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986B1 -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automobile - Google Patents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automobi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2986B1 KR101032986B1 KR1020070114694A KR20070114694A KR101032986B1 KR 101032986 B1 KR101032986 B1 KR 101032986B1 KR 1020070114694 A KR1020070114694 A KR 1020070114694A KR 20070114694 A KR20070114694 A KR 20070114694A KR 101032986 B1 KR101032986 B1 KR 1010329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guide
- vehicle
- steering column
- collab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teering wheel, steering hand lever or steering colum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60R21/2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in the lower part of dashboards, e.g. for protecting the kne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incorporating devices for preventing ingress of the steering column into the passengers space in case of acci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에 관한 것으로, 이는 양측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지면이 구비되어 있고, 이 지지면에 자동차의 충돌시 컬럼의 컬랩스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어 있는 컬랩스 브라켓과; 상기 컬랩스 브라켓과 조향컬럼의 하부 마운팅 브라켓을 연결시키며 자동차의 충돌시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컬럼을 컬랩스시키는 가이드 볼트와; 상기 가이드 볼트에 의해 상기 컬랩스 브라켓의 가이드 홀에 결합되며 자동차의 충돌시 상기 컬랩스 브라켓의 지지면과 압박 마찰되면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가이드 부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which includes a support surface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on both sides, and the support surface is formed in the support surface is formed guide holes for guiding the collapsing direction of the column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Brackets; A guide bolt connecting the collabs bracket and the lower mounting bracket of the steering column and collapsing the column along the guide hole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collaps bracket; A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bush coupled to the guide hole of the collabs bracket by the guide bolt and absorbing collision energy while being pressed and friction with the support surface of the collabs bracket when the vehicle collides. to provide.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충돌시 가이드 부시가 컬랩스 브라켓에 압박 마찰 되면서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하여 부품수 감소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주변 부품과의 간섭에 의한 하중의 좌우 편차를 없앨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parts and cost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by absorbing the shock while the guide bush is pressed friction against the Collabs bracket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no deformation occurs, so the load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surrounding parts Can eliminate the left and right deviations.
조향컬럼, 컬랩스 브라켓, 가이드 부시, 가이드 볼트, 가이드 홀 Steering Column, Collabs Bracket, Guide Bush, Guide Bolt, Guide Ho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에서 자동차의 충돌시 가이드 부시가 컬랩스 브라켓에 압박 마찰되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하여, 종래 기술에 비하여 부품수 감소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주변 부품과의 간섭에 의한 하중의 좌우 편차를 없앨 수 있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an automobile. More specifically, in the impact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the vehicle, the guide bush absorbs the impact energy while being pressed and rubbed against the Collabs bracket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reducing the cos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and deformation occur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which can eliminate the left and right deviation of the load caused by interference with surrounding components.
일반적으로 조향컬럼은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을 랙-피니언 기구부로 전달하는 조향축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조향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한편 브라켓을 통해 차체에 결합됨으로써 조향축의 위치를 고정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the steering column is a device that is formed to surround the steering shaft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er's steering wheel to the rack-pinion mechanism part to support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shaft, and is fixed to the steering shaft by being coupled to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bracket. .
이와 같은 조향컬럼은 자동차의 충돌 사고 등의 경우에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휠에 부딪혀서 큰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향컬럼과 조향축이 모두 축 방향으로 수축되는 컬랩스(Collapse) 기능이 추가된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이 적용되고 있다. 즉, 자동차의 운행 중 충돌 사고가 발생하면 운전자의 상체는 관성 에 의해 조향휠에 부딪히게 되고,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휠에 부딪히면 조향휠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조향컬럼과 조향축이 수축함으로써 운전자가 받는 충격을 저감시켜 주는 것이다. The steering column has a collapsing function in which both the steering column and the steering shaft are contracted in the axial direction in order to prevent the driver's upper body from being injured by the steering wheel in case of a car collision.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s are being applied. That is, when a collision accident occurs while driving a car, the upper body of the driver hits the steering wheel by inertia. When the upper body of the driver hits the steering wheel, the steering column and the steering shaft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teering wheel contract. It is to reduce the shock received.
