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4137B1 -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137B1
KR101034137B1 KR1020040075229A KR20040075229A KR101034137B1 KR 101034137 B1 KR101034137 B1 KR 101034137B1 KR 1020040075229 A KR1020040075229 A KR 1020040075229A KR 20040075229 A KR20040075229 A KR 20040075229A KR 101034137 B1 KR101034137 B1 KR 101034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s
keypad
pad body
portable terminal
ke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6349A (ko
Inventor
최철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5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137B1/ko
Publication of KR20060026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13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키패드에 상대적으로 많은 키를 배열할 수 있으며,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제1키가 구비된 패드본체와, 상기 복수개의 제1키의 형상에 대응되는 경계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키와, 상기 제1키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관통공을 구비한 프레임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제2키를 고정구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을 상기 복수개의 제2키의 배면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제2키의 배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패드본체를 접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고정구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제2키를 분리 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휴대용 단말기, 키패드, 패드본체, 키, 프레임, 고정구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방법{FABRICATING METHOD FOR KEY PAD OF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공정을 도시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공정 중 패드본체의 제작공정을 도시한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패드본체 22,22' : 키
23 : 충전제 24 : 슬릿
30 : 프레임 31 : 관통공
40 : 접착제 50 : 고정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패드에 상대적으로 많은 키를 배열할 수 있으며,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서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11) 및 본체(2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폴더(11)의 일측에는 본체(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가동힌지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면에는 소정의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본체(21)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23)와, 케이스(23)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판(31)과,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키(43)를 구비하여 케이스(23)의 내부 기판(31)의 상측에 수용되는 키패드(41)를 구비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23)의 일측에는 폴더(11)의 가동힌지부(13)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힌지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배터리(28)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23)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서로 대면 접촉결합되는 프론트커버(24) 및 리어케이스(29)로 구성되어 있는 바, 상 기 프론트커버(24)에는 키패드(41)의 키(43)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키홀(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판(31)의 상면에는 누름 조작시 온/오프 동작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탄성변형이 가능한 소위 메탈돔이라고 하는 복수개의 누름조작스위치(33) 및 조명을 위한 발광소자(35)가 구비되어 있으며, 기판(31)과 프론트커버(24) 사이에는 각 누름조작스위치(33)에 대응되게 복수개의 키(43)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키패드(41)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키패드(41)는, 러버 또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어 기판(31)의 상면에 배치되는 패드본체(42)와, 누름조작이 가능하도록 키홀(25)에 삽입될 수 있게 각 누름조작스위치(33)에 대응되는 위치에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키(4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패드본체(42)의 저부면에는 각 키(43)를 누르는 힘이 각 누름조작스위치(33)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하향 돌출된 복수개의 누름돌기(4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는, 키패드(41)가 한정된 수의 키(43)를 구비하고 있어 문자(예를 들어 영어) 등을 입력할 시 동일한 키를 여러번 조작하여 입력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키패드(41)에 상대적으로 많은 키(43)를 배열할 경우, 키홀(25)의 경계를 형성하는 키홀(25) 연부의 폭도 그만큼 누적적으로 증가되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차지하게 되기 때문에 키(43)의 수를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또 키홀(25) 연부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아지게 되어 조립 및/또는 사용 도중 비교적 작 은 외력이 작용할 경우에도 키홀(25)의 연부가 쉽게 파손되고, 형상 유지 강도의 저하로 키의 돌출 현상이 발생되는 등의 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키패드에 상대적으로 많은 키를 배열할 수 있으며,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제1키가 구비된 패드본체와, 상기 복수개의 제1키의 형상에 대응되는 경계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키와, 상기 제1키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관통공을 구비한 프레임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제2키를 고정구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을 상기 복수개의 제2키의 배면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제2키의 배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패드본체를 접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고정구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제2키를 분리 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드본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패드본체에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기호 또는 문자를 각인하는 단계와; 상기 기호 또는 문자가 각인된 부위가 패드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상기 복수개의 제1키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제1키의 내부에 충전제를 충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패드본체가 접착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1키 및 제2키 는 각각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드본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 제1키의 사이 영역에 상기 각 제1키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상기 