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193B1 - Air Conditioner with Exhaust Heat Recovery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with Exhaust Heat Recove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6193B1 KR101036193B1 KR1020110023662A KR20110023662A KR101036193B1 KR 101036193 B1 KR101036193 B1 KR 101036193B1 KR 1020110023662 A KR1020110023662 A KR 1020110023662A KR 20110023662 A KR20110023662 A KR 20110023662A KR 101036193 B1 KR101036193 B1 KR 1010361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exhaust
- flow
- ventilation
- flow pa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02P80/15—On-site combined power, heat or cool generation or distribution, e.g. combined heat and power [CHP]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열 회수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함체, 함체 내부를 다수 구획하면서 양측에 각각 설치 구동되는 배기용 송풍팬 및 급기용 송풍팬, 배기용 송풍팬의 흡입압에 의해 사용처에서 사용된 환기류를 함체 내부로 흡입안내하는 환기부, 환기류의 일부를 대기중으로 배출안내하는 배기부, 환기류의 일부와 함께 급기용 송풍팬의 흡입압에 의해 함체 내부로 외기를 흡입안내하는 외기부, 흡입된 외기와 환기류의 일부가 통과하는 필터부, 여과된 외기 및 환기류의 일부를 사용처로 공급하는 급기부, 환기류와 외기류를 열교환시키도록 배기부와 외기부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형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배기열 회수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배기부와 외기부 사이에는 배출되는 배기류와 도입되는 외기류가 상기 회전형 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열교환없이 곧바로 배출되고 도입되게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유로가 구비되되,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는 배기류와 외기류의 유량을 조절하는 배기부 바이패스댐퍼와 외기부 바이패스댐퍼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열 회수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로 가변형 구조를 갖춤으로써 외기 상태에 따라 환기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어 정압 조절이 용이하고, 환기량에 맞춰 열교환시키므로 열교환 효율도 향상되며, 에너지 절감 효과도 향상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exhaust heat recovery function, and is used in an application by the suction pressure of an exhaust blower fan for supplying air, a blower fan for supplying air, and an exhaust blower fan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the compartment. Ventilation unit for guiding suctioned air flow inside the enclosure, exhaust unit for guiding a part of the ventilation flow into the atmosphere, and suction air guiding the outside air inside the enclosure by the suction pressure of the blower fan for air supply together with a part of the ventilation flow A filter part through which a part of the base, suctioned air and a part of the ventilation flows, an air supply part for supplying a part of the filtered outside air and a ventilation part to the place of use, and a ventilation part installed between the exhaust part and the outside part to heat exchange the air flow and the air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exhaust heat recovery function including a rotary heat exchanger; Between the exhaust unit and the external air portion is installed the rotary heat exchanger is provided with a bypass flow path for bypassing the exhaust and the introduced air flow is discharged immediately and introduced without heat exchang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rotary heat exchanger, The passage passage provides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exhaust heat recover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n exhaust part bypass damper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exhaust flow and the outside air flow and an external air bypass damper are respectively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having a variable flow path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ventilation type according to the external air condition, it is easy to control the static pressure, heat exchange according to the amount of ventilation is improved heat exchange efficiency is improved, the energy saving effect can also be obtained. .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기열 회수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로터형 전열교환기를 조합하여 처리용량을 조절할 수 있고, 바이패스댐퍼를 통해 환기 또는 외기 도입조건을 쉽게 가변시킬 수 있어 개보수시 설치의 용이성을 가지면서 열교환효율도 향상되어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된 배기열 회수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exhaust heat recovery function,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rocessing capacity by combining a plurality of rotor type heat exchangers,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ventilation or outside air introduction conditions through a bypass damper and install it at the time of renov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improved exhaust heat recovery function to contribute to energy savings by improving heat exchange efficiency with ease of use.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는 일정한 공간을 사람이 활동하기에 알맞은 온도·습도·기류(氣流) 분포로 조절하고, 동시에 공기 속의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를 말한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n apparatus used to adjust a certain space to a temperature, humidity, and airflow distribution suitable for human activity, and to remove dust from the air at the same time.
보통, 사람이 쾌적하게 느끼는 실내온도는 감각에 의한 것이므로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여름철의 경우 외기(外氣)와 기온차가 5∼6℃ 정도, 실내온도 25~29℃, 습도 60~70%가 적당하며, 겨울철에는 실내온도 18∼21℃, 습도 55∼70% 정도가 가장 적정하다고 알려져 있다.Normally, the indoor temperature that a person feels comfortable is based on the senses, and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person.However, in summer, the outdoor air temperature and temperature difference are about 5 to 6 ℃, the room temperature is 25 to 29 ℃, and the humidity is 60 to 70%. In winter, the room temperature is 18 ~ 21 ℃, and the humidity is about 55 ~ 70%.
