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28916B1 - 의료용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916B1
KR101028916B1 KR1020080112366A KR20080112366A KR101028916B1 KR 101028916 B1 KR101028916 B1 KR 101028916B1 KR 1020080112366 A KR1020080112366 A KR 1020080112366A KR 20080112366 A KR20080112366 A KR 20080112366A KR 101028916 B1 KR101028916 B1 KR 101028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tube
vacuum
negative pressure
exudates
suctio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3310A (ko
Inventor
유현승
박준규
어철호
홍준표
박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웅제약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웅제약,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웅제약
Priority to KR1020080112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916B1/ko
Publication of KR20100053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44Measuring or controlling pressure at the body treatment si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튜브에 연결된 흡입헤드를 갖는 의료용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삼출물을 저장하는 배출통; 상기 배출통으로 삼출물의 배출을 안내하기 위한 드레인 튜브; 중앙에 연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 패드와 접촉하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삼출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복수개의 단일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삼출물을 상기 연통구멍으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내채널을 갖는 플랜지부와, 일단이 상기 플랜지부의 연통구멍에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드레인 튜브와 연결시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되는 연결관을 구비하여 상기 드레인 튜브의 일측에 마련된 흡입헤드; 및 펌핑용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펌핑동작에 의해 부압을 발생하고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진공발생부를 구비하여 상기 드레인 튜브의 타측에 마련된 진공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흡입장치, 흡입헤드, 드레인 튜브, 진공발생장치

Description

의료용 흡입장치{Medical S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의료용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튜브에 연결된 흡입헤드를 갖는 의료용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의 병실이나 수술실 등의 벽체에는 진공 펌프 등과 연결되는 흡입라인이 내장되어 설치되고, 이러한 상기 흡입라인에 밸브를 개폐하여 흡입압력을 조절하거나 흡입된 대상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의료용 흡입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의료용 흡입장치는, 크게 상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와 조립되는 하부 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부 케이스는 일측에 흡입라인과 연결되는 노즐이 형성되고, 타측에 대상물을 빨아들이는 흡입관이 형성되며, 상측에 흡입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밸브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 용기는 흡입관을 통해 빨아들인 대상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방이 개방된 오목한 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부 케이스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이러한, 종래의 하부 용기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조립 방식은, 매우 단순한 구성으로서, 상부 케이스의 하면과 하부 용기의 주연부에 각각 서로 비틀림 결합되 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비틀림식 결합방식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상부 케이스의 하면과 하부 용기의 주연부에 각각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걸림쇠와 걸림레버를 설치하여 레버 당김/풀림식 탈착방식으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비틀림식이나 레버 당김/풀림식 방법은, 상부 케이스로부터 하부 용기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사용자가 한 손으로 하부 용기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하부 용기를 비틀거나, 레버를 당기거나 푸는 등 반드시 사용자의 두 손이 필요하게 되고, 비틀거나 당기는 동작이 번거로워서 사용을 불편하게 하는 것은 물론, 조작의 실수로 대상물을 쏟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흡입장치는 또한, 외과에서는 상처부위의 치유를 촉진시킬 목적으로 부압을 이용한 치료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부압을 이용한 상처부위의 치료를 위해서, 감염을 감소시키고 절개부 주위 피부의 용이한 처리를 위한 외과용 드레이프(surgical drape)와 오픈 셀 폴리머(open cell polymer)로 이루어진 다공성 패드를 통해 시술하였다.
