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5496B1 -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496B1
KR101035496B1 KR1020100079166A KR20100079166A KR101035496B1 KR 101035496 B1 KR101035496 B1 KR 101035496B1 KR 1020100079166 A KR1020100079166 A KR 1020100079166A KR 20100079166 A KR20100079166 A KR 20100079166A KR 101035496 B1 KR101035496 B1 KR 101035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stator
monitoring
sensor
ser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철
송상욱
김구현
최용기
김수기
정석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덕시스템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덕시스템,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덕시스템
Priority to KR1020100079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49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G01R31/343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in op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s Of Circuit Breakers, Generators, And Electric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에서 안전하게 발전기의 운전 상태를 일괄 감시함과 동시에 발전기의 건전성도 함께 감시할 수 있는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합 감시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발전기의 각종 센서(발전기 축전압/축전류 감지센서, 고정자 부분방전 감지센서, 회전자 층간단락 감지센서, 고정자 Endwinding 진동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검출된 아날로그 신호 값을 디지털 신호 값으로 전환한 후, 상기 센서들로부터 데이터 수집 장치인 복수개의 PC기반의 DAQ Unit에서 각각 취득되고, 그 값을 알고리즘(사용자 설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감시 및 분석에 필요한 Date로 변환되어 상위 Server로 통신선을 통하여 전송된다. 또한 Server에서는 PC기반의 DAQ Unit로부터 받아들인 Data를 각종 Graph, Chart 및 보고서 등의 Event Data형태로 표시할 있는 MMI(Man Machine Interface) 프로그램을 구축함으로써 현장 사용자가 원격에서 쉽게 감시 및 분석하며, 또한 이상 유무에 따라 순간 방전 또는 By-Pass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리고 Server와 연결되어 원격지에서도 감시 및 분석이 가능하도록 현장 지시계 시스템을 더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에서 고압회전기기로 하는 발전기의 운전 상태를 일괄 감시함과 동시에 발전기의 건전성도 함께 감시할 수 있어 발전기의 안정운영에 기여할 수 있는 독특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System for Total Monitering On-line Health of the Generator}
본 발명은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고 원격지에서 안전하게 발전기의 운전 상태를 일괄 감시함과 동시에 이상 유무에 따라 순간 방전이 이루어지며, 발전기의 건전성도 함께 감시할 수 있도록 한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발전의 고도화로 발전기 단위 용량의 증가와 함께 발전설비를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어설비도 더욱 고도화, 첨단화함으로써 제어설비의 신뢰성 여부는 발전소 전체의 안정운영을 좌우할 정도로 그 영향력이 커져가고 있다.
그 동안 산업현장 담당자의 능력 및 경험에만 의존하던 산업설비의 감시/진단 기술이 전자,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라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안전하고 과학적인 각종 감시/진단 시스템이 앞 다투어 개발되어 발전설비 관리의 과학화는 물론 비용절감 목적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발전기의 온-라인 감시 시스템은 발전기의 축전압/축전류와, 발전기의 고정자 부분방전과 회전자 층간단락 및 고정자 Endwinding 진동을 감시하는 기술들이 있다. 먼저 발전기의 축전압/축전류는 터빈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발전기에서 유도 자계에 의해 발전기의 회전축에 전압/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발전기의 고정자 부분방전은 발전기가 장기적으로 운전함에 따라 열적, 전기적, 기계적 및 환경적인 복합열화로 인해 절연열화가 발생한다. 열적 열화로 인해 마이카 테이프 사이의 결합력 감소로 에폭시가 많은 영역에서 공극 발생, 전기적 열화로 인한 마이카 테이프 내부에서 균열과 공극 형성, 기계적인 진동에 의해 권선 이동으로 야기되는 마모 및 기계적인 응력을 많이 받고 있는 슬롯 출구의 취약부에서 절연열화가 진행되어 부분방전이 일어나며 고주파 전류 펄스를 발생시킨다. 또한 발전기의 회전자 층간단락은 발전기 회전자의 전기자 반작용(전기자권선의 자속이 계자권선의 자속에 영향을 주는 현상)의 영향으로 인하여 권선층간의 절연이 파괴되어 회전자 층간단락이 일어나며, 발전기의 회전자 권선의 층간단락이 발생하면 자속의 불평형과 비대칭적인 발열로 인한 불안정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발전기의 고정자 단말권선(Endwinding) 진동은 대부분의 계자 권선 단락으로 계자 권선 단락의 경우에는 발전기의 여자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비정상적인 기계적 진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계통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신속하게 권선 내에서의 단락 발생과 정확한 위치를 진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초기에는 주로 단락에 의해서 발생하는 진동을 연속적으로 감시함으로써 이를 진단하는 방법이 이용되었으나 발전기 진동의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현재 제안되는 주요 진단 방법으로는 운전 중에 권선의 임피던스를 간접적으로 측정하여 변화를 감시하는 방법과 계자권선에 AC 전류를 인가하고 픽업 코일을 이용하여 발생된 자속의 대칭성을 확인하는 방법 및 운전 중에 픽업 코일을 통하여 air-gap 자속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들이 있다.