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7131B1 - 자동차 외판재의 가공결함 평가장치 및 그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외판재의 가공결함 평가장치 및 그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131B1
KR101037131B1 KR1020080099390A KR20080099390A KR101037131B1 KR 101037131 B1 KR101037131 B1 KR 101037131B1 KR 1020080099390 A KR1020080099390 A KR 1020080099390A KR 20080099390 A KR20080099390 A KR 20080099390A KR 101037131 B1 KR101037131 B1 KR 101037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mold
steel sheet
frame
plated ste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0345A (ko
Inventor
김성수
손진국
Original Assignee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수 filed Critical 김성수
Priority to KR1020080099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13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0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13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02Die-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04Blank holders; 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workpiece characteristics, e.g. contour, dimension, 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52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for fluid driven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외관을 마무리하기 위해 여러 형태로 절단, 절곡되는 외판재의 도금상태 불량 및 이물질의 혼입여부, 표면의 균일도, 기계적 성질인 연신율을 확인함으로써 불량여부를 확인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불량률 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한 자동차 외판재의 가공결함 평가장치 및 그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유니트부와, 지지를 위한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금형과, 상부금형에 대응되도록 프레임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시험대상인 도금강판이 안치되는 하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중앙에서 고정 설치되는 고정금형과, 유압 및 금형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유니트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자동차의 외판재로 사용되는 강판에 도금층을 형성한 후 도금층의 결함을 간단히 판별할 수 있도록 하여 시험조건이 간편하며, 시험시간이 절약되고, 도금강판의 시험을 위해 절곡한 후 도금층의 변화 및 연신율을 체크하여 가공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설정할 수 있어 가공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동차, 외판재, 도금, 강판, 금형, 유압, 가공결함, 드로스

Description

자동차 외판재의 가공결함 평가장치 및 그 평가방법{Automobile shell reconsideration processing defect evaluation system and the evaluation method}
본 발명은 자동차 외판재의 가공결함 평가장치 및 그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외관을 마무리하기 위해 여러 형태로 절단, 절곡되는 외판재의 도금상태 불량 및 이물질의 혼입여부, 표면의 균일도, 기계적 성질인 연신율을 확인함으로써 불량여부를 확인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불량률 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한 자동차 외판재의 가공결함 평가장치 및 그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냉연강판은 연속 산세 압연설비에서 일정한 조건으로 산세 및 압연을 하여 준 후 연속 아닐링 공정에서 탈지, 연속아닐링, 조질압연(skin pass rolling), 방청유 도포 공정 등을 거쳐 제조된 후 자동차 회사에 공급된다.
이렇게, 자동차 회사에 공급되는 냉연강판은 차체조립공정에서 강판을 적용할 차체 부분에 맞게 절단(블랭킹)하고 성형공정에서 원하는 형태로 프레스 작업을 하여 점(Spot) 용접을 행한 후 각 차체 부위를 조립한다. 조립된 차체는 표면 이물질 및 오일을 제거하는 탈지공정을 통해 석유계 화합물을 이용한 와이핑(Wiping) 및 세척 후 알칼리 탈지를 행하고 수세공정을 거쳐서 전착도장을 행한다.
더불어, 자동차 외판용 냉연강판은 가공성이 우수하여야 할 뿐 아니라 눌려서 함몰되어지는 덴트(dent)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특히, 낮은 변형을 받는 부분에서는 연신 변형이 우수하여야 하고 심가공을 받는 부품에서는 심가공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종래 자동차의 문, 후드, 트렁크 등의 외판에 사용되는 강판은 인장강도 35 ~ 40kgf/mm2 급 심가공용 고강도 냉연강판 또는 35kgf/mm2 급 열경화형 냉연강판(BH강)이었다.
그리고, 자동차 외판용 냉연강판은 표면의 부식 방지 및 도료의 점착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도금처리가 이루어진다. 이때, 외부에서 불순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는 도금처리를 시행한다.
