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528B1 - Terrain sensor assembly and autonomous mobile platform - Google Patents
Terrain sensor assembly and autonomous mobile platfor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0528B1 KR101040528B1 KR1020110014286A KR20110014286A KR101040528B1 KR 101040528 B1 KR101040528 B1 KR 101040528B1 KR 1020110014286 A KR1020110014286 A KR 1020110014286A KR 20110014286 A KR20110014286 A KR 20110014286A KR 101040528 B1 KR101040528 B1 KR 1010405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dar
- main body
- driver
- radars
- sensor assemb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5—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during transport, e.g. by a person, vehicle or bo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5—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during transport, e.g. by a person, vehicle or boat
- G01V3/17—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during transport, e.g. by a person, vehicle or boat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c wav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에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구동체와, 상기 회전구동체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이루어지는 카메라와, 상기 회전구동체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구동체의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회전구동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외주면을 따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와, 상기 제1레이더구동체에 장착되고 제1영역 내에서 지형정보 및 상기 본체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센싱하도록 형성되는 제1레이더, 및 상기 제2레이더구동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1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제2영역 내에서 지형정보 및 상기 본체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센싱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레이더를 포함하는 지형감지 센서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자율이동 플랫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rotatable drive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bout one axis in the main body is formed to be movable, a camera mounted on the rotatable drive and configured to take images around the main body, and rotates with the rotatable drive First and second radar driver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driver and rotatably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otary driver, and mounted to the first radar driver. And a first radar configured to sense topographic information and a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and a target object in a first area, and a second radar mounted on the second radar driver and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rea. A terrain sensor assembly comprising a second radar configured to sense topographic information and a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and a target object; It provides an autonomous mobile platform comprising a.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주변의 지형정보를 센싱하는 지형감지 센서조립체 및 이를 판단하여 이동하는 자율이동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ography sensor assembly that senses surrounding topographical information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and to an autonomous platform for determining and moving the topographic sensor.
첨단 과학기술의 개발 및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기술들이 군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센서 및 컴퓨터 하드웨어의 발전은 전투체계의 무인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various technologies are applied to the military field. In particular, advances in sensors and computer hardware have made it possible to unmanned combat systems.
무인화 분야에서의 기술개발 방향을 살펴보면 감시정찰 및 타격, 지휘통제, 폭발물 탐지/제거 등의 임무 기능을 무인 차량, 즉 자율이동 플랫폼이 수행하게 된다. 개별 플랫폼의 체계는 광대역 통신망으로 연동되어 다수의 플랫폼이 가시선/비가시선 환경에서 체계적인 임무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Looking at the direction of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unmanned field, unmanned vehicles, or autonomous mobile platforms, perform mission functions such as surveillance, reconnaissance, hitting, command control, and explosive detection / removal. The systems of individual platforms are linked to broadband networks, allowing multiple platforms to perform systematic tasks in the visible / invisible environment.
자율이동이라 함은 인간의 개입 없이 사람의 두뇌 역할을 하는 컴퓨터와 눈 역할을 하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스스로 주변 상황을 인식하고 판단하여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율이동을 가능하게 하려면 무엇보다 자율이동 플랫폼 주변의 지형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 정확한 감지 수단이 필요하다.Autonomous movement means using the computer that acts as the human brain and the sensors that act as the eyes, without human intervention, to recognize and judge the surrounding situation by itself. In order to enable autonomous movement, above all, accurate sensing means capable of sensing topographic information around the autonomous mobile platform is required.