이때, 공기조화기에서 이러한 온도를 제어하는 원리는 냉동기·냉장고에서 처럼 액체가 증발할 때 주위에서 열을 빼앗는 증발열을 이용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principl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in the air conditioner is to use the heat of evaporation that takes heat from the surroundings when the liquid evaporates, as in a refrigerator or refrigerator.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형식에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소형으로부터 건물에 사용되는 대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데, 대형의 특수형 공기조화기는 주요 장치를 중앙에 놓고 그 곳에서 덕트(duct)로 각 실내의 냉 ·난방을 하는 중앙집중식이 주종을 이룬다.These types of air conditioners range from the small size used in homes to the large size used in buildings. The large sized special air conditioners are equipped with the main unit in the center and the ducts are used to control the cooling and heating of each room. The centralized diet is the dominant.
예컨대,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일 예를 보여 주는데, 환기 및 외기덕트가 구비된 환기부(RA')와 외기부(OA')가 연결되고, 내부에 프리필터(52')ㆍ미디엄필터(54')와 같이 복수로 구비된 필터부(50')와 냉각코일(80') 및 가열코일(90')이 설치된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의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송풍기와 급기덕트가 구비된 급기부(SA')를 포함하는 형태이며, 사용처를 거쳐서 회수되는 공기는 환기덕트를 통해 케이스(100') 내부로 인입되고, 아울러 외기덕트를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인입된다.For example, FIG. 1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wherein a ventilation unit RA 'equipped with ventilation and an outdoor air duct and an external air unit OA' are connected, and a prefilter 52 'and a medium are inside.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100 'and the case 10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lter units 50 ', a cooling coil 80' and a heating coil 90 ', such as a filter 54'. It includes the air supply unit (SA ') is provided with a blower and an air supply duct therein, the air recovered through the use is introduced into the case (100') through the ventilation duct, and the outside air through the outside air duct Is introduced.
이렇게 인입된 환기 및 외기는 혼합된 후 상기 필터부(5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되고, 상기 냉각 및 가열코일(80',90')을 통과하면서 적당한 온도로 냉각 또는 가열된 후 상기 급기부(SA')로 이송되며, 이송된 공기는 송풍기에 의해 급기덕트로 보내져 사용처로 공급된다.The introduced air and the outside air are mixed and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part 50 ', and cooled or heat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cooling and heating coils 80' and 90 '. It is transferred to the base SA ', and the conveyed air is sent to the air supply duct by the blower and supplied to the place of use.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공기조화기에서 환기부(RA')로 배출되는 환기류의 열을 회수하지 못하고 그냥 배출시킬 경우, 막대한 에너지의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By the way, whe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does not recover the heat of the ventilation streams discharged to the ventilation unit RA 'but simply discharges it, a problem of enormous energy waste occurs.
이에, 이를 개선하여 환기부 측에 회전형 또는 정지형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환기류의 폐열을 회수하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시되었다.Accordingly, techniques have been disclosed to recover the waste heat of the ventilation flow by installing a rotary or stationary heat exchanger on the ventilation side.
이와 관련된 기술로, 등록실용 제0447885호, 등록특허 제0562843호 등을 들 수 있다.As a technique related to this, there may be mentioned Registration No. 0447885, Registration No. 0562843, and the like.
그러나, 등록실용 제0447885호는 다수의 댐퍼를 사용하여 실내 오염도에 따라 배기량을 조절하되 최소의 비용으로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기술적 측면에 집중되어 있고, 등록특허 제0562843호는 필터의 개선에 주안점을 두고 있어 사실상 폐열 회수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기술적 진보라고 볼 수 없는 상황이다.However, Korean Patent No. 0447885 focuses on the technical aspect of controlling the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indoor pollution degree using a plurality of dampers, but at a minimum cost, and Patent No. 0562843 focuses on the improvement of the filter. In fact, it is not a technological progress that maximizes waste heat recovery efficiency.
뿐만 아니라, 환절기의 경우 실내 온도가 높고 실외 온도가 17~18℃ 정도로 적정하게 유지되고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이를 직접 도입하여 급기시키는 것이 더 좋음에도 불구하고, 종래 공기조화기 구조는 반드시 열교환기를 거치도록 설계되어 있어 에너지 낭비가 심하였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eason, the indoor temperature is high and the outdoor temperature is properly maintained at about 17-18 ° C., but in some cases, it is better to directly introduce and supply the air conditioner. It was designed so that it was a waste of energy.
