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190B1 - Banknote - Google Patents
Bankno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5190B1 KR101035190B1 KR1020080110980A KR20080110980A KR101035190B1 KR 101035190 B1 KR101035190 B1 KR 101035190B1 KR 1020080110980 A KR1020080110980 A KR 1020080110980A KR 20080110980 A KR20080110980 A KR 20080110980A KR 101035190 B1 KR101035190 B1 KR 1010351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ndle
- deposit
- bank
- tray
- withdrawa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묶음지폐 입출금기를 제공한다. 케이싱, 케이싱의 내부에 제공되어 입금 또는 출금하고자 하는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입출금용 트레이, 입출금용 트레이로부터 전달 받은 묶음지폐 또는 입출금용 트레이로 전달될 묶음지폐가 저장되는 묶음지폐 카세트 및 입출금용 트레이의 일측에 제공되어 입출금용 트레이 또는 묶음지폐 카세트에 적재된 묶음지폐를 집는 픽업모듈을 포함하여, 계원의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ndled bank teller machine. Casing, the deposit and withdrawal tray provided inside the casing to deposit or withdraw the bundle, the bundle and the cassette for storing and receiving the bundle banknote to be delivered to the bank or the tray for the deposit and withdrawal tray. Including a pick-up module provided on one side and picking up the bundle banknotes loaded on the deposit and withdrawal tray or bundle banknote cassett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of the cashier.
입출금용 트레이, 픽업모듈, 묶음지폐 카세트 Deposit and Withdrawal Trays, Pickup Modules, Bundled Paper Drawers
Description
본 발명은 묶음지폐 입출금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묶음 단위로 지폐를 입금 또는 출금하는 것이 가능하여 금융기관의 계원들의 업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묶음지폐 입출금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ndled bank teller,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deposit or withdraw a banknote in a bundle unit to provide a bundled bank teller that can improve the business convenience of the employees of the financial institution.
금융자동화기기 또는 무인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기기이다.Financial automated devices or unmanned automated devices are automated devices that can provide basic financial services such as deposit or withdrawal without a bank employe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with respect to financial services.
근래에 와서는 금융기관을 이용하는 고객을 위한 금융자동화기기 뿐만 아니라, 금융기관 내부적으로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업무 종료 후 정산 작업 등을 신속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해 금융기관의 직원 또는 계원(teller) 등을 위한 금융자동화기기도 도입되고 있는 추세이다.In recent years, not only financial automated devices for customers who use financial institutions, but also employees or tellers of financial institution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ir work internally and to quickly and accurately settle the work after finishing the business.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is also being introduced.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 출원 제10-2005-030838호에 계원을 위한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 입출금기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application No. 10-2005-030838 filed by the applicant discloses a cash withdrawal machine capable of withdrawal for a cashier.
그러나, 상기 특허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계원용 현금 입출금기는 현금의 묶음 출금만 가능할 뿐 현금의 묶음 입금은 불가능하며, 별도의 묶음지폐 입금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However, the cashier's cash dispenser disclosed in the patent application is possible only withdrawal of cash bundles are not possible, the bundle of cash is not possible, there is no separate bundle bank deposit.
또한, 이러한 계원용 현금 입출금기의 묶음지폐 이동부는 항상 정해진 경로를 따라 순환하는 벨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업무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efficiency is lowered because the bundle bank moving unit of the cashier for teller machines always uses a belt that circulates along a predetermined path.
뿐만 아니라, 종래의 계원용 묶음지폐 입출금기는 묶음지폐 이동부가 묶음지폐의 수량을 정확히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업무 처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ank account bundle bank teller has a problem that takes a lot of time for processing because the bundle bank mobile unit can not accurately recognize the number of the bundle banknotes.
또한, 이러한 묶음지폐 입출금기는 크기 때문에 계원을 위한 업무 공간이 부족하기도 하였다.In addition, due to the large size of these banknotes and drawers, the working space for the cashier was not enoug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묶음지폐의 출금 처리 뿐만 아니라 입금 처리도 가능한 묶음지폐 입출금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ndled bank teller machine capable of deposit processing as well as withdrawal processing of the bundle banknote.
