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2756B1 - 폐기저귀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폐기저귀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756B1
KR101032756B1 KR1020080088546A KR20080088546A KR101032756B1 KR 101032756 B1 KR101032756 B1 KR 101032756B1 KR 1020080088546 A KR1020080088546 A KR 1020080088546A KR 20080088546 A KR20080088546 A KR 20080088546A KR 101032756 B1 KR101032756 B1 KR 101032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heater
shaft
housing
was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9867A (ko
Inventor
최신묵
키요미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이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이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이아
Priority to KR1020080088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756B1/ko
Publication of KR20100029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75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저귀가 수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열을 공급하여, 상기 폐기저귀를 가열하는 히터부; 상기 하우징부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가열된 폐기저귀를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회전시키는 임펠러부들; 및 상기 임펠러부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임펠러부에 의해 회전되는 폐기저귀를 파쇄하는 가열 파쇄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저귀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폐기저귀 처리 장치는 폐기저귀의 중량 감소와 병원균 살균 처리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폐기저귀로 인한 환경오염을 감소시키는 것을 구현한다.
폐기저귀, 임펠러부, 가열 파쇄날

Description

폐기저귀 처리 장치{APPARATUS FOR TREATING WASTE DIAPERS}
본 발명은 폐기된 다중 겹으로 이루어진 물품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폐기저귀와 같은 흡수형 개인 위생용품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한민국에는 235개 정도의 폐기물 매립지가 운영되고 있다. 현재 폐기물의 배출량을 감안한다면, 수도권 매립지는 2020년에, 이를 제외한 전국의 모든 매립지는 2013년에 그 기능을 상실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환경 단체의 보고에 의하면, "매립지에 버려지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조사해 보면 40 ~ 50%가 기저귀나 플라스틱류"인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매립되는 폐기물 중에서 기저귀의 양은 상당한 수준에 있다.
실제로 부착이 간편하고 세탁할 필요 없이 그냥 버릴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1회용 기저귀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1회용 기저귀들이 폐기됨에 따라, 매립되는 폐기물 중 상당한 부분을 폐기저귀가 차지하게 된 것이다. 폐기저귀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합성 수지 재질로 제작되고, 이로 인해 폐기저귀는 매립된 상태에서 분해되는 데에만도 수백 년 이상의 시간이 소용된다. 폐기저귀에 포 함된 분뇨는 매립된 상태에서 침출수로 배출된다. 따라서 폐기저귀의 매립은 폐기물 매립지의 기능 상실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토양 오염까지도 초래하게 되었다. 아울러, 폐기저귀는 매립지로 이동하는 데에도 운송 비용을 필요로 한다.
폐기저귀는 매립지에 매립되는 대신에 소각되어 처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폐기저귀의 매립에 따른 침출수 배출에 따른 토양 오염은 줄일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폐기저귀의 경우에는 분뇨 등으로 인해 수분이 함유된 상태이다. 수분이 함유된 폐기저귀가 소각되는 때에는, 일반적인 폐기물을 소각하는 경우에 비해 1.5배 이상의 연료가 투입된다. 아울러, 합성 수지 재질로 제작된 폐기저귀가 소각됨에 따라 다이옥신 등과 같은 유해 물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폐기저귀의 중량을 감소시켜 운송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폐기저귀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폐기저귀로 인한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폐기저귀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폐기저귀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줄일 수 있는 폐기저귀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폐기저귀가 수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열을 공급하여, 상기 폐기저귀를 가열하는 히터부; 상기 하우징부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가열된 폐기저귀를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회전시키는 임펠러부들; 및 상기 임펠러부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임펠러부에 의해 회전되는 폐기저귀를 파쇄하는 가열 파쇄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저귀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아울러, 상기 임펠러부는 상기 샤프트에 수직하도록 연장된 제 1 날개 연결부;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날개 연결부와 이격되고,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날개 연결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에 수직하도록 연장된 제 2 날개 연결부; 및 상기 제 1 날개 연결부의 각 종단과 상기 제 2 날개 연결부의 각 종단을 연결하는 날개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저귀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임펠러부들은 상기 샤프트를 따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되, 제 1 임펠러부의 제 2 날개 연결부와 제 2 임펠러부의 제 1 날개 연결부가 상기 샤프트에 대해 동일한 연장 방향을 가지도록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저귀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가열 