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40192B1 - 동축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192B1
KR101040192B1 KR1020090075237A KR20090075237A KR101040192B1 KR 101040192 B1 KR101040192 B1 KR 101040192B1 KR 1020090075237 A KR1020090075237 A KR 1020090075237A KR 20090075237 A KR20090075237 A KR 20090075237A KR 101040192 B1 KR101040192 B1 KR 101040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oaxial cable
insert
circumferential surface
fix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656A (ko
Inventor
이승영
Original Assignee
이승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영 filed Critical 이승영
Priority to KR1020090075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192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1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즉 본 발명은 내부로는 동축케이블(100)의 심선(110)과 내피(120)가 삽입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동축케이블(100)의 접지선(130)과 외피(140)의 직경이 팽창되면서 밀착되도록 하는 관형상의 인서트(10)와; 상기 인서트(10)의 외측에서 외주면에 밀착시킨 상기 동축케이블(100)의 외피(140)를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선단면은 상기 인서트(10)의 전방측 외주면에 삽입되면서 밀착 고정되는 슬리브(20)와; 상기 슬리브(20)의 후방에서 상기 슬리브(20)의 내경보다는 작은 내경을 갖도록 구비되는 케이블 고정 링(30)과; 선단측 내주면에는 외부 단자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선(41)을 형성하고, 나사선(41)의 후단부에는 상기 인서트(10)와 결합된 상기 슬리브(20)가 전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유동이 가능하게 수용되며, 선단부의 외주면은 육각 머리 형상으로 나사부(42)를 형성하고, 후단부에는 상기 슬리브(20)와 동심원상에서 후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전후방으로의 이동은 가능하나 이동 길이는 제한되도록 상기 케이블 고정 링(30)이 수용되는 하우징 너트(40)와; 상기 하우징 너트(40)는 상기 슬리브(20)와 상기 케이블 고정 링(30)이 내부에서 회전 및 전후방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내구력을 향상시켜 사용 수명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 단자와 체해결시키는 취급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동축케이블, 커넥터, 외부 단자, 케이블 고정

Description

동축케이블 커넥터{COAXIAL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단자에 나사 결합하는 조작 부위의 면적을 최대한 확장시켜 조작의 편의를 제공하는 동시에 내구력을 향상시켜 사용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축케이블은 외부도체와 내부도체가 동심원을 이루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전기적 신호 즉 영상 및 오디오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전송선로이다.
영상 또는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이하, 'AV기기'라고 함)에는 동축케이블이 접속되는 단자가 마련되며, 동축케이블의 말단에는 동축케이블을 단자에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가 장착된다.
도 1은 종래 동축케이블과 커넥터의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100)은 중앙의 비교적 굵은 직경을 갖는 동선으로 이루어지는 심선(110)과, 이 심선(110)의 외부를 커버하면서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내피(120)와, 내피(120)의 외주면에 밀착 권선되는 접지선(130)과, 접지 선(130)의 외부를 감싸면서 외부와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외피(14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러한 동축케이블(100)이 연결되는 커넥터(200)는 다시 연결캡(210)과 인서트(220)와 슬리브(23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커넥터(200)의 연결캡(210)은 외부 단자와 나사 결합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인서트(220)는 내부로 동축케이블(100)의 심선(110)과 내피(120)가 삽입되고, 외부에는 동축케이블(100)의 접지선(130)과 외피(140)가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슬리브(230)는 동축케이블(100)이 연결되는 인서트(220)가 내부에서 이탈방지되게 삽입되는 동시에 인서트(220)의 외부에 연결되어 외경이 확장되도록 한 외피(140)가 내주면에 매우 긴밀하게 압착되면서 이탈 방지되는 구성으로 구비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100)의 단부를 커넥터(200)의 슬리브(230)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 인서트(220)에 강제 삽입하게 되면 인서트(220)의 외경이 동축케이블(100)의 외피(140)의 내경보다는 미세하게 크게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인서트(220)에 삽입되면서 동축케이블(100)의 외피(140)는 미세하게 직경이 확장되며, 이러한 외피(140)의 외주면은 인서트(220)의 외측으로 구비되는 슬리브(230)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함으로써 커넥터(200)에서 동축케이블(10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200)에서는 동축케이블(100)의 결합 또는 고정을 위한 구성을 다양하게 개선하여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동축케이블용 커넥터(200)는 공히 연결캡(210)과 슬리브(23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인서트(220)의 연결 부위가 도 2의 원 안에 표시된 바와 같이 다른 부위에 비해 두께가 취약하게 형성되면서 이 부위가 취급 중 쉽게 부러지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또한 외부 단자와 나사 결합되는 부위가 연결캡(210)에 한정되므로 실제 커넥터(200)를 체해결하기 위해 손으로 잡는 파지 부위가 너무 작아 비교적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의 체해결 작업이 매우 난해한 불편함이 있다.