그러나, 표면이 도금 처리된 자동차 외판용 냉연강판은 자동차의 여러 부위에 사용되기 위하여 절단, 절곡의 과정을 거친 후 도장처리를 시행하게 되는데, 이때, 도금층이 불균일 하거나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을 경우 도장처리의 완성도가 저하되며 절곡시 도금층이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 연신률을 고려하지 않고 절곡할 경우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한편, 이러한 표면이 도금 처리된 자동차 외판용 냉연강판은 육안검사를 통하여 불량여부를 판단하고 있으나, 도금층에 미세하게 혼입되어진 불순물, 찌거기, 이물질, 크랙 등은 육안판별이 불가능하여 육안검사 검사필증을 받은 도금강판을 사용시 불량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써, 육안검사를 대체하여 도금강판을 절단, 절곡 하였을 때 여러 가지 불량을 발생시키는 결함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시험가능한 평가 시험장치 및 평가방법이 매우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의 외판재로 사용되는 강판에 도금층을 형성한 후 도금층의 결함을 간단히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외판재의 가공결함 평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금강판의 시험을 위해 절곡한 후 도금층의 변화 및 연신율을 체크하여 가공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금강판과 접촉하는 금형의 표면을 크롬도금하여 마찰저항이 감소되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험면을 연마하여 도금층에 의해 확인되지 못하는 여러 가지 불량을 면밀히 확인할 수 있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공결함 평가장치를 통해 간단하게 도금강판을 시험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유압탱크에 저장되어진 유압유를 공급, 회수, 제어하는 유압펌프 및 컨트롤 밸브들이 형성되며, 유압유를 고속으로 가압하기 위한 축압기로 이루어진 유압유니트부와, 설치면에 설치되는 바닥프레임의 상부 주변으로 직립설치 되는 다수개의 기둥프레임이 설치되며, 기둥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천정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의 천정프레임에 설치되며 유압유니트부에서 유압유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기동하고 하부 양측면에 클램핑홈이 형성된 상부금형과, 프레임부의 바닥프레임에 설치되며 유압유니트부에서 유압유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쿠션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기동하면서 가공결합 시험을 할 도금강판이 안치되고, 클램핑홈에 삽입되는 클램핑돌기가 형성된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이 하강하여 하부금형과 함게 도금강판을 가압하면서 상부금형의 가압력에 의해 하부금형이 함께 하강하면서 도금강판의 중앙부분이 당겨져 융기되도록 상부금형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지는 고정금형과, 유압유니트부 및 상/하부금형, 고정금형을 제어하는 컨트롤유니트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상기 상/하부금형과 고정금형은 도금강판과의 마찰에 의한 마모현상이 최소화 되도록 표면에 크롬도금층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상기 상부금형의 유압실린더 유압력은 하부금형의 쿠션 유압실린더 유압력보다 더 크게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외판재의 가공결함 평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자동차 외판재의 가공결함 평가장치를 이용하는 평가방법은, 시험 대상인 도금강판을 규격에 따라 절단하여 테스트를 준비하는 시편준비단계와, 시편준비단계를 거친 후, 하부금형의 상부에 도금강판의 중심 을 정확히 일치시키면서 설치하는 시편설치단계와, 시편설치단계를 거친 후, 컨트롤유니트부의 작동을 통해 유압유를 유압실린더 및 쿠션 유압실린던에 공급시키되, 상부금형이 하부로 이동되도록 작동시키는 금형작동단계와, 금형작동단계를 거친 후, 상부금형을 지속적으로 하강시켜 하부금형이 함께 하강되도록 하여 고정금형이 상부금형의 내부로 삽입되는 동작으로 도금강판이 상부로 당겨지면서 중앙 부분에 융기된 시험면이 형성되도록 가압하는 도금강판가압단계와, 도금강판가압단계를 거친 후, 도금강판의 시험면을 연마지석을 이용하여 연마하는 표면연마단계와, 표면연마단계를 거친 후, 연마가 완료되면 강판의 압연시 발생되는 드로스(Dross), 도금층의 기포, 불순물, 균열, 함몰이나 융기 등의 결함 존재를 확인하는 결함확인단계로 자동차 외판재의 가공결함 평가장치를 이용한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외판재로 사용되는 강판에 도금층을 형성한 후 도금층의 결함을 간단히 판별할 수 있도록 하여 시험조건이 간편하며, 시험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금강판의 시험을 위해 절곡한 후 도금층의 변화 및 연신율을 체크하여 가공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설정할 수 있어 가공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도금강판과 접촉하는 금형의 표면을 크롬도금하여 마찰저항이 감소되도록 하여 구성요소의 수명을 연장시켜 관리,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시험면을 연마하여 도금층에 의해 확인되지 못하는 여러 가지 불량을 면밀히 확인할 수 있어 잠재되어진 불량까지 확인함으로써 제품의 완성도 및 신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외판재의 가공결함 평가장치는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유니트부(10)와, 지지를 위한 프레임부(20)와, 프레임부(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금형(30)과, 상부금형(30)에 대응되도록 프레임부(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시험대상인 도금강판(200)이 안치되는 하부금형(40)과, 하부금형(40)의 중앙에서 고정 설치되는 고정금형(50)과, 유압 및 금형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유니트부(60)로 평가장치(100)가 구성된다.