또한, 배기열을 회수하기 위한 전열교환기는 용량에 따라 크기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개보수시 상당한 어려움을 갖는데, 이를 테면 개보수될 기존 공조실의 크기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열교환기의 용량을 늘리고 싶어도 용량이 늘어난 만큼 전열교환기 때문에 공기조화기의 크기가 커지게 되므로 기존 공조실의 공간적 제약 때문에 결국 용량을 늘릴 수 없어 개보수가 불가능하며, 또 오래된 공기조화기에 맞는 용량의 전열교환기를 갖춘 공기조화기를 설계하기도 어려워 사실상 개보수 작업은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eat exchanger for recovering exhaust heat is sized according to the capacity, it has a considerable difficulty in renova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of the existing air conditioning room to be renovated is limited, the heat transfer is increased as the capacity is increased even if the capacity of the heat exchanger is increased. As the air conditioner becomes larger due to the exchanger, it is impossible to retrofit it because of the space limitation of the existing air conditioning room, so it is impossible to renovate it.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design an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n electric heat exchanger of a capacity suitable for an old air conditioner. There are considerable difficulties.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배기열 회수를 위한 전열교환기를 멀티로 구축함으로써 용량 가변이 용이하여 개보수시 작은 공간에도 설치하기 쉽고, 다중 유로를 이용하여 도입된 외기를 바이패스시키거나 혹은 열교환기를 거치거나 등과 같이 환기조건을 쉽게 가변시킬 수 있어 에너지 절감 및 정압관리가 유리하고, 나아가 환기량의 변화에 맞게 전열교환기를 통과하는 횟수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열교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 배기열 회수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it is created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ventilation conditions such as bypassing the introduced outdoor air or go through the heat exchanger, which is advantageous for energy saving and static pressure management, and furthermore, by adjusting the number of times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ventilation amount. Its main purpose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exhaust heat recovery function which allows an efficient heat exchange function to be performed.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함체, 함체 내부를 다수 구획하면서 양측에 각각 설치 구동되는 배기용 송풍팬 및 급기용 송풍팬, 배기용 송풍팬의 흡입압에 의해 사용처에서 사용된 환기류를 함체 내부로 흡입안내하는 환기부, 환기류의 일부를 대기중으로 배출안내하는 배기부, 환기류의 일부와 함께 급기용 송풍팬의 흡입압에 의해 함체 내부로 외기를 흡입안내하는 외기부, 흡입된 외기와 환기류의 일부가 통과하는 필터부, 여과된 외기 및 환기류의 일부를 사용처로 공급하는 급기부, 환기류와 외기류를 열교환시키도록 배기부와 외기부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형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배기열 회수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배기부와 외기부 사이에는 배출되는 배기류와 도입되는 외기류가 상기 회전형 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열교환없이 곧바로 배출되고 도입되게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유로가 구비되되,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는 배기류와 외기류의 유량을 조절하는 배기부 바이패스댐퍼와 외기부 바이패스댐퍼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열 회수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used by the suction pressure of the exhaust blower fan and the air supply fan, the exhaust blower fan installed and installed on both sides while the compartment, the inside of the housing a plurality of compartments Ventilation part for guiding the ventilation flow into the enclosure, exhaust part for guiding part of the ventilation flow to the atmosphere, and external part for guiding the outside air into the enclosure by the suction pressure of the blower fan for supplying a part of the ventilation flow A filter section through which a part of the intake air and ventilation flows through, an air supply supplying the filtered outside air and a part of the ventilation flow to the place of use, and a circuit installed between the exhaust section and the outside air section to heat-exchange the ventilation and outdoor air streams.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exhaust heat recovery function including a typical heat exchanger; Between the exhaust unit and the external air portion is installed the rotary heat exchanger is provided with a bypass flow path for bypassing the exhaust and the introduced air flow is discharged immediately and introduced without heat exchang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rotary heat exchanger, The passage passage provides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exhaust heat recover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n exhaust part bypass damper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exhaust flow and the outside air flow and an external air bypass damper are respectively provided.
이때, 상기 회전형 열교환기는 용량에 따라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함체 상에 병렬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At this time, the rotary heat exchanger is provided in plurality in accordance with the capacity, it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parallel on the enclosure.
