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2242B1 - 동적 다중-모드 서비스 포착 기능을 구비한 가입자국 - Google Patents

동적 다중-모드 서비스 포착 기능을 구비한 가입자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242B1
KR101032242B1 KR1020047018301A KR20047018301A KR101032242B1 KR 101032242 B1 KR101032242 B1 KR 101032242B1 KR 1020047018301 A KR1020047018301 A KR 1020047018301A KR 20047018301 A KR20047018301 A KR 20047018301A KR 101032242 B1 KR101032242 B1 KR 101032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station
mode
current mode
time
acqui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0534A (ko
Inventor
제임스에이. 허친슨
로템 쿠퍼
파울티. 윌스암슨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00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24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입자국에 동적 다중-모드 서비스 포착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입자국은 둘 이상의 동작 모드들로 동작할 수 있다. 상태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은 가입자국이 활성 및 비활성 상태들을 가지는 현재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표시된다. 이에 응답하여, 시스템은 현재 동작 모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또다른 동작 모드에 따라 통신 서비스들의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을 시도한다.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 시도는 가입자국이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비활성 상태내에 있는 동안 개시되고 가입자국이 상기 현재 동작 모드에서 상기 활성 상태로 다시 전이하기 이전에 종료되도록 스케줄링된다. 상기 포착 시도가 성공적이면, 가입자국은 적절한 등록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동작 모드로 전환한다. 만약 성공적이지 못하면, 가입자국은 상기 저장된 상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서의 동작을 재개한다.

Description

동적 다중-모드 서비스 포착 기능을 구비한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WITH DYNAMIC MULTI-MODE SERVICE ACQUISITION CAPABILITY}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분야들, 즉 서비스 포착(acquisition) 및 다중-모드(multi-mode) 가입자국들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가입자국에서 동적 다중-모드 무선 통신 서비스 포착 기능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세계적으로 사용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다중-접속 모드들 또는 프로토콜들이 특정 지리적인 영역에서 다수의 가입자들이 동시에 사용가능한 한정된 주파수 스펙트럼에 액세스하도록 하기 위해 출현하였다. 상기 모드들 또는 프로토콜들의 예는 AMPS, CDMA, GSM, 및 UMTS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모드들 중 서로 다른 모드를 따르는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세계적으로 출현하고 있다. 상기 시스템들 중 다수는 분리된 커버리지 영역들을 가지고 다수는 중첩된 커버리지 영역들을 갖는다. 상기 시스템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의 가격과 품질은 서로 다를 수 있고 종종 서로 다르다. 따라서, 중첩된 커버리지 영역으로의 가입자 로밍은 가격 및 품질과 관련하여 상기 가입자에게 최적인 커버리지 영역 내의 시스템에 액세스하는 장점을 가질 수 있지만, 상기 시스템은 현재 가입자국이 구성된 모드와는 다른 동작 모드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가입자국은 가입자의 홈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모드로 사전-구성되어 다른 동작 모드들을 처리하도록 동적으로 재-구성될 수 없거나, 만약 가능하더라도 매우 한정된 개수의 다른 모드들, 예를 들면, CDMA 대 AMPS, 또는 WCDMA 대 GSM으로 동적으로 스위칭될 수 있고 만약 시도된 전환이 성공적이지 않거나 이전 모드가 우선하는 모드이고 이전 모드를 따르는 서비스들이 이후에 이용가능하게 된다면 이전 모드로의 원활한 복귀, 즉 서비스에서 상실(lapse) 없는 복귀를 허용하는 상태 정보를 유지하지 못한다. 또한, 가입자에 의한 능동적인 개입이 또 다른 모드로 스위칭하기 위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CDMA 및 GSM 동작 모드들 사이 또는 WCDMA 및 CDMA 동작 모드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가입자국은 현재 사용 불가능하다. 그 결과 다수의 가입자들은 단일 가입자국으로부터의 가격 및/또는 품질과 관련하여 가입자에게 최적인 무선 통신 서비스들에 액세스할 수 없다.
완전히 통합된 네트워크들은 인접하는 시스템들 및 그들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하여 가입자국에 지시한다. 부분적으로 통합된 네트워크들의 경우, 네트워크는 가입자국이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시스템들이 존재하는 지의 지시를 전송할 수 있지만, 이들을 어디서 발견할 것인지 또는 이들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지시를 반드시 전송하지는 않는다. 일부 시스템들은 통합되지 않으며 가입자국이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시스템들이 존재하는지에 관한 지시를 제공하지 않는다. 미약하거나, 불명한 지시들, 및 CDMA의 존재를 지시하지 않는 GSM 또는 WCDMA와 같은, 그러한 어떤 지시도 제공하지 않는 시스템들의 결과로, 다중-모드 가입자국들은 더 바람직한 서비스 모드들에 대한 검사에 이용되는 시스템을 종종 떠나야만 한다. 이는 상기 가입자국이 더 바람직한 시스템, 또는 시스템들을 찾는 동안 서비스에 있어서의 손실(lapse)들을 야기한다. 이러한 상실들은, 상기 서비스 상실 동안의 호의 확률에 직접 비례하는, 불명(missed) 호(call)들을 초래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한 시스템이 발견되지 않을 때, 상기 가입자국은 이전의, 덜 바람직하지만, 이용가능한, 시스템으로 복귀한다. 서비스의 상실들은 일반적으로 다소 드물게, 예를 들어 매 3분마다 체크함으로써 최소화된다.
WO02/37874(A1)은 무선 전화가 대안적인 무선 전화 시스템들에 대한 스캔을 허용하는 방법으로서, 무선 전화 시스템에 무선 전화를 등록하는 제1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기재하는데, 여기서, 각각의 셀룰러 무선 전화 시스템은 대응하는 지리적 영역 내에 있으며, 각각의 셀은 페이징 및 음성 통신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갖는다. 다음 단계는 대안적 기술의 스캐닝이 무선 전화에 대해 이네이블되었는지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 기술의 스캐닝이 디스에이블되면, 무선 전화는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무선 전화로 어드레싱된 페이징 메시지들을 응답확인한다. 대안적 기술의 스캐닝이 이네이블되면, 기지국이 무선 전화로 어드레싱된 임의의 페이징 메시지들을 반복하는 동안 무선 전화는 대안적 기술을 스캐닝하고 무선 전화로 어드레싱된 페이징 메시지들에 대해 무선 전화로부터의 확인 응답의 부재를 무시한다.
WO99/17475(A1)은 대안적 시스템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가 임의의 만족할 만한 동작을 취하지 않고는, 호 발신 시도를 완료하기 불가능할 경우, 대안적인, 이용가능한 시스템으로 자동으로 끊김 없이 스위칭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기재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우선적인 통신 시스템들의 리스트를 저장한다. 이동국은 역방향 링크의 실패시, 이러한 바람직한 통신 시스템들 중 하나를 포착하기 위해 시도한다.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으면, 이동국은 서비스를 제공할 가능성이 가장 큰 통신 시스템을 포착하려고 시도한다. 이러한 시도가 또한 성공적이지 않으면, 이동국은 현재 통신 시스템의 포착을 재시도한다. 이동국은 또한 미리 결정된 유휴 시간 이후 우선적인 통신 시스템들 중 하나에 대한 포착을 재시도한다.
US5020093(A)은 듀얼 대역폭 수신기를 갖는 송수신기, 듀얼 제어 프로그램들을 갖는 오디오/로직 유닛, 및 핸드셋 유닛을 포함하는 고유한 듀얼 시스템 셀룰러 전화를 기재한다. 송수신기의 듀얼 대역폭 수신기는 자신의 중간 주파수 부분에 상이한 필터들을 갖는데, 이들은 어느 셀룰러 시스템이 이용가능한지에 따라 스위칭가능하게 선택된다. 서비스가 셀룰러 전화 시스템들 중 하나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으면, 고유한 전화는 수신기 대역폭 및 다른 셀룰러 전화 시스템에 대해 동작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스위칭한다.
WO98/10617(A1)은 다중 모드 셀룰러 전화와 같은 무선 사용자 단말(10)을 기재하는데, 사용자 단말은 적어도 3개의 주 제어 시스템들, 특히 1차 시스템 제어기, 2차 시스템 제어기 및 다중 모드 제어기를 포함한다. 다중 모드 제어기는 1차 시스템과 2차 시스템 사이에서 양방향으로 단말의 상태를 자동으로 스위칭하기 위해 1차 및 2차 시스템 제어기들과 제어 메시지들 및 상태 메시지들을 양방향으로 교환할 수 있다.
WO01/62034(A1)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에 대한 스캐닝 방법을 기재하는데, 이는 스캐닝될 주파수 대역들을 선택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의 현재 위치를 이용한다. 이동 단말은 각각의 영역 정의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 및 영역 정의들을 포함하는 강화된 데이터 베이스 포함한다. 스캐닝 절차가 개시될 때, 이동 단말은 자신의 현재 위치를 데이터 베이스의 영역 정의들과 비교하여 스캐닝될 주파수 대역들을 결정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은 선호되는 서비스 제공자가 예상되는 주파수 대역을 우선 스캐닝한다.