또한, 본 발명은 묶음지폐의 입출금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전체적인 크기가 작아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묶음지폐 입출금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deposit and withdrawal of bundle banknotes, and provides a bundle bank teller machine that can increase the space efficiency because the overall size is small.
본 발명은 입출금되는 묶음지폐의 수량 인식이 가능한 묶음지폐 입출금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ndled bank teller machine capable of recognizing the quantity of the bundled banknotes.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싱, 묶음지폐를 입출금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개폐 가능하게 제공되는 입출금용 트레이, 상기 입출금 트레이의 상부에 제공되어 입출금되는 묶음지폐를 일시적으로 픽업하는 픽업모듈 및 상기 입출금 트레이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픽업모듈이 픽업한 묶음지폐를 받아들여 입금하거나 상기 픽업모듈로 적재된 묶음지폐를 전달하여 출금하는 묶음지폐 카세트를 구비하며, 상기 입출금용 트레이는 상기 픽업모듈과 상기 묶음지폐 카세트 사이에서 묶음지폐를 전달할 수 있도록 크기가 변하는 통공이 형성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지폐 입출금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sing, a deposit and withdrawal tray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from the casing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a bundle bank, and temporarily picking up and depositing a banknote with a banknote provided at the top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tray. It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ickup module and the deposit and withdrawal tray, and has a bundle bank cassette for receiving and depositing a bundle of money picked up by the pickup module or transfer the bundle of money loaded into the pickup module, the withdrawal tray, It provides a bundle bank tell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ttom portion is formed in the through-holes varying in size so as to transfer the bundle banknote between the pickup module and the bundle banknote cassette.
상기와 같이 묶음지폐를 집는 픽업모듈을 이용하여 묶음지폐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함으로써 묶음지폐의 입출금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간편하게 묶음지폐를 입출금할 수 있다.By using the pickup module to pick up the bundle bank as described above, by transferring the bundle bank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deposit and withdrawal of the bundle banknote and easily deposit and withdraw the bundle banknote.
여기서, 상기 입출금용 트레이는 상기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바닥부 및 상기 입출금용 트레이를 개폐시키는 로킹부를 구비하며, 상기 로킹부는 상기 케이싱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잠금장치에 의해 로킹 또는 언로킹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잠금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입출금용 트레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 때, 솔레노이드 잠금장치 대신 후크 및 스프링을 포함하는 잠금장치를 적용하여 입출금용 트레이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도 있다.Here, the deposit and withdrawal tray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on which the bundle bank is loaded and a locking portion to open and close the deposit and withdrawal tray, and the locking portion may be locked or unlocked by a solenoid locking device provided in the casing. By using a solenoid lock, the tray for opening and closing can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At this time, instead of the solenoid lock device by applying a locking device including a hook and a spring may be opened and closed manually.
한편, 상기 묶음지폐 카세트의 내부에는 묶음지폐의 적재를 위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상기 픽업모듈 또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와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고, 상기 픽업모듈이 상기 입출금 트레이에 적재된 묶음지폐를 집은 후 상기 바닥부가 개방되며, 상기 바닥부가 개방된 후 상기 픽업모듈이 상기 묶음지폐 카세트에 적재된 묶음지폐를 집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묶음지폐를 이송하기 위해 바닥부를 인위적으로 개폐해야 하는 별도의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bundle bank cassette may be provided with a lifting plate which is raised or lowered for loading the bundle banknote. The bottom part may be opened and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pickup module or the elevating plate, the bottom part is opened after the pick-up module picks up a bundle banknote loaded in the deposit and withdrawal tray, and the pick-up module is opened after the bottom part is opened. It is preferable to pick up the bundled paper money loaded on the bundled paper money cassette. For this reason, there is no need to go through a separate process of artificially opening and closing the bottom to transfer the bundled banknotes.