파쇄날은 내부에 막대히터가 수용되어 상기 막대히터에 의해 가열되며, 외면에 복수 개의 파쇄 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저귀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샤프트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가 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히터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 저면에 위치된 제 1 히터; 및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 측면을 둘러싸되, 상기 임펠러부에 대응되게 위치된 제 2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저귀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제 1 히터는 400℃ 내지 550℃로 가열하며, 상기 제 2 히터는 200℃ 내지 400℃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저귀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폐기저귀 처리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최하단 날개 연결부의 아래에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최하단 날개 연결부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바닥 플레이트 연결부; 및 상기 바닥 플레이트 연결부의 각 종단에 고정되되, 상기 하우징부의 저면에 대해 경사를 가지도록 위치된 바닥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기저귀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샤프트가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히터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 측면을 둘러싸되, 상기 임펠러부에 대응되게 위치된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저귀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저귀 처리 장치는 하우징부, 히터부, 임펠러부들 및 가열 파쇄날들을 포함한다. 폐기저귀는 하우징부에 투입되어 히터부로부터 열을 공급받게 된다. 이때, 히터부로부터의 열은 폐기저귀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미생물을 살균시킨다. 이로 인해, 폐기저귀는 체적과 중량이 감소하면서 미생물로 인한 악취가 감소하게 된다. 이어서, 폐기저귀는 히터부로부터의 열에 의해 용융 직전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때, 임펠러부들은 폐기저귀를 회전시켜 가열 파쇄날들에 의해 수분 흡수제 및 섬유질을 분말 형태로 파쇄시킨다. 이로 인해, 폐기저귀는 추가적으로 체적 및 중량이 감소되어 매립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 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폐기저귀 처리 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폐기저귀 처리 장치(100)의 하우징부(101)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폐기저귀 처리 장치(100)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기저귀 처리 장치(100)는 하우징부(101), 히터부(102), 임펠러부들(103a, 103b), 가열 파쇄날들(104a, 104b) 및 구동부(105)를 포함하며, 하우징부(101)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가 되도록 그 길이방향으로 위치된다. 아울러, 폐기저귀 처리 장치(100)에 이용되는 폐기저귀는 통수성 폴리에틸렌 필름, 종이 통기성 펄프, 수분 함수 펄프, 수분 흡수 가루, 방수 비닐 및 비닐 필름을 포함하여 6겹으로 구성되며, 수분 및 미생물 등을 포함한다.
하우징부(101)는 폐기저귀가 그 내부로 투입되어 수용된 상태에 처리되며, 이어서 하우징부(101)의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에서, '처리'는 폐기저귀의 건조, 살균 및 파쇄를 의미한다. 아울러, 폐기저귀가 처리될 때, 하우징부(101)는 그 외부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부(101)의 외주면에는 투입구(111) 및 배출구(113)가 각각 형성된다. 이로 인해, 폐기저귀는 투입구(111)를 통해 하우징부(101)의 내부로 투입되고, 하우징부(101)의 내부에서 처리된 다음 배출구(113)를 통해 하우징부(101)의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하우징부(101)의 중앙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샤프트(115)가 위치된다. 샤프트(115)는 임펠 러부들(103a, 103b)의 회전축을 제공한다.
히터부(102)는 하우징부(101)의 내부에 열을 공급하여, 투입된 폐기저귀를 가열하는 데에 이용된다. 아울러, 히터부(102)는 제1 히터(121) 및 제2 히터(123)를 포함한다.
제 1 히터(121)는 하우징부(101)의 외부 저면에 위치되어, 하우징부(101)의 내부에 열을 공급한다. 아울러, 제1 히터(121)는 400℃ 이상의 온도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450℃ 내지 550℃의 범위로 가열하도록 설정된다. 제 2 히터(123)는 하우징부(101)의 외부 측면을 둘러싸면서 임펠러부들에 대응되게 위치되어, 제 1 히터(121)와 같이 하우징부(101)의 내부에 열을 공급한다. 아울러, 제 2 히터(123)는 200℃ 이상의 온도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온도 250℃ 내지 400℃의 범위로 가열하도록 설정된다.
한편, 제 1 히터(121)에 의해 하우징부(101)의 내부로 열이 공급될 때, 제 1 히터(121)에 의한 열은 하우징부(101) 내부로 전달됨에 따라, 제 1 히터(121)로부터 점점 멀어질수록 하우징부(101)로 전달되는 열이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 2 히터(123)는 감소된 상태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 1 히터(121)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 범위에서 설정된다. 결국, 하우징부(101)의 내부 온도는 제 1 및 제 2 히터(121, 123)의 영향을 받아 200℃ 이상의 온도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300℃ 범위로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폐기저귀는 히터부(102)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하우징부(101)의 내부에서 수분의 증발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미생물의 살균이 이루어진다. 이는 하우 징부(101)의 투입구(111) 및 배출구(113)가 모두 폐쇄된 상태에서 하우징부(101)의 내부 온도가 90℃ 이상에서 이루어진다. 특히, 수분의 감소로, 폐기저귀의 중량은 감소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하우징부(101)의 내부에는 배기 가스가 생성되고, 배기 가스는 제 1 히터(121) 및 제 2 히터(123)의 영향을 받아 200℃ 이상의 온도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400℃의 범위의 온도를 유지하게 되어, 폐기저귀를 용융 상태 직전에 이르게 한다.
