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168B1 - Folding device of pipe lining bag - Google Patents
Folding device of pipe lining ba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3168B1 KR101033168B1 KR1020090070404A KR20090070404A KR101033168B1 KR 101033168 B1 KR101033168 B1 KR 101033168B1 KR 1020090070404 A KR1020090070404 A KR 1020090070404A KR 20090070404 A KR20090070404 A KR 20090070404A KR 101033168 B1 KR101033168 B1 KR 1010331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sewing
- lining bag
- coating
- nonwoven fabr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4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8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331 s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276425 Xiphophorus macul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09 ir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B29C53/043—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using rolls or endless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B29C53/06—Forming folding lines by pressing or scoring
- B29C53/063—Forming folding lines by pressing or scoring combined with f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나 하수도와 같은 관로의 보수에 사용되는 관라이닝재의 부직포에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되기 전의 관라이닝 백의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판상의 부직포를 폴딩 롤러부에 연속 통과시키는 이송을 행하여 폴딩된 부직포의 자동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관라이닝 백의 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apparatus for a pipe lining bag before a thermosetting resin is impregnated into a nonwoven fabric of a pipe lining material used for repairing a pipe such as a water supply pipe or a sewage pipe, To a folding apparatus for a pipe lining bag which enables automatic production of a nonwoven fabric.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수도나 하수도와 같은 관로의 보수에 사용되는 관라이닝재의 부직포에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되기 전의 관라이닝 백의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판상의 부직포를 폴딩 롤러부에 연속 통과시키는 이송을 행하여 폴딩된 부직포의 자동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관라이닝 백의 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apparatus for a pipe lining bag before a thermosetting resin is impregnated into a nonwoven fabric of a pipe lining material used for repairing a pipe such as a water supply pipe or a sewage pipe, To a folding apparatus for a pipe lining bag which enables automatic production of a nonwoven fabric.
종래 관라이닝 백의 제조방법은 일면에 플라스틱 필름이 부착된 판상의 부직포를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접어 폭방향으로 접어 포개되는 폴딩 공정과, 이 폴딩된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관상의 부직포로 만드는 재봉 공정과, 재봉된 가장자리를 확장 펼쳐 맞대는 확장 공정과, 이 확장된 재봉부에 코팅하는 코팅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A conventional method for manufacturing a pipe lining bag includes a folding process in which a plate-shaped nonwoven fabric having a plastic film on one side thereof is folded in a width direction by fold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 sewing process for sewing the folded edge to form a tubular nonwoven fabric, The sewing edge is expanded and unfolded, the swivel is extended, and the coating process is applied to the extended sewing portion.
그런데, 폴딩 공정에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판상의 부직포를 접어서 누르기 때문에 많은 작업자가 필요하고 그 폴딩 작업 시간 또한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진다. 또한, 관라이닝 백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공장 스페이스가 좁을 경우 조 금씩 조금씩 접어나가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된다. However, in the folding process, since the operator folds and presses the sheet nonwoven fabric one by one, a lot of workers are needed, and the folding operation time is also long, resulting in low productivity. In addition, when the length of the pipe lining bag is long, productivity is lowered because the factory space needs to be folded little by little when the space is narrow.
또한, 확장 공정도 폴딩 공정과 마찬가지로 일일이 작업자가 양쪽을 잡고 고무 망치로 두들기면서 폈기 때문에 생산성 또한 저하된다. In addition, as in the folding process, the expanding process is also reduced in productivity because the operator grasps both sides and kneads with a rubber hammer.
또한, 코팅 공정은 확장 공정에서 펼쳐진 상태의 재봉부를 코팅하기 때문에, 재봉부가 덜 확장된 경우에는 코팅이 재봉부에서 들떠서 사용중 떨어져 추후 수지 함침공정에서 수지가 샐 우려가 크다. In addition, since the coating process coats the stretched portion in the stretched process, when the stretched portion is less extended, the coating is lifted from the sewing portion and is likely to be used during the resin impregnation process.
또한, 코팅 공정은 코팅 노즐에 재봉부의 센터를 맞추어서 이송해야 하는데, 센터가 맞지 않을 때에는 작업을 중지하고 센터를 맞춘 후 전방에서 관라이닝 백을 잡은 상태에서 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In addition, the coating process must be carried out by aligning the center of the sewing section with the coating nozzle. When the center is not aligned, it is troublesome to stop the work and perform the work while holding the tube lining bag at the front after aligning the center.
또한, 코팅 공정에서 관라이닝 백을 길이방향으로 당겨주는 장치가 없어 작업자가 당겨주면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당김 정도가 불균일하고 작업자가 더 필요하게 된다. Further, since there is no device for pulling the pipe lining ba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oating process, the work is performed while pulling the worker, so that the pulling degree is uneven and more workers are needed.
또한, 폴딩 공정과 확장 공정이 수작업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폴딩공정에서 코팅공정까지 연속적으로 작업이 곤란하여 생산성을 더욱 저하시킨다. Further, since the folding process and the expanding process are manually performed, it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perform operations from the folding process to the coating process, thereby further lowering the productivity.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판상의 부직포를 포개어 접힌 부직포로 자동 생산이 가능한 관라이닝 백의 폴딩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lding device for a pipe lining bag capable of automatically producing folded nonwoven fabrics as a folded nonwoven fabric.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관라이닝 백의 폴딩 장치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a folding apparatus for a pipe lining bag 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면에 필름이 부착된 판상의 부직포를 받치는 받침 롤러부; 상기 받침 롤러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수평안내롤러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안내롤러부는 상기 받침 롤러부를 통과하는 판상의 부직포를 2겹으로 접는 폴딩 롤러와, 상기 폴딩 롤러를 통과한 부직포를 수평방향으로 안내 이송하는 수평안내롤러를 포함한다. A supporting roller portion for supporting a plate-shaped nonwoven fabric having a film on one surface thereof; The horizontal guide roller unit includes a folding roller that folds a nonwoven fabric sheet in a plate shape passing through the support roller unit into two folds, and a nonwoven fabric that passes through the folding roller uni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guide roller for conveying the sheet.
