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877B1 - Emergency Escape Device - Google Patents
Emergency Escap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2877B1 KR101032877B1 KR1020110012870A KR20110012870A KR101032877B1 KR 101032877 B1 KR101032877 B1 KR 101032877B1 KR 1020110012870 A KR1020110012870 A KR 1020110012870A KR 20110012870 A KR20110012870 A KR 20110012870A KR 101032877 B1 KR101032877 B1 KR 1010328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emergency escape
- gear
- lowering
- pan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061 slumbe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0 pizz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해당층 화재대피공간의 대피공에 설치되는 탈출구캡, 상기 탈출구캡의 하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측부에 거치되며 대피자의 탑승시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강하는 하강부재, 상기 하강부재가 가이드부재를 따라 일정속도로 하강되도록 하는 완강부재,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강된 하강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재 및 상기 하강부재가 가이드부재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락킹부재를 포함하는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귀부재는, 감김 동작시 상기 하강부재가 하강되도록 하고 풀림 동작시 그 힘을 하강부재에 연결된 완강부재에 전달하여 하강부재가 상승되도록 하는 태엽스프링을 포함하는 비상탈출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scape cap is installed in the evacuation hole of the fire escape space of the floor of the building, the guide member is installed vertically to the lower side of the escape cap,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member and the guide when boarding the evacuator A lowering member lowering along the member, a lowering member for lowering the lowering member at a constant speed along the guide member, a returning member for returning the lowering member lowered along the guide member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lowering member is a guide member. In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including a locking member to maintain a stat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e return member, the lowering member is to be lowered during the winding operation and transfers the force to the lowering member connected to the lowering member during the unwinding operation There is provided an emergency escape device comprising a spring to allow the falling member to rise.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에서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화재대피공간에 수직하게 설치된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층으로 일정속도로 하강하는 하강부재를 이용하여 대피자의 신속한 탈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scape device, more specifically, to the rapid evacuation of the evacuator using a descending member descending at a constant speed along the guide member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fire evacuation spac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It relates to an emergency escape device that can enable escape.
일반적으로 비상탈출장치로 많이 쓰이는 완강수단 즉, 완강기는 아파트, 호텔, 병원 등과 같은 고층건물의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계단이나 승강기를 사용하기가 곤란한 경우에 창문이나 베란다 등의 외부로 통하는 부근에 설치되어 대피자의 자중에 의해 하강로프장치로 서서히 내려오는 안전피난기구이다. 즉, 완강기는 화재 등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출입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대피하지 못할 때 창문 또는 베란다 등에 설치되어 대피자를 외부로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별도의 조작 없이 가슴에 안전벨트를 조이고 하강하면 자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고층건물의 하부로 하강 피난할 수 있는 것이다.In general, slumber means that are frequently used as emergency escape devices, ie slopers are located near windows or verandas when it is difficult to use stairs or elevators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fires in high-rise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hotels and hospitals. It is a safety evacuation mechanism that is installed and slowly descends to the descending rope system due to the weight of the evacuator. In other words, the stiffener was developed to be installed in a window or veranda when evacuating to the outside through a normal access passage due to a fire, etc., so that the evacuator can be evacuated to the outside safely. Tightening and descending will automatically evacuate to the lower part of high-rise building by its own weight.
상기와 같은 완강기는, 비상상황 발생시 상기 완강기와 릴을 들고 창문 또는 베란다로 이동하여 건물에 고정된 거치대에 완강기의 클램프를 고정시키고, 로프의 일단에 연결된 안전벨트를 몸에 걸고 릴을 건물 밖으로 던져 릴에 권취되어 있는 로프가 풀어지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베란다 또는 창문을 통하여 건물 밖으로 내려가면 완강기에 의해 로프가 서서히 풀리므로 안전벨트를 통해 로프에 매달린 대피자는 천천히 하강하여 안전하게 지상에 착륙하게 되는 것이다. As the above-mentioned buckling machine, in case of emergency, pick up the buckling machine and the reel, move to the window or porch, fix the clamp of the buckling machine to the cradle fixed to the building, fasten the safety bel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pe and throw the reel out of the building. The rope wound on the reel is released and the rope is slowly released by the slumber when it descends out of the building through the veranda or window, so the evacuator hanging on the rope through the seat belt descends slowly and lands safely on the ground. .
그러나 종래의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완강기 등과 같은 완강수단을 한 공간에 복수의 대피자가 존재하는 경우 한 명의 대피자가 탈출을 완료한 후 다시 다른 대피자가 상기 완강수단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완강수단의 하강 완료 후 안전벨트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기까지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나머지 다른 대피자들의 연속적이고 신속한 탈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emergency escape apparatu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vacuation means in the same space as the descending machine, after one evacuator completes escape, another evacuator completes descending of the descending means in order to use the descending means. After a long time until the seat belt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gai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inuous and rapid escape of the other evacuees is difficult.
또한, 상기 비상탈출장치는, 로프 등을 이용하여 고층건물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하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람 등에 의해 상기 로프가 흔들리거나 하는 경우 대피자가 건물의 외벽이나 상기 외벽에 설치된 간판이나 발코니 창문 등과 같은 설치부재에 충돌하게 되어 부상을 당하는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escape device is a descending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of the high-rise building by using a rope, etc., if the rope is shaken by wind or the like, evacuation signs or balcony window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r the outer wall There is a problem of being injured by collision with the installation member such as.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 등록된 특허 제10-0977858호의 '비상탈출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above problems,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Patent No. 10-0977858 has been disclos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즉, 상기 본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 등록된 비상탈출장치는, 고층건물의 화재대피공간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측부에 거치되어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강하는 하강부재, 상기 하강부재가 가이드부재를 따라 일정속도로 하강되도록 하는 완강부재,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강된 하강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재 및 상기 하강부재가 가이드부재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락킹부재 등을 포함하여, 대피자가 직접 탈출을 위한 장비 등을 설치하지 않고도 비상상황이 발생한 공간을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대피자도 연속적이고 신속하게 해당 공간을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That is, the emergency escape device register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guide member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fire evacuation space of the high-rise building, the lower member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member to descend along the guide member, the lowering A lowering member for lowering the member at a constant speed along the guide member, a returning member for returning the lowering member lowered along the guide member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lowering member for maintaining the state positioned above the guide member Including the locking member, the evacuator can easily escape the space in which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ed without installing equipment for direct escape, and also allow the plurality of evacuators to escape the space continuously and quickly. have.
그러나 상기와 같은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강된 하강부재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재로 무게추가 사용되고 있다. However,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the weight is used as a return member for returning the lowering member lowered along the guide member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따라서 상기와 같은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무게추가 하강부재의 무게(약 20 Kg) 보다 무거워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emergency escape device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weight should be heavier than the weight (about 20 Kg) of the weight dropping memb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costs.