EP0781064(A2)는 모든 이용가능한 네트워크들(즉, 모든 공용, 주거 및 사설 네트워크들)의 단말의 우선적인 리스트를 유지하는 이동국을 기재한다. 그 다음 다양한 네트워크들에 대한 액세스는 사용자의 필요들에 기초한다. 제1 타입의 액세스는 사용자 참여를 거의 또는 전혀 요구하지 않는 자동 액세스이다. 제2 타입의 액세스는 사용자 특정 네트워크이다. 제3 타입의 액세스는 네트워크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되는 사용자 특정 서비스(예를 들어, 데이터, 팩스, 이메일 등)이다. 이동국은 추가의 네트워크들을 탐색할 수 있고, 특정 타입의 서비스만을 지원하는 추가의 네트워크들을 탐색하거나 리스트에서 이미 있는 네트워크들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탐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일의 우선 네트워크 리스트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모든 네트워크들이 일단 탐색된다.
본 발명은 가입자국에서 동적 다중-모드 서비스 포착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입자국은 둘 이상의 동작 모드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에서 정의된다.
시스템은 가입자국이 활성 및 비활성 상태들을 가지는 현재의 동작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상태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을 지시하는 제 1 로직을 포함한다. 활성 상태에서, 가입자국내의 수신기는 가입자국이 통신 시스템을 청취할 수 있도록 파워 업(power up)된다. 비활성 상태에서,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가입자국의 수신기는 파워 다운(power down)되고 가입자국은 통신 시스템을 청취할 수 없다.
시스템은 또한, 상태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을 나타내는 제 1 로직에 응답하여 현재의 동작 모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또 다른 동작 모드에 따라 통신 서비스들의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을 시도하는 제 2 로직을 포함하며,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은 가입자국이 현재의 동작 모드에서 비활성 상태에 있는 동안 개시되고 가입자국이 현재의 동작 모드에서 활성 상태로 다시 전이하기 이전에 종료되도록 스케줄링된다.
만약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 시도가 성공적이면, 시스템은 가입자국이 현재의 동작 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중단하고 다른 동작 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한다. 만약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으면, 시스템은 저장된 상태정보를 사용하여 가입자국이 현재의 동작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다시 시작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시스템들, 방법들, 특징들 및 방법들은 하기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모든 추가의 시스템들, 방법들, 특징들, 및 장점은 상기 설명내에 포함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다.
도면내의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스케일링되고,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하는 대신에 강조될 필요는 없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서로 다른 도면에서 일치하는 부분들을 지정한다.
도 1은 가입자국에서 동적 다중-모드 서비스 포착 기능을 제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간략화된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도 2A는 GSM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가입자국에서 활성 상태와 비활성 상태들사이의 전이들의 일 예를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2B는 CDMA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가입자국에서 활성 상태와 비활성 상태들사이의 전이들의 일 예를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3은 CDMA 시스템에서 파일럿 신호로부터 유도된 상관 함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가입자국에 대한 동적 다중-모드 서비스 포착 기능을 제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간략화된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도 5A는 우선 로밍 리스트에서 시스템 레코드의 예시적인 포맷을 도시한다.
도 5B는 우선 로밍 리스트에서 CDMA 시스템에 대한 포착 레코드의 예시적인 포맷을 도시한다.
도 5C-5D는 우선 로밍 리스트에서 PCS CDMA 시스템에 대한 포착 레코드의 예시적인 포맷들을 도시한다.
도 6은 가입자국에서 서비스들을 동적으로 포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간략화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대략(about)" 및 "실질적으로(substantially)"와 같은 용어들은 수학적인 정확성에서 약간의 여유를, 예를 들면, 값의 1% 부터 20%까지의 범위(들)에서 임의의 값만큼 "대략 " 또는 "실질적으로" 변경된 값으로부터의 임의의 상위 편차 또는 하위 편차와 같은 교환시 수용가능한 허용오차들을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로직"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체화되는 구현들을 설명한다. 또한, 용어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가능한 일련의 명령들이 저장될 수 있는 RAM, ROM, EPROM, PROM, EEPROM,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CD-ROM, DVD 등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프로세서-판독가능한 매체를 설명한다.
용어 "프로세서"는 일련의 명령들을 수행하는데 응답하여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설명하며, 범용 또는 특수 용도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한 상태 기계, 제어기 또는 컴퓨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로 하여, 가입자국(106)에 동적 다중-모드 서비스 포착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110)의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 가입자국(106)은 둘 이상의 동작 모드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시스템(110)은 가입자국(106)이 활성 및 비활성 상태들을 가지는 현재의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상태(condition)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을 나타내기 위한 제 1 로직(102)을 포함한다. 활성 상태에서 가입자국(106)내의 수신기는 가입자국이 통신 시스템을 청취할 수 있도록 파워업(power up)된다. 비활성 상태에서,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가입자국(106)내의 수신기는 파워다운(power down)되며 가입자국은 통신 시스템을 청취할 수 없다.
또한 시스템(110)은 상태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을 나타내는 제 1 로직(102)에 응답하여 현재 동작 모드에 대한 상태(state) 정보를 보유하는 제 2 로직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태 정보는 서비스에서 상당한 상실(lapse)없이 현재 동작모드로 복귀하기에 충분해야하고 현재 모드에 대한 시간 또는 시간 기준, 현재 모드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변수들, 및/또는 다른 모드를 찾아간 이후에 현재 동작 모드로 복귀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로직(104)은 또다른 동작 모드에 따라 통신 서비스들의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을 시도하며, 부분적인 포착 시도는 가입자국(106)이 현재의 동작 모드에서 비활성 상태에 있는 동안 개시되고 가입자국(106)이 현재의 동작 모드에서 활성상태로 다시 전이하기 이전에 종료되도록 스케줄링된다.
시스템(110)은 제 3 로직(108)을 포함한다. 만약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 시도가 성공적이면, 제 3 로직(108)은 가입자국(106)이 현재의 동작 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중단하고 다른 동작 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한다. 만약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 시도가 성공적이지 못하면, 제 3 로직(108)은 저장된 상태 정보를 사용하여 가입자국(106)이 현재의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다시 시작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둘 이상의 모드들은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를 포함하며, 제 1 모드는 GSM 모드이고 제 2 모드는 CDMA 모드이다. 공지된 것과 같이, GSM 모드에서 가입자국은 주기적으로 활성 및 비활성 상태들 사이에서 전이한다. 예를 들면, 유휴 가입자국은 일반적으로 페이징 그룹에 할당되고, 상기 그룹내의 스테이션들로의 페이지들은 통상 GSM 제어 멀티-프레임의 지속기간인 235.4ms 시간 주기내의 미리 결정된 시간 슬롯동안 동보된다. 상기 타임 슬롯 동안, 가입자국은 페이지가 가입자국으로 향하는 경우에 수신기를 턴 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어-멀티프레임의 잔여 지속기간 동안, 가입자국은 수신기를 턴오프할 수 있고 따라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다. 이러한 상황이 도 2에 도시되고, 여기서 가입자국이 활성인 타임슬롯들은 도면부호들(202a, 202b, 202c)로써 식별된다. 전술된 것과 같이, 상기 타임 슬롯들은 서로 제어 멀티프레임의 시간 주기 T, 즉 235.4만큼 떨어져서 이격된다.
본 구현에서, 제 1 로직(102)은 가입자국이 GSM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의 상태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을 검출한다. 상태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의 지시는 예를 들면, 타이머의 종료, 사용중인 시스템의 신호 강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이하로 떨어졌는지의 결정 및/또는 후보 시스템의 신호 강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또는 사용중인 시스템의 신호 강도를 초과하는지의 결정, 또는 다른 동작 모드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커버리지 영역에 대한 가입자국의 근접성(proximity)을 포함하는 다양한 메카니즘들을 통해 트리거될 수 있다.
만약 근접성 검출에 기초하여 상태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을 지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가입자국은 GPS, AFLT, 또는 하이브리드 수신기를 구비할 수 있고, GPS 위성들, 기지국들 또는 섹터들, 또는 GPS 위성들과 기지국들 또는 섹터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가입자국에 가시적인 알려진 위치들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기준 소스들로부터 전송된 파일럿 신호들을 통해 가입자국에 의해 유도된 도착 시간의 측정값들로부터 위치를 결정(또는 위치 결정 객체가 위치를 결정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위치 추정시 다양한 정확도가 가능하다. 만약 가입자국의 정확한 위치가 요구되면, 4개 이상의 서로 다른 기준 소스들로부터의 4개 이상의 도착 시간 측정치들이 요구될 수 있다. 그러나, 정확도가 덜 요구되면, 4개 미만의 측정치들로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개의 측정치들은 가입자국과 기지국 또는 섹터간의 거리를 결정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기지국 또는 섹터의 알려진 위치와 연관된 상기 정보는 근접 검출에 충분할 수 있다.
