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6495B1 -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 - Google Patents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495B1
KR101036495B1 KR1020100127283A KR20100127283A KR101036495B1 KR 101036495 B1 KR101036495 B1 KR 101036495B1 KR 1020100127283 A KR1020100127283 A KR 1020100127283A KR 20100127283 A KR20100127283 A KR 20100127283A KR 101036495 B1 KR101036495 B1 KR 101036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wood
metal plate
guardrail
me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환
기종석
김현규
Original Assignee
(주)이건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건환경 filed Critical (주)이건환경
Priority to KR1020100127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49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25Combinations of at least two of the barrier member types covered by E01F15/04 - E01F15/08, e.g. rolled steel section or plastic strip backed up by cable, safety kerb topped by rail barri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53Rails of materials other than metal or concrete, e.g. wood, plastics; Rails of different materials, e.g. rubber-faced metal profiles, concrete-filled steel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드레일에서 지주와 레일에 금속(steel)과 목재(wood)를 결합한 자재를 사용함으로써, 금속이 가드레일의 강성을 확보해 주고, 목재는 가드레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해 주는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은, H빔의 하부가 지면에 묻혀서 입설(立設)되고, 지상으로 노출된 H빔의 양측 개구(開口)된 부분에 각각 목재를 체결하여 구성된 지주; 단면(斷面)이 'ㄷ'자 형상의 금속판이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금속판의 전면에 목재를 체결하여 구성된 레일; 상기 레일의 금속판과 체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지주와 연결부재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레일의 단부(端部)가 각 지주에 위치하여 이어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금속 플레이트(plate)가 상기 지주와 체결되는 부분의 양단(兩端)을 90°로 1차 절곡시키고, 1차 절곡된 각 단부(端部)를 다시 외향으로 90°절곡시켜서 형성한 본체; 1차 절곡되어 서로 대향된 부분에, 체결시 상기 레일이 위치하게 되는 높이에 사각형 형상으로 뚫은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Guardrail combined with wood and steel}
본 발명은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드레일에서 지주와 레일에 금속(steel)과 목재(wood)를 결합한 자재를 사용함으로써, 금속이 가드레일의 강성을 확보해 주고, 목재는 가드레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해 주는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가드레일이란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도로 양쪽에 설치한 방호책을 말하는데, 특히 산길이나 커브가 많은 도로에서 자동차가 도로 밖으로 추락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설치되며, 도시에서는 보도(步道)와 차도(車道)의 경계에 설치되어 보행자를 보호하고 사고 차량 탑승자의 부상과 차량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때문에 가드레일에는 주행하는 차량이 레일에 충돌했을 경우에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구조적 강성을 가져야 하고 또한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충격 흡수 능력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 충돌로 인한 충격에너지 흡수기능을 갖는 가드레일에 관하여 많은 기술이 출현하였는데, 예를 들면, 특허등록 제506946호 "충격에너지 흡수기능 및 강성을 보강한 가드레일"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수직으로 설치된 지주(1)에 판상(板狀)의 플레이트 부재를 2단 또는 3단으로 굴곡시킨 레일(2, 2')을 체결부재(3)로 결합 고정시켜 설치한 가드레일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가드레일 구조는 레일이 금속판만으로 된 것이어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폭이 큰 플레이트 부재를 부착시킨 레일이 차도와 보도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시야를 차단하고, 차량이 충돌했을 때 플레이트 부재를 굴곡시킨 레일만으로는 충격을 모두 흡수해 줄 수 없으며, 충격이 크면 레일이 받는 충격이 그대로 지주로 전달되기 때문에 사고 차량의 파손과 탑승자의 상해를 줄여 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주행하는 차량이나 중량물이 가드레일에 충돌했을 경우 가드레일이 충격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구조적 