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341B1 - Bidirectional extended ground reinforcement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Bidirectional extended ground reinforcement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0341B1 KR101030341B1 KR1020100132787A KR20100132787A KR101030341B1 KR 101030341 B1 KR101030341 B1 KR 101030341B1 KR 1020100132787 A KR1020100132787 A KR 1020100132787A KR 20100132787 A KR20100132787 A KR 20100132787A KR 101030341 B1 KR101030341 B1 KR 1010303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nd
- fixing
- packer
- bidirectional
- reinforcement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440 grou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079814 Symphyotrichum pil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224 Typha angust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4—Foundations for sinking or earthquake territor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2—Compacting the soil at the footing or in or along a casing by forcing cement or like material through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반 보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장재의 인장으로 인해 정착날개를 지반에 정착시키며, 작은 힘을 이용하여 정착날개를 견고하게 정착시킬 수 있는 양방향 확장형 지반 보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 reinforcem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directional extended ground reinforcement device that can be fixed to the ground due to the tension of the tension member, and can be firmly fixed to the fixing wing using a small force.
일반적으로, 앵커나 네일링은 절개지 등에서의 절개면의 붕괴방지 및 사면안정, 빌딩 또는 댐 등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지하수에 의한 부상방지, 대형 건물의 지하층 토목 공사시 굴착벽면의 붕괴방지 등에 사용되며, 또한 지진 발생지 등의 건축물이나 대형 철탑 시공시 구축물의 이동이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In general, anchors and nailing are used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incision surface in the incision site, slope stability, to prevent injury by groundwater of large structures such as buildings or dams, and to prevent the collapse of excavated walls during the underground construction of large buildings. In addition, it is installed in order to prevent the movement or distortion of the construction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nd large steel towers, such as earthquakes.
앵커공법은 붕괴염려가 있는 지반에 천공기를 이용하여 앵커공을 천공하고, 이 구멍에 그라우트 호스(grout hose)와 복수개의 인장재 및 내하체를 하나의 유닛으로 마련하여 삽입한 다음, 그라우트 호스를 통해 그라우트(grout)를 주입하며, 주입된 그라우트가 내하체와 함께 양생되면 인장재의 다른 한쪽끝단에 고정구를 체결한 후 강연선 내의 인장재를 유압장비 등을 사용하여 인장하여 대상 구조물을 안정시키는 것이다.The anchor method drills the anchor hole in the ground where there is a risk of collapse, using a boring machine, grout hose, a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and a load bearing body are inserted into this hole, and then inserted through a grout hose. When the grout is injected and the injected grout is cured together with the lower body, the fastener is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member and the tension member in the strand is tensioned using hydraulic equipment to stabilize the target structure.
이와 같은 앵커는 그라우팅의 지압력 또는 지반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표면으로부터의 인장력을 지지하게 된다.Such anchors support the tensile force from the surface by the ground pressure of the grouting or frictional forces with the ground.