또한, 상기 무게추의 승강 동작시 무게추의 이동 경로를 폐쇄하기 위한 안전용 프레임이 더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무게추의 이동시 프레임과의 마찰 발생시 소음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afety frame for closing the movement path of the weight at the time of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weight has to be further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noise occurs when friction occurs with the frame when the weight mov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층건물에서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고층건물의 화재대피공간 등에 수직하게 설치된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층으로 일정속도로 하강하는 하강부재를 이용하여 대피자가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할 수 있는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evacuator to escape quickly by using the falling member descending at a constant speed to the lower floor along the guide member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fire evacuation space of the high rise building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a fire in the high rise building. It is to provide an emergency escape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층으로 하강한 하강부재가 신속하게 원위치되도록 하여 복수의 대피자가 연속적이고 신속하게 하층으로 탈출하도록 할 수 있는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escape device capable of allowing the plurality of evacuators to escape to the lower floor continuously and quickly by allowing the descending member lowered to the lower floor along the guide member to be quick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하강 완료된 하강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재가 태엽스프링 방식의 권취수단이 적용되도록 하여 비용의 절약과 함께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return member for returning the descending completed lowering member to the original position is applied to the winding spring-type winding means is applied to the emergency escape device that can suppress the noise generation with cost savings To provide.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해당층 화재대피공간의 대피공에 설치되는 탈출구캡, 상기 탈출구캡의 하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측부에 거치되며 대피자의 탑승시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강하는 하강부재, 상기 하강부재가 가이드부재를 따라 일정속도로 하강되도록 하는 완강부재,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강된 하강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재 및 상기 하강부재가 가이드부재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락킹부재를 포함하는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귀부재는, 감김 동작시 상기 하강부재가 하강되도록 하고 풀림 동작시 그 힘을 하강부재에 연결된 완강부재에 전달하여 하강부재가 상승되도록 하는 태엽스프링을 포함하는 비상탈출장치가 제공된다.To this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scape cap is installed in the evacuation hole of the fire escape space of the floor of the building, the guide member is installed vertically to the lower side of the escape cap,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member and the evacuation of the evacuator A lowering member lowering along the guide member, a lowering member allowing the lowering member to descend at a constant speed along the guide member, a returning member returning the lowering member lowered along the guide member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lowering member In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including a locking member to maintain the stat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member, the return member, the lowering member is to be lowered during the winding operation and the lowering force connected to the lowering member during the unwinding operation Provided is an emergency escape device comprising a spring spring to be transmitted to the member to raise the lower memb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해당층 화재대피공간의 대피공에 설치되는 탈출구캡, 상기 탈출구캡의 하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측부에 거치되며 대피자의 탑승시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강하는 하강부재, 상기 하강부재가 가이드부재를 따라 일정속도로 하강되도록 하는 완강부재,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강된 하강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재 및 상기 하강부재가 가이드부재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락킹부재를 포함하는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귀부재는, 감김 동작시 상기 하강부재가 하강되도록 하고 풀림 동작시 그 힘을 가이드부재에 연결된 완강부재에 전달하여 하강부재가 상승되도록 하는 태엽스프링을 포함하는 비상탈출장치가 제공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scape cap is installed in the evacuation hole of the fire escape space of the floor of the building, the guide member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lower side of the escape cap,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member when the evacuation of the evacuator A lowering member lowering along the guide member, a lowering member for lowering the lowering member at a constant speed along the guide member, a returning member for returning the lowering member lowered along the guide member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lowering member In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including a locking member for maintaining the stat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member, the return member, the lower member to the lowering member is lowered during the winding operation and the force is connected to the guide member during the unwinding operation Provided is an emergency escape device comprising a spring spring to transmit to the falling member to be raised.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층건물에서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고층건물의 화재대피공간 등에 수직하게 설치된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층으로 일정속도로 하강하는 하강부재를 이용하여 대피자가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occurs in a high-rise building, the evacuator can be quickly escaped by using a falling member descending at a constant speed to a lower floor along a guide member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fire evacuation space of the high-rise building. .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층으로 하강한 하강부재가 신속하게 원위치되도록 하여 복수의 대피자가 연속적이고 신속하게 하층으로 탈출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scending member descending to the lower layer along the guide member can be quickly returned to the plurality of evacuators to escape to the lower layer continuously and quickly.
또한, 해당 건물의 화재대피공간 등에 비상탈출장치가 설치됨으로써, 비상상황 발생시 해당 대피자들이 별도의 비상탈출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출을 시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escape device is installed in the fire escape space of the building, so that in case of emergency, the evacuators can try to escape quickly and safely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emergency escape device.
또한, 하강 완료된 하강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재가 태엽스프링 방식의 권취수단을 적용함으로써, 구성부들의 제조비용 절약과 함께 구성부들의 동작시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turn member for returning the lowered descending member to the original position by applying the winding spring-type winding mean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of the components and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noise during operation of the components.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가 적용된 비상탈출공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와 도 6은 각각 도 2의 비상탈출장치을 이용한 비상탈출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과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mergency escape space to which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ergency escape device of FIG.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mergency escape device of FIG.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mergency escape device of FIG.
5 and 6 are views showing an emergency escape operation process using the emergency escape device of FIG.
7 and 8 are views showing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가 적용된 비상탈출공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mergency escape space to which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Figure 1, Figure 3 is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mergency escape device,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mergency escape device of FIG.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는, 고층건물의 해당층 화재대피공간의 대피공(P)에 대피공(P)의 내주연을 커버하면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삽입되는 탈출구캡(110), 상기 탈출구캡(110)의 하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120), 상기 탈출구캡(110)의 하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상측부에 거치되며 대피자의 탑승시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하강하는 하강부재(130), 상기 하강부재(130)가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일정속도로 하강되도록 하는 완강부재(140),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하강된 하강부재(13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재(150) 및 상기 하강부재(130)가 가이드부재(120)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락킹부재(160) 등을 포함한다. 1 to 4,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evacuation hole (P) in the evacuation hole (P) of the fire escape space of the floor of the high-rise building Cover the
여기서, 상기 화재대피공간이란, 예를 들면, 아파트 등의 세대와 세대간의 발코니 경계 구역 등에 마련되는 안전대피구역으로서, 위층과 아래층을 수직 또는 지그재그로 연통하는 대피공(P)이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대피공(P)에 설치되는 비상탈출장치를 이용하여 대피자가 해당층으로부터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대피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Here, the fire evacuation space is, for example, a safety evacuation area provided in a balcony boundary area between generations of apartments and the like, and the evacuation hole (P) through which the upper floor and the lower floor communicate vertically or zigzag penetrates the floor surface. The emergency escape device is formed and installed in the evacuation hole (P) to provide a space for evacuation quickly evacuated from the floor to the floor.