상기 감지 수단으로서 여러 가지 종류의 센서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자율이동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센서들의 채택, 조합 및 배치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Various kinds of sensors are used as the sensing means, and various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 adoption, combination and arrangement of sensors capable of optimizing autonomous movement.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센서들을 가능한 한 적은 수로 배치하여 최적의 3차원의 공간 모델링이 가능한 지형감지 센서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자율이동 플랫폼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topography sensor assembly and an autonomous platform having the same, capable of optimally modeling three-dimensional space by arranging as few sensors as possibl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변의 지형정보를 센싱하는 지형감지 센서조립체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에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구동체와, 상기 회전구동체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이루어지는 카메라와, 상기 회전구동체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구동체의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회전구동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외주면을 따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와, 상기 제1레이더구동체에 장착되고 제1영역 내에서 지형정보 및 상기 본체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센싱하도록 형성되는 제1레이더, 및 상기 제2레이더구동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1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제2영역 내에서 지형정보 및 상기 본체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센싱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레이더를 포함하는 지형감지 센서조립체를 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opography sensor assembly for sensing the surrounding topographic information, the rotational drive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one axis in the main body is formed to be movable; A camera mounted to the rotary driver and configured to photograph an image around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driver so as to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ry driver,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otary driver. First and second radar drivers each rotatabl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first mounted on the first radar driver and configured to sense topographic information and a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and a target object in a first area; Radar, and topography within a second area mounted to the second radar driver and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rea. Disclosed is a terrain sensor assembly including a beam and a second radar configured to sense a distance between the body and a target object.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구동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의 상기 회전구동체에 대한 상대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외주면을 따라 리세스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는 상기 가이드홈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driver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reces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guide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adar drivers relative to the rotary drive body, The first and second radar drivers are rotatably mounted in the guide grooves, respectively.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레이더구동체는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고 상기 제1레이더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 및 상기 제1장착부로부터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벽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레이더구동체는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고 상기 제2레이더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 및 상기 제2장착부로부터 상기 가이드홈의 타측벽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제1연장부의 일측면과 대향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연장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adar driver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and extends along one side wall of the guide groove from the first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first radar is mounted, and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a first extending part formed, wherein the second radar driver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and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other side wall of the guide groove from the second mounting part,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on which the second radar is mounted. And a second extension part having one side facing the one sid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레이더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radars are disposed on the same plane.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레이더는 상기 카메라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레이더와 상기 카메라 사이의 각도 및 상기 제2레이더와 상기 카메라 사이의 각도는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and second radars are disposed at left and right sides with the camera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n angle between the first radar and the camera and the second radar and the camera. The angles in between have the same value as each other.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는 특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3차원 영상이 생성될 수 있게 동일 대상에 대한 한 쌍의 스테레오 영상들을 촬영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촬영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re configured to capture a pair of stereo images of the same object so that a three-dimensional image can be generated. It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레이더는 동일한 시계(FOV, Field Of View)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영역이 상기 본체의 전방을 기준으로 ±90° 범위를 중복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고 배치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radars have the same field of view (FOV), and the first and second areas have a range of ± 90 ° relative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The camera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camera so as to be detected repeatedly.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레이더는 상기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에 상기 일축과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radars are rotatably install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one axis to the first and second radar drivers.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지형감지 센서조립체는 상기 회전구동체의 전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제3영역 내에서 상기 본체 전방의 장애물을 센싱하도록 형성되는 제3레이더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rain sensor assembly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otational drive, and the obstacle in front of the body in a third region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It further comprises a third radar formed to sense.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3레이더는 센싱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레이더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radar is formed of a 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FMCW) radar to adjust a sensing distance.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지형감지 센서조립체는 상기 회전구동체의 전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제4영역 내에서 지형정보 및 상기 본체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센싱하도록 이루어지는 제4레이더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rain sensor assembly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otational drive, and the terrain information and the main body in a fourth region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o third regions. And a fourth radar configured to sense a distance from the target object.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레이더들을 이용하여 주변의 지형정보를 센싱하고, 판단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자율이동 플랫폼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구동체, 상기 회전구동체에 장착되는 카메라와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 상기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레이더를 구비하는 상기 지형감지 센서조립체,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레이더의 비센싱 영역을 포함하는 제5영역 내에서 지형정보 및 상기 본체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센싱하도록 형성되는 제5레이더를 포함하는 자율이동 플랫폼을 제시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lf-moving platform that is formed to sense, determine and move the surrounding topographic information using a plurality of radar, the main body having a moving means to be movable; A rotary drive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 camera mounted on the rotary driver, first and second radar drivers, and first and second radar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radar drivers, respectively. And configured to sense the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target object in a fifth area including the topography sensor assembly and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non-sensing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radars. An autonomous mobile platform including a fifth radar is provided.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자율이동 플랫폼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주변 지형에 대한 절대위치 및 자세값을 센싱하도록 이루어지는 항법센서, 및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제1 및 제2레이더로부터 생성된 거리 데이터에 상기 항법센서로부터 획득된 절대위치 및 자세값을 결합하여 3차원의 월드 모델을 생성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월드 모델을 근거로 상기 본체의 자율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nomous platform is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the navigation sensor configured to sense the absolute position and attitude value of the surrounding terrain of the main body, and from the camera and the first and second radar The controller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three-dimensional world model by combining absolute position and attitude values obtained from the navigation sensor with the generated distance data, and control autonomous movement of the main body based on the world model.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좌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1레이더구동체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레이더구동체의 회전을 제어하며, 상기 본체가 우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2레이더구동체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레이더구동체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first radar driver so that the first radar driver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the main body moves to the left, and the main body moves to the right. It is made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second radar driver so that the second radar driver can be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during movement.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레이더를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가 회전구동체에 대하여 각각 상대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므로, 보다 넓은 면적을 커버할 수 있으며, 적은 수의 센서로 최적의 3차원 공간 모델링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first and the second radar driver having the first and the second radar, respectively, can be made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otary driver, it can cover a larger area, The small number of sensors allows for optimal three-dimensional spatial modeling.