임펠러부들(103a, 103b)은 하우징부(101)의 내부에서 샤프트(115)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가열된 폐기저귀를 하우징부(101) 내부에서 회전시키면서 가열 파쇄날들(104a, 104b)과 조합하여 파쇄하는 데에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임펠러부들(103a, 103b)인, 제 1 임펠러부(103a) 및 제 2 임펠러부(103b)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로 위치된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위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샤프트(115)에 위치되는 임펠러부들의 개수는 한정되지 아니한다. 제 1 임펠러부(103a)는 제 1 날개 연결부(131), 제 2 날개 연결부(133) 및 날개부들(135a, 135b)을 포함하고, 제 2 임펠러부(103b)는 제 1 날개 연결부(132), 제 2 날개 연결부(134) 및 날개부들(135c, 135d)을 포함한다. 제 1 임펠러부(103a)는 하우징부(101)의 내부에서 샤프트(115) 최상단에 위치하여, 제2 임펠러부(103b)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 1 임펠러부(103a)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제 1 날개 연결부(131)는 샤프트(115)에 수직하도록 연장된다. 아울러, 제 2 날개 연결부(133)는 샤프트(1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 날개 연결부(131)와 이 격되고, 샤프트(115)의 축을 중심으로 제 1 날개 연결부(131)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샤프트(115)에 수직하도록 연장된다.
날개부들(135a, 135b)은 제 1 날개 연결부(131)의 각 종단과 제 2 날개 연결부(133)의 각 종단을 연결하여, 만곡된 제 1 날개 연결부(131)와 제 2 날개 연결부(133) 사이에서 위치된다. 임펠러부들(103a, 103b)이 샤프트(115)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날개부들(135a, 135b)은 하우징부(115)의 내부에서 유동을 발생시켜 폐기저귀를 회전시킨다.
한편, 제 1 임펠러부(103a)와 제 2 임펠러부(103b)가 샤프트(115)를 따라 상호 이격된 상태에 위치된 때, 제 1 임펠러부(103a)의 제 2 날개 연결부(133)와 제 2 임펠러부(103b)의 제 1 날개 연결부(132)는 샤프트(115)에 대하여 동일한 연장 방향을 가지도록 인접한다. 이와 더불어, 제 1 임펠러부(103a)의 날개부들(135a, 135b)과 제 2 임펠러부(103b)의 날개부들(135c, 135d)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연결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제 1 임펠러부(103a)의 날개부(135a)가 제 2 임펠러부(103b)의 날개부(103c)와 만곡된 형상으로 이어지며, 제 1 임펠러부(103a)의 날개부(135b)가 제 2 임펠러부(103b)의 날개부(103d)와 만곡된 형상으로 이어진다.
가열 파쇄날들(104a, l04b)은 임펠러부들(103a, 103b)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우징부(101)의 내부에 고정되어 임펠러부들(103a, 103b)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며, 임펠러부들(103a, l03b)에 의해 회전되는 폐기저귀를 파쇄한다. 아울러, 각각의 가열 파쇄날들(104a, l04b)은 파쇄 돌기들(141a, 141b)과 막대히터(143a, 143b)를 포함한다.
파쇄 돌기(141a, 141b)들은 가열 파쇄날들(104a, l04b)의 외면에 복수 개로 형성된다. 폐기저귀는 임펠러부들(103a, l03b)에 의해 회전되어 가열 파쇄날들(104a, 104b)에 의해 파쇄되는 동시에 파쇄 돌기들(141a 141b)에 일부가 충돌하면서 파쇄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막대히터(143a, 143b)는 가열 파쇄날들(104a, l04b)의 내부에 수용되어 가열 파쇄날들(104a, l04b)을 가열하여, 폐기저귀의 파쇄가 가열된 가열 파쇄날들(104a, 104b)에 의해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하우징부(101)의 투입구(111) 및 배출구(113) 모두가 폐쇄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폐기저귀의 체적 및 중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때, 폐기저귀의 파쇄 후 가열을 중단한 뒤, 하우징부(101)의 배출구(113)가 개방되면, 배출구(113)를 통해 폐기저귀는 분말 형태로 하우징부(101)의 외부로 배출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폐기저귀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는 하우징부(101)와 연결된 응축기를 거쳐 고온 산화 및 촉매 산화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대기중으로 배기되고, 분말 형태의 폐기저귀는 이를 폐기하기 위한 장소로 이동하게 된다.