강성을 가지면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완충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한 가드레일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드레일에서 지주와 레일에 금속(steel)과 목재(wood)를 결합한 자재를 사용함으로써, 금속이 가드레일의 강성을 확보해 주고, 목재는 가드레일의 외관을 친자연적이고 미려하게 해 줌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가드레일을 연출할 수 있는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일 사이에 중공(中空)의 스페이서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차량이나 중량물이 레일에 충돌하더라도 스페이서가 지주와 레일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여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해 줄 뿐만 아니라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지주가 휘어지거나 넘어져서 사고 차량이 차도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지주의 취약부분에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구조를 구비한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은, H빔의 하부가 지면에 묻혀서 입설(立設)되고, 지상으로 노출된 H빔의 양측 개구(開口)된 부분에 각각 목재를 체결하여 구성된 지주; 단면(斷面)이 'ㄷ'자 형상의 금속판이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금속판의 전면에 목재를 체결하여 구성된 레일; 상기 레일의 금속판과 체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지주와 연결부재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레일의 단부(端部)가 각 지주에 위치하여 이어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금속 플레이트가 상기 지주와 체결되는 부분의 양단(兩端)을 90°로 1차 절곡시키고, 1차 절곡된 각 단부(端部)를 다시 외향으로 90°절곡시켜서 형성한 본체; 1차 절곡되어 서로 대향된 부분에, 체결시 상기 레일이 위치하게 되는 높이에 사각형 형상으로 뚫은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주에서 지면에 묻힌 H빔의 개구된 양 측면에 보강판을 부착시켜 강도를 보강하고, 레일의 양단(兩端)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며, 연결부재는 레일의 금속판과 동일한 단면 형상이고, 길이방향에서 인접하는 양 레일에 모두 체결되도록 설치된다.
삭제
상기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은, 지주와 레일에 목재와 금속을 결합한 자재를 사용함으로써, 금속이 가드레일의 강성을 확보해 주고, 목재는 가드레일의 외관을 친자연적이고 미려하게 해 줌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가드레일을 연출할 수 있다. 또, 레일 사이에 중공(中空)의 스페이서를 삽입하여 지주와 레일 사이에 공간을 확보했기 때문에 차량이나 중량물이 레일에 충돌하더라도 스페이서가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돌시 지주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에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구조를 설치했기 때문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지주가 휘거나 넘어지면서 차량이나 중량물이 차도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탑승자를 보호하여 제2의 사고를 예방해 줄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레일이 길이방향을 따라 굴곡이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폭이 큰 금속판만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레일이 차도와 보도의 시야를 차단시키지만, 본 발명의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은, 레일을 상하로 2단 또는 3단으로 레일 사이를 이격시켜 설치하기 때문에 레일이 차도와 보도의 시야를 차단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량이 레일에 충돌하더라도 다단으로 설치된 레일에 차량이 차례대로 걸리기 때문에 사고 차량이 보도로 돌진하는 것을 막아 제2의 사고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드레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의 정면도와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의 평면도와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을 중앙분리대용으로 설치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의 가장 큰 특징은 지주와 레일을 금속(steel)과 목재(wood)를 결합한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금속이 강성을 확보해 주고, 목재는 가드레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 파손을 줄이고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해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은, 레일을 지주의 일측에만 설치하여 차도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할 수도 있고, 레일을 지주의 양측으로 설치하여 도로의 중앙에 중앙분리대용으로 설치할 수도 있는데, 본 가드레일은 지주(10), 스페이서(20), 연결부재(30) 및 레일(40)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구비한다.