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방법은 간헐적인 단락으로 인해 임피던스가 현저하게 변화하는 경우에는 단락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으나 지속되는 단락의 경우는 그 변화가 없기 때문에 감지하기 어렵다. AC 전류 인가에 따른 자속의 대칭성을 확인하는 방법은 발전기의 운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진단을 수행하기 때문에 그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이 크다. 운전 중에 air-gap 자속을 직접 검출하는 방법은 현재까지 신뢰성이 가장 높은 방법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아직 air-gap 자속의 픽업 코일을 갖춘 발전기가 드물기 때문에 초기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최근 해외기술로는, 광학섬유 케이블 가속계를 이용한 고정자와 End-windings과 같이 전기적, 기계적 스트레스로 인하여 구성되는 고압회전기의 진동 주기를 측정하는 센서기술이 있다. 이 센서는 비전도성을 뛰며 전자기적 유도와 방해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센서는 높은 전압, 섭씨 90도 이상의 주변온도, 그리고 대기 안에 높은 수소 밀도 등 위험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 센서기술을 응용ㆍ개량하고 국산화시켜 발전기의 고정자 단말권선에 대한 진동을 감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출원인에 의하여 특허등록 된 바 있는 기술들을 살펴보면, 먼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 제10-0920895호(2009. 10.09)의 발전기 축전압/축전류 온라인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터빈과 발전기를 연결하는 커플링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하는 발전기 축전압/축전류 온-라인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축전압/축전류의 상태를 온-라인 실시간 안정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회전체에 대한 접촉 면적이 넓고 내마모성의 반영구적인 동편조(Copper Braid)로 제작된 특수 브러시를 2중 센서로 사용하여 발전기의 축전압/축전류를 검출하되, 상기 축전류는 저저항의 분류기(Shunt)를 통해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축전압/축전류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 A/D 컨버터의 입력값을, 메모리(SRAM)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 파라미터(Parameter)와 비교·분석 판단하여 모니터링에 필요한 각종 이벤트 데이터로 변환 제어하며, 그 결과를 통신선을 통해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PC기반의 DAQ 유니트와; 상기 PC 기반의 DAQ 유니트로부터 전송된 감시 및 분석용 각종 이벤트 데이터와, 상기 각종 이벤트 데이터에 대응한 발전기의 축전압/축전류의 발생 원인을 추정하고 분석하기 위해 그래픽, 챠트 및 보고서 등의 다양한 형태로 표시되는 사용자 입력용 응용프로그램(Man Machine Interface: MMI) 및 서버운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분석된 데이터를 모니터에 입체적으로 표시 제어하는 서버 및 감시 모니터와, 축전압/축전류 값의 분석 여부에 따라 단계적으로 경고하는 경보기 및 상기 각종 이벤트 정보를 현장에서 수신 감시하는 현장 지시계로 이루어지는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입력부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축전압/축전류를 수동으로 방전 또는 바이패스 시키거나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서버에 의해 자동으로 스위칭되어 방전 또는 바이패스 시키는 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축전압/축전류 온-라인 감시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 제10-0728762호(2007. 06. 14)의 고압회전기기의 부분방전 및 층간단락 온라인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고압회전기기의 부분방전 및 층간단락 발생 여부를 온라인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으로서, 발전기 고정자에 설치되어 회전자 권선의 층간단락 여부를 감지하는 층간단락 감지센서; 발전기의 고정자 또는 발전기 및 고압전동기의 출력 단자측의 각 상에 설치되어 고정자 권선의 부분방전 여부를 감지하는 부분방전 감지센서; 상기 층간단락 감지센서 및 부분방전 감지센서로부터 검출된 감지신호를 동축케이블을 통해 취득하여 감시 및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수집장치;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의 부분방전 및 층간단락 발생 신호를 통신회선을 통해 취합하여 표시 및 외부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데이터 수집장치는, 상기 층간단락 감지센서로부터의 미약한 출력신호를 왜곡없이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상기 출력신호의 형태 및 특성을 변환시키는 신호조절기와, 상기 신호조절기로부터 변환된 층간단락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여 신호의 크기 감쇄를 보정하는 프리앰프와, 상기 프리앰프로부터 보정된 층간단락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제 2 데이터 수집장치의 내부 기능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 2 CPU와, 상기 장치들을 통해 분석된 층간단락 신호를 TCP/IP, RS-232 및 RS-422 통신방식 중 어느 한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회전기기의 온라인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그리고 위 특허기술들 이외에도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 제10-0728761호(2007. 