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8459B1 - 핸드헬드 이동 통신 장치의 접촉 감지 스크린을 사용하는 텍스트 선택 - Google Patents

핸드헬드 이동 통신 장치의 접촉 감지 스크린을 사용하는 텍스트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459B1
KR101038459B1 KR20080104772A KR20080104772A KR101038459B1 KR 101038459 B1 KR101038459 B1 KR 101038459B1 KR 20080104772 A KR20080104772 A KR 20080104772A KR 20080104772 A KR20080104772 A KR 20080104772A KR 101038459 B1 KR101038459 B1 KR 101038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character
characters
area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104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2740A (ko
Inventor
알렉산더 코닐로브스키
스티븐 파이크
Original Assignee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42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문자 또는 텍스트를 선택하여 편집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텍스트 선택과 문자 선택은 접촉 감지 스크린과의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행해진다. 선택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스크린의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configuration)과 비교되는 제 2 확대 보기가 실행된다. 또한, 텍스트 블록의 2 개의 엔드포인트와 관련하여 선택이 설명된다. 부가적으로, 선택된 텍스트의 삽입을 위해 소망되는 포인트로서 일 포인트가 명시된다. 문자 선택을 행할 때 요구되는 원본 보기와 함께 확대 보기가 실행된다.
문자, 선택, 확대 보기,

Description

핸드헬드 이동 통신 장치의 접촉 감지 스크린을 사용하는 텍스트 선택{TEXT SELECTION USING A TOUCH SENSITIVE SCREEN OF A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핸드헬드 전자 장치 또는 핸드헬드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configuration) 및 선택을 위한 확대 보기를 사용하여 접촉 감지 스크린 상의 문자 또는 텍스트를 선택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보다 강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출현에 의해, 호환성 핸드헬드 통신 장치가 진보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유행하고 있다. 넓은 의미에서, 이들 장치는, 통신 기능이 없는 장치들을 포함하여, 핸드헬드 전자 장치라고 불리운다. 종래의 핸드헬드 통신장치는 통상적으로 음성 전송 (휴대폰) 또는 텍스트 전송 (페이저 및 PDA) 의 편의를 제공했지만, 현재의 소비자는, 전자메일의 송·수신을 포함하여, 음성 및 데이터 유형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결합 장치를 요구하고 있다. 게다가, 이들 장치는, 오디오의 청취, 웹 사이트의 보기, 정지 영상(still image) 및 동영상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른 종류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동통신장치의 공급업자 및 서비스 제공업자는 이들 수요를 충족시키고 싶 지만, PDA 에서 발견할 수 있는 다른 기능성들 뿐만 아니라 음성 전달과 텍스트 전달을 결합하기 위해, 설계자들은 이들 전자 장치 상에서의 문서와 다른 데이터의 보기 및 편집과 관련된 기능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최근에, 전자 장치에서 접촉 감지 스크린의 사용이 통상적으로 되었다. 이들 접촉 감지 스크린은, 스타일러스(stylus)와 핑거의 사용을 포함하는 임의의 접촉에 대해 일반적으로 반응한다. 장치와 스크린의 크기에 의존하여, 정확한 제어가 요구될 수 있다. 스크린 상에 제공되는 일부 아이콘(icon) 또는 선택가능 대상물(selectable object)은 사용자가 개별 아이콘 또는 선택가능 대상물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크지만,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텍스트와 같은 다른 보기들(views)은 항목들의 선택에 있어서 보다 높은 정확도를 요구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커서의 정확한 위치결정의 필요성이 두드러질 수 있다. 이러한 정확도의 요구는 장치의 스크린과 표시되는 텍스트가 작을 때 커진다. 정확한 위치 결정을 위한 종래의 해결책은 스타일러스를 사용하여 스크린 상의 포인트를 선택하는 것이다. 스타일러스의 첨두(tip)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보여지는 텍스트와 유사한 크기이므로, 적절한 포인트의 정확한 선택이 가능하다.
그러나, 스타일러스가 바람직하지 않거나 또는 스타일러스를 사용할 수 없는 예들이 있다. 통상적으로, 전자 장치에는 스타일러스를 사용하지 않을 때 스타일러 스를 지지하거나 또는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정확한 선택이 요구되면, 사용자는 저장소로부터 스타일러스를 꺼내어 스크린 상에서 선택을 행해야 한다. 스타일러스를 갖는 장치는 스타일러스 및 그것의 저장 요건 때문에 보다 커진다. 스타일러스의 저장을 위해 요구되는 부가적인 공간은 종종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포인트를 정확하게 선택하기 위한 또 다른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예시적인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가 도 1 에 도시되어 있고, 무선 네트워크 (319) 에서의 장치의 협동 작용이 도 21 의 블록도에 예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은 예시적일 뿐이고, 당업자는 상기 장치 (300) 를 특정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부가적인 구성요소 및 변형을 이해할 것이다.
도 21 의 블록도는 장치 (300) 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338) 를 포함하는 장치 (300) 를 나타낸다. 통신 서브시스템 (311) 은 무선 네트워크 (319) 와의 모든 통신 전송 및 수신을 수행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 (338) 는 보조 입/출력 (I/O) 서브시스템 (328), 직렬 포트 (바람직하게는 범용 직렬 버스 포트 (USB)(330), 디스플레이 (322), 키보드 (332), 스피커 (334), 마이크 (336), 램 (RAM)(326), 및 플래시 메모리 (324) 와 추가로 접속한다. 다른 통신 서브시스템 (340) 및 다른 장치 서브시스템 (342) 은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 (338) 와 기능적으로 접속된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통신 서브시스템 (340) 의 예는 BLUETOOTH® 통신 모듈 또는 Wi-Fi 통신 모듈 (IEEE 802.11b 를 준수하는 통신 모듈) 과 같은 단거리 통신 시스템 및 관련 회로와 구성부품이다. 부가적으로, 마이 크로프로세서 (338) 는 운영 체계 (OS)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통신 장치 (300) 상에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I/O 서브시스템 (328) 은, 도 1 에 도시된 실시예에 나타낸 트랙볼 네비게이견 툴 (321) 과 같은 다양한 네이게이션 툴(다방향성 또는 단일 방향성), 또는 썸휠(thumbwheel), 네비게이션 패드, 또는 조이스틱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들 네비게이션 툴은 장치 (300) 의 정면(front surface)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장치 (300) 의 외부면에 위치되어도 된다. 다른 보조 I/O 서브시스템 (328) 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외부로 접속된 키보드 (도시하지 않음)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보조 I/O 서브시스템 (328) 과 관련하여 제공되었지만,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에 입력을 제공하거나 또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로부터 출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른 서브시스템들도 본 명세서의 범위 내로 간주된다. 부가적으로, 다른 키들이 장치 (300) 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에스케이프 키, 볼륨 제어 키, 스크롤링 키, 전원 스위치, 또는 사용자 프로그래밍가능 키로서 기능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마찬가지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도 1 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핸드헬드 통신 장치 (300) 는, 사용자 입력부를 구성하고 상기 핸드헬드 통신 장치 (300) 로의 문자 입력의 편의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키보드 (332) 의 위에 위치되는 조광 디스플레이(lighted display)(322) 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의 정면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필드 (650) 가 있고, 상기 키필드는 메뉴 키 (652), 영문숫자 키(alphanumeric key)(630), 영문자 키 (632), 숫자 키 (42) 및 다른 기능 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헬드 장치 (300) 는 "캔디-바(candy-bar)" 디자인으로 알려진 단일 몸체 구조이다.
통상적으로 푸시-버튼 또는 푸시-패드 성질의 키들은 데이터 입력 장치로서 기능을 잘 수행하지만 키들을 사용하여 스크린-커서에 대한 네비게이션 제어를 실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문제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는 보조 입력기 (328)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조 입력기는 커서 네비게이션 툴로서 기능하고 또한 상기 장치 (300) 의 정면에 외부로 위치되어 있다. 그것의 정면 위치는 특별히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키보드의 키처럼 상기 툴을 용이하게 엄지-작동가능으로(thumb-actuable)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특별히 유용한 실시예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툴은 트랙볼 네비게이션 툴 (321) 인데, 상기 트랙볼 네비게이션 툴은 2차원 스크린 커서 이동을 실질적으로 임의의 방향으로 지시하는데 용이하게 사용될 뿐만 아니라, 트랙볼 (321) 이 버튼처럼 눌리는 경우 액추에이터로서 기능한다. 트랙볼 (321) 의 위치는 키보드 (332) 의 위와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의 아래가 바람직하다; 그 위치에서, 상기 트랙볼은 키보딩하는 동안 간섭을 회피하고 사용자의 사용시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의 사용자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다 (도 1 참조).