이와 같은 부압을 이용한 진공유도치료 프로세스는 텍사스 주 샌 안토니오의 키네틱 컨셉 회사(Kinetic Concepts, Inc.)와 상업적으로 이용된 V.A.C.(Vacuum Assisted Closure) 제품라인에 의하여 최근에 대중화되었다. 이러한 진공유도치료 프로세스는, 미국특허 제4,969,880호, 미국특허 제5,100,396호, 미국특허 제5,261,893호 및 미국특허 제5,527,293호에 각각 개시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진공유도치료 프로세스의 개선사항과 수정사항들이 미국특허 제5,636,643호, 미국특허 제5,645,081호, 미국특허 제6,142,98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부압을 이용한 치료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처부위에 부착되는 다공성 패드를 부착하고 다공성 패드와 상처부위를 함께 덮도록 외과용 드레이프를 부착하여 상처부분을 밀폐시킨다. 이렇게 상처부위가 밀폐된 상태에서 드레인 튜브의 일단을 다공성 패드에 직접 삽입시키고 드레인 튜브 타단에 연결된 진공발생장치를 구동시켜 드레이프 내측에 부압을 발생시키면, 상처에서 배출되는 삼출물이 다공성 패드로 흡수되어 드레인 튜브로 배출됨으로써 상처가 봉합된다. 이 경우, 다공성 패드는 상처 표면과 드레이프 간에 소정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드레이프 내측에 부압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삼출물이 드레인 튜브를 통해 원활하게 빠져나가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런데, 이와 같이 드레인 튜브를 다공성 패드에 직접 삽입시킬 경우, 드레인 튜브의 끝 부분과 가까운 상처 부위의 삼출물은 원화하게 흡수되는 반면, 드레인 튜브의 끝 부분으로부터 원거리에 있는 삼출물은 원활하게 드레인 튜브로 흡입되지 못해 부압에 의한 상처 봉합 치료가 더디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특허등록 제516,28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처부위로부터 삼출물의 흡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흡입헤드가 제시된 바 있다. 흡입헤드는 다공성 패드 상측에 압착된 플랜지부와 그 상측에는 드레인 튜브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플랜지부의 저면에는 연결관으로 다공성 패드에 흡수된 삼출물을 원활하게 안내하도록, 유체흐름을 촉진하는 유동채널을 규정하는 대략 반구형의 여러 돌출부가 간격을 두고 분포되어 있다. 이 경우, 흡입헤드는 다공성 패드의 개방된 면과 환자의 피부에 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하여 박형의 가용성 접착제 코팅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외과용 드레이프와 조합하여 사용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흡입헤드는 여러 개의 반구형 돌출부가 음압이 집중되는 중심부에 불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공성 패드의 곳곳에서부터 연결관으로 안내되는 유로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연결관 주위로 갈수록 유로가 한곳으로 몰리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는 삼출물을 연결관으로 이동시키는 데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여 삼출물을 원활하게 드레인 튜브로 배출하기 어려웠고 이로 인해 부압을 이용한 치료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흡입장치의 흡입헤드는, 연결관에 드레인 튜브를 연결시킨 후 환자가 움직이게 되면 쉽게 분리되는 경우가 잦았으며, 이로 인해 상처가 실내 공기에 노출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세균 등에 상처 부위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어, 이 경우 의료진은 즉시 새로운 흡입헤드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흡입헤드와 드레인 튜브를 접착제 등으로 완전 고정을 하였는데, 이 경우 드레이프로 흡입헤드를 상처부위에 고정할 때 드레인 튜브 때문에 드레이프를 흡입헤드에 완전히 밀착시킬 수 없으며, 이로 인해 드레이프 내측에 설정된 부압이 발생하지 못하게 되어 삼출물의 제거가 어렵고 따라서 상처의 회복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흡입헤드를 사용하는 흡입장치의 진공발생장치는 대부분 전동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기가 커져 휴대하여 사용하기 불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공성 패드에 흡수된 삼출물을 드레인 튜브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드레인 튜브와 흡입헤드의 연결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는 흡입헤드를 구비하고, 휴대가 용이하도록 소형화가 가능하며 수동식 간편 조작으로 압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진공상태를 유지하기가 용이한 의료용 흡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흡입장치는 부압을 이용해 외과용 드레이프에 의해 밀폐된 상처부위에 부착한 다공성 패드에 흡수된 삼출물을 배출하기 위한 의료용 흡입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연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 패드와 접촉하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삼출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복수개의 단일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삼출물을 상기 연통구멍으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내채널을 갖는 플랜지부와, 일단이 상기 플랜지부의 연통구멍에 연통된 연결관을 구비하는 흡입헤드; 상기 흡입헤드의 연결관에 일단이 연결된 드레인 튜브; 상기 드레인 튜브의 타단에 연결되며, 펌핑용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펌핑동작에 의해 부압을 발생하고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진공발생부를 구비하는 진공발생장치: 및 상기 진공발생장치와 드레인 튜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부압에 따라 배출되는 삼출물이 저장되는 배출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의료용 흡입장치는 부압을 이용해 외과용 드 레이프에 의해 밀폐된 상처부위에 부착한 다공성 패드에 흡수된 삼출물을 