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002B1 - Keyboard - Google Patents
Keyboar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4002B1 KR101034002B1 KR1020030055519A KR20030055519A KR101034002B1 KR 101034002 B1 KR101034002 B1 KR 101034002B1 KR 1020030055519 A KR1020030055519 A KR 1020030055519A KR 20030055519 A KR20030055519 A KR 20030055519A KR 101034002 B1 KR101034002 B1 KR 1010340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key
- base plate
- key cap
- ca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이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2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 다수의 열로 배열되고 표면에 문자, 숫자, 기호 등이 구비되는 키이캡(25)과,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어 상기 키이캡(25)을 상하로 승강되게 지지하는 제1링크(32)와 제2링크(36)로 구성되는 키이승강링크기구(3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 상의 상기 제1링크(32)의 이동궤적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링크(32)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키이캡(25)이 눌러지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접점(22)과, 상기 키이캡(25)이 눌러진 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복원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키이승강링크기구(30)를 조작하여 키이캡(25)의 높이를 설정하는 높이설정수단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높이설정수단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 상에서 이동되면서 키이캡(25)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동보스(50)가 구비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adjustable key boar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plate (20), a key cap (25) arranged on the base plate (20) in a plurality of rows and provided with letters, numbers and symbols on the surface thereof, A key lift link mechanism 30 composed of a first link 32 and a second link 36 for vertically moving the first link 32 and the first link 32 on the base plate 20, A sensing contact 22 provided on the key top 25 and selectively contacting the first link 32 to sense a depression of the key cap 25; And a restoring member (40) for restoring the restoring force. The height setting means is further provided with height setting means for setting the height of the key cap 25 by operating the key lifting link mechanism 30. The height setting means is provided on the base plate 20, And a driving boss 50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driving boss 50.
키이보드, 키이, 높이, 조절Keyboard, Key, Height, Adjustable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노트북 컴퓨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notebook computer;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키이보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key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4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키이캡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5A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ey cap is not pres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키이캡이 눌러진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FIG. 5B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ey cap is depres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키이캡이 베이스플레이트에 근접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6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ey cap is close to the base plat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20: 베이스플레이트 22: 감지접점20: base plate 22: sensing contact
23: 고정돌기 24: 이동가이드23: Fixing projection 24: Moving guide
25: 키이캡 26: 힌지연결부25: key cap 26: hinge connection
28: 힌지가이더 30: 키이승강링크기구28: Hinge guider 30: Key lift link mechanism
32: 제1링크 33: 연결힌지핀 32: first link 33: connection hinge pin
36: 제2링크 37: 연결링크36: second link 37: connecting link
38: 가동힌지핀 39: 회동중심핀38: movable hinge pin 39: pivot center pin
40: 복원부재 50: 지지보스40: restoring member 50: support boss
52: 연동레버52: Interlock lever
본 발명은 키이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 등에서 정보의 입력작업에 사용되는 키이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 board used for inputting information in a computer or the like.
키이보드는 다수개의 알파벳키이, 숫자키이 및 기호키이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컴퓨터 등에서 정보의 입력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key board has a plurality of alphabet keys, a numeric key, and a symbol key so that a user can easily input information in a computer or the like.
도 1에는 일반적인 노트북 컴퓨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노트북 컴퓨터는 크게 본체부(1)와 디스플레이부(3)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와 디스플레이부(3)는 힌지유니트(5)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3)가 상기 본체부(1)에 대해 겹쳐지게 접어져 보관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져서 사용된다.FIG. 1 shows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notebook computer. The notebook computer includes a main body 1 and a
상기 본체부(1)는 대략 납작한 판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노트북 컴퓨터를 구성하는 메인기판과 각종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본체부(1)의 상면에는 입력장치인 키이보드(7)가 구비된다. 상기 키이보드(7)는 다수개의 키이가 다수개의 열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The main body 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flat plate shape, and a main board and various components constituting a notebook computer are installed in a space formed therei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a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는 표시화면(9)이 구비된다. 상기 표시화면(9)은 주로 액정이 사용되는데, 각종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와 본체부(1) 사이에서 신호연결은 상기 힌지유니트(5)를 통해 이루어진다.Th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노트북 컴퓨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를 바닥에 지지시키고 디스플레이부(3)를 본체부(1)에 대해 소정 각도 펼쳐서 사용한다.1, the notebook compute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upports the main body part 1 on the floor and spreads the
그리고, 상기 키이보드(7)를 통한 입력작업은,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키이보드(7)의 키이를 눌러줌에 의해 수행된다.The input operation through th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는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경박단소화가 지상과제이다. 노트북 컴퓨터의 경박단소화를 위해서는 상기 본체부(1)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이 한 방법이다.Portable computers, such as notebook computers, are a task of lightweight and miniaturization to increase portability. In order to shorten the weight of the notebook computer, the height of the main body 1 is reduced.