이에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이 고정되도록 하는 인서트와 슬리브에 대해 이들 전체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 단자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하우징 너트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게 하므로써 외부 단자와 견고한 체결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에 의한 외부 단자와의 나사 체해결 시 파지 부위를 대폭 확장되게 함으로써 좁은 작업 공간에서의 작업의 편의를 제공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내부로는 동축케이블의 심선과 내피가 삽입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선과 외피의 직경이 팽창되면서 밀착되도록 하는 관형상의 인서트와; 상기 인서트의 외측에서 외주면에 밀착시킨 상기 동축케이블의 외피를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선단면은 상기 인서트의 전방측 외주면에 삽입되면서 밀착 고정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후방에서 상기 슬리브의 내경보다는 작은 내경을 갖도록 구비되는 케이블 고정 링과; 선단측 내주면에는 외부 단자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선을 형성하고, 나사선의 후단부에는 상기 인서트와 결합된 상기 슬리브가 전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유동이 가능하게 수용되며, 선단부의 외주면은 육각 머리 형상으로 나사부를 형성하고, 후단부에는 상기 슬리브와 동심원상에서 후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전후방으로의 이동은 가능하나 이동 길이는 제한되도록 상기 케이블 고정 링이 수용되는 하우징 너트를 결합한 구성이다.
상기의 구성에서 하우징 너트는 상기 슬리브와 상기 케이블 고정 링이 내부에서 회전 및 전후방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서 하우징 너트는 상기 나사부의 후방측 외주면에 미끄럼 방지용 요철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외부 단자에 결합되는 나사 부위가 인서트와 슬리브 전체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하는 통형상으로 사이즈를 확장되게 하므로써 외부 단자와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으므로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단자와 연결시키는 작업 공간이 대체로 비좁기 때문에 공구를 사용하거나 손으로 조작하는 조작면이 종전에 비해 대폭적으로 확장되도록 하고 있어 외부 단자와 체해결시키는 취급이 매우 용이하다.
이에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중 동축케이블은 종전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적용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크게 인서트(10)와 슬리브(20)와 케이블 고정 링(30)과 하우징 너트(4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인서트(10)와 슬리브(20)는 상호 끼움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이고, 케이블 고정 링(30)은 슬리브(20)의 후방에서 미세 유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이며, 하우징 너트(40)는 인서트(10)와 슬리브(20)와 케이블 고정 링(30)을 내부에서 외부로 이탈 방지되게 하면서 유동 가능하게 내장되게 하는 구성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서트(10)는 일정한 직경의 내경을 갖는 관형상이며, 다만 외주면은 일단부로부터 다단으로 다양한 외경을 갖는 구성이다.
즉 인서트(10)는 선단측 외경이 가장 크고, 일정 간격으로 외경이 단차지면 서 점차 축소되며, 후단부측 외경은 일정 길이가 후방으로 점차 축소되는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인서트(10)에는 내부로 동축케이블(100)의 심선(110)과 내피(120)가 삽입되고, 외주면에는 동축케이블(100)의 내피(120) 외측으로 구비되는 접지선(130)과 외피(140)가 후단부측 경사면을 따라 점차 직경이 확장되면서 긴밀하게 밀착 삽입되도록 한다.
