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28018B1 -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018B1
KR101028018B1 KR1020080116393A KR20080116393A KR101028018B1 KR 101028018 B1 KR101028018 B1 KR 101028018B1 KR 1020080116393 A KR1020080116393 A KR 1020080116393A KR 20080116393 A KR20080116393 A KR 20080116393A KR 101028018 B1 KR101028018 B1 KR 101028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battery
available power
battery cont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7376A (ko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6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018B1/ko
Publication of KR20100057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01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69Regulation of the charging current or voltage otherwise than by variation of field
    • H02J7/1492Regulation of the charging current or voltage otherwise than by variation of field by means of controlling devices between the generator output and the batt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전압 영역에서 배터리제어기의 충방전 가용파워를 변화없이 유지시킴으로써, 배터리제어기 가용파워의 채터링을 방지하고, 채터링으로 인한 차량의 쇼크를 방지할 수 있는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충전 가용파워의 경우, 배터리전압이 제한전압을 초과하면 배터리제어기 충전 가용파워를 정해진 슬루율로 하강시키고, 회복전압 미만이면 배터리제어기 충전 가용파워를 정해진 슬루율로 상승시키며, 상기 제한전압과 회복전압 사이에 있는 경우 배터리제어기 충전 가용파워를 직전 파워제한값으로 유지하는 한편, 방전 가용파워의 경우, 배터리전압이 제한전압 미만이면 배터리제어기 방전 가용파워를 정해진 슬루율로 하강시키고, 회복전압을 초과하면 배터리제어기 방전 가용파워를 정해진 슬루율로 상승시키며, 상기 제한전압과 회복전압 사이에 있는 경우 배터리제어기 방전 가용파워를 직전 파워제한값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R1020080116393
배터리제어기, 제한전압, 회복전압, 충방전, 파워제한값

Description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high voltage battery}
본 발명은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전압배터리의 전압변화에 따른 파워제한치의 급격한 변동에 의한 운전성 저하를 방지하고, 종래기술 대비 고전압배터리의 더 큰 가용파워를 확보할 수 있는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차량은 배터리제어기에서 송신하는 파워제한값 안에서 차량의 충방전파워(모터의 assist/regen)를 결정한다.
고전압 배터리의 가용파워의 경우, 배터리 셀전압에 의존하므로 셀전압이 높으면 충전파워가 제한되며, 셀전압이 낮으면 방전파워가 제한된다. 이를 위해 배터리제어기의 파워제한제어는 제한을 위한 제한전압치와 파워가 회복되는 회복전압치를 설정하여 수행된다. 물론 채터링 방지를 위해 제한전압과 회복전압은 히스테리시스를 갖고 제어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터리 전압변동에 따른 파워제한값의 거동을 나타 내는 그래프로서, 배터리 전압이 제한전압에 도달하면 배터리제어기(BMS)의 파워제한값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배터리제어기의 파워제한값은 배터리전압이 회복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감소하게 되고, 회복전압에 도달한 후에는 다시 배터리제어기의 파워제한값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순간적인 전압 상승 및 하강에 의해 배터리제어기의 파워제한값이 급격히 하강함에 따라, 하이브리드 차량의 충·방전량을 급격히 변화시켜 차량의 쇼크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순간적인 전압상승 및 하강에 의해 배터리제어기의 파워제한값이 급격히 하강하다가 다시 회복전압에 도달하면 파워제한값이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특정 전압 영역에서 배터리제어기의 충방전 가용파워를 변화없이 유지시킴으로써, 배터리제어기 가용파워의 채터링을 방지하고, 채터링으로 인한 차량의 쇼크를 방지할 수 있는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배터리 전압이 파워제한 홀딩 영역에 있을 경우 배터리제어기의 충방전 가용파워를 직전 파워제한값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되, 충전 가용파워의 경우, 상기 배터리전압이 제한전압을 초과하면 배터리제어기 충전 가용파워가 정해진 슬루율로 단계적으로 하강되도록 일정 시간 간격마다 슬루율로 규정된 일정 값만큼의 가용파워를 직전의 충전 가용파워에서 단계적으로 하강시키고, 회복전압 미만이면 배터리제어기 충전 가용파워가 정해진 슬루율로 단계적으로 상승되도록 일정 시간 간격마다 슬루율로 규정된 일정 값만큼의 가용파워를 직전의 