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29231B1 - 풋 브레이크용 토션 스프링 - Google Patents

풋 브레이크용 토션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231B1
KR101029231B1 KR1020090023027A KR20090023027A KR101029231B1 KR 101029231 B1 KR101029231 B1 KR 101029231B1 KR 1020090023027 A KR1020090023027 A KR 1020090023027A KR 20090023027 A KR20090023027 A KR 20090023027A KR 101029231 B1 KR101029231 B1 KR 101029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sion spring
pedal
foot brake
elastic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543A (ko
Inventor
권오광
박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득인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득인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득인기공
Priority to KR1020090023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231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6/00Mode of stressing of basic spring or damper elements or devices incorporating such elements
    • F16F2236/08Tor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 F16F2238/024Springs torsi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중장비에 사용되는 풋 브레이크용 페달플레이트에 페달을 연결하여 회동하도록 하는 연결핀에 고정되어 회동하는 페달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켜주는 토션 스프링으로 중심부에 고정부를 형성하고 양측으로 권선된 탄성부와 걸림부를 대칭이 되도록 일체로 형성한 풋 브레이크용 토션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즉 중장비에 사용되어지는 풋 브레이크에 적용하고자 본 발명은 일정한 선경을 유지하는 철선을 원통의 외면을 감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감긴 탄성부(10) 양측 끝단부에 고정부와 걸림부를 일체로 돌출하여 유지하는 토션 스프링에 있어서, 중심부에 좌우로 일정길이를 유지하는 고정부(11)의 양측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원통의 외면을 감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감긴 복수의 탄성부(10)와 상기 각각의 탄성부(10)의 끝단을 접선 방향으로 돌출한 걸림부(12)를 각각 대칭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토션 스프링, 중장비, 풋 브레이크, 탄성부, 페달

