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616B1 -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tural Head Deformity in Infants - Google Patents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tural Head Deformity in Infa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0616B1 KR101040616B1 KR1020100036931A KR20100036931A KR101040616B1 KR 101040616 B1 KR101040616 B1 KR 101040616B1 KR 1020100036931 A KR1020100036931 A KR 1020100036931A KR 20100036931 A KR20100036931 A KR 20100036931A KR 101040616 B1 KR101040616 B1 KR 1010406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
- pillow
- infant
- auxiliary
- seating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1144 postur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06010061199 Head deformity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6261 foam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08000017520 skin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7101 Muscle Cramp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9782 Plagiocephal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53682 Brachycephal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9283 Craniosynostos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68 sex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유아의 자세성 두상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영유아의 자세성 두상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는, 다공성 재질의 내부 폼재(foam); 상기 내부 폼재를 감싸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겉피; 상기 내부 폼재 및 겉피로 이루어진 베개 몸체의 상,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머리가 위치되도록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머리 안착부; 및 상기 머리 안착부에 삽입되며, 표면에 사이즈가 다른 보조 머리 안착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적층형 보조 베개;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베개는 머리 사이즈에 따라 적층 정도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정이나 보육시설에서 아기의 등을 바닥에 대고 눕혀 키우는 보육자세를 장시간 취할 때, 직접적으로 바닥과 맞닿는 아기의 뒷머리가 눌려서 뒷머리 모양이 한쪽으로 삐뚤어지는 사두증이나 뒷머리 전체가 납작해지는 단두증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면서 베개 몸체에 적층식 또는 교체식인 별도의 보조 베개를 구비하여 성장하는 영유아의 머리 사이즈에 맞게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베개 몸체를 이루는 내부 폼재를 에어 매쉬(Air mash) 원단으로 사용하고, 겉피 역시 통공이 형성되므로 통기성 향상에 따라 영유아의 뒷머리부분에 땀띠 등 피부질환이 발생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베개 몸체의 높이가 목 부위는 낮게 형성되게 하고, 머리 위쪽 부위는 높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영유아의 목이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tural head deformity of infants, the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tural head deformity of inf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foam material (foam) of the porous material; The outer shell surrounding the inner foam material,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A head seating portion formed at an eccentric position such that the head is positioned on at least one of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illow body made of the inner foam member and the outer skin; And at least one laminated auxiliary pillow inserted into the head seating portion, and having an auxiliary head seating portion having a different size on a surface thereof, wherein the auxiliary pillow has different lamination degrees according to the head siz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ing a child care posture in which a baby's back lies on the floor in a home or child care facility for a long time, the flat head or the entire head of the back head is flattened when the back of the baby directly touches the back of the baby. It can be used appropriately to fit the head size of the growing infant with a separate auxiliary pillow that is laminated or replaceable on the pillow body, while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phagosclerosis. In addition, the inner foam material forming the pillow body is used as an air mash fabric, and the outer skin is also formed with pores, thereby improving the breathability, thereby preventing skin diseases such as sweat bands from occurring in the back of infants. And the height of the pillow body to form a low neck por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 to be formed high,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infant's neck to lean back.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유아의 자세성 머리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모나 보호자가 가정이나 보육시설 등에서 아기를 눕혀 키울 때 발생하는 뒷머리 변형을 보다 손쉽고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영유아의 자세성 머리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pillow for the prevention of postural head deformation of inf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posture of infants who can more easily and effectively prevent back hair deformation caused when a baby or a parent lays down at home or child care. A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sexual hair deformation.
