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835B1 -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전지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전지용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0835B1 KR101030835B1 KR1020080121877A KR20080121877A KR101030835B1 KR 101030835 B1 KR101030835 B1 KR 101030835B1 KR 1020080121877 A KR1020080121877 A KR 1020080121877A KR 20080121877 A KR20080121877 A KR 20080121877A KR 101030835 B1 KR101030835 B1 KR 1010308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e
- punch
- sidewall portion
- central axis
- columnar contai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JIJEKBXJYRIBZ-UHFFFAOYSA-N cadmium nickel Chemical compound [Ni].[Cd] OJIJEKBXJYRI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2615—Edge treatment of cans or ti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3)
- 케이스 재료를 준비하는 케이스 재료 준비 단계;상기 케이스 재료가 중심축을 따라 늘어나도록 드로잉(drawing) 공정을 실시하여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가 상기 바닥부에 절곡되어 연장되고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측벽부,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제 1 측벽부의 단부에서 경사지게 연장된 단차부, 상기 제 1 두께보다 두꺼운 제 2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 1 측벽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단차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됨으로써 상기 제 1 측벽부에 비해 상기 중심축에서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측벽부를 포함하도록 기둥형 용기를 형성하는 기둥형 용기 형성 단계; 및상기 제 2 측벽부의 내면이 상기 제 1 측벽부에 비해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드로잉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단차부와 상기 제 2 측벽부를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밀어넣는 기둥형 용기 변형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기둥형 용기 형성 단계는 경사면을 갖는 다이 및 펀치를 이용하여 상기 측벽부에서 상기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2 측벽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기둥형 용기 형성 단계는제 1 깊이를 가지는 컵 형상의 제 1 다이와 제 1 펀치를 이용한 드로잉 공정 을 실시하여 상기 케이스 재료에서 제 1 높이를 가지는 기둥형 용기로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기둥형 용기 형성 단계는상기 제 1 깊이보다 깊은 제 2 깊이를 가지는 컵 형상의 제 2 다이와 제 2 펀치를 이용한 드로잉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제 1 높이를 가지는 기둥형 용기를 제 2 높이를 가지는 기둥형 용기로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상기 제 2 다이는내측에서 바닥을 이루는 제 2 다이 저면; 상기 제 2 다이 저면과 수직을 이루며 연결되는 제 2 다이 측면;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제 2 다이 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멀어지도록 상기 제 2 다이 측면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 2 다이 경사면; 및 상기 제 2 다이 측면에 평행하도록 상기 제 2 다이 경사면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펀치는외측에서 바닥을 이루며, 상기 제 2 다이 저면과 평행한 제 2 펀치 저면;상기 제 2 펀치 저면과 수직을 이루며 연결되고, 상기 제 2 다이 측면과 평행한 제 2 펀치 측면;상기 제 2 펀치 측면에 연결되며, 제 2 다이 경사면과 평행한 제 2 펀치 경사면; 및상기 제 2 펀치 측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 2 펀치 경사면에 연결되는 제 2 펀치 연결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다이 측면과 상기 제 2 다이 연결면 사이를 수직으로 잇는 거리가 상기 제 1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기둥형 용기 형성 단계에서상기 제 1 측벽부의 내면과 상기 중심축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측벽부의 내면과 상기 중심축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기둥형 용기 변형 단계는상기 제 2 깊이를 가지는 컵 형상의 제 3 다이와 제 3 펀치를 이용한 드로잉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중심축과 상기 제 1 측벽부의 외면 사이의 거리와 상기 중심축과 상기 제 2 측벽부의 외면 사이의 거리가 동일해지도록 하며,상기 제 3 다이는내측에서 바닥을 이루는 제 3 저면과, 상기 제 3 저면과 수직을 이루며 연결되는 제 3 다이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제 3 펀치는외측에서 바닥을 이루며, 상기 제 3 다이 저면과 평행한 제 3 펀치 저면; 및상기 제 3 펀치 저면과 수직을 이루며 연결되고, 상기 제 3 다이 측면과 평행한 제 3 펀치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기둥형 용기 변형 단계에서,상기 제 1 측벽부의 내면과 상기 중심축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측벽부의 내면과 상기 중심축 사이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기둥형 용기 변형 단계는상기 제 3 다이와 상기 제 3 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기둥형 용기에 대해 드로잉을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제 2 깊이를 가지는 컵 형상의 제 4 다이와 제 4 펀치 를 사용하여 상기 기둥형 용기에 대해 보조 드로잉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제 4 다이는내측에서 바닥을 이루는 제 4 다이 저면;상기 제 4 다이와 수직을 이루며 연결된 제 4 다이 측면; 및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제 4 다이 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멀어지도록 상기 제 4 다이 측면에 경사지게 연결되며, 상기 제 2 다이와 제 2 펀치를 이용한 드로잉 공정에 의해 형성된 제 1 측벽부와 단차부의 외각보다, 상기 제 4 다이와 제 4 펀치를 이용한 드로잉 공정에 의해 형성된 제 1 측벽부와 단차부의 외각이 크게 되도록 경사진 제 4 다이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제 4 펀치는외측에서 바닥을 이루며, 상기 제 4 다이 저면과 평행한 제 4 펀치 저면;상기 제 4 펀치 저면과 수직을 이루며 연결되고, 상기 제 4 다이 측면과 평행한 제 4 펀치 측면; 및상기 제 4 펀치 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 4 다이 경사면과 평행한 제 4 다 이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 케이스 재료를 준비하는 케이스 재료 준비 단계;상기 케이스 재료가 중심축을 따라 늘어나도록 드로잉(drawing) 공정을 실시하여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가 상기 바닥부에 절곡되어 