그러나, 가입자국의 위치가 결정되면 가입자국은 어떠한 정확도에서도 자신의 위치와 다른 동작 모드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커버리지 영역을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입자국은 통신 서비스들을 포착하기 위해 가입자국에 의해 사용될 있는 가능한 시스템들의 커버리지 영역들을 나타내는 지리적인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 및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두 가지가 충분히 인접하면, 상태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이 트리거되거나 지시될 수 있다. 다른 예들이 가능할 수 있고, 전술된 것 중 어느 것도 제한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상태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의 발생은 가입자국에 의한 과도한 전력 소모를 피하기 위해 충분히 이격되어야 한다. 특히, 통신 디바이스들의 포착 시도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면, 가입자국의 수신기를 파워업하고 활성 상태에 재진입할것을 요구한다. 만약 상기 발생들간의 간격이 매우 인접하면, 후속하는 탐색들은 과도한 양의 전력을 소모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를 참조로하여, 상태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의 발생들은 상기 문제를 피하기에 충분하게 이격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면, 가입자국이 비활성 상태로 전이할 때마다 상태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을 지시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타당하다.
제 1 로직(102)에 의해 상태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의 지시에 응답하는 제 2 로직(104)은 서비스의 상당한 손실없이 GSM 동작 모드로 복귀하기에 충분한 상태(state) 정보를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상태 정보는 GSM 시간 기준과 같은 타이밍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제 2 로직(104)은 가입자국(106)이 GSM 동작 모드에서 활성 상태로부터 비활성 상태로 다시 전이하도록 스케줄링될 때까지의 시간을 결정한다. (가입자국(106)은 제 2 로직(104)이 결정을 수행할 때 비활성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가정). 도 2A를 참조로 하여, 예를 들어, 제 2 로직(104)이 시간(204)에서 상태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에 응답하면, 활성 상태로 다시 전이하도록 다음 스케줄링될 때까지 남아있는 시간은 X라고 결정한다.
상기 잔여 시간 X에 응답하여, 제 2 로직(104)은 하나 이상의 탐색 또는 포착 파라미터들이 시도될 CDMA 서비스들의 후속하는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을 제어하는지를 결정한다. 하나 이상의 탐색 또는 포착 파라미터들은 시도될 CDMA 서비스들의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이 GSM 동작 모드에서 활성 상태로 다시 전이하도록 스케줄링되기 이전에 종료될 수 있도록 결정된다. 상기 결정은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이 GSM 동작 모드와 관련하여 투명하게 발생하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구현을 수행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CDMA 서비스들의 완전한 포착은 달성에 일반적으로 5-30초를 요구한다. 그러나, 가입자국이 다시 활성상태로 전이하도록 스케줄링될 때까지 사용가능한 시간 주기는 GSM 동작 모드에서 일반적으로 약 수백 밀리초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가능한 시간에서 CDMA 서비스들의 전체 포착을 시도하기에 시간이 불충분하며, 오직 부분적인 포착만이 시도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IS-95A를 따르는 시스템에서, 시스템 포착은 두가지 서브상태들, 파일럿 채널 포착 서브상태(가입자국은 여기서 CDMA 시스템에서 파일럿 채널을 포착함), 및 이에 후속하는 동기 채널 포착 서브상태(가입자국이 여기서 동기 채널 메세지를 포착함)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 시도는 파일럿 포착 서브상태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것과 유사한 간략한 파일럿 포착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스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간략한 프로세스에 따라, 가입자국은 먼저 CDMA 시스템의 파일럿 채널을 튜닝하고 CDMA 시스템내의 기지국들 또는 섹터들 중 하나에 의해 전송되는 파일럿 신호를 결정하는 것을 시도한다. 이는 수신된 신호와 쉬프트된 버전의 식별 코드를 반복하여 상관시킴으로써 수행되며, 식별 코드의 각각의 쉬프트는 CDMA 시스템내의 기지국 또는 섹터를 고유하게 식별한다. 코드내의 각각의 쉬프트에 대하여, 가입자국은 적분 시간 I에 걸쳐서 쉬프트된 코드와 수신된 신호 사이의 상관을 결정한다. 상기 프로세스는 코드내에서 쉬프트를 변경하는 동안 성공적으로 반복된다. 상관 결과 값들은 상관 함수를 한정하는 쉬프트값들과 연관될 수 있다. 만약 상관 결과의 함수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식별코드 내의 쉬프트에 상응하는 파일럿 신호가 검출된 것으로 간주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된 신호 S의 각각의 샘플은 동상(I) 및 직교(Q) 성분들을 가지는 복소수이며, 신호 S는 파일럿 신호(및 파일럿 신호가 발생하는 기지국 또는 섹터)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PN 코드의 쉬프트된 버전으로 각각 변조된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입자국 내의 상관기는 먼저 사용되는 PN 코드내의 쉬프트 s에 따라 결정되는 상관값 C을 결정한다. 상기 상관값은 코히어런트(coherent)할 수, 즉 위상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상관값은 복소수이며,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4052551028-pct00001
(1)
상기 N은 칩들과 관련된 (코히어런트) 적분 시간이며, S(i)는 수신된 신호의 샘플들이고, k는 임의의 시작 시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적분 시간 I은 코히어런트 적분 시간 N이다.
제 2 실시예에서, 상관기는 실수이고 논-코히어런트하게(non-coherently) 유도되는, 즉 위상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상관값 C을 결정하며, 각각 N개의 칩들에 걸쳐서 수행되는 M개의 연속하는 코히어런트 적분들을 결합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관값 C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4052551028-pct00002
(2)
상기 실시예에서, 적분 시간 I은 N과 M의 적(product)이다.
테스트되는 쉬프트 s의 범위는 탐색 윈도우 W이다. W 값들 C(PN,s)은 상관 함수 F(PN,s)를 형성하며, 이는 원하는 탐색 윈도우 W에 걸쳐서 신호 S와 PN 코드의 쉬프트 s(쉬프트 s는 칩들과 관련하여 표현된다)사이의 상관 정도를 나타낸다. PN 코드가 수신된 신호에서 반복하여 변조될 때, 상관 함수 F(PN,s)는 주기적이다.
도 3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일럿 신호에 대한 상관 함수 F(PN,s)의 일 예를 도시한다. 상기 예에서 윈도우 크기(칩들의 표현으로)는 8이고 윈도우는 원점(306)을 중심으로 위치되도록 가정된다. 수평축(302)은 PN 코드의 쉬프트(칩들로 표시됨)를 나타내고 수직축(304)은 상관 함수 F(PN,s)(에너지(dB)로 표시됨)를 나타낸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예에서 함수의 피크(308)는 원점(306)에 위치된다.
만약 상관 함수의 피크(308)값이 충분히 크고 잡음 및 다른 왜곡들(다중 경로 또는 가시거리의 부족)과 충분히 구별가능하여 오류의 위험이 적절한 레벨로 감소되면, 성공적인 측정치가 획득된다.
전술된 설명으로부터, 상기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몇가지 파라미터들, W(윈도우 크기), N(코히어런트 적분 시간), 및 M(논-코히어런트 적분 시간)은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 프로세스가 발생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이다. 다시말해서, 윈도우 크기 W, 코히어런트 적분 시간 N, 및 논-코히어런트 적분 시간 M이 클수록 일반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 프로세스는 더 오래걸린다. 따라서, 상기 구현시 제 2 로직(104)은 포착 시도 프로세스가 GSM 동작 모드에서 가입자국이 활성 상태로 복귀할 때까지 사용가능한 시간 내에서 발생하도록 상기 파라미터들을 세팅시킬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관 함수의 피크의 에너지 레벨이 제 3 로직(108)에 제공되며, 상기 정보로부터 포착 시도가 성공적이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전술된 것과 같이, 일 실시예에서, 포착 시도는 상관 함수의 피크의 에너지 레벨이 미리 결정된 레벨을 초과하면 성공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더 빠르지만 신뢰성이 떨어지는 구현은 상관되지 않은 에너지 레벨(RSSI)이 미리 결정된 레벨을 초과하면 포착 시도가 성공적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상기 기술들은 요구되는 신뢰성과 포착을 시도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기초하여 조합되거나 선택될 수 있다.
포착 시도가 성공적이면, 상기 구현에서 제 3 로직(108)은 가입자국이 GSM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중단하고, CDMA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들의 포착을 종료하고 CDMA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시도하도록 한다.
일 구성에서, 이는 가입자국이 GSM 시스템으로부터 등록-해제(de-register)하고 CDMA 시스템(CDMA 시스템의 SID를 포착하기 위해 CDMA 시스템의 동기 채널로부터 동기 채널 메세지 및 시스템 타이밍을 포착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정보를 포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에서 서비스들의 포착을 종료하고, CDMA 시스템과 동기화시키고, CDMA 시스템 정보에 의해 관리되면 CDMA 시스템에 등록하도록 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구성에서, 가입자국이 두개의 시스템을 혼동하거나 하나의 시스템을 트리거하여 부적절한 상태를 잘못 검출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CDMA 시스템을 등록하기 이전에 GSM 시스템으로부터 등록해제하는 것은 중요한 것으로 간주된다.
