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1058B1 -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058B1
KR101031058B1 KR1020050105236A KR20050105236A KR101031058B1 KR 101031058 B1 KR101031058 B1 KR 101031058B1 KR 1020050105236 A KR1020050105236 A KR 1020050105236A KR 20050105236 A KR20050105236 A KR 20050105236A KR 101031058 B1 KR101031058 B1 KR 101031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elastic body
moving tube
slip elastic
stee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8321A (ko
Inventor
이국진
고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50105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058B1/ko
Publication of KR20070048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05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조향축; 및 틸트 작동을 하는 틸트 앤 텔레스 기능부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트 앤 텔레스 기능부는, 상기 텔레스 작동 방향으로 움직이는 이동 튜브; 상기 이동 튜브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튜브를 틸트 방향으로 탄지하며, 상기 이동 튜브와 슬라이딩되는 틸트 슬립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틸트 기능과 텔레스코프기능을 가지는 조향장치에 있어서 텔레스 기능이 이루어지는 이동 튜브에 틸트 탄성체를 구비하고 틸트 탄성체가 이동 튜브와 조향휠을 탄성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틸트, 텔레스코프, 조향, 자동차, 스프링

Description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Tilt And Telescope Steering System}
도 1은 종래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틸트 슬립 탄성체를 도시한 일부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틸트 슬립 탄성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틸트 슬립 탄성체를 도시한 일부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틸트 슬립 탄성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틸트 슬립 탄성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틸트 슬립 탄성체를 도시한 일부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틸트 슬립 탄성체를 도시한 분해 측면 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틸트 슬립 탄성체를 도시한 분해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틸트 슬립 탄성체를 도시한 분해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를 구비한 조향장치의 제 1 일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를 구비한 조향장치의 제 2 일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조향휠 102: 상부 조향축
104: 이동 튜브 106: 제 1 차체 고정부
108: 고정 튜브 112: 조인트
114: 하부 조향축 116: 제 1 틸트 탄성체
118: 탄성체 고정부 120: 제 2 차체 고정부
122: 조정부 124: 레버
200: 제 1 틸트 슬립 탄성체 300: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
302: 가이드 홈 304: 지지부재
400: 제 1 고정가이드 402: 제 1 고정 볼트
500: 제 3 틸트 슬립 탄성체 600: 제 2 고정가이드
602: 제 2 고정 볼트 700: 제 4 틸트 슬립 탄성체
702: 제 3 고정 볼트 800: 제 5 틸트 슬립 탄성체
802: 절곡부 804: 고정부 돌출부
908: 제 4 고정 볼트 1000: 제 6 틸트 슬립 탄성체
1002: 탄성체 삽입홈 1100: 절곡부 삽입홈
1300: 슬립 부재
본 발명은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틸트 기능과 텔레스 기능을 가지는 조향장치에 있어서 텔레스 작동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이동 튜브에 틸트 슬립 탄성체를 구비한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운전자의 조작 편의성을 위해서 자동차에는 다양한 장치가 설치되는데, 그 중에서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조향휠을 돌려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자유로이 바꿀 수 있게 하는 장치로서, 자동차의 앞/뒤 바퀴가 선회하는 회전 중심을 임의로 변경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동차를 진행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다.
근래에 들어서 자동차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각국의 자동차 회사와의 경쟁이 본격화됨에 따라 보다 운전자 중심의 지능형 자동차에 대한 고급화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런 추세의 하나로 운전자가 용이하게 조향휠을 잡고 편안하게 운전 을 할 수 있도록 운전자에 대한 조향휠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는 구동 모터를 이용한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장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여기에서,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Tilt And Telescope Steering System)는 승용차에 사용되는 조향휠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런 조향장치의 위치 조정에는 틸트 조작과 텔레스코프 조작이 포함된다.