또한,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는 제5레이더를 구비함으로써, 제1 및 제2레이더의 비센싱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즉, 자율이동 플랫폼의 360° 범위의 전방향 감지가 가능하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fifth radar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cover the non-sensing areas of the first and second radars. That is, 360-degree omnidirectional sensing of the autonomous platform is possible.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는 자율이동 플랫폼이 좌·우측으로 이동시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를 각각 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레이더의 센싱 영역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자율이동 플랫폼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지형감지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sensing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radar by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radar drivers respectively when the autonomous platform moves to the left and the right. This enables faster and more accurate terrain detection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autonomous platform mov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이동 플랫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율이동 플랫폼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지형감지 센서조립체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형감지 센서조립체의 측면도.
도 5 내지 7은 각각 도 1의 자율이동 플랫폼의 스캐닝 영역 및 데이터 측정의 유효거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1 내지 제3개념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자율이동 플랫폼의 블록 구성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nomous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autonomous platform shown in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the topography sensor assembly of FIG.
4 is a side view of the topography sensor assembly shown in FIG.
5 to 7 are first to third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n effective distance of a scanning area and data measurement of the autonomous platform of FIG. 1, respectively.
8 is a block diagram of the autonomous platform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지형감지 센서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자율이동 플랫폼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the terrain sensor assembly and the autonomous platform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도 1 및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이동 플랫폼(10)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and front views, respectively, of an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자율이동 플랫폼(10)은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주변의 지형정보를 센싱하고, 판단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자율이동 플랫폼(10)은 본체(11), 지형감지 센서조립체(12) 및 제어부(13)를 포함한다.1 and 2, the
본체(11)는 자율이동 플랫폼(10)이 지면을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바퀴(111)들을 구비한다. 바퀴(111)들은 자율이동 플랫폼(10)이 야지 및 험지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암(112)에 결합될 수 있다.The
본체(11)에는 자율이동 플랫폼(10) 주변의 지형정보를 센싱하는 지형감지 센서조립체(1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지형감지 센서조립체(12)는 회전구동체(120), 카메라(121),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126a, 126b),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를 포함한다.The
회전구동체(120)는 지형감지 센서조립체(12)의 바디를 형성하고, 복수의 센서들이 장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회전구동체(120)는 예를 들어, 본체(11)의 전면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지면과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구동체(120)는 본체(11) 상부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황에 따라 본체(11)로부터 보다 돌출되도록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부가 본체(11)로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카메라(121)는 회전구동체(120)의 전면에 장착되고, 본체(11)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카메라(121)는 본체(11) 주변의 지형, 대상물의 가시화, 차선인식 및 월드 모델링(world modeling) 등을 위한 영상을 촬영하도록 이루어진다.The
카메라(121)는 제1 및 제2촬영부(121a, 121b)를 구비하는 스테레오 카메라(stereo camera)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및 제2촬영부(121a, 121b)는 특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3차원 영상이 생성될 수 있게 동일 대상에 대한 한 쌍의 스테레오 영상들을 촬영하도록 형성된다.The
스테레오 카메라(121)는 획득된 좌·우 영상들의 변이를 추정하고, 삼각법을 통해서 본체(11)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 및 지형정보의 3차원 거리 데이터를 측정한다. 3차원 거리데이터를 지면 기준으로 투영하게 되면 지형의 고도맵이 생성되며, 고도맵은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와 융합되어 3차원 공간 모델링에 사용된다.The
차선을 인식하기 위하여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차선인식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121)를 통해 받아들인 도로의 영상을 중앙 픽셀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각의 영상에 대하여 전처리 과정인 소벨 에지(sobel edge)를 검출, 세선화를 수행한다. 이후, 영상을 스캐닝하고 ID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클러스터링을 하며, 클러스터링 된 차선 그룹에 대한 직선방정식을 구하여 차선을 만들고, 실제 차선폭과 가장 유사한 폭을 가진 차선을 인식한다. 이때, 차선의 실제 폭을 갱신하여 오차 값을 줄일 수 있다.To recognize the lane, a lane recognition algorithm using a clustering technique may be used. In detail, the image of the road received through the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126a, 126b)는 각각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회전구동체(120)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레이더구동체(126a, 126b)는 회전구동체(1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구동체(12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회전구동체(12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진다.The first and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126a, 126b)는 회전구동체(120)의 외주면에 카메라(121)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126a, 126b)는 각각 반시계 및 시계 방향으로 회전구동체(12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and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는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126a, 126b)에 각각 장착된다. 