이러한 앵커공법에서 도로 및 단지의 사면보강 쐐기식 지압형 앵커의 구성요소는 소요응력을 발휘하는 정착부, 이 정착장에서 발휘되는 응력을 전달하는 자유부, 소요응력을 구조체에 작용토록 하는 고정구로 구분된다. 이들 구성요소 중 정착부는 지반과 시멘트 그라우트, 시멘트 그라우트와 인장재의 부착저항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앵커공법에 사용되는 자유부는 예컨대 주로 다수의 강선이 꼬여있는 와이어로프가 피복된 인장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anchor construction, the components of the slope-reinforced wedge-type anchors of roads and complexes are anchors that exert the required stresses, free parts that transmit stresses exerted in the anchorages, and fixtures that act on the structures. Are distinguished. Among these components, the anchoring part is determined by the adhesion resistance of the ground, cement grout, cement grout and tension member. The free part used in the anchoring method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tension member coated with a wire rope in which a plurality of steel wires are twisted.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앵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nch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종래 기술에 의한 앵커는 그라우트의 지압력에 의해 인발에 대한 버팀강성을 부여하는 것인데, 지반의 상태에 따라 앵커가 삽입된 앵커공의 주변에는 다수의 절리가 존재한다. 따라서, 그라우트는 주입압력에 의해 충진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앵커공에 주입될 때 절리를 통해 상기 앵커공에서 누출되어 상기 앵커공 내부의 충진율이 낮아짐으로써 지반을 실질적으로 보강하지 못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절리가 일부분에만 형성된다 하여도 상기 앵커공 내부의 전영역이 하나의 공간이기 때문에 앵커공의 전영역에 충진된 그라우트 내부에 공극이 발생되어 보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여기서, 앵커공 내부의 강도를 측정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공극이 존재하는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고 공사를 진행하게 되고, 결국 지반 붕괴로 인한 대형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The anch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to give the stiffness to the pull out by the bearing pressure of the grout, there are a number of joints around the anchor hole in which the anchor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ground. Therefore, since the grout is filled by the injection pressure, when injected into the anchor hole, the grout leaks from the anchor hole through jointing, thereby lowering the filling rate inside the anchor hole, thereby failing to substantially reinforce the ground. At this time, even if the joint is formed only in a part, since the entire area inside the anchor hole is one space, voids are generated in the grout filled in the entire area of the anchor hole, thereby preventing reinforcement. Here, since there is no way to measure the strength inside the anchor hole, the construction proceeds without recognizing the presence of voids, and eventually a large accident due to ground collapse may occur.
그리고, 앵커의 외주면이 대개 평평한 면이기 때문에 그라우트와 앵커 사이에 이탈현상이 발생되므로 인장재의 인장시 앵커가 앵커공에서 인발되고, 결과적으로 지반이 붕괴되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chor is generally a flat surface, a separation phenomenon occurs between the grout and the anchor, so that the anchor is drawn from the anchor hole when the tension member is tensioned, and the ground is collapsed as a result.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쐐기윙들이 지중에 쐐기식으로 박혀 버팀력을 발휘하는 도로 및 단지의 사면보강 쐐기식 지압형 앵커들이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drawback, the slope-reinforced wedge-type anchors of roads and complexes in which a plurality of wedge wings are wedge-shaped into the ground to exert a support force have been proposed.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앵커는, 상기 쐐기윙들의 일단이 앵커에 고정되어 자유단부가 회전하면서 지중에 박히는 것이기 때문에 인발시 쐐기윙들의 자유단부가 젖혀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anch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one end of the wedge wings is fixed to the anchor and the free end rotates, the free end of the wedge wings is flipped or broken when being pulled ou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쐐기윙이나 정착날개 등이 확장 구성된 앵커들이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chors with an extended wedge wing or fixing wings have been proposed.
종래 확장형 앵커는 인장재의 인장 또는 네일봉의 회전시 날개가 확장 이동하여 정착되는 것으로, 2개의 날개를 동시에 확장 이동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정착헤드가 구성되므로 자재 증가에 의해 시공원가가 비싸고, 한 번의 작업으로 2개의 날개를 확장시켜야 하기 때문에 큰 힘의 인장기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extension anchors are fixed by the extension movement of the wings when the tension of the tension or rotation of the nail rod, because the separate fixing head is configured to expand and move the two wings at the same time, the city park is expensive due to the increase in material, in one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tension force of a large force is required because two wings must be expanded.