먼저, 틸트 조작은 운전석에 착석하는 운전자의 자세에 맞게 조향휠의 고정각도(즉 조향 컬럼과 조향휠의 상대각도)를 조정하는 것이고, 텔레스코프 조작은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조향 컬럼의 길이를 길게 늘이거나 짧게 하여 조향휠과 운전자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은 조향휠(100), 상부 조향축(102), 이동 튜브(104), 제 1 차체 고정부(106), 고정 튜브(108), 조인트(112), 하부 조향축(114), 제 1 틸트 탄성체(116), 탄성체 고정부(118), 제 2 차체 고정부(120), 조정부(122) 및 레버(124)를 포함하여 도시한다.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100)에는 상부 조향축(102)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 조향축(102)의 끝단에는 하부 조향축(114)과 연결되는 조인트(112)가 구비된다. 조향축은 이동 튜브(104)와 고정 튜브(108)가 감싸고 있는데, 고정 튜브(108)가 이동 튜브(104)의 내부로 삽입된 구조를 가진다. 이동 튜브(104)의 일측에는 조정부(122)가 구비되며, 조정부(122)는 제 1 차체 고정부(106)에 의해서 차체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 튜브(108)의 일측에는 제 1 틸트 탄성체(116)가 구비되어 있다. 제 1 틸트 탄성체(116)는 일측이 고정 튜브(108)를 지지하고 있고 타측은 탄성체 고정부(118)에 의해서 제 2 차체 고정부(120)에 고정된다. 즉, 탄성체 고정부(118)가 제 1 틸트 탄성체(116)를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운전자가 레버(124)를 풀어주면, 이동 튜브(104)는 틸트 작동 방향(Y) 혹은 텔레스 작동 방향(X)으로 움직이며, 이때 제 1 틸트 탄성체(116)는 조향휠(100), 상부 조향축(102), 이동 튜브(104) 및 고정 튜브(108)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조향휠(100)의 틸트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제 1 틸트 탄성체(116)는 운전자로 하여금 작은 힘을 이용하여 조향휠(100)이 틸트 작동 방향(Y)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종래의 틸트 혹은 텔레스 기능을 가지는 조향장치에 있어서, 제 1 틸트 탄성체(116)는 고정 튜브(108), 즉 텔레스 작동이 수행되지 않는 부분에 설치한다. 따라서, 제 1 틸트 탄성체(116)를 설치하는 데에 제약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틸트 기능과 텔레스 기능을 가지는 조향장치에 있어서 텔레스 작동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이동 튜브에 틸트 슬립 탄성체를 구비한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조향축; 및 틸트 작동을 하는 틸트 앤 텔레스 기능부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트 앤 텔레스 기능부는, 상기 텔레스 작동 방향으로 움직이는 이동 튜브; 상기 이동 튜브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튜브를 틸트 방향으로 탄지하며, 상기 이동 튜브와 슬라이딩되는 틸트 슬립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조향휠(100), 상부 조향축(102), 이동 튜브(104), 제 1 차체 고정부(106), 고정 튜브(108), 조인트(112), 하부 조향축(114), 탄성체 고정부(118), 제 2 차체 고정부(120), 조정부(122), 레버(124) 및 제 1 틸트 슬립 탄성체(200)를 포함하여 도시한다.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100)에는 상부 조향축(102)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 조향축(102)의 끝단에는 하부 조향축(114)과 연결되는 조인트(112)가 구비된다. 조향축은 이동 튜브(104)와 고정 튜브(108)가 감싸고 있는데, 고정 튜브(108)가 이동 튜브(104)의 내부로 삽입된 구조를 가진다. 이동 튜브(104)의 일측에는 조정부(122)가 구비되며, 조정부(122)의 일측은 제 1 차체 고정부(106)에 의해서 고 정된다.