현재 의학적으로 영아는 태어나서 약 2세(24개월)까지, 유아는 2세에서 6세까지의 초등학교 입학 전까지의 아동으로 언급되며, 이러한 영유아의 머리뼈는 성인의 머리뼈처럼 딱딱하게 굳지 않은 연성의 성질로 인해, 아기가 잠자거나 눕혀서 키워 질 때, 바닥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부위의 아기 뒷머리는 머리뼈 속 무거운 뇌 무게의 압력에 의해 눌려지게 된다. 이러한 압력이 장시간 지속되면 뒷머리 모양이 납작해지는 사두증이나 뒷머리 전체가 납작해지는 단두증이라고 불리는 자세성 머리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Currently, infants are referred to as children from birth until about two years old (24 months), and infants from the age of two to six years of age befo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and the head bones of these infants are soft, not as hard as adults. Due to its nature, when the baby is asleep or lying down, the back of the baby's back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oor is pressed by the weight of the heavy brain weight in the head bone. If such pressure is prolonged for a long time, a postural head deformation, called flat head or flat head, may occur.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시중에 나와 있는 머리변형 예방을 위한 보육기는 대부분 아기의 누운 자세를 바꿔주어 예방하는 고정된 형태의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영유아들의 개월 수나 성별, 그리고 각자의 발육 상태에 따라서 차이가 발생하는 신체크기와 굴곡에 맞추기 힘든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런 보육자세는 아기에게 오히려 신체적 불편을 초래할 수도 있었다.To prevent this, most of the day care devices for preventing hair deformation are composed of a fixed shape that prevents the baby's lying position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baby. Not only has the disadvantages that are difficult to fit in body size and curvature, but this child care attitude could cause physical discomfort to the baby.
더욱이, 두상 변형의 방지를 위한 방법으로는 하기와 같은 선행기술이 존재하고 있다. 일 예로, 서양에서 아기의 자세유지를 위해서 개발된 미국특허 제05581832호의 유아 자세 보조기를 보면, 각각의 아기 신체 크기에 맞춰서 폭을 넓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 별도의 독립된 2개의 등받침대와 배받침대를 이용하여 예방 자세를 구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발명의 경우에는 등 쪽과 함께 한쪽 방향으로 올려 진 아기의 머리를 함께 받쳐 주는 별도의 머리받침대의 필요성이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또한, 모양과 형태에 있어서 고정된 쿠션형 등받침대는 구현된 쿠션의 모양과 형태상 신체 크기와 굴곡이 제각각인 영유아의 등을 받쳐주기에는 경사각이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영유아의 심한 움직임에 의해서 영유아의 자세가 뒤로 넘어 엎어질 수 있는 경사각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Moreover, the following prior art exists as a method for the prevention of head deformation. For example, in the infant posture assistor of US Patent No. 0581832, developed in the West for maintaining a baby's posture, two separate backrests and a backrest are provided to expand the width according to each baby's body size. It is configured to implement a preventive posture using. However, in the case of this invention, it can be guessed from the need for a separate head restraint supporting the head of the baby raised in one direction together with the back. In addition, the fixed cushion-type backrest in shape and shape can be guessed from the fact that the inclination angle may not be effective to support the infant's back having various body sizes and curvatures in the shape and shape of the implemented cushion. In addition,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infant's severe movement can achieve the inclination angle that the infant's posture can fall backward.
또 다른 예로, 미국특허 제07213281호의 유아 안전시스템은 단단한 소재를 사용한 고정된 형태와 모양의 등받침부와 배받침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하고 있으나, 등받침부와 배받침부는 구조상 영유아들의 개월 수나 성별, 그리고 각자의 발육 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신체크기와 굴곡에 맞도록 비스듬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영유아의 신체에 맞지 않는 장시간의 자세는 영유아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며, 결국, 이는 질식사와 머리 변형을 예방하기 위해 영유아의 누워 있는 자세를 불편하지 않게 장시간 효과적으로 비스듬한 예방 자세를 취하게 하는 목적으로는 앞서 언급한 자세유지용으로 개발된 제품들은 소재와 모양, 그리고 형태에 있어서 편안하고 안정감 있게 영유아의 비스듬한 예방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기 곤란한 한계가 있다고 미루어 유추되어 진다.