또한, 종래 소위 앵커, 네일링으로 불리는 지반 보강 장치는 적용 분야를 달리하고 있으며, 특히 종래에는 앵커와 네일링이 적용되지 못하는 지반(예를 들어 앵커는 20톤의 힘, 네일링은 10톤의 힘이 작용된다 할 때 10톤과 20톤 사이의 힘이 작용되는 지반)에 대해서는 보강할 수 없거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conventional so-called anchors, ground reinforcement devices called nailing is different in the field of application, in particular, the ground (for example, 20 tons of anchor, 10 tons of nailing is not applied to the anchor and nailing) When the force is applied to the ground (force is applied between 10 to 20 tons) can not be reinforced 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is low.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2개의 정착날개를 인장재와 직접 연결하여 별도의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정착날개를 직접 확장 이동시키고, 2개의 정착날개가 각각의 인장 작업에 의해 순차적으로 확장되어 적은 힘으로 작업할 수 있는 양방향 확장형 지반 보강 장치 및 이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directly connecting the two fixing blades with the tension member to move the fixing blades directly without using a separate material, the two fixing blades by each tension oper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idirectional expandable ground reinforcement device and a construction method which can be sequentially expanded to work with low force.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확장형 지반 보강 장치는, 지중의 앵커공에 삽입되며 내부에 채워지는 충진재를 통해 상기 앵커공에 밀착 지지되는 패커와; 상기 패커의 안쪽에 설치되어 상기 패커에 의해 지지된 확장 가이드와; 상기 확장 가이드의 전방에 설치되며 제1인장재의 인장에 의해 상기 확장 가이드를 따라 확장되어 상기 앵커공의 주변의 지반에 정착되는 제1정착날개와; 상기 제1정착날개의 전방에 설치되며 제2인장재의 인장에 의해 상기 제1정착날개를 따라 확장되어 상기 제1정착날개 반대쪽의 지반에 정착되는 제2정착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Bidirectional extended ground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acker is inserted into the anchor hole in the ground and tightly supported by the anchor hole through the filling material filled therein; An expansion guide installed inside the packer and supported by the packer; A first fixing wing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extension guide and extending along the extension guide by tension of the first tension member and fixed to the ground around the anchor hole; It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first fixing blad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fixing blade which is extended along the first fixing blade by the tension of the second tensile material and is fixed to the ground opposite the first fixing blade.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확장형 지반 보강 장치 및 이 시공 방법에 의하면, 제1,2정착날개가 제1,2인장재에 직접 연결되어 제1,2인장재의 인장시 제1,2정착날개가 다른 자재의 도움없이 직접 확장 이동됨에 따라 자재가 감소되어 제조 및 시공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idirectional extended ground reinforcement devic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anchoring blades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member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anchoring wing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 first and second anchoring members are tensioned. As they are moved directly and without assistance, the material is reduced,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and park costs.
그리고, 제1,2정착날개가 각각의 인장 작업을 통해 순차적으로 동작하여 2개를 동시에 인장할 때보다 적은 힘이 소요되므로 소형 인장기만으로도 인장이 가능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wings are sequentially operated through the respective tensioning operations, less force is required than when the two are simultaneously tensione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wings can be tensioned with only a small tensioner,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또한, 제1정착날개가 정착된 후 제2정착날개가 정착될 때 제2정착날개에 의해 제1정착날개가 더 확장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2정착날개의 정착력이 극대화되므로 지반 보강 장치로서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고, 지반을 안정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fixing wing is fixed after the first fixing wing is fixed, the first fixing wing may be further extended and moved by the second fixing wing, and thus, the fix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lades is maximized. The reliability as a reinforcement apparatus can be improved, and the ground can be reinforced stably.
본 발명에 의한 지반 보강 장치는, 종래 앵커와 네일링과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앵커와 네일링을 시공하지 못하는 지반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효용성이 매우 큰 이점이 있다.
The ground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ventional anchor and nailing, as well as can be used for the ground that can not be used to anchor and nailing, there is a great advantage in the utilit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확장형 지반 보강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확장형 지반 보강 장치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확장형 지반 보강 장치의 작동 상태도로서,
도 3은 제1정착날개가 정착된 상태이고,
도 4는 제2정착날개가 정착된 상태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idirectional extended ground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bidirectional expandable ground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bidirectional expandable ground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fixing wing is fixed,
4 i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ixing blade is fixed.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확장형 지반 보강 장치는, 지반에 정착되는 제1,2정착날개(10,20), 제1,2정착날개(10,20)를 각각 인장하는 인장재(30,40), 제1,2정착날개(10,20)를 직간접적으로 지지하는 확장 가이드(50), 확장 가이드(50)를 앵커공(1)에서 지지하는 패커(60)의 조립체로 구성된다.1 and 2, the bidirectional extended ground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anchoring wings (10, 20), the first and second anchoring wings (10, 20) fixed to the ground, respectively, Expansion guide (50) for directly or indirectly supporting the tension member (30, 40),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lades (10, 20), the packer (60) of supporting the expansion guide (50) in the anchor hole (1) It consists of an assembly.