먼저, 상기 도금강판(200)은 제철소와 같은 모재생산 공정에서 생산된 강판에 아연도금층을 표면에 부착시킨 것으로, 평가장치(100)를 이용하여 결함평가 시험을 하기 위해서 정사각판 형태로 절단하여 시편을 준비한다.
상기 유압유니트부(10)는 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유압유를 공급, 회수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외관의 미관을 고려하여 케이스(11)의 내부에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내부에는 유압유를 저장하는 유압탱크(12), 유압유를 순환시키는 유압펌프(13), 그리고 유압유의 압력, 유량, 방향을 제어 및 조절하는 컨트롤밸브(14: 예로써, 릴리프 밸브, 체크밸브)들이 연계 설치되고, 후방측에는 유압유를 고속으로 가압하기 위한 축압기(15)가 설치되어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부(20)는 설치면에 설치되는 바닥프레임(21)의 상부 주변으로 직립설치되는 다수개의 기둥프레임(22)이 설치되며, 기둥프레임(22)의 상부에 설치되는 천정프레임(2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닥프레임(21)은 평가장치(100)의 작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최초위치가 변동되거나 미세한 떨림,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면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 시공한다.
그리고, 천정프레임(23)에는 유압유니트부(10)의 컨트롤밸브(14)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컨트롤밸브(23a)가 안정적인 유압유의 순환을 위해 더 설치되며, 고장시 관리자가 점검할 수 있도록 점검 통로의 기능 및 추락이 방지되도록 하는 점검팬스(24)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금형(30)은 프레임부(20)의 천정프레임(23)에 설치되며 유압유니트부(10)에서 유압유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유압실린더(31)의 작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기동하고 하부 양측면에 클램핑홈(32)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금형(30)은 사각박스 형태로써 하부면 중앙부분은 하부금형(4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33)이 형성되며, 이러한 삽입홈(33)의 중앙에는 고정금형(50)이 삽입되는 시험면홈(3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부금형(40)은 프레임부(20)의 바닥프레임(21)에 설치되며 유압유니트부(10)에서 유압유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쿠션 유압실린더(41)의 작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기동하면서 가공결합 시험을 할 도금강판(200)이 안치되고, 클램핑홈(32)에 삽입되는 클램핑돌기(42)가 형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하부금형(40)을 떠받들 수 있도록 쿠션 유압실린더(41)를 8개소에 분산배치하여 가압력의 고른 분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금형(30)의 유압실린더(31) 유압력은 하부금형(40)의 쿠션 유압실린더(41) 유압력보다 더 크게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유압실린더(31)에 200bar의 유압력이 작용될 경우 쿠션 유압실린더(41)에는 50~190bar의 유압력이 작용되어 유압실런더(31)의 유압력에 의해 쿠션 유압실린더(41)가 가압되면서 하부금형(40)이 하부로 하강하게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고정금형(50)은 상부금형(30)이 하강하여 하부금형(40)과 함게 도금강판(200)을 가압하면서 상부금형(30)의 가압력에 의해 하부금형(40)이 함께 하강하면서 도금강판(200)의 중앙부분이 당겨져 융기되도록 상부금형(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고정금형(50)은 프레임부(20)의 바닥프레임(21)에 고정 설치되어, 유압실린더(31)의 유압력에 의해 쿠션 유압실린더(41)가 가압되면서 하부금형(40)이 하부로 하강하게 될 때 상부금형(30)이 하강하게 되어 고정금형(50)과 접촉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상/하부금형(30,40)과 고정금형(50)은 도금강판(200)과의 마찰 에 의한 마모현상이 최소화 되도록 표면에 크롬도금층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크롬도금은 높은 내마모, 윤활성, 내열성, 내식성, 이형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상부금형(30)의 가압작용으로 인하여 하부금형(40)에 안치된 도금강판(200)은 상부금형(30)의 삽입홈(33)으로 삽입되면서 클램핑홈(32)과 클램핑돌기(42)에 의해 양측면이 절곡되고, 지속적인 상부금형(30)의 가압력에 의해 하부금형(40)이 하부방향으로 밀리는 반면, 고정금형(50)이 시험면홈(34)으로 진입되면서 도금강판(200)의 중앙부분을 융기시켜 시험면(201)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금강판(200)이 가압될 때 클램핑홈(32)과 클램핑돌기(42)에 의해 양측면이 절곡되는 기능과 함께 도금강판(200)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지지역할을 한다. 한편, 고정금형(50)에 의해 도금강판(200)이 상부로 밀어올려지기 위해서는 클램핑홈(32)과 도금강판(200), 클램핑돌기(42)의 사이는 미세한 유격이 발생되도록 클램핑 되는 것이다.