As another example, the infant safety system of U.S. Patent No. 07213281 is provided with a fixed form and shape of the backrest and the backrest using a rigid material, but the backrest and the backrest are structurally different from the number of months of infants. It can be assumed that it is not easy to maintain an oblique posture for a long time to fit various body sizes and bends depending on the sex and the development state of each person. In addition, prolonged postures that do not fit the body of infants may cause discomfort to infants, and, in order to prevent obstructions and head deformity, the prone position of the infants may be effectively obliquely prevented for a long time. It is inferred that the products developed for the posture maintenance mentioned above are difficult to maintain the obliquely preventive posture of infants for a long time with comfort and stability in terms of material, shape and form.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기본적인 두상의 사두증(Plagiocephaly)이나 단두증(Brachycephaly)을 방지하면서 베개 몸체에 적층식 또는 교체식인 별도의 보조 베개를 구비하여 성장하는 영유아의 머리 사이즈에 맞게 적절히 사용할 수 있게 한 유아의 자세성 두상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which is to provide a separate auxiliary pillow that is laminated or replaceable on the pillow body while preventing the basic head cramps (Plagiocephaly) or head cramps (Brachycepha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tural head deformity of an infant that can be properly used according to the size of a growing infa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개 몸체를 이루는 내부 폼재를 에어 매쉬(Air mash) 원단으로 사용하고, 겉피 역시 통공이 형성되므로 통기성 향상에 따라 영유아의 뒷머리부분에 땀띠 등 피부질환이 발생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게 한 유아의 자세성 두상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inner foam material forming the pillow body as an air mash (Air mash) fabric, the outer skin is also formed through the pores so as to improve the breathability to prevent skin diseases such as sweat bands in the back of the infa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tural head deformity of an infa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개 몸체의 높이가 목 부위는 낮게 형성되게 하고, 머리 위쪽 부위는 높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영유아의 목이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유아의 자세성 두상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pillow body to the neck portion is formed low,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 to be formed high, to prevent postural head deformity of the infant that can prevent the infant's neck from falling back. To provide a functional pillow fo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공성 재질의 내부 폼재(foam); 상기 내부 폼재를 감싸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겉피; 상기 내부 폼재 및 겉피로 이루어진 베개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 머리 안착부; 및 상기 머리 안착부에 삽입되어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층형 보조 베개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베개는 표면에 보조 머리 안착부가 형성되고, 머리 사이즈에 따라 적층 정도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ous foam material (foam); The outer shell surrounding the inner foam material,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Head seating portion formed in a position eccentric from the center of the pillow body consisting of the inner foam material and the outer skin; And at least one laminated auxiliary pillow inserted into and laminated to the head seating portion, wherein the auxiliary pillow has an auxiliary head seating portion formed on a surface thereof and varying the degree of lamination according to a head siz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공성 재질의 내부 폼재(foam); 상기 내부 폼재를 감싸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겉피; 상기 내부 폼재 및 겉피로 이루어진 베개 몸체의 상,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는 삽입 홈부; 및 상기 삽입 홈부에 삽입되며, 머리가 위치되도록 표면에 사이즈가 다른 머리 안착부가 개별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교체형 보조 베개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홈부 및 머리 안착부 중 어느 하나가 베개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ous foam material (foam); The outer shell surrounding the inner foam material,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at least one of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illow body formed of the inner foam material and the outer skin; And at least one replaceable auxiliary pillow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head seat having a different size on the surface so that the head is positioned, wherein one of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head seat is eccentric from the center of the pillow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position.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머리 안착부는 베개 몸체의 하단을 기준으로 1/2~1/3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ead seating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1/2 to 1/3 point based on the lower end of the pillow body.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베개 몸체는 목 부위의 두께가 머리 위쪽의 두께의 50∼70% 범위 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illow body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neck portion is formed in the range of 50 to 70% of the thickness of the upper head.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보조 베개는 상층일수록 보조 머리 안착부의 사이즈가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pillow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auxiliary head seating portion is formed smaller the upper layer.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영유아의 자세성 두상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는, 가정이나 보육시설에서 아기의 등을 바닥에 대고 눕혀 키우는 보육자세를 장시간 취할 때, 직접적으로 바닥과 맞닿는 아기의 뒷머리가 눌려서 뒷머리 모양이 한쪽으로 삐뚤어지는 사두증(Plagiocephaly)이나 뒷머리 전체가 납작해지는 단두증(Brachycephaly)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면서 베개 몸체에 적층식 또는 교체식인 별도의 보조 베개를 구비하여 성장하는 영유아의 머리 사이즈에 맞게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uch a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tural head deformity of the infa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ild's back position is raised for a long time in the home or day care center with the baby's back lying on the floor, the back of the baby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floor is pressed back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sloping plagiocephaly on one side or Brachysphaly on the entire back of the head, a separate auxiliary pillow, which is laminated or replaceable on the pillow body, is used to increase the size of the infant's hea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properly.
