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28035B1 - 하수종말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수종말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035B1
KR101028035B1 KR1020100099074A KR20100099074A KR101028035B1 KR 101028035 B1 KR101028035 B1 KR 101028035B1 KR 1020100099074 A KR1020100099074 A KR 1020100099074A KR 20100099074 A KR20100099074 A KR 20100099074A KR 101028035 B1 KR101028035 B1 KR 101028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m
treatment system
box
sedimentation basin
terminal treat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순영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장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순영 filed Critical 장순영
Priority to KR1020100099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03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 침전지에서 배출되는 스컴을 전처리시설로 회수시킴과 함께 배수로에서 이끼가 생성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고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하수종말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에 따라, 회전하는 스크레퍼회전체를 구비한 슬러지배출장치가 중앙에 설치된 원형 침전지의 하수종말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퍼회전체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스컴스키머; 상기 슬러지배출장치와 상기 원형 침전지의 측벽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면이 개구되고 저면에 유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스컴스키머가 수집한 스컴을 배출하는 스컴박스; 및 상기 원형 침전지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스컴박스를 회전시키는 스컴박스감속기를 포함하여, 상기 원형 침전지에 발생하는 스컴을 회수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수종말처리시스템{SYSTEM OF SEWAGE TREATMENT PLANT}
본 발명은 하수종말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원형 침전지에서 배출되는 스컴을 전처리시설로 회수시켜 하천으로 방류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배수로에서 이끼가 생성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고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하수종말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폐수종말처리시설에 설치·운영 중인 원형침전지를 보면 브이웨어(V-Weir)를 넘어서 콘크리트로 된 배수로를 통해 처리수가 최종방류가 되고 있다. 이럴 때 배수로에서는 잔류 유기물이 콘크리트 재질의 배수로에 부착하여 이끼가 대량 발생하게 되어 외관상 보기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발생된 이끼는 주기적인 청소를 통해 제거를 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이끼들은 최종방류를 통해 하천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은 이끼류의 하천방류는 현재 국가사업인 총인처리사업에 있어서 지대한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향후 하천에서의 퇴적으로 인하여 하천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런 오염원을 미리 차단하기 위해선 기존시설에서의 문제점인 이끼류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여 방류수에 포함된 이끼류의 하천유입을 방지하도록 시급히 개선을 하여야 한다.
상기 총인처리사업이란 4대강의 준설로 인하여 많아지는 물이 정체가 되었을 경우 총인(T-P)에 의해 부영양화가 유발될 수 있어 하천으로 방류되는 총인(T-P)을 미리 차단하여 부영양화를 방지하여 오염을 줄이려는 사업을 말한다.
종래의 처리장에서는 대부분 이끼류의 원인인 질소와 인이 대부분 낮은 농도로 처리가 되나 구조물 또는 설비의 기술부족으로 인하여 수로 등에 아직까지 많은 이끼류가 발생되고 있는데 생물반응조에서 넘어온 슬러지는 침전지에서 대부분 침전이 되고 일부 작은 핀 플럭(스컴)은 방류수로 나가게 되는데 이때 여러 조건(온도, 슬러지 특성, 미생물의 생태, 체류시간 등)에 따라 침전특성의 차이를 나타냄으로 방류수 중의 스컴의 정도가 다르다.