배출하기 위한 의료용 흡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패드에 부착되며 하부면에 다수의 안내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삼출물을 중앙에 형성된 연통구멍으로 안내하는 흡입헤드; 상기 흡입헤드에 일단이 연결된 드레인 튜브; 상기 드레인 튜브의 타단에 연결되며, 펌핑용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펌핑동작에 의해 부압을 발생하고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진공발생부를 구비하는 진공발생장치; 및 상기 진공발생장치와 드레인 튜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부압에 따라 배출되는 삼출물이 저장되는 배출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의료용 흡입장치는 부압을 이용해 외과용 드레이프에 의해 밀폐된 상처부위에 부착한 다공성 패드에 흡수된 삼출물을 배출하기 위한 의료용 흡입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연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 패드와 접촉하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삼출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복수개의 단일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삼출물을 상기 연통구멍으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내채널을 갖는 플랜지부와, 일단이 상기 플랜지부의 연통구멍에 연통된 연결관을 구비하는 흡입헤드; 상기 흡입헤드의 연결관에 일단이 연결된 드레인 튜브; 상기 드레인 튜브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드레인 튜브를 통해 상기 흡입헤드로 부압을 전달하기 위한 진공발생장치; 및 상기 진공발생장치와 드레인 튜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부압에 따라 배출되는 삼출물이 저장되는 배출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의료용 흡입장치는 부압을 이용해 외과용 드레이프에 의해 밀폐된 상처부위에 부착한 다공성 패드에 흡수된 삼출물을 배출하 기 위한 의료용 흡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패드에 부착되며 하부면에 다수의 안내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삼출물을 중앙에 형성된 연통구멍으로 안내하는 흡입헤드; 상기 흡입헤드에 일단이 연결된 드레인 튜브; 상기 드레인 튜브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드레인 튜브를 통해 상기 흡입헤드로 부압을 전달하기 위한 진공발생장치; 및 상기 진공발생장치와 드레인 튜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부압에 따라 배출되는 삼출물이 저장되는 배출통을 포함한다.
흡입장치는 상기 드레인 튜브 상에 진공상태의 게이지압을 보여주기 위한 게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흡입장치는 연결관의 타단 내주와 상기 드레인 튜브의 외주 일단에는 상호 체결되는 암/수톱니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암/수톱니부는 상기 드레인 튜브를 상기 연결관에 삽입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경사 형성된다.
진공발생부는 장치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체결되는 원통형 실린더와, 상기 원통형 실린더의 내부에 피스톤 운동하는 피스톤수단과, 상기 피스톤수단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원통형 실린더의 끝단에 상기 드레인 튜브와 연결하기 위한 튜브연결구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또 다른 진공발생부는 부압을 발생하는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를 삽입하고 있는 진공펌프하우징과, 상기 진공펌프하우징과 상기 배출통을 연결하여 부압을 상기 드레인 튜브쪽으로 전달하기 위한 어댑터를 포함하며, 어댑터에는 어댑터노즐을 구비하며, 진공펌프하우징에는 진공포트를 구비하여 상기 어댑터노즐이 상기 진공포트에 삽입되어 결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흡입장치는 상처부위의 부압치료를 행할 경우, 다공성 패드에 흡수된 삼출물을 복수개의 안내채널을 통해 서로 섞이지 않도록 최단거리로 연통구멍으로 안내함에 따라 삼출물의 원활한 흡입을 유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압을 이용한 상처 치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입장치에 따른 흡입헤드는 연결관과 드레인 튜브가 암/수톱니부에 의해 상호 연결 후 분리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치료 중에 드레인 튜브가 분리되어 연결관으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세균에 의해 상처부위가 감염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입장치는 수동식으로 조작이 간편하고 휴대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입장치의 사용 상태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흡입장치는 흡입헤드(100)와 진공발생장치(300)가 드레인튜브(20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장치는 삼출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헤드(100)와, 흡입헤드(100)로부터의 삼출물을 배출하는 배출통(500)과, 삼출물이 배출통(500)으로 배출되는 경로를 가이드하고 부압을 전달하 는 드레인튜브(200)와, 흡입헤드(100)와 드레인튜브(200)에 의해 연결되며, 흡입헤드(100)로 부압을 발생하는 진공발생장치(300)를 포함한다. 즉, 드레인튜브(200)의 일측에는 흡입헤드(100)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진공발생장치(300)가 연결된다. 드레인튜브(200)상에는 현재의 부압을 알려주는 압력게이지(G)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 게이지압은 50mmHg ~ 200mmHg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25mmHg 이다.
진공발생장치(300)는 장치를 지지하는 프레임(380)과 프레임의 일측에 수동식 펌핑을 위한 손잡이(350)와, 손잡이(350)의 펌핑동작에 의해 피스톤 운동하기 위한 원통형 실린더(320)와, 실린더(320)의 내부에 피스톤링(340)과, 스프링(330)을 포함한다. 또한, 원통형 실린더(320)의 끝단에는 드레인튜브(200)와 연결하기 위한 튜브연결구(310)를 포함한다.