한편, 상기 통공은 묶음지폐가 눕혀진 상태로 통과할 수 있도록 크기가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묶음지폐가 눕혀진 상태 즉, 묶음지폐를 이루는 낱장 지폐의 길이방향 측면이 상기 바닥부에 접촉하도록 묶음지폐가 눕혀진 상태로 입출금됨으로써 입출금할 수 있는 묶음지폐의 량을 늘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hrough-hole may be changed in size so that the bundle bank can pass in a lying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bundled banknotes that can be deposited and withdrawn can be increased by depositing and withdrawing the banknotes in which the bundled banknotes are laid down, that is,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sheet of paper forming the bundled banknotes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또한, 상기 묶음지폐 카세트에는 묶음지폐의 하중에 의해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변형되는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묶음지폐 카세트의 내면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이고 상기 승강 플레이 트는 상기 리니어 가이드에 형성된 요철부에 맞물려 승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니어 가이드를 설치하여 승강 플레이트의 승강 경로를 보강함으로써, 승강 플레이트에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무게 때문에 승강 플레이트가 변형된 상태로 승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ndle bank cassette is formed with a guide portion for preventing the lifting plate is deformed by the load of the bundle bank, the guide portion is a linear guide provid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ndle bank cassette and the lifting plate is It can raise and lower by engaging with the uneven part formed in the linear guide. Thus, by providing the linear guide to reinforce the elevating path of the elevating pl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vating plate from elevating in a deformed state due to the weight of the bundled banknotes stacked on the elevating plat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묶음지폐의 출금 처리 뿐만 아니라 입금 처리도 가능하기 때문에 계원이 담당한 지폐를 분실할 염려가 없으며 낱장 단위로 출금 또는 입금을 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handle the withdrawal processing of the bundled banknotes, but also withdrawal processing, so there is no fear of losing the bills in charge of the cashier and can reduc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withdraw or deposit the sheets.
또한, 본 발명은 픽업모듈 및 카세트 등의 배열이 일렬로 형성되기 때문에 묶음지폐 입출금기을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고 주변의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arrangement of the pickup module and the cassette, etc. are formed in a line can form a bundle bank teller machine compactly and can increase the space efficiency of the surroundings.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입출금용 트레이 또는 픽업모듈 자체에서 묶음지폐의 수량 식별이 가능하기 때문에 계원이 정산 업무 등을 처리함에 있어서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dentify the quantity of the bundled banknotes in the tray for the deposit and withdrawal or the pickup module itself can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in handling the accountant's settlement.
본 발명은 묶음지폐를 입출금하는 경로 내지 구조가 복잡하지 않기 때문에 입출금기의 유지 보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maintenance convenience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because the path or structure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the bundle bank is not complicated.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 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e of several aspects of the patentable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ms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for clarity of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bundle bank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묶음지폐 입출금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미도시), 입출금을 하고자 하는 금융기관의 직원 또는 텔러의 신분을 증명할 수 있는 식별번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미도시), 텔러 등의 신분증을 입력하는 카드인지부(미도시), 입력된 텔러 등의 정보 또는 수행하고자 하는 입출금 내역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 및 본체의 내부에 제공되어 묶음지폐를 입금 또는 출금시키는 케이싱(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 1, the
케이싱(110)에는 묶음지폐의 입출금을 위해 케이싱(110)에서 인출되면서 개폐되는 입출금용 트레이(130) 및 입출금되는 묶음지폐가 적재 보관되는 묶음지폐 카세트(170)가 구비된다.Th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케이싱(110) 내부의 구성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inside the