이를 위해 상기 키이보드(7)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키이보드(7)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하면 키이를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에 의해 키이가 하강되었다가 다시 복원되는 행정이 지나치게 짧아지게 되어 타이핑 감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For this purpose, it is desirable to make the height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키이보드의 사용시와 비사용시의 높이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하여 키이보드를 경박단소화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ey board in which the height of a key board is different from that of a key boar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다수의 열로 배열되고 표면에 문자, 숫자, 기호 등이 구비되는 키이캡과,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어 상기 키이캡을 상하로 승강되게 지지하는 제1링크와 제2링크로 구성되는 키이승강링크기구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의 상기 제1링크의 이동궤적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링크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키이캡이 눌러지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접점과,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상기 제1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제1링크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키이캡이 눌러진 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복원부재와, 상기 복원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1링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복원부재를 탄성변형시키는 구동보스, 그리고 키이보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디스플레이부의 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키이보드의 상면을 차폐하였을 때 상기 구동보스를 제1 및 제2링크에서 멀어지도록 이동시켜 상기 키이캡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근접시키는 연동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se plate, comprising: a base plate; a key cap arranged on the base plate in a plurality of rows and provided with letters, numbers, symbols, A key lifting / lowering link mechanism including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upport the key cap vertically and vertically, and a second lifting / lowering link mechanism provided on the movement locus of the first link on the base plate, A sensing contact for sensing that the key cap is pressed to contact with the key, and a sensing spring for sensing the pressing of the key cap, a coil spring formed in a long length in the first moving direction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link, A restoration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storation member and movable on the base plate, A driving boss for elastically deforming the restoring member while being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link, and a movable portion on the base plate interlocked with an operation of a display unit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key board, And an interlock lever for moving the drive boss away from the first and second links to close the key cap to the base plate when the key cap is shiel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키이승강링크기구의 제1링크는 상기 키이캡의 일측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2링크는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키이캡에 형성된 힌지가이더를 따라 안내되며,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는 그 중간부가 연결핀에 의해 교차되게 연결된다.The first link of the key lifting link mechanism is connected at one end to one side of the key cap and the other end is moved along the base plate whil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is connected to the base plate, And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by crossing pins.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는 상기 제1링크의 선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가 더 구비된다.And a movement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tip of the first link is further provided on the base plat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키이보드에 의하면 키이보 드 전체의 높이를 사용시와 비사용시에 달리 설정할 수 있어 키이보드가 사용되는 세트의 경박단소화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key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height of the entire key board can be set differently when using the key board and when not in us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set in which the key board is us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키이보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key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키이보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이 개략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FIG. 2 is a side view of a main part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key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essential par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베이스플레이트(20)가 키이보드의 바닥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각각의 키이캡(25)에 대응되는 감지접점(22)이 구비된다. 상기 감지접점(22)은 각각 대응되는 키이캡(25)이 눌러진 것을 감지하여 해당되는 키이캡(25)에 표시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se figures, 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는 고정돌기(23)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23)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링크(32)의 선단이 이동되는 것을 안내할 이동가이드(24)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가이드(24)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베이스플레이트(20)의 상면에 평행하게 위치된다.A
