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2062B1 - 잠수함 - Google Patents

잠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062B1
KR101032062B1 KR1020080063842A KR20080063842A KR101032062B1 KR 101032062 B1 KR101032062 B1 KR 101032062B1 KR 1020080063842 A KR1020080063842 A KR 1020080063842A KR 20080063842 A KR20080063842 A KR 20080063842A KR 101032062 B1 KR101032062 B1 KR 101032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stand
submarine
emergency
le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060A (ko
Inventor
베른트 티엘크
Original Assignee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12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06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4Superstructure
    • B63G8/06Conning-t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40Rescue equipment for perso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 항해용 스탠드가 형성된 탑을 포함하는 잠수함에 관한 것이다. 수상 항해용 스탠드의 영역 내부로는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chute)가 연결된다. 수상 항해용 스탠드를 제한하는 측벽의 적어도 한 부분은 비상 하선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비상 하선 위치에서는 수상 항해용 스탠드의 영역에 있는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로 도주하는 경우에 형성되는 비상 하선용 공간이 확대된다.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 수상 항해용 스탠드, 측벽

Description

잠수함 {SUBMARINE BOAT}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기재된 특징들을 갖는 잠수함에 관한 것이다.
특히 소형 및 중형 크기의 잠수함의 경우에 탑 안에 있는 중앙 활강로는 수상 항해 중에 승선- 및 하선하기 위한 활강로로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잠수 중에 하선하기 위한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로서도 이용된다. 이와 같은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는 DE 10 2005 005 119 B3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간행물에 기재된 활강로는 한편으로는 수상 항해용 스탠드의 영역에 있는 자신의 상단부가 예컨대 EP 1 767 451 A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압축 밀봉 커버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응하는 압축 밀봉 커버가 상기 활강로의 하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더 나아가서는 상응하는 라인 및 장갑판이 제공됨으로써, 활강로는 수문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
공지된 잠수함의 경우에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는 예를 들어 두 사람이 겹쳐서 또는 나란히 서서 상기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 상부에 있고 마찬가지로 비상시에 잠수함으로부터 하선하는 경로 부분을 형성하는 수상 항해용 스탠드는 그 내부에 통상적으로 세 사람이 설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잠수 항해시 비상의 경우에 잠수함으로부터 하선할 때에 사람들이 팽창 가능한 부력 상승용 구명조끼 및 호흡용 공기 공급 장치를 휴대하면, 상기와 같은 비상 하선의 경우에 잠수함으로부터 외부로 나가는 경로는 반드시 좁아지게 되고, 그에 상응하게 비상 하선 과정도 어려워진다. 이와 같은 상황은 큰 부력 때문에 특히 비상 하선 중에 잠수함이 기울어진 위치를 갖는 경우에 적용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배경으로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잠수함으로부터의 비상 하선 과정이 확실하게 보장되도록 종래 방식의 잠수함을 설계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들, 아래의 상세한 설명부 그리고 도면에서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은 수상 항해용 스탠드가 형성된 탑을 포함한다. 상기 수상 항해용 스탠드의 영역 내부로는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가 연결되며, 상기 활강로를 통해 사람들이 비상의 경우에 잠수함을 벗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수상 항해용 스탠드를 제한하는 측벽의 적어도 한 부분이 비상 하선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비상 하선 위치에서는 수상 항해용 스탠드의 영역에 있는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로 도주하는 경우에 형성되는 비상 하선용 공간이 확대된다. 이 경우 수상 항해용 스탠드의 측벽은 통상적으로 수상 항해용 스탠드의 난간을 형성하는 상기 측벽의 부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성의 기본이 되는 구상은, 수상 항해용 스탠드 안에 배치되어 있고 비상 하선용 경로의 부분을 형성하는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 상부에 있는 공간을 확장시키면, 수상 항해용 스탠드의 측벽 또는 상기 측벽의 부분들이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로부터 수면으로 부상하는 사람들에게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상은 특히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에서 내리는 사람이 측벽에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측벽 상에 있는 수면 항해용 스탠드의 설비부에 걸릴 수 있거나 또는 그 사람의 구명조끼가 측벽에 의해 또는 상기 측벽 상에 있는 설치물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경우에 중요하다. 또한, 잠수함이 기울어진 위치에서도 비상 하선 과정은 확실하게 보장된다.