지주(10)는 기본적인 프레임이 H빔(11)인데, 길이의 반 이상이 지면에 묻혀서 입설(立設)되고, 지상으로 노출되는 H빔(11)의 양측 개구(開口)된 부분에는 각각 목재(13)를 삽입하고, 양측 목재와 H빔을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해서 구성한다(도 3 참조). 이와 같이 H빔(11)의 양측에 목재(13)를 결합시킴으로써 지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H빔이 비틀림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보강해서 H빔의 취약점을 보강해 준다. 또한, 길이방향(즉, 차가 달리는 도로방향)에서 인접하는 레일(40)의 단부(端部)가 각 지주(10)에 위치하여 이어지도록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차량이나 중량물이 충돌하여 가드레일에 충격이 가해지면, 레일(40)이 휘어지면서 지주(10)도 꺾여지게 되는데, 이때 지주(10)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이 지면에서부터 지하로 약 50㎝ 되는 부분까지(지주는 지하로 보통 100∼120㎝ 정도 묻히게 설치됨)이므로, 이런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지주(10)의 가장 취약한 부분에 보강판(15)을 설치했다. 보강판(15)은 철판인데, H빔(11)의 양측 개구된 부분에 철판을 대고 용접하여 H빔의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H빔(11)이 충격으로 인해 휘거나 비틀리는 것을 보강해 주게 된다.
레일(40)은 금속판(41)과 목재(43)를 체결수단으로 체결한 바(bar) 형상으로 제작되어 목재(43)가 위치한 부분이 차량이 주행하는 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데, 금속판(41)은 단면(斷面)이 'ㄷ'자 형상으로 양단을 절곡시킨 형상이고 레일의 후면(즉, 지주가 위치하는 쪽)에 위치하게 배치되며, 목재(43)는 금속판(41)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는데 목재(43)의 일부는 금속판(41)의 절곡된 부분 사이에 삽입되어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한다(도 4 참조).
레일(40)은 도로를 따라 1단으로만 설치할 수도 있지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과 레일 사이를 상하로 이격시켜 2∼3단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다단(多段)으로 설치된 레일은 레일과 레일 사이가 개방된 개방형이기 때문에 레일이 시야를 방해하지 않게 되고, 차량이 레일에 충돌하더라도 사고 차량이 다단으로 설치된 레일의 각 단에 차례대로 걸리면서 일시에 보도로 돌진하는 것을 막아 줄 수 있다.
또한 레일(40)을 지주(10)의 일측으로만 설치할 수도 있고, 지주(10)의 양측으로 설치(도 5 참조)하여 중앙분리대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레일(40)의 양단(兩端)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이 레일에 충돌할 때 차량이 충돌한 레일이 찌그러지면서 차량은 도로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양단을 경사지게 설치하면, 인접하여 설치된 레일의 단부가 경사져 있기 때문에 충돌 차량이 경사진 단부를 타고 인접 레일로 진행하게 되어 차량이 받는 충격을 조금이라도 줄여 줄 수 있어서 차량 파손과 탑승자가 받는 충격을 완화해 줄 수 있다.
연결부재(30)는 금속 플레이트의 양단을 절곡시킨 형상으로 레일의 금속판(41)과 동일한 단면 형상이고, 레일의 금속판(41)과 연결부재(30)는 절곡시키지 않은 부분끼리를 서로 맞대고 체결시키게 된다. 레일(40)의 단부가 각 지주(10)에서 만나 이어지게 되므로, 연결부재(30)는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레일(40)에 모두 체결되도록 설치된다.
스페이서(spacer, 20)는 금속 플레이트(plate)의 양단을 절곡시킨 것으로 지주(10)와 연결부재(30)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스페이서(20)에서 지주(10)와 체결되는 부분의 양단(兩端)을 90°로 1차 절곡시켜 대향하는 면을 형성한 다음, 1차 절곡된 대향하는 면의 각 단부(端部)를 다시 외향으로 90°로 절곡시켜서 본체(21)를 형성하고(즉, 본체의 단면이 '
Figure 112010082119983-pat00001
' 형상), 1차 절곡되어 서로 대향된 부분에는 체결시 레일(40)이 위치하게 되는 높이에 사각형 형상으로 구멍(23)을 각각 뚫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구멍은 반드시 사각형 형상이 아니더라도 상관없다.