Description

풋 브레이크용 토션 스프링{foot brake for torsion spring}
본 발명은 풋 브레이크용 토션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중장비에 사용되는 풋 브레이크용 페달플레이트에 페달을 연결하여 회동하도록 하는 연결핀에 고정되어 회동하는 페달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켜주는 토션 스프링으로 중심부에 고정부를 형성하고 양측으로 권선된 탄성부와 걸림부를 대칭이 되도록 일체로 형성한 풋 브레이크용 토션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바인이나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에 사용되는 풋 브레이크는 주로 휠타입(WHEEL TYPE)으로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며 중장비가 정지시 렛치로 페달을 고정하는 브레이크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즉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 상부에 페달판를 형성하여 그 상부로 페달을 연결핀 외경에 페달 하단에 구성되는 걸림편과 토션 스프링을 구비하여 연결핀을 중심으로 페달이 회동하도록 하되 페달의 상부에서 압력을 가하여 하강시키면 걸림편이 밸브의 바디 내경에 삽입되어 상부가 돌출한 홀더 상부를 눌러 브레이크가 작동하도록 하며, 상기 페달에 가해진 압력을 해지하면 연결편에 구비된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페달을 상승시켜서 밸브가 해지되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한다.
또한 페달판의 일측에 렛치를 회동하도록 구성하여 페달이 하강시 렛치의 고정편이 상기 걸림편의 일측 상단부에 걸림되어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지하여도 렛치가 고정편을 고정하여 밸브의 바디 내경에 홀더를 계속 눌러 브레이크가 지속적으로 작동하도록 하여 중장비를 필요에 따라 장시간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하는 구조로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때, 통상의 토션 스프링(1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의 외면을 감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감긴 탄성부(10a)의 일측 끝단을 접선방향으로 돌출하여 고정부(11a)를 형성하고 상기 탄성부(10a) 타측 끝단을 접선방향에서 토션 스프링(1a) 길이방향으로 절곡하여 돌출되도록한 걸림부(12a)를 형성하여 구성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통상의 토션 스프링(1a)은 상기의 연결핀의 일측 외경에 탄성부(10a)가 감긴상태를 유지하면서 걸림부(12a)가 걸림편에 밀착되고 고정부(11a)가 페달판에 구비한 고정편에 밀착되도록 하여 페달판에 연결핀으로 연결되어 연결핀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페달이 토션 스프링(1a)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상부로 복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토션 스프링(1a)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만 압력을 받게 됨에 따라 토션 스프링(1a)을 장시간 사용시 비틀림응력에 의해 탄성력이 감소하거나 토션 스프링(1a)에 가압이 걸리면 토션 스프링(1a) 자체가 파손 및 손상되어 풋 브레이크 자체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반복적인 사용에 따라 토션 스프링(1a)에 페달이 한쪽으로만 압력을 받아 사용상 불편할 뿐만 아니라 토션 스프링(1a)의 탄성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토션 스프링(1a)의 선경을 크게하여야 하지만 이때, 토션 스프링(1a)에 가해지는 가압에 따른 탄성력이 강해짐은 물론 가압력에 따른 탄성력이 급격하게 달자지게 되므로 브레이크 기능이 저하되어 안전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어 사용이 불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음에도 중장비용 풋 브레이크를 생산하는 생산업체나 중장비를 조립하는 취급처에서는 이에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일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토션 스프링을 구성하는 선경을 최소화 하면서도 본체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변화하더라도 일정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에 장착할 경우도 페달의 작동에 따라 토션 스프링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양측으로 동일하게 분할되어 탄성력이 유연하게 전달함에 따라 페달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면서 페달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중장비용 풋 브레이크를 제공하여 위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장비에 사용되어지는 풋 브레이크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토션 스프링에 있어서;
중심부에 일정길이를 유지하는 고정부(11)의 양측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원통의 외면을 감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감긴 탄성부(10)와 상기 탄성부(10)의 끝단을 접선 방향으로 돌출한 걸림부(12)를 각각 대칭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풋 브레이크용 토션 스프링은 탄성부를 대칭이되도록 형성하여 토션 스프링을 이중으로 설치한 것과 같은 효율을 가지면서도 일체로 되어 브레이크에 장착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토션 스프링을 구성하는 선경을 최소화 하면서도 탄성부 자체에 탄성력과 응력이 상승하도록 함에 따라 토션 스프링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변화하더라도 일정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브레이크에 장착할 경우도 페달의 작동에 따라 토션 스프링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양측으로 동일하게 분할되어 탄성력이 유연하게 전달함에 따라 페달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면서 페달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토션 스프링의 손상이나 파손을 최소화하여 풋 브레이크 자체의 기능향상과 수명연장에 확연한 효과가 예상되어 브레이크에 물류산업에 요긴하게 적용하여 사용될 그 기대되는 바가 매우 큰 발명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적용하는 풋 브레이크는 종래의 통상적인 공지의 구성임으로 구체적인 내용과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어 그 상세한 기술과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중장비에 사용되어지는 풋 브레이크(100)에 적용하고자 본 