06. 14)의 고압회전기기의 부분방전 및 층간단락 모니터링 방법, 제10-0763613호(2007. 10. 04)의 고압회전기기의 회전자 층간단락 자동분석방법, 제10-0765449호(2007. 10. 09)의 고압전기설비의 부분방전 감시시스템에 있어서의 노이즈제거방법 및 장치, 제10-0799704호(2008. 02. 01)의 고전압 설비의 부분방전 감시센서 및 그 제조방법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국ㆍ내외에 알려진 기술들과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위 특허기술들은 모두 발전기를 부분적으로 감시할 뿐이고, 발전기 시스템을 일괄하여 통합 감시하는 시스템은 아니며, 발전기의 일괄 감시 시스템은 시기적으로 보나 그 중요성 및 감시/진단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안전성에 대한 우려 및 측정기술의 부족 등으로 통합 감시/진단 시스템의 개발이 아예 시도조차 되지 않았거나 부분적 기능을 가진 시스템만을 개발하여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해서, 고압회전기기인 발전기의 운전 상태를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종합적으로 건전성을 원격에서 감시할 수 있는 새로운 통합 감시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 이유는 1)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절연파괴 및 회전자 권선의 단락 현상 사고가 증가 추세에 있다. 2) 발전기 절연 파괴시 불시 고장 및 회전자 단락 발생으로 인한 출력 제한, 성능 저하 등을 초래하며 장기간의 복구 기간이 필요하다. 3) 발전기 축전압에 의한 터빈 및 발전기 베어링 손상 등으로 인한 진동 발생할 우려가 있다. 4) 발전기 고정자의 Key Bar와 고정자 철심 간격의 고정 불량, Fixed Web Plate와 Spring Bar 간격, Floating Web Plate 부적정성과 전기적 중심축(Magnetic Center) 불일치 등으로 인하여 고정자 단말권선(Endwinding)의 진동 및 이음으로 유발되어 축전압/축전류 발생, 고정자 부분방전, 회전자 층간단락 및 고정자 단말권선의 진동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이미 특허등록 된 바 있으며, 현재 NEP(New Excellent Product)를 인증 받아 당진화력발전소의 발전기에 단독으로 시행되고 있는 축전압/축전류, 고정자 부분방전, 회전자 층간단락 감시 모니터링 기술에 더하여, 현재까지 본 출원인 이외에 어느 누구에게도 국산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고정자 단말권선(Endwinding)의 진동까지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감시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기능적으로 응용ㆍ개량된 진동감시센서를 부가하여 일괄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감시 시스템, 즉 고압회전기기의 발전기를 원격에서 일괄 감시함과 동시에 발전기의 건전성도 함께 감시할 수 있는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빈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발전기에서 유도 자계에 의해 발생되는 발전기의 축전압/축전류와, 발전기 내의 고정자 부분방전과 회전자 층간단락 및 고정자 Endwinding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값을 PC기반의 DAQ Unit에서 취득되고, 이를 알고리즘에 의하여 감시 및 분석에 필요한 Date로 변환되어 상위 Monitoring Server로 전송하여 각종 Graph, Chart 및 보고서 등의 Event Date형태로 표시할 있는 MMI(Man Machine Interface) 프로그램과 순간 방전 또는 By-Pass기능을 구성함으로써, 원격에서 안전하게 발전기의 운전 상태를 일괄 감시함과 동시에 이상 유무에 따라 순간 방전이 이루어지며, 발전기의 건전성도 함께 감시할 수 있도록 한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고압회전기기로 하는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의 회전축(10)에 설치되어 동편조(Copper Braid)로 제작된 특수 브러시를 2중 센서로 사용하여 발전기의 축전압/축전류를 감시하는 제1 감지센서(110)와, 상기 발전기의 고정자에 설치되어 고정자 권선의 부분방전 여부를 감시하는 접촉식(EMC) 혹은 비접촉식(SSC)의 제2 감지센서(120)와, 상기 발전기의 고정자(20)에 설치되어 회전자 권선의 층간단락 여부를 감시하는 제3 감지센서(130)와, 상기 발전기의 고정자(30)에 설치되어 고정자 단말권선(Endwinding)의 진동 여부를 감시하는 제4 감지센서(1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감지센서 내지 제4 감지센서로부터 검출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컨버터(210) 및 순차적으로 디지털 신호를 출력시키는 선입선출(FIFO) 버퍼(220)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메모리(350)에 저장된 알고리즘(혹은 사용자 설정 Parameter)과 비교ㆍ분석 판단하여 모니터링에 필요한 각종 이벤트 데이터로 변환 제어하는 PC기반의 제1 DAQ 유니트 내지 제4 DAQ 유니트(300)와; 상기 PC기반의 제1 DAQ 유니트 내지 제4 DAQ 유니트로부터 입력된 상이한 신호들을 표준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 제어하여 통신라인(TCP/IP)(500)을 통해 중앙제어실(600)로 전송하는 통신변환기(400)와; 상기 통신변환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모니터링에 