상기 탈출구캡(110)은, 해당층의 화재대피공간 바닥면에 형성된 대피공(P)에 상기 대피공(P)의 내주연을 커버할 수 있도록 대피공(P)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대피공(P)이 형성된 슬라브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삽입구(111), 상기 삽입구(111)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며 삽입구(111)가 대피공(P)에 삽입되는 경우 대피공(P) 주위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플랜지(112), 상기 플랜지(112)의 하측단에 구비되어 플랜지(112)가 바닥면에 지지되는 경우 플랜지(112)와 바닥면 사이에 완충을 제공하는 완충부재(미도시) 및 상기 삽입구(111)의 일측에 설치되어 후술된 가이드부재(120)가 대피공(P)의 하측에 수직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구(113)를 포함한다.The
한편, 상기 대피공(P)이 위층과 아래층을 수직하게 연통하는 경우에는 상기 탈출구캡(110)의 상측과 하측에 후술된 가이드부재(120)가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지지구(113)의 삽입지지구의 상측단과 하측단에 각각 가이드부재(120)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vacuation hole (P) is in vertical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floor and the lower floor, the
따라서 상기 탈출구캡(110)에 의하면, 해당층의 바닥면에 형성된 대피공(P)에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삽입구(111)가 삽입되어 후술된 하강부재(130)를 이용하여 대피자의 하강시 대피자의 신체가 대피공(P)의 벽면에 긁히거나 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스프링(미부호)을 통하여 해당층의 상층으로부터 하강하는 하강부재(120)가 탈출구캡(110)에 위치되는 경우 쿠션 기능을 제공하여 대피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상기 가이드부재(120)는, 상기 탈출구캡(110)의 하측(대피공(P)이 지그재그 인 경우) 또는 상하측(대피공(P)이 수직한 경우)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후술된 하강부재(130)의 안전한 하강과 상승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탈출구캡(110) 지지구(113)에 위치된 삽입지지구에 화재대피공간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121)을 포함한다. The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120)는, 상기 대피공(P)이 해당층과 위아래층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113)에 위치된 삽입지지구에 상기 가이드프레임(121)이 삽입되기 이전에, 후술된 하강부재(130)가 가이드프레임(121)을 따라 하강 완료시 하강부재(130)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스프링(122)과 상기 완충스프링(122)의 상단부에 고정 연결되어 가이드프레임(121)의 하단부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구(123)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120)는, 상기 대피공(P)이 해당층과 위아래층에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하측단부 즉, 해당층의 아래층 바닥면에 접촉되는 부위에 상기 완충스프링(122)과 관통구(123)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121)은, 상기 탈출구캡(110)들의 거리 즉, 층고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피자가 하강부재(130)를 통하여 아래층으로 하강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여 대피자로 하여금 안전한 탈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상측단에는 후술된 락킹부재(160)가 하강부재(130)를 지지 또는 지지 해제할 수 있는 상태로 위치되도록 하는 설치공(미부호)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가이드프레임(121)은, 상기 탈출구캡(110)에 직접 용접 등과 같은 접합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121)은, 단일로 설치될 수 있고, 도면에서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 사이에는 마감판넬(C)이 설치되어 후술된 완강부재(140)의 체인(149)과 발란스용 무게추(미도시)의 이동 경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단일의 가이드프레임(121)이 상기 마감판넬(C) 위치에 설치될 수 도 있다. 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120)에 의하면, 상기 탈출구캡(110) 지지구(113)의 상하측단에 각각 가이드프레임(121)이 삽입되어 상기 탈출구캡(110)을 대피공(P)의 주위 바닥면 또는 천정면을 매개로 지지하기 때문에 대피자가 하강부재(130)를 이용하여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하강하더라도 가이드프레임(121)이 흔들리지 않는 안전한 상태를 가질 수 있고, 단순히 지지구(113)의 삽입지지구에 삽입되는 과정을 통하여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상기 하강부재(130)는, 상기 탈출구캡(110)의 삽입구(111) 하측으로부터 가이드부재(120)에 삽입되어 상면이 삽입구(111)의 상측과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가이드부재(120)에 거치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하강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가이드프레임(121)의 외형에 대응되는 개구공간을 가지는 하강판넬(131), 상기 하강판넬(131)의 내부에 매설되는 매설부를 통하여 하강판넬(131)을 지지하고 상기 개구공간에 대응된 가이드공간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121)에 가이드되도록 하며 후술된 완강부재(140) 체인(149)의 일단에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하강판넬(131)이 가이드프레임(121)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하는 노출부로 구성된 거치편(132), 상기 거치편(132)의 가이드공간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공간에 삽입된 가이드프레임(121)의 일측(전면)과 타측(배면)에 각각 접촉 회전되는 제1가이드롤러(133)와 제2가이드롤러(134) 및 상기 하강판넬(131)의 일측에 관통 구비되어 하강판넬(131)의 하측부를 가이드프레임(121)의 상측단에 지지하기 위해 위치된 후술된 락킹부재(160)의 하강판넬(131) 지지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버튼(135)을 포함한다.The
여기서, 상기 하강판넬(131)은, 상기 화재대피공간의 대피공(P)에 대응하는 면적과 소정의 높이(상면이 삽입구(111)의 상측과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는 내구성이 강하고 무게가 비교적 가벼운 판넬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면에는 대피자의 하강시 대피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안전바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Here, the falling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121)에 접촉시 각각 회전되는 제1/2가이드롤러(133,134)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21)과의 접촉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공지의 구성과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121)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가지도록 하여 대피자가 하강판넬(131)에 탑승시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하강판넬(131)의 일측이 가이드프레임(121)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우에만 가이드프레임(121)과 접촉되도록 하여 마찰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마찰 소음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또한, 상기 해제버튼(135)은, 비상상황 발생시 아래층으로 탈출을 위해 하강판넬(131)의 상측면에 올라선 대피자의 발에 의해 가압되는 헤드(135a), 상기 하강판넬(131)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헤드(135a)로부터 연장되어 헤드(135a)의 가압시 하강되어 후술된 락킹부재(160)의 후퇴경사면(164)을 가압하여 상기 하강판넬(131)을 지지하는 지지경사면(163)에 연결된 몸체(162)가 가이드프레임(121)의 설치공 내측으로 후퇴되도록 하는 가압축(135b) 및 상기 가압축(135b)을 감싸는 상태로 하강판넬(131)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가압축(135b)을 다시 상승시키는 탄성스프링(135c)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해제버튼(135)이 위치되는 하강판넬(131)의 개구공간 일측벽에는 후술된 락킹부재(160)의 지지경사면(163)이 출입되기 위한 출입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an entrance hole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support inclined
한편, 상기 해제버튼(135)은, 상기 가이드프레임(121) 사이에 마감판넬(C)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마감판넬(C)에 설치공을 형성한 후 상기 설치공에 대응되는 하강판넬(131)의 출입공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후술된 락킹부재(160)도 마감판넬(C)의 설치공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대피공(P)이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하강판넬(131)의 하강시 접촉되는 바닥면에는, 별도의 완충을 위한 베이스(W)와 함께, 해당 층의 대피자가 하강판넬(131)의 하강에 의해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해당 공간의 출입을 가이드하는 안전바(S)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evacuation hole (P) is formed in a zigzag, the bottom surface contacted during the falling of the falling
따라서 상기 하강부재(130)에 의하면, 고층건물의 화재대피공간에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121)을 따라서 하강판넬(131)이 하강되어 대피자가 건물 벽 등에 충돌하지 않고 안전하게 해당층으로부터 아래층으로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descending
상기 완강부재(140)는, 상기 하강부재(130)가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일정속도로 하강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삽입구(111)의 일측 즉, 탈출구캡(110)의 플랜지(112) 상측에 위치되는 모듈박스(B)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축(14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대기어(142), 상기 모듈박스(B)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대기어(142)에 치합되며 감속휠(143)을 가지는 소기어(144), 상기 대기어(142)와 소기어(144) 사이에 위치되어 기어비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기어들로 구성되는 기어군(145), 상기 감속휠(143)에 원심력을 받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감속피스(146), 상기 감속휠(143)과 감속피스(146)를 감싸도록 모듈박스(B)의 내부에 고정되는 감속커버(147), 상기 구동축(141)에 구비되어 구동축(14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풀리(148) 및 상기 회전풀리(148)에 권취되어 모듈박스(B)의 하부로 인출되는 일단이 상기 하강판넬(131) 거치편(132)의 연결부(132c) 중심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풀리(148)에 고정되는 체인(149)을 포함한다.The waning