수상 항해용 스탠드의 영역에 있는 비상 하선용 공간을 확대하기 위해 수상 항해용 스탠드의 측벽 또는 상기 측벽의 부분들은 예를 들어 상기 측벽 또는 상기 측벽의 부분들이 잠수함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또는 바람직한 경우에는 상기 측벽 또는 상기 측벽의 부분들이 외부로 움직임으로써 수상 항해용 스탠드의 내부 공간이 확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측벽의 분리 가능한 부분들 또는 외부로 이동 가능한 부분들에는 수상 항해용 스탠드의 장치부가 전혀 배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부득이하게 배치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장치부들이 측벽 부분들과 작동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다시 말하자면 상기 장치부들은 경우에 따라서는 측벽 부분들과 함께 잠수함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거나 또는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에서는 바람직하게 잠수함의 세로 방향으로 실제로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된 두 개의 측벽 부분들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이와 같은 개선예에서는 수상 항해용 스탠드의 제어 보드 측에서 그리고 백 보드 측에서 각각 측벽의 한 부분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은 특 히 잠수함이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다시 말해 잠수함이 자신의 종축에 대하여 가로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비상 하선 과정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사고로 파손된 잠수함이 제어 보드 쪽으로 기울어졌는지 아니면 백 보드 쪽으로 기울어졌는지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데, 그 이유는 이와 같은 경우에는 잠수함의 측면 위치에 있는 상응하는 상부 측벽 부분이 언제나 외부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측벽 부분들로서는 통상적으로 잠수함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의 하선용 승강구 외측에 배치된 측벽 부분들이 이용되며, 이 경우 상기 측벽 부분들의 각각의 폭은 바람직하게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의 하선용 승강구의 직경보다 훨씬 더 크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측벽 부분들이 외부로 멀리, 다시 말해 수상 항해용 스탠드의 영역에 배치된 하선용 승강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멀리 이동할 수 있음으로써, 잠수함이 한쪽으로 기울어진 경우에 상기 두 개의 측벽 부분들은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에서 내리는 사람이 수면으로 부상할 때에 통과하는 경로 밖에 있게 된다.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측벽의 부분들은 예를 들어 압축 공기식으로 또는 유압식으로 동작할 수 있는 피스톤-실린더-장치와 같은 차입식 소자들(telescopic elements) 또는 다른 선형 구동 장치들을 통해 외부로 이동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상기 측벽 부분들은 외부로 선회 가능하게 형성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측벽 부분들은 바람직하게 하나의 평면에서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의 종축에 대하여 가로로 배치된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선회 가능한 측벽 부분들의 내부면에 배치되는 수상 항해용 스탠드의 장치부들은 바람직하게 마찬가지로 상기 측벽 부분들과 함께 선회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장치부들로부터 잠수함 선체 내부로의 가이드 기능을 담당하는 케이블 및 다른 연결 라인들은 바람직하게 상기와 같은 선회 동작을 따를 수 있기 위하여 유연하게 형성되었다.
한 평면에서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의 종축에 대하여 가로로 배치된 선회 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측벽 부분들의 선회 가능성에 의해서는 바람직하게 잠수함이 한쪽으로 기울어진 경우에 잠수함의 기울어진 부분으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한 측벽의 한 부분이 기울기 방향과 반대로 선회 동작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측벽의 한 부분은 바람직하게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에서 내리는 사람의 완전히 하선 경로 밖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을 보장하기 위하여, 측벽 부분들이 외부로 선회할 수 있는 각도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20°다.
측벽 부분들은 바람직하게 수상 항해용 스탠드의 데크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장점은, 수상 항해용 스탠드 내부에 있는 비상 하선용 공간은 측벽 부분이 상기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의 종축에 대하여 가로로 선회할 때에 이미 실질적으로 상기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의 하선 승강구 바로 위에서 그리고 실질적으로는 측벽 부분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확장된다는 것이다.