충전 가용파워에서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며, 상기 제한전압과 회복전압 사이에 있는 경우 배터리제어기 충전 가용파워를 직전 파워제한값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워제한 홀딩 영역은 배터리의 셀전압에 따라 충방전 파워를 제한하는 제한전압과 파워가 회복되는 회복전압 사이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방전 가용파워의 경우, 상기 배터리전압이 제한전압 미만이면 배터리제어기 방전 가용파워가 정해진 슬루율로 단계적으로 하강되도록 일정 시간 간격마다 슬루율로 규정된 일정 값만큼의 가용파워를 직전의 방전 가용파워에서 단계적으로 하강시키고, 회복전압을 초과하면 배터리제어기 방전 가용파워가 정해진 슬루율로 단계적으로 상승되도록 일정 시간 간격마다 슬루율로 규정된 일정 값만큼의 가용파워를 직전의 방전 가용파워에서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며, 상기 제한전압과 회복전압 사이에 있는 경우 배터리제어기 방전 가용파워를 직전 파워제한값으로 유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제한전압과 회복전압 사이의 파워제한 홀딩영역에서 배터리제어기 가용파워를 직전 파워제한값으로 유지함으로써, 배터리제어기 가용파워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고 차량에서 발생가능한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2는 배터리의 순간적인 전압 하강후 회복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압변동에 따른 파워제한값의 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배터리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온동작 시 또는 순간적인 대전류로 인해 순간적인 전압 하강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전류량이 감소하게 되면 전압은 바로 제한전압 이상 회복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종래 기술의 경우 제한전압을 벗어났음에도 회복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배터리제어기의 가용파워를 계속적으로 하강시키고, 회복전압에 한번이라도 도달하면 전압이 회복전압 이상이 아니더라도 배터리제어기의 가용파워를 계속적으로 상승시켜 가용파워의 채터링 및 차량의 쇼크를 유발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전압은 제한전압 이하로 순간적으로 하강하는 것이어서 배터리제어기의 가용파워를 지속적으로 하강시키는 것은 불합리하다. 또한, 배터리전압이 회복전압 이상일 경우에만 배터리제어기의 가용파워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이 합당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한전압과 회복전압 사이의 영역을 배터리제어기 파워제한 홀딩영역으로 정의하고, 이 구간에서의 배터리제어기 가용파워는 직전 파워제한값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배터리제어기의 가용파워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고 차량에서 발생 가능한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터리 전압변동에 따른 파워제한값의 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배터리 전압에 의한 배터리제어기의 파워제한영역을 나타내면 표 1과 같다.
Figure 112008080503244-pat0000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전압에 의한 배터리제어기의 파워제한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슬루율(slew rate)'은 도 3에서 명확히 알 수 있듯이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 간격마다 하강 또는 상승시키는 가용파워의 최대변화량을 일정한 값으로 정의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정해진 슬루율로 가용파워를 하강 또는 상승시키는 영역에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정해진 일정 시간 간격마다 이전 단계, 즉 직전의 배터리제어기 방전 또는 충전 가용파워에서 슬루율로 규정된 일정 값만큼의 가용파워를 단계적으로 하강 또는 상승시킴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해진 슬루율로 하강 또는 상승시킴은, 방전 가용파워 또는 충전 가용파워가 정해진 슬루율로 단계적으로 하강 또는 상승되도록, 일정 시간 간격마다 직전의 가용파워, 즉 이전 단계의 배터리제어기의 방전 가용파워 또는 충전 가용파워값에서 슬루율로 규정된 일정 값만큼의 가용파워를 단계적으로 하강 또는 상승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1. 배터리 전압이 파워제한영역(표 1의 예 참조)에 있을 경우
1) 충전 가용파워의 경우 : 셀 최대 전압이 제한전압을 초과하면 배터리제어기의 충전 가용파워를 직전의 충전 가용파워에서 슬루율(slew rate)로 규정된 일정 값만큼 일정 시간 간격마다 단계적으로 하강시킨다.
2) 방전 가용파워의 경우 : 셀 최소 전압이 제한전압 미만이면 배터리제어기의 방전 가용파워를 직전의 방전 가용파워에서 슬루율로 규정된 일정 값만큼을 일정 시간 간격마다 단계적으로 하강시킨다.
2. 배터리 전압이 파워회복영역(표 1의 예 참조)에 있을 경우
1) 충전 가용파워의 경우 : 셀 최대 전압이 회복전압 미만이면 배터리제어기의 충전 가용파워를 직전의 충전 가용파워에서 슬루율로 규정된 일정 값만큼을 일정 시간 간격마다 단계적으로 상승시킨다.