제1정착날개(10)는 확장 가이드(50)와 연동하여 확장에 의해 정착되고 제2정착날개(20)는 제1정착날개(10)의 정착 후 제1정착날개(10)와의 연동에 의해 확장되어 2차로 정착되는 것이며, 이하의 설명을 통해 구체화한다.The
패커(60)는 내부가 중공인 밀봉체로서 내부에 충진제가 충진됨으로써 앵커공(1)의 벽면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제1,2인장재(30,40)의 인장시 확장 가이드(50)가 후방(지상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한다.The
패커(60)는 제1,2인장재(30,40)가 인장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재1,2인장재 관통공(61,62)이 구비된다. 제1,2인장재 관통공(61,62)은 전체적으로 직경이 동일한 원형일 수도 있으며, 또한, 제1,2인장재(30,40)와 제1,2정착날개(10,20)의 이동을 감안할 때 장공 내지 확장 가이드(50)를 향해 갈수록 직경이 장공 형태로 커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이유는 하기의 시공 방법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패커(60)는 충진제의 충진에 의해 팽창하는 모든 제품을 총칭하며, 상기 충진제 역시 시멘트 밀크 등과 같이 패커(60)를 팽창시킬 수 있는 모든 것을 총칭한다.
확장 가이드(50)는 제1정착날개(10)를 직접 지지 및 확장을 유도하고 또한 제1정착날개(10)를 통해 제2정착날개(20)를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제1,2인장재(30,40)가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홀을 갖는 원통형이면서 전면(제1정착날개(10) 대향면)에는 제1경사부(51)가 형성된다. 제1경사부(51)는 제1정착날개(10)의 후술하는 제2경사부(11)와 접한다.
The expansion guide 50 directly guides and expands the
제1정착날개(10)는 예를 들어 원형 단면이면서 제1인장재(30)가 고정되며 후면과 전면에 각각 제2,3경사부(11,12)가 형성된다. 제2경사부(11)는 확장 가이드(50)의 제1경사부(51)에 접하고 제3경사부(12)는 제2정착날개(20)의 후술하는 제4경사부(21)와 접한다.
For example, the
제2정착날개(20)는 예를 들어 원형 단면이면서 제2인장재(40)가 고정되고 후면에 제1정착날개(10)의 제3경사부(12)와 접하는 제4경사부(21)가 형성된다.
For example, the
도면에서는 제1,2정착날개(10,20)의 외주면이 평평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지반에 대한 정착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제1,2정착날개(10,20)의 외주면은 하나 이상의 돌기를 갖는 요철 구조일 수 있다.
Alth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제1,2정착날개(10,20)와 확장 가이드(50)의 경사부 중에서 서로 접하는 경사부(제1,2경사부(51,11), 제3,4경사부(12,21))에는 제1,2정착날개(10,20)의 확장시 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비틀림방지돌기와 홈이 구성될 수 있다.
Inclined portions (first and second
제1,2정착날개(10,20), 확장 가이드(50)의 재질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으며, 지중에서 부패와 부식되지 않으며 외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모든 재질이 가능하다.The materials of the first and
본 발명의 양방향 확장형 지반 보강 장치(100)는 조립체로서 설치되며, 제1,2정착날개(10,20)와 가이드(50)가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끈 등으로 묶여서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끈은 제1,2정착날개(10,20)의 확장시에는 절단되는 재질이나 구조로 이루어진다.