필요한 각종 이벤트 데이터들의 발생 원인을 추정하고 분석하기 위해 그래프, 챠트 및 보고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용 응용프로그램(Man Machine Interface: MMI) 및 서버운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650)와, 분석된 데이터를 모니터에 입체적으로 통합 표시 제어하는 서버(610) 및 감시 모니터(620)와, 상기 서버와 연결된 허브(810)를 통해 분석된 데이터를 인터넷 사용자 및 본사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현장 지시계(800)와, 분석된 데이터 값에 따라 단계적으로 표시 경고하는 시그널/경보기(630)를 구비하는 중앙제어실(600)과; 상기 중앙제어실의 입력부(640)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축전류 및 단락전류를 수동으로 방전 또는 바이패스 시키거나 상기 서버 및 PC기반의제1 DAQ 유니트 내지 제4 DAQ 유니트에 의해 자동으로 스위칭되어 방전 또는 바이패스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감지센서(110) 내지 제4 감지센서(140)와 PC기반의 제1 DAQ 유니트(310) 내지 제4 DAQ 유니트(340)의 개수만큼 스위치(710) 및 R-C병렬회로(720)를 갖는 방전회로부(7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C기반의 제1 DAQ 유니트 내지 제4 DAQ 유니트는, 1~10sec 주기로 상기 제1 감지센서 내지 제4 감지센서에서 검출되는 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에 대응한 각종 이벤트 데이터로 변환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고압회전기기로 하는 발전기의 축전압/축전류와, 고정자의 부분방전 신호 및 회전자의 층간단락 신호와, 고정자 단말권선(Endwinding)의 진동에 대한 이상 유무를 고압회전기기가 운전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실시간 통합 모니터링이 가능함으로써 고압회전기기로 하는 발전기의 고장 가능성을 사전에 감시할 수 있다.
(2)고압회전기기의 발전기 운전 상태를 원격에서 일괄 감시함과 동시에 건전성도 함께 감시할 수 있으므로 발전기의 신뢰성 확보로 발전설비의 안정적인 운영에 기여할 수 있다.
(3)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감시로 발전기의 불시 고장으로 인한 발전기가 정지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함은 물론, 발전기의 중요부분에 대한 예측 정비 자료를 사전에 확보할 수 있는 독특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을 알기 쉽게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의 제1 감지센서 내지 제4 감지센서와 PC기반의 제1 DAQ 유니트 내지 제4 DAQ 유니트 및 방전회로부를 알기 쉽게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제1 감지센서 내지 제4 감지센서와 PC기반의 제1 DAQ 유니트 내지 제4 DAQ 유니트 및 서버를 통해 방전 또는 By-Pass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의 축전압/축전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그래픽과 실물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의 부분방전과 층간단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그래픽과 실물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의 단락권선(Endwinding) 손상 및 진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그래픽과 실물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적 구성은 감지센서(100), 신호처리기(200), PC기반의 DAQ 유니트(300), 통신변환기(400), 통신라인(500), 중앙제어실(600), 방전회로부(700) 및 현장지시계(800)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감지센서(100)는, 제1 감지센서(110) 내지 제4 감지센서(140)로 이루어진다.
제1 감지센서(110)는 발전기의 축전압/축전류를 감시하는 수단으로 발전기의 회전축(10)에 설치되어 동편조(Copper Braid)로 제작된 2중 구조의 특수 브러시를 사용하여 발전기의 축전압/축전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신호를 검출한다(도 5의 부호 110 : 실물사진 참조).
제2 감지센서(120)는 발전기의 고정자 권선의 부분방전을 감시(절연상태)하는 수단으로 발전기의 고정자(20)에 설치되어 고정자 권선의 부분방전 여부를 감시할 수 있는 신호를 검출한다(도 6의 부호 120 : 실물사진 참조).
여기서 상기 제2 감지센서는 접촉식(Epoxy Mica Coupler : EMC)인 경우 발전기의 출력단자에 설치되고, 비접촉식(Stator Slot Coupler : SSC)은 고정자 슬롯(Slot)에 설치되는 방전센서를 사용한다.
제3 감지센서(130)는 발전기의 회전자 권선의 층간단락을 감시하는 수단으로 발전기의 고정자(20) 슬롯에 설치되어 회전자 권선의 층간단락 여부를 감시할 수 있는 신호를 검출한다(도 6의 부호 130 : 실물사진 참조).
제4 감지센서(140)는 발전기의 고정자 단말권선(Endwinding)의 진동을 감시하는 수단으로 발전기의 고정자(30) 바(Bar)에 설치되어 고정자 단말권선(Endwinding)의 진동 여부를 알 수 있는 신호를 검출한다(도 7의 부호 140 : 실물사진 참조).
상기 신호처리기(200)는, 상기 제1 감지센서 내지 제4 감지센서로부터 검출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컨버터(210)와 상기 A/D 컨버터(210)의 입력값을 선입선출(FIFO)하는 버퍼(Buffer)(22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PC기반의 DAQ 유니트(300)는, 상기 제1 감지센서(110) 내지 제4 감지센서(140)로부터 검출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순차 변환시키는 상기 신호처리기(200)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메모리(350)에 저장된 알고리즘(사용자 설정 Parameter)과 비교ㆍ분석 판단하여 모니터링에 필요한 각종 이벤트 데이터로 변환 제어한다.