구동부(105)는 하우징부(101)의 외부 상면에 위치되어, 샤프트(115) 상에 위치되어, 임펠러부들(103a, 103b)을 회전시킨다.
한편, 하우징부(101)의 내부에는 최하단 날개 연결부(134) 아래에 바닥 플레이트 연결부(117) 및 바닥 플레이트(11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최하단 날개 연결부는 제 2 임펠러(103b)의 제 2 날개 연결부(134)이다.
바닥 플레이트 연결부(117)는 하우징부(101)의 최하단 날개 연결부(134)의 아래에 샤프트(115)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최하단 날개 연결부(134) 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샤프트(115)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다. 아울러, 바닥 플레이트(119)는 바닥 플레이트 연결부(117)의 각 종단에 고정되어, 하우징부(101)의 저면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위치된다. 바닥 플레이트 연결부(117)와 바닥 플레이트(119)는 임펠러부들(103a, 103b)과 함께 회전한다. 이로 인해, 하우징부(101)의 하단에 위치된 폐기저귀는 임펠러부들(103a, 103b)과 가열 파쇄날들(104a, 104b) 사이로 상승 이동하게 되어, 다시금 더 작은 형태의 입자로 파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폐기저귀 처리 장치(20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폐기저귀 처리 장치(200)의 하우징부(201)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폐기저귀 처리 장치(200)의 좌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폐기저귀 처리 장치(200)는 선행 실시예에 따른 폐기저귀 처리 장치(100)와 같이 하우징부(201), 히터부(202), 임펠러부들(203), 가열 파쇄날들(204) 및 구동부(205)를 포함한다. 폐기저귀는 하우징부(201)의 내부에 투입된 상태에서 히터부(202)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가열된다. 가열된 폐기저귀는 용융 직전의 상태에 이르게 되고, 임펠러부들(203)에 의해 회전하여 가열 파쇄날들(204)에 의해 파쇄된다. 본 실시예는 선행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과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폐기저귀 처리 장치(200)는 선행 실시예와는 달리, 하우징부(201)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상태가 되도록 위치되어, 폐기저귀를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처리한다. 히터부(202)는 선행 실시예의 제 2 히 터(123)와 같이 하우징부(201)의 외부 측면을 둘러싸면서, 임펠러부(203)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아울러, 히터부(202)가 하우징부(201)의 외부 측면 일부만을 둘러싼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우징부(201) 외부 측면의 전체을 둘러싸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폐기저귀 처리 장치(200)는 폐기저귀를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처리한다. 아울러, 히터부(202)는 선행 실시예의 제 2 히터(123)와 같이 하우징부(201)의 외부 측면을 둘러싸면서, 임펠러부(203)에 대응되게 위치되어 하우징부(201)의 내부를 200℃이상의 온도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400℃의 온도 범위로 가열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구동부(205)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부(203)는 폐기저귀를 회전시킬 뿐만 아니라, 하우징부(101)의 하단에 위치된 폐기저귀를 임펠러부(203)와 가열 파쇄날들(204) 사이로 상승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는 선행 실시예의 바닥 플레이트 연결부(117)와 바닥 플레이트(119)와 같은 구성요소가 포함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선행 실시예와의 차이가 있으나, 당업자라면 선행 실시예로부터 본 실시예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폐기저귀 처리 장치(200)의 작동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폐기저귀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폐기저귀 처리 장치의 하우징부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폐기저귀 처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폐기저귀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폐기저귀 처리 장치의 하우징부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폐기저귀 처리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Claims (9)

  1. 폐기저귀가 수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열을 공급하여, 상기 폐기저귀를 가열하는 히터부;
    상기 하우징부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가열된 폐기저귀를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회전시키는 임펠러부들; 및
    상기 임펠러부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임펠러부들에 의해 회전되는 폐기저귀를 파쇄하는 가열 파쇄날을 포함하되,
    상기 임펠러부들의 각각은 상기 샤프트에 수직하도록 연장된 제 1 날개 연결부;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날개 연결부와 이격되고,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날개 연결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에 수직하도록 연장된 제 2 날개 연결부; 및 상기 제 1 날개 연결부의 종단과 상기 제 2 날개 연결부의 종단을 연결하는 날개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부들은 상기 샤프트를 따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고, 제 1 임펠러부의 제 2 날개 연결부와 제 2 임펠러부의 제 1 날개 연결부가 상기 샤프트에 대해 동일한 연장 방향을 가지도록 인접하며,
    상기 가열 파쇄날은 내부에 막대히터가 수용되어 상기 막대히터에 의해 가열되고, 외면에 복수 개의 파쇄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저귀 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샤프트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가 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히터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 저면에 위치된 제 1 히터; 및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 측면을 둘러싸되, 상기 임펠러부에 대응되게 위치된 제 2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저귀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히터는 400℃ 내지 550℃로 가열하며,
    상기 제 2 히터는 200℃ 내지 400℃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저귀 처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폐기저귀 처리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최하단 날개 연결부의 아래에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최하단 날개 연결부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바닥 플레이트 연결부; 및
    상기 바닥 플레이트 연결부의 종단에 고정되되, 상기 하우징부의 저면에 대해 경사를 가지도록 위치된 바닥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저귀 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샤프트가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히터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 측면을 둘러싸되, 상기 임펠러부에 대응되게 위치된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저귀 처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200℃ 내지 400℃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저귀 처리 장치.