여기서, 상기 모듈박스(B)는 상기 탈출구캡(110)의 플랜지(112)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피공(P) 또는 탈출구캡(110)의 본체에는 상기 모듈박스(B)의 체인(149)의 일단이 가이드부재(120)에 거치된 하강부재(130)의 하강판넬(131)에 고정되도록 인출되기 위한 통공이 소정의 크기로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module box (B)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또한, 상기 완강부재(140)의 회전풀리(148)는, 상기 체인(149)이 권취되는 대신에 톱니에 치합되도록 할 수 있고, 이 경우 하강판넬(131)에 고정되는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에는 발란스용 무게추(미도시)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상기 대기어(142)는 상기 구동축(141)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비상대피시 상기 체인(149)이 치합된 회전풀리(148)나 후술된 복귀부재(15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141)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The
상기 소기어(144)는 상기 대기어(142)에 기어군(145)을 통해 치합되도록 모듈박스(B)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대기어(14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이러한 소기어(144)에는 회전시 대기어(142)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감속휠(143)이 구비되고 상기 감속휠(143)에는 감속피스(146)를 구획하는 다수개의 구획돌기(143a)가 방사상으로 돌출된다. The
상기 다수개의 감속피스(146)는, 상기 감속휠(143)의 구획돌기(143a) 사이에 원심력을 받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하강판넬(131)의 하강시 브레이크 역할을 수행하며, 이러한 다수개의 감속피스(146)는 상기 감속휠(143)의 회전시 원심력을 통해 각각 외측으로 밀려나가 감속커버(147)의 내면에 접촉되면서 강한 마찰력을 부여하여 감속휠(143)을 제동하게 된다.The plurality of
상기 감속커버(147)는 상기 감속휠(144)과 감속피스(146)를 감싸며, 이를 위하여 중앙부와 하측에는 축에 각각 끼워지는 축공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기어군(145)은, 상기 대기어(142)와 소기어(144) 사이에 위치되어 기어비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기어들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기어(142)와 소기어(144)의 기어비가 약 3 대 1 정도를 가지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대기어(142)의 회전이 너무 빠른 경우 대기어(142)에 치합된 소기어(144)의 회전을 빠르게 하여 감속피스(146)를 통한 감속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따라서 상기 완강부재(140)에 의하면, 대피자가 해당층의 화재대피공간의 대피공(P) 하측부에 위치된 하강판넬(131)의 상면에 위치되어 대피자의 체중에 의해 하강판넬(131)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대기어(142)에 치합된 소기어(144)의 감속부재들을 통하여 상기 하강판넬(131)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21)을 따라 항상 일정한 속도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아래층으로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waning
한편, 여기서, 상기 완강부재(140)는 상기 구성부 대신에, 공지의 원심브레이크나 마그네틱브레이크가 쉽게 적용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사실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here, the stiffening
상기 복귀부재(150)는,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하강된 하강부재(13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축(141)의 일단에 형성된 구동기어(141a)에 회전 가능하게 치합되는 종속기어(151)와, 상기 모듈박스(B)의 내부에 상기 종속기어(151)에 연장되는 회전축(153)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종속기어(151)의 회전에 따라 감김 동작되거나 풀림 동작되면서 상기 구동축(141)을 회전시키기 위한 태엽스프링(152a)이 구비된 권취수단(152)을 포함한다.The return member 150 is to allow the lowering
여기서, 상기 권취수단(152)의 태엽스프링(152a)은, 일단이 권취수단(152)의 케이싱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축(153)에 연결된 상태를 가진다. 이때, 상기 태엽스프링(152a)은, 상기 하강판넬(131)이 하강 준비 중이거나 상승 완료된 때에는 풀림 동작이 완료된 상태를 가지고 하강판넬(131)이 하강 중일 때는 감김 동작이 진행되는 상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하강판넬(131)이 상승 준비 중이거나 또는 하강 완료된 때는 감김 동작이 완료된 상태를 가지고 하강판넬(131)이 상승 중일 때는 풀림 동작이 진행되는 상태를 가진다. 즉, 상기 태엽스프링(152a)은, 감김 동작시 상기 하강부재(130)가 하강되도록 하고 풀림 동작시 그 힘을 구동축(141)에 전달하여 하강부재(130)가 상승되도록 한다. Here, the main spring (152a) of the winding means 152,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asing of the winding means 152 and the other end has a state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153. 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종속기어(151)와 구동축(141)의 구동기어(141a)는 상호간 기어비(또는 회전비)가 약 10 대 1 또는 그 이상을 가지도록 하여, 구동축(141)의 회전시 태엽스프링(152a)이 축설된 회전축(153)이 더 적게 회전되도록 하여 태엽스프링(152a)의 풀림 동작과 감김 동작이 적게 진행되도록 하고 또는, 권취수단(152)이 연결된 회전축(153) 회전시 구동축(141)이 더 많이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태엽스프링(152a)의 풀림 동작과 감김 동작이 적게 진행되도록 하여 결국, 상기 권취수단(152)의 부피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권취수단(152)의 태엽스프링(152a)의 탄성력(또는 복원력)은, 상기 하강판넬(131)의 무게 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대피자가 하강판넬(131)에 탑승시에는 태엽스프링(152a)이 신속하게 풀림 동작되도록 하고 대피자가 하강판넬(131)로부터 탑승 해제시에는 태엽스프링(152a)이 신속하게 감김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elastic force (or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52a) of the winding means 152 is preferably slightly larger than the weight of the falling
따라서 상기 복귀부재(150)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프레임(121)을 따라 하강된 하강판넬(131)이 신속하게 가이드프레임(121)을 따라 원위치로 상승함으로써, 해당층의 다른 대피자가 신속하게 아래층으로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return member 150, the descending
또한, 하강 완료된 하강부재(13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태엽스프링(152a)을 가지는 권취수단(152)이 적용됨으로써, 무게에 따른 제조비용이 비싼 무게추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게 구성부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무게추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마찰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inding means 152 having the
상기 락킹부재(160)는, 평상시에 상기 하강부재(130)가 가이드부재(120)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121) 상측단에 형성된 설치공에 위치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싱(161), 상기 케이싱(161) 내부에 위치되는 몸체(162), 상기 몸체(162)의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개구부를 통하여 설치공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강판넬(131)의 일측이나 하측 즉, 출입공을 지지하여 하강판넬(131)의 하강을 방지하는 지지경사면(163), 상기 지지경사면(163)의 일측에 상기 지지경사면(163)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설치공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해제버튼(135)의 가압축(135b) 하강에 따라 상기 몸체(162)가 케이싱(161)의 개구부 반대쪽으로 후퇴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경사면(163)의 하강판넬(131) 지지를 해제시키는 후퇴경사면(164) 및 상기 몸체(162)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후퇴경사면(164)에 의해 케이싱(161)의 개구부 반대쪽으로 후퇴된 몸체(162)를 다시 전진시켜 상기 지지경사면(163)이 설치공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가이드프레임(121)을 따라 상승하는 하강판넬(131)이 지지되도록 하는 회복스프링(165)을 포함한다.The locking
여기서, 상기 지지경사면(163)은, 상기 해제버튼(135)의 가압시 가이드프레임(121)의 설치공 내측으로 이동되어 하강판넬(131)이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안정적으로 하강되도록 하며, 상기 하강판넬(131)이 상기 락킹부재(160)가 위치된 부분을 통과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경사면(163)이 회복스프링(165)에 의해 다시 가이드프레임(121)의 설치공 외측으로 이동되어 하강판넬(131)의 지지를 해제할 수 있다. Here, the support inclined
또한, 상기 지지경사면(163)은, 상기 하강판넬(131)의 하강 완료 후 상기 복귀부재(150)에 의해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다시 상승되는 하강판넬(131)의 접촉면에 따라 다시 가이드프레임(121)의 설치공 내측으로 이동되어 하강판넬(131)이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안정적으로 상승되도록 하며, 상기 하강판넬(131)이 상기 락킹부재(160)가 위치된 부분을 통과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경사면(163)이 회복스프링(165)에 의해 다시 가이드프레임(121)의 설치공 외측으로 이동되어 하강판넬(131)을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inclined
한편, 상기 락킹부재(16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21) 사이에 마감판넬(C)이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해제버튼(135)이 마감판넬(C)에 형성되는 설치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때에는 마감판넬(C)의 설치공에 해당 구성부들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따라서 상기 락킹부재(160)에 의하면, 대피자가 상기 하강부재(130)의 하강판넬(131)에 위치된 상태에서 해제버튼(135)의 가압시 하강판넬(131)이 가이드프레임(121)을 따라 하강되도록 하여 안전한 대피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대피자의 하강 완료후 다시 가이드프레임(121)을 따라 상승하는 하강판넬(131)이 지지경사면(163)에 지지된 상태를 가지도록 하여 부주의로 대피자가 하강판넬(131)에 올라서더라도 하강판넬(131)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locking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완강부재(140)는, 상기 대기어(142)에 치합되는 소기어(144)가 대기어(142)의 회전 즉, 하강판넬(131)의 하강 또는 상승시 모두 회전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복귀부재(150)에 의해 하강판넬(131)이 가이드프레임(121)을 따라 상승하는 경우 상기 하강판넬(131)이 신속하게 가이드프레임(121)의 상측부에 원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대기어(142)에 라체트부재(미도시)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구동축(141)만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ergency escap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ffening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도 5와 도 6은 각각 도 2의 비상탈출장치을 이용한 비상탈출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5 and 6 are views showing an emergency escape operation process using the emergency escape device of FIG.