또한, 상기 PC기반의 제1 DAQ 유니트(310) 내지 제4 DAQ 유니트(340)는, 1~10sec 단위로 상기 제1 감지센서(110) 내지 제4 감지센서(140)의 데이터 검출값을 수집하고 각종 이벤트 데이터로 변환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종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제1 감지센서 내지 제4 감지센서의 검출값에 따른 터빈 및 발전기에서 발생하는 브러쉬 불량 및 브러쉬 접촉불량, 접지계통 이상, 베어링 절연불량, 축과 베어링 마찰, 와인딩 및 코어 이상, 여자기 이상, 베어링 시일 아킹 및 건증기에 의한 정전전압 발생여부와 발전기의 장시간 운전과 스트레스에 의한 열화 및 절연파괴에 따른 축전압/축전류, 부분방전, 층간단락, 단말권선 진동 등의 고장 원인인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PC기반의 제1 DAQ 유니트(310) 내지 제4 DAQ 유니트(340)에는 SSI(System Synchroniztion Interface)버스를 통해 메모리(SRAM)(350) 카드간의 동기화와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소프트웨어가 제공되어 있어 아주 손쉽게 교정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감지센서(110) 내지 제4 감지센서(140)의 신호를 감시 및 분석에 필요한 각종 이벤트 데이터로 변환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 설정 파라미터(Parameter)와 시그널/경보기의 기준값은 상기 메모리(350)에 저장되도록 구성하였다.
다시 말해서, 상기 사용자 설정 파라미터(Parameter) 및 시그널/경보기(630)의 기준값은, 상기 제1 감지센서(110) 내지 제4 감지센서(140)의 동작 기능과 검출된 신호값에 대응하여 상기 PC기반의 제1 DAQ 유니트(310) 내지 제4 DAQ 유니트(340)와 동기화 및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가능한 메모리부(350)에 사전 설정되어 저장되는 것을 더 포함시켰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기반의 제1 DAQ 유니트(310) 내지 제4 DAQ 유니트(340)의 CPU는 멀티펑션을 갖고 슬롯(Slot)을 통해 확장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통신변환기(400)는, 상기 PC기반의 제1 DAQ 유니트 내지 제4 DAQ 유니트로부터 입력된 상이한 신호들을 표준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 제어하여 통신라인(TCP/IP)(500)을 통해 중앙제어실(600)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통신변환기(400)는 현대의 산업용 기기는 네트웍으로 연결되어 많은 정보를 중앙장치에서 감시 제어하는 것이 추세이며, 이 기종의 기기들을 쉽게 연결하기 위해 표준화 프로토콜의 채용이 필수적이다. 표준화 프로토콜을 구현하기 위해 많은 비용을 투자하지 않고 산업용 통신 프로토콜 변환기를 적용하여 손쉽게 표준화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으며, 산업용 통신 프로토콜 변환기는 현재 전력 및 자동화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표준 프로토콜인 DNP3.0, Modbus, Lonworks등이 임베디드로 구현되어 있어 표준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지 않은 장치에 탑재하여 표준화된 네트웍에 연결할 수가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통신라인(500)은, 상기 제1 감지센서(110) 내지 제4 감지센서(140)로부터 검출되어 가공된 분석용 각종 이벤트 데이터를 상기 통신변환기(400)를 통해 중앙제어실(600)의 서버(610)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Internet Protocol Suite)이다. 본 발명에서는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쓰이는 통신규약(프로토콜)인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 중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PC기반의 제1 DAQ 유니트(310) 내지 제4 DAQ 유니트(340)와 상기 통신변환기(400) 간에는 RS-422(Recommended Standard-422)통신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중앙감시실(600)은, 상기 통신변환기(400)로부터 전송된 상기 모니터링에 필요한 각종 이벤트 데이터들의 발생 원인을 추정하고 분석하기 위해 그래프, 챠트 및 보고서 등의 다양한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용 응용프로그램(Man Machine Interface: MMI) 및 서버운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650)와, 분석된 데이터를 모니터에 입체적으로 통합 표시 제어하는 서버(610) 및 감시 모니터(620)와, 분석 데이터 값에 따라 단계적으로 표시 경고하는 시그널/경보기(6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서버(610) 내부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감지센서(110) 내지 제4 감지센서(140)의 검출값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한 각종 이벤트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제어부(미도시)가 더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버(610)는 인터넷 사용자(820) 및 본사 관리자(830)에게도 수신 감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분석된 데이터를 허브(810)를 통해 전송하는 현장 지시계(800)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진다.