도 1 에 적어도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텍스트 메시지를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된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텍스트 입력시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한쪽 손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손에 쥘 수 있는 몸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322) 는 몸체의 정면 (370) 에 위치되어 있고 텍스트 입 력시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한다. 키 필드 (650) 도 또한 신장된 몸체의 정면 (370) 에 위치되어 있고 복수의 영숫자 키, 심볼 키 및 기능 키를 포함하는 복수의 키를 구비한다. 트랙볼 네비게이션 툴 (321) 도 또한 몸체의 정면 (370) 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영숫자 입력키는 관련 문자를 갖는 복수의 영문자 키 (632) 를 구비한다. 개시된 장치 상에서의 영문자 키 (632) 의 문자의 순서는 통상적이지만 non-ITU 표준 E.161 배치인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는 또한 이동전화 통화와 같은 음성 통신을 송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키 필드 (650) 의 적어도 하나의 키는 트랙볼 네비게이션 툴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고 그 키는 트랙볼 네비게이션 툴 (321) 둘레의 원형의 아크-구성 경계에 적합한 원형의 아크-구성 에지 순응을 갖는다. 전화 통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2개의 통화 키 (605,609) 가 트랙볼 네비게이션 툴의 측면에 대향하여 위치되어 있다. 2개의 통화 키 중 하나는 통화 개시 키 (605) 이고 다른 하나는 통화 종료 키 (609) 이다.
트랙볼 네비게이션 툴 (321) 에 인접하게 위치된 키 (606) 는 메뉴 키이고 상기 메뉴 키는 작동시 장치 (300) 상에서 현재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가능한 활동 메뉴를 표시한다. 부가적으로, 에스케이프 키 또는 백 키(back key)(608) 도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백 키 (608) 는 트랙볼 네비게이션 툴 (321) 의 대향 측면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도 2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에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오퍼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컴포넌트들이 장착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래시 메모리 (324) 는 운영 체계, 장치 프로그램 (358) 및 데이터에 대한 저장 위치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운영 체계는 일반적으로 메모리 (324) 에 저장되어 프로세서 (338) 상에서 실행가능한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358) 을 관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운영 체계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358)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358) 에 의해 행해지는 서비스 요청에 대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운영 체계는 통상적으로 프로세서 (338) 상에서 실행되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358) 의 순서 및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358) 에 할당되는 실행 시간을 결정하고,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358) 사이에서 메모리 (324) 의 분담을 관리하고, 다른 장치 서브시스템 (342) 으로의 입력과 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출력을 다룬다. 게다가, 사용자들은 키보드 (332) 와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을 일반적으로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운영 체계와 직접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영 체계는 플래시 메모리 (324) 에 저장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운영 체계는 판독 전용 메모리 (ROM) 또는 유사한 저장 부재 (도시되지 않음) 에 저장되어 있다. 당업자는 운영 체계, 장치 애플리케이션 (358) 또는 그것의 일부가 RAM (326) 또는 다른 휘발성 메모리에 로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플래시 메모리 (324) 는 어드레스 북 (352), 개인 정보 관리자 (PIM)(354) 및 장치 상태 (350) 를 포함하는 장치 (300) 실행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358) 를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 (358)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른 정보 (356) 는 장치 (300) 의 플래시 메모리 (324) 에 저장시 분리될 수 있다.
장치 (300) 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 (319) 내에서 양방향 통신으로 활성화되 는 경우, 상기 장치는 이동 통신 서비스로부터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양방향 통신으로 활성화된 통신 시스템들의 예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네트워크, UTM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네트워크, EDGE (Enhanced Data for Global Evolution) 네트워크, 및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와 쇼트 버스트 무선 데이터 전송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패킷-스위치, 협대역, 데이터-전용 기술(packet-switched, narrowband, data-only technology)로서 일반적으로 기술되는 이들 네트워크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 나열된 시스템들에 대해, 통신 장치 (300) 는 통신 네트워크 (319) 로 신호들을 송신하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적절하게 활성화되어야 한다. 정보를 식별하는 다른 시스템들은 요청되지 않는다. GPRS, UMTS 및 EDGE 는 통신 네트워크 (319) 와의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 가입자 식별 모듈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의 사용을 필요로 청한다.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CDMA 시스템은 CDMA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해 탈착가능 식별 모듈 (RUIM; Removable Identity Module) 의 사용을 요청한다. RUIM 카드 및 SIM 카드는 다수의 상이한 통신 장치 (300) 에서 사용될 수 있다. 통신 장치 (300) 는 SIM/RUIM 카드없이 일부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지만, 네트워크 (319) 와 통신은 할 수 없을 것이다. 장치 (300) 내에 위치된 SIM/RUIM 인터페이스 (344) 는 SIM/RUIM 카드 (도시되지 않음) 의 제거 또는 삽입을 허용한다. SIM/RUIM 카드는 메모리와 홀드키 구성 (351), 및 식별과 가입자 관련 정보와 같은 다른 정보 (353) 를 특징으로 한다. 적절하게 활성화된 통신 장치 (300) 에 의해, 통신 장치 (300) 와 통신 네트워크 (319) 사이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통신 장치 (300) 가 상술된 바와 같이 활성화되거나 또는 통신 네트워크 (319) 가 인에이블먼트 (enablement) 를 요청하지 않으면, 양방향 통신 활성화된 장치 (300) 는 통신 네트워크 (319) 로부터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의 전달은 장치 (300) 로부터 나올 수 있고 또는 장치 (300) 를 향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 (319) 와의 통신을 위해, 현재 설명되는 실시예에서의 장치 (300) 에는 통신 네트워크 (319) 로 신호를 전송하는 일체형 안테나 또는 내부 안테나 (318) 가 장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현재 설명되는 실시예에서의 장치 (300) 에는 통신네트워크 (319) 로부터의 통신을 수신하는 다른 안테나 (316) 가 장착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들 안테나 (316,318) 는 단일 안테나 (도시되지 않음) 로 결합되어 있다. 당업자는 다른 실시예에서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들 (316,318) 은 장치 (300) 에 외부적으로 장착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양방향 통신으로 활성되어 있는 경우, 통신 장치 (300) 는 통신 서브시스템 (311) 을 특징으로 한다. 당업계에 주지된 바와 같이, 통신 서브시스템 (311) 은 통신 장치 (300) 의 오퍼레이션 요구를 지원할 수 있도록 변형된다. 서브시스템 (311) 은, 상술된 바와 같이 관련 안테나 또는 안테나들 (316,318) 을 포함하는 송신기 (314) 와 수신기 (312), 국부 발진기 (LO)(313), 및 현재 설명되는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320) 인 프로세싱 모듈 (320) 을 포함한다.
통신 장치 (300) 에 의한 무선 네크워크 (319) 와의 통신은, 무선 네트워크 (319) 와 통신 장치 (300) 양방이 송신, 수신 및 처리를 행하도록 활성화되어 있는 임의의 종류의 통신일 수 있다라고 이해된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음성과 데이터로 분류될 수 있다. 음성 통신은 청취가능한 소리에 대한 신호들이 통신 네트워크 (319) 를 통해 통신 장치 (300) 에 의해 전송되는 통신이다. 데이터는 통신 장치 (300) 가 무선 네트워크 (319) 의 제약 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통신이다.
상기 데이터에 의존할 수 있는 예시적인 장치 애플리케이션은 전자메일, 연락(contacts) 및 칼렌다(calendars)를 포함한다.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가정-기반 버전(home-based versions)과의 동기화는 장기 유용성(utility)과 단기 유용성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에 대해 중요할 수 있다. 예로서, 전자메일은 종종 시간 민감성이고, 그래서 실질적으로 실시간 동기화가 극도로 바람직하다. 연락은, 다른 한편으로, 일반적으로 불편함 없이 덜 자주 갱신될 수 있다. 그러므로, 통신 장치 (300) 의 유용성 (활성화되지 않으면) 은, 통신 시스템 내에서 접속가능할 때, 그리고 특별히 음성, 텍스트 메시징 및 다른 데이터 전달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는 네트워크 (319) 에서 무선 기반으로 접속가능할 때 현저하게 향상된다.
트랙볼 어셈블리의 핸드헬드 통신 장치 (300) 로의 통합은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의 조립시에 발견되는 통상적인 구성부품 중 일부를 도시하는 도 13 의 분해도에서 볼 수 있다. 장치의 제작(construction)은 다양한 제조 단순화로부터 이득을 얻는다. 내부 구성부품들은 단일 PCB (인쇄회로기판)(102) 상에 보다 많이 만들어진다. 키보드 (332) 는 단일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키보드 (332) 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PCB (102) 상에 위치되는 돔 스위치 (도시되지 않음) 상에 놓인다. 현재 설명되는 실시예에서는 키보드 (332) 상의 키마다 하나의 스위치가 제공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하나의 키에 대해 하나 이상의 스위치 또는 하나 이하의 스위치가 제공된다. 지지 프레임 (101) 은 PCB (102) 상에 위치하는 키보드 (332) 및 트랙볼 네비게이션 툴 (321) 을 지지한다. 렌즈 (103) 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도시되지 않음) 을 덮어 손상을 방지한다. 조립시, 지지 프레임 (11) 과 PCB (102) 는 서로에 대해 고정 부착되고 (fixably attached), 디스플레이는 PCB (102) 와 지지 프레임 (101) 사이에 위치 맞춤된다.