선회 가능한 측벽 부분들은 상응하는 힌지를 통해 데크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특히 바람직한 점은 상기 측벽 부분들이 각각 적어도 하나의 레버를 통해 수상 항해용 스탠드의 데크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상기 레버에는 예를 들어 상기 레버 및 그와 더불어 측벽 부분을 선회시킬 수 있는 작동 수단이 맞물릴 수 있다. 이와 같은 개선예에서는 바람직하게 데크 측 링크에서 레버가 잠수함의 세로 연장부에 대하여 가로로 지지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상 항해용 스탠드 외부로 향하고 있는 상기 레버의 레버 암에 선회 동작할 측벽 부분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측벽 부분의 외부면이 상기 측벽 부분을 둘러싸는 나머지 측벽의 외부면과 일직선상에 놓이거나 또는 상기 측벽 부분에 인접하는 탑의 외판과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어, 잠수 항해시 잠수함의 시그너쳐(signature) 특성들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레버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두 개의 암으로 형성되었으며, 이 경우 제1레버 암은 측벽 부분에 연결되어 있고, 제2레버암에는 측벽 부분을 선회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이 맞물린다. 그에 상응하게 본 실시예의 레버는 데크 측에서 자신의 단부들 사이에 관절형으로 지지가 되어 있고, 수상 항해용 스탠드 외부 쪽을 향하고 있는 제1레버암을 형성하며, 상기 제1레버암은 선회 동작할 측벽 부분의 내부면에 연결되어 있고, 수상 항해용 스탠드의 내부를 향하고 있는 제2레버암을 형성하며, 상기 제2레버암에는 작동 수단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2레버암의 세로 연장부에 대하여 가로로 연결되어 있다.
레버 또는 측벽 부분을 선회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으로서는 바람직하게 압력 매체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는 피스톤-실린더-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피스톤-실린더-장치는 바람직하게 잠수함의 선체 내부로부터 외부로 움직일 수 있고, 측벽 부분을 선회시키기 위한 레버의 제2레버암과 운동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실린더-장치는 예를 들어 유압식으로 작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경 우는 피스톤-실린더-장치가 압축 공기식으로 작동하는 경우다.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레버암은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작동 수단과 운동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작동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선체를 관통하는 로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로드는 선체 외부에서 측벽 부분을 선회시키기 위한 레버의 제2레버암에 맞물린다.
특히 바람직하게 측벽 부분은 적어도 두 개의 암으로 구성된 두 개의 레버를 통해 수상 항해용 스탠드의 데크에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두 개 레버의 제1레버암들은 각각 측벽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한편, 하나의 제1레버의 제2레버암은 바람직하게 압축 공기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피스톤-실린더-장치의 한 피스톤과 운동 결합되어 있고, 하나의 제2레버의 제2레버암은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작동 수단과 운동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측벽 부분이 피스톤-실린더-장치에 의해서 간단한 방식으로 압축 공기식으로 선회 동작할 수 있다. 압축 공기 시스템이 고장인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측벽 부분이 수동으로, 예를 들면 상응하게 형성된 로드에 의해서 선회 동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의 탑(2)의 상단부의 앞 영역에는 수상 항해용 스탠드(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상 항해용 스탠드는 잠수함의 수상 항해를 위해 위로 개방된 브리지를 형성한다. 상기 수상 항해용 스탠드(4)는 나머지 탑(2)에 대하여 자신을 후면에서 차단하는 벽(6)에 의하여 그리고 수상 항해용 스탠드(4)의 난간을 형성하는 측벽(8)에 의하여 제한되었다.
수상 항해용 스탠드(4)의 측벽(8)은 상기 수상 항해용 스탠드(4)를 평면도로 볼 때 실질적으로 U자 형태로 둘러싸며, 이 경우에는 상기 측벽(8)의 상단부가 수상 항해용 스탠드(4)의 내부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음으로써, 상기 측벽은 수상 항해용 스탠드(4)의 상부면에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개구(1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수상 항해용 스탠드(4)의 하부면은 데크(12)에 의해서 제한된다. 상기 데크(12)의 하부는 하선용 활강로(14)와 통하며, 상기 하선용 활강로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잠수함 선체로부터 수상 항해용 스탠드(4)까지 이르는 접근로를 형성한다.
