀더센서 텐션리브의 가운데 정점을 중심으로 로킹레버에 구비된 U형상의 돌기가 좌우로 왕복운동하면서 로킹레버를 블로킹포지션이나 해제포지션으로 전환하게 하는 구성에 그 특징이 있다.
시트벨트, 로킹장치, 텐션리브, 돌기, 로킹레버

Description

시트벨트의 로킹장치{Locking apparatus of Seatbel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벨트와 아동보호용 시트를 결합하여 운전중 긴급상황 발생시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시트벨트의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웨빙이 완전히 인출된 후에는 웨빙이 감기기만 하도록 로킹장치가 작동하여 웨빙의 인출이 없이 유아용 시트(Chile seat)와 차량(Vehicle)을 고정하며, 웨빙이 일정량 이상 다시 감겨지면 자동적으로 해제되는 아동보호(Child Protection) 기능인 CLR 기능을 가지는 시트벨트의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트벨트에 아동용 시트를 결합하여 운전중 긴급상황 발생시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시트벨트의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CLR 기술로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안전 벨트를 위한 벨트 견인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살펴보면 웨빙이 인출방향으로의 스풀(12)이 회전하면, 기어휠(20)이 스풀(12)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어디스크(28)는 'Q'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웨빙이 정해진 양만큼 인출되게 되면, 제어디스크(28)에 존재하는 스토퍼(40)에 의해 로킹레버(멈춤쇠)(44)가 블로킹포지션으로 이동하 게 되며, 로킹레버(44)의 블로킹암(52)이 해제디스크(14)와 결합하여 웨빙의 인출을 방해함으로써 아동보호 기능이 작동하게 된다.
다시 웨빙이 인입되면 제어디스크(28)가 'P'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웨빙이 정해진 양만큼 인입되게 되면, 제어디스크(28)에 존재하는 또 다른 스토퍼(38)에 의해 로킹레버(44)가 해제포지션으로 이동하게 되며, 아동보호 기능이 해제된다.
아큐펀트센싱(Occupant Sensing)은 아동보호기능과 연계되어 작동하며, 마이크로스위치(60)의 접촉소자(34)의 작동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전환이 가능해 지고, 접촉소자(34)의 작동은 제어디스크(28)의 형상이나 로킹레버(44)의 위치로 감지가 가능하며, 로킹레버(44)의 위치이동은 제어디스크(28)의 회전에 의해 결정되고, 로킹레버(44)의 스프링 역할을 하는 샤클(46)과 프로젝션(돌기)(50)에 의해 변환된 위치가 유지된다.
종래기술은 로킹레버의 위치를 유지하고 고정하는 스프링을 대신하여 부동스프링의 원리 및 샤클형상으로 로킹레버의 작동 및 위치를 보정하는 구성이었다.
종래기술은 로킹레버에 샤클형상을 구비하고, 커버에 ∧형상의 돌기를 구비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로킹레버의 위치를 유지하고 고정하는 스프링 대신에 부동스프링의 원리 및 샤클형상으로 로킹레버의 작동 및 위치를 보정하게 한 구성으로 로킹레버에 역 하트 모양의 샤클형상을 구비하고 커버에 ∧형상의 돌기(프로젝션)를 구비한 구성으로서, 제어디스크(CAM)에 의해 위치를 전환하는 로킹레버의 일단에 역 하트 모양의 샤클형상을 구비해야 하므로 로킹레버의 크기가 커지고 또한 한정된 공간 내에서 위치전환(블로킹포지션-해제포지션)을 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필요로 하여 제품의 크기가 비대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제품의 크기가 커짐으로 인하여 타 부품과의 간섭도 고려해야하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로킹레버에 구비된 샤클이 커버에 구비된 ∧형상의 돌기를 정으로 하여 왕복운동하면서 위치를 전환하는데 장시간 사용시에는 로킹레버에 구비된 샤클의 일측에서 파단이나 찢어짐이 발생하여 제품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로킹레버가 좁은 공간 내에서도 위치전환을 자유롭게 하고 로킹레버의 크기가 커짐으로 인한 간섭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로킹레버에는 크기가 작은 U형상의 포지션 돌기를 구비하고 공간이 넓은 홀더센서에 W형상의 텐션리브를 구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로킹레버에는 크기가 작은 U형상의 포지션 돌기를 