도 1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방전회로부(700)는, 상기 중앙제어실(600)의 입력부(640)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축전류 및 단락전류를 수동으로 방전 또는 바이패스 시키거나 상기 서버(610) 및 PC기반의 제1 DAQ 유니트(310) 내지 제4 DAQ 유니트(340)에 의해 자동으로 스위칭되어 방전 또는 바이패스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방전회로부(700)는 스위치(710) 및 R-C병렬회로(720)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감지센서(110) 내지 제4 감지센서(140)와 상기 PC기반의 제1 DAQ 유니트(310) 내지 제4 DAQ 유니트(340)의 개수만큼 구성되어 입력부(640) 및 서버(610)에 의해 수동 혹은 자동으로 스위칭되어 상기 R-C병렬회로(720)의 시정수(τ) 경과에 따라 콘덴서(C1)에 충전된 축전류 및 단락전류가 저항(R2)을 따라 대지로 순간적으로 방전 또는 바이패스 되는 것으로 구성한다(도 4 참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감지센서(110)에 의한 발전기의 축전압/축전류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한 결과를 상기 통합 감시 모니터(620) 상에 그래프, 챠트 등의 다양한 감시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즉, ①은 시/분석/경보 Window 이동 버튼, ②는 실시간 감시값, ③은 시간별 추이 그래프, ④는 일간 추이 그래프, ⑤는 통신상태 LED, ⑥은 경보상태 LED를 각각 나타내므로 사용자가 발전기의 고장구간을 쉽게 확인하고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압회전기의 발전기에 장착되어 축전압/축전류를 감시하는 실물사진 센서를 함께 보여주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감지센서(120) 및 제3 감지센서(130)에 의한 발전기의 고정자 권선에 대한 부분방전 및 회전자 권선에 대한 층간단락 상태를 그래프, 챠트, 파형 등의 다양한 감시형태와 고압회전기의 발전기에 설치되어 운전 중인 센서의 실물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4 감지센서(140)에 의한 발전기의 전기적, 기계적 스트레스로 인한 고정자 단말권선에 대한진동 상태를 그래프, 챠트, 파형 등의 다양한 감시형태로 보여주고 있으며,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통합 감시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응용ㆍ개량되어 국산화시킨 발전기의 고정자 단말권선의 진동을 감시하는 센서가 부착된 실물사진도 함께 보여주고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에 대한 전체 동작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발전기에 각종 센서(발전기 축전압/축전류 감지센서(110), 고정자 부분방전 감지센서(120), 회전자 층간단락 감지센서(130), 고정자 단말권선 진동 감지센서(140))를 설치하여 설정된 시간 간격(1~10sec)으로 검출된 아날로그 신호값을 디지털 신호값으로 순차적으로 변환한 후, 상기 감지센서들(110~140)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인 복수개의 PC기반의 DAQ Unit(310~340)에서 각각의 데이터가 취득되고, 그 값을 알고리즘(사용자 설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감시 및 분석에 필요한 Event Date로 변환되어 표준화된 프로토콜 신호를 갖는 통신변환기(400)를 통해 중앙제어실(600)의 상위 서버(610)로 TCP/IP 통신라인(500)을 경유하여 전송된다. 또한 서버(610)에서는 복수개의 PC기반의 DAQ Unit(310~340)로부터 받아들인 Data를 각종 Graph, Chart 및 보고서 등의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있는 MMI(Man Machine Interface) 프로그램을 구축함으로써, 중앙제어실 근무자와 현장 사용자가 원격에서 쉽게 감시 및 분석하며, 또한 이상 유무에 따라 순간 방전 또는 By-Pass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리고 Server 이외의 원격지에서도 감시 및 분석이 가능하도록 현장 지시계(800) 시스템을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은 고압회전기기로 하는 발전기의 운전 상태를 원격에서 일괄 감시함과 동시에 건전성도 함께 감시할 수 있어 발전기의 안정운영에 기여할 수 있는 독특한 특징을 갖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회전축(Shaft) 20, 30 : 고정자
100 : 감지센서 110 : 제1 감지센서
120 : 제2 감지센서 130 : 제3 감지센서
140 : 제4 감지센서 200 : 신호처리기
210 : A/D컨버터 220 : 버퍼(FIFO)
300 : PC기반의 DAQ Unit 310 : PC기반의 제1 DAQ Unit
320 : PC기반의 제2 DAQ Unit 330 : PC기반의 제3 DAQ Unit
340 : PC기반의 제4 DAQ Unit 350 : 메모리(SRAM)
400 : 통신변환기 500 : 통신라인(TCP/IP)
600 : 중앙제어실 610 : 서버(통합 S/W구축)
620 : 감시 모니터 630 : 4개의 시그널/경보기
640 : 입력부 650 : 저장부
700 : 방전회로부 710 : 4개의 S/W-R
720 : 4개의 R-C병렬회로 800 : 현장 지시계
810 : 허브(HUB Unit) 820 : Internet 사용자
830 : 본사 관리자

Claims (4)

  1. 고압회전기기로 하는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의 회전축(10)에 설치되어 동편조(Copper Braid)로 제작된 특수 브러시를 2중 센서로 사용하여 발전기의 축전압/축전류를 감시하는 제1 감지센서(110)와,
    상기 발전기의 고정자에 설치되어 고정자 권선의 부분방전 여부를 감시하는 접촉식(EMC) 혹은 비접촉식(SSC)의 제2 감지센서(120)와,
    상기 발전기의 고정자(20)에 설치되어 회전자 권선의 층간단락 여부를 감시하는 제3 감지센서(130)와,