또한, 이동 튜브(104)는 조정부(122)에 의해서 잠기거나 풀리는데, 이동 튜브(104)의 일측에는 제 1 틸트 슬립 탄성체(200)가 구비되어 있다. 제 1 틸트 슬립 탄성체(200)는 일측이 이동 튜브(104)를 탄성 지지하고 있는 한편 타측은 제 2 차체 고정부(120)에 고정된다. 즉 탄성체 고정부(118)가 제 1 틸트 슬립 탄성체(200)를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운전자가 레버(124)를 풀어주면, 이동 튜브(104)는 틸트 작동 방향(Y) 혹은 텔레스 작동 방향(X)으로 움직이며, 이때 제 1 틸트 슬립 탄성체(200)는 조향휠(100), 상부 조향축(102) 및 이동 튜브(104)를 받쳐줌으로써 운전자가 틸트 작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틸트 혹은 텔레스 기능을 가지는 종래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제 1 틸트 탄성체(116)는 고정 튜브(108)에 제 1 틸트 탄성체(116)를 설치하였던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텔레스 작동이 이루어지는 부분인 이동 튜브(104)에 제 1 틸트 슬립 탄성체(200)를 설치한 후에 이동 튜브(104)가 제 1 틸트 슬립 탄성체(200)와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틸트 슬립 탄성체를 도시한 일부 상세도이다. 도 3은 이동 튜브(104), 고정 튜브(108), 탄성체 고정부(118), 제 2 차체 고정부(120),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 가이드 홈(302) 및 지지부재(304)를 포함하여 도시한다.
이동 튜브(104)의 하부에는 지지부재(304)가 구비되어 이동 튜브(104)가 텔 레스 작동 방향(X)으로 움직일 때 지지부재(304)는 함께 움직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는 일측이 지지부재(304)와 접해 있고 타측은 제 2 차체 고정부(120)에 접해 있으며 틸트 탄성체 고정부(118)가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를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304)에는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가 안착되는 가이드 홈(302)이 구비된다.
운전자가 레버(124)를 작동시키면 이동 튜브(104)가 고정 튜브(108)를 인입 혹은 방출하면서 텔레스 작동 방향(X)으로 움직이며 이때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는 지지부재(304)를 틸트 작동 방향(Y)의 상방향으로 탄지한다. 한편, 이동 튜브(104)와 함께 텔레스 작동 방향(X)으로 움직이는 지지부재(304)는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와 슬립 즉, 슬라이딩된다.
지지부재(304)는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와 이동 튜브(104)가 용이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이동 튜브(104)에 밀착 고정되어있다. 그러나 지지부재(304)를 구비하지 않고 바로 이동 튜브(104)와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를 맞닿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가이드 홈(302)을 이동 튜브(104)에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이드 홈(302)과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 사이에 슬라이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그리스 혹은 윤활재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틸트 슬립 탄성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 가이드 홈(302), 지지부재(304), 제 1 고정가이드(400) 및 제 1 고정 볼트(402)를 포함하여 도시한다.
제 1 고정가이드(400)는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의 일측을 감싸며, 제 1 고정가이드(400)에 구비된 제 1 고정 볼트(402)를 조임으로써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를 고정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304)에는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의 타측이 안착되는 가이드 홈(302)이 구비되며, 가이드 홈(302)은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가 슬라이딩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는 와이어를 'U'자형으로 절곡하여 구비되며 가이드 홈(302)을 밀어내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재질은 고강성 금속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능상에 문제가 없다면 다른 재질의 사용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틸트 슬립 탄성체를 도시한 일부 상세도이다. 도 5는 이동 튜브(104), 고정 튜브(108), 탄성체 고정부(118), 제 2 차체 고정부(120), 가이드 홈(302), 지지부재(304) 및 제 3 틸트 슬립 탄성체(500)를 포함하여 도시한다.