도 1 실시예의 흡입장치는 흡입헤드(100)를 삼출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드레이프(30)에 의해 고정한 다음 진공발생장치(300)의 손잡이(350)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고서 손바닥에 파지되는 프레임(380)쪽으로 잡아당기면서 전후진하면 피스톤링(340)이 전후진하면서 원통형 실린더(320) 내부로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게 한다.
이 때 진공발생장치(300)의 피스톤 손잡이(350)를 적당하게 당겨 실린더(32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헤드(100)로부터의 삼출물의 배출속도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입헤드(100)부터 진공발생장치(300)의 튜브 연결구(310)까지의 내부에는 진공상태로 설정되므로 피스톤링(340) 을 전후진 시키지 않아도 지속적으로 삼출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상태로 삼출물의 배출이 완료되고 나면 사용자는 삼출물 배출통(500)을 오픈하여 삼출물을 제거할 수 있다.
먼저, 도 1의 흡입장치에서 흡입헤드에 대해 하기의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 흡입장치에 따른 흡입헤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표시된 Ⅱ-Ⅱ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흡입장치에 따른 흡입헤드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흡입장치에 따른 흡입헤드에 연결되는 드레인 튜브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의료용 흡입헤드(100)는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드레인 튜브(200)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관(130)을 갖는 제1면(즉, 상부면), 중앙에 형성되어 연결관(130)과 연통하는 연통구멍(113), 및 다공성 패드(20 : 도 6 참조)와 부분적으로 접촉하며 삼출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복수개의 단일 유로를 형성하여 삼출물을 연통구멍(113)으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내채널(111)을 갖는 제2면(즉, 하부면)을 포함하고 있다.
흡입헤드(100)는 형상으로 구분할 때 플랜지부(110)와 연결관(130)을 포함한다. 즉, 제1면(즉, 상부면)과 제2면(즉, 하부면)을 갖는 플랜지부(110)는 피부(10: 도 6 참조)의 상처부위(11)에 부착되는 다공성 패드(20, 도 6 및 도 7 참고)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다공성 패드(20)로 흡수된 삼출물을 안내하여 연통구멍(113)으로 모아주도록 다공성 패드(20)와 접촉하는 일측면에 복수개의 안내채널(111)을 형성하고, 중앙에 연결관(130)과 연통되는 연통구멍(113)을 형성한다.
복수개의 안내채널(111)은 삼출물을 연결관(130)의 연통구멍(113)으로 모아주되, 삼출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복수개의 단일 유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단일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개의 안내채널(111)은 연통구멍(113)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홈형상, 예를 들어, 단면이 트렌치형 또는 반구형이나 삼각형상을 이루는 요홈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복수개의 안내채널(111) 간의 각도(θ)는 삼출물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예를 들어, 약 30도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안내채널(111) 간의 각도(θ)는 상처부위(11: 도 6 참조)의 크기, 즉 플랜지부(110)의 직경의 크기에 따라 또는 삼출물의 양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110)가 통상 다공성 패드(20: 도 6 참조) 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관계로 다공성 패드(20)의 외주변에 흡수된 삼출물을 효과적으로 이송하기 위해 복수개의 안내채널(111)은 플랜지부(110)의 외주단으로부터 연통구멍(113)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며, 이 경우 복수개의 안내채널(111)은 직선으로 형성하여 플랜지부(110)의 외주단으로부터 연통구멍(113)이 최단거리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안내채널(111)이 직선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복수개의 안내채널(111)을 통해 이송되는 삼출물이 섞이지 않도록 복수개의 안내채널(111)이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랜지부(110)는 드레이프(30: 도 7 참조)를 플랜지부(110) 타측면에 부착한 상태로 피부(10)에 부착할 때, 플랜지부(110)의 모서리(112)에 의해 드레이프(30)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라운딩 형성된다. 이에 따라 드레이프(30)가 찢어짐에 따라 피부와 드레이프(30) 사이에 형성된 부압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플랜지부(110)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처부위(11)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연결관(130)은 연통구멍(113)에 연통되는 제1 관부(131)와, 드레인 튜브(200)에 연결되는 제2 관부(133)를 포함하며 일체로 형성된다.