먼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층의 바닥면에 위치된 대피공(P)에 각각 탈출구캡(110)이 설치된 후 상기 탈출구캡(110)의 하측에 가이드부재(110)인 가이드프레임(121)이 삽입 지지된다. 이후, 상기 탈출구캡(110)의 일측에 위치되는 모듈박스(B)에 완강부재(140)와 복귀부재(150)가 구비되고, 상기 완강부재(140)의 체인(149)에 하강부재(130)의 하강판넬(131)이 연결된다. First,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escape caps 110 are installed at the evacuation holes P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respectively, and then the
이때, 상기 하강부재(13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21)이 탈출구캡(110)에 삽입 지지되기 전에 하강판넬(131)과 거치편(132)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공간(132b)에 가이드프레임(121)이 삽입 가이드되는 상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체인(149)의 일단이 거치편(132)의 연결부(132c)에 연결되는 상태에서, 상기 체인(149)의 길이 조절을 통하여 상기 하강판넬(131)이 가이드프레임(121)의 설치공에 설치되는 락킹부재(160)의 지지경사면(163)에 지지되어 하강이 방지된 상태를 가진다.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이 화재대피공간에 비상탈출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 등과 같은 비상대피상황이 발생되어 대피자가 해당층의 화재대피공간으로 이동한 후, 해당층의 바닥면에 형성된 대피공(P)의 상측부와 대등한 높이를 가지는 하강부재(130)의 하강판넬(131)에 위치한다.As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s installed in the fire evacuation space as described above, an emergency evacuation situation such as a fire is generated and the evacuator moves to the fire evacuation space of the corresponding floor, and then the image of the evacuation hole (P)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floor. It is located in the falling
이후, 대피자가 상기 하강부재(130)의 하강판넬(131) 상측부에 위치된 해제버튼(135)을 발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하강판넬(131)을 가이드프레임(121)의 상측단 즉, 해당층에 설치된 탈출구캡(110)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경사면(163)의 지지 상태가 해제되게 되고, 대피자의 체중에 의해 상기 하강판넬(131)은 가이드프레임(121)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evacuator presses the
이때, 상기 하강판넬(131)에 체인(149)을 통해 연결된 구동축(141)은 상기 복귀부재(150) 권취수단(152)의 태엽스프링(152a)이 풀림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감김 동작이 진행되는 상태를 가짐에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구동축(141)과 대기어(142)가 회전하면서 하강판넬(131)이 하강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이후, 상기 대기어(142)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게 되면 상기 대기어(142)에 치합된 소기어(144)의 감속휠(143)에 배치된 감속피스(146)가 감속휠(143)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감속휠(143)의 외측으로 밀려나가면서 감속커버(147)의 내면에 접촉되어 감속휠(143)의 회전을 제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축(141)과 회전풀리(148)가 서서히 회전하기 때문에 하강판넬(131)의 하강 속도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또한, 상기 하강판넬(131)의 하강시 하강판넬(131)의 거치편(132)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1/2가이드롤러(133,134)가 상기 가이드프레임(121)의 접촉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하강판넬(131)이 흔들림이나 큰 마찰 없이 가이드프레임(121)을 따라 하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이후, 상기 하강판넬(131)이 아래층의 바닥면의 베이스(W)까지 하강한 상태에서 대피자가 하강판넬(131)로부터 하차하면, 상기 하강판넬(131)에 가해지던 대피자의 체중이 해제되면서 상기 하강판넬(131)은 상기 가이드프레임(121)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evacuator descends from the descending
이때, 상기 구동축(141)은 상기 복귀부재(150) 권취수단(152)의 태엽스프링(152a)이 감김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풀림 동작이 진행되는 상태를 가짐에 따라 반대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구동축(141)에 체인(149)을 통해 연결된 하강판넬(131)이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태엽스프링(152a)의 풀림 동작에 따른 회복력에 의해 상기 하강판넬(131)이 상승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driving
여기서, 상기 구동축(141)이 반대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대기어(142)에 구비된 라체트부재(미도시)에 의해 대기어(142)는 회전되지 않음으로써, 소기어(144)에 의한 구동축(141)의 회전을 억제하는 감속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하강판넬(131)은 신속하게 원래의 위치로 신속하게 상승하게 되어 해당층의 다른 대피자들이 신속하게 아래층으로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Here, when the driving
한편, 상기 하강판넬(131)이 해당층에 형성된 대피공(P)에 위치되는 상태를 가질 때까지 상승하는 경우, 상기 하강판넬(131)은 상기 락킹부재(160)의 지지경사면(163)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하강판넬(131)의 해제버튼(135)의 가압 전까지 하강이 방지된 상태를 가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alling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완강부재(140)와 복귀부재(150)가 수용되는 모듈박스(B)가 탈출구캡(110)의 일측에 구비되도록 하고 있으나,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모듈박스(B)가 대피공(P)이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대피공(P)에 대향되는 바닥면에 구비되는 베이스(W)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여도 좋으며, 이 경우 상기 탈출구캡(110)에는 상기 완강부재(140)의 체인(149)이 경유되기 위한 풀리(미도시)가 해당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체인(149)의 일단은 완강부재(140)의 회전풀리(148)에 고정되고 타단이 하강판넬(131)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emergency escap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e box (B) is accommodated on the one side of the
한편, 도 7과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7 and Figure 8 is a view showing an emergency escap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는,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탈출구캡(110), 가이드부재(120), 하강부재(130), 완강부재(140), 복귀부재(150) 및 락킹부재(160) 등을 포함하는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가이드프레임(121)이 볼스크류(121a)를 가지며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탈출구캡(110)과 바닥면에 베어링부재(121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강부재(130)의 하강판넬(131)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21)의 볼스크류(121a)에 회전 가능한 상태를 가지며 치합되는 이동블록(G)을 통해 가이드프레임(121)에 연결되어 상기 볼스크류(121a)의 회전에 따라 하강하거나 상승하며, 상기 완강부재(140)의 구동축(141)이 공지의 구성(헬리컬기어, 웜기어 등)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121)의 일단에 연결된 상태를 가진다. As shown in Figure 7 and 8,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기서, 상기 이동블록(G)은, 볼스크류(121a)의 회전 방향에 따라 볼스크류(121a)를 따라 하강하거나 상승하게 되는데, 하강시에는 하강판넬(131)에 탑승한 사용자의 자중에 의해 볼스크류(121a)가 회전하게 되고 상승시에는 볼스크류(121a)에 구동축(141)을 통해 연결된 권취수단(152)의 태엽스프링(152a)의 풀림 동작에 의해 볼스크류(121a)가 회전하게 된다. Here, the moving block (G) is lowered or raised along the ball screw (121a)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all screw (121a), when the ball is lowered by the weight of the user boarded on the lower panel (131) When the
이때, 상기 이동블록(G)은 상기 볼스크류(121a)에 대하여 내부에 구성된 공지의 볼베어링을 통한 연결을 통해 볼베어링만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통하여 이동블록(G)에 연결된 하강판넬(131) 자체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볼스크류(121a)가 단일로 구비되더라도 상기 하강판넬(131)은 상승 또는 하강시 회전되지 않는다. At this time, the moving block (G) is the falling
또한, 상기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비상탈출장치는, 상기와 같이 상술된 구성과, 상기 완강부재(140)가 상기 하강판넬(131)에 연결되는 체인(149), 상기 체인(149)이 권취 또는 권해되기 위한 풀리를 가지는 회전풀리(148) 및 하강판넬(131)의 거치편(132)과 가이드롤러(133,134)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바람직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the
또한, 상기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완강부재(140)와 복귀부재(150)가 구성되는 모듈박스(B)가 대피공(P)에 대향되는 바닥면에 구비되는 베이스(W)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the base (W)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dule box (B) that is composed of the stiffening