2) 방전 가용파워의 경우 : 셀 최소 전압이 회복전압을 초과하면 배터리제어기의 방전 가용파워를 직전의 방전 가용파워에서 슬루율로 규정된 일정 값만큼을 일정 시간 간격마다 단계적으로 상승시킨다.
3. 배터리 전압이 홀딩영역(표 1의 예 참조)에 있을 경우
1) 충전 가용파워의 경우 : 배터리제어기의 충전 가용파워를 직전값으로 유지시킨다.
2) 방전 가용파워의 경우 : 배터리제어기의 방전 가용파워를 직전값으로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슬루율은 차종에 따라 그리고 상승 및 하강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변수(기호)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 Vmax/Vmin : 배터리 셀 최대/최소 전압
2. Pin/Pout : 현재 배터리제어기 충/방전 가용 파워
3. Pin_max/ Pout_max : 배터리제어기 최대 충/방전 가용파워
4. R slew rate/ D slew rate[kW/ms] : 배터리제어기 가용파워 상승/하강 슬루율
5. Pin_prev/ Pout_prev : 이전 배터리제어기 충/방전 가용파워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입력 변수는 배터리 셀 최대/최소 전압(Vmax/Vmin), 이전 배터리제어기 충/방전 가용파워(Pin_prev/ Pout_prev)이다.
먼저, 배터리 셀 최소 전압이 2.5V보다 작은 경우(파워제한영역)에 Pout=Pout_prev-D slew rate와 같이 현재 배터리제어기 방전 가용파워는 이전 배터리제어기 방전 가용파워에서 정해진 슬루율로 하강시키고, 배터리 셀 최소 전압이 3.12V보다 큰 경우(파워회복영역)에 Pout=Pout_prev+D slew rate와 같이 현재 배터리제어기 방전 가용파워는 이전 배터리제어기 방전 가용파워에서 정해진 슬루율로 상승시키며, 배터리 셀 최소 전압이 2.5V 이상이고 3.12V 이하 인 경우(파워제한 홀딩영역)에 현재 배터리제어기 방전 가용파워는 이전 배터리제어기 방전 가용파워를 유지한다. 이때, 현재 배터리제어기 방전 가용파워가 배터리제어기 최대 방전 가용파워 이상인 경우에는 현재 배터리제어기 방전 가용파워가 배터리제어기 최대 방전 가용파워에 의해 제한된다.
한편, 배터리 셀 최대 전압이 4.2V보다 큰 경우(파워제한영역)에 Pin=Pin_prev-D slew rate와 같이 현재 배터리제어기 충전 가용파워는 이전 배터리제어기 충전 가용파워에서 정해진 슬루율로 하강시키고, 배터리 셀 최대 전압이 3.96V보다 작은 경우(파워회복영역)에 Pin=Pin_prev+D slew rate와 같이 현재 배터리제어기 충전 가용파워는 이전 배터리제어기 충전 가용파워에서 정해진 슬루율로 상승시키며, 배터리 셀 최대 전압이 3.96V 이상이고 4.2V 이하 인 경우(파워제한 홀딩영역)에 현재 배터리제어기 충전 가용파워는 이전 배터리제어기 충전 가용파워를 유지한다. 이때, 현재 배터리제어기 충전 가용파워가 배터리제어기 최대 충전 가용파워 이상인 경우에는 현재 배터리제어기 충전 가용파워가 배터리제어기 최대 충전 가용파워에 의해 제한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한전압과 회복전압 사이의 파워제한 홀딩영역에서 배터리제어기 가용파워를 직전 파워제한값으로 유지함으로써, 배터리제어기 가용파워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고 차량에서 발생가능한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터리 전압변동에 따른 파워제한값의 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배터리의 순간적인 전압 하강후 회복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압변동에 따른 파워제한값의 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Claims (4)

  1.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배터리 전압이 파워제한 홀딩 영역에 있을 경우 배터리제어기의 충방전 가용파워를 직전 파워제한값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되,
    충전 가용파워의 경우, 상기 배터리전압이 제한전압을 초과하면 배터리제어기 충전 가용파워가 정해진 슬루율로 단계적으로 하강되도록 일정 시간 간격마다 슬루율로 규정된 일정 값만큼의 가용파워를 직전의 충전 가용파워에서 단계적으로 하강시키고, 회복전압 미만이면 배터리제어기 충전 가용파워가 정해진 슬루율로 단계적으로 상승되도록 일정 시간 간격마다 슬루율로 규정된 일정 값만큼의 가용파워를 직전의 충전 가용파워에서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며, 상기 제한전압과 회복전압 사이에 있는 경우 배터리제어기 충전 가용파워를 직전 파워제한값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워제한 홀딩 영역은 배터리의 셀전압에 따라 충방전 파워를 제한하는 제한전압과 파워가 회복되는 회복전압 사이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방전 가용파워의 경우, 상기 배터리전압이 제한전압 미만이면 배터리제어기 방전 가용파워가 정해진 슬루율로 단계적으로 하강되도록 일정 시간 간격마다 슬루율로 규정된 일정 값만큼의 가용파워를 직전의 방전 가용파워에서 단계적으로 하강시키고, 회복전압을 초과하면 배터리제어기 방전 가용파워가 정해진 슬루율로 단계적으로 상승되도록 일정 시간 간격마다 슬루율로 규정된 일정 값만큼의 가용파워를 직전의 방전 가용파워에서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며, 상기 제한전압과 회복전압 사이에 있는 경우 배터리제어기 방전 가용파워를 직전 파워제한값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