트랙볼 네비게이션 툴 (321) 은 지지 프레임 (101) 과 마찰적으로 접촉될 수 있지만, 일 실시예에서 트랙볼 네비게이션 툴 (321) 은 장치가 조립될 때 탈착가능하다. 이 때문에 트랙볼 네비게이션 툴이 손상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다른 종류의 네비게이션 툴로의 교체를 희망할 때 트랙볼 네비게이션 툴의 교체가 가능하다. 조이스틱, 4-방향 커서(four-way cursor), 또는 터치 패드와 같은 다른 다방향성 네비게이션 툴도 또한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서 고려될 수 있다. 트랙볼 네비게이션 툴 (321) 은, 지지 프레임과 착탈가능하게 맞물려 있는 고리들 (122,123) 을 고정시킴으로써 지지 프레임 (101) 에 대해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트랙볼 네비게이션 툴 (321) 은 서비스 또는 교체의 필요시 착탈될 수 있다.
직렬 포트 (바람직하게는 USB 포트)(330) 와 이어폰 잭 (140) 이 PCB (102) 에 고정 부착되고 추가로 우측면 부재 (105) 에 의해 적절한 위치에서 유지된다. 버튼들 (130-133) 은 스위치들 (도시되지 않음) 에 부착되고, 스위치들은 PCB (102) 에 접속된다.
최종 조립은 상부 피스 (107) 와 하부 피스 (108) 를 지지 프레임 (101) 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립은 우측면 부재 (105) 와 좌측면 부재 (106) 를 지지 프레임 (101), PCB (102), 및 렌즈 (103) 와 상호접속한다. 이들 측면 부재 (105,106) 는 장치 (300) 의 지지 구조에 대한 부가적인 보호 및 강도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 (104) 는 장치의 다른 부재들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상술된 부재들은, 문자 또는 텍스트 선택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련되어 있는 금번의 해결책과 결합될 수 있다.
문자 또는 텍스트 선택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은 도 11 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은 방법을 연속적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방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계적이거나 또는 조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예시된 방법의 일부만을 실행하는 것도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서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일 방법은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의 터치 스크린 (322) 상에 선택가능한 텍스트를 표시하며, 상기 선택가능한 문자는 터치 스크린과의 사용자 접촉 영역보다 작다. 사용자가 선택시 핑거를 사용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 (322) 과 사용자의 접촉은 사용자의 핑거팁(fingertip)의 크기 정도이다. 핑거팁을 선택에 사용하는 경우, 2 이상의 문자가 사용자 접촉 영역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이고 이것이 소망하는 문자의 정확한 선택을 방해한다. 선택가능한 문자가 사용자 접촉 영역 보다 작은 상기 디스플레이 구성을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 (original display configuration) 이라고 지칭한다 (블록 501). 또한, 상기 방법은 터치 스크린 (322) 의 제 1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접촉되었음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블록 502). 상기 제 1 영역은 일반적으로 문자들의 중첩 때문에 복수의 문자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방법은, 2 이상의 부분적으로 덮인 문자 각각이 개별적으로 충분히 커서 상기 2 이상의 문자 중 하나의 문자만이 사용자 접촉 영역에 의해 보다 많이 덮일 수 있는 정도까지 확대된 상기 제 1 영역의 확대 보기를 표시한다 (블록 503). 또한, 상기 방법은 제 1 문자가 제 1 확대 보기에서 보다 많이 사용자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 1 확대 보기에서 사용자-접촉되어 있음을 검출한다 (블록 504).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문자는 상기 2 이상의 문자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많이 사용자 접촉되어 있는 문자는 디스플레이 상에 도시된 어떤 다른 문자 보다 더 사용자-접촉되는 문자이다.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visually signified) 제 1 문자에 의해 재개된다 (블록 505).
일 실시예에서, 문자 또는 텍스트 선택의 편의를 제공하는 방법은 또한 복수의 문자 중 2 이상의 문자가 사용자-접촉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는 상기 복수의 문자를 포위하는 제 2 영역을 검출한다 (블록 506).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제 2 확대 보기를 표시하는데 (블록 507), 복수의 문자 각각은 상기 확대 보기에서 개별적으로 충분히 커서 상기 2 이상의 문자 중 하나의 문자만이 사용자-접촉에 의해 보다 많이 덮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방법은 사용자 접촉에 의해 보다 많이 덮임으로써 상기 확대 보기에서 사용자-접촉되었던 제 2 문자를 검출하는 단계 (블록 508) 및 제 1 문자와 상기 제 2 문자 사이의 텍스트가 지정된 텍스트로서 시각적으로 표시된 상태로 상기 텍스트의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을 재개하는 단계 (블록 509) 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문자 또는 텍스트 선택의 편의를 제공하는 방법은 터치 스크린의 제 3 영역이 사용자-접촉되었음을 검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블록 510). 다음으로 사용자-접촉은 터치 스크린 (322) 을 가로질러 사용자-접촉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제 3 위치까지 드래그된다. 상기 제 3 영역은 복수의 문자 중 2 이상의 문자가 사용자 접촉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는 상기 복수의 문자를 포위한다. 다음으로, 상기 방법은 스크린을 가로지르는 사용자 접촉에 의한 드래깅 이동 이후에 상기 사용자-접촉을 제거하는 단계를 검출한다 (블록 511). 부가적으로, 상기 방법은 맞물리는 사용자-접촉이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해제되었음의 검출시 제 3 영역의 확대 보기를 표시한다 (블록 512). 상기 제 3 확대 보기는 상기 확대 보기에서 2 이상의 부분적으로 덮인 문자 각각이 충분히 개별적으로 커서 상기 2 이상의 문자 중 하나의 문자만이 사용자 접촉에 의해 보다 많이 덮일 수 있는 정도까지 확대되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제 3 확대 보기 (블록 512) 에서 사용자-선택되었던 제 3 문자를 검출하고 (블록 513) 제 3 문자에 인접한 지정된 텍스트를 삽입하고 (블록 514),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을 재개한다 (블록 515). 이전에 서술한 바와 같이, 장치 (300) 의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에서 표시된 텍스트는 사용자 접촉이 표시 텍스트의 하나 이상의 문자를 중첩하도록 크기 조절된다.
일반적으로 인게이지먼트(engagement)는 사용자 접촉으로서 묘사되지만, 핑 거팁의 특정예가 아래에 예시로서 제공된다. 그러나, 단단한 접촉에 사용될 수 있는 물체들의 다른 예들은 펜, 연필, 스타일러스, 지우게, 핑거, 손톱, 엄지손톱, 또는 다른 유사물을 포함한다.