이 구성에 의하면, 판상 부직포의 폴딩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heet-like nonwoven fabric can be folded automatically,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관라이닝 백의 폴딩 장치는,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lding apparatus for a pipe lining bag,
상기 폴딩 롤러는 상면에서 볼 때 상기 받침 롤러부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받침 롤러부는 승강부에 의해 승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folding roller is dispos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roller portion when viewed from the top, and the receiving roller portion is elevated by the elevating portion.
이 구성에 의하면, 폴딩 자세가 좋고, 승강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해 작업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 원활한 작업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folding posture is good, and the height can be adjusted by raising and lowering, so that the work can be smoothly performed without taking up a lot of work space.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관라이닝 백의 폴딩 장치는,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lding apparatus for a pipe lining bag,
상기 받침 롤러부와 상기 수평안내롤러에는 폴딩된 부직포의 폭방향을 가이드하는 폭방향가이드편이 더 장착되면, 이송 진행 방향을 정확히 가이드 하여 폴딩을 거의 정확히 행하면서도 작업 속도는 빠르다. When the width direction guide pieces for guidi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olded nonwoven fabric are further mounted on the support roller portion and the horizontal guide roller, the folding operation is performed accurately and the operation speed is fast.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following effects.
일면에 필름이 부착된 판상의 부직포를 받치는 받침 롤러부의 하측에 수평안내롤러부를 배치함으로써, 판상 부직포의 폴딩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sheet-like nonwoven fabric can be folded automatically by disposing the horizontal guide roller portion under the support roller portion supporting the nonwoven fabric having the film on one surface thereof,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또한, 상면에서 볼 때 수평안내롤러부가 받침롤러부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고, 받침 롤러부는 승강부에 의해 승강됨으로써, 폴딩 자세가 좋고, 승강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해 작업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도 원활한 작업이 가능하다. Further, since the horizontal guide roller portion is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receiving roller portion as viewed from the upper surface, and the receiving roller portion is elevated by the elevating portion, the folding posture is good and the height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can be adjusted. Work is possible.
또한, 받침 롤러부와 수평안내롤러에 폴딩된 부직포의 폭방향을 가이드하는 폭방향가이드편을 장착함으로써, 이송 진행 방향을 정확히 가이드 하여 폴딩을 거의 정확히 행하면서도 작업 속도는 빠르다. Further, by attaching the width direction guide pieces for guidi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folded to the receiving roller portion and the horizontal guide roller, the folding operation is carried out almost accurately by guiding the conveying direc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대경용 관라이닝 백의 제조 공정)(Manufacturing process of Daikyong pipe lining ba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경용 관라이닝 백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공정도이고, 도 2는 도 1의 1차 재봉 공정 라인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3의 2차 재봉공정, 확장공정, 누름펼침공정의 라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받침 롤러부의 승강 전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누름펼침 공정라인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코팅 공정 라인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코팅 공정 라인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코팅 공정 라인 중 코팅 및 당김 공정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7의 코팅 공정 라인 중 센터링 공정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2 is a side view of the primary stitching process line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imary stitching line of FIG. FIG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eps of lifting and lowering the supporting roller unit of FIG. 3,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ing and unwinding process line of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ating process line of Fig. 1,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coating process line of Fig. 7, Fig. 9 is a cross-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entering process of the coating process line of FIG. 7; FIG.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1에 따른 관라이닝 백의 제조 공정 라인은 크게 재봉 공정 라인(10), 확장 공정 라인(30), 코팅 공정 라인(50)으로 구성하여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manufacturing line of the tube lining ba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largely composed of a sewing line 10, an