또한, 본 발명은, 베개 몸체를 이루는 내부 폼재를 에어 매쉬(Air mash) 원단으로 사용하고, 겉피 역시 통공이 형성되므로 통기성 향상에 따라 영유아의 뒷머리부분에 땀띠 등 피부질환이 발생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foam material constituting the pillow body as an air mash (Air mash) fabric, the outer skin is also formed through the air permeability can be prevented to prevent skin diseases such as sweat bands in the back of the infant according to improved breathability It works.
또한, 본 발명은, 베개 몸체의 높이가 목 부위는 낮게 형성되게 하고, 머리 위쪽 부위는 높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영유아의 목이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pillow body to the neck portion is formed low,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 is formed to be high,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neck of the infant bend back.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유아의 자세성 두상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영유아의 자세성 두상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의 내부 폼재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유아의 자세성 두상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1 and 2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a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tural head deformity of the inf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inner foam material of the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tural head deformity of the infant.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tural head deformity of the inf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영유아의 자세성 두상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functional pillow for the prevention of postural head deformity of the infa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유아의 자세성 두상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폼재(112), 겉피(114), 머리 안착부(116)로 이루어지는 베개 몸체(110) 및 보조 베개(120)를 포함한다.
베개 몸체(110)는 다공성을 가지는 내부 폼재(foam)(112)와, 내부 폼재(112)를 감싸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겉피(114) 및 상,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머리가 위치되도록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머리 안착부(116)를 포함한다. 한편, 베개 몸체(110)는 에어 매쉬 원단인 내부 폼재(112) 및 내부 폼재(112)를 감싸는 겉피(114)에 통공이 형성되므로 영유아의 뒷머리부분에 땀띠 등 피부질환이 발생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다. 더욱이, 내부 폼재(112)는 탄성을 가진 연질소재를 쿠션감이 있는 에어 매쉬(Air mash) 원단으로 감싸거나 에어 매쉬 원단 자체로도 구성될 수 있다. ( 도 3 참조 )The
그리고 베개 몸체(110)는 영유아의 목 부위의 두께(t1)를 낮게 형성하고 머리 위쪽의 두께(t2)를 높게 형성함으로써, 영유아의 목이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되, 목 부위의 두께(t1)가 머리 위쪽의 두께(t2)의 50∼70% 범위 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높이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The