제1레이더(122)는 제1영역(122′) 내에서 지형정보 및 본체(11)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센싱하도록 형성된다. 제2레이더(123)는 제1영역(122′)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제2영역(123′) 내에서 지형정보 및 본체(11)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센싱하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는 앞서 설명한 카메라(121)가 촬영하는 영상과 함께 3차원 공간 모델링에 사용된다.The first and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는 본체(11)의 주변의 지형정보를 파노라마식으로 센싱할 수 있도록 서로 기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126a, 126b)가 회전구동체(120)에 대하여 각각 상대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므로,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를 통해 감지 가능한 영역이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으며, 적은 수의 센서로 최적의 3차원 공간 모델링이 가능하다.The first and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는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126a, 126b)에 카메라(121)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장착될 수 있으며,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가 동일한 시계(FOV, Field Of View)를 가지는 경우, 상기 카메라(121)를 기준으로 좌·우의 동일 범위를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영역(122′, 123′) 중 중첩되는 부분은 단위시간당 센싱 포인트가 증가되어 본체(11) 전방의 지형정보를 보다 세밀히 센싱할 수 있다.The first and
회전구동체(120)에는 제3 및 제4레이더(124, 12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The third and
제3레이더(124)는 회전구동체(120)의 전면, 예를 들어,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레이더(124)는 제1 및 제2영역(122′, 123′)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제3영역(124′) 내에서 본체(11) 전방의 장애물을 센싱하도록 형성된다.The
제3레이더(124)는 센싱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레이더로 형성될 수 있다. FMCW 레이더는 주파수가 변조된 신호를 연속적으로 발사하는 방식의 레이더로서, 연속되는 주파수가 선형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낮은 송신기 전력으로도 고해상도 및 고감도를 구현할 수 있다.The
FMCW 레이더는 운용 환경 및 목적에 비추어 원거리 장애물을 검출하기에 적합한 경우, 원거리·소폭의 센싱 영역을 갖는 레이더 모드로 운용되고, 근거리 장애물을 검출하기에 적합한 경우, 근거리·대폭의 센싱 영역을 갖는 레이더 모드로 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자율이동 플랫폼(10)은 주행 경로 내의 장애물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The FMCW radar operates in the radar mode with long and narrow sensing areas when it is suitable for detecting long distance obstacles in view of the operating environment and purpose, and the radar with short and wide sensing areas when it is suitable for detecting near obstacles. Can be operated in mode. Accordingly, the
제4레이더(125)는 회전구동체(120)의 전면, 예를 들어, 제3레이더(124)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4레이더(125)는 제1 내지 제3영역(122′, 123′, 124′)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제4영역(125′) 내에서 지형정보 및 본체(11)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센싱하도록 이루어진다. 제4레이더(125)는 자율이동 플랫폼(10)의 주행 경로가 되는 본체(11) 전방의 3차원의 월드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여 자율주행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한다.The
제5레이더(141)는 본체(1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5레이더(141)는 본체(11) 후방의 지형정보 및 본체(11)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센싱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5레이더(141)는 주로 본체(11) 전방을 센싱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를 보완한다. 즉, 제5레이더(141)는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의 비센싱 영역을 커버함으로써, 자율이동 플랫폼(10)의 360° 범위의 전방향 감지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본체(11)에는 자율이동 플랫폼(10)의 자율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3) 및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 등이 전자부품의 형태로 내장된다. 본체(11)에는 항법센서가 장착되어 본체(11)의 주변 지형에 대한 고도값을 센싱하도록 이루어진다.The
제어부(13)는 카메라(121)와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로부터 생성된 거리 데이터에 항법센서로부터 획득된 고도값을 결합하여 3차원의 월드 모델을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제어부(13)는 상기 3차원 월드 모델을 근거로 본체(11)의 자율이동을 제어한다.The
제어부(13)는 본체(11)의 이동시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가 본체(11)가 향하는 방향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126a, 126b)의 회전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는 본체(11)가 좌측으로 이동시 제1레이더구동체(126a)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본체(11)가 우측으로 이동시 제2레이더구동체(126b)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제어부(13)는 자율이동 플랫폼(10)이 좌·우측으로 이동시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126a, 126b)를 각각 반시계 및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의 센싱 영역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자율이동 플랫폼(10)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지형감지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도 3 및 4는 도 1의 지형감지 센서조립체(12)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3 and 4 are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도 3 및 4를 참조하면, 회전구동체(120)에는 회전구동체(120)의 외주면을 따라 리세스되는 가이드홈(127)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126a, 126b)는 가이드홈(12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3 and 4, the
가이드홈(127)은 회전구동체(120)에 대한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126a, 126b)의 상대 회전을 가이드한다.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126a, 126b)는 회전구동체(120) 외주면의 일부를 덮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회전구동체(12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제1레이더구동체(126a)는 제1장착부(126a′) 및 제1연장부(126a″)를 구비하고, 제2레이더구동체(126b) 또한 제2장착부(126b′) 및 제2연장부(126b″)를 구비한다. 제2장착부(126b′) 및 제2연장부(126b″)에 대한 설명은 제1장착부(126a′) 및 제1연장부(126a″)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The