제1 관부(131)는 일단이 연통구멍(113)과 연통된 상태로 플랜지부(110)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관부(131)는 플랜지부(110)에 대하여 대략 직각방향으로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2 관부(133)는 드레인 튜브(200)와 연결 시 드레인 튜브(200)가 환자의 신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일단이 제1 관부(131) 타단에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이 경우 제2 관부(133)는 대략 플랜지부(110)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관부(133)를 절곡 형성함에 따라 드레인 튜브(200)가 치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2 관부(133)는 드레인 튜브(200)의 일단이 삽입 연결되는 체결구멍(135)이 형성된다. 이 경우, 제2 관부(133)의 체결구멍(135)에 인접한 내주에는 암톱니부(137)가 형성되고, 드레인 튜브(200)의 일단에는 암톱니부(137)에 체결 삽입되는 수톱니부(210: 도 5 참조)가 각각 형성된다. 이 경우, 암/수톱니 부(137,210: 도 7 참조)는 드레인 튜브(200)를 제2 관부(133)의 체결구멍(135)에 삽입하는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경사 형성된다. 이러한 암/수톱니부(137,210)의 경사방향은 드레인 튜브(200)를 제2 관부(133)의 체결구멍(135)에 삽입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암/수톱니부(137,210)는 체결 후, 진공발생장치에 의해 음압이 형성되고 유지될 수 있도록 적절한 공차를 갖도록 설계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제2 관부(133)와 드레인 튜브(200) 사이의 결합구조는 암/수톱니부(137,210) 체결 이외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실링용 패킹이 추가될 수 있다.
한편, 흡입헤드(100)는 다공성 패드(20), 드레이프(30) 및 드레인 튜브(200)와 함께 폴리파우치에 포장되거나 개별 포장될 수 있고, 감마선에 의해 멸균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흡입헤드(100)의 재질은 감마선 멸균에 의해 변성되지 않거나 변성되더라도 강도에 심각한 영향을 주지 않는 탄성을 갖고 비교적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는 데 실리콘 고무 또는 PVC 재질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흡입헤드(100)를 이용하여 상처부위(11)에 고정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환자의 상처부위에 다공성 패드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흡입장치의 흡입헤드를 다공성 패드 상측에 고정하고, 이부분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드레이프를 함께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흡입장치의 흡입헤드에 드레인 튜브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 다.
먼저 도 6과 같이, 피부(10)의 상처부위(11)에 삼출물을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오픈 셀 폴리머(open cell polymer)로 이루어진 다공성 패드(20)를 부착한다.
이어서 다공성 패드(20)의 대략 중앙 부에 흡입헤드(100)의 플랜지부(110)를 안착시킨다.
그 후, 외과용 드레이프(30)의 개방부(31)로 연결관(130)을 통과시키고 드레이프(30)의 보호필름(미 도시)을 제거하여 플랜지부(110)의 타측면과 드레이프(30)가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고, 계속해서 도 7과 같이, 드레이프(30)의 외주변을 피부(10)의 상처부위(11) 주변에 진공이 새는 부분이 없도록 완전히 밀착시켜 피부(10)와 드레이프(30) 사이에 부압이 형성될 수 있도록 밀폐시킨다.
그 후, 도 8과 같이, 드레인 튜브(200)의 수톱니부(210)를 제2 관부(133)의 체결구멍(135)에 삽입시켜 암/수톱니부(137,210)를 상호 체결시킨다. 그 결과 드레인 튜브(200)는 암/수톱니부(137,210)에 의해 연결관(13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드레인 튜브(200) 타단에 연결된 진공발생장치(300)를 작동시키면, 피부(10)와 드레이프(30) 사이에 부압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처부위(11)의 삼출물이 다공성 패드(20)로 흡수된 뒤, 플랜지부(1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안내채널(111)을 통해 연통구멍(113)으로 안내된다.
그 후, 삼출물은 연통구멍(113)으로 유입된 후 연결관(130)을 거쳐 드레인 튜브(200)를 따라 이송되어 최종적으로 배출통(500)으로 수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흡입헤드(100)를 통해 상처부위의 부압치료를 행할 경우, 다공성 패드에 흡수된 삼출물을 복수개의 안내채널(111)을 통해 서로 섞이지 않도록 최단거리로 연통구멍(113)으로 안내함에 따라, 삼출물의 원활한 흡입을 유도할 수 있다.