그러나, 운전자의 상태와 자동차의 운행 상태에 따라서 운전자가 조향휠에 가하는 충격은 다를 수밖에 없는데, 예를 들어 자동차의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충격이 크고, 자동차의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충격이 미약할 수도 있다. 또한, 운전자의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 및 에어백의 작동 여부 등 여러 상황에 따라 조향휠에 가하는 충격량은 다를 것이다. However, the impact that the driver exerts on the steering wheel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river's condition and the driving condition of the vehicle. For example, when the speed of the car is fast, the impact is large, and when the speed of the car is slow, the impact may be weak. have. In addition,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to the steering wheel will vary according to various situations such as whether the driver's seat belt is worn and the air bag is operated.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 1차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캡슐과 2차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테어링 플레이트(Tearing Plate)를 구비한 조향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such a situation, a steering apparatus having a capsule for absorbing primary impact energy and a tearing plate for absorbing secondary impact energy has been developed and used.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의 테어링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aring plate of the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100)은 상단이 조향휠(미도시)에 연결되고 하단이 랙-피니언 기구부(미도시)에 연결되는 조향축(102), 조향축(102)을 둘러싸는 내측 튜브(110), 내측 튜브(110)를 감싸는 외측 튜브(120), 외측 튜브(120)의 외주면을 지지하되 캡슐(140)을 통해 차체(104)에 결합되는 상부 마운팅 브라켓(130)과 하부 마운팅 브라켓(180), 하부 마운팅 브라켓(180)과 고정 볼트(185)로 연결되어 컬랩스되는 가이 드 역할을 하는 장홀(195)이 형성되어 있는 컬랩스 브라켓(190) 및 일단은 고정 수단(150)에 의해 캡슐(140)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 부재(160)를 통해 상부 마운팅 브라켓(130)에 고정되는 테어링 플레이트(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shock absorbing
이와 같은 조향컬럼(100)은 자동차의 전방 충돌시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휠에 충격을 가하여 조향컬럼(100)이 충격 이동 방향으로 수축하게 될 경우에 차체(104)에 고정된 캡슐(140)로부터 상부 마운팅 브라켓(130)이 외측 튜브(120)와 함께 컬랩스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1차 하중을 흡수하게 된다. 즉, 충격이 가해지면 상부 마운팅 브라켓(130)은 캡슐(140)로부터 분리되며 상부 마운팅 브라켓(130)이 차체(104)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어 충격 이동 방향인 컬랩스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조향 컬럼(100)이 컬랩스 브라켓(190)의 장홀(195)을 따라 수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의 테어링 플레이트(170)는 일측 상부에 고정홀(202)이 형성되어 고정 부재(160)를 통해 상부 마운팅 브라켓(130)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고정 수단(150)을 통해서 캡슐(14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20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한 깊이의 홈이 형성된 테어링 그루브(Tearing Groove: 210)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자동차의 충돌시 조향 컬럼(100)이 수축하여 상부 마운팅 브라켓(130)과 캡슐(140)이 서로 상대 이동하여 상부 마운팅 브라켓(130)이 하향 이동할 경우, 테어링 플레이트(170)는 캡슐(140)과 상부 마운팅 브라켓(130)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의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테어링 플레이트(170)에 형성된 테어링 그루브(210)가 상부 마운팅 브라켓(130)의 이동 방향에 따라 찢어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부 마운팅 브라켓(130)에 구비된 고정 부재(160)가 테어링 플레이트(170)를 변형시킴에 따라 2차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캡슐에 의한 1차 하중 흡수 후 테어링 플레이트에 의한 2차 하중 흡수시 일정한 깊이의 홈을 형성하는 테어링 그루브(210)의 파단에 의한 충격 흡수방식은 제품 제작이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 작업 공정이 늘어나며 변형이 수직으로 일어나 주변 부품과의 간섭에 의한 하중의 