패드본체의 판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슬릿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공정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공정 중 패드본체의 제작공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공정은,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키(22)가 일체로 구비된 패드본체(21)와, 상기 각 제1키(22)의 형상에 대응되는 경계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키(22')와, 얇은 판상의 강성부재로 상기 각 제1키(22)가 통과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공(31)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30)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각 제2키(22')를 고정구(50)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30)을 상기 제2키(22')의 배면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각 제2키(22')의 배면에 접착제(40)를 도포한 후 상기 패드본체(21)를 접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고정구(50)로부터 상기 각 제2키(22')를 분리 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패드본체(21)를 형성하는 단계는 첨부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패드본체(21)에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기호 또는 문자를 각인하는 단계와, 상기 기호 또는 문자가 각인된 부위가 패드본체(21)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되며 각 제1키(22)를 형성하도록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각 제1키(22)의 내부에 충전제(23)를 충전 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패드본체(21)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러버 또는 우레탄 필름(바람직하게는 우레탄 필름)을 소정 형상으로 가공한 후, 그 판면에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기호 또는 문자(예를 들어 영어)를 각인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기호 또는 문자가 각인된 각 부위가 패드본체(21)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되며 복수개의 제1키(22)를 형성할 수 있도록 포밍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각 제1키(22)의 내부에 충전제(23)를 충전함으로써, 패드본체(21)의 제작공정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각 제2키(22')는, 금형 내부에 플라스틱 또는 러버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각 제1키(22)의 형상에 대응되는 경계면이 구비되도록 몸체(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한 후, 이 몸체에 기호 또는 문자를 각인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30)은,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는 판상의 강성부재를 상기 패드본체(21)에 상응되는 형상으로 가공한 후, 그 판면에 상기 각 제1키(22)가 통과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관통공(31)을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함으로써 형성 된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30)의 재질로서는 단단한 재질 예를 들어 고무, 플라스틱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탈 재질의 부재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패드본체(21), 제2키(22') 및 프레임(30)이 각각 형성된 후에는, 상기 각 제2키(22')를 일정 배열로 배치한 후 지그와 같은 별도의 고정구(50)를 통해 그 배열된 상태를 단단히 고정시킨다.
그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30)을 각 제2키(22')의 배면에 안착시킨다.
그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30)의 관통공(31)을 통해 노출되는 각 제2키(22')의 배면에 접착제(40)를 도포한 후 패드본체(21)를 접착하는 바, 이때 상기 각 제2키(22')는 각 제1키(22)의 사이 영역에 제1키(22)에 대해 독립적으로 누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 상기 프레임(30)은 상기 패드본체(21)와 각 제2키(22')가 접착됨에 따라 그 사이에 개제되며 이의 형상이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구(50)에 고정된 각 제2키(22')를 밀핀(51)을 통해 고정구(5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키패드(10)의 제작공정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패드본체(21)를 형성하는 단계에는, 키패드(10)의 각 키(22,22')중 어느 하나의 키의 조작시 주변의 다른 키가 연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제1키(22)의 사이 영역에 각 제1키(2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패드본체(21)의 판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슬릿(24)을 형성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 4a 내지 도 4b의 제작공정을 통해 키패드에 상대적으로 많은 키를 배열할 수 있으며,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키패드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방법에 의하면, 복수개의 제1키가 일체로 구비된 패드본체와 복수개의 제2키 및 프레임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각 제2키를 고정구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프레임을 제2키의 배면에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각 제2키의 배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패드본체를 접착시키는 단계, 상기 고정구로부터 상기 각 제2키를 분리 시키는 단계를 통해 키패드가 제작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많은 키를 배열할 수 있으며,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키패드를 대량으로 생산하는데 적합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복수개의 제1키가 구비된 패드본체와, 상기 복수개의 제1키의 형상에 대응되는 경계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키와, 상기 제1키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관통공을 구비한 프레임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제2키를 고정구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을 상기 복수개의 제2키의 배면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제2키의 배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패드본체를 접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고정구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제2키를 분리 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본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패드본체에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기호 또는 문자를 각인하는 단계와;
    상기 기호 또는 문자가 각인된 부위가 패드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상기 복수개의 제1키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제1키의 내부에 충전제를 충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본체가 접착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1키 및 제2키는 각각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본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 제1키의 사이 영역에 상기 각 제1키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상기 패드본체의 판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슬릿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방법.