다른 구성으로, 상기 포착 시도가 성공적이라면, 제 3 로직(108)은 가입자국으로 하여금 CDMA 동작 모드로의 전이를 위한 목적으로 하드 또는 소프트 핸드오프 절차들을 개시하게 한다. 본 구성에서, 상기 가입자국이 핸드오프가 발생 중인 동안 GSM 및 CDMA 시스템들 모두에 공동으로 등록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가입자국은 GSM 동작 모드로부터 CDMA 동작 모드로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CDMA 동작 모드로부터 GSM 동작 모드로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특히, CDMA 동작 모드에서, 슬롯화된 페이징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가입자국은 페이징 사이클 마다 하나의 간격동안의 페이징 메세지들의 페이징 채널을 감시해야만 한다. 페이징 사이클의 지속기간은 일반적으로 1.28초부터 163.84초까지의 범위가 될 수 있고, 2ix1.28초로 표현될 수 있는 시스템 파라미터이며, 상기 인덱스 i는 0부터 7까지의 범위이다. 상기 인덱스 i는 슬롯 사이클 인덱스로 참조된다. 고속 페이징 채널(Quick Paging Channel)을 사용하는 CDMA 시스템들은 가입자국이 다음 간격에서 메세지들을 청취해야만 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최적으로서 슬롯 활동도 지시(slot activity indication)들을 갖는다. 고속 페이징 채널은 유사한 비활성 주기들을 포함하는 주기적인 지시를 제공한다.
가입자국은 단지 페이징 사이클내의 인터벌동안 메세지들을 페이징하는 것을 청취하면 된다. 남아있는 페이징 사이클 부분에서, 가입자국은 수신기를 파워다운하여 비활성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상태는 가입자국이 활성 상태에서 계속되는 동안의 시간 주기들(206a, 206b, 206c)을 도시한다. 페이징 사이클 T의 나머지 부분동안, 가입자국내의 수신기는 파워다운될 수 있고 가입자국은 비활성 상태가 될 수 있다.
상태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이 지시될 때나 지시된 이후에, 가입자국이 비활성 상태내에 있는 동안, 제 2 로직(104)은 가입자국이 서비스에 상당한 손실 없이 CDMA 동작 모드로 복귀하기에 충분한 상태 정보를 다시 저장할 수 있고 가입자국이 다시 활성 상태로 전이하도록 스케줄링될때까지 남아있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고 그에 응답하여 상기 시도가 상기 전이 이전에 완료되도록 스케줄링되도록 포착 시도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들이 결정되면, 제 2 로직(104)은 포착 시도를 개시할 수 있다.
그러나, GSM 동작 모드로부터의 전이와는 대조적으로, 페이징 사이클로 인해 GSM 서비스들의 포착을 완료하는데 충분한 시간이 주어질 수 있고, 따라서 포착 시도를 위해 걸리는 시간은 GSM 서비스를 포착하기 위해 요구되는 일반적인 시간 이상인 163.84초까지의 지속기간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CDMA 동작 모드로 변환할 때 GSM 서비스들의 완전한 포착을 시도할 수 있다.
포착 시도동안 수행될 수 있는 임의의 작업들은 가입자국의 국부 발진기를 GSM 시스템 내의 기지국 트랜시버의 주파수 기준으로 동기화시키기 위해 주파수 정정 채널(FSSH)을 사용하고, 동기화 채널(SCH)로부터 타이밍 정보를 포착하고 GSM 프레임 및 멀티프레임 타이밍 구조로 가입자국을 동기화시키고 동보 제어 채널(BCCH)을 통해 기지국 트랜시버에 의해 동보되는 다른 중요한 시스템 정보를 포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만약 포착 시도가 성공적이면, 이전과 같이, 제 3 로직(108)은 가입자국이 CDMA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중단하고 GSM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한다. 일 구성에서, 상기 작업들은 CDMA 시스템으로부터 등록해제하고, 만약 필요하면 GSM 시스템으로부터의 서비스들의 포착을 완료하고, GSM 시스템에 등록함으로써 수행된다. 또다른 구성에서, 상기 작업들은 CDMA로부터 GSM 시스템으로의 하드 또는 소프트 핸드오프 절차들을 개시함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현하는 다중-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구현예가 도 4에 도시된다. 상기 특정 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수행하기 위한 CPU(402); 소프트웨어 명령들과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메모리(404); 영구 저장장치(406); 일반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부분으로 제공되는 키패드(408)와 디스플레이(410); 일반적으로 음성을 송수신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사용을 지원하도록 제공되는 마이크로폰(412)과 스피커(414); 다중-모드들에서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정보를 수신 및 전송할 수 있는 무선 트랜시버(Tx/Rx:416); 음성 또는 데이터와 같은 베이스밴드 정보를 RF 캐리어상으로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RF 캐리어를 복조하여 베이스밴드 정보를 포착하기 위한 모뎀(418); 및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변조된 RF 캐리어를 전송하고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변조된 RF 캐리어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422)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서 표준 아이템들이며 추가로 설명될 필요는 없다.
상기 특정 구현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1x, 1xEV, AMPS, CDMA, GSM, TDMA, 및 WCDMA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각각 선택되는 서로 다른 모드들인 제 1 및 제 2 동작 모드들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구현예에서, 제 1, 제 2, 및 제 3 로직(102, 104, 106)의 기능들은 이미 설명되었고 도 6과 관련하여 이후에 논의될 것이며, 도 4의 CPU(402)에 의해 소프트웨어 수행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메모리(404), 영구 저장장치(406) 또는 두가지 모두에 저장된 일련의 명령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영구 저장장치(406)는 다수의 모드들에서 무선 통신 서비스들을 포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규정(provisioning) 정보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SIM 카드와 조합된 비휘발성 EEPROM과 같은 디바이스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규정 정보는 우선 로밍 리스트(PRL), CDMA 시스템들 및 CDMA 시스템들내의 네트워크들을 식별하는 시스템 ID, 네트워크 ID 쌍들(SID, NID)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CDMA 구성 및 각각의 SID, NID 쌍에 대하여 SID, NID쌍에 의해 규정되는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을 나타내는 지리적인 표시자, 리스트내의 다른 시스템들 또는 네트워크들과 관련하여 SID, NID 쌍에 의해 규정된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 주어지는 우선순위의 표시자, 또는 SID, NID 쌍에 의해 규정된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가 우선되지 않는 표시자, 및 SIM, NID쌍에 의해 규정된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의 포착을 시도할 때 사용될 주파수 또는 채널들을 포함한다. 상기 규정 정보는 또한 가장 최근에 사용된(MRU) 리스트, 즉 가입자에 의해 가장 최근에 사용된 시스템들 또는 네트워크들을 규정하는 SID, NID 쌍들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예에서, 우선 로밍 리스트(PRL)는 1xEV 서브넷 ID 뿐만 아니라 이를 대신해서 CDMA 시스템내의 CDMA 시스템들 및 네트워크들을 식별하는 시스템 ID, 네트워크 ID 쌍들(SID, NID)을 사용하는 레코드(recor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공중인 정보는 또한 가장 최근에 사용된(MRU) 리스트, 서브넷 ID들의 리스트 뿐만 아니라 이를 대신해서 가입자국에 의해 가장 최근에 사용된 시스템들 또는 네트워크들을 규정하는 SID, NID쌍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서브넷 ID들 및 SID, NID쌍들에 대한 MRU 객체들은 각 모드에 대하여 하나씩 두개의 리스트들로 구분될 수 있다.
또다른 예에서, 우선 로밍 리스트(PRL)는 PLMN 또는 PLMN+LAC 그룹(모두 하기에서 설명됨) 뿐만 아니라 이를 대신해서 GSM 시스템들내의 GSM 시스템들과 네트워크들을 식별하기 위해 1xEV 서브넷 ID들 또는 시스템 ID, 네트워크 ID 쌍들(SID, NID)을 사용하는 레코드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규정 정보는 전술된 것과 같이 가장 최근에 사용된(MRU) 리스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규정 정보는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 리스트, PLMN들의 리스트, 즉, 국가들 및 국가들의 GSM 네트워크들을 식별하는 이동 국가 코드, 이동 네트워크 코드쌍(MCC, MNC) 및 각각의 MCC, MNC쌍에 대하여 MMC, MNC쌍에 의해 규정되는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을 표시하는 지리적인 표시자, 리스트내의 다른 시스템들 또는 네트워크들과 관련하여 MMC, MNC 쌍에 의해 규정되는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 제공되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표시자. 또는 MCC, MNC쌍에 의해 규정되는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가 우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표시자를 포함하는 GSM 구성, 및 상기 쌍들에 의해 규정되는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들의 포착을 시도할때 사용되는 주파수들 또는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규정 정보는 가입자에 의해 현재의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와 비교하여 선호되는 포착을 위해 후보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CPU(402)에서 실행하는 프로토콜 스택 및 후보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서비스들의 포착 시도시 채택되는 포착 파라미터들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상태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이 검출되면, 프로토콜 스택이 현재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을 중지하고 또다른 프로토콜 스택이 다른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으로부터의 서비스들의 포착을 시도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호출될 수 있다. 논의된 것과 같이, 포착 시도시 사용될 탐색/포착 파라미터들은 이전의 동작 모드에서 후속 스케줄링된 활성 상태로의 전이 이전에 시도가 완료되도록 결정된다. 이는 포착이 시도되는 것이 이전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 투명하게 하여 준다.