제1장착부(126a′)는 가이드홈(127)에 결합되고, 제1레이더(122)가 장착되도록 공간을 형성한다. 제1연장부(126a″)는 제1장착부(126a′)로부터 가이드홈(127)의 일측벽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2연장부(126b″)는 제2장착부(126b′)로부터 가이드홈(127)의 타측벽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일측면이 제1연장부(126a″)의 일측면과 대향하도록 이루어진다.The
제1레이더구동체(126a)는 가이드홈(127)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연장부(126a″)의 일단이 제2장착부(126b′)에 맞닿아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가 본체(11)의 전방을 기준으로 특정된 각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The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는 카메라(121)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제1레이더(122)와 카메라(121) 사이의 각도 및 제2레이더(123)와 카메라(121) 사이의 각도는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121), 제3 내지 제5레이더(124, 125, 141)는 상기 본체(11)의 전후방을 연결하는 중심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nd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는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126a, 126b)의 회전축과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는 자율이동 플랫폼(10)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회전에 의해 각각 상이한 지형정보 및 본체(11)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센싱하여 3차원의 월드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e first and
도 5 및 6은 각각 도 1의 자율이동 플랫폼(10)의 스캐닝 영역 및 데이터 측정의 유효거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1 및 제2개념도이다.5 and 6 are first and second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the effective range of the scanning area and data measurement of the
도 5에서는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가 본체(11)의 직(直) 전방(0°)을 기준으로 각각 ±35°의 지점을 향하도록 설치된 것을, 도 6에서는 ±25°의 지점을 향하도록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는 동일한 시계, 예를 들어, 270°의 시계를 가질 수 있다.In FIG. 5, the first and
이 경우, 제1레이더(122)는 제1레이더(122)를 중심으로 ±135°에 해당되는 제1영역(122′)의 지형정보 및 본체(11)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센싱하게 된다. 제2레이더(123) 또한 제2레이더(123)를 중심으로 ±135°에 해당되는 제2영역(123′)의 지형정보 및 본체(11)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센싱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상기 제1 및 제2영역(122′, 123′) 중 중첩되는 부분{도 5에서는 본체(11) 전방의 ±100°에 해당되는 영역, 도 6에서는 본체(11) 전방의 ±110°에 해당되는 영역}은 단위시간당 센싱 포인트가 증가되어 본체(11) 전방의 지형정보를 보다 세밀히 센싱할 수 있다.Overlapp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또한, 회전구동체(120)에 원거리 또는 단거리 장애물 검출용의 제3레이더(124)가 장착됨으로써, 본체(11) 전방의 장애물을 보다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본체(11)의 후면에는 본체(11) 후방의 지형정보 및 본체(11)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센싱하도록 형성되는 제5레이더(141)가 장착될 수 있다. 제5레이더(141)는 본체(11)의 직(直) 후방(0°)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가 감지하지 못하는 부분{도 5에서는 본체(11) 후방의 ±10°를 포함하는 영역, 도 6에서는 본체(11) 후방의 ±20°를 포함하는 영역}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rear surface of the
제5레이더(141)는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영역 내에서 후방의 장애물 검출 또는 3차원의 월드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게 된다. 제5레이더(141)는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의 비센싱 영역을 커버하여 자율이동 플랫폼(10)의 360° 범위의 전방향 감지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지형감지 센서조립체(12)는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126a, 126b)를 회전시킴으로써, 제5레이더(141)가 없이도 자율이동 플랫폼(10)의 360° 범위의 전방향 감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126a, 126b)는 회전구동체(120)에 대하여 각각 상대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가 경우에 따라 더 넓은 영역(360° 범위의 전방향 감지 포함)을 센싱하거나, 좁은 영역을 보다 세밀하게 센싱할 수 있다.The
도 7은 도 1의 자율이동 플랫폼(10)의 스캐닝 영역 및 데이터 측정의 유효거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3개념도이다.FIG. 7 is a third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canning area and the effective distance of data measurement of the
도 7에서의 카메라(121), 제1 내지 제3 및 제5레이더(122, 123, 124, 141)의 구성 및 배치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앞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율이동 플랫폼(10)은 제1 내지 제3영역(122′, 123′, 124′)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제4영역(125′) 내에서 지형정보 및 본체(11)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센싱하도록 이루어지는 제4레이더(125)를 더 포함한다.The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the
제4레이더(125)는 회전구동체(120)의 전면, 예를 들어, 카메라(121)와 제3레이더(124)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제4레이더(125)는 자율이동 플랫폼(10)의 주행 경로 상의 장애물을 검출하도록 형성되어 위험요소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4레이더(125)는 본체(11) 전방의 3차원의 월드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여 자율주행의 안정성을 확보한다.The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자율이동 플랫폼(10)의 블록 구성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the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3)는 회전구동체 제어부(131),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 제어부(132), 월드 모델링부(133), 경로계획 생성부(134) 및 제어신호 발생부(13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회전구동체 제어부(131)와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 제어부(132)는 각각 회전구동체(120)와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126a, 126b)의 회전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본체(11)가 좌측을 향하여 이동시 좌측 방향에 대한 지형정보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필요가 있다. 카메라(121) 및 레이더들이 고정된 상태로 있을 경우, 본체(11)가 좌측을 향하여 완전히 돌아간 후에야 좌측 방향에 대한 지형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이동 방향에 대한 즉각적인 감지가 이루어질 수 없다.The rotary driver control unit 131 and the first and second radar