슬러지는 침전지에서 100% 침전이 되지 않고 또한, 침전이 되었다가 어떤 특정한 상황 등에 의해 부상이 되기도 하는데 침전지의 브이웨어를 넘어서 작은 슬러지(스컴)들이 수로로 넘어와 일부가 부착하게 된다. 수로에 발생하는 이끼(녹조)류의 발생은 대부분 브이웨어로 넘어온 스컴이 다공성의 콘크리트 재질의 수로에 부착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성장하여 생긴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것은 이끼발생의 문제점이 심각하게 나타나기 전에 처리장의 시공이 이루어진 이유도 있으나 설계조건에서도 이런 부분에 대한 기술적 대응방안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원형 침전지에서 생성되는 스컴이 하천으로 방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종말처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배수로에 이끼류의 발생을 방지 또는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하수종말처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종말처리시스템은, 회전하는 스크레퍼회전체를 구비한 슬러지배출장치가 중앙에 설치된 원형 침전지의 하수종말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퍼회전체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스컴스키머; 상기 슬러지배출장치와 상기 원형 침전지의 측벽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면이 개구되고 저면에 유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스컴스키머가 수집한 스컴을 배출하는 스컴박스; 및 상기 원형 침전지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스컴박스를 회전시키는 스컴박스감속기를 포함하여, 상기 원형 침전지에 발생하는 스컴을 회수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형 침전지의 측벽에는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스컴스키머가 상기 스컴박스의 상측으로 진입할 때 상기 스컴박스감속기를 가동시켜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기 스컴박스를 타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스컴스키머가 수집한 스컴이 상기 유출공으로 배출되게 하고, 상기 스컴스키머가 상기 스컴박스의 상측을 이탈할 때 상기 스컴박스감속기를 가동시켜 상기 스컴박스가 일측으로 회전되게 하여 침전수가 상기 유출공으로 유출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컴박스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컴박스는 종단면이 반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컴박스는 길이방향의 단부에 기울기를 갖는 절곡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단부는 길이를 따라 기울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컴박스와 상기 스컴박스감속기는 기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출공의 하측에는 플렉시블관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플렉시블관의 타단은 상기 원형 침전지의 측벽에 형성된 스컴배출관의 일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컴박스의 저면은 상기 유출공이 하측에 위치하도록 기울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종말처리시스템은, 외측 둘레에 상기 월류수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배수로가 형성된 원형 침전지의 하수종말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의 상측을 커버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수로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설치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상기 월류수를 타측으로 유도하는 라이닝; 및 상기 라이닝의 타측으로 연통 되어 상기 월류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월류수가 상기 라이닝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유속이 증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형침전지의 측벽을 따라 상측에는 상단이 톱니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브이웨어가 기립하게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로의 상측에는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라이닝은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닝은 스테인리스 재질이며, 외주 또는 내주 방향으로 기울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종말처리시스템은, 전처리시설로부터 하수를 공급받으며, 외측 둘레에 배수로가 형성되는 원형 침전지에 설치되는 하수종말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의 외주 측에 연통 되어 상기 월류수를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수로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상기 월류수가 인입되는 부위에 상부가 개구된 일측이 설치되며, 타측은 상기 전처리시설로 연결되는 스컴회수부를 포함하여, 상기 월류수에 포함된 스컴을 수집하여 상기 전처리시설로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컴회수부는 일측과 타측사이에 개폐용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는 상부에 상기 밸브를 조종하는 밸브핸들이 형성되어, 상기 스컴회수부는 청소 또는 이물질 회수시에 열리고, 월류수 방류시에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컴회수부의 상부가 개구된 일측에는 상기 배수로로 연결되는 가이드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부와 스컴회수부는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종말처리시스템에 의하면, 원형 침전지에서 발생되는 스컴을 수집하여 전처리시설로 회수되게 함으로써, 스컴의 무단방류 방지를 통한 수계환경개선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종말처리시스템은 배수로에 기울기를 갖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라이닝을 설치함으로써, 배수로의 이끼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 쉽게 청소할 수 있게 하여 하수처리시설의 미관을 깨끗하게 하고, 청소를 위한 인력소모 해소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종말처리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종말처리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스컴박스를 확대하여 보인 개략도,