발명은 일정한 선경을 유지하는 철선을 원통의 외면을 감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감긴 탄성부(10) 양측 끝단부에 고정부와 걸림부를 일체로 돌출하여 유지하는 토션 스프링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좌우로 일정길이를 유지하는 고정부(11)의 양측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원통의 외면을 감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감긴 복수의 탄성부(10)와 상기 각각의 탄성부(10)의 끝단을 접선 방향으로 돌출한 걸림부(12)를 각각 대칭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토션 스프링을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2) 상부에 페달판(3)를 형성하고 그 상부로 하단 중심부에 걸림편(6)을 구비한 페달(4)을 구성하며, 걸림편(6)이 페달판(3) 상부에 구성한 연결핀(5)에 장착되어 페달(4)이 연결핀(5)을 중심으로 페달판(3)에서 회동하도록 하므로 페달(4)의 상부에서 압력을 가하여 하강시키면 걸림편(6)이 밸브(2)의 내경에 삽입되어 상부가 돌출한 홀더(7) 상부를 눌러 브레이크가 작동하도록 하는 통상의 풋 브레이크(100)의 연결핀(5)에 장착고정하는 것으로써, 상기 연결핀(5) 외경에 복수의 탄성부(10)가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체결하되 중심부에 형성한 고정부(11)가 상기 걸림편(6) 하단에 밀착되고 대칭으로 형성된 복수의 걸림부(12)가 상기 페달판(3) 상부에 돌출된 고정판(3a)에 각각 밀착되도록 장착하여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페달판(3)의 일측에 렛치(8)를 회동하도록 구성하여 페달(4)이 하강시 렛치(8)의 고정편(8a)이 상기 걸림편(6)의 일측 상단부에 걸림되어 페달(4)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지하여도 렛치(8)가 고정편(8a)을 고정하여 밸브(2)의 내경에 홀더(7)를 계속눌러 브레이크가 지속적으로 작동하도록 하여 중장비를 필요에 따라 장시간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하는 구조로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토션 스프링(1)이 장착된 풋 브레이크(100)는 상기에 기술한 바와같이 복수의 탄성부(10)가 연결핀(5) 외경에 대칭으로 체결되어 중심부에 형성한 고정부(11)가 페달(4)의 걸림편(6)에 밀착되고, 양측 끝단부에 대칭으로 돌출한 걸림부(12)가 페달판(3) 상부에 돌출된 고정판(3a)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도 2의 (가)와 도 3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탄성부(10)에서 발생하는 탄성력으로 인해 페달(4)이 페달판(3) 상부에서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이 중장비의 풋 브레이크(100)에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장착 구성된 상태에서 중장비의 고정을 위해 운전자가 풋 브레이크의 페달(4)을 밟을 경우 페달(4)이 연결핀(5)을 기준으로 페달(4)과 걸림편(6)이 회동하면서 하강하게 되므로 도 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6) 하단에 홀더(7) 상부를 눌러 벨브(2)를 작동하여 중장비의 바퀴가 브레이크작동에 의해 고정하게 된다.
이때, 걸림편(6)의 회동량 만큼 토션 스프링(1)이 고정부(11)가 걸림부(12)를 기준으로 하여 탄성부(10)를 압축하면서 회동하게 됨에 따라 탄성부(10)의 압축량에 비례하여 탄성력이 강해지므로 운전자는 페달(4)에 토션 스프링(1)의 탄성력보다 강한 압력을 가해야 하므로 토션 스프링(1)에 발생하는 압력에 대한 반발력을 탄성력으로 유지해야 하는 토션 스프링(1)의 특성상 하나의 탄성부(10) 보다는 복수의 탄성부(10)를 형성하는 것이 페달(4)에 가하는 압력이 탄성부(10)의 압축량에 따른 탄성력이 유사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탄성부(10)를 복수로 형성하여 중심부에 형성된 고정부(11)가 페달(4) 중심 하단에 구비되는 걸림편(6) 하단에 밀착되고 탄성부(10) 양측 끝단에 형성된 걸림부(12)가 페달판(3) 상단 양측에 형성한 고정판(3a)에 밀착되도록 함으 로써, 양측 걸림부(12)를 중심으로 걸림편(6)에 의해 회동하는 고정부(11)의 회동량에 따라 압축되는 탄성부(10)가 양측으로 대칭되어 있어 동일한 압력으로 동시에 압축되므로 복수의 탄성부(10)로 인해 외부압력이 분산됨은 물론 페달판(3) 상부에서 회동하는 페달(4)이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회동중간에 별도의 외부압력없이 균일하고 안정되게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페달판(3)의 일측에 렛치(8)를 회동하도록 구성하여 페달(4)이 하강시 렛치(8)의 고정편(8a)이 상기 걸림편(6)의 일측 상단부에 형성한 걸림홈(6a)에 걸림되어 페달(4)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지하여도 렛치(8)가 고정편(8a)을 고정하여 밸브(2)의 내경에 홀더(7)를 계속 눌러 브레이크가 지속적으로 작동하도록 하여 중장비를 필요에 따라 장시간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하는 구조이므로 복수의 탄성부(10)로 인해 토션 스프링(1) 자체에 가해지는 압력이 분산되어 균일하게 유지되므로 장기간 토션 스프링(1)의 탄성부(10)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더라고 렛치(8)를 작동하여 토션 스프링(1)을 압축하는 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부(10)의 탄성력으로 페달(4)을 기울어짐 없이 상부로 안정되게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외부의 압력을 복수의 탄성부(10)로 흡수하여 탄성부(10) 자체에 가해지는 가압을 최소화하여 탄성부(10)의 탄성력을 신속하게 복원하여 토션 스프링(1)의 수명단축을 최소화 할 뿐만 아니라 안정되고 균일한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는 구조로써, 상기에서 기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통상의 풋 브레이크(100)에 적용하여 사용함에 따라 페달의 작동으로 토션 스프링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양측으로 동일하게 분할되어 탄성력이 유연하게 전달함에 따라 페달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면서 페달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토션 스프링의 손상이나 파손을 최소화하여 풋 브레이크(100) 자체의 기능향상과 수명연장에 확연한 효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의 (가)(나)는 본 발명의 토션 스프링이 장착된 풋 브레이크의 작동상태단면 예시도.
도 3의 (가)(나)는 본 발명의 토션 스프링이 장착된 풋 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 예시도.
도 4는 종래의 통상적인 풋 브레이크용 토션 스프링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토션 스프링 2: 밸브
3: 페달판 3a: 고정판
4: 페달 5: 연결핀
6: 걸림편 7: 홀더
8: 렛치 8a: 고정편
10: 탄성부 11: 고정부
12: 걸림부

