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7203B1 - Digital door lock device with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 Google Patents

Digital door lock device with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203B1
KR101037203B1 KR1020090048250A KR20090048250A KR101037203B1 KR 101037203 B1 KR101037203 B1 KR 101037203B1 KR 1020090048250 A KR1020090048250 A KR 1020090048250A KR 20090048250 A KR20090048250 A KR 20090048250A KR 101037203 B1 KR101037203 B1 KR 101037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ead bolt
opening
handle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2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29603A (en
Inventor
서강인
Original Assignee
(주)대양디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양디앤티 filed Critical (주)대양디앤티
Priority to KR1020090048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203B1/en
Publication of KR20100129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6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2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1/00Locks with visible indication as to whether the lock is locked or unlock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여닫이 형태의 도어의 실내 측에 설치되는 하우징;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대해 일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부에 수용홈부가 마련된 핸들; 상기 수용홈부에 마련된 가압핀; 상기 수용홈부에 설치되며 상기 핸들의 회전운동에 따라 락 볼트를 해제하는 오픈 바;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압핀의 가압 작용에 의해 회동하는 트랜스퍼; 상기 트랜스퍼의 회전에 종속되어 회전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데드볼트 개폐 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핸들을 미는 것 만으로도 데드볼트와 락 볼트가 해제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Digital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housing is installed on the interior side of the door of the case type; A handle having one end rotatably install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a lower end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accommodation groove provided at the other end; A pressure pin provided in the receiving groove; An open bar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releasing the lock bolt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handle; A transfer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the transfer being rotated by a pressing action of the pressing pin; And a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which rotates depending on the rotation of the transfer and i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The dead bolt and the lock bolt are released only by pushing the handle.

Description

개폐 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Digital door lock apparatus improving opening and closing efficiency}Digital door lock apparatus improving opening and closing efficiency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Door lock)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oor lock (Door lock) device.

예컨대 아파트의 현관이나 사무실 등의 출입구 도어에는 도어를 잠그기 위한 각종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잠금장치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특히 보다 안전하고 완벽한 보안이 필요한 경우에는 기존의 기계식 잠금장치에 더하여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추가된다.For example, various locking devices for locking the doors are installed in the entrance doors of the entrance or office of the apartment.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locks, especially when more secure and complete security is requir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mechanical locks, a digital door lock device is added.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기존의 기계식 열쇠를 대신하여 비밀번호나 지문을 입력한다거나 또는 전자키를 이용하는 잠금장치로서, 열쇠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은 물론 열쇠분실에 따른 위험이 없고 이중잠금기능까지 구비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게 한다.The digital door lock device is a lock device using an electronic key or a password or fingerprint in place of an existing mechanical key. The convenience of not having to carry a key, as well as the risk of losing a key, is provided with a double lock function. Make your life safe and convenient.

한편, 상기한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장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건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토크를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어와, 상기 모터의 동작에 연동하며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왕복하는 데드볼트와, 도어핸들을 회 전할 때 왕복 이동하는 락 볼트 등을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device, a housing for providing an internal space, a motor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is operated by an electrical signal supplied from a battery to generate torque, and redu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And a dead bolt for recipro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using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motor, a lock bolt for reciprocating when the door handle is rotated, and the like.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실내 측에서 사람이 그 도어의 실외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스위치나 별도의 핸들을 작동하여 데드볼트를 해제한 다음에, 다시 핸들을 돌려 락 볼트의 잠김 상태를 해제한 후에 문을 열고 밖으로 이동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 경우에 사람이 문을 열고 밖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데드볼트와 락 볼트를 각각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 중에는 락 볼트와 데드볼트의 해정을 연계하여 회전손잡이를 회전하는 경우에 락 볼트와 데드볼트가 동시에 해정되도록 하는 장치도 개발된 바 있다.By the way, when a person moves from the indoor side of the door where the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device is installed to the outdoor side of the door, the dead bolt is released by operating a switch or a separate handle, and then turn the handle again to turn the lock bolt. After unlocking the door could open and move out. However, in this case, in order for a person to open the door and go out, the dead bolt and the lock bolt have to be switched to the unlocked state, respectively, which makes the user feel uncomfortabl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device has been developed to allow the lock bolt and the dead bolt to be released at the same time when the rotation knob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elease of the lock bolt and the dead bolt.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손잡이를 회전시킨 후에 도어를 밀어서 열게 되므로 여전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device is still inconvenient because the door is pushed open after rotating the handl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데드볼트와 락 볼트의 개폐를 연동하도록 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더욱 개선하여 손잡이를 회전시키지 않고 도어를 여는 방향으로 미는 것만으로도 데드볼트와 락 볼트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폐기능이 혁신적으로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further improves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to interlock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ead bolt and the lock bolt, so that the dead bolt and the lock bolt simply by pushing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door without rotating the hand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door lock devic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of the door is innovatively improv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여닫이 형태의 도어의 실내 측에 설치되는 하우징;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s installed on the interior side of the door of the case type;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대해 일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부에 수용홈부가 마련된 핸들;A handle having one end rotatably install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a lower end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accommodation groove provided at the other end;