더욱이, 연결관(130)과 드레인 튜브(200)가 암/수톱니부(137,210)에 의해 상호 한번 결합되면 다시 분리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치료 중에 드레인 튜브(200)가 분리되어 연결관(130)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상처부위(11)가 공기에 포함된 세균에 노출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헤드(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진공발생장치(300)에 대해 하기의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도 1의 흡입장치에 따른 진공발생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0a와 도 10b는 도 9의 "가"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도 9의 "나"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진공발생장치(300)는 일측단에 튜브연결구(310)를 갖는 원통형 실린더(320)와, 타단부에 손잡이(350)를 구비한다. 실린더(320)는 내부에는 스프링 (330)이 탄설되고 일단부에 고무재 피스톤링(340)이 실린더(320)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실린더(320)의 일단부는 고정캡링(371)을 사용하여 프레임(380)에 결합 고정된다. 또한, 실린더(320) 내부의 튜브 연결구(310) 입구 쪽에 절개부(301a)가 형성된 흡입밸브(301)를 설치한다.
실린더의 앞부분에는 공기구멍(303)이 형성된 결합부(304)에 스프링(305) 탄력에 의하여 상하로 작동되는 공기배출밸브(302)를 설치한 다음 고정캡(306)으로 결합되게 한 구성이다. 여기서, 도 10a는 공기배출밸브(302)가 스프링(305)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부로 올라와서 실린더(320) 내부의 공기 구멍을 막고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그리고, 도 10b는 공기배출밸브(302)를 아래 방향으로 눌러서 공기구멍을 열어 실린더(3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한 상태를 보여준다.
또한, 도 11a는 흡입밸브(301)의 절개부를 통하여 실린더(32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b는 흡입밸브(301)의 절개부가 막힘으로써 실린더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러한 각 부분을 참고하여 진공발생장치(300)의 동작을 상세히 살펴보면, 도 9에서, 손잡이(350)를 프레임(380)쪽으로 잡아당기면 피스톤링(340)이 후퇴하면서 튜브 연결구(310) 입구에 설치된 흡입밸브(301)의 절개부(301a)가 벌어지면서 실린더(32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또한, 손잡이(350)를 놓게 되면 스프링(330)의 탄발력에 의하여 피스톤링(340)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려고 하나 흡입밸브(301)의 절개부(301a)가 막히면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되므로 피스톤링(340)은 전진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에는 실린더(320) 상부에 형성된 공기배출밸브(302)를 하방향으로 누르면 실린더(320)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피스톤링(340)은 전진하게 된다. 그런 다음 공기배출밸브(302)를 놓게 되면 스프링(330)의 탄발력으로 공기배출밸 브(302)는 상방향으로 올라오면서 실린더(320)의 공기구멍(303)을 막게 되어 처음의 상태로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방법으로 사용자는 손잡이(350)를 당겼다 놓았다를 반복하면 피스톤링(340)이 전후진하면서 흡입헤드(100)로 삼출물이 흡입되어 배출통(500)에 저장된다.
이때 진공발생장치(300)의 피스톤 손잡이(350)를 적당하게 당겨 실린더(32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흡입력에 의하여 삼출물의 배출속도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린더(320) 내부에 설치된 흡입밸브(301)의 절개부(301a)가 막히면서 실린더(320) 내부의 공기는 흡입헤드(100)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아 내부는 진공상태가 되므로 지속적으로 삼출물이 흡입된다. 이때 압력게이지를 통해 압력을 확인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흡입장치는 진공발생장치와 연결된 드레인 튜브의 일측에 삼출물 배출통을 배치하였으나, 삼출물 배출통을 진공발생장치와 일체로 형성하여 흡입헤드로부터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를 하기의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입장치의 사용 상태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흡입장치에 대한 진공발생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흡입장치는 흡입헤드(100)와 진공발생장치(400)가 드레인튜브(20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진공발생장치(400)는 흡입헤드(100)로부터의 삼출물이 배출되는 배출통(410)과, 내부에 진공펌프(미 도시함)를 삽입하고 있는 진 공펌프하우징(430)과, 펌핑동작을 위한 손잡이(430)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진공발생장치(400)는 내부에 진공펌프를 이용해 흡입헤드(100)로 부압을 제공하여 삼출물이 배출통(410)에 배출되도록 하며, 그 상세한 동작은 전술한 실시예를 참고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진공발생장치(400)는 진공펌프(432)를 내장하고 있는 진공펌프하우징(430)과, 진공펌프하우징과 배출통(410)을 연결하여 부압을 드레인튜브(200)쪽으로 전달하기 위한 어댑터(431: adapter)를 포함한다.