Bidirectional extended
도면 부호 70은 지면에 지지되는 수압판, 80은 수압판(70)에 설치되며 제1,2인장재(30,40)가 고정되는 지압판이며, 수압판(70)은 다수의 판형 블록이 돌기와 홈에 의한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확장형 지반 보강 장치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Bidirectional extended ground reinforcement devic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S10) 앵커공 형성.(S10) anchor hole formation.
사면 보강을 위하여 본 발명의 앵커(100)를 설치하며, 앵커(100)의 설치를 위하여 지중에 앵커공(1)을 형성한다. 앵커공(1)의 형성은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To install the
(S20) 양방향 확장형 지반 보강 장치 설치.(S20) Installation of bidirectional expandable ground reinforcement.
본 발명의 양방향 확장형 지반 보강 장치(100)를 앵커공(1)에 삽입하고, 수압판(70)과 지압판(80)을 설치한 후, 제1,2인장재(30,40)를 인장기에 각각 연결한다.
After inserting the bidirectional expandable
(S30) 패커 팽창.(S30) Packer Inflate.
제1,2정착날개(10,20)를 정착하기 위한 전 작업으로서, 제1,2인장재(30,40)의 인장시 가이드(50)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패커(60) 내부에 충진제를 충진한다.As a preliminary work for fixing the first and second fixing
상기 충진제를 충진하기 전에는 패커(60)가 수축 상태로서 앵커공(1)에 삽입할 때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며, 패커(60)에 연결된 주입관을 통해 상기 충진제를 충진하면 패커(60)가 팽창하게 되고, 상기 충진제가 상기 주입관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통해 상기 충진제의 충진을 확인할 수 있다. 패커(60)는 앵커공(1) 둘레부의 지반에 밀착됨으로써 앵커공(1)에 고정되어 가이드(50)가 지상측으로 밀리지 않돌고 지지한다.
Before the filler is filled, the
(S40) 1차 정착.(S40) 1st settlement.
제1정착날개(10)와 제2정착날개(20)는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정착되는 것으로 먼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1정착날개(10)를 정착시킨다.The
지상에서 제1인장재(30)를 인장하면 제1인장재(30)에 고정된 제1정착날개(10)가 확장 가이드(50)의 안내(제1,2경사부(51,11)의 경사)를 받아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확장되어 지반에 정착된다.When the first
제1인장재(30)의 인장에 의해 제1정착날개(10)가 확장됨에 따라 제1인장재(30)에 꺽임이 발생될 수 있으며, 패커(60)의 제1인장재 관통공(61)이 장공 또는 확장형이기 때문에 제1인장재(30)에 큰 꺽임이 일어나지 않는다. 제1정착날개(10)와 확장 가이드(50)가 끈으로 묶인 경우 상기 끈은 제1정착날개(10)의 확장에 의해 끊어지게 되어 제1정착날개(10)의 확장을 구속하지 않는다.
As the
(S50) 2차 정착.(S50) Secondary settlement.
(S40) 1차 정착 공정에 따르면, 제1정착날개(10)는 지반에 정착되어 있고, 제2정착날개(20)는 설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즉, 제2정착날개(20)는 제1정착날개(10)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다.According to the primary fixing step, the
제2정착날개(20)의 정착을 위하여 제2인장재(40)를 인장하면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2인장재(40)에 고정된 제2정착날개(20)가 지상으로 이동하며, 제2정착날개(20)의 제4경사부(21)가 제1정착날개(10)의 제3경사부(12)가 만나는 순간부터 제2정착날개(20)가 제1정착날개(10)의 제3경사부(12)의 안내를 받아 확장 이동하여 지반에 정착된다.When the
제1정착날개(10)는 지반에 정착된 상태이므로 제2정착날개(20)는 제1정착날개(10)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확장 이동한다. 한편, 제2정착날개(20)의 확장 이동시 제1정착날개(10)도 확장 이동할 수 있으며, 제2정착날개(20)의 확장시 제1정착날개(10)가 확장하더라도 정착력에는 문제가 없으며 제1정착날개(10)의 추가 정착에 의해 제2정착날개(20)도 확장 이동이 커지게 되므로 전체적인 정착력을 크게 할 수 있다.Since the
제1,2정착날개(10,20)는 별개의 인장 작업에 의해 확장 이동함에 따라, 제1,2정착날개(10,20)를 함께 인장할 때보다 적은 힘으로 인장할 수 있다.As the first and
(S60) 그라우팅.(S60) Grouting.