도 4a는 도 3에서 스컴박스를 절단하여 "A" 방향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b는 도 3에서 스컴박스를 절단하여 "B" 방향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a는 도 1에서 "X" 부위의 배수로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b는 도 1에서 "Y" 부위의 배수로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C는 도 1에서 "Z" 부위의 배수로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종말처리시스템에서 배출부와 스컴회수부를 확대하여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종말처리시스템에서 배출부와 스컴회수부를 확대하여 평면에서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종말처리시스템에서 스컴회수부의 일부만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종말처리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종말처리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종말처리시스템은 원형 침전지(1)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원형 침전지(1)는 중앙에 슬러지배출장치가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슬러지배출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바닥에 수직으로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기둥 역할을 하는 센터칼럼(3)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상기 센터칼럼(3)의 상부에는 동력을 발생하는 감속기(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센터칼럼(3)의 둘레에 위치하게 상기 감속기(2)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스크레퍼회전축(4)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크레퍼회전축(4)의 상부에는 센터피드웰(9)이 상기 스크레퍼회전축(4)과 함께 회전하지 않고 정위치에서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센터피드웰(9)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슬러지유입관(8)을 인입하여 내부에 묽은 슬러지를 임시로 저장하고, 저장된 묽은 슬러지를 안정화시킨 후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크레퍼회전축(4)의 하부에는 스크레퍼(5)가 상기 스크레퍼회전축(4)과 함께 회전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형 침전지(1)에 침전된 슬러지를 수집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형 침전지(1)의 하부에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스크레퍼(5)가 수집한 상기 원형 침전지(1)에 침전된 슬러지를 최종적으로 저장하는 호퍼(6)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호퍼(6)가 침전된 슬러지를 저장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호퍼(6)의 중앙에 상기 센터칼럼(3)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퍼(6)에 저장되는 상기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호퍼(6)는 일측 하부에 배출관(미도시)이 연통 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미도시)은 상기 호퍼(6)에 저장됐던 상기 슬러지를 다른 원형 침전지로 배출하거나 탈수설비로 배출하게 하는 것이 좋다.
더불어 상기 스크레퍼회전축(4)의 하부에는 배출유도부(10)가 상기 스크레퍼회전축(4)과 함께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의 배출을 돕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종말처리시스템은 상기 스크레퍼회전체(4)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스컴스키머(7)와 상기 슬러지배출장치와, 상기 원형 침전지(1)의 측벽 사이에 회전하게 설치되며 상면이 개구되고 저면에 유출공(111)이 형성되어 상기 스컴스키머(7)가 수집한 스컴을 배출하는 스컴박스(110)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원형 침전지(1)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스컴박스(110)를 회전시키는 스컴박스감속기(130)를 포함한다.
상기 스컴스키머(7)는 상기 스크레퍼회전체(4)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레퍼회전체(4)와 함께 좌 또는 우로 회전하면서 상기 원형 침전지(1)에 저장된 하수의 수표면에 떠오른 스컴을 상기 스컴박스(110)로 수집하는 것이 좋다.
도 3은 도 2에서 스컴박스를 확대하여 보인 개략도이고, 도 4a는 도 3에서 스컴박스를 절단하여 "A" 방향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에서 스컴박스를 절단하여 "B" 방향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컴박스(110)는 상기 슬러지배출장치의 센터피드웰(9)과 상기 원형 침전지(1)의 측벽 사이에 설치되어 상에서 하 또는 하에서 상으로 회전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컴박스(110)의 상면은 개구될 수 있고, 저면에는 상기 원형 침전지(1)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유출공(111)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스컴박스(110)의 저면은 상기 유출공(111)의 위치가 하측으로 치우치도록 기울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스컴박스(110)는 상기 스컴스키머(7)가 수집한 스컴을 개구된 상면으로 인입하여 상기 유출공(111)을 통해 상처리시설 또는 탈수설비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컴박스(110)는 종으로 절단한 단면이 반원형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4a, 4b를 참조하여, 상기 스컴박스(110)의 길이방향에 형성된 양측 단부는 절곡부(110a)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단부가 길이방향으로 기울기를 형성하는데, 상기 센터피드웰(9) 측의 높이가 반대 측 단부 높이에 비해 높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단부가 기울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센터피드웰(9) 측의 상기 스컴박스(110)의 단부로는 스컴의 유입이 어렵게 하여, 반대 측 또는 상기 원형 침전지(1)의 외측 방향의 상기 스컴박스(110)의 단부로 스컴의 유입 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출공(111)으로 스컴이 유출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110a)도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으로 기울기를 형성하는데, 상기 센터피드웰(9) 측의 절곡부(110a) 단부는 반대 측의 단부에 비해 높이가 높게 기울기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술한 구조로 상기 스킴스키머(7)에 의해 수집되는 스컴이 상기 센터피드웰(9) 측에서 반대 측 또는 상기 원형 침전지(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컴박스(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부(110a)가 기울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원형 침전지(1)의 외 측 방향의 상기 절곡부(110a)는 표면적이 최대한 짧게 구성되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컴이 달라붙거나 이끼가 생성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센터피드웰(9) 측의 상기 절곡부(110a)는 상기 스킴스키머(7)의 회전 축 방향이기 때문에 상기 스킴스키머(7)에 의해 표면이 쓸림에 의한 청소효과가 커서 스컴이 달라붙거나 이기가 생성되는 것이 최소화하게 된다.