도 2는 도 1에 따른 묶음지폐 입출금기에 사용된 입출금용 트레이 및 픽업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입출금용 트레이가 픽업모듈에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입출금용 트레이가 픽업모듈에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y for the deposit and withdrawal and the pickup module used in the bundle bank teller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y for deposit and withdrawal according to Figure 2 is closed to the pickup module, Figure 4 Figure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y for the withdrawal and withdrawal in accordance with the pickup module.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상부에는 입출금용 트레이(130)에 적재된 묶음지폐를 집기 위한 픽업모듈(150)에 제공된다. 즉, 입출금용 트레이(130)는 픽업모듈(150)과 오버랩 또는 맞물린 상태로 제공된다.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upper portion of the deposit and
이와 같이 픽업모듈(130)과 입출금용 트레이(130)가 오버랩된 상태에서, 입출금을 위해 입출금용 트레이(13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픽업모듈(150)의 앞쪽으로 돌출되어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출금용 트레이(1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 내지 금융기관의 계원은 묶음지폐를 입금하거나 출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where the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개폐 또는 인출을 위해 케이싱(110)의 뒤쪽 내면에 솔레노이드 잠금장치(115)가 구비되고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후방에는 솔레노이드 잠금장치(115)에 걸리는 로킹부(138)가 구비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솔레노이드 잠금장치(115)는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피벗 동작을 하는 후크부(116)를 포함하고, 후크부(116)에 로킹부(138)의 로킹바(133)가 걸리거나 해제됨으로써 입출금용 트레이(130)가 개폐될 수 있다.The
여기서,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후방과 케이싱(110)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미도시)을 구비함으로써 솔레노이드 잠금장치(115)와 로킹바(133)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 스프링에 의해 저절로 입출금용 트레이(130)가 앞쪽으로 튀어나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입출금용 트레이(130)는 자동으로 케이싱(110)에서 개폐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Here, by providing a compression coil spring (not shown) between the rear of the
한편, 솔레노이드 잠금장치 대신 후크(미도시) 및 스프링(미도시)을 포함 하는 잠금장치를 적용하여 입출금용 트레이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도 있다.Meanwhile, instead of the solenoid locking device, a locking device including a hook (not shown) and a spring (not shown) may be applied to manually open and close the tray.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개폐 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양측면에 대응하는 케이싱(110) 내면에 트레이 가이드레일(112)이 설치되며, 묶음지폐 카세트(170)의 양측면과 대응하는 케이싱(110)의 내면에는 카세트 가이드레일(111)이 구비되어 묶음지폐 카세트(170)의 장탈착을 안내할 수 있다.In order to guide the opening and closing position of the deposit and
도 3에는 입출금용 트레이(130)가 닫혀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입출금용 트레이(130)가 움직이면서 개방 또는 닫히게 된다.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하부는 바닥부(132)를 형성하고, 바닥부(132)에는 크기가 조절되거나 변하는 통공(1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공(134)을 통해 입출금용 트레이(130)에 적재된 묶음지폐가 카세트(17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묶음지폐가 통공(134)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통공(134)의 크기가 조절되거나 바닥부(132)가 개폐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tray 130 forms a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묶음지폐 입출금기는 케이싱(110)의 내부에 제공되어 입금 또는 출금하고자 하는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입출금용 트레이(130), 입출금용 트레이(130)로부터 전달 받은 묶음지폐 또는 입출금용 트레이(130)로 전달될 묶음지폐가 저장되는 묶음지폐 카세트(170) 및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일측 내지 상측에 제공되어 입출금용 트레이(130) 또는 묶음지폐 카세트(170)에 적재된 상기 묶음지폐를 집거나 픽업(pick-up)하는 픽업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undle bank tell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입출금용 트레이(130)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살펴 본다. 도 5a 및 도5b는 도 2에 따른 입출금용 트레이의 상부 및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2에 따른 입출금용 트레이의 바닥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looks at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input and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바닥부(132) 위에는 적재되는 묶음지폐를 거치하기 위한 묶음지폐 안내부(140)가 마주 보며 구비된다.As shown in Figure 5a and 5b, on the
묶음지폐 안내부(14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묶음지폐가 적재될 때 다소 후퇴하면서 묶음지폐를 지지하는 묶음지폐 가이드판(141)을 포함할 수 있다.The