또한, 상기 회전형 열교환기가 복수로 설치될 때, 복수로 설치되는 회전형 열교환기들을 연결하여 유로를 구성하되, 배기류는 배기류만 유동되는 유로를 구성하고, 외기류는 외기류만 유동되는 다중 유로를 구성하며, 상기 회전형 열교환기의 상하부에는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다수의 조절댐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로 상에는 중간댐퍼를 구비하여 유량에 따라 회전형 열교환기를 거치는 유로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열교환 효율을 제어하는 것을 통해 열교환 효율을 제어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rotary heat exchangers are installed, a plurality of rotary heat exchangers are connected to form a flow path, but the exhaust flow constitutes a flow path through which only the exhaust flows, and the outside air flows through only the external air flow. Comprising a plurality of flow paths,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rotary heat exchang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rol dampers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the intermediate damper on the flow path to adjust the flow path through the rotary heat exchanger in accordance with the flow rate There is also a feature in controlling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through controlling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본 발명에 따르면, 유로 가변형 구조를 갖춤으로써 외기 상태에 따라 환기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어 정압 조절이 용이하고, 환기량에 맞춰 열교환시키므로 열교환 효율도 향상되며, 에너지 절감 효과도 향상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having a variable flow path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ventilation type according to the external air condition, it is easy to control the static pressure, heat exchange according to the amount of ventilation is improved heat exchange efficiency is improved, the energy saving effect can also be obtained. .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일 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열 회수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설명하기 위해 공기조화기의 외형을 모델링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배기열 회수를 위한 전열교환기가 탑재된 상태의 공기조화기를 모델링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열 회수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배기열 회수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배기열 회수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air conditioner in order to explain the air conditioner having an exhaust heat recover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del of an air conditioner in a state in which a total heat exchanger for exhaust heat recovery is mou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and a side 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exhaust heat recovery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and a side 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exhaust heat recovery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illustrate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exhaust heat recovery func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함체(100)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100) 내부 양측에는 각각 배기용 송풍팬(200)과 급기용 송풍팬(300)이 설치되는데, 상기 배기용 송풍팬(200)은 배기용 모터(210)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급기용 송풍팬(300)은 급기용 모터(310)에 의해 구동된다.As shown in FIG. 2,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때, 상기 함체(100)는 도 4와 같이, 다수의 박스형 케이싱, 즉 팬박스(102,104), 공기혼합박스(106, 열교환기가 있을 경우에는 '열교환유닛'이라 함), 코일박스(108)가 상호 조립되어 이루어지며, 이것이 곧 공기조화기를 구성한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함체(100)의 상부에는 도 2와 같이, 환기류를 흡입하는 환기부(RA)와, 배기류를 배출하는 배기부(EA)와,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부(OA) 및 도입된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부(SA)가 마련되는데, 각각에는 환기덕트(410), 배기덕트(420), 외기덕트(430) 및 급기덕트(440)가 구비된다.The upper part of the
여기에서, 더 정확하게는 상기 환기부(RA)의 경우 배기용 팬박스(102)에 설치되고, 배기부(EA)와 외기부(OA)는 공기혼합박스(106)에 설치되며, 급기부(SA)는 급기용 팬박스(104)에 설치되는 것이지만, 이들 모두가 조립된 상태의 구조체를 함체(100)로 명명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상 이들이 함체(100)에 설치된 것으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 more precisely, the ventilation unit RA is installed in the
아울러, 상기 외기부(OA)와 급기부(SA) 사이의 함체(100) 내부에는 필터부(400)가 마련되어 급기용 공기를 여과시킨 상태에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최종 급기전에 제어조건에 따라 냉방일 경우에는 냉각코일(미도시)을 거쳐 냉기를 급기하도록 하고, 난방일 경우에는 가열코일(미도시)을 거쳐 온기를 급기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
그리하여, 상술한 방식으로 환기와 급기가 이루어지는데, 이를 테면 환기량을30%로 유지한다는 것은 환기부(RA)로부터 흡입된 양의 30%는 배기부(EA)를 통해 배출하고, 70%는 함체(100) 내부의 중간에 설치된 댐퍼(도면번호생략)를 통해 급기부(SA)로 공급하며, 배출시킨 30% 만큼 외기부(OA)를 통해 외기를 도입시킴으로써 급기부(SA)를 통해 최종 급기되는 양은 환기시 순환되는 70%와 도입된 외기 30%를 합하여 100%를 유지하게 된다.Thus, ventilation and air supply are made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For example, maintaining 30% of the ventilation amount means that 30% of the amount sucked from the ventilation unit RA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unit EA, and 70% is contained in the enclosure. 100 is supplied to the air supply unit SA through a damper (not shown)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interior, and the final air supply is made through the air supply unit SA by introducing external air through the external air unit OA by 30% discharged. The amount is maintained at 100% by combining 70% circulating during ventilation and 30% introduced air.