그리고 스컴박스(110)가 상기 원형 침전지(1)에 회전 결합된 측벽에는 상기 스컴박스감속기(130)가 설치되고 상기 스컴박스감속기(130)는 상기 스컴박스(110)와 기어 결합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스컴박스감속기(130)에는 구동축(131)이 형성되고, 상기 스컴박스(110)는 상기 원형 침전지(1)의 측벽과 피구동축(135)에 의해 회전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131)과 상기 피구동축(135)은 체인(133)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스컴박스감속기(130)에 의해 상기 스컴박스(110)가 회전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컴박스(110)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져 이끼 등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은 일반적인 기어 결합구조로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기어 결합구조로 변형하여 제작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스컴박스(110)의 작동 구조를 일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컴박스(110)는 평소 상기 스컴스키머(7)의 진행방향으로 일정한 기울기로 기울어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 침전지(1)의 측벽에는 상기 스컴박스(110)를 기준으로 양측에 제1, 2리미트스위치(12a, 12b)가 설치되어 상기 스컴스키머(7)가 회전하며 상기 스컴박스(110)의 상측으로 진입할 때 제1리미트스위치(12a)가 상기 스컴박스감속기(130)를 작동하여 상기 스컴박스(110)가 상기 스컴스키머(7)의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회전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컴박스(110)는 상기 원형 침전지(1)에 저장된 하수의 수면과 수평을 이루어 상기 스컴스키머(7)가 수집한 스컴이 상기 스컴박스(110)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상기 스컴박스(110)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유출공(111)을 통해 배출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스컴스키머(7)가 상기 스컴박스(110)의 상측을 이탈하면 제2리미트스위치(12b)가 상기 스컴박스감속기(130)를 작동하여 상기 스컴박스(110)가 상기 스컴스키머(7)의 진행방향으로 회전되게 하여 일정한 기울기로 기울어지게 함에 따라 상기 유출공(111)으로 하수가 유입되지 않게 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상기 스컴박스(110)는 평소에는 내부로 하수가 유입되지 않게 하다가 상기 스컴스키머(7)가 스컴을 수집해서 상측을 통과할 때만 내부로 스컴을 인입하여 상기 유출공(111)을 통해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컴박스(110)의 저면은 기울기를 형성하여 상기 유출공(111)으로 스컴이 배출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출공(111)은 하측으로 플랙시블관(150)의 일단과 연통 되어 위치이동이 자유롭게 함으로써 상기 스컴박스(110)가 회전하는데 대응하게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플랙시블관(150)의 타단은 스컴배출관(170)의 일단과 연통 되어 스컴을 전처리시설이나 탈수시설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는 도 1에서 "X" 부위의 배수로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 침전지(1)의 측벽에는 브이웨어(250, V-Weir)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주에는 배수로(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이웨어(250)는 상기 원형 침전지(1)에 저장된 하수가 월류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한번에 월류하는 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부가 "V" 자 형상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상기 브이웨어(250)는 앵커볼트 등에 의해 상기 원형 침전지(1)의 측벽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로(11)는 월류한 하수를 상기 배수로(11)의 일측에 연통 된 배출부(300)로 유도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종말처리시스템은 상기 배수로(11)의 상측을 커버하게 설치되는 라이닝(210) 및 상기 라이닝(210)의 타측으로 연통 되는 배출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라이닝(210)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져 빛을 반사하는 기능이 뛰어나 이끼의 증식을 최대한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면이 고르기 때문에 인력을 사용하여 청소를 하지 않고 세척펌프(미도시)를 설치하여 세척수를 살포하는 것만으로 청소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고 청소가 쉽다는 장점도 있다.