상기 수용홈부에 마련된 가압핀;A pressure pin provided in the receiving groove;

상기 수용홈부에 설치되며 상기 핸들의 회전운동에 따라 락 볼트를 해제하는 오픈 바;An open bar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releasing the lock bolt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handle;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압핀의 가압 작용에 의해 회동하는 트랜스퍼;A transfer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the transfer being rotated by a pressing action of the pressing pin;

상기 트랜스퍼의 회전에 종속되어 회전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데드볼트 개폐 모듈;을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And a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which rotates depending on the rotation of the transfer and i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상기 오픈 바는 상기 수용홈부에 대해 일정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n bar is preferably rotatably install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groove.

상기 오픈 바는 상기 수용홈부에 상대 고정된 가이드 부재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n bar is preferably installed to allow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guide member relatively fixed to the receiving groove.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핸들의 타단부가 멀어지도록 작용하는 압축코일 스프링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guide member comprises a compression coil spring that acts away from the other end of the handle relative to the housing.

상기 가이드 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오픈 바에 대해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스프링에 의해 결합된 핸들 고정자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handle stator capable of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guide member and coupled by a spring to have an elastic restor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open bar.

상기 데드볼트 개폐 모듈과 일체로 회전하여 데드볼트의 개폐상태를 알려주는 록 인디케이터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 indicator which rotates integrally with the dead bolt opening / closing module and informs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dead bol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이 개방위치 또는 폐쇄위치로 회전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데드볼트 개폐 모듈에 상대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상대고정된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includes a torsion spring having one end fixed relative to the dead bolt opening module and the other end fixed relative to the housing so that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rotates to the open position or the closed position.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의 회전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에 결합된 주 기어와 그 주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주 기어에 동력적으로 결합된 모터장치; 및A means for assisting the rotation of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the main gear coupled to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and a motor device coupled to the main gear so as to rotate the main gear; And

상기 트랜스퍼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상대고정된 트랜스퍼 커버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red to include a transfer cover fixed relative to the housing to guide rotation of the transfer.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도어를 열기 위해 핸들을 돌릴 필요가 없이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도어를 밀기만 하면, 데드볼트와 락 볼트가 연동되어 해제됨으로써 개폐 기능이 혁신적으로 개선된 효과를 제공한다.The digital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turn the handle to open the door, and simply pushes the door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door, and the dead bolt and the lock bolt are interlocked and released, thereby providing an innovatively improved effect of opening and closing. .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서 데드볼트와 락 볼트의 해정을 위해 핸들을 일부 민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서 데드볼트와 락 볼트의 해정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대응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내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대응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내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대응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내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내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digital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shown in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partially pushed to release the dead bolt and the lock bolt in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shown in FIG. 1.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lease of the dead bolt and lock bolt is completed in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shown i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ate of a digital door lock device corresponding to FIG. 1.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ate of a digital door lock device corresponding to FIG. 3.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ate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corresponding to FIG. 4. 8 is a view of the inside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shown in FIG. 1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10, 이하 "도어록 장치"라 함)는 하우징(20)과, 핸들(30)과, 가압핀(34)과, 오픈 바(40)와, 데드볼트 개폐모듈(60)를 포함하고 있다.1 to 8,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oor lock device”) having an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20, a handle 30, and a pressurization. The pin 34, the open bar 40, and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are included.