운전자가 레버(124)를 작동시키면 이동 튜브(104)가 고정 튜브(108)를 인입 혹은 방출하면서 텔레스 작동 방향(X)으로 움직이며 이때 제 3 틸트 슬립 탄성체(500)는 지지부재(304)를 틸트 작동 방향(Y)의 상방향으로 탄지하며, 이동 튜브(104)와 함께 텔레스 작동 방향(X)으로 움직이는 지지부재(304)와는 슬라이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틸트 슬립 탄성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제 3 틸트 슬립 탄성체(500)는 코일스프링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일단에서 연장된 부분이 지지부재(304)의 가이드 홈(302)과 맞닿아 있으며, 타단에서 연장된 부분이 제 2 차체 고정부(120)에 맞닿아 있다. 제 3 틸트 슬립 탄성체(500)는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지지부재(304)와 제 2 차체 고정부(120)를 밀어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 2 고정가이드(600) 및 제 2 고정 볼트(602)가 제 3 틸트 슬립 탄성체(500)를 제 2 차체 고정부(120)에 고정한다. 또한, 제 3 틸트 슬립 탄성체(500)의 일측은 가이드 홈(302)에 안착되나 가이드 홈(302)과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틸트 슬립 탄성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제 4 틸트 슬립 탄성체(700)는 판 스프링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일단에서 연장된 부분이 지지부재(304)의 가이드 홈(302)과 맞닿아 있으며, 타단에서 연장된 부분이 제 2 차체 고정부(120)에 맞닿아 있다. 제 4 틸트 슬립 탄성체(700)는 판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지지부재(304)와 제 2 차체 고정부(120)를 밀어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 3 고정 볼트(702)가 제 4 틸트 슬립 탄성체(700)의 타측을 제 2 차체 고정부(120)에 고정한다. 또한, 제 4 틸트 슬립 탄성체(700)의 일측은 가이드 홈(302)에 안착되나 가이드 홈(302)과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틸트 슬립 탄성체를 도시한 일부 상세도이다. 도 8은 이동 튜브(104), 고정 튜브(108), 제 2 차체 고정부(120), 가이드 홈(302), 지지부재(304), 제 5 틸트 슬립 탄성체(800), 절곡부(802) 및 고정부 돌 출부(804)를 포함하여 도시한다.
제 5 틸트 슬립 탄성체(800)에는 절곡부(802)가 형성되며, 제 2 차체 고정부(120)에는 고정부 돌출부(804)가 구비된다. 절곡부(802)가 고정부 돌출부(804)에 끼워짐으로써 제 5 틸트 슬립 탄성체(800)는 제 2 차체 고정부(120)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제 5 틸트 슬립 탄성체(800)와 고정부 돌출부(804)를 관통하는 볼트와 같은 다른 고정 부재를 추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지지부재(304)는 제 5 틸트 슬립 탄성체(800)와 이동 튜브(104)의 연결구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비하였으나 지지부재(304)를 구비하지 않고 바로 이동 튜브(104)가 제 5 틸트 슬립 탄성체(800)에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가이드 홈(302)을 이동 튜브(104)에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틸트 슬립 탄성체를 도시한 분해 측면도이다. 도 9는 제 2 차체 고정부(120), 제 5 틸트 슬립 탄성체(800), 절곡부(802), 고정부 돌출부(804), 내상면(900), 내저면(902), 탄성체 상면(904) 및 탄성체 저면(906)을 포함하여 도시한다.
제 5 틸트 슬립 탄성체의 일단에 형성된 절곡부(802)에 고정부 돌출부(804)가 삽입되어 견고하게 물리는 구조로 되어 있는 한편, 제 4 고정 볼트(908)는 절곡부(802)의 일측을 관통하고 제 4 고정 볼트(908)의 끝단이 돌출부의 탄성체 저면(906)에 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고정부 돌출부(804)가 절곡부(802)에 인입된 후에 제 4 고정 볼트(908)를 조임으로써 제 5 틸트 슬립 탄성체(800)는 제 3 고 정부에 고정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틸트 슬립 탄성체를 도시한 분해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 2 차체 고정부(120), 탄성체 삽입홈(1002) 및 제 6 틸트 슬립 탄성체(1000)를 포함하여 도시한다.
제 2 차체 고정부(120)에는 탄성체 삽입홈(1002)이 형성되며, 탄성체 삽입홈(1002)에는 제 6 틸트 슬립 탄성체(100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제 6 틸트 슬립 탄성체(1000)의 타단부는 가이드 홈(302)과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틸트 슬립 탄성체를 도시한 분해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 2 차체 고정부(120), 제 5 틸트 슬립 탄성체(800), 절곡부(802) 및 절곡부 삽입홈(1100)을 포함하여 도시한다.