회전구동체 제어부(131)는 본체(11)의 이동 방향에 따라 회전구동체(120)를 회전시킴으로써, 본체(11)의 이동 방향에 대한 지형정보를 사전에 감지,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 제어부(132)는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126a, 126b) 각각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가 경우에 따라 더 넓은 영역을 센싱하거나, 좁은 영역을 보다 세밀하게 센싱하도록 한다.The rotary driver control unit 131 rotates the
월드 모델링부(133)는 카메라(121), 제1 및 제2레이더(122, 123)에서 생성된 거리 데이터에 항법 센서로부터 획득된 고도값을 결합하여 3차원 데이터(포인트 분포지도, point clou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 분포지도를 메쉬(mesh) 형태로 연결하여 지면을 그리드(grid) 형태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를 월드 모델링이라고 한다.The world modeling unit 133 combines the altitude values obtained from the navigation sensor with the distance data generated by the
경로계획 생성부(134)는 기설정된 시작점과 끝점 및 상기와 같이 생성된 월드 모델링 데이터를 근거로 자율이동 플랫폼(10)의 자율이동에 대한 경로계획을 생성한다. 즉, 경로계획 생성부(134)는 자율이동 플랫폼(10)이 주행하고자 하는 이동 경로를 설정함과 아울러 자율이동 플랫폼(10)이 장애물을 극복하거나 회피하기 위한 최종의 이동 지도(mobility map)을 생성한다.The route plan generation unit 134 generates a route plan for the autonomous movement of the
제어신호 발생부(135)는 상기와 같은 경로계획을 근거로 자율이동 플랫폼(10)의 이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자율이동 플랫폼(10)은 경로계획을 따라 자율이동을 수행하게 된다.The
이상에서 설명한 지형감지 센서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자율이동 플랫폼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topographic sensor assembly and the autonomous platform having the sam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or partially replaced with each other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It may be configured in combination.
Claims (14)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에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구동체;
상기 회전구동체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이루어지는 카메라;
상기 회전구동체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구동체의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회전구동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외주면을 따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
상기 제1레이더구동체에 장착되고, 제1영역 내에서 지형정보 및 상기 본체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센싱하도록 형성되는 제1레이더; 및
상기 제2레이더구동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1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제2영역 내에서 지형정보 및 상기 본체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센싱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레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감지 센서조립체.In the terrain sensor assembly for sensing the surrounding terrain information,
A rotary drive body rotatably installed around one axis on a main body formed to be movable;
A camera mounted to the rotating driver and configured to photograph an image around the main body;
First and second radar driver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driver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ry driver, and rotatably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rotary driver;
A first radar mounted on the first radar driver and configured to sense topographic information and a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and a target object in a first area; And
And a second radar mounted on the second radar driver and configured to sense topographic information and a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and a target object in a second area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rea. Terrain sensor assembly.
상기 회전구동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의 상기 회전구동체에 대한 상대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외주면을 따라 리세스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는 상기 가이드홈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감지 센서조립체.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ry driver is formed with guide grooves reces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guide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adar drivers with respect to the rotary driver.
And the first and second radar drivers are rotatably mounted to the guide grooves, respectively.
상기 제1레이더구동체는,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고, 상기 제1레이더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 및
상기 제1장착부로부터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벽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레이더구동체는,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고, 상기 제2레이더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 및
상기 제2장착부로부터 상기 가이드홈의 타측벽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제1연장부의 일측면과 대향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감지 센서조립체.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radar driver,
A first mounting part coupled to the guide groove and mounted with the first radar; And
And a first extension part formed to extend along one side wall of the guide groove from the first mounting part,
The second radar driver,
A second mounting part coupled to the guide groove and mounted with the second radar; And
And a second extension part formed to extend along the other side wall of the guide groove from the second mounting part and having one side facing the one sid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상기 제1 및 제2레이더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감지 센서조립체.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first and second radars are arranged on the same plane.