    상기 발전기의 고정자(30)에 설치되어 고정자 단말권선(Endwinding)의 진동 여부를 감시하는 제4 감지센서(1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감지센서 내지 제4 감지센서로부터 검출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컨버터(210) 및 순차적으로 디지털 신호를 출력시키는 선입선출(FIFO) 버퍼(220)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메모리(350)에 저장된 알고리즘(혹은 사용자 설정 Parameter)과 비교ㆍ분석 판단하여 모니터링에 필요한 각종 이벤트 데이터로 변환 제어하는 PC기반의 제1 DAQ 유니트 내지 제4 DAQ 유니트(300)와;
    상기 PC기반의 제1 DAQ 유니트 내지 제4 DAQ 유니트로부터 입력된 상이한 신호들을 표준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 제어하여 통신라인(TCP/IP)(500)을 통해 중앙제어실(600)로 전송하는 통신변환기(400)와;
    상기 통신변환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모니터링에 필요한 각종 이벤트 데이터들의 발생 원인을 추정하고 분석하기 위해 그래프, 챠트 및 보고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용 응용프로그램(Man Machine Interface: MMI) 및 서버운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650)와, 분석된 데이터를 모니터에 입체적으로 통합 표시 제어하는 서버(610) 및 감시 모니터(620)와, 상기 서버와 연결된 허브(810)를 통해 분석된 데이터를 인터넷 사용자 및 본사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현장 지시계(800)와, 분석된 데이터 값에 따라 단계적으로 표시 경고하는 시그널/경보기(630)를 구비하는 중앙제어실(600)과;
    상기 중앙제어실의 입력부(640)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축전류 및 단락전류를 수동으로 방전 또는 바이패스 시키거나 상기 서버 및 PC기반의제1 DAQ 유니트 내지 제4 DAQ 유니트에 의해 자동으로 스위칭되어 방전 또는 바이패스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감지센서(110) 내지 제4 감지센서(140)와 PC기반의 제1 DAQ 유니트(310) 내지 제4 DAQ 유니트(340)의 개수만큼 스위치(710) 및 R-C병렬회로(720)를 갖는 방전회로부(7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C기반의 제1 DAQ 유니트 내지 제4 DAQ 유니트는, 1~10sec 주기로 상기 제1 감지센서 내지 제4 감지센서에서 검출되는 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에 대응한 각종 이벤트 데이터로 변환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
  3. 삭제
  4. 삭제
KR1020100079166A 2010-08-17 2010-08-17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 Active KR101035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166A KR101035496B1 (ko) 2010-08-17 2010-08-17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166A KR101035496B1 (ko) 2010-08-17 2010-08-17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496B1 true KR101035496B1 (ko) 2011-05-27

Family

ID=44366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166A Active KR101035496B1 (ko) 2010-08-17 2010-08-17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49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109B1 (ko) * 2013-09-25 2014-04-16 곽기영 동기발전기의 회전자 권선 단락 감시방법
KR101399486B1 (ko) 2012-08-23 2014-05-2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스마트 센서를 이용한 원전 기기 이상 상태 진단 시스템
KR101574528B1 (ko) 2014-11-24 2015-12-09 와이피피 주식회사 전력설비 진단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188149A (zh) * 2018-09-29 2019-01-11 深圳星禾设计有限公司 电信号采集装置
CN110555289A (zh) * 2019-09-27 2019-12-10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基于云计算的电机定子绕组多物理场耦合计算平台及计算方法
CN113341910A (zh) * 2021-04-30 2021-09-03 浙江大唐乌沙山发电有限责任公司 高压电动机非电量保护测控装置及保护测控方法
CN113955149A (zh) * 2021-11-25 2022-01-21 北京润科通用技术有限公司 一种电机系统的健康诊断方法和装置
CN114089186A (zh) * 2021-11-10 2022-02-25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检修分公司 一种电机状态检测分析预警方法及设备
KR20220155832A (ko) 2021-05-17 2022-11-24 한국전력공사 감시 센서를 통한 동기 조상기 또는 발전기의 엔드 영역 문제 경감 시스템 및 방법
CN116609652A (zh) * 2023-04-23 2023-08-18 江苏苏港智能装备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基于起重机电机振温信号的电机健康预测评估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287A (ko) * 1999-04-27 2000-11-15 이정식 전기설비 원격관리 시스템
KR100728761B1 (ko) 2006-12-04 2007-06-14 주식회사 대덕시스템 고압회전기기의 부분방전 및 층간단락 모니터링 방법
KR100728762B1 (ko) * 2006-12-04 2007-06-14 주식회사 대덕시스템 고압회전기기의 부분방전 및 층간단락 온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20895B1 (ko) * 2009-02-26 2009-10-09 주식회사 대덕시스템 발전기 축전압/축전류 온-라인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287A (ko) * 1999-04-27 2000-11-15 이정식 전기설비 원격관리 시스템