이러한 설명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인 설명에 불과하며, 컨트롤러에서 그 비율을 자동제어하여 환경조건에 따라 조절하게 된다.This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and the controller automatically controls the ratio and adjusts it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여기에서, 배기열 회수기능은 도 3과 같은 형태로 구현된다.Here, the exhaust heat recovery func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as shown in FIG.
즉, 도 3에서와 같이, 배기부(EA)를 통한 배기류와, 외기부(OA)를 통한 도입류가 서로 열교환될 수 있도록 회전형 열교환기(500)가 함체(100) 상부에 설치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이때, 상기 회전형 열교환기(500)는 일명, '로터(Rotor) 열교환기'로서, 전열교환기이며, 이는 앞서 설명한 등록특허 제056284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유닛이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 외형에 도 3과 같은 전열교환기, 즉 회전형 열교환기가 탑재된 구조를 본 발명에 따른 배기열 회수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기본 구조로 한다.As such, the structure in which the preheat exchanger, that is, the rotary heat exchanger as shown in FIG. 3 is mounted on the outer shape of th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2 is used as the basic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the exhaust heat recover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본 발명 제1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기본 구조에 바이패스댐퍼(Bypass Damper)가 더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bypass damper is further installed in the above-described basic structure.
즉, 상기 바이패스댐퍼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배기부(EA) 쪽에 설치된 배기부 바이패스댐퍼(610)와, 외기부(OA) 쪽에 설치된 외기부 바이패스댐퍼(620)로 구분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bypass damper is divided into an exhaust
그리고, 각 바이패스댐퍼는 전열교환기인 회전형 열교환기(500)와 간섭되지 않게 병렬로 설치되어 별도의 유로를 갖는다.In addition, each bypass damper is installed in parallel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따라서, 회전형 열교환기(500)를 통해 배기열을 회수할 필요가 없을 경우, 이를 테면 환절기, 특히 실내온도가 높고 실외 온도가 17~18℃ 정도로 신선하게 유지되는 환절기 상황의 경우 외기를 직접 실내로 도입시키는 것이 더 유리할 때가 있다.Therefore, when it is not necessary to recover the exhaust heat through the
이와 같은 경우에는 회전형 열교환기(50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배기부 바이패스댐퍼(610)와 외기부 바이패스 댐퍼(620)의 개도를 조절하게 되면, 환기류는 배기부(EA)를 통해 열교환없이 직접 배기시킬 수 있고, 도입되는 외기, 즉 도입류도 열교환없이 그 상태로 직접 도입시킬 수 있어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곧바로 급기시킬 수 있게 된다.In such a case, when the operation of the
이에 따라, 회전형 열교환기(500)를 가동시킬 필요가 없어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환기시 회전형 열교환기(500)의 가동에 따라 발생되는 정압이 걸리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not necessary to operate the
즉, 사용처를 거친 환기류는 환기부(RA)를 통해 함체(100) 내부로 흡기되고, 흡기된 환기류는 다시 배기용 모터(210)에 의해 구동되는 배기용 송풍팬(200)의 송풍압에 의해 일부는 유해공기와 함께 배기부(EA)를 통해 배기되고, 나머지 일부는 외기가 유입되는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That is, the ventilation flow that has passed through the use is intaken into the
동시에, 급기용 모터(310)에 의해 구동되는 급기용 송풍팬(300)의 흡입압 때문에 외기부(OA)를 통해 외기가 도입되고, 도입된 외기는 환기류의 일부와 함께 급기용 송풍팬(300)으로 흡입된 후 급기부(SA)를 통해 사용처로 급기된다.At the same time,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outside air unit OA due to the suction pressure of the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동안 열을 품고 있는 환기류는 회전형 열교환기(500)의 로터(Rotor) 일측에 열을 남기고 배기되며, 배기열 회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회전형 열교환기(500)를 일정 주기로 회전시키면 열을 전도받은 반쪽이 외기가 도입되는 쪽으로 이동하였을 때 도입류에게 그 열을 전달하는 형태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렇게 예열된 상태를 유지하는 도입류는 난방이 필요할 경우 어느 정도 예열된 상태에서 가열되기 때문에 그만큼 열량이 적게 들어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게 된다.While such a process is repeatedly performed, the ventilation flow bearing heat is exhausted while leaving heat on one side of the rotor of the