구비하고 공간이 넓은 홀더센서에 W형상의 텐션리브를 구비하여 로킹레버가 좁은 공간 내에서도 위치전환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로킹레버의 크기가 작아짐으로 인하여 커버에 넓은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타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벨트와 아동보호용 시트를 결합하여 운전중 긴급상황 발생시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시트벨트의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 시트벨트 로킹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시트벨트 로킹장치의 절단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로킹레버의 작동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시트벨트 로킹장치의 동작순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시트벨트 로킹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과 프레임에서 회전하는 스풀과 스풀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로킹메커니즘과 스풀의 회전에 대해 감속기어를 구비한 캠을 포함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로킹장치로서,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웨빙이 완전히 인출된 후에는 웨빙이 감기기만 하도록 로킹장치가 작동하여 웨빙의 인출이 없이 유아용시트와 차량을 고정하며, 웨빙이 일정량 이상 다시 감겨지면 자동적으로 해제되는 아동보호기능(CLR) 기능을 가지는 시트벨트의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하여서는 설명을 생략하여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벨트 리트랙터(10)의 하우징 축에 어댑터(20)가 고정되어 회전하며, 어댑터(20)의 회전축을 유지하는 홀더센서(30)가 구비되고, 홀더센서(30)의 하단에는 센서(70)와 로킹레버(멈춤쇠 PAWL CLR)(40)가 구비되며 상단에는 스몰기어(50)와 맞물려서 구동하는 캠(60)이 구비되어 스몰기어(50)가 구동하면 캠(60)이 회전하고 캠(60)이 회전하는데 캠에는 특정한 각도를 가지고 마주보는 스토퍼(61)가 구비되며, 로킹레버(40)에는 U형상의 포지션돌기를 구비하며 홀더센서(30)에는 W형상의 텐션리브를 구비하여 W형상의 텐션리브를 정점으로 왕복운동하면서 로킹레버(40)를 블로킹포지션이나 해제포지션으로 전환하게 하는 구성이다.
종래기술에서는 로킹레버(40)에 역 하트 모양의 샤클형상을 구비하고 커버(80)에 ∧형상의 돌기를 구비한 구성이었으나, 본 발명은 로킹레버(40)에는 크기가 작은 U형상의 포지션 돌기(41)를 구비하고 공간이 넓은 홀더센서(30)에 W형상의 텐션리브(31)를 구비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센서(30)에 스몰기어(50)와 한 쌍의 스토퍼(61)가 갖춰진 캠(60)이 기어물림으로 구비되고, 캠(60)의 스토퍼(61)와 접촉하는 로커암(42)과 블로킹암(43)이 형성된 로킹레버(40)가 홀더센서(30)에 구비되며, 로킹레버(40) 암(42, 43)의 타측에는 돌기(41)가 구비되고, 홀더센서(30) 에는 플렉시블한 W형상의 텐션리브(31)가 구비되는데, 로킹레버(40)의 돌기(41)가 홀더센서(30)의 텐션리브(31)의 W형상의 홈에 삽입되어 접촉되게 구비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홀더센서(30)에 구비되는 텐션리브(31)는 W형상으로 양(두) 방향성이고, 로킹레버(40)의 포지션 돌기(41)는 텐션리브(31)의 W형상과 접촉이 용이하도록 하부가 라운드진 U형상을 가지는 구성으로, 홀더센서(30) 텐션리브(31)의 가운데 정점을 중심으로 로킹레버(40)에 구비된 U형상의 포지션 돌기(41)가 좌우로 왕복운동하면서 로킹레버(40)를 블로킹포지션이나 해제포지션으로 전환하게 하는 구성이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로킹포지션(Blocking Position)일 경우에는 ALR(AUTOMATICALLY)모드로서 웨빙은 인입만 가능하고 인출은 되지 않는 상태로 차량용 시트벨트에 유아용시트를 고정한 후에는 웨빙이 인출되지 않아야 하며, 해제포지션(Release Position)일 경우에는 ELR(EMERGENCY)모드로서 일정량의 웨빙이 감긴 후에는 블로킹포지션이 해제되어 일반적인 상태로 웨빙의 인입과 인출이 가능하며, 긴급상황 발생시에 로킹장치가 작동하여 승객을 보호하도록 한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것으로 하기에서 각 단계의 상세란 설명을 한다.