묶음지폐 가이드판(141)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중 일부의 구멍은 묶음지폐 안내부(140)에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수량을 감지하는 수량 감지센서(미도시)가 위치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수량 감지센서는 묶음지폐 안내부(14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bundle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장변 방향으로는 통공(134)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통공조절부(135)가 형성된다. 통공조절부(135)가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단변 방향을 따라 움직임으로써 통공(134)의 크기가 변하고, 확대된 통공(134)을 통해서 묶음지폐가 이동할 수 있다.In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한편, 바닥부(132)의 저면에는 입출금용 트레이(130)가 부드럽게 개폐되도록 하는 바닥부 가이드레일(131)이 구비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of the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통공조절부(135)의 구동은 바닥부(132)에 구비된 통공조절모터(136)에 의해 수행된다. 통공조절모터(136)에 의해 바닥부(132) 의 내부에 구비된 타이밍 벨트(미도시)에 부착된 연결부(미도시)에 의해 통공조절부(135)가 개폐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137"은 통공조절부(135)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이다.6A and 6B, the driving of the through
도 6b에 도시된 통공조절부(135) 중 하부에 도시된 통공조절부(135)는 통공(134)의 중심부 반대편으로 완전히 물러나 있으나, 상부에 도시된 통공조절부(135)는 하부에 도시된 통공조절부(135) 보다 덜 물러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묶음지폐가 통공(134)을 통과할 수 없으며, 상부에 도시된 통공조절부(135)가 통공(134)의 중심부 반대편으로 완전히 이동하면 통공(134)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묶음지폐가 통공(134)을 통과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Of the through
이와 같이, 묶음지폐 카세트(170)로 묶음지폐를 입금하거나 입출금용 트레이(130)로 묶음지폐를 출금하기 위해, 묶음지폐가 통과할 수 있도록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바닥부(132)를 개폐하거나 통공(134)의 크기를 조절하여 묶음지폐를 입출금하기 때문에 픽업모듈(150)을 제외한 다른 구성품이 없더라도 묶음지폐를 입출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deposit the bundle banknote with th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픽업모듈(1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2에 따른 픽업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픽업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Hereinafter, th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픽업모듈(150)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마련된 픽업부(152) 및 픽업부(152)에 형성되어 직접 묶음지폐(BN)와 접촉하는 접촉부(153)를 포함한다.7 and 8, the pick-up
픽업부(152) 및 접촉부(153)는 픽업모듈(150)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픽업 가이드로드(151)를 따라 움직이면서 묶음지폐(BN)를 픽업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부(152) 및 접촉부(153)는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묶음지폐(BN)를 픽업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The
픽업부(152) 또는 접촉부(153)의 이러한 움직임은 픽업부(152)의 일측에 형성된 픽업구동부(154)에 의해서 가능한데, 픽업구동부(154)는 양쪽의 픽업부(152)를 동시에 동일하게 구동시킨다. 이를 위해 양쪽의 픽업구동부(154)는 동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movement of the pick-up
접촉부(153)는 다수의 작은 돌기들이 형성된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묶음지폐(BN)에 대한 마찰력을 높이고 묶음지폐(BN)의 하중으로 인해 접촉부(153)에서 묶음지폐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한편, 입출금용 트레이(130) 및 픽업모듈(150)에는 다수개의 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바닥부(132) 개폐 시기 또는 픽업모듈(150)의 묶음지폐 픽업 시기 등을 컨트롤 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sensors (not shown) are provided in the
이러한 센서들로 인해, 바닥부(132)는 픽업모듈(150) 또는 묶음지폐 카세트(170)의 승강 플레이트와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고, 픽업모듈(150)이 입출금 트레이(130)에 적재된 묶음지폐를 집은 후 바닥부(132)가 개방되며, 바닥부(132)가 개방된 후 픽업모듈(150)이 묶음지폐 카세트(170)에 적재된 묶음지폐를 집을 수 있다. 따라서, 묶음지폐를 이송하기 위해 바닥부(132)를 인위적으로 개폐해야 하는 별도의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Due to these sensors, th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묶음지폐 카세트(170)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에 따른 묶음지폐 입출금의 묶음지폐 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bundled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묶음지폐 카세트(170)의 내부에는 묶음지폐의 적재를 위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 플레이트(175)가 구비되고, 승강 플레이트(175)는 카세트(175)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모터(미도시) 및 구동모터에 연결된 롤러(미도시), 롤러에 연결된 벨트(미도시) 등에 의해서 승강하게 된다. 승강 플레이트(175)의 구동 구조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승강 구조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9 and 10, the inside of the
본 발명에 따른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카세트에는 낱장 단위의 지폐가 아닌 묶음단위의 지폐가 적재된다. 여기서 묶음지폐는 낱장 100매가 묶인 소속(小束) 10개를 묶은 대속(大束)이므로 일반적으로 묶음지폐의 무게가 상당하다. 따라서, 이러한 묶음지폐의 하중을 계속 지탱해야 하는 승강 플레이트(175)는 승강 운동 중에 변형이 될 수 있고, 이러한 변형으로 인해 승강 플레이트(175)가 정상적으로 승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승강 플레이트(175)의 비정상적인 승강은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전체적인 고장을 유발할 수도 있다.In the cassette of the bundled bank tell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nknote in a bundled unit is loaded rather than a sheet banknote. Here, bundle banknotes are bundles of 10 sheets belonging to 100 sheets, so the bundle banknotes are generally heavy. Therefore, the elevating