문자들은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의 텍스트 필드에 공통적으로 표시되는 어떤 것일 수 있다. 문자들은 글자(letter), 숫자, 스페이스, 구두점, 및 심볼을 포함하지만, 이것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전자 장치 (300) 의 터치 스크린 (322) 상에 도시되는 텍스트는 충분히 작아서 텍스트의 다수의 라인이 표시될 수 있고 동시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표시된 텍스트를 읽을 수 있도록 크기가 조절된다.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은 또한 상기 장치의 디폴트 보기 (default view) 보기이다. 상기 장치의 디폴트 보기는 사전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 정의가능할 수 있다. 상기 보기가 사용자 정의가능하다면, 사용자는 폰트 크기 등의 조절을 통해 스크린 (322) 상에 표시되는 정보량을 조절하는 것이 허용된다. 통상적으로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에서는 3개 보다 많은 라인의 텍스트가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크린 (322) 상에 표시된 텍스트의 라인의 개수는 4 내지 15 까지 변한다.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은 스크린 (322) 상의 보기에 대해 여러 라인의 텍스트를 제공하지만, 확대 보기는 소수 라인의 텍스트 및/또는 소수의 문자를 제공한다. 확대 보기는 일반적으로 묘사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확대 보기의 묘사는,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 1, 제 2, 및 제 3 확대 보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확대 보기는 확대 보기가 활성화될 때 스크린 (322) 상에 4 이하 라인의 텍스트를 표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3 의 확대 보기에 있어서 선택된 영역의 라인과 상기 선택된 영역의 위의 일 라인과 아래의 일 라인이 스크린 (322) 상에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확대 보기에 표시된 3개의 라인은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텍스트 또는 문자를 포함한다. 대안으로, 디스플레이 (322) 상에 표시된 텍스트는 선택된 영역의 인접한 측면의 문자들에 의해 정의된다. 바람직하게는, 선택된 문자의 양쪽 측면의 문자의 개수는 6 이하이다. 일 실시예에서, 선택된 영역에 인접하는 문자들의 개수는 4 내지 10 정도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확대 보기는, 문자들이 개별적으로 충분히 커서 2 이상의 문자 중 하나의 문자만이 상용자의 핑거팁에 의해 보다 많이 덮일 수 있는 문자들을 갖는 것으로 묘사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문자의 높이는 핑거팁의 평균 크기 보다 약간 더 크다. 6 밀리미터 보다 큰 높이를 갖는 문자는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는 문자의 일예이다. 바람직하게, 문자 높이는 6 밀리미터와 14 밀리미터 사이이다. 대안으로, 폭은 4 와 14 밀리미터 사이로 명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상기 폭은 대략 6 밀리미터이다. 상술된 학대 보기는 디스플레이 (322) 상에 표시되는 텍스트가 상기 기준을 만족하고 상기 보기를 완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부가적인 텍스트를 갖도록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의 가로세로비(aspect ratio)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확대 보기는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의 배율로서 정의될 수 있다. 확대 보기의 중심점으로서 선택된 영역을 사용하여, 나머지 텍스트가 소정의 백분율로 축척(scaled)된다. 원본 보기와 비교되는 확대 보기의 배율의 백분율은 2백 퍼센트 내지 4백 퍼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에서는 문자 또는 텍스트 선택의 편의를 제공하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설 명하고 있지만, 상기 방법은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에 대한 소프트웨어 루틴으로 또는 주지의 다른 프로그래밍 기술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실행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드헬드 전자 장치에서 문자 또는 텍스트 선택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문자 또는 텍스트 선택의 편의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는 도 1 내지 도 10 과 관련하여 더욱 이해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헬드 전자 장치 (100) 는 사용자의 손바닥에 쥐여 있다. 상기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에는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하고 전화 통화를 신청하는 키보드 (332) 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송신 키 (605) 를 제공하여 전화 통화의 신청을 돕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단락/종료 키 (609) 가 제공된다. 송신 키 (605) 와 종료 키 (609) 는 트랙볼 네비게이션 툴 (321) 을 포함하는 키들의 행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네비게이션 툴을 갖는 키들의 행은 메뉴 키 (606) 와 그와 연관된 에스케이프 키 (608) 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뉴 키 (606) 는 메뉴를 불러오는데 사용되고 에스케이프 키 (608) 는 이전 스크린 또는 이전 메뉴 선택으로 회귀하는데 사용된다.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이 접촉 감지 스크린 (322) 상에 표시되어 있다. 스크린 (322) 상에 표시된 텍스트는 예시의 목적만으로 제공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은 부가적인 헤딩 (heading), 프레임, 및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조직화 특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에서 선택가능한 텍스트는 전체 스크린 (322) 을 점유할 수 없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의 크기는 사용자의 핑거팁과 같은 사용자 접촉 보다 작다. 아래의 설명은, 예시적인 목적으로, 스크린 (322) 의 핑거팁 접촉을 지칭하고 있지만, 다른 사용자 접촉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기술을 사용하여, 터치 스크린 (322) 상에 표시된 텍스트의 문자들이 선택가능하다. 그러나, 사용자의 핑거팁의 크기가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상의 문자 보다 크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상의 문자를 선택하는 경우, 인접하는 문자와의 중첩이 가능하다.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의 사용자는 종종 텍스트의 블록을 선택함으로써 텍스트를 편집하기를 바란다.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지만, 텍스트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실행이 가능하다. 텍스트 조작의 일부 예는 여기에 실시예로서 주어진다. 한 종류의 조작은 선택된 텍스트를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복사 오퍼레이션을 선택함으로써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 텍스트가 선택되고 이어서 사용자가 선택된 텍스트의 사용을 지시한다. 이것은 일련의 키스트록 (keystroke) 을 통해 할 수 있고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상에 표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상의 메뉴 항목들의 선택을 통해 할 수 있다. 일단 선택되어 복사될 것이면, 텍스트의 삽입을 위한 포인트가 요구된다. 명시된 삽입 포인트에 의해, 상기 텍스트는 그 포인트에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오려두기와 삭제하기 옵션도 가능하다. 오려두기 오퍼레이션은 선택된 텍스트를 그것의 본래 위치로부터 삭제하는 단계; 및 일단 삽입 포인트가 결정되면, 선택된 포인트에 텍스트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하기 옵션은 선택된 텍스트 전체를 삭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된 텍스트를 조작하기 위한 다른 옵션들도 또한 가능하다. 상기 예들은 선택된 텍스트가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예시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오려두기 오퍼레이션과 관련되므로 텍스트의 조작을 일반적으로 설명하지만, 복사 오퍼레이션과 삭제 오퍼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어떻게 변형될 수 있는지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조작 기능들의 메뉴 선택에 부가하여,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스처를 받아들이도록 접촉 감지 스크린 (322) 을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스처는 터치 스크린 (322) 상에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핑거를 위치 결정하는 단계 및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지정된 방식으로 상기 핑거를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텍스트의 블록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블록을 위한 엔드포인트가 통상적으로 결정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21) 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의 스크린 (322) 을 터치하여 소망하는 포인트를 가리킨다. 이 포인트는 텍스트의 선택을 결정할 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은 상기 영역 둘레에서의 문자들의 중첩 때문에 단 하나의 문자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소망하는 문자에 대한 부가적인 선택이 요구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확대 보기가 스크린 (322) 에 생성되어 있다. 상기 확대 보기에서의 문자는 개별적으로 충분히 커서 그들은 사용자에 의해 접촉-선택될 수 있고 한 문자는 보다 많이 핑거팁에 의해 덮인다. 제 1 접촉 (21) 에 근거하여 사용자에 의해 가장 잘 선택되는 문자로서 프로그램이 선택한 문자 (35) 가 시각적으로 표시되어 있다(30). 이러한 시각적인 표시(visual signification)은, 예를 들어, 배경 하이라이팅 칼러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상기 문자를 위한 상이한 폰트 칼러, 또는 문자가 선택되어 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다른 방법일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사용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망하는 문자를 선택한다 (22). 상기 실행은 제 1 확대 보기에서의 이러한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및 이러한 선택을 텍스트 선택을 위한 하나의 소망하는 엔드포인트로서 사용하는 단계를 요구한다. 비록 위에서 텍스트 선택과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선택은 그래픽 또는 다른 대상물과 같은 다른 것의 선택에 사용될 수 있다. 확대 보기를 사용함으로써 초기 선택을 더욱 개선하여 스크린 (322) 상에서의 소망하는 포인트의 선택에서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단 제 1 문자가 선택되었으면, 스크린 (322) 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문자가 시각적으로 표시된 상태로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을 재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문자의 선택이 소망되는 모든 것이지만, 다른 실시예는 텍스트의 블록을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술한 상황으로부터 계속 진행할 때, 텍스트의 제 2 포인트가 선택된다. 이것은 이전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이 스크린 (322) 상에 표시되어 있고 이전에 선택된 문자 (36) 가 커서 (30) 에 의해 하이라이트되어 있다. 사용자는 핑거팁-접촉 (23) 을 통해 터치 스크린 (322) 상의 제 2 영역의 선택을 통해 다른 엔드포인트를 선택하려는 소망을 나타낸다. 그 다음으로, 도 6 에 도시된 제 2 확대 보기가 스크린 (322) 상에 표시되어 있고 이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문자들은 개별적으로 충분히 크다. 사용자는 소망하는 문자에 대응하는 영역 (24) 에서 스크린 (322) 을 접촉함으로써, 커서 (32) 에 의해 표시되는, 이전의 문자 선택을 더욱 개선한다. 제 2 문자가 선택된다. 그 다음으로,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문자와 제 2 문자 (38) 사이의 텍스트가 지정된 텍스트로서 시각적으로 표시된 상태(38)로 스크린 (322) 상에 표시되어 있다. 2 개의 문자 사이의 텍스트의 시각적인 표시는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상기 텍스트는 배경 쉐이딩(shading)을 텍스트에 부가함으로써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된 텍스트는 그 다음으로 제 3 포인트에서 삽입될 수 있다. 핑거가 선택된 텍스트의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핑거를 그 영역 위에 위치시킴으로써 시각적으로 표시된 텍스트를 선택하고, 상기 텍스트를 삽입을 위한 제 3 포인트로 드래그한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가 정지하고 제 3 영역 (25) 에서 해제되면, 삽입을 위한 초기 포인트가 명시된다. 대안으로, 제 3 영역 (25) 이 장치 (300) 의 스크린 (322) 상에 접촉된다. 일단 제 3 영역이 명시되면,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확대 보기가 스크린 (322) 상에 표시되어 선택된 영역을 추가로 개선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터치 스크린 (322) 는 제 3 문자가, 이 경우에 블랭크 스페이스, 핑거팁-선택 (26) 되었음을 검출한다. 도 10 에서 알 수 있듯이, 선택된 텍스트 (70) 는 그 다음으로 제 3 문자 (26) 에 인접한 공간에서 삽입되고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이 재개된다 (501).