한편, 상기 각각의 감지접점(22)에 대응되게 키이캡(25)이 구비된다. 상기 키이캡(25)은 키이보드의 외부로 그 상면이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상면에 는 각종, 문자, 숫자, 기호 등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키이캡(25)의 상면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다.Meanwhile, a
상기 키이캡(25)의 하면에는 키이캡(25)의 승강을 위한 구성이 연결되는 힌지연결부(26)와 힌지가이더(28)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연결부(2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링크(32)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힌지가이더(2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링크(36)의 가동힌지핀(38)이 안내된다.A
상기 키이캡(25)의 승강동작을 위해 키이승강링크기구(30)가 구비된다. 상기 키이승강링크기구(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키이캡(25)에 대해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key
상기 키이승강링크기구(30)는 크게 제1링크(32)와 제2링크(36)로 구성된다. 상기 제1링크(32)는 일단부에 구비되는 연결힌지핀(33)이 상기 힌지연결부(26)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32)의 타단부는 상기 이동가이드(24)와 베이스플레이트(20)의 사이를 따라 안내되도록 설치된다.The key
상기 제2링크(36)는 일단부에 구비된 연결돌기(37)가 상기 고정돌기(23)에 힌지연결되고 타단부에 구비된 가동힌지핀(38)이 상기 힌지가이더(28)를 따라 안내된다. 상기 제2링크(36)와 제1링크(32)는 그 중간부분에서 회동중심핀(39)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The
한편, 상기 제1링크(32)중 상기 이동가이드(24)와 베이스플레이트(20) 사이를 따라 안내되는 부분에는 복원부재(40)가 연결된다. 상기 복원부재(40)는 키이캡(25)이 눌러진 상태에서 키이캡(25)을 누르던 힘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키이승강링크기구(30)가 복원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 restoring
상기 복원부재(40)는 본 실시예에서 지지보스(5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보스(50)는 상기 복원부재(40)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탄성복원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The restoring
한편, 도 4에는 상기 지지보스(50)가 그 길이방향 중심에 회전중심축(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설치된 실시예가 구비된다.4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지지보스(50)를 상기 복원부재(40)가 연결되는 부분과 반대쪽에서 연동레버(52)를 통해 연결하고 있다. 상기 연동레버(52)는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에 대해 회동되는 것에 따라 이동되게 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즉,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에 겹쳐지도록 되는 경우에는 상기 연동레버(52)의 이동에 의해 상기 지지보스(50)가 상기 복원부재(40)를 잡아당겨 키이캡(25)이 상대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20)에 근접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에 대해 펼쳐진 상태가 되면 상기 복원부재(40)가 더 이상 당겨지지 않게 되어 키이캡(25)이 상대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20)에서 이격되도록 된다.That is, when the display unit is overlapped with the main body, 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키이보드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key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본 발명의 키이보드가 동작되는 것을,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5a의 상태는 키이캡(25)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에는 상기 복원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링크(32)의 일단부가 밀어져 상기 제1링크(32)와 제2링크(36)가 서로에 대해 펼쳐지도록 된다. 따라서, 상기 키이캡(25)이 상대적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서 이격된 상태로 된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key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A is a state in which the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키이캡(25)의 상면을 사용자가 누르게 되면 상기 키이캡(25)이 상기 제1링크(32)와 제2링크(30)를 눌러준다. 따라서, 상기 제2링크(32)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돌기(37)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도면기준)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링크(32)의 가동힌지핀(38)은 상기 힌지가이더(28)를 따라 상대적으로 키이캡(25)의 일단부 쪽으로 이동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제1링크(32)는 연결힌지핀(33)이 상기 힌지연결부(26)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이동가이드(24)와 베이스플레이트(20) 사이에 구비되는 선단부가 이동되면서 상기 감지접점(22)과 접촉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The
한편, 도 6을 참고하여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키이캡(25)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 근접하게 되는 것을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6, it will be explained that the
즉, 상기 지지보스(50)가 상기 복원부재(40)를 잡아 당기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링크(32)가 잡아당겨지면서 상기 키이승강링크기구(30)를 구성하는 제1링크(32)와 제2링크(36)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게 되면서 상기 키이캡(25)이 베이스플레이트(20)에 근접하게 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이와 같이 되는 것은, 예를 들어 키이보드가 노트북 컴퓨터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를 본체부에 대해 겹쳐지게 안착시킬 때이다. 이와 같이 되면 노 트북 컴퓨터의 두께를 최소로 만들 수 있는 것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keyboard is used in a notebook computer,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is placed on the main body in a superimposed manner. This will minimize the thickness of your notebook computer.