만일 베개 몸체(110)의 목 부위의 두께(t1)가 머리 위쪽의 두께(t2)의 50% 미만이면 영유아의 목이 너무 앞으로 젖혀지게 되고, 만일 베개 몸체(110)의 목 부위의 두께(t1)가 머리 위쪽의 두께(t2)의 70% 초과이면 영유아의 목이 너무 뒤로 젖혀지게 되므로, 목 부위의 두께(t1)가 머리 위쪽의 두께(t2)의 50∼70% 범위 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thickness (t 1 ) of the neck portion of the
머리 안착부(116)는 영유아의 뒷머리가 안착되는 부위로, 반구형의 형태를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반구형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영유아의 뒷머리가 베개 바닥과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형성된 공간에 의해 뒷머리가 바닥에 눌려서 발생하는 뒷머리 변형을 근본적으로 예방하도록 한다.The
즉, 머리 안착부(116)의 위치는 베개 몸체(110)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형성하되, 베개 몸체(110)의 외면 하단에서 머리 안착부(116)의 내면 하단까지 거리(ℓ2)가 머리 안착부(116)의 내면 상단에서 베개 몸체(110)의 외면 상단까지 거리(ℓ1)보다 작으며, 바람직하게는 베개 몸체(110)의 하단을 기준으로 1/2∼1/3지점에 형성된다. That is, the position of the
만일 머리 안착부(116)의 위치가 베개 몸체(110)의 하단을 기준으로 1/2 초과된 위치이면 영유아의 목이 너무 뒤로 젖혀지게 되고, 만일 머리 안착부(116)의 위치가 베개 몸체(110)의 하단을 기준으로 1/3 미만 위치이면 영유아의 목이 너무 앞으로 젖혀지게 된다.If the position of the
이렇게 머리 안착부(116)가 베개 몸체(110)에 편심지게 형성됨으로써, 영유아의 뒷머리 아래쪽이 베개 몸체(110)에 눌려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머리 안착부(116)의 편심량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In this way, the
보조 베개(120)는 머리 안착부(116)에 비부착식이면서 적어도 하나가 삽입되되, 각각의 표면에 보조 머리 안착부(122)가 형성된다. 특히, 보조 베개(120)가 둘 이상이 구비될 경우 적층 형태를 유지한다.At least one
결국, 적층식으로 구비되는 보조 베개(120)는 보조 베개(120)마다 보조 머리 안착부(122)의 사이즈가 다르므로 영유아의 성장에 따른 머리 사이즈에 맞게 더 적층시키거나 덜 적층시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베개 몸체(110)의 머리 안착부(116) 사이즈가 가장 크고 상층으로 갈수록 적층된 보조 베개(120)의 보조 머리 안착부(122) 사이즈가 점차 작아진다. 그리고 보조 베개(120)는 적층된 상태에서도 그 표면 높이가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As a result, the
그리고 보조 베개(120)는 성장하는 영유아의 머리 사이즈에 따라 적층 정도를 달리하므로, 성장하는 영유아의 머리 크기에 알맞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보다 편안하고 효과적으로 뒷머리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결국, 영아 때는 베개 몸체(110)의 머리 안착부(116)에 보조 베개(120)를 최대한 적층시켜 보조 베개(120)의 보조 머리 안착부(122)에 유아의 머리를 놓이게 하고, 점차 영아에서 유아로 성장할수록 적층된 보조 베개(120)를 빼내면서 사용한다.
As a result, when infants,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유아의 자세성 두상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폼재(212), 겉피(214)로 이루어지는 베개 몸체(210)와 보조 베개(220)를 포함한다.
베개 몸체(210)는 앞선 실시 예와 동일하게 내부 폼재(212)와 겉피(214)를 포함하며, 상,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보조 베개(220)가 삽입되는 삽입 홈부(216)가 형성된다. 이때, 내부 폼재(212)와 겉피(214) 및 베개 몸체(210)의 높이 역시 앞선 실시 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삽입 홈부(216)는 앞선 실시 예에서의 베개 몸체(110)에 머리 안착부(116)가 형성되는 것과 달리, 베개 몸체(210)의 표면에 보조 베개(22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영유아의 성장 시기에 따라 사이즈가 각기 다른 머리 안착부(222)가 형성된 보조 베개(220)를 교체하면서 사용하는 것이다.The
이때, 베개 몸체(210)에 형성된 삽입 홈부(216) 또는 보조 베개(220)에 형성된 머리 안착부(222) 중 어느 하나가 편심지게 형성되며, 편심량은 앞선 실시 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any one of the
따라서, 영아에서 유아로 성장함에 따라 베개 몸체(210)의 삽입 홈부(216)에 삽입된 보조 베개(120)를 교체하면서 사용 가능하다.