일 실시예에서, 우선 로밍 리스트는 시스템 레코드(System Record)들의 정렬된 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레코드들의 각각은 도 5A에 도시된 포맷을 갖는다. 본 레코드에서, SID 필드는 상기 레코드와 관련된 시스템의 15비트 시스템 식별자이고, 값 '000000000000000'은 임의의 SID와 매칭되어 SID 와일드카드로 기능한다.
NID_INCL 필드는 시스템 레코드가 NID 필드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1비트 필드이다. 만약 상기 필드가 '1'로 세팅되면, 레코드는 NID 필드를 포함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필드는 '0'으로 세팅된다.
NID_INCL 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존재한다면, NID 필드는 상기 레코드와 관련되는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16비트 필드이다. 값 '1111111111111111'은 임의의 NID에 매칭되어 NID 와일드 카드로서 기능한다.
NEG_PREF 필드는 1비트 필드이고 가입자국이 레코드와 관련되는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와 동작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필드가 '1'로 세팅되면, 가입자국은 레코드와 관련되는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고 그렇지 않으면, '0'으로 세팅된다.
GEO 필드는 1-비트 지리적인 지역 표시자이다. 상기 레코드가 리스트에서 최초의 것이면, 필드는 '0'으로 세팅된다. 레코드가 리스트에서 최초 레코드가 아니고 상기 레코드와 관련된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는 이전 레코드와 관련된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와 동일한 지리적인 지역내에 있으면, 상기 필드는 이전 레코드의 GEO 필드와 동일한 값으로 세팅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필드는 이전 레코드의 GEO 필드의 값과 상호보완하도록 세팅된다.
PRI 필드는 1비트의 상대적인 우선순위 표시자이다. 만약 상기 레코드가 리스트에서 최초의 레코드가면, 상기 필드는 '0'으로 세팅된다. 만약 레코드가 리스트에서 최초 레코드가 아니고 상기 레코드의 GEO 필드의 값이 이전 레코드의 값과 서로 상이하면, 상기 필드는 '0'으로 세팅된다. 만약 레코드가 리스트에서 최초 레코드가 아니고 상기 레코드의 GEO 필드의 값이 이전 레코드의 값과 동일하며, 상기 레코드와 관련된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가 이전 레코드와 관련된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만큼 요망되면, 상기 필드는 이전 레코드의 PRI 필드로 세팅되고; 그렇지 않으면, 이전 레코드의 PRI 필드와 상호보완하는 것으로 세팅된다.
ACQ_INDEX 필드는 상기 레코드와 관련된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의 포착 파라미터들을 규정하는 포착 레코드의 6-비트 인덱스이다. 이러한 포착 레코드들의 포맷은 이후에 논의될 것이다.
ROAM_IND 필드는 NEG_PREF 필드가 '1'로 세팅될 때만 존재한다. 상기 필드는 존재한다면, 상기 레코드와 관련된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 대한 로밍 표시 값으로 세팅되는 3비트 필드이다. 만약 필드가 '000'으로 세팅되면, 가입자국이 로밍하고 있지 않으며 로밍 표시자는 오프인것으로 지시한다. 만약 필드가 '001'로 세팅되면, 가입자의 로밍 표시자는 온인것으로 지시한다. 만약 필드가 '010'으로 세팅되면, 로밍 표시자는 플래쉬(flash)중인 것으로 지시한다.
포착 레코드들의 가능한 포맷들의 몇가지 예들이 도 5B-5D에 도시된다. 도 5B는 셀룰러 CDMA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 대한 포착 레코드의 포맷을 도시한다. ACQ_TYPE 필드는 포착 레코드 타입을 나타내는 4비트 필드이다. 이 경우에, 레코드 타입은 '0010'으로 세팅되어, 셀룰러 CDMA를 지시한다.
A_B 필드는 2비트 필드이고, 레코드와 연관된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가 A밴드에 할당되었는지 B밴드에 할당되었는지를 나타낸다. 값 '00'은 A밴드를 규정하고 값'01'은 B밴드를 규정하며; 값 '11'은 A 또는 B 밴드중 하나를 규정한다.
PRI_SEC 필드는 제 1(primary) 또는 제 2(secondary) 채널 중 어느것이 우선하는지를 나타내는 2비트 필드이다. A밴드내의 제 1 채널은 283이고 A밴드내의 제 2 채널은 691이다. B밴드내의 제 1 채널은 384이고 B밴드내의 제 2 채널은 777이다. 값'00'은 제 1 채널이 우선하는 것을 나타내고; 값'01'은 제 2 채널이 우선하는 것을 나타내며; 값'11'은 제 1 또는 제 2 채널 중 하나가 우선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5C는 레코드가 하나이상의 주파수 블럭들을 규정하는 PCS CDMA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 대한 포착 레코드의 포맷을 도시한다.
ACQ_TYPE 필드는 포착 레코드 타입을 다시 규정하는 4비트 필드이다. 상기 경우에, 필드가 값 '0100'을 가지면 주파수 블럭들에 대해 PCS CDMA 포착 레코드를 나타낸다.
NUM_BLOCKS 필드는 포착 레코드에 포함된 PCS 주파수 블럭들의 갯수를 규정하는 3비트 필드이다.
BLOCK 필드는 PCS 주파수 블럭을 규정하는 3비트 필드이다. 상기 필드는 복제될 수 있고, 상기 필드가 발생하는 횟수는 NUM_BLOCK 필드의 값으로써 주어진다. 값 '000'은 A블럭을 규정하고; 값 '001'은 B블럭을 규정하고;값 '010'은 C블럭을 규정하고; 값 '011'은 D블럭을 규정하고; 값 '100'은 E블럭을 규정하고; 값 '101'은 F블럭을 규정하고; 값 '111'은 임의의 블럭을 나타낸다.
도 5D는 하나 이상의 CDMA 채널들을 규정하는 PCS CDMA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 대한 포착 레코드의 포맷을 도시한다.
ACQ_TYPE 필드는 값 '0101'로 세팅되며, 채널들과 관련하여 PCS CDMA 포착 레코드를 나타낸다.
NUM_CHANS 필드는 5비트 필드이며, 상기 레코드에 포함된 CDMA 채널들의 갯수를 나타낸다.
CHAN 필드는 PCS CDMA 채널 갯수를 나타내는 11비트 필드이다. 상기 필드는 복제될 수 있으며, 상기 필드가 발생하는 횟수는 NUM_CHANS 필드의 값으로써 주어진다.
MRU 리스트 및 PLMN 리스트들은 전술된 것들과 유사한 포맷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시스템이 다수의 지리적인 지역들에 걸치는(span) 경우에 PRL로부터 유도되는 대체 스캔 리스트(ASL)로 미리 공지된 대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현재의 시스템이 걸치는 모든 지리적인 지역들내의 더 우선하는 시스템들 또는 네트워크들과 관련된 레코드들의 결합을 포함한다.
도 4로 되돌아가서, (선택적인) 지리적인 데이터 베이스(424)는 하나 이상의 우선 로밍 리스트, MRU 리스트, 및 PLMN 리스트에 규정된 시스템들 또는 네트워크들의 커버리지 영역들을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정보는 상기 시스템들 또는 네트워크 중 하나의 커버리지 영역에서 가입자국의 근사도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번에는 상태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을 트리거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이전에 논의된 규정 정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SID, NID 쌍들, MCC, MNC쌍들 또는 MCC, MNC, LAC 그룹들에 상응하는 시스템들 또는 네트워크들의 커버리지 영역들의 지리적인 표시자들이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지리적인 데이터 베이스(424)는 본 규정 정보와 개별적인 데이터 베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구현시 지리적인 데이터 베이스(424)는 통신 서비스들의 포착을 위해 가입자국에 의해 접속가능한 시스템들 또는 네트워크들의 커버리지 영역을 나타내야만 한다.
상관기(420)는 다른 기능들 중 CDMA 시스템들을 포착하기 위해 제공된다. 주어진 PN 코드 쉬프트에 대해, 상관기는 한정(define)된 코히어런트 및 논-코히어런트 적분 시간들(N,M)에 따라 한정된 탐색 윈도우 W내의 상관 함수를 생성한다.
도 6을 참조로 하여, 가입자국에서 통신 서비스들을 동적으로 포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상기 방법은 명백하게 도 4의 가입자국에서 메모리(404) 및/또는 영구 저장장치(406)와 같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에 저장된 일련의 명령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단계(602)에서 시작되며, 다른 서비스에 대하여 스캔하기 위한 시간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단계는 가입자국이 현재 동작 모드내에 있는 동안 수행된다.) 만약 그렇다면, 단계(604)로 진행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방법은 단계(602)의 시작부로 다시 돌아간다.