그라우팅이 필요한 경우 앵커공(1)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앵커공(1)을 그라우팅한다.
If grouting is required, grout the
이와 같이 시공된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확장형 지반 보강 장치(100)는 설치 후 제1,2정착날개(10,20)를 지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외력이 발생될 경우 제1,2정착날개(10,20)가 확장 가이드(50) 또는 제1정착날개(10)를 통해 확장하게 되어 정착력이 점점 더 커지게 되므로 앵커공(1)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The bidirectional extended
10,20 : 제1,2정착날개,
11,12,21,51 : 경사부,
30,40 : 제1,2인장재,
50 : 확장 가이드,
60 : 패커10,20: 1st, 2nd fixed wing,
11,12,21,51: inclined portion,
30,40: First and second tensile material,
50: expansion guide,
60: packer
Claims (4)
상기 패커의 안쪽에 설치되어 상기 패커에 의해 지지된 확장 가이드(50)와;
상기 확장 가이드의 전방에 설치되며 제1인장재(30)의 인장에 의해 상기 확장 가이드를 따라 확장되어 상기 앵커공의 주변의 지반에 정착되는 제1정착날개(10)와;
상기 제1정착날개의 전방에 설치되며 제2인장재(40)의 인장에 의해 상기 제1정착날개를 따라 확장되어 상기 제1정착날개 반대쪽의 지반에 정착되는 제2정착날개(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확장형 지반 보강 장치.
A packer 60 inserted into the anchor hole in the ground and tightly supported by the anchor hole through a filler filled therein;
An expansion guide 50 installed inside the packer and supported by the packer;
A first fixing blade 10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extension guide and extending along the extension guide by tension of the first tension member 30 and fixed to the ground around the anchor hole;
Including the second fixing blade 20 which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first fixing blade and is extended along the first fixing blade by the tension of the second tensile material 40 and is fixed to the ground opposite to the first fixing blade 40 Bidirectional extended ground reinforc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pansion guide has a first inclined portion 51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 fourth inclined portion 21 is formed on the rear of the second fixing blade, the rear and front of the first fixing blade The second and third inclined portions 11 and 12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fourth slope portions are formed, whereby the first fixing w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lope portions when the first tensile material is tensioned. Is expanded, and the second anchoring wings are expanded through the third and fourth inclined portions when the second tension member is tensioned.
상기 제1단계에 의해 형성된 앵커공에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양방향 확장형 지반 보강 장치를 삽입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설치된 양방향 확장형 지반 보강 장치의 패커를 팽창시켜 상기 확장 가이드를 고정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양방향 확장형 지반 보강 장치의 제1인장재를 인장하여 상기 제1정착날개가 상기 확장 가이드를 통해 확장시켜 1차로 정착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이후 상기 양방향 확장형 지반 보강 장치의 제2인장재를 인장하여 상기 제2정착날개가 상기 제1정착날개를 통해 확장시켜 2차로 정착시키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확장형 지반 보강 장치 시공 방법.