Accordingly, as the infant grows from infant to infant, the
이렇게 가정이나 보육시설에서 영유아의 등을 바닥에 대고 눕혀 키우는 보육자세를 장시간 취할 때, 아기의 머리뼈 속 무거운 뇌 압력에 의해 바닥과 맞닿는 부위의 뒷머리가 눌려서 모양이 한쪽으로 삐뚤어지는 사두증(Plagiocephaly)이나 뒷머리 전체가 납작해지는 단두증(Brachycephaly)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When taking a long child care posture in which a baby's back lies on the floor and raises it at home or in a child care facility, the back of the head contacting the floor is pressed by the heavy brain pressure in the baby's head bone. Or brachyphaly, which flattens the entire back of the hea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일 실시 예의 베개 110: 베개 몸체
112: 내부 폼재 114: 외피
116: 머리 안착부 120: 보조 베개
122: 보조 머리 안착부
200: 다른 실시 예의 베개 210: 베개 몸체
212: 내부 폼재 214: 겉피
216: 삽입 홈부 220: 보조 베개
222: 머리 안착부100: the pillow of the embodiment 110: the pillow body
112: inner foam material 114: outer shell
116: head seat 120: auxiliary pillow
122: auxiliary head restraint
200: pillow of another embodiment 210: pillow body
212: inner foam material 214: outer shell
216: insertion groove 220: auxiliary pillow
222: head restraints
Claims (6)
상기 내부 폼재를 감싸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겉피;
상기 내부 폼재 및 겉피로 이루어진 베개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 머리 안착부; 및
상기 머리 안착부에 삽입되어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층형 보조 베개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베개는 표면에 보조 머리 안착부가 형성되고, 머리 사이즈에 따라 적층 정도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자세성 두상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
Internal foam of porous material;
The outer shell surrounding the inner foam material,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Head seating portion formed in a position eccentric from the center of the pillow body consisting of the inner foam material and the outer skin; And
At least one laminated auxiliary pillow inserted into and laminated to the head seating portion,
The auxiliary pillow is a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tural head deformation of the inf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head sea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varying the degree of lamina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ead.
상기 내부 폼재를 감싸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겉피;
상기 내부 폼재 및 겉피로 이루어진 베개 몸체의 상,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는 삽입 홈부; 및
상기 삽입 홈부에 삽입되며, 머리가 위치되도록 표면에 사이즈가 다른 머리 안착부가 개별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교체형 보조 베개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홈부 및 머리 안착부 중 어느 하나가 베개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자세성 두상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
Internal foam of porous material;
The outer shell surrounding the inner foam material,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at least one of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illow body formed of the inner foam material and the outer skin;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includes at least one replaceable auxiliary pillow having a separate head restraints of different sizes on the surface to position the head,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tural head deformation of the infant,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head seating portion is formed in an eccentric position from the center of the pillow body.
상기 머리 안착부는 베개 몸체의 하단을 기준으로 1/2∼1/3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자세성 두상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head seating portion is a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tural head deformity of the infan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1/2 to 1/3 point relative to the bottom of the pillow body.
상기 베개 몸체는 목 부위의 두께가 머리 위쪽의 두께의 50∼70% 범위 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자세성 두상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pillow body is a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tural head deformity of the inf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neck portion is formed in the range of 50 to 70% of the thickness of the upper head.
상기 보조 베개는 상층일수록 보조 머리 안착부의 사이즈가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자세성 두상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The method of claim 1,
The auxiliary pillow is a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tural head deformity of the inf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auxiliary head seating portion is formed smaller as the upper lay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6931A KR101040616B1 (en) | 2010-04-21 | 2010-04-21 |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tural Head Deformity in Infa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6931A KR101040616B1 (en) | 2010-04-21 | 2010-04-21 |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tural Head Deformity in Infant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40616B1 true KR101040616B1 (en) | 2011-06-10 |
Family