제 2 차체 고정부(120)에는 절곡부 삽입홈(1100)이 구비되며 제 5 틸트 슬립 탄성체(800)의 절곡부(80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 5 틸트 슬립 탄성체(800)의 타단부는 가이드 홈(302)과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를 구비한 조향장치의 제 1 일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 가이드 홈(302) 및 지지부재(3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재(304)에는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가 안착되는 가이드 홈(302)이 형성되어 있는데, 가이드 홈(302)은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의 일부가 안착 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홈(30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가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를 구비한 조향장치의 제 2 일부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 가이드 홈(302), 지지부재(304) 및 슬립 부재(1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 홈(302)과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 사이에 슬립 부재(1300)를 내재시켜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가 가이드 홈(302)을 따라서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슬립 부재(1300)는 구름 마찰 구조인 볼일 수 있다.
슬립 부재(1300)는 지지부재(304)와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가 직접 접촉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감소시키게 된다. 예컨대 지지부재(304)와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가 모두 금속 재질일 경우에는 슬립 부재(1300)의 재질을 플라스틱재질로 구성하면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틸트 슬립 탄성체(300)와 중간부재 사이에 그리스 혹은 윤활재를 도포하여 슬라이딩이 쉽게 이루어져 텔레스코프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틸트 기능과 텔레스코프 기능을 가지는 조향장치에 있어서 텔레스 기능이 이루어지는 이동 튜브에 틸트 탄성체를 구비하고 틸트 탄성체가 이동 튜브와 조향휠을 탄성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자동차의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조향축; 및 틸트 작동을 하는 틸트 앤 텔레스 기능부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트 앤 텔레스 기능부는,
    상기 텔레스 작동 방향으로 움직이는 이동 튜브; 및
    상기 이동 튜브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튜브를 틸트 방향으로 탄지하며, 상기 이동 튜브와 슬라이딩되는 틸트 슬립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틸트 슬립 탄성체의 일부가 안착되는 가이드 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홈과 상기 틸트 슬립 탄성체 사이에 슬립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슬립 부재는 구름 마찰 구조인 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슬립 탄성체는 와이어(Wire)를 절곡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튜브와 상기 틸트 슬립 탄성체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이동 튜브에 밀착되어 상기 틸트 슬립 탄성체와 이동 튜브 사이에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는 지지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50105236A 2005-11-04 2005-11-04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Active KR101031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236A KR101031058B1 (ko) 2005-11-04 2005-11-04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236A KR101031058B1 (ko) 2005-11-04 2005-11-04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321A KR20070048321A (ko) 2007-05-09
KR101031058B1 true KR101031058B1 (ko) 2011-04-25

Family

ID=38272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236A Active KR101031058B1 (ko) 2005-11-04 2005-11-04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0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690U (ja) * 1993-04-28 1994-11-08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エネルギ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H09193812A (ja) * 1996-01-18 1997-07-29 Nippon Seiko Kk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690U (ja) * 1993-04-28 1994-11-08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エネルギ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H09193812A (ja) * 1996-01-18 1997-07-29 Nippon Seiko Kk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321A (ko)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522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EP2915719B1 (en) Tilt-type steering device
US20090120230A1 (en) Telescoping-tilting devic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EP3000690A1 (en) Position adjusting-type steering device
KR101257972B1 (ko) 스티어링 기어
US8955881B2 (en) Telescoping steering column having rake spring
WO2006128065A2 (en) Power adjust tilt-telescope steering column
KR101083938B1 (ko)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리스코프 장치
KR20160050315A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KR101618993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1031058B1 (ko)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KR100854767B1 (ko) 조정 스프링을 구비한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텔레스코프 조향장치
EP1510434B1 (en) Steering column device for vehicle
KR101615224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
JP4390343B2 (ja) 自動車用操向コラムの調節装置
KR20190068152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텔레스코프 장치
JP2005502517A (ja) 開放可能な車両ルーフのルーフ要素用の案内装置
JP4457751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20140000406A1 (en) Manual parking brake with an over-center helper spring
KR100842317B1 (ko) 틸트 혹은 텔레스 작동을 위한 조절 레버를 구비한조향장치
KR102160150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JP5668186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0346040A (ja) ケーブルの端末を固定するためのケーブル固定装置
CN112166067A (zh) 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
KR20250029412A (ko) 측면 치형의 컬럼 틸트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2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11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1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