또한, 상기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볼스크류(121a)의 외부에는 볼스크류(121a)의 회전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볼스크류(121a)의 외부를 감싸는 케이싱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볼스크류(121a)에 치합된 이동블록(G)과 하강판넬(131)의 연결부위가 승강을 위해 노출되도록 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a casing tha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따라서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상기 하강판넬(131)에 대피자가 위치된 상태에서 하강판넬(131)의 락킹이 해제되면, 대피자의 체중에 따라 하강판넬(131)의 이동블록(G)이 가이드프레임(121)의 볼스크류(121a)를 회전시키게 되어 하강판넬(131)이 가이드프레임(121)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Therefore, when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escap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first, the locking of the falling
이때, 상기 하강판넬(131)에 볼스크류(121a)를 통해 연결된 구동축(141)은 상기 복귀부재(150) 권취수단(152)의 태엽스프링(152a)이 풀림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감김 동작이 진행되는 상태를 가짐에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구동축(141)이 회전하면서 하강판넬(131)이 하강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이후, 상기 대기어(142)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게 되면 상기 대기어(142)에 치합된 소기어(144)의 감속휠(143)에 배치된 감속피스(146)가 감속휠(143)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감속휠(143)의 외측으로 밀려나가면서 감속커버(147)의 내면에 접촉되어 감속휠(143)의 회전을 제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축(141)이 서서히 회전하기 때문에 하강판넬(131)의 하강 속도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이후, 상기 하강판넬(131)이 아래층의 바닥면의 베이스(W)까지 하강한 상태에서 대피자가 하강판넬(131)로부터 하차하면, 상기 하강판넬(131)에 가해지던 대피자의 체중이 해제되면서 상기 하강판넬(131)은 상기 가이드프레임(121)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evacuator descends from the descending
이때, 상기 구동축(141)은 상기 복귀부재(150) 권취수단(152)의 태엽스프링(152a)이 감림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풀림 동작이 진행되는 상태를 가짐에 따라 반대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구동축(141)에 연결된 볼스크류(121a)가 회전함에 따라 하강판넬(131)이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태엽스프링(152a)의 풀림 동작에 따른 회복력에 의해 볼스크류(121a)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하강판넬(131)이 상승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driving
여기서, 상기 완강부재(140)의 대기어(142)에 구비된 라체트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대기어(142)는 회전되지 않음으로써, 소기어(144)에 의한 구동축(141)의 회전을 억제하는 감속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하강판넬(131)은 신속하게 원래의 위치로 신속하게 상승하게 되어 해당층의 다른 대피자들이 신속하게 아래층으로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층건물에서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고층건물의 화재대피공간의 대피공에 삽입된 탈출구캡들에 수직하게 설치된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층으로 일정속도로 하강하는 하강부재를 이용하여 대피자가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descending at a constant speed along the guide member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escape caps inserted into the evacuation hole of the fire escape space of the high-rise building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in the high-rise building. The member can be used to allow the evacuator to escape quickly.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하층으로 하강한 하강부재가 신속하게 원위치되도록 하여 복수의 대피자가 연속적이고 신속하게 하층으로 탈출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scending member descending to the lower layer along the guide member can be quickly returned to the plurality of evacuators to escape to the lower layer continuously and quickly.
또한, 해당 건물의 화재대피공간 등에 비상탈출장치가 설치됨으로써, 비상상황 발생시 해당 대피자들이 별도의 비상탈출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출을 시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escape device is installed in the fire escape space of the building, so that in case of emergency, the evacuators can try to escape quickly and safely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emergency escape device.
또한, 하강 완료된 하강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재가 태엽스프링 방식의 권취수단을 적용함으로써, 구성부들의 제조비용 절약과 함께 구성부들의 동작시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turn member for returning the lowered descending member to the original position by applying the winding spring-type winding mean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of the components and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noise during operation of the components.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14)
상기 복귀부재(150)는,
감김 동작시 상기 하강부재(130)가 하강되도록 하고 풀림 동작시 그 힘을 하강부재(130)에 연결된 완강부재(140)에 전달하여 하강부재(130)가 상승되도록 하는 태엽스프링(152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Escape cap 110 is installed in the evacuation hole (P) of the fire escape space of the floor of the building, the guide member 120 is installed vertically to the lower side of the escape cap 110, the upper side of the guide member 120 Is mounted on the falling member 130 to descend along the guide member 120 when the evacuation of the evacuation member, the falling member 140 to lower the member at a constant speed along the guide member 120, Return member 150 and the lower member 130 for returning the lower member 130 lowered along the guide member 120 to the original position to maintain the stat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member 120 In the emergency escape device comprising a locking member 160,
The return member 150,
The winding member 130 is lowered during the winding operation, and the spring spring 152a for transmitting the force to the lowering member 140 connected to the lowering member 130 during the unwinding operation so that the lowering member 130 is raised. Emergency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탈출구캡(110)의 상측 또는 가이드부재(120)의 하측부에 위치되는 모듈박스(B)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축(141);
상기 구동축(14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대기어(142);
상기 모듈박스(B)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대기어(142)에 치합되며 감속휠(143)을 가지는 소기어(144);
상기 감속휠(143)에 원심력을 받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감속피스(146);
상기 감속휠(143)과 감속피스(146)를 감싸도록 모듈박스(B)의 내부에 고정되는 감속커버(147);
상기 구동축(141)에 구비되어 구동축(14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풀리(148); 및
상기 회전풀리(148)에 권취되어 모듈박스(B)의 하부로 인출되는 일단이 상기 하강부재(130)에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풀리(148)에 고정되는 체인(14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aning member 140,
A drive shaft 141 installed inside the module box B located at an upper side of the escape cap 110 or a lower side of the guide member 120;
A standby gear 142 rotatably provided on the drive shaft 141;
A small gear 144 meshed with the standby gear 142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module box B and having a reduction wheel 143;
A plurality of reduction pieces 146 disposed radially to receive the centrifugal force on the reduction wheel 143;
A deceleration cover 147 fixed inside the module box B so as to surround the deceleration wheel 143 and the deceleration piece 146;
A rotating pulley 148 provided on the driving shaft 141 and rotating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shaft 141; And
It is wound on the rotary pulley 148, one end is drawn ou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dule box (B) is fixed to the lower member 130 and the oth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ain 149 fixed to the rotary pulley 148 Emergency escape device.