슬리브(20)는 내경이 동축케이블(100)의 외피(140)의 외경보다는 큰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선단부측 단면은 중앙에 인서트(10)의 선단측 외주면에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결합홀(21)을 형성한 구성이다.
따라서 슬리브(20)의 내경은 인서트(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한 동축케이블(100)의 외피(140)를 커버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이러한 슬리브(20)는 인서트(10)가 후방으로부터 삽입되도록 하되 인서트(10)의 전방측 외주면에 선단부측 단면 중앙에 형성한 결합홀(21)의 내경면이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고정되도록 한다.
이렇게 인서트(10)와 슬리브(20)를 결합하면 인서트(10)의 외주면과 슬리브(20)의 내주면 사이에 동축케이블(100)의 외피(140)가 위치하고, 외피(140)는 슬리브(20)의 선단부측 단면인 결합홀(21)의 주연부에 이르는 길이까지만 삽입된다.
이때 슬리브(20)의 외경은 동축케이블(100)의 내피(120)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동축케이블(100)을 인서트(10)에 결합 시 인서트(10)의 외주면으로 결합되는 접지선(130)과 외피(140)는 외측으로 팽창되면서 내경이 미세 하게 확장되어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슬리브(20)는 인서트(10)보다는 길이가 짧게 형성되도록 하며, 특히 인서트(10)의 후단부는 슬리브(20)의 후단부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슬리브(20)의 후단부보다는 후방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케이블 고정 링(30)은 인서트(10)와 슬리브(20)의 결합 구조에서 그 후방으로 구비되는 구성이다.
케이블 고정 링(30)의 내경은 케이블 고정 링(30)의 외경보다는 크고 슬리브(20)의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도록 하고, 외경은 슬리브(20)의 외경보다 미세하게 큰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특히 케이블 고정 링(30)의 내경은 동축케이블(100)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후단부의 일부가 내측에서 후방으로 점차 직경이 확장되도록 하는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우징 너트(40)는 전술한 인서트(10)와 슬리브(20)의 결합 구성과 함께 그 후방에 구비되는 케이블 고정 링(30)이 내부에서 미세하게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양측의 외부로는 이탈되지 않도록 외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하우징 너트(40)의 내경은 선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길이는 슬리브(20)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도록 하고, 이 경계부로부터 후방으로는 슬리브(20)의 외경보다는 크게 내경을 형성하되 후단부측으로부터 케이블 고정 링(30) 의 길이보다는 미세하게 큰 폭만큼의 내경면은 슬리브(20)의 외경보다는 크지만 케이블 고정 링(30)의 외경보다는 작은 내경을 갖도록 3단으로 단턱진 형상이다.
따라서 선단부측의 내경이 단턱진 부위는 슬리브(20)의 선단이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을 이루며, 후단부측의 내경이 단턱진 부위 또한 케이블 고정 링(30)이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을 이룬다.
다만 슬리브(20)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하우징 너트(40)의 선단부는 내주면으로는 나사선(41)을 형성하고, 외주면은 6각 나사 형상으로 형성하여 나사부(42)를 이루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 너트(40)의 나사부(42)의 후방측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요철면(43)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우징 너트(40)의 후단부는 내경을 안쪽으로 압착되도록 하되 동축케이블(100)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케이블 고정 링(30)이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을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하우징 너트(40)의 내부에서 케이블 고정 링(30)은 후단부측의 양 걸림턱에 의해 전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그 안쪽에서는 인서트(10)와 슬리브(20)의 결합체가 선단부측 걸림턱과 케이블 고정 링(30)에 의해 전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한편 하우징 너트(40)는 인서트(10)와 슬리브(20)의 결합체와 함께 케이블 고정 링(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동축케이블 커넥터을 이용하여 동축케이블(100)을 연결 하고, 외부 단자에 결합되는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동축케이블을 연결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 커넥터에는 이미 별도의 공구 즉 스트리퍼(stripper) 등으로 단부의 피복을 벗겨지도록 한 동축케이블(100)의 단부를 하우징 너트(40)의 후단부를 통해 삽입되도록 한다.