상기 하우징(20)은 여닫이 형태의 도어의 실내 측에 설치되는 일종의 도어록 케이스이다. 상기 하우징(20)은 도어측을 향한 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의 부품이다. 상기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에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일반적인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0)과는 별도의 외부 하우징이 도어의 실외 측에 설치된다. 본 발 명에서는 실외 측의 도어록 장치는 발명의 핵심적인 부분이 아니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housing 20 is a kind of door lock case installed on the indoor side of the door of the case type. The housing 20 is a box-shaped part with an open side toward the door side. General components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ar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20. An outer housing separate from the housing 20 is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doo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oor lock device of the outdoor side is not an essential part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핸들(30)은 상기 하우징(2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핸들(30)은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20)에 결합되어 있으며 중간 부위는 상기 하우징(20)과 공간을 가지도록 그 하우징(20)과 이격되어 있다. 상기 핸들(30)은 디지털 도어록 장치(10)의 개폐를 제어하는 주요 구성요소이다. 상기 핸들(3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부위이다. 상기 핸들(30)은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20)의 하단부에 대해 일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핸들(30)의 하단부는 힌지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에 대해 회전하는 축의 역할을 한다. 상기 핸들(30)의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2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30)의 상단부는 상기 하우징(20)에 대해 일정 변위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핸들(30)의 타단부 즉 상기 핸들(30)의 상단부에는 수용홈부(3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용홈부(32)는 상기 핸들(30) 설치될 때 도어를 향한 부위가 개방된 형태의 홈부이다. 상기 수용홈부(32)에는 상기 핸들(30)이 상기 하우징(20)에 대해 슬라이딩할 때 후술하는 데드볼트 개폐모듈(60)과 락 볼트를 개폐하는 오픈 바(40)의 구동을 위한 가압핀(34)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상기 수용홈부(32)에는 가압핀(34)이 설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핀(34)은 상기 수용홈부(32)의 상부에서 그 수용홈부(32)의 개방된 외측으로 돌출된 막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압핀(34)은 상기 수용홈부(32)에 상대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압핀(34)은 테이퍼 형상 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가압핀(34)은 자유단부에서 가장 적은 단면적을 가지며, 그 자유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더 큰 단면적을 가진다.The handle 30 is coupled to the housing 20. Both ends of the handle 30 are coupled to the housing 20, and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is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20 so as to have a space with the housing 20. The handle 30 is a main componen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10. The handle 30 is a portion that a user holds by hand. One end of the handle 30 is rotatab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20.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handle 30 has a hinge structure and serves as a shaft tha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0. The other end of the handle 30 is provided to b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0. More specifically, the upper end of the handle 30 is slidably installed between the housing 20 and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An accommodation groove 32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andle 30,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handle 30. The receiving groove part 32 is a groove part in which a part facing the door is opened when the handle 30 is installed. The receiving groove 32 has a pressing pin for driving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pen bar 40 to open and close the lock bolt when the handle 30 slides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0 ( 34) Components are installed to operate smoothly. The receiving groove 32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in 34. More specifically, the pressing pin 34 is formed in a bar shape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32 to the open outer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32. The pressing pin 34 is fixed relative to the receiving groove (32). The pressing pin 34 has a tapered cross section. That is, the pressing pin 34 has the smallest cross-sectional area at the free end, and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as it moves away from the free end.

상기 오픈 바(40)는 상기 수용홈부(32)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오픈 바(40)는 상기 핸들(30)에 작용하는 힘을 전달받아 락 볼트를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오픈 바(40)는 상기 수용홈부(32)에 대해 일정각도 범위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오픈 바(40)는 상기 수용홈부(32)의 외측으로 돌출된 막대기 형태이다. 상기 오픈 바(40)의 자유단부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10)의 락 볼트(미도시)에 연결되어 그 락 볼트(미도시)를 잠김을 해제하거나 잠그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오픈 바(40)는 "T" 형태의 구조물이다. 상기 오픈 바(40)는 후술하는 가이드 부재(36)에 회동가능한 축에 끼워지는 슬롯 형상의 구멍(42)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36)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The open bar 40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32. The open bar 40 receives the force acting on the handle 30 to release the lock bolt. More specifically, the open bar 4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groove (32). The open bar 40 is in the form of a stick sticking out of the receiving groove 32. The free end of the open bar 40 is connected to the lock bolt (not shown) of the door lock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unlock or lock the lock bolt (not shown). The open bar 40 is a "T" shaped structure. The open bar 40 has a slot-shaped hole 42 fitted to a pivotable shaft in the guide member 3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allow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guide member 36.