이러한 상기 라이닝(210)은 상기 배수로(11)의 상측에 상기 배수로(11)의 상면과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는데, 이러한 구성을 위해 상기 배수로(11)의 상측에는 지지대(22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20)의 상면에 상기 라이닝(210)의 저면이 포개지게 형성되고, 상기 라이닝(210)과 상기 지지대(220)는 앵커볼트(n)에 의해 상기 원형 침전지(1)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220)와 상기 라이닝(210)은 도 1을 참조하여 "X" 구간의 설치높이가 가장 높고, "Y" 구간을 거쳐 "Z" 구간으로 갈수록 설치높이가 낮아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X" 구간에서 상기 지지대(220)와 상기 라이닝(210)은 상기 배수로(1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도 5b는 도 1에서 "Y" 부위의 배수로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Y" 구간에서 상기 지지대(220)와 상기 라이닝(210)은 상기 배수로(11)의 중부에 설치되어 월류수가 상기 "X" 구간에서 상기 "Y" 구간으로 흐르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유속이 증가하도록 돕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C는 도 1에서 "Z" 부위의 배수로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Z" 구간에서 상기 지지대(220)와 상기 라이닝(210)은 상기 배수로(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월류수가 상기 "Y" 구간에서 상기 "Z" 구간으로 흐르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유속이 증가하도록 돕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Z" 구간은 외주방향으로 상기 배출부(300)와 연통 되어 월류수가 상기 배출부(300)로 흐르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5a, 5b, 5c를 참조하여, 상기 라이닝(210)은 내주 방향의 높이가 높고 외주 방향의 높이가 낮도록 기울기를 형성함으로써, 추가적인 유속 증가 효과와 함께 상기 라이닝(210)의 용접점을 줄여 이끼가 증식할 수 있는 환경을 최대한 억제하는 효과를 갖게 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종말처리시스템에서 배출부와 스컴회수부를 확대하여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종말처리시스템에서 배출부와 스컴회수부를 확대하여 평면에서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종말처리시스템은 상기 배수로(11)의 외주 측에 연통 되어 상기 월류수를 배출하는 배출부(300) 및 상기 배수로(11)로부터 상기 배출부(300)로 상기 월류수가 인입되는 부위에 상부(310a)가 개구된 일측이 설치되며, 타측은 전처리시설(400)로 연결되는 스컴회수부(310)를 포함한다.
도 6a를 참조하여, 상기 배출부(300)는 상기 배수로(11)의 "Z" 구간과 연통 되어 내부에 월류수를 저장하는 저장공간(370)이 마련되고, 상기 저장공간(370)의 하부에 외주 방향에서 연통 되게 인입되어 상기 저장공간(370)에 저장된 월류수를 방출하는 월류수방류관(350)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 6b를 참조하여, 상기 저장공간(370)에는 스컴회수부(310)가 설치되는데, 상기 스컴회수부(310)는 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공간(370) 내부에 일측이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배출부(300)의 외부로 관통되어 전처리시설(400, 침사지)로 연통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컴회수부(310)는 일측의 상부(310a)가 개구되어 상기 배수로(11)로부터 월류수가 상기 배출부(300)로 인입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인입되는 월류수가 상기 스컴회수부(310)를 거쳐 상기 저장공간(370)으로 저장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월류수에 포함된 스컴 또는 이끼 등은 상기 스컴회수부(310)의 일측에 수집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컴회수부(310)의 일측과 타측의 경계 부위에 개폐용 밸브(330)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밸브(330)는 상측으로 밸브핸들(331)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핸들(331)은 상기 배출부(300)의 상부를 관통하여 돌출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배출부(300)의 상면 상측에서 상기 밸브핸들(331)을 조작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밸브(330)는 청소 또는 이물질 회수시에 여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상기 배출부(300)로 인입되는 월류수에 스컴 또는 이끼 등의 불순물이 포함되거나 상기 스컴회수부(310)의 일측에 상기 불순물이 다수 수집될 경우 열어 상기 불순물이 상기 전처리시설(400)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평소에는 상기 밸브(330)를 잠금으로써, 월류수가 상기 스컴회수부(310)를 통해 상기 전처리시설(40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월류수방류관(350)을 통해 하천으로 방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종말처리시스템에서 스컴회수부의 일부만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컴회수부(310)의 일측은 상부(310a)가 개구되고, 개구된 상부(310a)는 상기 배수로(11) 측으로 가이드판(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311)은 상기 "Z" 구간의 상기 라이닝(210)의 상측으로 포개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Z" 구간에서 월류수가 상기 스컴회수부(310)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스컴회수부(310)와 상기 저장공간(370)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져서 이끼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원형침전지
4: 스크레퍼회전축
7: 스킴스키머
9: 센터피드웰
11: 배수로
110: 스컴박스
130: 스컴박스감속기
210: 라이닝
300: 배출부
310: 스컴회수부

Claims (16)

  1. 회전하는 스크레퍼회전체를 구비한 슬러지배출장치가 중앙에 설치된 원형 침전지의 하수종말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퍼회전체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스컴스키머;