좌우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shock absorbing method by breaking of th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에 있어서, 자동차의 충돌시 가이드 부시가 컬랩스 브라켓에 압박 마찰 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하여 부품수 감소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 주변 부품과의 간섭에 의한 하중의 좌우 편차를 없앨 수 있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mpact-absorbing steering column of the vehicle,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costs compared to the prior art by absorbing the impact while the guide bush is pressed friction on the Collabs bracket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that does not cause deformation and thus eliminates left and right deviation of load due to interference with surrounding component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은, 양측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지면이 구비되어 있고, 이 지지면에 자동차의 충돌시 컬럼의 컬랩스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어 있는 컬랩스 브라켓과, 상기 컬랩스 브라켓과 조향컬럼의 하부 마운팅 브라켓을 연결시키며 자동차의 충돌시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컬럼을 컬랩스시키는 가이드 볼트와, 상기 가이드 볼트에 의해 상기 컬랩스 브라켓의 지지면에 결합되는 가이드 부시를 포함하며 구성되되, 상기 가이드 홀에는 슬롯 일측에 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부시에는 상기 결합홈에 압입되는 수개의 보스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시를 컬랩스 브라켓에 조립할 때 초기 위치를 정해줌과 더불어, 자동차의 충돌에 의한 컬럼의 컬랩스시 상기 가이드 홀의 결합홈에 압입되어 있던 보스가 이탈되면서 초기 1차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고, 자동차의 충돌시 상기 가이드 부시가 상기 컬랩스 브라켓의 경사진 지지면과 압박 마찰되면서 2차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pport surface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on both sides, and the support surface is formed with a guide hole for guiding the collapsing direction of the column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A guide bolt for connecting the collabs bracket, the collabs bracket and the lower mounting bracket of the steering column and collapsing the column along the guide hole when the vehicle collides, and the support of the collabs bracket by the guide bol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bush coupled to the surface, the guide hol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on one side of the slot, the guide bush is formed with several bosses pressed into the coupling groove, the guide bush Columns due to vehicle collision, as well as initial position when assembled to the Collabs bracket The first press energy is absorbed as the boss press-fits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guide hole during the collapsing of the collapsing; It is characterized by absorbing energ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의 일부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은 상단이 조향휠(303)에 연결되고 하단이 랙-피니언 기구부(미도시)에 연결되는 조향축(102), 조향축을 감싸는 내측튜브와 내측튜브를 감싸는 외측튜브(120), 차체에 고정되며 외측튜브(120)를 감싸는 상부 마운팅 브라켓(130)과 하부 마운팅 브라켓(180)이 구비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하부 마운팅 브라켓(180)은 가이드 볼트(430)와 너트(460)에 의해 컬랩스 브라켓(305)과 연결되어 조향컬럼을 차체에 고정시키며, 컬랩스 브라켓(305)의 양측면에는 조향휠 쪽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지면(410)과, 이 지지면(410)에 자동차의 충돌시 컬럼의 컬랩스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415)이 형성되어 있다.The
따라서, 자동차의 충돌시 조향컬럼은 가이드 볼트(430)에 의해 컬랩스 브라켓(305)의 가이드 홀(415)을 따라 컬랩스되는데, 이때 가이드 볼트(430)와 너트(460)에 의해 컬랩스 브라켓(305)에 밀착되는 가이드 부시(440)가 컬랩스 브라켓(305)과 압박 마찰되면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steering column is collapsed along the