상기 구동축(141)의 일단에 형성된 구동기어(141a)에 회전 가능하게 치합되는 종속기어(151)에 연장되는 회전축(153)에 구비되어 상기 종속기어(151)의 회전에 따라 감김 동작되거나 풀림 동작되면서 상기 구동축(141)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The spring of the return member 150, 152a,
It is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153 extending to the subordinate gear 151 rotatably engaged with the drive gear 141a formed at one end of the drive shaft 141 is wound or unwind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ubordinate gear 151 Emergency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otating the drive shaft (141).
상기 가이드부재(120) 가이드프레임(121)의 외형에 대응되는 개구공간을 가지는 하강판넬(131);
상기 하강판넬(131)의 내부에 매설되는 매설부를 통하여 하강판넬(131)을 지지하고 상기 개구공간에 대응된 가이드공간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121)에 가이드되도록 하며 상기 완강부재(140)의 체인(149)에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하강판넬(131)이 가이드프레임(121)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하는 노출부로 구성된 거치편(132);
상기 거치편(132)의 가이드공간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공간에 삽입된 가이드프레임(121)의 일측(전면)과 타측(배면)에 각각 접촉 회전되는 제1가이드롤러(133)와 제2가이드롤러(134); 및
상기 하강판넬(131)의 일측에 관통 구비되어 하강판넬(131)의 하측부를 가이드프레임(121)의 상측단에 지지하는 락킹부재(160)의 하강판넬(131) 지지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버튼(1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alling member 130,
A lowering panel 131 having an opening space corresponding to an outer shape of the guide member 120 and the guide frame 121;
The lower panel 131 supports the lower panel 131 through the buried portion embedded in the lower panel 131, guides the guide frame 121 through the guide spac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space, and the chain of the lower member 140. A mounting piece 132 configured to be exposed through the connection part 149 and configured to expose the lower panel 131 along the guide frame 121;
First guide rollers which are respectively rotatably positioned in the guide space of the mounting piece 132 by rotational shafts and are rotated in contact with one side (front) and the other side (back) of the guide frame 121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 133 and the second guide roller 134; And
A release button provided through one side of the lower panel 131 to release the lower panel 131 support state of the locking member 160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anel 131 on the upper end of the guide frame 121 ( Emergency escape device comprising a).
상기 대기어(142)에 라체트부재(미도시)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aning member 140,
Emergency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chet member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air gear (142).
원심브레이크 또는 마그네틱브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aning member 140,
Emergency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ifugal brake or magnetic brake.
상기 복귀부재(150)는,
감김 동작시 상기 하강부재(130)가 하강되도록 하고 풀림 동작시 그 힘을 가이드부재(130)에 연결된 완강부재(140)에 전달하여 하강부재(130)가 상승되도록 하는 태엽스프링(152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Escape cap 110 is installed in the evacuation hole (P) of the fire escape space of the floor of the building, the guide member 120 is installed vertically to the lower side of the escape cap 110, the upper side of the guide member 120 Is mounted on the falling member 130 to descend along the guide member 120 when the evacuation of the evacuation member, the falling member 140 to lower the member at a constant speed along the guide member 120, Return member 150 and the lower member 130 for returning the lower member 130 lowered along the guide member 120 to the original position to maintain the stat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member 120 In the emergency escape device comprising a locking member 160,
The return member 150,
The winding member 152a to be lowered during the winding operation and to transfer the force to the waning member 140 connected to the guide member 130 during the loosening operation to include the spring spring 152a to be raised. Emergency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가이드프레임(121)이 볼스크류(121a)를 가지며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탈출구캡(110)과 바닥면에 베어링부재(121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guide member 120,
The guide frame 121 has a ball screw (121a) and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are rotatably installed by the bearing member (121b) on the escape cap (110) and the bottom surface, respectively.
하강판넬(131)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21)의 볼스크류(121a)에 회전 가능한 상태를 가지며 치합되는 이동블록(G)을 통해 가이드프레임(121)에 연결되어 상기 볼스크류(121a)의 회전에 따라 하강하거나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ower member 130,
The lower panel 131 is rotatable to the ball screw 121a of the guide frame 121 and is connected to the guide frame 121 through a moving block G to be engaged to rotate the ball screw 121a. Emergency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escending or rising along.
상기 탈출구캡(110)의 상측 또는 가이드부재(120)의 하측부에 위치되는 모듈박스(B)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축(141);
상기 구동축(14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대기어(142);
상기 모듈박스(B)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대기어(142)에 치합되며 감속휠(143)을 가지는 소기어(144);
상기 감속휠(143)에 원심력을 받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감속피스(146); 및
상기 감속휠(143)과 감속피스(146)를 감싸도록 모듈박스(B)의 내부에 고정되는 감속커버(1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waning member 140,
A drive shaft 141 installed inside the module box B located at an upper side of the escape cap 110 or a lower side of the guide member 120;
A standby gear 142 rotatably provided on the drive shaft 141;
A small gear 144 meshed with the standby gear 142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module box B and having a reduction wheel 143;
A plurality of reduction pieces 146 disposed radially to receive the centrifugal force on the reduction wheel 143; And
Emergency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celeration cover (147) fixed to the inside of the module box (B) to surround the deceleration wheel (143) and the deceleration piece (146).
상기 구동축(141)의 일단에 형성된 구동기어(141a)에 회전 가능하게 치합되는 종속기어(151)에 연장되는 회전축(153)에 구비되어 상기 종속기어(151)의 회전에 따라 감김 동작되거나 풀림 동작되면서 상기 구동축(141)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pring spring 152a of the return member 150,
It is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153 extending to the subordinate gear 151 rotatably engaged with the drive gear 141a formed at one end of the drive shaft 141 is wound or unwind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ubordinate gear 151 Emergency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otating the drive shaft (141).
상기 대기어(142)에 라체트부재(미도시)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waning member 140,
Emergency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chet member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air gear (142).