도 12 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문자 또는 텍스트 선택을 위한 방법이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스크린 (322) 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구성으로 텍스트를 표시하고 있고, 접촉 감지 스크린 (322) 상의 제 1 접촉이 검출된다 (블록 550). 다음으로, 확대 보기가 실행되어 제 1 접촉 둘레 영역이 디스플레이 (322) 상에 중심으로 되고 대응하는 텍스트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 (322) 상에 표시된 텍스트가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 보다 크다 (블록 552). 그 다음으로, 제 2 접촉이 스크린 (322) 상에서 검출된다 (블록 554). 일단 제 2 접촉이 검출되면, 스크린 (322) 은 표준 구성까지 확대함으로써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을 재개한다 (블록 556).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에서, 커서 또는 다른 시각적인 표시기가 제 2 접촉 포인트에서 표시되어 있다 (블록 558). 사용자가 단일 문자 선택만을 소망했다면, 이것은 상술된 단계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텍스트의 추가적인 선택이 소망되면, 제 3 접촉이 장치 (300) 의 접촉 감지 스크린 (322) 상에서 검출될 수 있다 (블록 560). 일단 제 3 접촉이 검출되면, 제 3 접촉을 포위하는 영역이 확대되어 보다 큰 폰트 크기로 제 3 포인트 둘레의 텍스트를 표시한다 (블록 562). 다음으로, 제 4 접촉이 검출되고 (블록 564), 디스플레이 구성이 확대되어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을 표시한다 (블록 566). 텍스트가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에서 표시되는 경우, 제 2 접촉과 제 4 접촉 사이에 보여지는 텍스트가, 상이한 배경을 포함하는, 상술된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블록 568). 페이스팅 (pasting) 과 같은 텍스트의 추가적인 조작이 요구되면, 제 5 접촉이 검출될 수 있다 (블록 570). 그 다음으로 드래깅 움직임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을 가로질러 검출되고 (블록 571), 그 후에 핑거가 해제된다 (블록 572). 다른 검출들과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핑거 해제 둘레 영역이 확대된다 (블록 573). 이 포인트에서, 사용자에 의한 제 6 접촉이 검출된다 (블록 574).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 (322) 는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을 재개하고 (블록 576) 시각적으로 표시된 텍스트가 제 6 포인트에서 삽입된다 (블록 578).
상술된 명세서에서는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자와 텍스트의 선택을 일반적으로 참조하고 있지만, 상술된 선택 및 문자들 또는 텍스트의 위치결정의 일부분 또는 조각만을 제공하는 다른 실시예들도 고려된다. 또한, 사용자는 상술된 문자 또는 텍스트를 조작하기 위해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메뉴를 선택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문자 선택을 지정하는 메뉴로부터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선택을 하고 싶은 소망을 나타내어야 한다. 대안으로, 텍스트 또는 문자의 선택은 메뉴 없이 행해질 수 있지만, 일단 선택이 행해지면, 선택된 텍스트에 대한 오려내기 또는 삭제하기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메뉴 선택이 요구된다. 부가적으로, 텍스트를 삽입할 때, 일단 삽입 포인트가 명시되었으면 사용자는 메뉴로부터 페이스트(paste) 오퍼레이션 또는 삽입 오퍼레이션을 선택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대안으로, 사용자는 페이스트를 선택할 수 있고 삽입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프롬프트된다. 상술에서는 프로그램이 메뉴 선택을 통해 상호작용하지만, 메뉴 선택을 대체하는 단축 키 (short cut) 명령도 또한 본 명세서 내에서 고려된다. 부가적으로, 텍스트 선택 및 조작 옵션을 가능하게 하는 제스처가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아무런 문제점 없이 텍스트 선택 프로세스를 완성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특정한 선택으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는 다른 실시예들도 고려된다. 사용자가 행해진 텍스트 선택을 좋아하지 않으면, 선택을 거절하기 위해 명령키 또는 메뉴 선택이 행해질 수 있다. 선택의 거절은 이전의 선택으로 또는 사용자가 선택을 거절하기로 한 결정 이전의 모든 선택으로 한정될 수 있다. 이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는 주지의 언두(undo) 또는 리두(redo) 옵션과 유사하다.
상술된 방법 및 장치는 당업계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듯이 다음에 설명되는 구성요소와 결합될 수 있다. 비록 상기 방법 및 장치는 텍스트의 선택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미지 (image) 와 같은 장치의 스크린 상에 표시된 다른 대상을 편집 조작하기 위해 상기 방법 및 장치가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선택용 문자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핸드헬드 전자 장치용 마이크로프로세서-실행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텍스트의 조작이 가능하다. 표시된 문자들이 충분히 작아서 터치 스크린과의 사용자 접촉이 복수의 동시에 표시된 문자들을 중첩시킬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은 몸체 내에 장착되고 스크린과의 사용자 접촉의 영역 보다 작은 선택가능한 문자들에 의해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으로 텍스트를 표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사용자 접촉의 감지 위치와 영역을 가리키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될 문자들을 가리키는 데이터를 터치 스크린으로 송신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과 통신 상태에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실행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터치 스크린의 제 1 영역이 사용자 접촉되었음을 입수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상기 제 1 영역은 복수의 문자를 포위하고 상기 복수의 문자 중 2 이상은 터치 스크린과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인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실행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2 이상의 부분적으로 덮인 문자 각각이 개별적으로 충분히 커서 상기 2 이상의 문자 중 한 문자만이 터치 스크린과 사용자의 유사한 접촉에 의해 보다 많이 덮일 수 있는 정도까지 확대되었던 제 1 영역의 확대 보기를 터치 스크린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실행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확대 보기에서 터치 스크린과의 유사한 접촉에 의해 보다 많이 덮임으로써 제 1 확대 보기에서 사용자 선택되어 있는 상기 2 이상의 문자로부터 제 1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실행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제 1 확대 보기에서 사용자 선택된 것으로 결정되었던 상기 제 1 문자가 표시된 상태로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으로 텍스트를 표시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실행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터치 스크린의 제 2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접촉되었음을 입수하도록 추가로 프로그램될 수 있고, 상기 제 2 영역은 복수의 문자를 포위하며, 상기 복수의 문자 중 2 이상의 문자가 터치 스크린과 사용자의 접촉 영역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여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실행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상기 2 이상의 부분적으로 덮인 문자 각각이 개별적으로 충분히 커서 상기 2 이상의 문자 중 하나의 문자만이 터치 스크린 상에서 터치 스크린과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보다 많이 덮일 수 있는 정도까지 확대되었던 상기 제 2 영역의 제 2 확대 보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실행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상기 확대 보기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과의 사용자 접촉에 의해 보다 많이 덮여 있는 확대 보기에서 사용자 선택되어 있는 상기 2 이상의 문자로부터 제 2 문자를 결정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실행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상기 제 1 문자와 상기 제 2 문자 사이의 텍스트가 지정된 텍스트로서 표시된 상태로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을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재개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실행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터치 스크린의 제 3 영역이 사용자 접촉되었음을 그리고 접촉 영역이 터치 스크린을 가로질러 사용자 접촉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제 3 위치로 이동했음을 입수하며, 상기 제 3 영역은 복수의 문자 중 2 이상의 문자가 터치 스크린과의 사용자 접촉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였던 상기 복수의 문자를 포위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실행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접촉이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해제되었음을 검출하면 상기 제 3 영역의 확대 보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확대 보기는 2 이상의 부분적으로 덮인 문자 각각이 개별적으로 충분히 커서 상기 2 이상의 문자 중 하나의 문자만이 터치 스크린 상에서 터치 스크린과의 사용자 접촉에 의해 보다 많이 덮일 수 있는 정도까지 확대 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실행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상기 확대 보기에서 터치 스크린과의 사용자 접촉에 의해 보다 많이 덮임으로써 상기 확대 보기에서 사용자 선택되어 있는 상기 2 이상의 문자로부터 제 3 문자를 결정하고, 상기 제 3 문자에 인접하여 지정된 텍스트를 삽입하고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을 재개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실행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도 1 내지 도 12 와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변경을 초래하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위에서 익숙해진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의 보다 중요한 양태들 중 하나의 양태는 전자 장치의 크기이다. 일부 사용자는 양손으로 전자 장치 (300) 를 쥘 것이지만, 사용자의 대부분은 전자 장치 (300) 에 대한 입력 및 제어가 상기 전자 장치 (300) 를 쥐고 있는 손의 엄지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도록 전자 장치 (300) 를 한 손에 쥘 것으로 의도되어 있다. 그러나, 부가적인 제어는 양손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잡고 편하고 바람직하게는 주머니에 넣을 수 있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로서, 장치 (300) 의 크기는 적당하게 작아야 한다. 장치의 치수 중, 그것의 폭을 제한하는 것은 사용자가 손안에 쥐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중요하다. 또한, 장치 (300) 의 폭을 8 센티미터 (대략 3 인치) 미만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 (300) 를 이들 수치 제한 이내로 유지하는 것은 사용자가 그것의 사용성과 휴대성을 위해 선호하는 손에 쥘 수 있는 장치(hand cradleable unit)를 제공한다. 장치 (300) 의 높이 (길이) 에 대한 제한은 손안에 쥐는 것을 고려할 때 덜 엄격하다. 그러므로, 보다 큰 크기를 얻기 위해, 장치 (300) 는 높이가 폭 보다 크지만, 한 손으로 용이하게 지지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 (300) 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사용자 입력 및 장치 출력을 포함시킬 외부 표면적이 제한된다는 면에서 잠재적인 문제점이 제공된다. 이것은 장치 (300) 의 정면 (370) 상의 "프라임 리얼 에스테이트(prime real estate)" 에 대해 특히 사실이며,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을 포함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은 사용자가 장치 (300) 내부로 데이터를 입력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키보드 (332) 의 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 (322) 을 키보드 (332) 의 아래에 설치하면, 사용자가 키보드 (332) 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할 때 스크린 (322) 보기가 방해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을 입력 영역의 위에 설치하고, 그럼으로써 데이터를 입력하는 동안 손이나 핑거가 스크린 (322) 의 보기를 차단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 (300) 내부로의 테스트 데이터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영문자 키보드가 제공된다. 일 버전에서, 영문자 키 당 하나의 글자가 존재하는 풀 영문자 키보드가 사용된다. 이에 대하여, 연관된 글자들이 QWERTY, QWERTZ, AZERTY, 또는 드보락 배치로 조직됨으로써, 이들 특별한 글자 순서에 대한 사용자의 익숙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한된 정면 영역의 경계 내로 유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26개의 키가 영어의 본보기로 제공되어야 할 때, 각각의 키는 알맞게 작아야 한다.