    상기 슬러지배출장치와 상기 원형 침전지의 측벽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면이 개구되고 저면에 유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스컴스키머가 수집한 스컴을 배출하는 스컴박스; 및
    상기 원형 침전지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스컴박스를 회전시키는 스컴박스감속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컴박스는
    길이방향의 양측에 단부가 형성되고, 양측의 상기 단부 중 일측은 상기 원형 침전지의 중앙 측 높이가 타측 높이에 비해 높게 기울기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일측 단부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원형 침전지의 중앙 측 높이가 타측 높이에 비해 높게 기울기를 형성하여 상기 스컴스키머에 의해 수집되는 스컴이 상기 원형 침전지의 중앙 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컴박스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원형 침전지에 발생하는 스컴을 회수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종말처리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형 침전지의 측벽에는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스컴스키머가 상기 스컴박스의 상측으로 진입할 때 상기 스컴박스감속기를 가동시켜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기 스컴박스를 타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스컴스키머가 수집한 스컴이 상기 유출공으로 배출되게 하고, 상기 스컴스키머가 상기 스컴박스의 상측을 이탈할 때 상기 스컴박스감속기를 가동시켜 상기 스컴박스가 일측으로 회전되게 하여 침전수가 상기 유출공으로 유출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종말처리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컴박스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종말처리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컴박스는 종단면이 반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종말처리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원형 침전지의 중앙 측 길이가 타측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되며, 상기 스컴박스의 단부를 기준으로 하측을 향하게 기울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종말처리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컴박스와 상기 스컴박스감속기는 기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종말처리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의 하측에는 플렉시블관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플렉시블관의 타단은 상기 원형 침전지의 측벽에 형성된 스컴배출관의 일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종말처리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컴박스의 저면은 상기 유출공이 하측에 위치하도록 기울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종말처리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형침전지의 외측 둘레에 월류수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배수로와
    상기 배수로의 상측을 커버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수로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설치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상기 월류수를 타측으로 유도하는 라이닝 및
    상기 라이닝의 타측으로 연통되어 상기 월류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월류수가 상기 라이닝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유속이 증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종말처리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원형침전지의 측벽을 따라 상측에는 상단이 톱니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브이웨어가 기립하게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종말처리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의 상측에는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라이닝은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종말처리시스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은 스테인리스 재질이며, 외주 또는 내주 방향으로 기울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종말처리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침전지는 전처리시설로부터 하수를 공급받으며,
    상기 하수종말처리시스템은
    상기 원형침전지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배수로;
    상기 배수로의 외주 측에 연통 되어 월류수를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수로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월류수가 인입되는 부위에 상부가 개구된 일측이 설치되며, 타측은 상기 전처리시설로 연결되는 스컴회수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월류수에 포함된 스컴을 수집하여 상기 전처리시설로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종말처리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스컴회수부는 일측과 타측사이에 개폐용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는 상부에 상기 밸브를 조종하는 밸브핸들이 형성되어,
    상기 스컴회수부는 청소 또는 이물질 회수시에 열리고, 월류수 방류시에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종말처리시스템.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스컴회수부의 상부가 개구된 일측에는 상기 배수로로 연결되는 가이드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종말처리시스템.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와 스컴회수부는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종말처리시스템.