상기 가이드 부재(36)는 상기 수용홈부(32)에 스크류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상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36)에는 압축코일 스프링(38)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38)은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 부재(36)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20)에 지지되어 상기 핸들(30)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될 때 상기 핸들(30)이 최초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38)은 상기 하우징(20)에 대해 상기 핸들(30)의 타단부가 멀어지도록 탄성 복원력을 작용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36)에는 막대기 형태의 회전축(44)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44)에는 상기 오픈 바(4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오픈 바(40)와 상기 회전축(44)은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 기 오픈 바(40)는 또한 핸들 고정자(46)와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오픈 바(40)와 상기 핸들 고정자(46)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상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핸들 고정자(46)는 상기 하우징(20)에 상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오픈 바(40)는 상기 핸들(3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핸들 고정자(46)를 통해 힘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44)에 대해 상대 회전을 함으로써 상기 오픈 바(40)의 자유단부가 지면에 대해 상하 변위를 가지게 된다. 상기 오픈 바(40)의 움직임에 의해 키 박스(미도시)에 설치된 락 볼트를 잠그거나 해제하게 된다. 상기 오픈 바(40)와 키박스의 결합구조는 공지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guide member 36 is relatively fixed to the receiving groove 32 by a fixing means such as a screw. The guide member 36 is provided on a compression coil spring 38. The compression coil spring 38 has the handle 30 first when the one end is supported by the guide member 36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housing 20 so that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handle 30 is removed.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to be restored to position. That is, the compression coil spring 38 exerts an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handle 30 is far from the housing 20. The guide member 36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44 in the form of a rod. The open bar 40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44. The open bar 40 and the rotation shaft 44 are coupled to allow relative rotation. The open bar 40 is also coupled to the handle stator 46 to allow relative rotation. The open bar 40 and the handle stator 46 are relative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an elastic restoring force acts by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The handle stator 46 is relatively fixed to the housing 20. Accordingly, the open bar 40 receives a force through the handle stator 46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handle 30 and makes a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44 of the open bar 40. The free end has a vertical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lock bolt installed in the key box (not shown) is locked or released by the movement of the open bar 40. Since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open bar 40 and the key box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a known digital door lock devic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트랜스퍼(50)는 상기 하우징(2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트랜스퍼(50)는 상기 가압핀(34)의 가압 작용에 의해 회동한다. 즉, 상기 트랜스퍼(50)는 테이퍼 형상의 상기 가압핀(34)이 슬라이딩 되면서 관통하는 구멍(42)구비하고 있다. 상기 트랜스퍼(50)는 상기 가압핀(34)이 상기 구멍(42)을 관통하면서 상기 가압핀(34)의 단면적의 차이에 의하여 점점 더 큰 변위로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트랜스퍼(50)는 후술하는 데드볼트 개폐모듈(60)에 접촉되는 캠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캠부(52)가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60)을 밀어서 회전시킨다. 상기 트랜스퍼(50)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하기 위해 트랜스퍼 커버(5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트랜스퍼 커버(54)는 상기 하우징(20)에 상대고정되어 있다. 상기 트랜스퍼 커버(54)는 상기 트랜스퍼(50)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transfer 50 i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0. The transfer 50 is rotated by the pressing action of the pressing pin (34). That is, the transfer 50 is provided with a hole 42 penetrating while the pressure pin 34 of the tapered shape slides. The transfer 50 rotates with an increasingly larger displacement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essing pin 34 while the pressing pin 34 passes through the hole 42. The transfer 50 has a cam portion 52 in contact with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to be described later. The cam unit 52 pushes and rotates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Transfer cover 54 is installed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transfer 50. The transfer cover 54 is fixed relative to the housing 20. The transfer cover 54 is provided to cover the transfer 50.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60)은 상기 트랜스퍼(50)의 회전에 종속되어 회전한 다.