재봉 공정 라인(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재봉 공정 라인(10A)과 2차 재봉 공정 라인(10A)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sewing process line 10 is constituted by a
1차 재봉 공정 라인(10A)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판상 부직포(11a)와 제2판상 부직포(11b)가 상하로 포개어진 상태로 이송되는 일측 가장자리를 소잉 머신(13)으로 1차 재봉하는 공정이다. As shown in Fig. 2, the
즉, 제1판상 부직포(11a)와 제2판상 부직포(11b) 각각은 일면에 플라스틱 필름이 부착된 판상의 부직포가 롤 형태로 감겨 제공된다. That is, each of the first sheet
이 롤 형태의 제1판상 부직포(11a)와 제2판상 부직포(11b)는 필름이 상하에 위치하도록 상하로 포개어진 채 피이드 롤러(15a,15b,15c)를 통해 이송됨에 따라 소잉 머신(13)에 의해 1차 재봉이 연속적으로 행하여 1차 재봉부(12a)를 형성한다. The first and second plate-like
물론, 1차 재봉을 행하기 전에 판상 부직포(11a)(11b)의 양측 가장자리를 커터로 원하는 크기로 재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f course, it is preferable to cut both side edges of the sheet-like
피이딩 롤러(15a,15b,15c) 각각은 구동롤러와 승강롤러로 구성되어 있는데, 도 2의 피이딩 롤러(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하측 롤러(15c')와 승강 상측 롤러(15c'')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하측 롤러(15c')는 모터(14a)에 연결된 소잉 머신(13)의 회전력을 크랭크(14b)와 일방향 클러치(14c)를 통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다. Each of the
또한, 피이딩 롤러(15a,15b,15c) 중 적어도 소잉 머신(13)의 전방에 있는 피이딩 롤러(15c)만을 이송 롤러로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피이딩 롤러(15c)의 반대측 회전축에는 도 2와 같이 기어(14d)로 맞물려 있어, 기존 가압 마찰력에 의한 회전력보다 더 큰 회전력을 제공한다. Also, at least one of the
1차 재봉부(12a)가 형성된 부직포(11c)는 도 3에 도시한 확장 공정 라인(30) 앞에 배치한 소잉 머신 기구(13A)를 통과시켜 타측 가장자리를 2차 재봉을 행하여 2차 재봉부(12b)를 형성한다. The
물론, 1차 재봉 공정 라인(10A)에서 소잉 머신(13)을 양측 가장자리에 두고 동시에 재봉하여도 되지만, 동시에 재봉하는 경우 상측 부직포(11a)와 하측 부직포(11b)가 펴지지 않고 불룩해져 추후 공정에서 에러가 발생되는 원인을 제공한다. Of course, the
이처럼, 도 1의 소잉 머신 기구(13A)를 1차와 2차 재봉 모두에 사용하는 경우 단속적으로 재봉 공정이 이루어지고, 별도의 소잉 머신 기구를 더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재봉 공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장 여건(설치 공간 등)에 따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1차 재봉부(12a)와 2차 재봉부(12b)가 형성된 관라이닝 백(11d)은 확장 공정 라인(30)을 통해 확장이 행해진다. The
즉, 확장 공정은 재봉부(12a)(12b)의 가장자리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하도록 확장하여 추후 코팅 공정에서 재봉부(12a)(12b)의 용이한 코팅면과 확실한 실링면을 얻기 위한 공정이다. That is, the expanding process is a process for expanding the edges of the
확장 공정 라인(3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확장 공정 라인(310)과 보조 확장 공정 라인(370)으로 구성하여 있다. The
메인 확장 공정 라인(310)은 관라이닝 백(11d)의 밑면을 받치는 받침 롤러부(320)와, 관라이닝 백(11d)의 내부에 삽입되는 확장지그(330)로 구성하여 있다. The main
받침 롤러부(320)는 전후방에 배치되는 롤러지지브라켓(321)과, 이 롤러지지브라켓(321)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받침 롤러(323)로 구성하여 있다. The
롤러지지브라켓(321)은 수직지지브라켓(321a)과 이 수직지지브라켓(321a)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지지브라켓(321b)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받침 롤러(323)는 수직지지브라켓(321a)의 하측에 설치되는 로어 받침 롤러(323a)와, 수평지지브라켓(321b)을 따라 설치되는 어퍼 받침 롤러(323b)와, 로어 받침 롤러(323a)와 어퍼 받침 롤러(323b) 사이에 설치되는 미들 받침 롤러(323c)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마치 계단형태로 배치되어 관라이닝 백(11d)을 받치기 편리하다. The support roller 323 includes a
또한, 로어 받침 롤러(323a)와 어퍼 받침 롤러(323b)에는 관라이닝 백(11d)의 폭을 가이드하는 플랜지타입의 폭방향가이드편(32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flange type width
또한, 롤러지지프레임(321)은 승강부(340)에 의해 프레임(311)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및 도 5 참조). It is preferable that the
승강부(340)는 프레임(311)에 형성되는 가이드홈(341)과, 롤러지지브라켓(321)을 지지한 채 가이드홈(341)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가이드바(343)와, 일단은 수평지지브라켓(321b)에 타단은 수직지지브라켓(321a)에 고정되는 구동체인(345)과, 체인(345)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되어 안내하는 상단 스프로킷(미도시) 및 하단 스프로킷(347)과, 하단 스프로킷(347)에 동력을 전달하는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모터(미도시)로 구성하여 있다. The elevating portion 340 includes a
또한, 받침 롤러부(320)에는 추(35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즉, 추(350)는 프레임(341)에 설치된 안내 스프로킷(351)에 걸친 체인(353)의 일단에 설치되고, 체인(353)의 타단은 수평지지브라켓(321b)에 고정되어 있다. That is, the