KR1020080088546A 2008-09-09 2008-09-09 폐기저귀 처리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32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546A KR101032756B1 (ko) 2008-09-09 2008-09-09 폐기저귀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546A KR101032756B1 (ko) 2008-09-09 2008-09-09 폐기저귀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867A KR20100029867A (ko) 2010-03-18
KR101032756B1 true KR101032756B1 (ko) 2011-05-06

Family

ID=4217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546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2756B1 (ko) 2008-09-09 2008-09-09 폐기저귀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7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254A (ja) * 1993-08-05 1995-02-21 Kyushu Sangyo:Kk 連結型加熱式撹拌混合機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産業廃棄物等の処理システム
JPH11643A (ja) 1997-06-13 1999-01-06 Baitaru:Kk 生ごみ処理乾燥装置
JP2000354849A (ja) * 1999-06-15 2000-12-26 Hanahata Yuatsu:Kk 生ゴミ処理機
KR200216349Y1 (ko) 2000-10-05 2001-03-15 주식회사가이아 직립식 나선형 임펠러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020016349A (ko) * 2000-08-25 2002-03-04 서평원 디이씨티 시스템의 무선지원보드 및 그 동기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254A (ja) * 1993-08-05 1995-02-21 Kyushu Sangyo:Kk 連結型加熱式撹拌混合機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産業廃棄物等の処理システム
JPH11643A (ja) 1997-06-13 1999-01-06 Baitaru:Kk 生ごみ処理乾燥装置
JP2000354849A (ja) * 1999-06-15 2000-12-26 Hanahata Yuatsu:Kk 生ゴミ処理機
KR20020016349A (ko) * 2000-08-25 2002-03-04 서평원 디이씨티 시스템의 무선지원보드 및 그 동기화 방법
KR200216349Y1 (ko) 2000-10-05 2001-03-15 주식회사가이아 직립식 나선형 임펠러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867A (ko)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9793A (en) Waste treatment control system
JP6061330B2 (ja) 吸収性衛生用品のリサイクルに用いる装置および処理方法
KR101293675B1 (ko) 감염성 폐기물의 분쇄 및 멸균장치
US20040141877A1 (en) Mobile apparatus and process for treating infectious waste
JPH04500765A (ja) 危険性医療廃棄物を処理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140047610A (ko) 폐기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4337622A (ja) 廃棄物の殺菌または消毒方法及び装置
KR102093508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2437474B1 (ko) 의료용 폐기물 분쇄 멸균장치
JP2007225181A (ja) 含水性廃棄物処理装置
KR101768887B1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 시스템
JP2006272203A (ja) 使用済み紙おむつの処理装置
KR100229597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032756B1 (ko) 폐기저귀 처리 장치
KR102077517B1 (ko) 친환경 밀폐 이동형 잉여 및 폐기 농수산물 분쇄 처리장치
JP4045316B2 (ja) 使用済み紙おむつ処理装置及び発酵処理装置
KR101169711B1 (ko) 살균 건조장치
KR101947448B1 (ko) 구제역 및 ai의 사체 처리 및 매몰지 토양 복원 플랜트 장치
KR20090030394A (ko) 업소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4286078U (zh) 基于摩擦热对医疗废弃物消毒灭菌的装置
KR10182697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응축장치
KR20060085847A (ko) 의료용 폐기물 처리장치
KR20090030395A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81987Y1 (ko) 의료용 폐기물 처리장치
JP2004359875A (ja) 医療関係廃棄物を固形燃料化する方法及びそのプラ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