컬랩스 브라켓(305)은 컬럼과 연결되어 컬럼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하부 마운팅 브라켓(180)에 가이드 볼트(430)와 너트(460) 및 가이드 부시(440)에 의해 체결되며, 자동차의 충돌시 컬랩스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415)은 가이드 볼 트(430)가 관통되어 컬럼을 지지하면서 컬랩스될 수 있도록 긴 슬롯의 형상을 가지면서, 컬랩스 브라켓(305)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부시 지지면(410)에 형성된다. The Collabs
지지면(410)은 가이드 볼트(430)와 너트(460)의 조임에 의해 가이드 부시(440)가 밀착 압박되는 면으로 컬랩스 브라켓(305)의 양측면에 형성되는데, 양측면의 지지면(410)이 조향휠쪽(상부 마운팅 브라켓쪽)으로 갈수록 그 폭(일측 지지면과 타측 지지면 사이의 거리)이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된다.The
즉 컬랩스 브라켓(305)의 양측면에 지지면(410)을 형성할 때 조향휠 쪽으로 넓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따라서, 초기에 조향컬럼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하부 마운팅 브라켓(180)과 컬랩스 브라켓(305)을 조립할 때 가이드 홀(415)의 슬롯 하단부(도면상 좌측)에서 가이드 볼트(430)와 너트(460)를 체결하게 되면, 그 체결력에 의해 컬랩스 브라켓(305)의 양 지지면(410)에 조립된 부시(440) 사이의 폭이 고정되게 된다. 또한, 차체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 마운팅 브라켓(180)도 그 위치에 고정되므로, 상대적으로 자동차의 충돌시 조향컬럼은 조향휠의 반대쪽으로 관성력을 받게 될 때 가이드 볼트(430)와 너트(460)의 체결력에 의해 지지면(410)과 밀착되어 있는 가이드 부시(440)가 점차 폭이 넓어지는 지지면(410)과 맞닿으며 컬럼이 하측(조향휠의 반대쪽)으로 컬랩스 되므로, 점차 압박력이 늘어나게 되고, 결국 가이드 부시(440)가 지지면(410)과의 압박 마찰에 의해 2차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assembling the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컬랩스 브라켓의 측면도와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 명에 의한 가이드 부시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and a plan view of the Collabs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the guide b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시(440)는 원형의 디스크 형상으로 중심에는 가이드 볼트(430)가 관통되도록 원형의 홀이 뚫려 있고 일측면에는 수개의 원기둥 형상의 보스(605)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가이드 홀(415)의 슬롯 일측(조향휠 반대측)에는 가이드 부시의 보스가 압입되는 수개의 결합홈(505)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가이드 부시(440)를 컬랩스 브라켓(305)에 조립할 때 초기 위치를 정해줌과 더불어, 자동차의 충돌에 의한 컬럼의 컬랩스시 가이드 홀(415)의 결합홈(505)에 압입되어 있던 보스(605)가 이탈되면서 초기 1차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도 하게 되는 것이다.On one side of the slot of the guide hole 415 (opposite the steering wheel),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 부시와 가이드 홀의 제작상의 여건 및 제조원가와 자동차의 충돌시 가해지는 초기 하중에 따라 가이드 부시의 보스 및 가이드 홀의 결합홈의 갯수 및 형상을 다르게 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and shape of the coupling grooves of the boss and the guide hole of the guide bush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of the guide bush and the guide hole and the initial load applied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manufacturing cost.
즉, 가이드 부시의 보스와 가이드 홀의 결합홈의 역할이 초기 조립시의 위치 선정과 자동차 충돌시의 초기 하중 흡수에 있으므로, 이러한 역할을 하는 한 그 갯수는 하나 이상 형성할 수 있고, 그 단면 형상도 원형이 아닌 다각형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발명의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는 대표적으로 가이드 부시의 보스와 가이드 홀의 홈이 두개이고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것만을 설명하였다.That is, since the role of the coupling groove of the boss of the guide bush and the guide hole is in the position selection during the initial assembly and the initial load absorption during the automobile collision, the number can be formed more than one as long as it plays such a role. Since it will be possible to have a polygonal shape rather than a circular shape,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ypically only described that the boss of the guide bush and the groove of the guide hole are two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is circular.