대안적인 구성은, 키들 중 적어도 일부가 하나 이상의 관련 글자를 갖는 축소된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로서 도 1 참조). 이것은 풀 키보드가 유사한 치수의 장치에 제공될 때 보다 적은 개수의 키가 요구되며 이들 보다 적은 개수의 키들을 상기 본보기에서 보다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사용자는 보다 작은 키 보다는 보다 큰 키의 해결책을 선호할 것이지만, 특정한 키 액추에이션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여러 개의 연관된 글자 중 어느 글자를 의도하는지를 구별하여 풀 키보드의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해결책이 필요하 다.
장치 (300) 에 포함되는 명확화(disambiguation)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문자를 구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 (300) 상에서의 소프트웨어 사용을 도모하기 위해, 장치의 사용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하고, 처리하고, 또한 출력하기 위한 메모리 (324) 와 마이크로프로세서 (338) 를 핸드헬드 장치의 몸체 내에 제공한다. 그러므로, 텍스트 데이터 입력 수단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은 현재 기재되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상에 풀 키보드 또는 축소된 영문 키보드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키보드는 접촉 감지 스크린 상에 축소된 포맷 또는 풀 포맷으로 대안적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추가로 이해해야 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가 사용자의 손바닥에 쥐여져 있다. 상기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에는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하고 전화 통화를 신청하는 키보드 (332) 및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가 제공되어 있다. 전화 통화의 신청을 돕기 위해 접속 키/송신 키 (605) 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단락 키/종료 키 (609) 가 제공된다. 송신 키 (605) 와 종료 키 (609) 는 네비게이션 툴을 포함하는 키들의 행으로 바람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네비게이션 툴을 포함하는 키들의 행은 메뉴 키 (606) 및 백 키 또는 에스케이프 키 (608) 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뉴 키 (606) 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상에 메뉴를 보여주는데 사용되고 에스케이프 키 (608) 는 이전의 스크린 또는 이전의 메뉴 선택으로 회귀하는데 사용된다.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는 입력부와 출력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 디스플레이부는 LCD 또는 다른 유사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일 수 있다.
키보드 (332) 는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는데, 상기 복수의 키들은 작동가능 버튼 (actuable button) 과 같은 물리적인 성질을 갖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상에 물리적인 키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통상적으로 구성되는 소프트웨어 성질을 갖는다 (이하, "가상 키(virtual key)" 라고 지칭함). 사용자 입력은 2 종류의 키들의 결합으로서 제공될 수 있음도 생각된다. 복수의 키들 중 각각의 키는 문자의 입력, 명령, 또는 기능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동작가능한 액션을 갖는다. 이러한 문맥에서, "문자들" 은 영문 글자, 언어 심볼, 숫자, 구두점, 휘장(insignias), 항목, 그림, 및 심지어 블랭크 스페이스를 예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명령 및 기능을 입력하는 것은 삭제, 백스페이스, 커서를 상하좌우로 움직이기, 숫자 기능 또는 숫자 명령을 개시하기, 사용중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피처 (feature) 에 특정한 명령 또는 기능을 개시하기,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램된 명령 또는 기능 및 당업계의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는 명령과 기능과 같은 다른 것을 개시하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키 또는 다른 종류의 입력 장치들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피처를 통해 네비게이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사용 중인 애플리케이션 (358) 또는 피처에 근거하여, 특정한 키들이 활성되거나 또는 불활성화될 수 있다.
물리적인 키들의 경우에, 복수의 키들 중 전부 또는 일부는, 그들의 상부 표 면에 및/또는 개별 키에 인접하는 영역의 표면 상에 표시되는, 문자(들), 명령(들), 및/또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표시자(indicia)를 갖는다. 키의 기능의 표시자가 상기 키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있는 본보기에서, 상기 표시자는 상기 키의 곁에서 장치 커버 상에 인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키들의 본보기로 인쇄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현재의 키 표시자는 스크린 (322) 상의 키에 인접하게 일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가상 키의 경우에, 개별 키들에 대한 표시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상에 표시되어 있고,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자는,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을 접촉함으로써 활성화되어 문자를 생성하거나 또는 지시된 명령 또는 기능을 기동시킨다. 접촉을 검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의 일부 실시예는 저항성, 정전 용량성, 투영 정전 용량성 (projected capacitive), 적외선 및 표면 탄성파(SAW)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물리적인 키와 가상 키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다른 많은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리적인 키와 가상 키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피처에 대한 복수의 활성화된 키들이 물리적인 키들과 동일한 구성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상에 표시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사용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상에 표시된 것에 대응하는 적절한 물리적인 키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를 터치하는 것과는 다르게, 디스플레이 스크린 (322) 상의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되는 문자, 명령 또는 기능에 대응하는 물리적인 키를 누름으로써 소망하는 문자, 명령 또는 기능이 얻어진다.
키보드 타이핑과 일반적으로 연관된 다양한 문자들, 명령들 및 기능들은 통상적으로 다양한 규약(convention) 을 사용하여 배열된다. 미국에서 이들 중 가장 공통적인 것은, 예를 들어, QWERTY 키보드 배치이다. 다른 것들은 QWERTZ, AZERTY 및 드보락 키보드 구성을 포함한다. QWERTY 키보드 배치는 도 14 에 도시된 표준 영어 알파벳 키 배열 (44) 이다. QWERTZ 키보드 배치는 독일어 사용권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알파벳 키 배열 (44) 은 도 15 에 도시되어 있다. AZERTY 키보드 배치 (44) 는 통상적으로 불어 사용권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도 16 에 도시되어 있다. 드보락 키보드 배치는 타이피스트가 보다 빠르게 타이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이의 알파벳 키 배열 (44) 은 도 17 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언어 키 배열을 갖는 키보드들이 고려될 수 있다.