상기 제1 및 제2레이더는 상기 카메라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레이더와 상기 카메라 사이의 각도 및 상기 제2레이더와 상기 카메라 사이의 각도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감지 센서조립체.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radars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the camera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angle between the first radar and the camera and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radar and the camera are the same.
상기 카메라는 특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3차원 영상이 생성될 수 있게 동일 대상에 대한 한 쌍의 스테레오 영상들을 촬영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감지 센서조립체.6. The method of claim 5,
The camera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topography de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and a second photographing unit is formed to shoot a pair of stereo images for the same object to generate a three-dimensional image Sensor assembly.
상기 제1 및 제2레이더는 동일한 시계(FOV, Field Of View)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영역이 상기 본체의 전방을 기준으로 ±90° 범위를 중복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감지 센서조립체.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and second radars have the same field of view (FOV), and the first and second radars can be detected from the camera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areas can detect a range of ± 90 ° with respect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Terrain sens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at a set angle.
상기 제1 및 제2레이더는 상기 제1 및 제2레이더구동체에 상기 일축과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감지 센서조립체.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the first and second radars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radar drivers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one axis.
상기 회전구동체의 전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제3영역 내에서 상기 본체 전방의 장애물을 센싱하도록 형성되는 제3레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감지 센서조립체.The method of claim 1,
And a third radar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rotating driver and configured to sense an obstacle in front of the main body in a third region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Detection sensor assembly.
상기 제3레이더는 센싱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레이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감지 센서조립체.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third radar is formed of a 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FMCW) radar to adjust a sensing distance.
상기 회전구동체의 전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제4영역 내에서 지형정보 및 상기 본체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센싱하도록 이루어지는 제4레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감지 센서조립체.The method of claim 10,
And a fourth radar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rotating driver and configured to sense topographic information and a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and a target object in a fourth region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o third regions. Terrain sens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본체;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지형감지 센서조립체;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레이더의 비센싱 영역을 포함하는 제5영역 내에서 지형정보 및 상기 본체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센싱하도록 형성되는 제5레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이동 플랫폼.In the autonomous mobile platform is formed to sense, determine and move the surrounding topographic information using a plurality of radar,
A main body having a moving means to be movable;
A topography sensor assembl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And
And a fifth radar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sense topographic information and a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and a target object in a fifth area including the non-sensing areas of the first and second radars. Autonomous platform featured.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주변 지형에 대한 절대위치 및 자세값을 센싱하도록 이루어지는 항법센서; 및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제1 및 제2레이더로부터 생성된 거리 데이터에 상기 항법센서로부터 획득된 절대위치 및 자세값을 결합하여 3차원의 월드 모델을 생성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월드 모델을 근거로 상기 본체의 자율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이동 플랫폼.The method of claim 12,
A navigation sensor mounted to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sense an absolute position and an attitude value of the surrounding terrain of the main body; And
It is formed to combine the absolute position and attitude values obtained from the navigation sensor with the distance data generated from the camera and the first and second radar to generate a three-dimensional world model, based on the world model Autonomous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utonomous moveme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좌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1레이더구동체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레이더구동체의 회전을 제어하며,
상기 본체가 우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2레이더구동체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레이더구동체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이동 플랫폼.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first radar driver so that the first radar driver can be rotated counterclockwise when the main body moves to the left,
And control the rotation of the second radar driver so that the second radar driver rotates clockwise when the main body moves to the righ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4286A KR101040528B1 (en) | 2011-02-17 | 2011-02-17 | Terrain sensor assembly and autonomous mobile platfor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4286A KR101040528B1 (en) | 2011-02-17 | 2011-02-17 | Terrain sensor assembly and autonomous mobile platfor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40528B1 true KR101040528B1 (en) | 2011-06-16 |
Family