위와 같은 구성과 형상을 갖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을 이용하는 경우 충격에 의한 초기 하중이 가해진 후에도 계속 가이드 부시가 컬랩스 브라켓을 밀착 압박하면서 컬럼이 컬랩스 되기 때문에 종래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에 비하 여 부품수 감소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주변 부품과의 간섭에 의한 하중의 좌우 편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case of using a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shape, the column is collapsing while the guide bush keeps tightly pressing the collars bracket even after the initial load due to the impac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and since deformation does not occur,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left and right deviation of the load due to interference with surrounding part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일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ame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을 나타내는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의 테어링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aring plate of a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의 일부 사시도;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컬랩스 브라켓의 측면도와 평면도;5 is a side view and a plan view of a collars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부시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the guide b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조향컬럼 102: 조향축100: steering column 102: steering shaft
130: 상부 마운팅 브라켓 140: 캡슐130: upper mounting bracket 140: capsule
150: 고정 수단 170: 테어링 플레이트150: fixing means 170: tearing plate
180: 하부 마운팅 브라켓 190: 종래의 컬랩스 브라켓180: lower mounting bracket 190: conventional collabs bracket
202: 고정홀 204: 체결공202: fixing hole 204: fastening hole
210: 테어링 그루브 303: 조향휠210: tearing groove 303: steering wheel
305: 본 발명의 컬랩스 브라켓 410: 지지면305:
415: 가이드 홀 420: 결합홈415: guide hole 420: coupling groove
430: 가이드 볼트 440: 가이드 부시430: guide bolt 440: guide bush
505: 결합홈 605: 보스505: coupling groove 605: boss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4694A KR101032986B1 (en) | 2007-11-12 | 2007-11-12 |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automobi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4694A KR101032986B1 (en) | 2007-11-12 | 2007-11-12 |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automobi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8704A KR20090048704A (en) | 2009-05-15 |
KR101032986B1 true KR101032986B1 (en) | 2011-05-09 |
Family
ID=40857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4694A Active KR101032986B1 (en) | 2007-11-12 | 2007-11-12 |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automobi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298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8787A (en) * | 2019-02-12 | 2020-08-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treeing column of vehic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33142A (en) * | 2003-10-06 | 2005-04-12 | 주식회사 만도 | Mounting braket shock-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
-
2007
- 2007-11-12 KR KR1020070114694A patent/KR10103298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33142A (en) * | 2003-10-06 | 2005-04-12 | 주식회사 만도 | Mounting braket shock-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8787A (en) * | 2019-02-12 | 2020-08-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treeing column of vehicle |
KR102663610B1 (en) | 2019-02-12 | 2024-05-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treeing column of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8704A (en) | 2009-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65895B1 (en) | Steering column of automobile with shock absorber | |
KR101115084B1 (en) | The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100848497B1 (en) | Shock-absorbing steering column of automobile with wire block assembly | |
JP2008018920A (en) | Shock absorption system for vehicle steering column | |
KR101138160B1 (en) | Impact Asorption Steering Apparatus | |
KR101408421B1 (en)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101032986B1 (en) |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automobile | |
KR101187528B1 (en) |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101302771B1 (en)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101181124B1 (en) |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102350529B1 (en) | Apparatus for suction impact of steering column | |
KR101411244B1 (en) |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20070038724A (en) | Shock Absorber of Vehicle Steering Column | |
KR20120139969A (en) |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100848499B1 (en) | Shock Absorbers in Steering Columns | |
KR100804182B1 (en) | Shock-absorbing steering column in a car | |
KR20080093274A (en) | Steering column with shock absorbing member | |
KR101131283B1 (en) | Collision energy absorbing steering column for motor vehicle | |
KR101142558B1 (en) | Collision Energy Absorbing Steering Column for Motor Vehicle | |
KR20120124547A (en)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20080095473A (en) | Steering device with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 |
KR20090048709A (en) | Car shock absorber | |
KR100794964B1 (en) | Shock-absorbing steering column in a car | |
KR101131661B1 (en) | Collision energy absorbing steering column for motor vehicle | |
KR19990005339U (en) |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12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5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1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