(가)는 '초기위치를 셋팅'하는 단계로 ALR모드 상태로 조립하는 것으로, 로킹레버(40)의 포지션 돌기(41)가 홀더센서(30)에 구비된 텐션리브(31)의 W형상의 일측에 삽입되어 조립되며, 이때 로킹장치는 작동상태가 된다.
(나)는 'ALR모드에서 ELR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로서 웨빙의 인입으로 캠(6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웨빙이 일정량 감기면 캠(60)에 구비된 스토퍼(61)(ⓑ)가 회전하면서 로킹레버(40)의 로커암(42)을 회전시키면 로킹레버(40)의 포지션 돌기(41)가 홀더센서(30)에 구비된 텐션리브(31)의 W형상 정점을 기준으로 조립시의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삽입되면서 해제포지션으로 위치가 전환되어 ELR모드가 된다.
(다)는 '웨빙 인출'단계로서 차량용 시트벨트에 유아용시트를 고정하기 위해 웨빙의 인출에 의해 캠(60)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로킹장치가 작동되기 전 단계로 ELR모드가 유지된다.
(라)는 'ELR모드에서 ALR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로서 웨빙이 완전히 인출되기 직전(캠의 초기 셋팅 위치보다 앞에서)에 캠(60)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토퍼(61)(ⓐ)가 회전하면서 로킹레버(40)의 로커암(42)을 회전시키면 로킹레버(40)의 포지션 돌기(41)가 홀더센서(30)에 구비된 텐션리브(31)의 W형상 정점을 기준으로 ELR모드의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삽입되면서 블로킹포지션으로 위치가 전환되어 ALR모드가 된다.
(마)는 'ALR모드에서 ELR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로서 웨빙의 인입에 의해 캠(60)이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웨빙이 일정량 감기면 캠(60)에 구비된 스토퍼(61)(ⓑ)가 회전하면서 로킹레버(40)의 로커암(42)을 회전시켜 다시 ELR모드로 전환된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로킹레버(40)의 돌기(41)가 홀더센서(30)의 텐션리브(31)를 좌우로 왕복하면서 블로킹포지션(ALR모드)과 해제포지션(ELR모드)으로 위치가 변경될 순간에 큰 힘이 발생하면 홀더센서(30)의 샤클(31)이 파손되거나 찢어져서 제품불량이 발생하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위치전환시 발생하는 힘을 분산시키거나 상쇄시키면 텐션리브(31)에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로킹레버(40)의 측면에 W형상의 포지션 홈(44)을 구비하고 W형상의 포지션 홈(44)에 삽입되도록 홀더센서(30)에 제2돌기(32)를 구비하여 위치전환시 텐션리브(31)와 포지션 돌기(41)에서 발생하는 힘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 시트벨트 로킹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시트벨트의 로킹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시트벨트 로킹장치의 절단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로킹레버의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 시트벨트 로킹장치의 동작순서도
도 6은 본 발명 시트벨트 로킹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리트랙터 20. 어댑터
30. 홀더센서 31. 텐션리브
32. 제2돌기
40. 로킹레버(멈춤쇠) 41. 포지션 돌기
42. 로커암 43. 블로킹암
44. 포지션 홈 50. 스몰기어
60. 캠 61. 스토퍼
70. 센서 80. 센서커버

Claims (3)

  1. 시트벨트 리트랙터(1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캠(60)의 스토퍼(61)가 로킹레버(40)의 암(42, 43)과 접촉하여 회전시키면서 블로킹포지션이나 해제포지션으로 전환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로킹장치에 있어서,
    로킹레버(40)에는 크기가 작은 U형상의 포지션 돌기(41)를 구비하고 공간이 넓은 홀더센서(30)에는 W형상으로 양 방향성의 텐션리브(31)를 구비하여, 홀더센서 샤클의 가운데 정점을 중심으로 로킹레버에 구비된 돌기가 좌우로 왕복운동하면서 로킹레버가 블로킹포지션이나 해제포지션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의 로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로킹레버(40)의 돌기(41)가 홀더센서(30)에 구비된 텐션리브(31)의 좌우로 왕복하면서 블로킹포지션과 해제포지션으로 위치가 변경될 순간에 큰 힘이 발생하여 홀더센서의 샤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킹레버(40)의 측면에는 W형상의 포지션 홈(44)을 구비하고 홀더센서(30)에는 제2돌기(32)를 구비하여 W형상의 포지션 홈에 제2돌기가 삽입되어 로킹레버의 위치전환시 텐션리브와 포지션 돌기에서 발생하는 힘을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의 로킹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캠(60)에는 블로킹포지션이나 해제포지션으로 위치가 전환되도록 로킹레버(40)의 암(42, 43)과 접촉하는 한 쌍의 스토퍼(6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의 로킹장치.