또한, 추(350)에는 하단이 프레임(311)에 고정된 가이드봉(355)에 끼워져 승강 가능하게 안내되는 C형의 안내편(357)이 설치되어 있다. The
이러한 추(350)는 받침 롤러부(320)가 위를 향해 힘을 받도록 하여 임의의 낙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승을 원활하게 행하게 한다. The
확장지그(330)는 바(331)와, 바(331)의 양단에 설치되는 포물확장편(33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포물확장편(333)은 바깥을 향해 볼록한 포물선 형상이기 때문에, 관라이닝 백(11d)의 확장시의 가장자리의 위치를 잘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Since the
한편, 받침 롤러부(320)의 하방에는 수평안내롤러부(360)가 프레임(31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 horizontal
수평안내롤러부(360)는 확장지그(330)를 받치면서 수직방향으로 내려오는 관라이닝 백을 수평방향으로 안내하여, 피이딩 구동롤러(380)에 의해 확장된 상태로 연속해서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피이딩 구동롤러(380)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회전되는 하측 구동이송롤러(381)와, 승강하는 상측 아이들이송롤러(383)로 구성되어 있다. The horizontal
수평안내롤러부(360)는 전후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가이드롤(361)과, 이 한 쌍의 수직 가이드롤(361)의 아래 전방측에 점차 배치되는 천이 가이드롤(363)(365)과, 천이 가이드롤(365)의 약간 아래쪽에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수평 가이드롤(367)로 구성하여 있다. The horizontal
확장지그(330)가 수직 가이드롤(361) 사이의 위쪽에 놓인 채 확장 공정이 행해지기 때문에, 확장지그(330)가 움직이지 않아 펼친 가장자리가 잘 접혀 이송효율을 높인다. Since the expanding process is performed while the expanding
또한, 수평 가이드롤(367)에는 폭의 가장자리를 가이드하는 폭방향가이드편(368)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width
따라서, 확장지그(330)의 밑면은 수직 가이드롤(361)에 받친 채 관라이닝 백(11d)의 연속적으로 이송함에 따라 확장 공정이 행해진다. Therefore, the lower surface of the
한편, 피이딩 구동롤러(360) 전방에 추가 확장 공정 라인(370)이 배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n additional
즉, 추가 확장 공정 라인(370)은, 확장지그(330)를 통과한 관라이닝 백(11f)의 재봉부(12a)(12b)가 그 폭의 중심 선상에 놓이게 되지만, 수평안내롤러부(360)을 통과하면서 재봉부(12a)(12b)가 덜 맞대어질 우려를 줄이기 위한 추가 공정이다. That is, although the
추가 확장 공정 라인(37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누름확장롤러부와 가압확장롤러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6, the additional
가압확장롤러부는 상하 롤러(371)(373) 사이를 통과시켜 재봉부(12a)(12b)를 다림질하듯이 펼친다. The pressurization expansion roller portion is passed between the upper and
상측 롤러(371)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회전축을 따라 요철부(371a)(371b)를 두는 것이, 가압할 때 띄엄띄엄 눌러주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눌러주는 것보다 변형성이 좋아 폭방향으로 구김이 생기지 않아 좋다. 물론, 재봉부(12a)(12b)는 볼록부(371b)가 눌러주는 위치에 있다. Since the
한편, 상하 롤러(371)(373)를 통과하기 전에 상면 재봉부(12b)를 눌러주는 누름확장롤러부(375)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a pressing
누름확장롤러부(375)는 누름캐스터(376)와, 이 누름캐스트(376)을 좌우 슬라이딩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부(377) 및 승강부(378)로 구성하여 있다. The pushing
슬라이딩부(377)는 가로프레임(313)에 장착 고정된 고정브라켓(377a)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스크류바(377b)와 이 고정스크류바(377b)에 체결되어 슬라이딩되는 이송너트(377c)로 구성하여 있다. The sliding
승강부(378)는 하단에 누름캐스터(376)를 지지한 승강스크류바(378a)와, 이승강스크류바(378a)가 승강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너트(378b)로 구성하여 있다. The elevating
상기 고정너트(378b)는 이송너트(377c)와 함께 이송되는 이송브라켓(378c)에 고정되어 있다. The fixing
누름캐스터(376)는 승강스크류바(378a)에 대해 360도 회전 가능한 롤(376a)로 구성되어, 가장자리로부터 재봉부(12b)를 향해 이송될 때 큰 저항을 받지 않고 누르면서 이송 가능하게 한다. The pushing
도한, 누름확장롤러부(375)는 밑에 바치지 않은 상태에서 위에서 누르기 때문에 관라이닝 백의 길이방향으로 당기는 효과도 준다. The pushing and pushing
이와 같은 확장 공정을 통과한 관라이닝 백(11g)은 도 7의 코팅 공정 라인(50)으로 이송된다. The
코팅 공정 라인(50)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봉부(12a)(12b)를 당겨 확장하는 당김확장부(510)와 이 당겨진 상태의 재봉부(12a)(12b)를 코팅하는 코팅노즐부(530)로 구성되어 있다. 7 to 9, the
코팅노즐부(530)는 코팅노즐(531)와, 이 코팅노즐(531)에 젤 타입의 코팅액을 공급하는 공급원(533)으로 구성하여 있다. The
코팅노즐(531)은 처음에는 재봉부(12a)(12b)의 폭보다 약간 넓게 코팅한 후, 재차 코팅한 부위의 폭보다 더 넓게 코팅을 행하여 재봉부의 실링을 완벽하게 행한다. The
즉, 재봉부(12a)를 협폭 코팅한 후, 뒤집어서 재봉부(12b)를 협폭 코팅을 하는 협폭 코팅 공정을 행한다. 이 협폭 코팅 공정을 완료한 후 폭방향 사이즈가 더 긴 노즐로 교체한 후 협폭 코팅 상층에 각각 광폭 코팅 공정을 통해 코팅 공정을 완료한다. That is, after the narrow portion of the
특히 협폭 코팅 공정을 행할 때, 당김확장부(510)로 재봉부(12a)(12b)를 다시 한번 더 화살표 A방향(재봉부의 라인에 대해 폭방향)으로 당기면서 확장을 행하는 공정을 동시에 구현한다면, 바느질 틈새로 코팅액이 잘 스며들어, 코팅층의 완벽하게 붙어있어 열경화성 수지의 함침시 누수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시킬 수 있다. Especially, when the narrowing coating process is performed, pulling the
당김확장부(510)는 당김확장롤러(510)로 구성되되, 그 회전축(511)은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방향의 축(o)에 대해 α각도로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도 9에서는 회전축(511)의 바깥쪽이 안쪽에 비해 진행방향 전방측에 가까이 배치)되어 화살표 A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The pulling