동축케이블(100)을 억지로 밀어넣게 되면 인서트(10)와 슬리브(20)의 결합체에서 인서트(10)의 내경으로는 동축케이블(100)의 심선(110)과 절연층인 내피(120)가 삽입되는 동시에 인서트(10)의 외경과 슬리브(20)의 내경으로는 접지선(130)과 외피(140)가 삽입된다.
이때 인서트(10)의 외경은 접지선(130)의 내경보다는 미세하게 크게 형성되므로 인서트(10)에 강제적으로 삽입 시 동축케이블(100)의 접지선(130)과 외피(140)는 미세하게 외측으로 팽창되는 상태가 된다.
이렇듯 팽창된 동축케이블(100)의 외피(140)는 외경이 여전히 슬리브(20)의 내경보다는 작지만 케이블 고정 링(30)의 내경보다는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동축케이블(100)을 밀어넣어 외피(140)가 슬리브(20)의 선단부측 주연부에 접촉되면서 더 이상 이동이 불가한 상태가 될 때까지 삽입된다.
동축케이블(100)이 완전 삽입되면 슬리브(20)의 결합홀(21)에는 동축케이블(100)의 절연층을 이루는 내피(120)의 단부가 위치되며, 단지 심선(110)만이 하우징 너트(40)의 나사부(42)를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한다.
이렇게 동축케이블(100)을 억지 삽입시키게 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20)는 선단이 하우징 너트(40)의 선단측 걸림턱에 걸려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동축케이블(100)을 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우선 동축케이블(100)을 따라 인서트(10)와 슬리브(20)의 결합체가 후방의 케이블 고정 링(30) 측으로 이동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동축케이블을 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동축케이블(100)을 인서트(10)에 결합한 후 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이미 인서트(10)에 결합되면서 인서트(10)의 외주면에서 외경이 팽창된 상태인 동축케이블(100)의 외피(140)가 케이블 고정 링(30)의 내경보다 커진 상태이므로 후방으로 동축케이블(100)을 당기면 당길수록 케이블 고정 링(30)에 의해 보다 견고한 고정되는 상태가 되므로 아무리 강제적으로 동축케이블(100)을 후방에서 당기더라도 결코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견고하게 본 발명의 커넥터에 동축케이블(100)을 연결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커넥터를 외부 단자에 간단히 나사 결합식으로 체결시키면 된다.
통상 외부 단자는 간소하게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대개는 복수의 외부 단자들이 모여져 있어 외부 단자들간 간격이 협소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종전에는 이런 협소한 공간에서 육각 나사부만을 회전시켜 외부 단자와 나사결합시키게 되므로 조작하기가 매우 어렵고 용이치 않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선단에 육각의 나사부(42)를 형성한 하우징 너트(40)의 전 체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하고 있으므로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도 한층 손쉬운 조작의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나사부(42)는 하우징 너트(40)의 일단을 이룰 뿐 두께의 편차가 거의 없으므로 종전과 같이 나사부가 연결되는 부위가 손쉽게 부러지는 등의 내구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각 구성 요소의 가공이 용이하고, 조립이 매우 쉽게 이루어지므로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제작비의 절감이 기대된다.