상기 컨트롤유니트부(60)는 유압유니트부(10) 및 상/하부금형(30,40), 고정금형(5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컨트롤유니트부(60)는 주전원을 공급 및 차단버튼, 비상시 전원차단 및 작동을 차단하는 비상정지버튼, 조작방식을 수동모드 및 자동모드로 선택할 수 있는 조작방식선택버튼, 유압력을 조절하는 유압조절버튼,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버튼, 위치를 결정하는 포지션버튼, 각종 수치를 디지털 방식으로 나타내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가장치(100)를 이용하여 도금강판(200)의 결함을 시험하는 평가방법은 시편준비단계(S1), 시편설치단계(S2), 금형작동단계(S3), 도금강판가압단계(S4), 표면연마단계(S5), 결함확인단계(S6)로 구성되어 진행된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준비단계(S1)는 시험 대상인 도금강판(200)을 규격에 따라 절단하여 테스트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즉, 도금강판(200)을 평가장치(100)를 이용하여 시험을 할 크기에 알맞은 치수로 절단 후 절단면은 매끄럽게 연마를 하여 마무리한다.
이러한, 시편으로 제작되는 도금강판(200)의 크기는 일 예로써 가로 600 × 세로 600mm의 크기가 되도록 제작한다.
이후, 시편설치단계(S2)는 시편준비단계(S1)를 거친 후, 하부금형(40)의 상부에 도금강판(200)의 중심을 정확히 일치시키면서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때, 도금강판(200)이 하부금형(40)의 중앙에 일치하지 않을 경우 비틀림현상 및 절곡의 상태가 불량하게 되므로 정확히 설치해야 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다음으로, 금형작동단계(S3)는 시편설치단계(S2)를 거친 후, 컨트롤유니트부(60)의 작동을 통해 유압유를 유압실린더(31) 및 쿠션 유압실린더(41)에 공급시키되, 상부금형(30)이 하부로 이동되도록 작동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부금형(30)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도금강판(200)을 가압하게 되어 클램핑홈(32)으로 하부금형(40)의 클램핑돌기(42)에 의해 도금강판(200)이 절곡되면서 삽입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게 되는 단계이다.
이 다음으로, 도금강판가압단계(S4)는 금형작동단계(S3)를 거친 후, 상부금형(30)을 지속적으로 하강시켜 하부금형(40)이 함께 하강되도록 하여 고정금형(50)이 상부금형(30)의 내부로 삽입되는 동작으로 도금강판(200)이 상부로 당겨지면서 중앙 부분에 융기된 시험면(201)이 형성되도록 가압하는 단계이다.
부연 설명하자면, 유압실린더(31)의 유압력이 쿠션 유압실린더(41)보다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상부금형(30)이 하부금형(40)을 하부 방향으로 눌러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고정금형(5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하부금형(40)이 하부방향으로 이동할수록 고정금형(50)은 상부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금형(50)의 돌출로 인하여 도금강판(200) 또한 상부로 밀어 올려지면서 클램핑홈(32)과 클램핑돌기(42)의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렇게, 상부로 융기되어지는 도금강판(200)은 상부금형(30)의 삽입홈(33)과 고정금형(50)의 상단면 사이에서 인장현상과 절곡되어 시험면(201)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도금강판(200)의 절곡이 완료되면 상부금형(30)을 최초 위치로 이동시키고 절곡되어진 도금강판(200)을 평가장치(100)에서 해체시킨다.