연장되고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측벽부,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제 1 측벽부의 단부에서 경사지게 연장된 단차부, 상기 제 1 두께보다 두꺼운 제 2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 1 측벽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단차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됨으로써 상기 제 1 측벽부에 비해 상기 중심축에서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측벽부를 포함하도록 기둥형 용기를 형성하는 기둥형 용기 형성 단계; 및상기 제 2 측벽부의 내면이 상기 제 1 측벽부에 비해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드로잉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단차부와 상기 제 2 측벽부를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밀어넣는 기둥형 용기 변형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기둥형 용기 형성 단계는 경사면을 갖는 다이 및 펀치를 이용하여 상기 측벽부에서 상기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2 측벽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전지용 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1877A KR101030835B1 (ko) | 2008-12-03 | 2008-12-03 |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전지용 케이스 |
CN2009101403992A CN101752515B (zh) | 2008-12-03 | 2009-07-21 | 用于制造电池壳体的方法和通过该方法制造的电池壳体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1877A KR101030835B1 (ko) | 2008-12-03 | 2008-12-03 |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전지용 케이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3376A KR20100063376A (ko) | 2010-06-11 |
KR101030835B1 true KR101030835B1 (ko) | 2011-04-22 |
Family
ID=42363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1877A Active KR101030835B1 (ko) | 2008-12-03 | 2008-12-03 |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전지용 케이스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0835B1 (ko) |
CN (1) | CN101752515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93476A (ko) * | 2016-02-05 | 2017-08-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2차 전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57175B (zh) * | 2020-09-15 | 2024-10-01 | 苏州斯莱克精密设备股份有限公司 | 一种电池罐罐体拉伸用冲头、模具及其拉伸工艺 |
KR102731448B1 (ko) * | 2021-01-28 | 2024-11-1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75961A (ja) * | 1994-02-15 | 1995-10-24 | Toyo Seikan Kaisha Ltd | シームレス缶の製造方法 |
JP2005152930A (ja) * | 2003-11-25 | 2005-06-16 | Denso Corp | 筒状部材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973211A4 (en) * | 1997-11-07 | 2004-05-26 | Sony Corp | SQUARE CLOSED BATTERY |
CN1216428C (zh) * | 2000-12-26 | 2005-08-24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矩形电池壳体及其制造方法以及使用该电池壳体的矩形电池 |
-
2008
- 2008-12-03 KR KR1020080121877A patent/KR101030835B1/ko active Active
-
2009
- 2009-07-21 CN CN2009101403992A patent/CN101752515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75961A (ja) * | 1994-02-15 | 1995-10-24 | Toyo Seikan Kaisha Ltd | シームレス缶の製造方法 |
JP2005152930A (ja) * | 2003-11-25 | 2005-06-16 | Denso Corp | 筒状部材の製造方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93476A (ko) * | 2016-02-05 | 2017-08-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2차 전지 |
KR102156557B1 (ko) | 2016-02-05 | 2020-09-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2차 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752515A (zh) | 2010-06-23 |
KR20100063376A (ko) | 2010-06-11 |
CN101752515B (zh) | 2012-1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31580B2 (en) | Secondary battery with embossed safety vent | |
EP3859851A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1467859B1 (ko) | 이차전지용 전지케이스 | |
US20060024572A1 (en) |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8679673B2 (en) | Cap assembly, can, and secondary battery employing the same | |
JP2015511388A (ja) | 二次電池用電池ケース | |
EP2860796B1 (en) | Rechargeable battery having short-circuit protrusion | |
EP3537496B1 (en) | Battery can for a battery | |
KR102263480B1 (ko) | 예비 절단선이 형성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 |
KR102484264B1 (ko) |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1416520B1 (ko) | 벤트 구조를 갖는 2차 전지용 캡 플레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 |
JP2003282032A (ja) | 電池とその製造方法 | |
EP4155045A1 (en) | Pouch, apparatus for molding pou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pouch | |
KR101030835B1 (ko) |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전지용 케이스 | |
KR101471958B1 (ko) | 벤트 구조를 갖는 2차 전지용 캡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캡 플레이트 | |
CN116231178A (zh) | 圆柱形二次电池 | |
CN118140347A (zh) | 圆柱形二次电池和用于二次电池的制造方法 | |
KR20180080847A (ko) | 이차 전지 | |
KR100865405B1 (ko) | 이차전지 | |
KR20190131794A (ko) | 이차 전지 | |
JP2011228019A (ja) | 電池缶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非水電解液二次電池 | |
JP2002208380A (ja) | 電池とその製造方法 | |
JP7459033B2 (ja) | 角型電池および角型電池の製造方法 | |
EP4195341A1 (en) | Secondary battery | |
KR20160015778A (ko) | 내진동 특성이 향상된 원통형 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4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