KR1020100099074A 2010-10-12 2010-10-12 하수종말처리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028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074A KR101028035B1 (ko) 2010-10-12 2010-10-12 하수종말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074A KR101028035B1 (ko) 2010-10-12 2010-10-12 하수종말처리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061A Division KR20120037857A (ko) 2011-01-05 2011-01-05 하수종말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8035B1 true KR101028035B1 (ko) 2011-04-08

Family

ID=44049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074A Expired - Fee Related KR101028035B1 (ko) 2010-10-12 2010-10-12 하수종말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0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777B1 (ko) 2012-09-18 2014-07-11 주식회사 대하엔텍 수문개폐형 스컴스키머장치가 장착된 수처리시설의 원형슬러지수집기
KR101727855B1 (ko) * 2016-03-14 2017-05-02 김형달 스컴제거장치
CN106731052A (zh) * 2016-12-30 2017-05-31 马人欢 污水沉淀池
CN109721119A (zh) * 2019-01-25 2019-05-07 蚌埠中环污水处理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池浮泥渣集边收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903U (ja) * 1993-10-18 1995-05-1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スカム除去装置
KR20020007918A (ko) * 2000-07-19 2002-01-29 인효석 스컴제거장치
KR20020026340A (ko) * 2002-03-18 2002-04-09 남태우 침전지 슬러지 제거장치
JP2003075429A (ja) 2001-09-05 2003-03-12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スカム検出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903U (ja) * 1993-10-18 1995-05-1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スカム除去装置
KR20020007918A (ko) * 2000-07-19 2002-01-29 인효석 스컴제거장치
JP2003075429A (ja) 2001-09-05 2003-03-12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スカム検出方法および装置
KR20020026340A (ko) * 2002-03-18 2002-04-09 남태우 침전지 슬러지 제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777B1 (ko) 2012-09-18 2014-07-11 주식회사 대하엔텍 수문개폐형 스컴스키머장치가 장착된 수처리시설의 원형슬러지수집기
KR101727855B1 (ko) * 2016-03-14 2017-05-02 김형달 스컴제거장치
CN106731052A (zh) * 2016-12-30 2017-05-31 马人欢 污水沉淀池
CN106731052B (zh) * 2016-12-30 2019-04-05 新乡市绿丰环保工程有限公司 污水沉淀池
CN109721119A (zh) * 2019-01-25 2019-05-07 蚌埠中环污水处理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池浮泥渣集边收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02392B (zh) 一体化初期雨水弃流井及雨水弃流的方法
CN105625545B (zh) 一种基于分流制管网的区域分片雨水处理系统
KR101028035B1 (ko) 하수종말처리시스템
KR102574690B1 (ko) 하수처리 침전조의 스컴 제거시스템
CN110258759B (zh) 一种应用于城市污水渠除污净化结构
CN204607764U (zh) 地埋式高效初期雨水处理装置
KR101167963B1 (ko) 초기 우수에 포함된 오일과 슬러지를 중력에 의해 부상, 침전 및 여과시켜 처리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20080065861A (ko) 침전지의 원형 슬러지 제거설비
CN117779913A (zh) 入流与溢流一体化装置及雨水控制系统
CN107387090A (zh) 带有净水清淤功能接入深层隧道竖井
KR200260169Y1 (ko) 스컴제거가신속한주변구동형원형침전지의슬러지수집기
KR101709908B1 (ko) 친환경 다목적 댐
KR20120037857A (ko) 하수종말처리시스템
KR200427383Y1 (ko) 침전지의 이끼발생억제장치
KR101189252B1 (ko)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
KR100533523B1 (ko) 스컴 제거용 버퍼를 구비한 침전조
KR101598684B1 (ko) 수처리 여과 및 세척장치
KR100681265B1 (ko) 하수처리장치
CN208747804U (zh) 一种初雨处理系统
CN201981631U (zh) 一种一体化初期雨水弃流井
KR101155280B1 (ko)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632438B1 (ko) 우수토실
KR101080256B1 (ko)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
KR20000064153A (ko) 하이드로 싸이클론을 이용한 오물수거식 맨홀
CN114687432B (zh) 一种适用于径流污染控制的组合式雨水调蓄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10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