KR100728761B1 (ko) 2006-12-04 2007-06-14 주식회사 대덕시스템 고압회전기기의 부분방전 및 층간단락 모니터링 방법
KR100728762B1 (ko) * 2006-12-04 2007-06-14 주식회사 대덕시스템 고압회전기기의 부분방전 및 층간단락 온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20895B1 (ko) * 2009-02-26 2009-10-09 주식회사 대덕시스템 발전기 축전압/축전류 온-라인 감시 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486B1 (ko) 2012-08-23 2014-05-2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스마트 센서를 이용한 원전 기기 이상 상태 진단 시스템
KR101386109B1 (ko) * 2013-09-25 2014-04-16 곽기영 동기발전기의 회전자 권선 단락 감시방법
KR101574528B1 (ko) 2014-11-24 2015-12-09 와이피피 주식회사 전력설비 진단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188149A (zh) * 2018-09-29 2019-01-11 深圳星禾设计有限公司 电信号采集装置
CN110555289B (zh) * 2019-09-27 2023-12-15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基于云计算的电机定子绕组多物理场耦合计算平台及计算方法
CN110555289A (zh) * 2019-09-27 2019-12-10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基于云计算的电机定子绕组多物理场耦合计算平台及计算方法
CN113341910A (zh) * 2021-04-30 2021-09-03 浙江大唐乌沙山发电有限责任公司 高压电动机非电量保护测控装置及保护测控方法
KR20220155832A (ko) 2021-05-17 2022-11-24 한국전력공사 감시 센서를 통한 동기 조상기 또는 발전기의 엔드 영역 문제 경감 시스템 및 방법
CN114089186A (zh) * 2021-11-10 2022-02-25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检修分公司 一种电机状态检测分析预警方法及设备
CN114089186B (zh) * 2021-11-10 2024-06-04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检修分公司 一种电机状态检测分析预警方法及设备
CN113955149A (zh) * 2021-11-25 2022-01-21 北京润科通用技术有限公司 一种电机系统的健康诊断方法和装置
CN113955149B (zh) * 2021-11-25 2023-06-16 北京润科通用技术有限公司 一种电机系统的健康诊断方法和装置
CN116609652B (zh) * 2023-04-23 2023-10-27 江苏苏港智能装备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基于起重机电机振温信号的电机健康预测评估方法
CN116609652A (zh) * 2023-04-23 2023-08-18 江苏苏港智能装备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基于起重机电机振温信号的电机健康预测评估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496B1 (ko)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시스템
KR101035497B1 (ko) 발전기의 건전성 온-라인 통합 감시 방법
KR101298973B1 (ko) 고압 유도전동기 종합 온라인 상태 진단 장치 및 방법
JP5546545B2 (ja) 電気機械のロータの動作中に電気機械を監視および/または分析する方法および電気機械を動作中に監視および/または分析する装置
EP2702374B1 (en) Method for monitoring demagnetization
KR101846195B1 (ko) 모터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6460013B1 (en) Shaft voltage current monitoring system for early warning and problem detection
KR100920895B1 (ko) 발전기 축전압/축전류 온-라인 감시 시스템
CN103148928B (zh) 基于机电量关联分析的发电机定子端部绕组劣化诊断方法
CN101101319A (zh) 发电机转子绕组匝间短路状态的检测装置
KR101885556B1 (ko) 배전반 고장 감시 시스템
US81438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partial discharges in electrical systems
Kunthong et al. IoT-based traction motor drive condition monitoring in electric vehicles: Part 1
US7034706B1 (en) Early warning and problem detection in rotating machinery by monitoring shaft voltage and/or grounding current
US11656280B2 (en) Device for condition monitoring and protection of rotating electrical machines, and a method thereof
CN110849419B (zh) 一种开关柜状态监测诊断方法及系统
JP2002071742A (ja) 部分放電検出装置および部分放電監視システム
KR101020370B1 (ko) 발전설비의 전원공급장치 건전성 온-라인 감시 시스템
Stone et al. Experience with continuous on-line partial discharge monitoring of generators and motors
KR100905971B1 (ko) 발전-전동기 운전중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N112904265B (zh) 一种零序电流互感器第二绕组断路检测电路
Huzmezan Reflections on the On-Line Partial Discharge Monitoring and Analysis for Condition Assessment of large Generators and Motors
KR100931540B1 (ko) 동기발전기 운전상태를 고려한 회전자 권선 단락 감시방법
CN118829895A (zh) 设备诊断装置和设备诊断系统
Sun et al. Insulation State On-Line Monitoring and Running Management of Large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5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