그리고, 표면연마단계(S5)는 도금강판가압단계(S4)를 거친 후, 도금강판(200)의 시험면(201)을 연마지석을 이용하여 연마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결함확인단계(S6)는 표면연마단계(S5)를 거친 후, 연마가 완료되면 강판의 압연시 발생되는 드로스(Dross), 도금층의 기포, 불순물, 균열, 함몰이나 융기 등의 결함 존재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즉, 연마지석을 이용하여 시험면(201)을 연마하게 되면 신장 및 긁힘 등의 변형을 거친 강판뿐만 아니라 도금층에도 여러 가지 변화가 발생되어 도금층의 부착 두께가 다르거나 불순물이 혼입된 것을 육안으로 쉽게 판별할 수 있어 제품의 출시여부 판단 및 가공 방법 등의 기준을 수립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도금강판(200)을 신장, 절곡 시킨 후 도금층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변화를 연마작업을 통해 정확하게 파악하고, 연신율을 확인할 수 있어 기계적 성질을 동시에 간단히 시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평가장치(100)의 작동이 반자동화로 이루어져 최소의 인원으로 시험을 수행할 수 있어 인건비가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도금강판(200)의 절곡시 마찰현상이 최소화 되도록 크롬도금층을 금형의 표면에 형성하여 금형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외판재의 가공결함 평가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프레임부에 금형들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프레임부에 금형들이 설치된 상태의 일 측면도,
도 4는 자동차 외판재의 가공결함 평가장치의 평가방법 순서도,
도 5는 도 4의 순서대로 평가방법을 나타낸 공정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유압유니트부 11 : 케이스
12 : 유압탱크 13 : 유압펌프
14 : 컨트롤밸브 15 : 축압기
20 : 프레임부 21 : 바닥프레임
22 : 기둥프레임 23 : 천정프레임
30 : 상부금형 31 : 유압실린더
32 : 클램핑홈 33 : 삽입홈
34 : 시험면홈 40 : 하부금형
41 : 쿠션 유압실린더 42 : 클램핑돌기
50 : 고정금형 60 : 컨트롤유니트부
100 : 평가장치 200 : 도금강판
S1 : 시편준비단계 S2 : 시편설치단계
S3 : 금형작동단계 S4 : 도금강판가압단계
S5 : 표면연마단계 S6 : 결함확인단계

Claims (4)

  1. 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유압탱크(12)에 저장되어진 유압유를 공급, 회수, 제어하는 유압펌프(13) 및 컨트롤 밸브(14)들이 형성되며, 유압유를 고속으로 가압하기 위한 축압기(15)로 이루어진 유압유니트부(10)와,
    설치면에 설치되는 바닥프레임(21)의 상부 주변으로 직립설치되는 다수개의 기둥프레임(22)이 설치되며, 기둥프레임(22)의 상부에 설치되는 천정프레임(23)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20)와,
    프레임부(20)의 천정프레임(23)에 설치되며 유압유니트부(10)에서 유압유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유압실린더(31)의 작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기동하고 하부 양측면에 클램핑홈(32)이 형성된 상부금형(30)과,
    프레임부(20)의 바닥프레임(21)에 설치되며 유압유니트부(10)에서 유압유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쿠션 유압실린더(41)의 작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기동하면서 가공결합 시험을 할 도금강판(200)이 안치되고, 클램핑홈(32)에 삽입되는 클램핑돌기(42)가 형성된 하부금형(40)과,
    상부금형(30)이 하강하여 하부금형(40)과 함께 도금강판(200)을 가압하면서 상부금형(30)의 가압력에 의해 하부금형(40)이 함께 하강하면서 도금강판(200)의 중앙부분이 당겨져 융기되도록 상부금형(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지는 고정금형(50)과,
    유압유니트부(10) 및 상/하부금형(30,40), 고정금형(50)을 제어하는 컨트롤유니트부(60)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금형(30,40)과 고정금형(50)은 도금강판(200)과의 마찰에 의한 마모현상이 최소화 되도록 표면에 크롬도금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금형(30)의 유압실린더(31) 유압력은 하부금형(40)의 쿠션 유압실린더(41) 유압력보다 더 크게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외판재의 가공결함 평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80099390A 2008-10-10 2008-10-10 자동차 외판재의 가공결함 평가장치 및 그 평가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037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390A KR101037131B1 (ko) 2008-10-10 2008-10-10 자동차 외판재의 가공결함 평가장치 및 그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390A KR101037131B1 (ko) 2008-10-10 2008-10-10 자동차 외판재의 가공결함 평가장치 및 그 평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345A KR20100040345A (ko) 2010-04-20