반면에, 냉방이 필요한 경우에는 반대로 환기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외기보다 낮으므로 도입되는 외기가 열교환을 통해 어느 정도 냉각된 상태로 도입되어 공급되기 때문에 냉각코일을 통해 냉각시킬 때 그만큼 에너지 소모가 줄어 들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cooling is required, the temperature of the air vented and discharged is lower than that of the outside air, and thus the energy consumption is reduced when cooling through the cooling coil because the introduced outside air is introduced and supplied in a somewhat cooled state through heat exchange. Will be reduced.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환절기 조건이라면, 제어패널(미도시) 상의 키조작 혹은 설정조건에 따라 바이패스 모드로 전환되면서 회전형 열교환기(500)의 구동은 정지되고, 바이패스 유로가 열리게 되므로 환기류와 도입류(외기)가 서로 열교환되지 않기 때문에 도입류의 경우 예열되지 않은 상태로 바로 급기되기 때문에 더욱 더 높은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transitional con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of the
여기에서, 굳이 바이패스댐퍼를 사용하지 않고 회전형 열교환기(500)를 단순히 정지시킨 상태로 유지하여도 열교환없이 배기류와 도입류를 바이패스시킬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배기류와 도입류에는 입자가 큰 파티클은 물론 미세먼지와 이물질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이물질들이 좁은 유로인 회전형 열교환기(500)를 지속적으로 장시간 한방향으로만 통과하게 되면 이들 이물질들이 회전형 열교환기(500)의 좁은 유로상에 누적, 고착되면서 열교환유로를 폐쇄시키는 문제를 유발시키므로 그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Here, even if the
즉, 회전형 열교환기(500)는 회전되면서 대략 반쪽씩 구획된 열교환유로를 통해 반쪽은 배기류가 통과하고, 나머지 반쪽은 도입류가 통과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그 위치가 주기적으로 바뀌면서 공기의 흐름이 전환되게 되므로 결국 걸려 있던 파티클 등의 이물질이 배기류를 따라 이동하다가 열교환유로에 걸렸다면 그 상태로 90°회전되었을 때 도입류에 의해 도입류 방향으로 빠지게 되고, 도입류에 포함된 이물질이 도입류를 따라 이동하다가 열교환유로에 걸렸다면 그 상태로 90°회전되었을 때 배기류에 의해 배기류 방향으로 빠지게 되므로 결국 이물질이 열교환유로에 누적되거나 고착되는 현상이 방지된다.That is, the
따라서, 회전형 열교환기(500)는 반드시 회전되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Therefore, the
다만,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형 열교환기(500)의 일측에 바이패스 유로를 구성하고, 이를 개방하게 되면 공기의 유동이 유로가 좁아 유동이 어려운 회전형 열교환기(500) 쪽 보다 유동이 훨씬 자유로운 바이패스 유로 쪽으로 집중되게 되므로 이 경우에는 회전형 열교환기(500)의 회전을 정지시켜도 이물질이 열교환유로에 누적되거나 고착되지는 않는다.
Howev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ypass flow path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발명 제2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시예의 구조에서 회전형 열교환기(500)를 복수로 수평선상에 병렬배치한 멀티형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5,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물론, 이 경우에도 바이패스 유로를 구성하는 바이패스댐퍼, 즉 배기부 바이패스댐퍼(610)와, 외기부 바이패스 댐퍼(620)는 그대로 구비된다.Of course, even in this case, the bypass damper constituting the bypass flow path, that is, the exhaust
따라서, 개보수 작업시 전열교환기의 용량 증대가 필요하거나 혹은 전열교환기의 용량을 가변시킬 필요가 있을 때 상기와 같이 병렬배치한 회전형 열교환기(500)의 갯수를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capacity of the total heat exchanger needs to be increased or the capacity of the total heat exchanger needs to be changed during the refurbishment work, it is possible to easily cope by adjusting the number of the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본 발명 제3실시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형 열교환기(500)가 복수로 병렬설치되는 경우 유로(P)를 구성하여 환기량에 따른 열교환 효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6 and 7, when the
예컨대, 도 7과 같이 3개의 회전형 열교환기(500)가 복수로 병렬 설치된다고 가정했을 때 회전형 열교환기(500)를 거칠 수 있는 다중 유로(P)를 구성하고, 각 유로(P)에는 각각 조절댐퍼(D)를 설치하며, 유로와 유로 사이에는 중간댐퍼(D1)를 설치함으로써 환기량에 따라 회전형 열교환기(500)를 거치는 환기류 혹은 외기량에 따라 회전형 열교환기(500)를 거쳐 도입되는 도입류가 서로 열교환되는 비율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ree
즉, 조절댐퍼(D)와 중간댐퍼(D1)를 조절하여 배기될 배기류가 유로(P)를 따라 이동하면서 3개의 회전형 열교환기(500)를 순차적으로 다 거친 다음 최종 배출되게 되고, 도입될 도입류도 마찬가지의 경로를 거치게 함으로써 적은 에너지로도 열교환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by adjusting the control damper (D) and the intermediate damper (D1), the exhaust stream to be exhausted moves along the flow path (P) sequentially after passing through the three rotary heat exchanger (500) and finally discharged, By introducing the same flow through the same path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with less energy.