단계(602)는 다양한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는 타이머 만료시 수행되며 여기서 발생들을 스캔하기 위한 시간 사이의 이격(spacing)이 충분하여 새로운 서비스들에 대한 포착 시도가 배터리 수명을 과도하게 소모시키지 않도록 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는 후보 시스템으로부터의 신호 강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 및/또는 사용중인 시스템으로부터의 신호 강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으로 떨어지는지의 여부 및/또는 후보 시스템으로부터의 신호 강도가 사용중인 시스템의 신호강도 보다 충분히 큰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3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는 가입자국의 위치와 새로운 서비스들에 대하여 스캔을 보장하는 후보 시스템의 커버리지 영역 사이가 충분히 인접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604)에서, 방법은 후보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를 결정하고 가입자국이 현재의 동작 모드내에 있는 동안 활성 상태로 다시 전이하도록 스케줄링되기 이전에 허용되는 주어진 가능한 시간인 스캔 타입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는 현재의 동작 모드에서 가입자국이 불활성 상태내에 있는 동안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후보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는 가입자의 우선순위들을 반영하는 규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일 예로서, 만약 새로운 시스템이 CDMA 시스템인 것으로 예측되면, 상기 단계는 탐색 윈도우 W 및 코히어런트 및 논-코히어런트 적분 시간들 N, M을 세팅함으로써 허용된 시간 내에 포착을 수행하기에 시간이 충분하도록 한다.
단계(604)로부터, 제어는 선택 단계(606)로 진행하며, 가입자국이 현재 동작 모드내에 있는 동안 활성 상태로 다시 전이하도록 스케줄링되기 이전에 스캔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단계는 단계(60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리던던트하여 선택사항이며, 이는 허용된 시간내에 스캔이 완료되도록 탐색 파라미터들을 세팅한다. 만약 수행되면, 상기 단계는 허용된 시간내에 스캔이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그렇다면, 제어는 단계(608)로 진행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제어 루프는 단계(602)의 시작부로 다시 돌아간다.
단계(608)에서 현재의 동작 모드에 대한 타이밍 및 상태 정보가 저장되며, 단계(604)에서 결정된 스캔이 수행된다. 저장된 타이밍 및 상태 정보는 이후에 서비스의 상당한 손실 없이 현재의 동작 모드로 복귀하기에 충분해야만 한다. 일 예에서, 상기 단계는 포착 시도를 위해 우선하는 주파수들 또는 채널들을 규정하는 규정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된다. 단계(610)로 진행한다. 단계(610)에서, 스캔이 성공적인지의 여부가 질의된다. 만약 그렇다면, 제어는 단계(612)로 진행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제어는 단계(602)의 시작부로 다시 돌아간다.
단계(612)에서, 가입자국은 현재의 서비스로부터 등록해제한다. 단계(614)는 단계(612)의 다음에 진행된다. 단계(614)에서, 가입자국은 만약 필요하다면 새로운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들의 포착을 완료하고 새로운 시스템에 등록한다. 제어는 단계(620)의 시작부로 돌아간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단계(612 및 614) 대신에, 방법은 현재의 시스템으로부터 새로운 시스템으로 소프트 또는 하드 핸드오프를 수행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가입자국이 상기 시스템들 모두에 동시에 등록되는 것은 가능하지만, 필수는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재된 반면,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실시예들과 구현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65)

  1. 둘 이상의 동작 모드들로 동작할 수 있는 가입자국에 동적 다중-모드 서비스 포착(acquisition) 기능(capability)을 제공하는 시스템(110)으로서:
    상기 가입자국이 활성 및 비활성 상태(state)들을 가지는 현재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태(condition)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제 1 로직(102)을 포함하는 제 1 수단 ―상기 상태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은 상기 가입자국과 후보 시스템의 커버리지 영역 사이에서 충분한 근접성(proximity)이 검출되는지에 응답하여 지시되고, 상기 근접성 검출은 상기 후보 시스템의 상기 커버리지 영역과 관련하여 상기 가입자국의 추정되는 위치의 고려에 기초하여 달성됨―;
    상태(condition)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을 지시하는 상기 제 1 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 대한 상태(state) 정보를 저장하고 다른 동작 모드에 따른 통신 서비스들의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을 시도하기 위한 제 2 로직(104)을 포함하는 제 2 수단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 시도는 상기 가입자국이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비활성 상태인 동안 개시(initiate)되고 상기 가입자국이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활성 상태로 다시 전이(transition)하기 전에 달성되도록 스케줄링되고, 상기 제 2 로직은 후보 시스템으로부터 통신 서비스들의 부분적인 포착을 시도함― ; 및
    만약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 시도가 성공적이면, 상기 가입자국으로 하여금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 따른 동작을 중지하고 다른 동작 모드에 따른 동작을 시작하게 하며, 그리고 만약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 시도가 성공적이지 못하면, 상기 가입자국이 상기 저장된 상태(state)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재개하도록 하기 위한 제 3 로직(108)을 포함하는 제 3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국은 핸드셋인,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국은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인,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국은 랩탑 컴퓨터인,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국은 모바일 장치인,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서비스들은 무선 통신 서비스들인,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동작 모드들은 제 1 및 제 2 동작 모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동작 모드는 CDMA이고, 상기 제 2 동작 모드는 GSM인,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동작 모드들은 AMPS, 1x, 1xEV, CDMA, GSM, TDMA, 및 WCDMA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각각 선택되는,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condition)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은 타이머의 만료시 또는 만료 이후에 상기 제 1 로직에 의해 지시되는,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은 상기 가입자국이 사용중인 시스템에 등록되는 동안 지시되는,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은 상기 사용중인 시스템으로부터의 신호 강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아래로 떨어질 때 또는 떨어진 후에 상기 제 1 로직에 의해 지시되는,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국의 상기 추정되는 위치는 하나 이상의 기준 소스(reference source)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소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GPS 위성을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소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기지국 또는 섹터인,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소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GPS 위성이고 다른 하나는 기지국 또는 섹터인,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로직은 수신된 신호를 식별코드와 상관시킴으로써 후보 시스템으로부터 통신 서비스들의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을 시도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7. 제 10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이 성공적이면, 상기 제 3 로직은 상기 가입자국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중인 시스템으로부터 등록-해제(de-register)하고 나서 상기 후보 시스템에 등록하게 하는, 시스템.
  18. 제 10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이 성공적이면, 상기 제 3 로직은 상기 사용중인 시스템으로부터 후보 시스템으로의 하드 핸드오프를 개시(initiate)하는, 시스템.
  19. 제 10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이 성공적이면, 상기 제 3 로직은 상기 사용중인 시스템으로부터 후보 시스템으로의 소프트 핸드오프를 개시하는, 시스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로직은 언제 상기 가입자국이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활성 상태로 후속 전이하도록 스케줄링될 것인지를 결정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은 코히어런트 적분(coherent integration) 시간을 포함하는, 시스템.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은 논-코히어런트 적분(non-coherent integration) 시간을 포함하는, 시스템.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은 코히어런트 및 인코히어런트(incoherent) 적분 시간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은 하나 이상의 에너지 레벨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25. 둘 이상의 동작 모드들로 동작할 수 있는 가입자국에서 서비스들을 동적으로 포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가입자국이 활성 및 비활성 상태들을 가지는 현재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태(condition)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을 지시하는 단계(602);
    상기 상태(condition)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의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 대한 상태(state)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상기 상태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은 상기 가입자국과 후보 시스템의 커버리지 영역 사이에서 충분한 근접성이 검출되는지에 응답하여 지시되고, 상기 근접성 검출은 상기 후보 시스템의 상기 커버리지 영역과 관련하여 상기 가입자국 셀의 추정되는 위치의 고려에 기초하여 달성됨―;
    상기 상태(condition)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의 상기 지시에 응답하여, 다른 동작 모드에 따른 통신 서비스들의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을 시도하는 단계(608)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 시도는 상기 가입자국이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비활성 상태인 동안 개시되고, 상기 가입자국이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활성 상태로 다시 전이하기 전에 완료되도록 스케줄링됨― ;
    만약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 시도가 성공적이면, 상기 가입자국으로 하여금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 따른 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다른 동작 모드에 따른 동작을 시작하게 하는 단계; 및
    만약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 시도가 성공적이지 못하면, 상기 가입자국이 상기 저장된 상태(state)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재개하도록 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서비스들은 무선 통신 서비스들인,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동작 모드들은 제 1 및 제 2 동작 모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동작 모드는 CDMA이고, 상기 제 2 동작 모드는 GSM인,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동작 모드들은 AMPS, 1x, 1xEV, CDMA, GSM, TDMA, 및 WCDMA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각각 선택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condition)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은 타이머의 만료시 또는 만료 후에 지시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30.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국이 사용중인 시스템에 등록되는 동안 상기 상태(condition)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을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를 스캔하기 위한 시간은 상기 사용중인 시스템의 신호 강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아래로 떨어질 때 또는 떨어진 후에 지시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32.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국의 상기 추정되는 위치는 기준 소스들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소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GPS 위성을 포함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소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기지국 또는 섹터를 포함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소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GPS 위성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기지국 또는 섹터를 포함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3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도 단계는 수신된 신호를 후보 시스템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 코드와 상관시키는 단계, 피크(peak)를 가지는 상관 함수(correlation function)를 산출(result in)하는 단계, 및 상기 상관 함수의 상기 피크가 마리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37.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국으로 하여금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 따른 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다른 동작 모드에 따른 동작을 시작하게 하는 단계는, 상기 가입자국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중인 시스템으로부터 등록-해제하고, 그리고 나서 후보 시스템에 등록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38.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국으로 하여금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 따른 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다른 동작 모드에 따른 동작을 시작하게 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중인 시스템으로부터 후보 시스템으로의 하드 핸드오프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39.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국으로 하여금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 따른 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다른 동작 모드에 따른 동작을 시작하게 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중인 시스템으로부터 후보 시스템으로의 소프트 핸드오프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40. 제 25 항에 있어서, 언제 상기 가입자국이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활성 상태(state)로 전이하도록 스케줄링 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은 코히어런트 적분 시간을 포함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4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은 논-코히어런트 적분 시간을 포함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43.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은 코히어런트 및 인코히어런트(incoherent) 적분 시간들을 포함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44.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은 하나 이상의 에너지 레벨들을 포함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45. 제 1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이 성공적이면, 상기 제 3 로직은 상기 다른 동작 모드에 따른 서비스들의 포착을 완료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46. 제 1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이 성공적이면, 상기 제 3 수단은 상기 다른 동작 모드에 따른 서비스들의 포착을 완료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4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국으로 하여금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 따른 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다른 동작 모드에 따른 동작을 시작하게 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이 성공적이면, 상기 다른 동작 모드에 따른 서비스들의 포착을 완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4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국으로 하여금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 따른 동작을 중지하고 다른 동작 모드에 따른 동작을 시작하게 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적어도 부분적인 포착이 성공적이면, 상기 다른 동작 모드에 따른 서비스들의 포착을 완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4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가입자국에 대한 통신 서비스들의 상당한 손실(lapse) 없이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의 재개(resumption)를 허용하기에 충분한, 시스템.