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60)은 상기 트랜스퍼(50)의 캠부(52)에 밀려서 회전이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60)은 상기 하우징(2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60)은 키박스(미도시)에 설치된 데드볼트(미도시)에 연결되어 데드볼트(미도시)를 움직임으로써 도어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60)에는 주 기어(6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 기어(62)는 일정 각도 범위서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60)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 기어(62)는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60)의 회전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마련된 것이다. 상기 주 기어(62)는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60)에 결합되며, 상기 주 기어(6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주 기어(62)에 동력적으로 결합된 모터장치(64)가 상기 하우징(20)에 상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주 기어(62)는 상기 모터장치(64)에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핸들(30)에 의하지 않고 데드볼트 개폐모듈(6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주 기어(62)와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60)이 일정각도 범위에서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은 상기 모터장치(64)에 의하지 않고 수동으로 즉 상기 핸들(30)의 조작만으로도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6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60)에는 록 인디케이터(66)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록 인디케이터(66)는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60)과 일체로 회전하여 데드볼트의 개폐상태를 알려주는 부품이다.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60)이 개방위치 또는 폐쇄위치로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가하기 위해 비틀림 스프링(6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비틀림 스프링(68)의 일단부는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60)에 상대고정되어 있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68)의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20)에 상대고정되어 있다. 상기 비틀림 스프링(68)은 상기 핸들(3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트랜스퍼(50)가 회전하여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60)을 회전시킬 때 특정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핸들(30)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60)이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rotates depending on the rotation of the transfer (50).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is to be rotated by being pushed by the cam portion 52 of the transfer (50).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i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0.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is connected to the dead bolt (not shown) installed in the key box (not shown) to open and close the door by moving the dead bolt (not shown).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is provided with a main gear 62. The main gear 62 is installed to allow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The main gear 62 is provided as a means for assisting the rotation of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The main gear 62 is coupled to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the motor unit 64 is dynamically coupled to the main gear 62 to rotate the main gear 62, the housing It is relatively fixed to 20. The main gear 62 may be dynam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device 64 to operate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without the handle 30. Relative rotation of the main gear 62 and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is possible without manual operation of the motor device 64, that is,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30. To enable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to operate. The lock indicator 66 is coupled to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The lock indicator 66 is a part that rotates integrally with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to inform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dead bolt. Torsion spring 68 is provided to apply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easily rotates to an open position or a closed position.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68 is fixed relative to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and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spring 68 is fixed relative to the housing 20. The torsion spring 68 is applied to the handle 30 based on a specific position when the transfer 50 is rotated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handle 30 to rotate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is provided to be easily moved to the open or closed position even if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n in FIGS. 1 to 8.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10)가 도어에 설치되어 있다고 전제한다. 도 1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서술을 시작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상기 도어록 장치(10)는 데드볼트와 락 볼트가 모두 잠긴 상태에 있다고 전제한다.First, it is assumed that the door lock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door. The description starts on the basis of the state shown in FIG. The door lock device 10 shown in FIGS. 1 and 5 assumes that both the dead bolt and the lock bolt are locked.