스페이서(20)는 지주(10)와 레일(40) 사이의 간격유지 기능과 충격흡수 기능을 하는 구성으로, 스페이서가 레일과 지주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여 차량이 레일에 충돌하고 난 다음 곧바로 지주에 충돌하지 않고 레일을 타고 도로방향으로 나가게 하여 사고 차량의 바퀴가 지주에 걸려 차량이 전복되거나 회전하여 차량이 더 많이 파손되고 제2의 사고를 유발하거나 탑승자가 더 큰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역할과, 차량이 레일에 충돌했을 때 충격을 흡수해 주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므로, 지주(10)와 레일(40)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여 충격을 흡수하면서 적절하게 찌그러져야 하는데, 금속 플레이트에 이와 같은 구멍(23)을 형성해 둠으로써 레일(40)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지주(10)에 곧바로 전달하지 않고 레일과 지주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스페이서(20)가 적절하게 찌그러지면서 자체에서 충격을 흡수해 주게 된다.
스페이서(20)는 절곡되지 않은 부분은 지주의 H빔(11)과 체결수단으로 체결되고, 외향으로 절곡된 양 단부에는 연결부재(30)가 스페이서(20)에 꽂아 들어가서 결합 설치되어 지주(10)와 레일(40)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도록 설치되는데, 레일의 금속판(41) 내측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끼워 금속판(41)과 연결부재(30) 및 스페이서(20)의 외향으로 절곡된 양 단부를 일체로 체결하여 설치하게 된다. 레일(40)을 다단(多段)으로 설치할 경우, 연결부재(30)는 레일(40)의 각 단(段)마다 하나씩 체결되지만, 스페이서(20)는 하나의 지주(10)에 하나의 스페이서(20)만 체결되기 때문에 하나의 스페이서(20)에 각 단(段)의 레일(40)이 모두 체결되어 일체가 되게 된다.
기존 가드레일의 경우 레일이 절곡된 금속판으로 되어 있어서 레일 사이가 개방되어 있지 않은 대신 레일 전체가 힘을 받아 차량이 레일을 뚫고 지나가는 것을 방지해 준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레일 사이가 개방된 개방형의 경우에는 레일 각각이 힘을 받기 때문에, 연결부재(30)가 길이방향에서 레일 각각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고 스페이서(20)가 상하방향에서 각 단(段)의 레일을 연결해 일체로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되어 충돌시 레일 하나만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여, 차량이 충돌하더라도 레일을 뚫고 지나가지 못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금속판으로 된 기존의 레일이 시야를 차단하는 문제를 해결해 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지주 11 : H빔
13 : 목재 15 : 보강판
20 : 스페이서 21 : 본체
23 : 구멍
30 : 연결부재
40 : 레일 41 : 금속판
43 : 목재

Claims (6)

  1. 도로를 따라 설치되는 가드레일에 있어서,
    H빔의 하부가 지면에 묻혀서 입설(立設)되고, 지상으로 노출된 H빔의 양측 개구(開口)된 부분에 각각 목재를 체결하여 구성된 지주;
    단면(斷面)이 'ㄷ'자 형상의 금속판이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금속판의 전면에 목재를 체결하여 구성된 레일;
    상기 레일의 금속판과 체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지주와 연결부재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스페이서;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레일의 단부(端部)가 각 지주에 위치하여 이어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금속 플레이트(plate)가 상기 지주와 체결되는 부분의 양단(兩端)을 90°로 1차 절곡시키고, 1차 절곡된 각 단부(端部)를 다시 외향으로 90°절곡시켜서 형성한 본체;
    1차 절곡되어 서로 대향된 부분에, 체결시 상기 레일이 위치하게 되는 높이에 사각형 형상으로 뚫은 구멍;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에서 지면에 묻힌 H빔의 개구된 양 측면에 보강판을 더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하로 2∼3단으로 설치되며, 각 레일의 양단(兩端)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지주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
  5.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레일의 금속판과 동일한 단면 형상이고, 길이방향에서 인접하는 레일에 모두 체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
  6. 삭제
KR1020100127283A 2010-12-14 2010-12-14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 Active KR101036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283A KR101036495B1 (ko) 2010-12-14 2010-12-14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283A KR101036495B1 (ko) 2010-12-14 2010-12-14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495B1 true KR101036495B1 (ko) 2011-05-24