KR1020040075229A 2004-09-20 2004-09-20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034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229A KR101034137B1 (ko) 2004-09-20 2004-09-20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229A KR101034137B1 (ko) 2004-09-20 2004-09-20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349A KR20060026349A (ko) 2006-03-23
KR101034137B1 true KR101034137B1 (ko) 2011-05-13

Family

ID=37137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22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4137B1 (ko) 2004-09-20 2004-09-20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1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999B1 (ko) * 2007-02-23 2009-09-10 주식회사 소림 키패드 및 키패드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2378A (ja) 1996-12-06 1998-06-26 Polymertech Kk 文字照光式ゴム製接点用カラーキーパッドの製造方法
JP2002015634A (ja) 2000-06-30 2002-01-18 Polymatech Co Ltd キーパッドの製造法
KR20020080687A (ko) * 2001-04-17 2002-10-26 김영호 셀룰라폰용 키패드의 제조 방법
KR20030023756A (ko) * 2001-06-14 2003-03-1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Lcd 투사 장치
KR200323756Y1 (ko) 2003-06-02 2003-08-19 주식회사 뉴 테크맨 이동 전화기의 키 패드용 키 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2378A (ja) 1996-12-06 1998-06-26 Polymertech Kk 文字照光式ゴム製接点用カラーキーパッドの製造方法
JP2002015634A (ja) 2000-06-30 2002-01-18 Polymatech Co Ltd キーパッドの製造法
KR20020080687A (ko) * 2001-04-17 2002-10-26 김영호 셀룰라폰용 키패드의 제조 방법
KR20030023756A (ko) * 2001-06-14 2003-03-1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Lcd 투사 장치
KR200323756Y1 (ko) 2003-06-02 2003-08-19 주식회사 뉴 테크맨 이동 전화기의 키 패드용 키 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349A (ko)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3892B2 (ja) キーシート
KR20000047574A (ko) 휴대폰용 키패드와 그 제작방법
KR20080064116A (ko) 키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WO2006070854A1 (ja) 薄型キーシート及び該薄型キーシートを組み込んだ薄型キーユニット
US6989728B2 (en) Flexible magnetically coupled pushbutton switch
EP1619703B1 (en) Key sheet and key sheet manufacturing method
JP5615774B2 (ja) スイッチ用パッキン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キー
JP4190568B1 (ja) 携帯端末
KR10103413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제작방법
JP2001126577A (ja) シート成形押ボタンを備えた制御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KR100417463B1 (ko) 이엘 램프 일체형 키패드와 그 제조방법
CN216286820U (zh) 车用无线遥控钥匙
JP5222745B2 (ja) キーシートの製造方法、キーシート、キー操作装置、電子機器
JP2004006352A (ja) 電子機器のキー
JP2006164552A (ja) スイッチ用接点板及びそれを用いた押釦スイッチ
JP4430780B2 (ja) 照光式シート状キート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5768022A (zh) 电子设备
JP2000285762A (ja) シート成形押ボタンユニットを備えた制御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JPH11250754A (ja) ボタン集合体
KR100847276B1 (ko) 일체형 키패드와 그 제조방법
JP2000231847A (ja) 電子機器のキーとその製造方法
KR100786302B1 (ko) 키패드 일체형 하우징의 제조방법 및 그 키패드 일체형하우징
KR100795527B1 (ko) 휴대폰용 키패드 및 그 제작방법
KR101255010B1 (ko) 일체형의 키버튼부를 갖는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이동단말기
JP2001266691A (ja) シート状キート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9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9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