이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상기 핸들(30)에 외력(F)을 가하여 상기 핸들(30)의 상단부를 도어를 향하여 민다. 상기 핸들(30)은 상기 하우징(20)에 대해 상기 핸들(30)의 하단부를 축으로 하여 미세하게 회전한다. 이때의 도어측과 마주하는 부위의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는 상기 가압핀(34)이 상기 트랜스퍼(50)를 미세하게 회전시키지만 아직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60)이 작동하지는 않은 상태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36)와 상기 핸들 고정자(46)에 연결된 상기 오픈 바(40)는 아직 움직임이 거의 없는 상태에 있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3, an external force F is applied to the handle 30 to push the upper end of the handle 30 toward the door. The handle 30 is fin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0 about the lower end of the handle 30 as an axis.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10 in the portion facing the door side at this time i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pressing pin 34 rotates the transfer 50 finely, but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has not been operated. In addition, the open bar 40 connected to the guide member 36 and the handle stator 46 is in a state of little movement ye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30)에 더욱 외력(F)을 가하여 상기 핸들(30)이 최대 변위로 압축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핀(34)이 상 기 트랜스퍼(50)를 회전시켜서 그 트랜스퍼(50)에 종속적으로 결합된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60)이 회전되어 데드볼트가 해제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핸들(30)이 상기 핸들 고정자(46)를 가압하게 되며, 상기 오픈 바(40)가 상기 회전축(44)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그 오픈 바(40)의 자유단부가 유동하게 되며 그 자유단부에 연결된 락 볼트가 해제된다. 그래서 도 4와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어를 밀게 되면 데드볼트와 락 볼트가 해제되어 있으므로 도어가 열리게 된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handle 30 is compressed to the maximum displacement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F to the handle 30, the pressing pin 34 is transferred as shown in FIG. 7. By rotating the 50,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coupled to the transfer 50 dependently is rotated so that the dead bolt is released. In addition, the handle 30 presses the handle stator 46, and the open bar 40 rotates about the rotational shaft 44 so that the free end of the open bar 40 flows freely. The lock bolt connected to the end is released. So, when the door is pushed in the state shown in Figs. 4 and 7, the dead bolt and the lock bolt are released so that the door is open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10)는 도어를 실내에서 열고 사람이 실외 측으로 나가는 과정에서는 단지 상기 핸들(30)을 미는 것만으로도 데드볼트와 락 볼트가 해제되므로 종래의 도어락 장치에 비하여 혁신적으로 개선된 개폐 기능을 제공한다. 사람이 실외 측으로 나간 후에 도어를 닫으면 상기 핸들(30)은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3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고, 이때 상기 오픈 바(40)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이동하므로 락 볼트는 잠기게 된다. 그러나, 데드볼트 개폐모듈(60)은 상기 비틀림 스프링(68)에 의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잠기지 않게 된다.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60)을 폐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작업 즉 키홀에 키를 꽂아서 돌리는 등의 부가적인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door lock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novativ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oor lock device because the dead bolt and the lock bolt are released only by pushing the handle 30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door indoors and moving out to the outdoor side.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When a person closes the door after leaving the outdoor side, the handle 30 moves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38, and the open bar 4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s it moves, the lock bolt is locked. However,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is kept locked by the torsion spring 68 so that it is not locked. In order to close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0, an additional process such as inserting and turning a key into a keyhole is required.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vio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digital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서 데드볼트와 락 볼트의 해정을 위해 핸들을 일부 민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partially pushed to release the dead bolt and the lock bolt in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shown in FIG. 1.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서 데드볼트와 락 볼트의 해정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lease of the dead bolt and lock bolt is completed in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shown in FIG.