따라서, 묶음지폐의 무게에 의해 승강 플레이트(175)가 비정상적으로 승강하거나 승강 플레이트(175)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묶음지폐 카세트(170)의 일측에 가이드부(177)를 형성할 수 있다.Therefore, the
가이드부(177)는 묶음지폐 카세트(170)의 내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177)이고, 승강 플레이트(175)는 리니어 가이드(177)에 형성된 가이드 요철부(178)에 맞물려 승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승강 플레이트(175)에는 가이드 요철부(178)와 맞물리는 플레이트 요철부(17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니어 가이드(177)를 설치하여 승강 플레이트(175)의 승강 경로를 보강함으로써 승강 플레이트(175)에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무게 때문에 승강 플레이트(175)가 변형된 상태로 승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싱(110), 묶음지폐를 입출금하기 위해 케이싱(110)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입출금용 트레이(130), 입출금 트레이(130)의 상부에 제공되어 입출금되는 묶음지폐를 일시적으로 픽업하는 픽업모듈(150) 및 입출금 트레이(130)의 하부에 제공되어 픽업모듈(150)이 픽업한 묶음지폐(BN)를 받아들여 입금하거나 픽업모듈(150)로 적재된 묶음지폐를 전달하여 출금하는 묶음지폐 카세트(170)를 구비하며, 입출금용 트레이(130)는 픽업모듈(150)과 묶음지폐 카세트(170) 사이에서 묶음지폐를 전달할 수 있도록 크기가 변하는 통공(134)이 형성된 바닥부(132)를 포함하는 묶음지폐 입출금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여기서, 바닥부(132)의 통공(134)은 픽업모듈(150) 또는 묶음지폐 카세트(170)의 승강 플레이트(175)와 연동하여 크기가 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through
한편, 입출금용 트레이(130)의 바닥부(132) 또는 통공(134)은 묶음지폐가 눕혀진 상태로 통과할 수 있도록 개폐되거나 크기가 변할 수 있다. 즉, 묶음지폐를 이루는 낱장 지폐의 길이방향 측면이 상기 바닥부에 접촉하도록 묶음지폐가 눕혀진 상태로 통과할 수 있도록 개폐되거나 크기가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묶음 지폐가 눕혀진 상태로 이송됨으로써 묶음지폐 카세트(170)에 적재할 수 있는 입출금 묶음지폐의 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묶음지폐 입출금기에 사용되는 묶음지폐는 대속묶음지폐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소속 묶음지폐의 입출금에도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대속 묶음지폐 입출금기와 소속 묶음지폐 입출금기를 나란히 배치하여 하나의 묶음지폐 입출금 시스템을 만들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undled banknote used in the bundled bank tell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speedy bundled banknot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for the deposit and withdrawal of the bundled banknote. In addition, one bundle bank machine can be arranged side by side with a bundled bundle bank machine and its bundled bank machine.
지금까지 설명한 묶음지폐 입출금기는 묶음지폐를 취급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관점에서 설명하였으나 이 뿐만 아니라 수표 등의 종이매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본 발명에 대한 최소한의 기술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경계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banknotes and drawers described so far have been described in terms of a cashier's automatic teller machine that handles the bundl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paper media such as checks, and can be understood from various viewpoints. Or as a minimum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not as a boundary limiting the inven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bundle bank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따른 묶음지폐 입출금기에 사용된 입출금용 트레이 및 픽업모듈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y and a pickup module for the deposit and withdrawal used in the bundle bank teller according to Figure 1,
도 3은 도 2에 따른 입출금용 트레이가 픽업모듈에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ay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according to FIG. 2 is closed in a pickup module;
도 4는 도 2에 따른 입출금용 트레이가 픽업모듈에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ray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according to FIG. 2 is opened in the pickup module;
도 5a 및 도5b는 도 2에 따른 입출금용 트레이의 상부 및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5a and 5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put and output tray according to Figure 2,
도 6a 및 도 6b는 도 2에 따른 입출금용 트레이의 바닥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6a and 6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bottom portion of the input and output tray according to Figure 2,
도 7은 도 2에 따른 픽업모듈을 도시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ckup module according to FIG.