KR101037131B1 true KR101037131B1 (ko) 2011-05-26

Family

ID=42216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390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7131B1 (ko) 2008-10-10 2008-10-10 자동차 외판재의 가공결함 평가장치 및 그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472B1 (ko) 2012-10-31 2014-10-27 현대제철 주식회사 플랜지 성형성 평가용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랜지 성형 평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35263A (zh) * 2015-09-25 2016-01-13 新民市华星机械工业有限公司 一种上翻下移液压冲压式合模机
CN111906623B (zh) * 2020-08-25 2021-11-30 柳州友助科技有限公司 汽车桥壳板打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47A (ja) * 1994-06-21 1996-01-09 Toyota Motor Corp 均圧クッション装置の調整方法および装置
KR20030055946A (ko) *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가공결함 평가방법
KR20060001515A (ko) * 2004-06-30 2006-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용 쿠션패드 장치
JP2007222926A (ja) 2006-02-27 2007-09-06 Ihi Corp クッション荷重制御装置およびクッション荷重制御装置を備えたプレス機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47A (ja) * 1994-06-21 1996-01-09 Toyota Motor Corp 均圧クッション装置の調整方法および装置
KR20030055946A (ko) *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가공결함 평가방법
KR20060001515A (ko) * 2004-06-30 2006-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용 쿠션패드 장치
JP2007222926A (ja) 2006-02-27 2007-09-06 Ihi Corp クッション荷重制御装置およびクッション荷重制御装置を備えたプレス機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472B1 (ko) 2012-10-31 2014-10-27 현대제철 주식회사 플랜지 성형성 평가용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랜지 성형 평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345A (ko) 201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131B1 (ko) 자동차 외판재의 가공결함 평가장치 및 그 평가방법
CN107350613B (zh) 带有涂镀层的钢工件的电阻点焊工艺方法
JP6289370B2 (ja) 塗膜積層シートメタルの成形方法、及びそれを用いて作製する物品
EP2241494A1 (en) Tailored blank product
JP2012051005A (ja) プレス成形装置および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
GB24575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erplastic forming
WO2007008318A1 (en) Faux stainless steel and method of making
EP2072160A1 (en) Process for producing shaped components from high-strength and ultra high strength steels
CN111136134A (zh) 用于获取弯曲状带筋壁板的成型装置及其成型工艺
WO2009054175A1 (ja) 板金成型用のプレス金型及びプレス金型表面の処理方法、並びに車体の生産方法
JP6731489B2 (ja) 接着剤接続用アルミニウム合金ストリップ
JP2013116475A (ja) アルミニウム板材の温間プレス絞り成形方法
CN101421614A (zh) 用于测试金属涂层的质量的方法和装置
JP4317573B2 (ja) 板金成型用のプレス金型及びプレス金型表面の処理方法、並びに車体の生産方法
JP2012176712A (ja) 自動車外板用冷延鋼板および自動車外板パネル部品
KR101019602B1 (ko) 도금강판의 도금부착성 평가 시험기
KR101042742B1 (ko) 유기피복강판을 이용한 오일필터 하우징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자동차 오일필터 하우징
KR20040012520A (ko) 전착 도장 외관이 우수한 표면처리강판
KR100574403B1 (ko) 용융아연도금강판의 가공결함 평가방법
JP2012035282A (ja) アルミニウム板材のプレス絞り成形方法
Daniel et al. Overview of forming and formability issues for high volume aluminium car body panels
US20090048127A1 (en) Body-in-white stamping lubricant with anti-weld spatter properties and related processes
CN216781058U (zh) 一种工业汽车用夹具限位机构
CN219464571U (zh) 一种数控折弯机的定位工装
Cartwright et al. Effect of low cost press tool materials on formability of sheet st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