통상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된 하선용 활강로(14)는 압축 밀봉 방식으로 폐쇄 가능한 수문을 형성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상기 하선용 활강로(14)의 하단부에 뿐만 아니라 상기 활강로의 상단부에도 압축 밀봉 방식으로 폐쇄 가능한 커버(16)가 제공되어 있다. 잠수함이 잠수 상태에서 파손된 경우를 위해 상기 하선용 활강로(14)는 또한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14)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를 통해 승무원들은 특수한 구명조끼를 입은 상태에서 잠수 중인 잠수함을 떠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수상 항해용 스탠드(4)의 상부 개구(10)도 또한 상기 비상 하선용 경로의 한 부분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상기 수상 항해용 스탠드의 개구(10)는 상부 커버(16)에 의해서 폐쇄되는 상기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14)의 하선용 승강구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잠수 항해시에 잠수함으로부터의 비상 하선 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서로 마주 보면서 잠수함 또는 탑(2)의 종축(A)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된 측벽 부분들(18 및 20)은 외부로 선회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측벽 부분들(18 및 20)이 적어도 20°의 각도만큼 외부로 선회될 수 있음으로써, 상부 개구(10) 그리고 수상 항해용 스탠드(4)의 전체 내부 공간은 확장되고, 상기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14) 위에 있는 또는 수상 항해용 스탠드(4) 안에 있는 비상 하선용 공간은 확대된다. 그럼으로써,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14)에서 내리는 사람이 수면으로 부상할 때에 수상 항해용 스탠드(4) 내부에 걸리거나 또는 상기 스탠드 내부에서 그 사람의 구명조끼가 손상될 위험이 줄어든다.
측벽 부분들(18 및 20)은 각각 두 개의 링크(22)를 통해 수상 항해용 스탠드(4)의 데크(12)에 연결되어 있고, 그에 따라 한 평면에서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14)의 종축(B)에 대하여 가로로 배치된 축(도 4)을 중심으로 선회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측벽 부분들(18 및 20)의 링크(22)에 대한 연결은 레버들(24)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레버들(24)은 각각 두 개의 암으로 형성되고, 레버 부분들(26, 28 및 30)을 갖는다. 상기 레버 부분들(28 및 3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된 레버 부분(26)을 통해서는 링크(22)에 대한 레버(24)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수상 항해용 스탠드(4)의 외부면의 방향으로 정렬된 상기 레버 부분(28)의 단부들은 각각 측벽 부분들(18 및 20)의 내부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레버들(24)의 레버 부분들(30)은 각각 상기 레버들(24)을 상승 실린더와 또는 수동의 작동 수단과 운동 결합시키기 위하여 이용되며, 상기 수동의 작동 수단에 의해서는 측벽 부분들(18 및/또는 20)이 외부로 선회 동작할 수 있다.
측벽 부분들(18 및 20)은 각각 두 개의 레버(24)를 통해 두 개의 링크(22)에 연결되어 있다. 하나의 제1레버(24)의 레버 부분(30)에는 상기 레버(24) 또는 측면 부분(18 또는 20)을 선회시키기 위하여 피스톤-실린더-장치(34)의 피스톤(32)이 맞물린다. 상기 피스톤-실린더-장치(34)는 잠수함의 선체를 관통하여 채워진 압축 공기 라인(36)을 통해 압축 공기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실린더-장치(34)의 실린더(38)는 잠수 항해용 스탠드(4)의 데크(12)에 의해서 가이드 되고, 데크(12) 아래에서 링크(40)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가 된다. 하나의 제2레버(24)의 레버 부분(30)에는 상기 레버(24) 또는 측면 부분(18 또는 20)을 선회시키기 위하여, 잠수함 선체를 관통하는 로드(42)가 맞물린다. 로드(42)는 수동으로 작동 가능하며, 피스톤-실린더-장치(34)가 결함으로 인해 작동될 수 없는 경우를 위하여 제공되었다. 이 경우 상기 로드(42)는 측벽 부분들(18 및 20)이 잠수 비상 하선 과정을 위해 외부로 선회될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피스톤-실린더-장치(34)에 대한 여분의 장치(redundancy)를 만들어준다.