당김확장롤러(510)는 관라이닝 백(11g)의 폭 길이에 따라 서로 접근 또는 후퇴시키는 접근후퇴부(5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ulling
이 접근후퇴부(520)는 관라이닝 백의 폭 길이에 따라 서로 접근 후퇴시키거나, 재봉부의 위치가 폭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당김확장롤러 사이의 거리를 동시에 또는 각각 조정하여 최대한의 폭방향 당김력을 얻을 수 있다. The
접근후퇴부(520)는 당김확장롤러(510)가 설치된 가동너트(523), 이 가동너트(523)가 체결되는 고정스크류바(521), 이 고정스크류바(521)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525)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브라켓(525)는 프레임(503) 상에 고정되어 있다. The approaching and retracting
이와 같이, 코팅노즐부(530)에서 코팅이 행해진 관라이닝 백(11h)은 가압냉각롤러부(540)와 압착롤러(580)(590)를 통과하면, 코팅층의 압착 경화된 관라이닝 백(11i)이 나온다. When the
가압냉각롤러부(54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롤러부(541)와 하면롤러부(546)로 구성하여 있다.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pressure-cooling
상면롤러부(541)는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냉각순환롤(542)과, 이 냉각순환롤(542)의 중심에 돌출 형성되는 가압냉각롤(543)과, 이 가압냉각롤(543)의 중심에 돌출 형성되는 집중가압냉각롤(544)로 구성하여 있다. The upper
냉각순환롤(542)에는 냉각순환관(545)를 통해 냉수가 공급되고 배출된다. Cooling water is supplied to and discharged from the cooling
가압냉각롤(543)는 재봉부(12a 또는 12b)보다 더 넓은 폭방향으로 눌러주는 롤이고, 집중가압냉각롤(544)은 코팅의 최대제한폭만큼 실질적으로 가압 냉각하여 수지코팅액을 압착 경화시킨다. The
하면롤러부(515)는 상면롤러부(541)에 대응되는 아래에 위치하면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팅제한홈(547)이 형성되어 집중가압냉각롤(544)이 코팅액을 가압하더라도 코팅제한홈(547)에 의해 더 이상 눌려 얇아지지 않게 한다. 따라서, 코팅제한홈(547)의 구성에 의해, 코팅층의 두께를 일정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The
이처럼 가압냉각롤러부(540)를 통과한 관라이닝 백(11i)은 1차 압착롤러(580)와 2차 압착롤러(590)를 통과시키면서 코팅층을 충분히 압착하며, 최종 관라이닝 백(11j)이 만들어진다. The tube lining bag 11i having passed through the pressurizing and
이 라이닝 백(11j)은 함침 공정에서 함침이 행해짐으로써, 관로의 보수에 사용되는 관라이닝재가 제조된다. The lining
한편, 당김확장부(510)와 코팅노즐부(530)의 앞에 재봉부(12a 또는 12b)의 센터 라인을 맞추는 센터링조절부(560)가 더 배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also preferable that a centering adjusting
즉,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라이닝 백(11g)의 재봉부(12a 또는 12b)의 센터 라인은 코팅노즐부(530)의 센터에 맞게 이송되어야 한다. That is, the center line of the
그러나, 롤이 폭방향 전체로 골고루 누른 상태에서 이송하지 않기 때문에 틀어지기 마련이다. However, since the roll is not transported while being evenly pressed in the entire width direction, it is turned off.
이를 작업자가 센터를 맞추기 위해 틀어주는 것은 매우 힘들어서 작업을 멈추고 가압냉각롤러부(540)의 가압을 해제한 후 맞추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worker to rotate the worker in order to align the center, and the productivity is remarkably lowered due to the troublesomeness of stopping the work and releasing the pressurization of the pressurizing and
또한, 관라이닝 백(11g)이 코팅노즐부(530)를 통과할 때 길이방향으로 어느 정도 팽팽하게 당겨지면 재봉부(12a 또는 12b)의 길이방향으로도 코팅액의 침투가 잘 이루어져 경화 코팅층의 이탈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Also, if the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한 센터링조절부(56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ing
센터링조절부(560)는 관라이닝 백(11g)을 롤러로 물고 있는 상태에서 폭방향 으로 이송시키면서 센터링을 맞추는 동시에 압착한 정도에 따라 관라이닝 백(11g)의 길이방향으로 당기는 역할을 한다. The centering
센터링조절부(56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링롤러(560a)와, 이 센터링롤러(561)를 폭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센터링을 조절하는 센터링롤러이송부(560b)로 구성하여 있다. As shown in Fig. 10, the centering
센터링롤러(560a)는 상부센터링롤러(561a)와 하부센터링롤러(563a)로 구성하여 있다. The centering
상부센터링롤러(561a)는 브라켓(563)에 장착된 승강용 구동실린더(561)에 회전 자유롭게(즉 아이들 롤러) 지지되어 있고, 하부센터링롤러(563a)도 브라켓(563)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관라이닝 백을 압착 물어주는 효과에 더하여 재봉부를 압착 가압하는 효과를 재차 줄 수 있다. The upper centering
센터링롤러이송부(560b)는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크류봉(561b)과, 이 스크류봉(561b)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이송너트(563b)와, 이 이송너트(563b)에 고정되는 슬라이더(565b)로 구성하여 있다. The centering
슬라이더(565b)는 브라켓(563)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566b)과, 이 지지브라켓(566b)과 이송너트(563b)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567b)과, 지지브라켓(566b)에 설치되는 가이드봉(567b)으로 구성하여 있다. The
가이드봉(567b)은 프레임에 고정되는 가이드파이프(568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있다. The
따라서, 스크류봉(561b)이 정역회전하면 이송너트(563b)도 폭방향으로 이송 되어, 슬라이더(565b)가 가이드파이프(568b)에 대해 폭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센터링롤러(560a)를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센터링을 조절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한편, 센터링롤러부(560a)에는 공회전의 속도를 감소 또는 정지시키는 회전속도제어부(57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entering