도 1은 종래 동축케이블과 커넥터의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동축케이블을 연결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동축케이블을 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서트 20 : 슬리브
21 : 결합홀 30 : 케이블 고정 링
40 : 하우징 너트 41 : 나사선
42 : 나사부 100 : 동축케이블
110 : 심선 120 : 내피
130 : 접지선 140 : 외피

Claims (3)

  1. 내부로는 동축케이블(100)의 심선(110)과 내피(120)가 삽입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동축케이블(100)의 접지선(130)과 외피(140)의 직경이 팽창되면서 밀착되도록 하는 관형상의 인서트(10)와;
    상기 인서트(10)의 외측에서 외주면에 밀착시킨 상기 동축케이블(100)의 외피(140)를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선단면은 상기 인서트(10)의 전방측 외주면에 삽입되면서 밀착 고정되는 슬리브(20)와;
    상기 슬리브(20)의 후방에서 상기 슬리브(20)의 내경보다는 작은 내경을 갖도록 구비되는 케이블 고정 링(30)과;
    선단측 내주면에는 외부 단자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선(41)을 형성하고, 나사선(41)의 후단부에는 상기 인서트(10)와 결합된 상기 슬리브(20)가 전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유동이 가능하게 수용되며, 선단부의 외주면은 육각 머리 형상으로 나사부(42)를 형성하고, 후단부에는 상기 슬리브(20)와 동심원상에서 후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전후방으로의 이동은 가능하나 이동 길이는 제한되도록 상기 케이블 고정 링(30)이 수용되는 하우징 너트(40)와;
    상기 하우징 너트(40)는 상기 슬리브(20)와 상기 케이블 고정 링(30)이 내부에서 회전 및 전후방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너트(40)는 상기 나사부(42)의 후방측 외주면에 미끄럼 방지용 요철면(4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20090075237A 2009-08-14 2009-08-14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1040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237A KR101040192B1 (ko) 2009-08-14 2009-08-14 동축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237A KR101040192B1 (ko) 2009-08-14 2009-08-14 동축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656A KR20110017656A (ko) 2011-02-22
KR101040192B1 true KR101040192B1 (ko) 2011-06-09

Family

ID=4377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237A KR101040192B1 (ko) 2009-08-14 2009-08-14 동축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1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717Y1 (ko) * 2014-02-12 2015-07-13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분리형 컬렉트가 구비된 무선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1904A (ja) * 1995-12-04 1997-06-20 Iwabuchi Kk 引込み用同軸ケーブルのコネクター
KR20020035560A (ko) * 2000-05-10 2002-05-11 토마스 앤드 베츠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분리가능한 체결슬리이브를 갖춘 동축커넥터
JP2004079282A (ja) * 2002-08-13 2004-03-11 Daimu Engineering:Kk Fコネクタ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1904A (ja) * 1995-12-04 1997-06-20 Iwabuchi Kk 引込み用同軸ケーブルのコネクター
KR20020035560A (ko) * 2000-05-10 2002-05-11 토마스 앤드 베츠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분리가능한 체결슬리이브를 갖춘 동축커넥터
JP2004079282A (ja) * 2002-08-13 2004-03-11 Daimu Engineering:Kk Fコネク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656A (ko) 201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1044E1 (en) Connector capable of connecting to coaxial cable without using tool
EP1935061B1 (en) Coaxial cable connector
TWI603555B (zh) 具有可成型外導體的無支柱同軸電纜連接器
US7335058B1 (en) Snap-fit connector assembly
US7544094B1 (en) Connector assembly with gripping sleeve
EP2801127B1 (en) Quick mount connector for a coaxial cable
US20040102089A1 (en) End connector for coaxial cable
US7850487B1 (en) Coaxial cable connector enhancing tightness engagement with a coaxial cable
US7351099B1 (en) Step up pin for coax cable connector
JP4638275B2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AU2008265592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gripping sleeve
US20100273349A1 (en) Tool-free coaxial connector
US20040194585A1 (en) Coaxial cable thumb socket
US8001679B2 (en) Compression tool with adjustable pushing length
TW201112522A (en) Securable connector
CA2618334C (en) Electrical wiring
US6068506A (en) Strain relief device for an electrical cable
KR100622016B1 (ko) 동축케이블 커넥터
US9219331B1 (en) Cable connector
CN112038848A (zh) 一种快插接头装置
KR101040192B1 (ko) 동축케이블 커넥터
US6905365B1 (en) Coaxial cable connector
JP2007502518A (ja) トライアキシャルバルクヘッドコネクタ
US9614341B2 (en) Device for attaching a connector to a prepared coaxial cable
CN201084853Y (zh) 同轴电缆用末端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