KR1020080126054A 2008-12-11 2008-12-11 시트벨트의 로킹장치 Active KR101041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054A KR101041233B1 (ko) 2008-12-11 2008-12-11 시트벨트의 로킹장치
PCT/KR2009/007300 WO2010068010A2 (ko) 2008-12-11 2009-12-08 시트벨트의 로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054A KR101041233B1 (ko) 2008-12-11 2008-12-11 시트벨트의 로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474A KR20100067474A (ko) 2010-06-21
KR101041233B1 true KR101041233B1 (ko) 2011-06-13

Family

ID=42243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054A Active KR101041233B1 (ko) 2008-12-11 2008-12-11 시트벨트의 로킹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41233B1 (ko)
WO (1) WO201006801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339B1 (ko) * 2012-12-06 2014-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벨트 록킹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663B1 (ko) * 2013-12-30 2014-11-12 (유)삼송 시트벨트 잠금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9U (ja) * 1991-04-26 1993-01-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子供用シート
EP0523936A1 (en) * 1991-07-17 1993-01-2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Retrac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311B1 (ko) * 2002-11-22 2004-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장치
US7090304B2 (en) * 2004-07-16 2006-08-1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Retractor having vehicle sensitive sensor disabling mechanism
JP2008213526A (ja) * 2007-02-28 2008-09-18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9U (ja) * 1991-04-26 1993-01-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子供用シート
EP0523936A1 (en) * 1991-07-17 1993-01-2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Retra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339B1 (ko) * 2012-12-06 2014-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벨트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474A (ko) 2010-06-21
WO2010068010A2 (ko) 2010-06-17
WO2010068010A3 (ko)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37687B (zh) 用于安全带的安全带卷收器
US4026494A (en) Safety belt tension reducing means
JP4356852B2 (ja) シートベルト制御装置
JP4312639B2 (ja)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US7380740B2 (en)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device
US6702056B2 (en) Seatbelt retractor
JPH03157243A (ja) シートベルトシステム
JP2777377B2 (ja) テンションレデュース機構付シートベルト巻取り装置
KR101041233B1 (ko) 시트벨트의 로킹장치
US6655626B2 (en) Belt retractor for a vehicle safety belt
JP5602253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4174445B2 (ja)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KR20170133071A (ko) 소음제거유닛을 포함하는 지능형 리트랙터
KR101803755B1 (ko) 모드전환레버를 포함하는 지능형 리트랙터
JP2003118537A (ja) 自動ロック機構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US4830310A (en) Seat belt retractor with comfort mechanism
JP6191044B2 (ja) 車両の車椅子固定装置
JPH09169256A (ja) 電気制御される安全ベルト巻取り器
JPH03157244A (ja) シートベルトシステム
JP2004161256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20060278748A1 (en) Seat belt retractor
KR100835938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커버 구조체
KR100901265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긴급잠금장치의 엔드록 해리구조
KR20120025049A (ko) 시트벨트 클러치 및 시트벨트 리트렉터
US9409545B2 (en) Belt retractor with a child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