잠수함으로부터 비상 하선하는 경우에는 한 사람 또는 상황에 따라 다수의 사람들이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14) 안에 탑승하고, 그 다음에 상기 활강로의 선체 측 커버가 폐쇄된다.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14) 내부에서 그곳에 있는 사람들은 이곳에 제공된 압축 공기 연결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구명조끼에 공기를 채울 수 있다.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14)에 물이 채워지고, 잠수함 외부 둘레와의 압력 보상이 실행된다. 그 다음에 이어서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14)의 상부 커버(16)가 개방된다. 그 이전에 이미 수상 항해용 스탠드(4)의 측벽들(18 및 20)은 잠수함 선체의 내부로부터 피스톤-실린더-장치(34) 또는 로드(42)에 의해 외부로 선회된 상태다. 상기 측벽 부분들(18 및 20)의 선회 동작에 의해 수상 항해용 스탠드(4) 내부에 있는 비상 하선용 공간은 눈에 띄게 확대되며, 이와 같은 공간 확대는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14)를 통해 잠수함을 떠나는 사람들이 아무런 방해 없이 수면으로 부상할 수 있도록 보장해준다. 특히 잠수함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해서는, 종래의 경우에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14)로부터 수면으로 부상하는 사람이 걸릴 수도 있었던 수상 항해용 스탠드(4)의 부분들이 수면으로의 부상 경로 안에 있게 되는 상황이 피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의 탑의 앞 영역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탑 영역을 도 1의 절단선 Ⅱ-Ⅱ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다.
도 3은 상기 탑 영역을 도 1의 절단선 Ⅲ-Ⅲ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다.
도 4는 도 3의 Ⅹ 부분을 도시한 세부 확대도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탑 4: 수면 항해용 스탠드
6: 벽 8: 측벽
10: 개구 12: 데크
14: 하선용 활강로,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
16: 커버 18, 20: 측벽 부분
22: 링크 24: 레버
26, 28, 30: 레버 부분 32: 피스톤
34: 피스톤-실린더-장치 36: 압출 공기 라인
38: 실린더 40: 링크
42: 로드
A, B: 종축 C: 축

Claims (11)

  1. 수상 항해용 스탠드(4)가 형성되어 있는 탑(2) 및 상기 수상 항해용 스탠드(4)의 영역에서 개방된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14)를 구비한 잠수함에 있어서,
    상기 수상 항해용 스탠드(4)를 제한하는 측벽(8)의 적어도 한 부분(18, 20)은 비상 하선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비상 하선 위치에서는 상기 측벽의 적어도 한 부분(18, 20)이 이동하여 상기 수상 항해용 스탠드(4)의 영역에 있는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14)와 일직선으로 형성된 비상 하선용 공간이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수함의 세로 방향으로 서로 마주 놓인 두 개의 측벽 부분들(18, 20)은 외부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부분들(18, 20)은 하나의 평면에서 상기 비상 하선용 수직통로(14)의 종축(B)에 대하여 가로로 배치된 축(C)을 중심으로 선회 동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부분들(18, 20)은 적어도 20°의 각도만큼 선회 동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부분들(18, 20)은 상기 수상 항해용 스탠드(4)의 데크(12)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부분들(18, 20)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레버(24)를 통해 상기 수상 항해용 스탠드(4)의 데크(12)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24)는 적어도 두 개의 암으로 형성되며, 제1레버암(28)은 상기 측벽 부분(18, 20)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레버암(30)에는 상기 측벽 부분(18, 20)을 선회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34, 42)이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버암(30)은 압력 매체에 의해서 동작할 수 있는 피스톤-실린더-장치(34)와 운동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버암(30)은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작동 수단(34)과 운동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부분(18, 20)은 적어도 두 개의 암으로 구성된 두 개의 레버(24)를 통해 수상 항해용 스탠드(4)의 데크(1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개 레버(24)의 제1레버암들(28)은 상기 측벽 부분(18, 20)에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제1레버(24)의 제2레버암(30)은 피스톤(32)과 운동 결합되어 있고, 하나의 제2레버(34)의 제2레버암(30)은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작동 수단(42)과 운동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부분(18, 20)은 적어도 두 개의 암으로 구성된 두 개의 레버(24)를 통해 수상 항해용 스탠드(4)의 데크(1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개 레버(24)의 제1레버암들(28)은 상기 측벽 부분(18, 20)에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제1레버(24)의 제2레버암(30)은 압축 공기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피스톤-실린더-장치(34)의 피스톤(32)과 운동 결합되어 있고, 하나의 제2레버(34)의 제2레버암(30)은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작동 수단(42)과 운동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KR1020080063842A 2007-07-28 2008-07-02 잠수함 Expired - Fee Related KR101032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35433.0 2007-07-28