여기에서, 설명의 편의상 회전형 열교환기(500)가 3개 설치된 예를 도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설치환경에 따라 상기 회전형 열교환기(500)는 1개, 2개, 3개, 4개 등 다양한 갯수로 설치될 수 있다.Her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nly three
그리고, 사실상 상기 조절댐퍼(D)는 도 6과 같이 회전형 열교환기(500)를 사이에 두고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풍량에 따라 하나의 회전형 열교환기(500)만을 거친 다음 배기 또는 도입될 수 있고, 또 두 개의 회전형 열교환기(500)를 거친 다음 배기 또는 도입될 수 있으며, 또 세 개의 회전형 열교환기(500)를 거친 다음 배기 또는 도입될 수 있도록 그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damper (D) is installed on one side or both sides with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기열 회수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는 필요에 따라 환기류 또는 외기류(도입류)를 바이패스시킬 수도 있고, 다수의 전열교환기를 복수로 병렬설치한 멀티형으로 구성하여 설치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의 조절댐퍼(D)를 이용하여 환기량 또는 외기 도입량에 따라 열교환 효율을 조절할 수도 있어 에너지 절감은 물론 설치의 용이성을 확보하고, 폐열의 회수 효율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air conditioner having the exhaust heat recover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ypass ventilation or external air (introduction) as necessary, and may be configured in a multi-typ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thermal heat exchangers are installed in parallel in an installation environment.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amount or the air introduction amount by using a plurality of control dampers (D) in some cases, thereby saving energy as well as facilitating installation and improving waste heat recovery efficiency. You can get the effect.
100 : 함체 200 : 배기용 송풍팬
300 : 급기용 송풍팬 400 : 필터부
EA : 배기부 OA : 외기부
RA : 환기부 SA : 급기부100: enclosure 200: blowing fan for exhaust
300: air supply fan 400: filter unit
EA: Exhaust part OA: External part
RA: Ventilation part SA: Supply part
Claims (3)
상기 회전형 열교환기(500)가 설치되는 배기부(EA)와 외기부(OA) 사이에는 배출되는 배기류와 도입되는 외기류가 상기 회전형 열교환기(500)를 거치지 않고 열교환없이 곧바로 배출되고 도입되게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유로가 구비되되,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는 배기류와 외기류의 유량을 조절하는 배기부 바이패스댐퍼(610)와 외기부 바이패스댐퍼(620)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열 회수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Ventilation flow used at the place of use by the suction pressure of the exhaust blower fan 200, the air supply blower fan 300, and the exhaust blower fan 200 installed and driven on both sides of the enclosure 100 and the enclosure 100, respectively. By the suction pressure of the ventilation fan (RA) to guide the suction into the interior of the enclosure 100, the exhaust unit (EA) for guiding a part of the ventilation flow into the atmosphere, a part of the ventilation flow along with the suction fan 300 for the air supply. Outside air unit (OA) to guide the outside air intake to the interior of the enclosure 100, the filter unit 400 through which a part of the sucked outside air and ventilation flows, and an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a part of the filtered outside air and the ventilation flow to the place of use ( SA),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exhaust heat recovery function including a rotary heat exchanger (500) provided between an exhaust portion (EA) and an outside air portion (OA) so as to exchange heat between the air flow and the air flow;
Between the exhaust unit EA and the external air unit OA in which the rotary heat exchanger 500 is installed, the exhaust air discharged and the external air introduced therein are discharged immediately without heat exchang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rotary heat exchanger 500. A bypass flow path is provided for bypassing the bypass flow path. The exhaust flow path bypass damper 610 and the external air bypass damper 620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bypass flow path to control the flow rates of the exhaust air and the external air.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exhaust heat recovery function.
상기 회전형 열교환기(500)는 용량에 따라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함체(100) 상에 병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열 회수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ry heat exchanger (500) is provided in plurality in accordance with the capacity, the air conditioner having an exhaust heat recover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parallel on the housing (100).