  50.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가입자국에 대한 통신 서비스들의 상당한 손실 없이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의 재개를 허용하기에 충분한,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5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 대한 시간 기준을 포함하는, 시스템.
  5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 대한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변수(air interface protocol variable)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5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다른 모드를 방문한 후에 상기 현재 모드로 복귀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54.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 대한 시간 기준을 포함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55.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 대한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변수들을 포함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56.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다른 모드를 방문한 후에 상기 현재 모드로 복귀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의 동적 포착 방법.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KR1020047018301A 2002-05-13 2003-05-13 동적 다중-모드 서비스 포착 기능을 구비한 가입자국 Expired - Lifetime KR101032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040602P 2002-05-13 2002-05-13
US60/380,406 2002-05-13
US39037302P 2002-06-20 2002-06-20
US60/390,373 2002-06-20
US10/254,143 2002-09-24
US10/254,143 US6957068B2 (en) 2002-05-13 2002-09-24 Subscriber station with dynamic multi-mode service acquisition capability
PCT/US2003/015196 WO2003096727A1 (en) 2002-05-13 2003-05-13 Subscriber station with dynamic multi-mode service acquisition capa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534A KR20050000534A (ko) 2005-01-05
KR101032242B1 true KR101032242B1 (ko) 2011-05-02

Family

ID=29407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301A Expired - Lifetime KR101032242B1 (ko) 2002-05-13 2003-05-13 동적 다중-모드 서비스 포착 기능을 구비한 가입자국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957068B2 (ko)
EP (1) EP1508252B1 (ko)
JP (1) JP4435679B2 (ko)
KR (1) KR101032242B1 (ko)
CN (1) CN100340128C (ko)
AT (1) ATE474434T1 (ko)
AU (1) AU2003229080A1 (ko)
BR (1) BR0309954A (ko)
CA (1) CA2485930C (ko)
DE (1) DE60333362D1 (ko)
IL (1) IL165032A0 (ko)
MX (1) MXPA04011240A (ko)
WO (1) WO20030967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6158B2 (en) * 2001-02-22 2006-02-07 Freescale Semiconductors, Inc. Signal detection using a CDMA receiver
JP4030271B2 (ja) * 2001-03-26 2008-01-09 株式会社東芝 移動通信端末
US9154906B2 (en) 2002-03-28 2015-10-06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Area watcher for wireless network
US8918073B2 (en) 2002-03-28 2014-12-23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Wireless telecommunications location based services scheme selection
US7426380B2 (en) 2002-03-28 2008-09-16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Location derived presence information
US8290505B2 (en) 2006-08-29 2012-10-16 Telecommunications Systems, Inc. Consequential location derived information
KR100449573B1 (ko) * 2002-05-22 2004-09-2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초고속 데이터 통신 시스템 인지 방법 및 장치
KR20030091155A (ko) * 2002-05-24 2003-12-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국에서의 특정 서비스 영역 인식 방법
KR100432626B1 (ko) * 2002-08-09 2004-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용 단말기의 수신제한 상황 알림방법
US20070238455A1 (en) * 2006-04-07 2007-10-11 Yinjun Zhu Mobile based area event handling when currently visited network doe not cover area
US8666397B2 (en) 2002-12-13 2014-03-04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Area event handling when current network does not cover target area
KR100548336B1 (ko) * 2003-04-22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이한 패킷 프레임 모드를 지원하는 이중 모드 단말기 및그 지원 방법
KR100592885B1 (ko) * 2003-04-29 2006-06-2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국의 시스템 선택 방법
US7929921B2 (en) * 2003-06-10 2011-04-19 Motorola Mobility, Inc. Diversity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and methods
GB0413683D0 (en) 2004-06-18 2004-07-21 Nokia Corp Customis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WO2005051019A1 (en) * 2003-11-21 2005-06-02 Nokia Corporation Service dis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80090546A1 (en) 2006-10-17 2008-04-17 Richard Dickinson Enhanced E911 network access for a call center us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messaging
US20080126535A1 (en) 2006-11-28 2008-05-29 Yinjun Zhu User plane location services over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KR100557104B1 (ko) * 2004-01-14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4456912B2 (ja) * 2004-03-30 2010-04-28 京セラ株式会社 複数の移動電話システムの一つと選択的に接続する携帯電話機、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06782B1 (ko) * 2004-06-21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모드 이동단말기와, 그의 위치정보를 이용한통신서비스 전환 방법
KR20060007882A (ko) * 2004-07-22 2006-01-26 주식회사 스카이텔레텍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대기상태에서의 시스템간 전환 방법
KR100627834B1 (ko) * 2004-07-27 2006-10-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인터넷 망과 다른 종류의 망과의 연동 기능을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8233450B2 (en) * 2004-09-10 2012-07-3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components for facilitating multiple network type compatibility
GB2420937B (en) * 2004-10-13 2007-08-01 Nec Technologies Mobile radio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087670B1 (ko) 2004-11-04 2011-1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인터넷망의 단말기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을 인지시키기 위한 오버헤드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법
US8855596B2 (en) * 2004-12-03 2014-10-07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placement of an emergency call
US7489913B2 (en) * 2005-01-04 2009-02-10 Motorola, Inc. Method for controlling diversity receiv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353034B2 (en) 2005-04-04 2008-04-01 X One, Inc. Location sharing and tracking using mobile phones or other wireless devices
US8660573B2 (en) 2005-07-19 2014-02-25 Telecommunications Systems, Inc. Location service requests throttling
US7756548B2 (en) 2005-09-19 2010-07-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that uses a multi-mode base station
US7567791B2 (en) * 2005-09-19 2009-07-2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terminal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that uses a multi-mode base station
JP4628331B2 (ja) * 2005-09-26 2011-0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ルチモード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9282451B2 (en) 2005-09-26 2016-03-08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Automatic location identification (ALI) service requests steering, connection sharing and protocol translation
US8467320B2 (en) 2005-10-06 2013-06-18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multi-user conferencing
US7630711B2 (en) * 2006-01-05 2009-12-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provisioning information of different communications networks
US8150363B2 (en) 2006-02-16 2012-04-03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Enhanced E911 network access for call centers
US8059789B2 (en) 2006-02-24 2011-11-15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Automatic location identification (ALI) emergency services pseudo key (ESPK)
US8532266B2 (en) 2006-05-04 2013-09-10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Efficient usage of emergency services keys
US8208605B2 (en) 2006-05-04 2012-06-26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Extended efficient usage of emergency services keys
US7657286B2 (en) * 2006-05-11 2010-02-02 Nokia Corporation Multiradio control interface element in modem
US7664532B2 (en) * 2006-06-02 2010-02-16 Nokia Corporation Radio transmission scheduling according to multiradio control in a radio modem
EP1885141B1 (en) * 2006-08-02 2012-05-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upporting radio access system selection by multi-mode mobile stations
US8364199B2 (en) 2006-08-02 2013-01-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lications for supporting radio access system selection by multi-mode mobile stations
CA2595740C (en) * 2006-08-02 2013-03-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lications for supporting radio access system selection by multi-mode mobile stations
US8254927B2 (en) 2006-09-11 2012-08-28 Qualcomm Incorporated SFN and signaling mechanisms for softer handoff groups
US7949364B2 (en) * 2006-10-03 2011-05-24 Nokia Corporation System for managing radio modems
US7966013B2 (en) * 2006-11-03 2011-06-21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Roaming gateway enabling location based services (LBS) roaming for user plane in CDMA networks without requiring use of a mobile positioning center (MPC)
KR100801892B1 (ko) * 2006-11-09 2008-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모드 휴대용 단말기에서 응급 호 연결을 수행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JP4795439B2 (ja) * 2006-11-10 2011-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局及び基地局群
JP4404088B2 (ja) * 2006-11-30 2010-01-27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US7769380B2 (en) * 2006-12-20 2010-08-03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Method for reducing the rate of registration in CDMA-based mobile networks
US8050386B2 (en) 2007-02-12 2011-11-01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Mobile automatic location identification (ALI) for first responders
US20080291830A1 (en) * 2007-05-25 2008-11-27 Nokia Corporation Multiradio control incorporating quality of service