DE200710035433 DE102007035433B3 (de) 2007-07-28 2007-07-28 Unterseebo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060A KR20090012060A (ko) 2009-02-02
KR101032062B1 true KR101032062B1 (ko) 2011-05-02

Family

ID=39809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842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2062B1 (ko) 2007-07-28 2008-07-02 잠수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020378B1 (ko)
KR (1) KR101032062B1 (ko)
DE (1) DE102007035433B3 (ko)
ES (1) ES2389993T3 (ko)
PT (1) PT2020378E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48629B4 (de) * 2010-10-15 2012-05-31 Howaldtswerke-Deutsche Werft Gmbh Unterseeboot
DE102018220268A1 (de) * 2018-11-26 2020-05-28 Thyssenkrupp Ag Verfahren und Unterseeboot zur schnellen Ausbringung einer Gruppe von Tauchern unter Wass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622B1 (ko) 2005-02-04 2009-05-21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기밀실을 갖는 잠수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0904639A (en) * 1909-02-25 1909-10-14 Simon Lake Improvements in Submarine or Submersible Vessels.
US2076219A (en) * 1935-05-03 1937-04-06 Belloni Angelo Mean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submerged craft
DE102005045245B3 (de) * 2005-09-22 2006-11-09 Howaldtswerke-Deutsche Werft Gmbh Unterseeboo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622B1 (ko) 2005-02-04 2009-05-21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기밀실을 갖는 잠수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20378A2 (de) 2009-02-04
KR20090012060A (ko) 2009-02-02
EP2020378A3 (de) 2012-01-11
EP2020378B1 (de) 2012-07-25
PT2020378E (pt) 2012-09-26
ES2389993T3 (es) 2012-11-05
DE102007035433B3 (de) 200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2189A (en) Multiple-hulled marine craft
US5765500A (en) Life rafts on ships
US20130291779A1 (en) Apparatus to launch and recover a boat
CN107771147B (zh) 具有可移动的船尾舱门和可浸没的船尾平台的船
RU2479463C1 (ru) Камера спасательная всплывающая
TWI649237B (zh) 具有可潛的船尾艙門的船艇
KR20060119878A (ko) 잠수정 비상 대피 시스템
KR101032062B1 (ko) 잠수함
GB21080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cuing the crew of a ship or sea- platform
FI111528B (fi) Säilytysrakenne yhtä tai useampaa alusta varten merirakenteessa
US1814689A (en) Salvage and rescue submarine
CN214524340U (zh) 船用快速释放单人救生舱及其逃生系统
KR20210042917A (ko) 선수 도어 배열 및/또는 선수 램프 배열을 포함하는 선박
US8985044B2 (en) Watertight door system
US1963996A (en) Submarine salvage and recovery apparatus
KR101518293B1 (ko) 구명정을 구비한 선박
US4502405A (en) Floating device comprising storage holds for bulk freight, such as a hopper dredge
RU2557684C1 (ru)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эвакуации экипажа аварийной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из всплывшей спасательной камеры
KR101722199B1 (ko) 자유낙하 방식의 구명정 대빗 장치
US4341174A (en) Bow dock
US7111571B2 (en) Arrangement in a marine vessel
US4145782A (en) Davit fall recovery method and system
RU205106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затонувшего судна
KR20220135426A (ko) 구명정을 구비한 선박
RU233077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затонувших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02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8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7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2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