ID=44405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4286A Active KR101040528B1 (en) | 2011-02-17 | 2011-02-17 | Terrain sensor assembly and autonomous mobile platfor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0528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25107A (en) * | 2015-03-25 | 2017-11-13 | 웨이모 엘엘씨 | Vehicles with multiple LIDARs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EVICES) |
CN109715442A (en) * | 2016-09-15 | 2019-05-03 | 株式会社小糸制作所 | Lighting system |
KR20210022180A (en) * | 2019-08-19 | 2021-03-03 |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 Sensor assembly for vehicle and obstacle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
WO2023097889A1 (en) * | 2021-12-01 | 2023-06-08 | 威刚科技股份有限公司 | Unmanned mobile carrier and guidance and obstacle avoidance method for environmental field |
KR20230119468A (en) * | 2022-02-07 | 2023-08-16 | 백수빈 | Unmanned ground reconnaissance apparatus for automatic driving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23693A (en) | 2005-05-19 | 2006-11-30 | Olympus Corp | Processor, and method and program for processing image |
KR20100070582A (en) * | 2008-12-18 | 2010-06-28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The moving robot exploration system founded the distance information of a surrounding circumstance required from distance sensor and the exploration method using the moving robot exploration system |
-
2011
- 2011-02-17 KR KR1020110014286A patent/KR10104052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23693A (en) | 2005-05-19 | 2006-11-30 | Olympus Corp | Processor, and method and program for processing image |
KR20100070582A (en) * | 2008-12-18 | 2010-06-28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The moving robot exploration system founded the distance information of a surrounding circumstance required from distance sensor and the exploration method using the moving robot exploration system |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332379B2 (en) | 2015-03-25 | 2025-06-17 | Waymo Llc | Vehicle with multiple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evices (LIDARs) |
US10120079B2 (en) | 2015-03-25 | 2018-11-06 | Waymo Llc | Vehicle with multiple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evices (LIDARS) |
KR101954986B1 (en) * | 2015-03-25 | 2019-03-07 | 웨이모 엘엘씨 | Vehicles with multiple LIDARs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EVICES) |
KR20190025749A (en) * | 2015-03-25 | 2019-03-11 | 웨이모 엘엘씨 | Vehicle with multiple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evices (lidars) |
KR102179292B1 (en) * | 2015-03-25 | 2020-11-16 | 웨이모 엘엘씨 | Vehicle with multiple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evices (lidars) |
KR20170125107A (en) * | 2015-03-25 | 2017-11-13 | 웨이모 엘엘씨 | Vehicles with multiple LIDARs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EVICES) |
US10976437B2 (en) | 2015-03-25 | 2021-04-13 | Waymo Llc | Vehicle with multiple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evices (LIDARS) |
USRE48961E1 (en) | 2015-03-25 | 2022-03-08 | Waymo Llc | Vehicle with multiple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evices (LIDARs) |
CN109715442A (en) * | 2016-09-15 | 2019-05-03 | 株式会社小糸制作所 | Lighting system |
EP3514445A4 (en) * | 2016-09-15 | 2020-06-03 | Koito Manufacturing Co., Ltd. | Illuminating system |
US10913386B2 (en) | 2016-09-15 | 2021-02-09 | Koito Manufacturing Co., Ltd. | Lighting system |
KR20210022180A (en) * | 2019-08-19 | 2021-03-03 |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 Sensor assembly for vehicle and obstacle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2664377B1 (en) * | 2019-08-19 | 2024-05-08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 Sensor assembly for vehicle and obstacle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
WO2023097889A1 (en) * | 2021-12-01 | 2023-06-08 | 威刚科技股份有限公司 | Unmanned mobile carrier and guidance and obstacle avoidance method for environmental field |
KR20230119468A (en) * | 2022-02-07 | 2023-08-16 | 백수빈 | Unmanned ground reconnaissance apparatus for automatic driving |
KR102654371B1 (en) | 2022-02-07 | 2024-04-02 | 백수빈 | Unmanned ground reconnaissance apparatus for automatic driv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01311B1 (en) | Autonomous platform | |
US20210318444A1 (en) | Sensing assembly for autonomous driving | |
US20240295655A1 (en) | Vehicle navigation based on aligned image and lidar information | |
JP7301909B2 (en) | Determination of yaw error from map data, lasers, and cameras | |
US10916035B1 (en) | Camera calibration using dense depth maps | |
EP3842304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with safe distances | |
US11555903B1 (en) | Sensor calibration using dense depth maps | |
US10955857B2 (en) | Stationary camera localization | |
JP6029446B2 (en) | Autonomous flying robot | |
WO2017149813A1 (en) | Sensor calibration system | |
JP6195450B2 (en) | Autonomous flying robot | |
US12117312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mapping and localization using synthetic aperture radar | |
JP6527726B2 (en) | Autonomous mobile robot | |
KR101040528B1 (en) | Terrain sensor assembly and autonomous mobile platform | |
WO2019135869A1 (en) | Lidar intensity calibration | |
Holz et al. | Registration of non-uniform density 3D point clouds using approximate surface reconstruction | |
JP4116116B2 (en) | Ranging origin recognition device for moving objects | |
US10249056B2 (en) | Vehicle position estimation system | |
US12197208B2 (en) | Camera calibration | |
CN117585085A (en) | Omnidirectional mobile robot base device based on fusion navigation and application thereof | |
US20240142588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non-overlapping range sensors of an autonomous vehicle | |
JP2013222446A (en) | Obstruction detection device and mobile body therewith | |
US20220252404A1 (en) | Self-correcting vehicle localization | |
JP2018160848A (en) | Control method for display unit and display unit | |
US20240144694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non-overlapping range sensors of an autonomous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2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