어댑터(431)에는 어댑터노즐(432)을 구비하며, 진공펌프하우징(430)에는 진공포트(433)를 구비한다. 여기서, 진공 펌핑을 위해서는 어댑터(431)에 구비된 어댑터노즐(432)이 진공펌프하우징(430)에 마련된 진공포트(433)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손잡이(430)를 이용해 펌핑 동작을 수행하면 진공펌프(432)로부터 발생하는 부압이 드레인튜브(200)를 통해 흡입헤드(100)로 전달되고, 그 결과 흡입헤드(100)로부터의 삼출물이 배출통(410)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흡입헤드(100)로부터의 삼출물을 전술한 두 개의 진공발생장치(300,400)를 이용하여 삼출물 배출통(500,410)에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진공발생장치는 수동식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저렴하다. 그에 반해 기존의 전동식 진공발생장치를 사용할 경우는 진공펌프와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레귤레이터, 및 전자제어를 위한 제어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제조단가가 높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채용한 수동식 진공방생장치의 경우는 구조도 간단하여 소형으로 휴대하여 언제 어디서나 사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므로 전술한 실시예의 수동식 진공발생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부압을 발생할 수 있는 소형의 진공발생장치라면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입장치의 사용 상태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도 1 흡입장치에 따른 흡입헤드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표시된 Ⅱ-Ⅱ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 흡입장치에 따른 흡입헤드의 저면도,
도 5는 도 1 흡입장치에 따른 흡입헤드에 연결되는 드레인 튜브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환자의 상처부위에 다공성 패드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면도,
도 7은 도 1 흡입장치의 흡입헤드를 다공성 패드 상측에 고정하고, 이부분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드레이프를 함께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도 1 흡입장치의 흡입헤드에 드레인 튜브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9는 도 1 흡입장치에에 따른 진공발생장치의 단면도,
도 10a와 도 10b는 도 9의 "가"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도 9의 "나"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입장치의 사용 상태에 따른 사시도,
도 13은 도 12 흡입장치에 진공발생장치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흡입헤드 200 : 드레인 튜브
300, 400 : 진공발생장치

Claims (15)

  1. 부압을 이용해 외과용 드레이프에 의해 밀폐된 상처부위에 부착한 다공성 패드에 흡수된 삼출물을 배출하기 위한 의료용 흡입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연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 패드와 접촉하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삼출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복수개의 단일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삼출물을 상기 연통구멍으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내채널을 갖는 플랜지부와, 일단이 상기 플랜지부의 연통구멍에 연통된 연결관을 구비하는 흡입헤드;
    상기 흡입헤드의 연결관에 일단이 연결된 드레인 튜브;
    상기 드레인튜브의 타단에 연결되며, 펌핑용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펌핑동작에 의해 부압을 발생하고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진공발생부를 구비하는 진공발생장치: 및
    상기 진공발생장치와 드레인튜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부압에 따라 배출되는 삼출물이 저장되는 배출통을 포함하는 의료용 흡입장치이고,
    상기 연결관의 타단 내주와 상기 드레인 튜브의 외주 일단에는 상호 체결되는 암/수톱니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암/수톱니부는 상기 드레인 튜브를 상기 연결관에 삽입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경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는 상기 드레인튜브 상에 진공상태의 게이지압을 보여주기 위한 게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입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발생부는
    장치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체결되는 원통형 실린더와,
    상기 원통형 실린더의 내부에 피스톤 운동하는 피스톤수단과,
    상기 피스톤수단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원통형 실린더의 끝단에 상기 드레인 튜브와 연결하기 위한 튜브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발생부는
    부압을 발생하는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펌프를 삽입하고 있는 진공펌프하우징과,
    상기 진공펌프하우징과 상기 배출통을 연결하여 부압을 상기 드레인 튜브쪽으로 전달하기 위한 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에는 어댑터노즐을 구비하며, 진공펌프하우징에는 진공포트를 구비하여 상기 어댑터노즐이 상기 진공포트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입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부압을 이용해 외과용 드레이프에 의해 밀폐된 상처부위에 부착한 다공성 패드에 흡수된 삼출물을 배출하기 위한 의료용 흡입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연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 패드와 접촉하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삼출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복수개의 단일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삼출물을 상기 연통구멍으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내채널을 갖는 플랜지부와, 일단이 상기 플랜지부의 연통구멍에 연통된 연결관을 구비하는 흡입헤드;
    상기 흡입헤드의 연결관에 일단이 연결된 드레인 튜브;
    상기 드레인 튜브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드레인 튜브를 통해 상기 흡입헤드로 부압을 전달하기 위한 진공발생장치; 및
    상기 진공발생장치와 드레인 튜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부압에 따라 배출되는 삼출물이 저장되는 배출통을 포함하는 의료용 흡입장치이고,
    상기 연결관의 타단 내주와 상기 드레인 튜브의 외주 일단에는 상호 체결되는 암/수톱니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암/수톱니부는 상기 드레인 튜브를 상기 연결관에 삽입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경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입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는 상기 드레인튜브 상에 진공상태의 게이지압을 보여주기 위한 게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입장치.