알파벳 키 배열은 종종 숫자 키 배열과 함께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숫자 1-9 및 0 이, 도 14 내지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파벳 키들 (44) 위에 행으로 위치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숫자들은, QWERTY 키보드의 상부 행과 같이, 알파벳 문자를 갖는 키들을 공유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숫자 키 배열은 도 18 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텐키(ten-key)" 스타일 숫자 키패드 (46) 가 알파벳/숫자 키 배열 (44) 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별도의 키 세트 상에 제공되어 있다. 더욱 더, 텐키 숫자 배열은 알파벳 키의 서브세트와 공통이거나 또는 공유될 수 있다. 텐키 스타일 숫자 키패드 (46) 는 상부 행에 배열된 숫자 "7", "8", "9", 제 2 행에 배열된 숫자 "4", "5", "6", 제 3 행에 배열된 숫자 "1", "2", "3", 및 하부 행의 "0" 를 포함한다. 또한, 숫자 전화 키 배열 (42) 이 도 19 에 예시되어 있다.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 전화 키 배열 (42) 은 또한 중심 "5" 키의 표면 상의 표면 처리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물은 상기 키의 상부 표면이 다른 키들의 표면과 구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표면 처리물은 돌출된 융기(bump) 또는 함몰된 딤플(dimple)(43) 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 돌출된 융기는 "5" 키 둘레의 하우징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반드시 키 바로 위에 위치될 필요는 없다.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는 결합된 텍스트-입력 키보드와 전화용(telephony) 키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의 예들은 이동국, 셀룰라폰, PDA, 양방향 페이징 장치, 및 다른 것들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들과 함께 다양한 키보드들이 사용되고 있고, 풀 키보드, 축소 키보드, 또는 전화 키패드로 명명될 수 있다. 풀 키보드를 갖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알파벳 문자는 복수의 물리적인 키들과 단일하게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영어 키보드에서는, 적어도 26 개의 키가 존재하므로 알파벳 키마다 하나의 문자가 존재한다.
도 19 및 도 20 양쪽은 ITU 표준 E.161 형식에 따라 배열된 숫자 키들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20 은 ITU 표준 E.161 배치에 따른 알파벳 문자들도 또한 포함한다.
위에서 익숙한 바와 같이, 물리적인 키들 또는 가상 키들을 너무 작게 만들지 않고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의 크기를 추가로 축소하기 위해, 일부 핸드헬 드 전자 장치 (300) 는 하나 이상의 문자/명령/기능이 복수의 키들 중 적어도 일부분 각각과 관련되어 있는 축소 키보드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어떤 키들이 여러 의미로 해석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키를 눌렀을 때 이들 문자 중 하나의 문자만이 통상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의도되어 있을 지라도, 하나 이상의 문자가 상기 키에 의해 표시되거나 또는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의도된 문자 또는 단어를 결정하거나 또는 예측하기 위해 이러한 종류의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의 프로세서 상에서 어떤 소프트웨어가 통상적으로 실행된다. 소프트웨어의 일부 예들은 명확화 엔진 및/또는 예측 에디터 애플리케이션을 통상적으로 포함하는 텍스트 예측 루틴을 포함한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또한 영어의 경우에 "ing" 로 끝나는 단어와 같이 특정한 언어에 공통적인 문자열(character letter sequence)을 인식하는 능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스템들은 또한 자주 사용되는 단어들의 노트를 작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타이핑 스타일을 "배워" 소프트웨어의 예측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종류의 텍스트 예측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제한 없이, 여기에 설명된 축소 키보드 배열과 사용될 수 있다. 일부 특정예들은 문자 선택의 멀티-탭 방법 및 "숫자판 문자(text on nine keys)" 를 포함한다.
축소 키보드의 키들은 그와 관련된 다양한 배열의 문자, 명령 및 기능으로 배치된다. 알파벳 문자에 대하여, 위에서 식별된 상이한 키보드 배치들이 사용자의 선호 및 친숙함에 근거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QWERTY 키보드 배치는 키 배열에 익숙해진 영어 사용자에 의해 가장 자주 사용된다.
도 1 은 4개의 행과 5개의 열로 이루어지는 20 키의 물리적 키보드 배열 상에 QWERTY 키보드 배치를 사용하는 축소 키보드의 예를 담지하고 있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를 도시한다. 알파벳 문자에 14개의 키가 사용되고 숫자에 10개의 키가 사용되고 있다. 10개의 숫자 중 9개는 알파벳 문자와 키를 공유한다. "스페이스" 키와 숫자 "0" 는 동일 키를 공유하고, 상기 키는 장치의 중앙에 있고 키보드 (332) 상의 숫자들의 나머지의 아래에서 중앙에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숫자 "0" 은 다른 키들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많은 키들은 다른 키들과 상이한 크기를 가지며, 행들은 비선형적이다. 특히, 가운데 열 (64) 의 키들은 외부 열들 (60,62,66 및 68) 의 키들 보다 넓다. 전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를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해, 숫자 전화 키들 0-9 은 QWERTY 키 배열과 관련된 나머지 키들과 상이한 색상 배합(color scheme)을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키보드는 숫자 전화 키들이 2 개의 색조(tone appearence)를 갖는 색상 배합을 포함하는데, 숫자 키들의 상부는 제 1 색상이고 숫자 키들의 하부는 제 2 색상이다. 상기 제 1 색상은 제 2 색상 보다 밝을 수 있고 또는 어두울 수 있다.
축소 알파벳 키보드의 다른 실시예는 표준 전화 키패드 (42) 에서 발견된다. 전화 키패드 (42) 를 갖는 대부분의 핸드헬드 전자 장치 (300) 는 또한 통상적으로 도 2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 키들을 오버레이하거나 또는 일치하는 알파벳 키 배열을 포함한다. 상기 영숫자(alphanumeric) 전화 키패드들은 많은, 대부분은 아니지만, 셀룰러 핸드세트와 같은 통상적인 핸드헬드 전화형 이동통신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국제통신연맹 (ITU) 는 영숫자 키들의 배열에 대한 전화 표준을 확립했다. 도 19 (알파벳 문자 없음) 및 도 20 (알파벳 문자 있음) 에 도시된 표준 전화 숫자 키 배열은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로 제목 붙여진 ITU 표준 E.161 에 대응한다. 상기 표준은 또한 ANSI TI.703-1995/1999 및 ISO/IEC9995-8:1994 로 알려져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 키 배열은 QWERTY 상에 오버레이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숫자 배열은 탑-투-바텀 어센딩 오더 쓰리-바이-쓰리-오버-제로 패턴(top-to-bottom ascending order three-by-three-over-zero pattern)으로서 적절히 설명될 수 있다.
상술에서 여러 가지 키보드 배치를 설명했지만, 상기 배치들은 QWERTY, 축소 QWERTY, QWERTZ, 드보락, 또는 AZERTY 키 배치로 키보드 상에 배치되는 키들을 갖는 것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이들 익숙한 키보드 배치에 의해 사용자들은, 예를 들어, 전화 패드 상의 표준 알파벳 배치보다 직관적으로 빠르게 타이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키 마다 하나 이상의 문자 또는 글자를 사용함으로써 표준 배치와 비교하여 키 배열이 축소될 수 있다. 보다 적은 키들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키들은 보다 크게 만들어질 수 있고 그러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다.
상술된 실시예들에서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뿐만 아니라 핸드헬드 전자 장치들이 포함되는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초점은, 원본 구성 및 필요에 따라 확대 보기를 표시하는, 접촉 감지 스크린을 통해 텍스트 또는 문자들을 선택하여 편집하는 핸드헬드 무선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인에이블먼트임을 이해해야 한다.