ID=44405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6931A Active KR101040616B1 (en) | 2010-04-21 | 2010-04-21 |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tural Head Deformity in Infan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0616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7606B1 (en) | 2011-06-03 | 2012-06-14 | 주식회사 엘드 | A functionality pillow |
KR200467001Y1 (en) | 2012-12-27 | 2013-05-23 | 조민희 | Baby pillow |
KR20180113254A (en) | 2017-04-06 | 2018-10-16 |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 Functional pillow for infants |
WO2020102891A1 (en) * | 2018-11-23 | 2020-05-28 | Groupe Bblüv Inc. | Plagiocephaly pillow assembly, plagiocephaly prevention set and method for preventing deformational plagiocephaly |
KR20200093130A (en) * | 2019-01-27 | 2020-08-05 | 이재익 | Multi-layered hybrid pillow |
KR200497660Y1 (en) * | 2023-05-10 | 2024-01-19 | 주식회사 국제탑헬스케어 | infant pillow capable of using during whole life cycl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34868A (en) * | 2001-10-29 | 2003-05-09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A waste heat recovery boiler with fin tube sliding guides |
KR20030037702A (en) * | 2001-11-05 | 2003-05-16 | 이규옥 | Equipment structure of a garbage trash can for cars |
KR200334868Y1 (en) * | 2003-07-10 | 2003-12-01 | 전종국 | Health pillow |
KR200337702Y1 (en) | 2003-08-30 | 2004-01-13 | 오태영 | A pillow |
KR20110006879A (en) * | 2009-07-15 | 2011-01-21 | 천유출 | Heresy pillow |
-
2010
- 2010-04-21 KR KR1020100036931A patent/KR10104061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34868A (en) * | 2001-10-29 | 2003-05-09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A waste heat recovery boiler with fin tube sliding guides |
KR20030037702A (en) * | 2001-11-05 | 2003-05-16 | 이규옥 | Equipment structure of a garbage trash can for cars |
KR200334868Y1 (en) * | 2003-07-10 | 2003-12-01 | 전종국 | Health pillow |
KR200337702Y1 (en) | 2003-08-30 | 2004-01-13 | 오태영 | A pillow |
KR20110006879A (en) * | 2009-07-15 | 2011-01-21 | 천유출 | Heresy pillow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7606B1 (en) | 2011-06-03 | 2012-06-14 | 주식회사 엘드 | A functionality pillow |
KR200467001Y1 (en) | 2012-12-27 | 2013-05-23 | 조민희 | Baby pillow |
KR20180113254A (en) | 2017-04-06 | 2018-10-16 |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 Functional pillow for infants |
WO2020102891A1 (en) * | 2018-11-23 | 2020-05-28 | Groupe Bblüv Inc. | Plagiocephaly pillow assembly, plagiocephaly prevention set and method for preventing deformational plagiocephaly |
KR20200093130A (en) * | 2019-01-27 | 2020-08-05 | 이재익 | Multi-layered hybrid pillow |
KR102645514B1 (en) * | 2019-01-27 | 2024-03-08 | 이재익 | Multi-layered hybrid pillow |
KR200497660Y1 (en) * | 2023-05-10 | 2024-01-19 | 주식회사 국제탑헬스케어 | infant pillow capable of using during whole life cy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55957B2 (en) | Health pillow | |
KR101040616B1 (en) |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tural Head Deformity in Infants | |
US20200375382A1 (en) | Pillow for healthy ergonomic positioning of the neck and spine | |
WO2005025385A1 (en) | Posture holding structure for infant and pillow for infant | |
JP2017525450A (en) | pillow | |
EP3016549B1 (en) | Contouring backrest device | |
JP2012245312A (en) | Orthopedic pillow | |
KR20130066246A (en) |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positional deformity of infants, babies head | |
KR101966297B1 (en) | Round-type pillow | |
WO2012169672A1 (en) | 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head deformation of infants due to posture | |
JP2016135249A (en) | Neck pillow, combination of neck pillow and wedge member, and method for using neck pillow | |
EP1557117A1 (en) | Unit for supporting a baby | |
JP2015107207A (en) | Mattress | |
US20190313800A1 (en) | Orthopedic seating wedge with ventilation channels | |
JP4299095B2 (en) | Infant posture holding structure | |
KR102571552B1 (en) | A non slip type cushoon | |
KR101908059B1 (en) | Functional pillow | |
JP2019042365A (en) | Pillow structure | |
CN211833607U (en) | Cushion for keeping correct sitting posture | |
JP3116515U (en) | Pillow with variable cervical abutment shape | |
JP2005118397A (en) | Comfortable pillow | |
KR200466308Y1 (en) | Functional Beauty Pillow | |
KR102639636B1 (en) | Cervical Pillow | |
KR20180010707A (en) | Functional Pillow | |
JP3211111U (en) | Three-dimensional lattice cush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2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 ||
PJ0206 |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
Patent event code: P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11121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110603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Decision date: 20120621 Request date: 20111212 Appeal identifier: 2011100003139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11212 Effective date: 20120621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2D Patent event date: 2012062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 date: 20111212 Decision date: 20120621 Appeal identifier: 201110000313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3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