  14. 삭제
  15. 삭제
KR1020080112366A 2008-11-12 2008-11-12 의료용 흡입장치 KR101028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366A KR101028916B1 (ko) 2008-11-12 2008-11-12 의료용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366A KR101028916B1 (ko) 2008-11-12 2008-11-12 의료용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310A KR20100053310A (ko) 2010-05-20
KR101028916B1 true KR101028916B1 (ko) 2011-04-12

Family

ID=42278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366A KR101028916B1 (ko) 2008-11-12 2008-11-12 의료용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7996A1 (ko) * 2016-09-09 2018-03-15 (주)대성마리프 자동 약물 주입이 가능한 상처 치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1449B (zh) * 2022-08-12 2024-07-09 中国人民解放军联勤保障部队第九六〇医院 一种胸外科引流管固定装置
KR102594468B1 (ko) * 2022-09-16 2023-10-25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음압 드레싱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3715A (ja) * 1999-11-09 2003-04-15 ケーシーアイ メディカル リミテッド マルチルーメンコネクタを備えた創傷部吸引装置
KR200362558Y1 (ko) * 2004-06-18 2004-09-21 손영호 부항기용 진공흡입기
JP2007117273A (ja) 2005-10-26 2007-05-17 Tokunaga Soki Kenkyusho:Kk 気管内痰の吸引装置
KR20080094810A (ko) * 2006-02-06 2008-10-24 케이씨아이 라이센싱 인코포레이티드 감압 상처 치료 시스템들과 관련하여 상처 드레싱들과의 연결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3715A (ja) * 1999-11-09 2003-04-15 ケーシーアイ メディカル リミテッド マルチルーメンコネクタを備えた創傷部吸引装置
KR200362558Y1 (ko) * 2004-06-18 2004-09-21 손영호 부항기용 진공흡입기
JP2007117273A (ja) 2005-10-26 2007-05-17 Tokunaga Soki Kenkyusho:Kk 気管内痰の吸引装置
KR20080094810A (ko) * 2006-02-06 2008-10-24 케이씨아이 라이센싱 인코포레이티드 감압 상처 치료 시스템들과 관련하여 상처 드레싱들과의 연결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7996A1 (ko) * 2016-09-09 2018-03-15 (주)대성마리프 자동 약물 주입이 가능한 상처 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310A (ko)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8123A (en) Combined irrigator and evacuator for closed wounds
KR20100007548A (ko) 의료용 흡입헤드
US20120029486A1 (en) Nasal aspirator
KR101367004B1 (ko) 의료용 흡인기
KR20050046738A (ko) 자극 특성을 갖는 수동 착유기
EP0232600B1 (en) Apparatus for draining fluid from a body cavity
US4950247A (en) Aspirator for collection of bodily fluids including improved safety and efficiency elements
KR101360194B1 (ko) 의료용 흡인기
US10596306B2 (en) Suction device
JP2018531670A (ja) 吸引及び栄養供給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のためのデュアルポートチューブ
KR101028916B1 (ko) 의료용 흡입장치
US8945093B2 (en) Suction device
KR101771227B1 (ko) 의료용 흡인기
WO2020176373A1 (en) Chemical pump housing for negative pressure system
CN206372372U (zh) 一种一次性使用氧气湿化瓶
CN108175876B (zh) 一种乳腺引流清洗治疗仪
JP6449435B2 (ja) 使い捨て可能な創傷洗浄装置および関連する使用方法
CN213852303U (zh) 一种便携式伤口负压引流装置
EP0355199B1 (en) Aspirator for the collection of bodily fluids
CN211244776U (zh) 一种内科医生用急救吸痰面罩
CN222585136U (zh) 一种痰液收集装置
CN217245737U (zh) 外科术后腹腔引流装置
CN110624142A (zh) 皮下气肿负压吸引装置
CN110152096A (zh) 一种伤口/切口渗漏冲洗引流装置
US20240268986A1 (en) Urine collection systems having a clean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