여기에 제공되는 바람직한 해결책들에 따라 실행되고 구성되는 예시적인 방법 및 절차들이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은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이 접촉 감지 스크린 상에 표시되어 있는 핸드헬드 통신장치를 사용자가 손바닥에 쥐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도 2 는 접촉 감지 스크린 상의 영역의 선택을 도시하고;
도 3 은 핸드헬드 통신장치의 접촉 감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확대 보기 및 문자 선택을 도시하고;
도 4 는 확대 보기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접촉 감지 스크린 상의 문자 선택을 도시하고;
도 5 는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접촉 감지 스크린 상의 제 2 영역의 선택을 도시하고;
도 6 은 접촉 감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확대 보기에서의 제 2 문자의 선택을 도시하고;
도 7 은 2 개의 선택된 문자 사이의 텍스트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도시하고;
도 8 은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이 스크린 상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 제 3 영역의 선택을 도시하고;
도 9 는 제 3 문자의 선택을 도시하고;
도 10 은 처음으로 선택된 2 개의 문자 사이의 텍스트가 잘리고 세번째로 선택된 문자 뒤에 삽입되어 있는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을 도시하고;
도 11 은 문자 또는 텍스트 선택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2 는 문자 또는 텍스트 선택을 위한 또 다른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3 은 트랙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핸드헬드 무선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 는 예시적인 QWERTY 키보드 배치를 도시하고;
도 15 는 예시적인 QWERTZ 키보드 배치를 도시하고;
도 16 은 예시적인 AZERTY 키보드 배치를 도시하고;
도 17 은 예시적인 드보락(Dvorak) 키보드 배치를 도시하고;
도 18 은 전통적인 텐키(ten-key) 키보드와 짝을 이루는 QWERTY 키보드를 도시하고;
도 19 는 0 키의 측면에 * 과 # 을 갖는, 전통적인 ITU 표준 E.161 전화 숫자 키패드 배치로 배열된 숫자 0-9 를 포함하는 10 개의 숫자를 도시하고;
도 20 은 숫자와 문자 양쪽을 포함하는 ITU 표준 E.161 에 따른 전통적인 또는 표준 전화 키 배열 또는 배치를 도시하고;
도 21 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호 작용하는 핸드헬드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Claims (23)

  1.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original display configuration)으로 터치 스크린 상에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 영역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고;
    상기 텍스트의 2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영역의 확대 보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2 이상의 문자로부터 제1 문자를 선택하는 것을 검출하고;
    상기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을 재개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2 영역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고;
    상기 텍스트의 복수의 문자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영역의 확대 보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문자로부터 제2 문자를 선택하는 것을 검출하며;
    상기 제1 문자와 상기 제2 문자 사이에 있는 텍스트가 지정된 텍스트로서 시각적으로(visually) 표시된 상태로 상기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을 재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3 영역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고;
    적어도 상기 텍스트의 제3 문자를 포함하는 상기 제3 영역의 확대 보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3 문자를 선택하는 것을 검출하며;
    상기 제3 문자에 인접하여 상기 지정된 텍스트를 삽입하고 상기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을 재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은 디폴트 보기인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 및 상기 제2 문자는 지정된 텍스트로서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보기에서 상기 제1 영역의 위에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라인 및 상기 제1 영역의 아래에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라인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확대 보기에서 상기 제1 영역의 양측에 6개 미만의 문자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텍스트에 대해 텍스트 편집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9. 전자 장치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 내에 배치되고,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으로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배열된 터치 스크린;
    접촉의 위치 및 영역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과 통신 상태에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 영역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고,
    상기 텍스트의 2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영역의 확대 보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2 이상의 문자로부터 제1 문자를 선택하는 것을 검출하고,
    상기 제1 문자가 선택된 것으로서 표시된 상태로 상기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으로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2 영역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고,
    상기 텍스트의 복수의 문자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영역의 확대 보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문자로부터 제2 문자를 선택하는 것을 검출하며,
    상기 제1 문자와 상기 제2 문자 사이에 있는 텍스트가 지정된 텍스트로서 시각적으로(visually) 표시된 상태로 상기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을 재개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3 영역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고;
    적어도 상기 텍스트의 제3 문자를 포함하는 상기 제3 영역의 확대 보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3 문자를 선택하는 것을 검출하며;
    상기 제3 문자에 인접하여 상기 지정된 텍스트를 삽입하고 상기 원본 디스플레이 구성을 재개하도록 더 구성된 것인 전자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정된 텍스트에 대해 텍스트 편집 기능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된 것인 전자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20080104772A 2007-10-26 2008-10-24 핸드헬드 이동 통신 장치의 접촉 감지 스크린을 사용하는 텍스트 선택 KR101038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19388A EP2053497A1 (en) 2007-10-26 2007-10-26 Text selection using a touch sensitive screen of a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07119388.2 2007-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740A KR20090042740A (ko) 2009-04-30
KR101038459B1 true KR101038459B1 (ko) 2011-06-02

Family

ID=38871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04772A KR101038459B1 (ko) 2007-10-26 2008-10-24 핸드헬드 이동 통신 장치의 접촉 감지 스크린을 사용하는 텍스트 선택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053497A1 (ko)
KR (1) KR101038459B1 (ko)
CN (1) CN101419526A (ko)
CA (1) CA2640785C (ko)
SG (1) SG1521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0278B2 (en) 2006-10-26 2013-10-29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an insertion point marker
US8786556B2 (en) 2009-03-12 2014-07-2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text information
US8661362B2 (en) 2009-03-16 2014-02-25 Apple Inc.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diting on a multifunction device with a touch screen display
KR101608770B1 (ko) 2009-08-03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320312A1 (en) * 2009-11-10 2011-05-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10202835A1 (en) * 2010-02-13 2011-08-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tem selection method for touch screen devices
US8791900B2 (en) 2010-05-21 2014-07-29 Microsoft Corporation Computing device notes
CN102419679B (zh) * 2010-09-27 2014-10-01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处理方法和便携式移动终端
TWI490705B (zh) * 2010-10-07 2015-07-01 英業達股份有限公司 純文字內容的編輯操作系統及其方法
US9244605B2 (en) * 2011-05-31 2016-01-2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ocument manipulation
US9552140B2 (en) * 2011-07-21 2017-01-2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entry content to a remote environment
US9317196B2 (en) * 2011-08-10 2016-04-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 zooming for text selection/cursor placement
US9607570B2 (en) * 2011-12-08 2017-03-28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agnifying tool for viewing and interacting with data visualization on mobile devices
CN106843692B (zh) * 2012-08-30 2021-05-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触摸屏字符显示方法及装置
CN103019532A (zh) * 2012-11-23 2013-04-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字段处理方法及装置
EP2770443B1 (en) 2013-02-22 2023-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ntents through writing input on touch screen
KR102206373B1 (ko) * 2013-02-22 2021-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및 장치
KR102097079B1 (ko) * 2013-03-22 2020-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072049B1 (ko) 2013-05-14 2020-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
US10733377B2 (en) * 2013-08-06 2020-08-04 Lenovo (Singapore) Pte. Ltd. Indicating automatically corrected words
CN103440105A (zh) * 2013-08-26 2013-12-11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触摸屏跨页文本选择方法和系统
KR101652446B1 (ko) * 2014-09-16 201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503398B2 (en) * 2014-11-26 2019-12-10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of selectable elements
CN104808903B (zh) * 2015-04-24 2018-01-26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文本选择方法和装置
CN106066760B (zh) * 2016-05-26 2019-04-12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文字处理方法及装置
CN110275651B (zh) * 2018-03-16 2024-02-20 厦门歌乐电子企业有限公司 一种车载显示设备及文本编辑方法
CN109189303B (zh) * 2018-08-30 2021-02-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文本编辑方法及移动终端
CN112784542B (zh) * 2020-05-20 2023-11-28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文档编辑方法及装置
CN112162681A (zh) * 2020-07-31 2021-01-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文本操作执行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100114A (zh) * 2020-09-22 2020-12-18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供电公司 基于基建工程现场质量管控的手持终端设备
CN117002011A (zh) * 2023-07-19 2023-11-07 上海轮廓科技有限公司 3d打印方法、终端设备、可读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CN116661659B (zh) * 2023-08-01 2023-11-21 深圳市爱保护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互动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9538B1 (en) * 1998-08-13 2001-01-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keyboard and a text buffer on electronic devices
EP1847915A2 (en) * 2006-04-19 2007-10-24 LG Electronics Inc. Touch screen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nd selecting menu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4008B2 (en) 2004-07-30 2009-11-03 Apple Inc. Operation of a computer with touch screen interface
KR100537280B1 (ko) * 2003-10-29 2005-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및 방법
EP2000893B1 (en) * 2004-07-30 2016-09-21 Apple Inc. Mode-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US20060059437A1 (en) * 2004-09-14 2006-03-16 Conklin Kenneth E Iii Interactive pointing guide
DE102005056459A1 (de) * 2005-11-26 2007-01-25 Daimlerchrysler Ag Bediensystem für ein Fahrzeu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9538B1 (en) * 1998-08-13 2001-01-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keyboard and a text buffer on electronic devices
EP1847915A2 (en) * 2006-04-19 2007-10-24 LG Electronics Inc. Touch screen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nd selecting menu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740A (ko) 2009-04-30
CA2640785A1 (en) 2009-04-26
CA2640785C (en) 2016-04-26
SG152133A1 (en) 2009-05-29
CN101419526A (zh) 2009-04-29
EP2053497A1 (en)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459B1 (ko) 핸드헬드 이동 통신 장치의 접촉 감지 스크린을 사용하는 텍스트 선택
US11029827B2 (en) Text selection using a touch sensitive screen of a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537117B2 (en)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selectively generates a menu in response to received commands
US78022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nning and zooming an image on a display of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8904286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a primary actions menu on a wireless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US7982712B2 (en)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80303796A1 (en) Shape-changing display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8000741B2 (en)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chamfer keys
EP2000884A1 (en) Shape-changing disply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080303795A1 (en) Haptic display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070254701A1 (en)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70188458A1 (en) Adjustable on-screen cursor sensitivity on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US20070254700A1 (en)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635559B2 (en) On-screen cursor navigation delimiting on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US7973765B2 (en)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80163132A1 (en) Streamlined navigation of a handheld elecronic device
US7986301B2 (en)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70188459A1 (en) Adjustable on-screen cursor sensitivity on a wireless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US20070188461A1 (en) Adjustable on-screen cursor sensitivity on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reduced alphabetic keyboard
US8780046B2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ication navigation enhancement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8271036B2 (en)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219158B2 (en)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80163111A1 (en) Streamlined entry of appointment record
US20070254703A1 (en)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2639373C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ication navigation enhancement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4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0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0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5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0511

Appeal identifier: 2011101001756

Request date: 20110302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4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0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7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105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412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