JP4433001B2 (ja) * 2007-06-15 2010-03-17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972986B2 (en) 2007-07-17 2011-07-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brous structur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8852474B2 (en) 2007-07-17 2014-10-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fibrous structures
US10024000B2 (en) 2007-07-17 2018-07-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brous structur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8331286B2 (en) * 2007-08-03 2012-12-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selection and acquisition of systems utilizing OFDM or SC-FDM
US20090077077A1 (en) 2007-09-18 2009-03-19 Gerhard Geldenbott Optimal selection of MSAG address for valid civic/postal address
US8249935B1 (en) 2007-09-27 2012-08-2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blocking confidential information at a point-of-sale reader from eavesdropping
US9883381B1 (en) 2007-10-02 2018-01-3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roviding secure access to smart card applications
US8126806B1 (en) 2007-12-03 2012-02-2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ethod for launching an electronic wallet
US8055184B1 (en) 2008-01-30 2011-11-0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active jamming of confidential information transmitted at a point-of-sale reader
US8576991B2 (en) 2008-03-19 2013-11-05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End-to-end logic tracing of complex call flows in a distributed call system
US8655310B1 (en) 2008-04-08 2014-02-1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Control of secure elements through point-of-sale device
US8731622B2 (en) * 2008-05-23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ystem acquisition while maintaining a defined battery life span
US8068587B2 (en) 2008-08-22 2011-11-29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Nationwide table routing of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emergency calls
US8706588B1 (en) 2008-10-20 2014-04-2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of provisioning confidential information via a mobile device
US8175592B2 (en) * 2008-10-20 2012-05-0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network search
US8060449B1 (en) * 2009-01-05 2011-11-1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artially delegated over-the-air provisioning of a secure element
US8768845B1 (en) 2009-02-16 2014-07-0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Electronic wallet removal from mobile electronic devices
US8131283B1 (en) * 2009-02-27 2012-03-06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Controlling mobile device roaming in association with monitoring an active event duration
US8121633B2 (en) 2009-07-24 2012-02-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Operator configurable preferred network and radio access technology selection for roaming multi-rat capable devices
US8315589B2 (en) * 2009-09-30 2012-11-2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Emergency calls for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IMS) over packet switche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networks
DE112011101164T5 (de) 2010-03-31 2013-04-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serstrukturen und Herstellungsverfahren
US9167491B2 (en) 2010-08-13 2015-10-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ow size selection to optimize inter rat handover
WO2012141762A1 (en) 2011-02-25 2012-10-18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Mobile internet protocol (ip) location
WO2013048551A1 (en) 2011-09-30 2013-04-04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Unique global identifier for minimizing prank 911 calls
US9313637B2 (en) 2011-12-05 2016-04-12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Wireless emergency caller profile data delivery over a legacy interface
JP5887969B2 (ja) * 2012-02-07 2016-03-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無線通信機器
US9544260B2 (en) 2012-03-26 2017-01-10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Rapid assignment dynamic ownership queue
US9307372B2 (en) 2012-03-26 2016-04-05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No responders online
WO2014028712A1 (en) 2012-08-15 2014-02-20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Device independent caller data access for emergency calls
CN103686677B (zh) * 2012-09-17 2017-11-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通信事件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9456301B2 (en) 2012-12-11 2016-09-27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Efficient prisoner tracking
US8983047B2 (en) 2013-03-20 2015-03-17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Index of suspicion determination for communications request
US9408034B2 (en) 2013-09-09 2016-08-02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Extended area event for network based proximity discovery
US9516104B2 (en) 2013-09-11 2016-12-06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Intelligent load balancer enhanced routing
US9479897B2 (en) 2013-10-03 2016-10-25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SUPL-WiFi access point controller location based services for WiFi enabled mobile devices
KR102208438B1 (ko) 2014-11-26 2021-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7666692B (zh) * 2016-07-29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状态转移方法、用户终端和基站
WO2022133878A1 (en) * 2020-12-24 2022-06-30 Qualcomm Incorporated Search and cell scan procedure for positioning-cellular network interworking scenario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8738A (ja) * 1997-09-29 2001-10-16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代わりの通信システムを要求する方法
WO2002037874A1 (en) * 2000-11-06 2002-05-10 Motorola Inc., A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Method for a radiotelephone to scan for alternate radiotelephone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0093A (en) * 1989-06-23 1991-05-28 Motorola, Inc. Cellular telephone operable on different cellular telephone systems
US5903832A (en) 1995-12-21 1999-05-11 Nokia Mobile Phones Llimited Mobile terminal having enhanced system selection capability
US6215982B1 (en) * 1996-06-28 2001-04-10 Cisco Systems, Inc.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with auxiliary receiver for selecting different channels
US6119003A (en) 1996-09-09 2000-09-12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utomatic mode selection in a multimode mobile terminal
SE9701617L (sv) * 1997-04-29 1998-10-30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anordning i ett radiokommunikationsnät
US6324400B1 (en) * 1998-09-16 2001-11-27 Ericsson Inc. Intelligent roaming mobile station for emulating a pre-intelligent roaming mobile station
US6205334B1 (en) * 1998-11-24 2001-03-20 Ericsson Inc. Accelerated scanning of cellular channels by cellular radiotelephones
AU2001229735A1 (en) 2000-02-16 2001-08-27 Ericsson Inc. Position assisted service sele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8738A (ja) * 1997-09-29 2001-10-16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代わりの通信システムを要求する方法
WO2002037874A1 (en) * 2000-11-06 2002-05-10 Motorola Inc., A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Method for a radiotelephone to scan for alternate radiotelephone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65032A0 (en) 2005-12-18
WO2003096727A1 (en) 2003-11-20
EP1508252A1 (en) 2005-02-23
ATE474434T1 (de) 2010-07-15
JP2005525759A (ja) 2005-08-25
CA2485930C (en) 2013-06-25
US20030211862A1 (en) 2003-11-13
DE60333362D1 (de) 2010-08-26
HK1079947A1 (en) 2006-04-13
BR0309954A (pt) 2007-01-09
CN100340128C (zh) 2007-09-26
CA2485930A1 (en) 2003-11-20
US6957068B2 (en) 2005-10-18
EP1508252B1 (en) 2010-07-14
JP4435679B2 (ja) 2010-03-24
CN1666552A (zh) 2005-09-07
AU2003229080A1 (en) 2003-11-11
KR20050000534A (ko) 2005-01-05
MXPA04011240A (es) 200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242B1 (ko) 동적 다중-모드 서비스 포착 기능을 구비한 가입자국
US7277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acquiring preferr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7003315B2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system selecting method
US7477896B2 (en) Reducing missed pages during cell re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343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lving paging monitoring conflicts in multimode wireless equipment
US7409214B2 (en) Cell search method for inter-system handover in a mobile station
EP1025740B1 (en) Method for searching cell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30157662A1 (en) Multi-sim multi-standby communication terminal, and synchroniz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EP1550325A1 (en) Method and system wherein handover information is broadcast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RU2352076C2 (ru) Кадровая синхронизация и идентификация скремблирующего кода в системах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ы для этого
US20130252614A1 (en) Methods for preferably camping on and staying in a cell belonging to a high data transmission throughput rat and communications apparatuses utilizing the same
AU20032197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selection and acquisi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U680755B2 (en) Power saving system for a mobile radio
US6567663B1 (en) Method for continuous 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 search
JP2003153325A (ja) 移動通信端末装置とそのシステム捕捉方法
WO20000197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of a private communication system subject to retuning
HK1079947B (en) Subscriber station with dynamic multi-mode service acquisition cap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5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4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1113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