Family

ID=4436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283A Active KR101036495B1 (ko) 2010-12-14 2010-12-14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4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369B1 (ko) * 2011-06-02 2011-12-23 (주)장안산업 충격흡수형 친환경 목재난간
KR101115356B1 (ko) 2011-11-11 2012-02-15 (주)이건환경 목재와 금속을 결합한 개방형 가드레일
CN110029609A (zh) * 2019-05-06 2019-07-19 山东创安交通预警工程有限公司 可调节插接式道路护栏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622A (ja) * 2001-02-21 2002-11-08 Kazumitsu Kanamaru 木製防護柵
KR20040041895A (ko) * 2002-11-12 200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랙킹 에러 신호의 언밸런스 검출 오차를 감소시키는 광디스크 재생장치의 트랙 밸런스 조정 방법 및 장치
KR100573801B1 (ko) * 2005-05-19 2006-04-24 박중석 완충브라켓트가 설치된 도로용 가드레일
KR200441895Y1 (ko) * 2007-07-18 2008-09-17 (주) 케이 이엔씨 목재난간 조립구조
KR20100005934U (ko) * 2008-12-03 2010-06-11 강민하 보강목재 및 이를 이용한 가드레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622A (ja) * 2001-02-21 2002-11-08 Kazumitsu Kanamaru 木製防護柵
KR20040041895A (ko) * 2002-11-12 200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랙킹 에러 신호의 언밸런스 검출 오차를 감소시키는 광디스크 재생장치의 트랙 밸런스 조정 방법 및 장치
KR100573801B1 (ko) * 2005-05-19 2006-04-24 박중석 완충브라켓트가 설치된 도로용 가드레일
KR200441895Y1 (ko) * 2007-07-18 2008-09-17 (주) 케이 이엔씨 목재난간 조립구조
KR20100005934U (ko) * 2008-12-03 2010-06-11 강민하 보강목재 및 이를 이용한 가드레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369B1 (ko) * 2011-06-02 2011-12-23 (주)장안산업 충격흡수형 친환경 목재난간
KR101115356B1 (ko) 2011-11-11 2012-02-15 (주)이건환경 목재와 금속을 결합한 개방형 가드레일
CN110029609A (zh) * 2019-05-06 2019-07-19 山东创安交通预警工程有限公司 可调节插接式道路护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728B1 (ko) 가드레일
KR101737470B1 (ko) 비탈면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수평지지력 보강ㆍ제어시스템 및 비탈면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수평지지력 보강ㆍ제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가드레일 설치공법
KR101036495B1 (ko) 목재 금속 결합형 가드레일
KR10087203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KR101219272B1 (ko) 충격흡수가 용이한 가드레일
JPS6012484B2 (ja) 道路保護障壁
KR102157872B1 (ko) 도로용 가드레일의 레일 간 결합구조
KR101218799B1 (ko) 가드레일 커플러 일체형 스페이서
KR20130004377U (ko) 가드레일용 전면보강부재
KR100682791B1 (ko) 차량용 방호 울타리
KR101256454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1235823B1 (ko)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
KR101115356B1 (ko) 목재와 금속을 결합한 개방형 가드레일
KR20120001920U (ko) 도로 가드레일 결합형 보조가드레일지주
KR101938143B1 (ko) 반강성 케이블 방호울타리 및 이에 사용되는 비대칭 블록아웃
KR101022246B1 (ko)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 구조를 구비한 도로용 가드레일
KR101137587B1 (ko) 비상회차 가드레일
KR20100007313U (ko) 가드레일 보강제 지주 완충 충격흡수 패킹
KR101764833B1 (ko) 중앙분리대 및 노측에 설치되는 충격흡수 가드레일의 슬라이딩 지지구조물
KR10118142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0666587B1 (ko) 급커브 도로의 콘크리트 방호책 보강구조
KR101177427B1 (ko) 가드레일
KR10124626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200313283Y1 (ko) 가드레일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5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1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