도 8은 도 7에 따른 픽업모듈을 도시한 평면도,8 is a plan view showing a pickup module according to FIG.
도 9 및 도 10은 도 1에 따른 묶음지폐 입출금의 묶음지폐 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bundle bank cassette of the bundle bank deposit and withdrawal according to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묶음지폐 입출금기 110:케이싱100: Bundled money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110: Casing
130:입출금용 트레이 150: 픽업모듈130: input / output tray 150: pickup module
170:묶음지폐 카세트 BN: 묶음지폐170: Bundled bill cassette BN: Bundled bill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0980A KR101035190B1 (en) | 2008-11-10 | 2008-11-10 | Bankno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0980A KR101035190B1 (en) | 2008-11-10 | 2008-11-10 | Banknot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2099A KR20100052099A (en) | 2010-05-19 |
KR101035190B1 true KR101035190B1 (en) | 2011-05-17 |
Family
ID=42277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0980A KR101035190B1 (en) | 2008-11-10 | 2008-11-10 | Bankno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519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355746A (en) * | 2016-08-31 | 2017-01-25 | 北京华信创银科技有限公司 | Cash box for large-amount ATM (automatic teller machin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1241A (en) * | 1989-06-22 | 1991-01-30 | 시키모리야 | Starting electric motor |
JP2000057401A (en) | 1998-08-13 | 2000-02-25 | Toshiba Corp | Small bundle processor |
JP2000099791A (en) | 1998-09-17 | 2000-04-07 | Toshiba Corp | Sealed small bundle management device |
KR100659380B1 (en) | 2005-04-13 | 2006-12-19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Cash machines with bundles |
-
2008
- 2008-11-10 KR KR1020080110980A patent/KR10103519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1241A (en) * | 1989-06-22 | 1991-01-30 | 시키모리야 | Starting electric motor |
JP2000057401A (en) | 1998-08-13 | 2000-02-25 | Toshiba Corp | Small bundle processor |
JP2000099791A (en) | 1998-09-17 | 2000-04-07 | Toshiba Corp | Sealed small bundle management device |
KR100659380B1 (en) | 2005-04-13 | 2006-12-19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Cash machines with bundl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2099A (en) | 2010-05-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73874B1 (en) | Keonwon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 |
KR20090093699A (en) |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bundle note and method for loading bundle note | |
KR20140030304A (en) |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 |
KR100973875B1 (en) | Keonwon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 |
KR101250693B1 (en) | Medium cassette and financial device | |
JP6051060B2 (en) | Banknote handling equipment | |
CN101465014A (en) | Paper sheet separating and accumulating apparatus | |
KR100399827B1 (en) | Bill cassette | |
KR101508266B1 (en) | Bundled banknotes | |
KR101035190B1 (en) | Banknote | |
KR20150145622A (en) | Medium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financial device | |
JP5439336B2 (en) | Paper sheet handling equipment | |
KR101226348B1 (en) | Medium cassette, financi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1016245B1 (en) | Withdrawal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 |
KR20100038696A (en) | Automatic teller maching for teller | |
KR100795122B1 (en) | Banknote Cassettes for Banking Machines | |
KR20190131996A (en) | Paper money storage cassette | |
KR20110078203A (en) | Bundled Money Loading Detection Device of Bundled Money Teller Machine | |
KR20100052101A (en) | Pickup device used in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bundle note | |
KR101049311B1 (en) | Tray for Deposit and Withdrawal | |
JP3799320B2 (en) | Banknote cassette and banknote handling device | |
KR101452912B1 (en) | How to Control Bundled Bank Teller Machines | |
KR101099900B1 (en) | Withdrawal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 |
KR101628206B1 (en) | Teller cash recycler | |
KR20050071235A (en) | Plate locker of the auto teller machine recycle-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