즉, 회전속도제어부(570)는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572a)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일단에 플랜지(576a)가 형성되는 슬리브관(576)과, 이 슬리브관(576)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부시(259)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피동스프로킷(572)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디스크 링(574)과, 디스크 링(574)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스프링(575)과, 슬리브관(576)의 타단에 형성된 수나사(576b)에 체결되어 스프링(575)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너트(578)로 구성되어 있다. 10B, the
샤프트(572a)는 슬라이더(565b) 또는 브라켓(563)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The
너트(578)는 체결 피치에 따라 스프링(575)의 가압 정도를 조절하여 감속 또는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따라서, 관라이닝 백의 이송 속도에 따라 센터링롤러부(560a)의 회전이 자유롭지 않고 상대적으로 느리게 회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이송 속도가 빠르게 진행하는 관라이닝 백를 후방으로 당겨지는 효과를 받게 된다. Therefore, the centering
이하 전술한 공정 라인을 갖는 본 실시예1의 공정 순서를 설명한다. The process sequence of the first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line will now be described.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필름이 부착된 제1판상 부직포(11a)를 권취한 제1권취롤과, 하면에 필름이 부착된 제2판상 부직포(11b)를 권취한 제1권취롤을 상하로 배치한다. As shown in Fig. 1, a first take-up roll in which a first platelike
이 상하로 배치한 제1권취롤과 제2권취롤의 부직포를 상하로 포개어 피이딩 롤러(15c) 또는 피이딩 롤러(15a,15b,15c)에 물린 후 소잉을 행하여 일측 가장자리를 1차 재봉하여 1차 재봉부(12a)를 형성한다. The upper and lower nonwoven fabrics of the first winding roll and the second winding roll are superimposed one on the other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to be squeezed by the feeding
1차 재봉부(12a)가 형성된 후 타측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2차 재봉부(12b)가 형성된 관라이닝 백(11d)을 확장지그(330)를 통해 전장의 길이방향에 대해 폭방향으로 확장하여 재봉부(12a)(12b)가 폭방향 중심 선상에 위치시킨다. After the
이와 같이, 확장지그(330)의 사용으로 관라이닝 백의 확장 공정 속도는 매우 빨라지는 동시에 확장된 양측 가장자리도 잘 포개어 접혀지기 때문에 추후 확장 공정에서 에러 없이 이송을 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xpansion process speed of the pipe lining bag is very fast by using the
이 확장된 관라이닝 백(11e)는 수평안내롤러부(360)와 추가 확장 공정 라인(370)을 통과시켜 재봉부(12a)(12b)의 가장자리가 서로 맞대어 펼친 관라이닝 백(11g)을 제조한다. The expanded
이 관라이닝 백(11g)은 센터링조절부(560)에서 센터링되거나 길이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당김확장부(510)에서 폭방향 당긴 상태에서 코팅노즐부(530)에서 1차 협폭 코팅이 행해지기 때문에, 재봉부의 실 틈새로 코팅액의 침투가 확실해서 들떠서 이탈될 우려를 완전히 해소시킨다. Since the
또한, 센터링조절부(560)의 롤러에 브레이크를 걸어주어서 관라이닝 백의 길이방향으로도 당겨주기 때문에 코팅액이 재봉부에 확실히 침투하면서 서로 결합력을 매우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rakes are applied to the rollers of the centering adjusting
1차 협폭 코팅이 행해진 후 뒤집어서 동일한 방법으로 2차 협폭 코팅을 행한 다. After the first narrow coating is performed, the second narrow coating i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2차 협폭 코팅이 행해진 후 코팅노즐부(530)의 노즐을 광폭 노즐로 바꾼 후 협폭 공정과 동일하게 광폭 코팅을 1차와 2차로 나누어서 행한다.After the second narrow coating is performed, the nozzles of the
협폭 코팅과 광폭 코팅 시에는 판상의 젤 타입 코팅액이 집중가압냉각롤(544)와 코팅제한홈(547)의 상호 작용에 의해 소정의 두께를 연속해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코팅층의 두께가 전체 길이를 따라 규칙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코팅층의 불규칙한 두께에 따른 품질저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narrow coating and wide coating, a plate-like gel-type coating liquid can be continuously obtain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by interaction between the concentrated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소경용 관라이닝 백의 제조 공정)(Manufacturing process of small diameter pipe lining bag)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경용 관라이닝 백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공정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접지 공정과 재봉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1 is a whole process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mall-diameter pipe lining ba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grounding process and the sewing process of FIG.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관라이닝 백의 공정은 제1실시예의 관라이닝 백의 공정과 거의 유사하지만, 재봉부가 1차로 끝나기 때문에, 먼저 접어 포개는 폴딩 공정을 행한 후 재봉 공정을 한다. 11 and 12, the process of the pipe lining bag of the second embodiment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process of the pipe lining bag of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since the sewing section is finished first, the folding process is firstly performed, Process.