도 5는 도 1에 대응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내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ate of a digital door lock device corresponding to FIG. 1.

도 6은 도 3에 대응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내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ate of a digital door lock device corresponding to FIG. 3.

도 7은 도 4에 대응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내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ate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corresponding to FIG. 4.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내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8 is a view of the inside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shown in FIG. 1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개폐 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10: Digital door lock device with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20 : 하우징 30 : 핸들20: housing 30: handle

32 : 수용홈부 34 : 가압핀32: receiving groove 34: pressure pin

36 : 가이드 부재 38 : 압축코일 스프링36: guide member 38: compression coil spring

40 : 오픈 바 42 : 구멍40: open bar 42: hole

44 : 회전축 46 : 핸들 고정자44: axis of rotation 46: handle stator

50 : 트랜스퍼 52 : 캠부50: transfer 52: cam portion

54 : 트랜스퍼 커버 60 : 데드볼트 개폐모듈54: transfer cover 60: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62 : 주 기어 64 : 모터장치62: main gear 64: motor unit

66 : 록 인디케이터 68 : 비틀림 스프링 66: lock indicator 68: torsion spring

Claims (8)

여닫이 형태의 도어의 실내 측에 설치되는 하우징;A housing installed in the interior side of the door of the case type;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대해 일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부에 수용홈부가 마련된 핸들;A handle having one end rotatably install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a lower end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accommodation groove provided at the other end; 상기 수용홈부에 마련된 가압핀;A pressure pin provided in the receiving groove; 상기 수용홈부에 설치되며 상기 핸들의 회전운동에 따라 락 볼트를 해제하는 오픈 바;An open bar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releasing the lock bolt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handle;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압핀의 가압 작용에 의해 회동하는 트랜스퍼;A transfer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the transfer being rotated by a pressing action of the pressing pin; 상기 트랜스퍼의 회전에 종속되어 회전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데드볼트 개폐 모듈;을 포함하며,And a deadbolt opening / closing module rotating in dependence on the rotation of the transfer and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상기 데드볼트 개폐 모듈과 일체로 회전하여 데드볼트의 개폐상태를 알려주는 록 인디케이터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And a lock indicator which is integrally rotated with the dead bolt opening / closing module and informs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dead bol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오픈 바는 상기 수용홈부에 대해 일정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The open bar is an improved digital door l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bar is rotatably install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groov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오픈 바는 상기 수용홈부에 상대 고정된 가이드 부재에 대해 상대회전 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The open bar is an improved digital door l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bar is installed to allow relative rotation relative to the guide member fixed relative to the receiving groov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핸들의 타단부가 멀어지도록 작용하는 압축코일 스프링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 And the guide member includes a compression coil spring which acts to move the other end of the handle away from the housing.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가이드 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오픈 바에 대해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스프링에 의해 결합된 핸들 고정자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 It is possible to rotate relative to the guide member, digital door lock device with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dle stator coupled by a spring to have an elastic restor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open ba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이 개방위치 또는 폐쇄위치로 회전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데드볼트 개폐 모듈에 상대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상대고정된 비틀 림 스프링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Digitally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rsion spring, one end is fixed relative to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and the other end is fixed relative to the housing so that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rotates to the open position or closed position Door lock device.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7,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의 회전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상기 데드볼트 개폐모듈에 결합된 주 기어와 그 주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주 기어에 동력적으로 결합된 모터장치; 및A means for assisting the rotation of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the main gear coupled to the dead bolt opening and closing module and a motor device coupled to the main gear so as to rotate the main gear; And 상기 트랜스퍼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상대고정된 트랜스퍼 커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And a transfer cover fixed relative to the housing so as to guide rotation of the transfer.
KR1020090048250A 2009-06-01 2009-06-01 Digital door lock device with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KR1010372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250A KR101037203B1 (en) 2009-06-01 2009-06-01 Digital door lock device with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250A KR101037203B1 (en) 2009-06-01 2009-06-01 Digital door lock device with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603A KR20100129603A (en) 2010-12-09
KR101037203B1 true KR101037203B1 (en) 2011-05-26

Family

ID=43506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250A KR101037203B1 (en) 2009-06-01 2009-06-01 Digital door lock device with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20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683Y1 (en) * 2018-05-23 2018-10-22 (주)혜강씨큐리티 Handle Standby Position Return Apparatus for Push-pull Mannered Digital Doorlock
CN114502810B (en) * 2019-11-18 2023-10-27 亚萨合莱韩国公司 Indicator type door lock
KR102581905B1 (en) * 2022-03-28 2023-09-21 에이치디씨랩스 주식회사 Auto Latch Type Door Locking Device Having Push-pull Operation Fun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298B1 (en) * 2007-02-15 2008-08-26 (주)대양디앤티 Door lock device
KR20080099572A (en) * 2007-05-10 2008-11-13 주식회사 수퍼락 Mortis for Push Pull Door Lo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298B1 (en) * 2007-02-15 2008-08-26 (주)대양디앤티 Door lock device
KR20080099572A (en) * 2007-05-10 2008-11-13 주식회사 수퍼락 Mortis for Push Pull Door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603A (en)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8958C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turning a lock to a desired orientation
US20100212374A1 (en) Door latch device for a motor vehicle
EP2985397B1 (en) Mortise lock
WO2013049533A1 (en) Multiple mode locking arrangements
JP2001234659A (en) Gate latch
KR100895874B1 (en) Door lock
US12139935B2 (en) Lock with a lockable push-through latch
KR101142425B1 (en) Door lock unlocking device
KR101822760B1 (en) Push-pull type door lock
KR101968278B1 (en) Assembly for activation in both side
EP2476825B2 (en) Enhanced security outdoor use lock mechanism
KR101037203B1 (en) Digital door lock device with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KR101086261B1 (en) Digital door lock
KR101767495B1 (en) Anti Panic Mortise Lock having Clockwise and Countclockwise Opening Operation
JP5020854B2 (en) Vehicle handle device
KR100763884B1 (en) Door lock device
CN115110840B (en) Lock body structure and keyless door lock
RU2662128C1 (en) Door latch
KR100997918B1 (en) Door lock device with manual key
KR100854298B1 (en) Door lock device
JP4205081B2 (en) Locking mechanism for hinged door
KR101719956B1 (en) Motise for DoorLock
KR101765329B1 (en) Digital door rock
KR101891782B1 (en) Mortise
JP2004353378A (en) Opening device with door end lock releas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