Claims (1)

  1. 일정한 선경을 유지하는 철선을 원통의 외면을 감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감긴 탄성부 양측 끝단부에 고정부와 걸림부를 일체로 돌출하여 유지하는 통상의 풋 브레이크용 토션 스프링에 있어서;
    중심부에 좌우로 일정길이를 유지하는 고정부(11)의 양측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원통의 외면을 감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감긴 복수의 탄성부(10)와 상기 각각의 탄성부(10)의 끝단을 접선 방향으로 돌출한 걸림부(12)를 각각 대칭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브레이크용 토션 스프링.
KR1020090023027A 2009-03-18 2009-03-18 풋 브레이크용 토션 스프링 KR101029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027A KR101029231B1 (ko) 2009-03-18 2009-03-18 풋 브레이크용 토션 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027A KR101029231B1 (ko) 2009-03-18 2009-03-18 풋 브레이크용 토션 스프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543A KR20100104543A (ko) 2010-09-29
KR101029231B1 true KR101029231B1 (ko) 2011-04-18

Family

ID=4300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027A KR101029231B1 (ko) 2009-03-18 2009-03-18 풋 브레이크용 토션 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2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824B1 (ko) 2013-03-19 2014-10-06 밀레시스텍(주) 디지털 도어락의 비상개방수단 개폐유닛
CN106438797A (zh) * 2016-11-30 2017-02-22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沈阳飞机设计研究所 一种扭转弹簧组件及多扭转弹簧的扭转弹簧组件
KR102095914B1 (ko) 2019-12-06 2020-04-03 주식회사 득인기공 응답성과 안정성이 개선되는 차량용 풋 브레이크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4947B (zh) * 2020-01-18 2021-03-19 西南交通大学 一种用于边坡柔性防护系统的簧式屈服型耗能器及设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9946A (en) 1982-07-12 1984-04-03 Altier Anthony L Booster springs for coil spring trap
GB2251289A (en) 1990-12-28 1992-07-01 Nhk Spring Co Ltd Pedal parking brake with coil spring locking and releasing mechanism
JP2005299312A (ja) 2004-04-15 2005-10-27 Nifco Inc ダンパー付スプリングユニット及び開閉装置
KR100580503B1 (ko) 2004-06-09 2006-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페달의 스프링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9946A (en) 1982-07-12 1984-04-03 Altier Anthony L Booster springs for coil spring trap
GB2251289A (en) 1990-12-28 1992-07-01 Nhk Spring Co Ltd Pedal parking brake with coil spring locking and releasing mechanism
JP2005299312A (ja) 2004-04-15 2005-10-27 Nifco Inc ダンパー付スプリングユニット及び開閉装置
KR100580503B1 (ko) 2004-06-09 2006-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페달의 스프링 지지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824B1 (ko) 2013-03-19 2014-10-06 밀레시스텍(주) 디지털 도어락의 비상개방수단 개폐유닛
CN106438797A (zh) * 2016-11-30 2017-02-22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沈阳飞机设计研究所 一种扭转弹簧组件及多扭转弹簧的扭转弹簧组件
KR102095914B1 (ko) 2019-12-06 2020-04-03 주식회사 득인기공 응답성과 안정성이 개선되는 차량용 풋 브레이크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543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231B1 (ko) 풋 브레이크용 토션 스프링
US6920965B2 (en) Spot-type disc brake with a spring assembly for a brake pad
WO2007014452A1 (en) Wheel brake caliper with brake pad roller guides
CA1110556A (en) Friction pad assemblies for disc brakes
KR20110060243A (ko) 디스크 브레이크
WO2019061464A1 (zh) 用于锁定机械张紧器的弹簧的锁定销和机械张紧器
RU2398982C2 (ru) Фрикционный элемент и дисковый тормоз
WO2011004424A1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制動装置
CN215487347U (zh) 一种失电式制动器的释放手柄及失电式制动器
KR20100126971A (ko) 캘리퍼 패드 스프링
TWI724255B (zh) 紡車式捲線器的轉子制動裝置
EP1672239B1 (en) Retention spring for brake pressure pads
KR100870024B1 (ko) 캘리퍼 어셈블리의 패드 스프링 고정 구조
KR20110063892A (ko) 디스크 브레이크
JP6463473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の鋳鉄でつくられたブレーキキャリパー
KR20180059082A (ko) 모노블럭 캘리퍼 브레이크
CN212959616U (zh) 一种盘式制动器的单推杆式传动部件和盘式制动器
CN218593737U (zh) 包布机卷轴
CN216478566U (zh) 一种新型自调机构总成
KR940002967Y1 (ko) 디스크 브레이크용 패드의 간격유지장치
KR20100097289A (ko) 차량용 디스크브레이크
CN2320641Y (zh) 全自动洗衣机制动抱簧
KR20100126974A (ko) 디아이에이치 주차 브레이크의 슈 고정장치
JP2003014012A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のパッド取り付け構造
TWI312751B (en) Disc brake cali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4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