폴딩 공정은 제1실시예의 확장 공정에서 수평안내롤러부(360) 중 한 쌍의 가이드롤(361)가 폴딩 롤러로서의 기능을 대신한다. The folding process replaces the function of the pair of
즉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면에 필름이 부착된 판상의 부직포(11)를 받침 롤러부(320)에 올려놓은 다음, 필름이 바깥쪽에 배치되게 점차 접으면서 포개지도록 아래로 당겨 한 쌍의 가이드롤(361)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판상의 부직포를 폴딩된 부직포(11')로 연속하여 이송시키고, 이 폴딩된 부직포는 재봉 공정 라인의 소잉 머신(13)에 의해 재봉부(12)가 형성되어, 간단히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라이닝 백이 만들어진다. 11 and 12, a sheet-
제2실시예의 수평안내롤러부(360)는 폴딩 롤러와 수평안내롤러로 구성된다. The horizontal
폴딩 롤러는 전후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가이드롤(361)에 해당된다. The folding rollers correspond to a pair of vertical guide rolls 361 installed before and after.
수평안내롤러는 한 쌍의 수직 가이드롤(361)의 아래 전방측에 점차 배치되는 천이 가이드롤(363)(365)과, 천이 가이드롤(365)의 약간 아래쪽에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수평 가이드롤(367)로 구성된다. The horizontal guide rollers include
이 재봉 공정이 끝난 관라이닝 백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확장 공정을 통한 재봉부(12)의 중심 선상에 위치시키고, 이 중심선이 재봉부(12)에 협폭 코팅과 광폭 코팅을 행하는 코팅 공정을 통해 최종 관라이닝 백을 제조한다. The pipe lining bag after the sewing process is placed on the center line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재봉부의 폴딩 코팅을 행하는 제품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ny product that performs folding coating of the sewing s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경용 관라이닝 백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공정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overall process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large diameter pipe lining ba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는 도 1의 1차 재봉 공정 라인을 도시한 측면도.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primary sewing process line of Fig. 1; Fig.
도 3은 도 3의 2차 재봉공정, 확장공정, 누름펼침공정의 라인을 도시한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ne of a secondary sewing step, an expanding step, and a press-spreading step in Fig.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받침 롤러부의 승강 전후를 도시한 사시도. Fig. 4 and Fig.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before and after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receiving roller unit of Fig. 3;
도 6은 도 3의 누름펼침 공정라인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 spreading process line of Fig. 3; Fig.
도 7은 도 1의 코팅 공정 라인을 도시한 측면도. Figure 7 is a side view of the coating process line of Figure 1;
도 8은 도 7의 코팅 공정 라인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ating process line of FIG. 7;
도 9는 도 7의 코팅 공정 라인 중 코팅 및 당김 공정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ating and pulling process in the coating process line of FIG. 7;
도 9a는 당김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9A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pulling process;
도 10은 도 7의 코팅 공정 라인 중 센터링 공정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entering process of the coating process line of FIG. 7;
도 10a는 도 10의 폭방향 이송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10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idth direction transfer of FIG. 10;
도 10b는 도 10의 회전속도감속부를 도시한 단면도. Fig. 10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rotation speed deceleration unit of Fig. 10; Fig.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경용 관라이닝 백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공정도. 11 is an overall process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mall diameter tube lining ba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11의 접지 공정과 재봉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ounding step and a sewing step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 : 재봉공정라인 10A,10B : 1차,2차 재봉공정라인10:
11,11a,11b : 판상 부직포 11c : 1차 재봉 부직포11, 11a, 11b: Plate-like
11d : 2차 재봉 부직포(관라이닝 백) 11d: Second sewing nonwoven fabric (tube lining bag)
12a : 1차 재봉부 12b : 2차 재봉부12a:
13 : 소잉 머신 13A : 소잉 머신 기구13: Sowing
14a : 구동모터 14b : 크랭크14a: drive
14c : 일방향 클러치 14d : 기어14c: one-way clutch 14d: gear
15a,15b,15c : 피이딩 롤러 30 : 확장공정라인15a, 15b, 15c: Feeding roller 30: Expansion process line
310 : 메인 확장공정라인 311 : 프레임310: main expansion process line 311: frame
320 : 받침 롤러부 321 : 롤러지지브라켓320: Support roller unit 321: Roller support bracket
323 : 받침롤러 330 : 확장지그323: Support roller 330: Expansion jig
340 : 승강부 341 : 가이드홈340: elevating portion 341: guide groove
343 : 가이드바 345 : 구동체인343: guide bar 345: drive chain
347 : 하단 스프로킷 350 : 추347: Lower Sprocket 350: Chu
351 : 안내 스프로킷 353 : 체인351: guide sprocket 353: chain
355 : 가이드봉 357 : 안내편355: guide rod 357: guide
360 : 수평안내롤러부 361 : 수직 가이드롤(폴딩 롤러부)360: Horizontal guide roller unit 361: Vertical guide roll (folding roller unit)
370 : 추가 확장공정라인 371,373 : 가압확장롤러부370: additional
375 : 누름확장롤러부 380 : 피이딩 구동롤러375: Press expansion roller unit 380: Feeding drive roller
50 : 코팅공정라인 510 : 당김확장부50: coating line 510: pull extension
511 : 회전축 515 : 하면롤러511: rotating shaft 515: lower roller
517 : 승강구동실린더 520 : 접근후퇴부517: Lift cylinder 520: Approach recess
521 : 고정스크류바 523 : 가동너트521: Fixing screw bar 523: Movable nut