A first step of forming an anchor hole in the ground;
A second step of inserting the bidirectional expandable ground reinforcement device of claim 1 or 2 into the anchor hole formed by the first step;
A third step of expanding the packer of the bidirectional extended ground reinforcement device installed through the second step to fix the expansion guide;
A fourth step of tensioning the first tensile material of the bidirectional expandable ground reinforcement device after the third step so that the first anchoring blade is expanded through the extension guide and first settled;
And a fifth step of tensioning the second tensile material of the bidirectional expandable ground reinforcing device after the fourth step so that the second anchoring blade is expanded through the first anchoring wing to fix the second anchoring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ment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2787A KR101030341B1 (en) | 2010-12-22 | 2010-12-22 | Bidirectional extended ground reinforcement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2787A KR101030341B1 (en) | 2010-12-22 | 2010-12-22 | Bidirectional extended ground reinforcement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30341B1 true KR101030341B1 (en) | 2011-04-19 |
Family
ID=4405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2787A Active KR101030341B1 (en) | 2010-12-22 | 2010-12-22 | Bidirectional extended ground reinforcement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034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1983B1 (en) * | 2019-06-17 | 2020-01-31 | 시지엔지니어링(주) | Micro-pile with expandable anchor |
KR102530875B1 (en) * | 2022-12-20 | 2023-05-10 | (주) 홍영 | Compression type permanent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29821B2 (en) * | 2002-02-28 | 2004-05-04 | Karl Guthrie | Expansion bolt |
KR100680113B1 (en) | 2006-08-25 | 2007-02-08 | (주) 경화엔지니어링 | Slope reinforcement wedge anchors on roads and complexes |
KR100880690B1 (en) | 2008-05-22 | 2009-01-28 | 박이근 | Ground anchor and anchor method using the same |
-
2010
- 2010-12-22 KR KR1020100132787A patent/KR10103034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29821B2 (en) * | 2002-02-28 | 2004-05-04 | Karl Guthrie | Expansion bolt |
KR100680113B1 (en) | 2006-08-25 | 2007-02-08 | (주) 경화엔지니어링 | Slope reinforcement wedge anchors on roads and complexes |
KR100880690B1 (en) | 2008-05-22 | 2009-01-28 | 박이근 | Ground anchor and anchor method using the sam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1983B1 (en) * | 2019-06-17 | 2020-01-31 | 시지엔지니어링(주) | Micro-pile with expandable anchor |
KR102530875B1 (en) * | 2022-12-20 | 2023-05-10 | (주) 홍영 | Compression type permanent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1123B1 (en) | Tunnel construction method by using pre-support and post-support, and suitable device therefor | |
KR100598024B1 (en) | Wedge anchor | |
KR100847358B1 (en) | Compression permanent anchor | |
KR101605028B1 (en) | Structure of Permanent Anchor | |
US9284114B2 (en) | Method of construction of prestressed concrete panel wall liquid storage tank and tank so constructed | |
KR101510297B1 (en) | A removable prestressing steel pipe soil nailing structure | |
KR100986548B1 (en) | Slope reinforcing earth anchor and earth ancho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20170061061A (en) | Tunnel construction method by using pre-support and post-support, and suitable device therefor | |
KR20170061060A (en) | Tunnel construction method by using pre-support and post-support, and suitable device therefor | |
KR100797800B1 (en) | Tip anchorage of permanent anchor | |
KR101059945B1 (en) | Multi-level compression anchors and their construction method | |
KR100746879B1 (en) | Acupressure permanent anchor | |
KR100680113B1 (en) | Slope reinforcement wedge anchors on roads and complexes | |
KR100912482B1 (en) | Double winged anchor | |
KR101030341B1 (en) | Bidirectional extended ground reinforcement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017412B1 (en) | Tribological permanent ancho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EP3907331B1 (en) | Hybrid anchor | |
CN100580193C (en) | The basic structure of the tower | |
KR100871467B1 (en) | Acupressure ancho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2006016893A (en) | Shear reinforcement method for existing structures | |
KR100746593B1 (en) | Temporary earth wall support method using support line and preloaded beam | |
CN113605934B (en) | Reinforced structure for preventing tunnel uphill from slipping dow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054994B1 (en) | Cylindrical wedge anchor for reinforcing the ground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
KR101000569B1 (en) | Slope reinforcement nailing of roads and complexes and slope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547320B1 (en) | Structure of Permanent Anch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2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11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8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90115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