여기서 상기 지지보스(50)가 상기 연동레버(52)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키이캡(25)의 동작이 상기 연동레버(52)를 통해 다른 쪽, 즉 다른 키이캡(25)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복원부재(40)가 완충역할을 한다. 즉, 하나의 키이캡(25)의 승강동작이 지지보스(50)와 연동레버(52)를 통해 다른 키이캡(25)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복원부재(40)가 완충역할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복원부재(40) 탄성력을 적절하게 설계하여야 할 것이다.Since the
한편, 사용자가 노트북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 본체부에 대해 디스플레이부를 펼치게 되면, 상기 연동레버(52)에 의해 지지보스(50)가 동작되어, 도 6의 상태에서 도 5a의 상태로 된다. 즉, 상기 복원부재(40)가 지지보스(50)에 의해 당겨지던 것이 해제되면서 상기 키이승강링크기구(30)가 펼쳐지고, 상기 키이캡(25)이 상대적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서 이격된다.Meanwhile, when the user unfolds the display unit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to use the notebook computer, the supporting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 but is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예를 들면, 상기 지지보스(50)가 연동레버(52)의 직선운동에 대응하게 직선운동하여 상기 지지캡(25)이 베이스플레이트(20)에 근접하게 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키이보드에 의하면, 키이보드에서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된 감지접점이 키이캡의 눌러짐에 의해 키이승강링크가 동작되면서 눌러져 특정 내용이 입력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구성이 간단하여 동작신뢰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key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the sensing contact provided on the base plate of the key board is relatively configured in such a manner that the key lifting link is operated by pressing the key cap, The effect of improving the operational reliability can be obtained.
그리고, 키이캡을 서로 다른 높이에 둘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예를 들면 노트북 컴퓨터 등에서 비 사용시 키이보드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어 키이보드가 사용되는 세트를 경박단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key caps are configured to be placed at different heights, the height of the key boards can be relatively lowered when not in use, for example, in a notebook computer or the like, and the set in which the key board is used can be lightly shortened .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5519A KR101034002B1 (en) | 2003-08-11 | 2003-08-11 | Keyboar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5519A KR101034002B1 (en) | 2003-08-11 | 2003-08-11 | Keyboar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7939A KR20050017939A (en) | 2005-02-23 |
KR101034002B1 true KR101034002B1 (en) | 2011-05-11 |
Family
ID=37227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5551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4002B1 (en) | 2003-08-11 | 2003-08-11 | Keyboar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400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64005B2 (en) | 2018-10-23 | 2023-09-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 assembl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23704B (en) * | 2020-03-06 | 2025-01-14 | 韩彩凤 | A lifting and folding button and a lifting button assembly having the button |
CN119044185B (en) * | 2024-08-23 | 2025-02-11 | 东莞市浩坚电子有限公司 | Keyboard and keycap defect detection equipment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
-
2003
- 2003-08-11 KR KR1020030055519A patent/KR10103400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64005B2 (en) | 2018-10-23 | 2023-09-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 assembl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7939A (en) | 2005-0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86227A (en) | Keyswitch key apparatus | |
US5534891A (en) | Electronic equipment having display unit and operation input unit | |
EP0813328A2 (en) | Touch screen keyboard | |
JPH05290673A (en) | Key switch device | |
CN110033975B (en) | button | |
JP3201175B2 (en) | Key switch | |
US6713700B2 (en) | Elevatable key switch and keyboard with the same | |
US6390699B1 (en) | Keyboard with moveable base plate providing key travel | |
US6563061B2 (en) | Key switch and keyboard | |
JP2004079322A (en) | Keyboard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TW201735083A (en) | Keyboard | |
KR101034002B1 (en) | Keyboard | |
JP5351715B2 (en) | Keyboard device | |
KR102156125B1 (en) | Lifting device for input assembly, and keyboar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
JP2002216575A (en) | Keyboard | |
JPH0519923A (en) | Keyboard device | |
JP2004039382A (en) | Key switch device, and keyboard | |
JP3045296B2 (en) | Key switch | |
JP4270619B2 (en) | Key switch device and keyboard | |
JPH0636649A (en) | Keyboard device | |
JP3451080B2 (en) | Key switch | |
JPH11136U (en) | Input device | |
JP3218129B2 (en) | Keyboard equipment | |
JP3326155B2 (en) | Key switch | |
JP3318281B2 (en) | Key swit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7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8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