530 : 코팅노즐부 540 : 가압냉각롤러부530: coating nozzle unit 540: pressurized cooling roller unit
541 : 상면롤러부 542 : 냉각순환롤541: upper roller section 542: cooling circulation roll
543 : 가압냉각롤 544 : 집중가압냉각롤543: pressurized cooling roll 544: concentrated pressurized cooling roll
545 : 냉각순환관 546 : 하면롤러부545: cooling circulation pipe 546: lower roller portion
547 : 코팅제한홈 560 : 센터링조절부547: coating restriction groove 560: centering control section
560a : 센터링롤러 561 : 승강용 구동실린더560a: centering roller 561: lift driving cylinder
563 : 브라켓 561a : 상부센터링롤러563:
563a : 하부센터링롤러 560b : 센터링롤러이송부563a: lower centering
561b : 스크류봉 563b : 이송너트561b: screw
565b : 슬라이더 567b : 가이드봉565b:
568b : 가이드파이프 570 : 회전속도제어부568b: guide pipe 570: rotation speed control unit
571 : 구동스프로킷 572 : 피동스프로킷571: Driving sprocket 572: Passing sprocket
573 : 체인 574 : 디스크 링573: chain 574: disc ring
575 : 스프링 576 : 슬리브관575: Spring 576: Sleeve tube
576a : 플랜지 576b : 수나사576a:
578 : 너트 579 : 부시578: Nut 579: Bush
580 : 1차 압착롤러 590 : 2차 압착롤러580: primary pressing roller 590: secondary pressing roller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0404A KR101033168B1 (en) | 2009-07-31 | 2009-07-31 | Folding device of pipe lining ba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0404A KR101033168B1 (en) | 2009-07-31 | 2009-07-31 | Folding device of pipe lining ba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2619A KR20110012619A (en) | 2011-02-09 |
KR101033168B1 true KR101033168B1 (en) | 2011-05-11 |
Family
ID=43772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0404A Active KR101033168B1 (en) | 2009-07-31 | 2009-07-31 | Folding device of pipe lining ba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3168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42668A (en) | 1997-02-28 | 2000-03-28 | Shonan Gosei-Jushi Seisakusho K.K. | Pipe liner bag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
KR20000023131A (en) * | 1998-09-25 | 2000-04-25 | 가미야마 다카오 | Method of manufacturing a pipe liner bag |
US6254709B1 (en) | 1998-10-26 | 2001-07-03 | Shonan Gosei-Jushi Seisakusho K.K. | Method of manufacturing a pipe liner bag |
KR100448910B1 (en) | 1995-10-23 | 2004-12-13 | 클오파이 플라스틱 프로덕츠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 Inline la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nonwoven fabric sheet and extruded polymer film |
-
2009
- 2009-07-31 KR KR1020090070404A patent/KR10103316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8910B1 (en) | 1995-10-23 | 2004-12-13 | 클오파이 플라스틱 프로덕츠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 Inline la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nonwoven fabric sheet and extruded polymer film |
US6042668A (en) | 1997-02-28 | 2000-03-28 | Shonan Gosei-Jushi Seisakusho K.K. | Pipe liner bag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
KR20000023131A (en) * | 1998-09-25 | 2000-04-25 | 가미야마 다카오 | Method of manufacturing a pipe liner bag |
US6254709B1 (en) | 1998-10-26 | 2001-07-03 | Shonan Gosei-Jushi Seisakusho K.K. | Method of manufacturing a pipe liner ba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2619A (en) | 2011-0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21646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wing fabric panels | |
KR101113951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tube lining bag | |
CN105235171A (en) | Energy-saving film coating machine | |
KR2000005238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splice in advancing web of paper | |
CN115817889A (en) | Automatic film sticking and breaking device of online winding packaging machine | |
CN205202060U (en) | Energy-saving film coating machine | |
CN103710898B (en) | A shoe tongue processing equipment | |
MXPA02002177A (en) | Apparatus and a method for rolling compressible sheet material. | |
KR101033168B1 (en) | Folding device of pipe lining bag | |
KR100888940B1 (en) | Sewing Machine Feed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 |
KR101110664B1 (en) | centring apparatus of tube lining bag | |
CN216910864U (en) | Adhesive label coating equipment | |
KR101091848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tube lining bag | |
CN113151990B (en) | Fabric correction equipment for sewing machines | |
KR101110663B1 (en) | coating apparatus of tube lining bag | |
KR101113952B1 (en) | expanding apparatus of tube lining bag | |
CN211998063U (en) | Edge-rectifying tensioning mechanism of automatic winding drum rewinding machine | |
KR100862632B1 (en) | Sewing material spread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 |
CN105648666A (en) | Sewing clamp for cloth edge folding | |
CN113752670A (en) | Film laminating device and method for polystyrene decorative strip | |
CN211057446U (en) | Self-adjusting width trousers waistband preheating pressing machine | |
CN219543338U (en) | Film cutting device | |
CN222455418U (en) | A device for weaving water-absorbent polyester grey fabric | |
JP2528266B2 (en) | Sizing method for soft strip material and sizing apparatus | |
CN115783434B (en) | Steel pipe sticker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