원심브레이크 또는 마그네틱브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waning member 140,
Emergency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ifugal brake or magnetic brake.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2870A KR101032877B1 (en) | 2011-02-14 | 2011-02-14 | Emergency Escape Device |
JP2013502465A JP5648248B2 (en) | 2010-04-02 | 2011-03-29 | Emergency escape device |
EP11762989.9A EP2554218B1 (en) | 2010-04-02 | 2011-03-29 | Emergency escape device |
CN201180016965.4A CN102946946B (en) | 2010-04-02 | 2011-03-29 | Emergency escape device |
RU2012146726/12A RU2558517C2 (en) | 2010-04-02 | 2011-03-29 | Emergency evacuator |
PCT/KR2011/002122 WO2011122817A2 (en) | 2010-04-02 | 2011-03-29 | Emergency escape device |
US13/638,079 US9409042B2 (en) | 2010-04-02 | 2011-03-29 | Emergency escape device |
JP2014102576A JP5823570B2 (en) | 2010-04-02 | 2014-05-16 | Emergency escap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2870A KR101032877B1 (en) | 2011-02-14 | 2011-02-14 | Emergency Escape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32877B1 true KR101032877B1 (en) | 2011-05-06 |
Family
ID=44365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2870A Active KR101032877B1 (en) | 2010-04-02 | 2011-02-14 | Emergency Escap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2877B1 (en)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09076A3 (en) * | 2011-07-13 | 2013-06-13 | Na Pan Ju | Emergency escape device |
KR101281182B1 (en) | 2012-05-09 | 2013-07-02 | 나판주 |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
KR101410261B1 (en) * | 2013-02-01 | 2014-06-20 | (주) 신진도아스 | Emergency ladder |
CN107419878A (en) * | 2017-09-28 | 2017-12-01 | 许凯 | Passway for escaping and building |
CN109748175A (en) * | 2019-01-31 | 2019-05-14 | 南京市特种设备安全监督检验研究院 | A kind of fire of high-rise building Quick rescue equipment and rescue mode |
CN109908500A (en) * | 2019-01-22 | 2019-06-21 | 深圳市库博建筑设计事务所有限公司 | A kind of building safety evacuating system and its method |
KR102005895B1 (en) * | 2018-09-28 | 2019-07-31 | 주식회사 디딤돌 | Safety evacuation building with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
KR102165781B1 (en) * | 2020-02-19 | 2020-10-14 |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 Non-motorized evacuator for the disabled |
KR20200127358A (en) * | 2019-05-02 | 2020-11-11 | 주식회사 디딤돌 |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
KR20200129323A (en) * | 2019-05-08 | 2020-11-18 | 박인규 | Self driving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
KR20230094652A (en) * | 2021-12-21 | 2023-06-28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Falling type evacuating apparatus |
KR20240018149A (en) * | 2022-08-02 | 2024-02-13 | 오성근 | Non-motorized high-altitude emergency escape device |
CN119122411A (en) * | 2024-11-12 | 2024-12-13 | 湖南力天既有建筑工程有限公司 | A window with fireproof isolation fence for escape in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5847Y1 (en) * | 1992-08-05 | 1994-08-26 | 김진옥 | Rescusing lift of building |
JP2003118951A (en) | 2001-10-17 | 2003-04-23 | Shirota Tekko Kk | Escape device |
-
2011
- 2011-02-14 KR KR1020110012870A patent/KR10103287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5847Y1 (en) * | 1992-08-05 | 1994-08-26 | 김진옥 | Rescusing lift of building |
JP2003118951A (en) | 2001-10-17 | 2003-04-23 | Shirota Tekko Kk | Escape device |
Cited B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09076A3 (en) * | 2011-07-13 | 2013-06-13 | Na Pan Ju | Emergency escape device |
KR101281182B1 (en) | 2012-05-09 | 2013-07-02 | 나판주 |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
KR101410261B1 (en) * | 2013-02-01 | 2014-06-20 | (주) 신진도아스 | Emergency ladder |
CN107419878A (en) * | 2017-09-28 | 2017-12-01 | 许凯 | Passway for escaping and building |
KR102005895B1 (en) * | 2018-09-28 | 2019-07-31 | 주식회사 디딤돌 | Safety evacuation building with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
CN109908500A (en) * | 2019-01-22 | 2019-06-21 | 深圳市库博建筑设计事务所有限公司 | A kind of building safety evacuating system and its method |
CN109748175A (en) * | 2019-01-31 | 2019-05-14 | 南京市特种设备安全监督检验研究院 | A kind of fire of high-rise building Quick rescue equipment and rescue mode |
CN109748175B (en) * | 2019-01-31 | 2023-10-13 | 南京市特种设备安全监督检验研究院 | High-rise building fire rapid rescue equipment and rescue method |
KR20200127358A (en) * | 2019-05-02 | 2020-11-11 | 주식회사 디딤돌 |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
KR102205515B1 (en) * | 2019-05-02 | 2021-01-20 | (주)디딤돌 |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
KR20200129323A (en) * | 2019-05-08 | 2020-11-18 | 박인규 | Self driving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
KR102205499B1 (en) * | 2019-05-08 | 2021-01-19 | 박인규 | Self driving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
KR102165781B1 (en) * | 2020-02-19 | 2020-10-14 |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 Non-motorized evacuator for the disabled |
KR20230094652A (en) * | 2021-12-21 | 2023-06-28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Falling type evacuating apparatus |
KR102702001B1 (en) * | 2021-12-21 | 2024-09-04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Falling type evacuating apparatus |
KR20240018149A (en) * | 2022-08-02 | 2024-02-13 | 오성근 | Non-motorized high-altitude emergency escape device |
KR102662609B1 (en) * | 2022-08-02 | 2024-04-30 | 오성근 | Non-motorized high-altitude emergency escape device |
CN119122411A (en) * | 2024-11-12 | 2024-12-13 | 湖南力天既有建筑工程有限公司 | A window with fireproof isolation fence for escape in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2877B1 (en) | Emergency Escape Device | |
KR101117277B1 (en) |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 |
KR101040209B1 (en) | Emergency escape system using monorail | |
JP5648248B2 (en) | Emergency escape device | |
KR101200375B1 (en) |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 |
US4887694A (en) | High rise building fire escape/fire fighting and building maintenance system | |
CN102943609A (en) | High-rise self-rescue escape window | |
KR102119351B1 (en) |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 |
KR100977858B1 (en) |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 |
US4828072A (en) | High rise building fire escape/fire fighting and building maintenance system | |
KR20110005130A (en) | Emergency escape device for high-rise building | |
KR101026277B1 (en) | Emergency fall-down device for high-rise building | |
JP2008510564A (en) | Lifesaving equipment | |
KR101281182B1 (en) |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 |
KR102169895B1 (en) |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 |
CN111622662B (en) | Safe cat ladder for building | |
KR20200114575A (en) | Self driving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having alarm system | |
KR102474826B1 (en) | Going up and down assembly for emergency escape apparatus | |
CN111648715B (en) | A cat ladder for building outer wall climbing usefulness | |
WO2013009076A2 (en) | Emergency escape device | |
KR102169897B1 (en) |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 |
CN210873794U (en) | High-rise escape device | |
KR102224501B1 (en) | Dual-self driving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having alarm system | |
CN210873795U (en) | High-rise escape device | |
KR102237673B1 (en) |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4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P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4013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11042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40130 Appeal identifier: 2024100000308 |
|
J121 |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 ||
PJ1201 | Withdrawal of trial |
Patent event code: P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240423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24100000308 Request date: 20240130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2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