상기 회전형 열교환기(500)가 복수로 설치될 때, 복수로 설치되는 회전형 열교환기(500)들을 연결하여 유로(P)를 구성하되, 배기류는 배기류만 유동되는 유로(P)를 구성하고, 외기류는 외기류만 유동되는 유로(P)를 구성하며,
상기 회전형 열교환기(500)의 상하부에는 상기 유로(P)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다수의 조절댐퍼(D)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로(P) 상에는 중간댐퍼(D1)를 구비하여 유량에 따라 회전형 열교환기(500)를 거치는 유로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열교환 효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열 회수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 plurality of rotary heat exchangers 500 are installed, the plurality of rotary heat exchangers 500 are connected to form a flow path P, but the exhaust flow paths flow path P through which only the exhaust flows. To configure, the outside air constitutes a flow path (P) that flows only outside air,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otary heat exchanger 500 are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rol dampers (D)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P), the intermediate damper (D1) is provided on the flow path (P) in accordance with the flow rate Air conditioner having an exhaust heat recover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y adjusting the flow path passing through the rotary heat exchanger (5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3662A KR101036193B1 (en) | 2011-03-17 | 2011-03-17 | Air Conditioner with Exhaust Heat Recov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3662A KR101036193B1 (en) | 2011-03-17 | 2011-03-17 | Air Conditioner with Exhaust Heat Recover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36193B1 true KR101036193B1 (en) | 2011-05-23 |
Family
ID=4436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3662A Active KR101036193B1 (en) | 2011-03-17 | 2011-03-17 | Air Conditioner with Exhaust Heat Recover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619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7435B1 (en) | 2013-02-04 | 2014-06-17 | 박춘경 | Out Air Bypass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
KR20150112603A (en) * | 2014-03-28 | 2015-10-07 | 주식회사 브레스 | Renewable energy air handling uni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32254A (en) * | 1992-05-28 | 1993-12-14 | Mitsubishi Heavy Ind Ltd | Installation device for horizontal type compresessor |
JPH06288575A (en) * | 1993-04-02 | 1994-10-11 | Kimura Kohki Co Ltd | Ventilation unit for outdoor air cooling |
KR20060081602A (en) * | 2005-01-10 | 2006-07-13 | 정인숙 |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 ventilator using the same |
KR20100113638A (en) * | 2008-04-16 | 2010-10-21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Air channel switching device and heat exchanging ventil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2011
- 2011-03-17 KR KR1020110023662A patent/KR10103619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32254A (en) * | 1992-05-28 | 1993-12-14 | Mitsubishi Heavy Ind Ltd | Installation device for horizontal type compresessor |
JPH06288575A (en) * | 1993-04-02 | 1994-10-11 | Kimura Kohki Co Ltd | Ventilation unit for outdoor air cooling |
KR20060081602A (en) * | 2005-01-10 | 2006-07-13 | 정인숙 |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 ventilator using the same |
KR20100113638A (en) * | 2008-04-16 | 2010-10-21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Air channel switching device and heat exchanging ventil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7435B1 (en) | 2013-02-04 | 2014-06-17 | 박춘경 | Out Air Bypass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
KR20150112603A (en) * | 2014-03-28 | 2015-10-07 | 주식회사 브레스 | Renewable energy air handling unit |
KR101599298B1 (en) * | 2014-03-28 | 2016-03-03 | 주식회사 브레스 | Renewable energy air handling uni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75075B1 (en) | Desiccant Dehumidifier | |
CN113811720A (en) | PTAC unit with dynamic intelligent air management system | |
CN106403137A (en) | Upper-supply and upper-return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 |
KR100834501B1 (en) | Ventilation Unit Integrated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2052348B1 (en) | Vantilation | |
KR102314183B1 (en) | All-in-one heat exchange ventilator that allows air cooling bypass and de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CN208090865U (en) | A kind of multiple air conditioner heat pump system with dedicated fresh air | |
JP2019189115A (en) | Vehicle heat exchanger | |
KR101036193B1 (en) | Air Conditioner with Exhaust Heat Recovery | |
JP2018123999A (en) | Wind passage selector damper, fan coil unit and air conditioning system | |
CN206361874U (en) | On serve back air cleaning system | |
WO2009005321A2 (en) | Cold and heat air conditioner | |
KR100650164B1 (en) | Waste Heat Recovery Ventilator | |
JP2003074906A (en) | Desiccant dehumidification apparatus | |
CN116324296A (en) | Ventilation device and integrated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same | |
JP2006105426A (en) | Ventilating device and building | |
CN108317650A (en) | A kind of multiple air conditioner heat pump system with dedicated fresh air | |
CN113739284A (en) |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thereof, controller, air condition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 |
EP3133352B1 (en) | Dehumidifying and cooling apparatus | |
CN113294853A (en) | Humidity regulator | |
CN104406254A (en) | Whole-process energy saving type evaporating cooling air conditio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07139333A (en) | Ventilating device and building | |
JP5040464B2 (en) |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system | |
JP4451766B2 (en) | Air conditioner with ventilation function and ventilation air conditioner throughout the building | |
KR100577251B1 (en) | Air-Cleaning Ventila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4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