KR1020080116393A 2008-11-21 2008-11-21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 Active KR101028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393A KR101028018B1 (ko) 2008-11-21 2008-11-21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393A KR101028018B1 (ko) 2008-11-21 2008-11-21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376A KR20100057376A (ko) 2010-05-31
KR101028018B1 true KR101028018B1 (ko) 2011-04-13

Family

ID=4228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393A Active KR101028018B1 (ko) 2008-11-21 2008-11-21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895B1 (ko) * 2013-06-28 2015-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파워 제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652B1 (ko) * 2012-02-21 2016-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의 적응적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051A (ko) * 2000-08-28 2002-03-07 김성만, 김균희 네트워크 기반 음식점 예약 방법 및 시스템
JP2006278132A (ja) * 2005-03-29 2006-10-12 Toyota Motor Corp バッテリ充放電制御装置
JP2007288982A (ja) 2006-04-20 2007-11-01 Nec Saitama Ltd 充電回路およびその充電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051A (ko) * 2000-08-28 2002-03-07 김성만, 김균희 네트워크 기반 음식점 예약 방법 및 시스템
JP2006278132A (ja) * 2005-03-29 2006-10-12 Toyota Motor Corp バッテリ充放電制御装置
JP2007288982A (ja) 2006-04-20 2007-11-01 Nec Saitama Ltd 充電回路およびその充電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895B1 (ko) * 2013-06-28 2015-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파워 제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376A (ko) 201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632B1 (ko) 연료전지차량의 스탑모드시 전압 제어방법
KR101509895B1 (ko) 배터리 파워 제한방법
US20130057218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e of assembled battery
JP4577274B2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KR102731551B1 (ko) 배터리 충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693995B1 (ko) 친환경 차량의 완속 충전기 충전 제어 방법
CN102473974A (zh) 用于控制或调节至少一个影响蓄电器的老化状态的工作参数的方法
JP2008182859A (ja) 風力発電装置と蓄電装置のハイブリッドシステム,風力発電システム,電力制御装置
CN104704732B (zh) 用于调节电流源的方法以及用于此的电流源和过程调节器
JP3702575B2 (ja) 組電池の充放電制御装置
JP2018023257A (ja) 蓄電装置、蓄電装置の制御方法、車両
CN110891820B (zh) 用于使车辆的高压中间电路放电的放电电路和方法
JP2019205242A (ja) 充電制御装置
KR102609652B1 (ko) 저전압 현상 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KR101028018B1 (ko) 고전압 배터리의 제어방법
JP5513553B2 (ja) ハイブリッドシステムの動作を管理する方法
CN106712210B (zh) 电源设备及其充电控制方法
KR101786216B1 (ko) 차량의 제어기의 리프로그래밍 시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
JP2005269828A (ja) ハイブリッドシステム
KR102359585B1 (ko) 차량의 배터리 운용 방법
CN109962607B (zh) 一种限流控制调节方法和装置
CN112937366B (zh) 电池充电方法和装置、车辆
KR20180122807A (ko) 차량용 보조 배터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랙박스 시스템
CN107666000A (zh) 使用升压变换器的恢复模式的堆电压控制
JP6753607B2 (ja) 充電器制御回路、充電器、充電器制御方法、充電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7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