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915B1 - Slide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Slide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7915B1 KR101027915B1 KR1020090009843A KR20090009843A KR101027915B1 KR 101027915 B1 KR101027915 B1 KR 101027915B1 KR 1020090009843 A KR1020090009843 A KR 1020090009843A KR 20090009843 A KR20090009843 A KR 20090009843A KR 101027915 B1 KR101027915 B1 KR 1010279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ubstrate
- hole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체(10)의 전면 상단에 설치되며, 중앙에 제1기판통과홀(32)이 형성되어 있는 제1플레이트(30); 커버(20)의 후면에 설치되어 제1플레이트(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 제1기판통과홀(32)과 대응되는 제2기판통과홀(42)이 형성되어 있는 제2플레이트(40); 제1플레이트(30) 및 제2플레이트(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플레이트(30)에 대한 제2플레이트(40)의 슬라이딩 동작을 탄성적으로 제어하는 링크형 액츄에이터(50); 제2플레이트(40)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제1플레이트(30)에 선택적으로 걸림 지지되어, 본체(10)에 대한 커버(20)의 개방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2기판통과홀(42)의 영역을 차단하는 스크린(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first plate (30)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a front surface of a main body (10) and having a first substrate passing hole (32) formed at a center thereof; The second plate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 and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plate 30, and the second plate has a second substrate through hole 42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strate through hole 32. 40; A link type actuator (50)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plate (30) and the second plate (40) to elastically control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econd plate (40)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30); The second plate passing hole 42 is selectively latched and supported by the first plate 30 by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econd plate 4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cover 20 is opened to the main body 10. And a screen 60 to block the area. Accordingly, the functionality and usability of 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improved.
제1플레이트, 제2플레이트, 액츄에이터, 스크린 First Plate, Second Plate, Actuator, Screen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동작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stably implemen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본체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의 작동방식에 따라 폴더(Folder)와 슬라이드(Slide) 및 스윙(Swing) 타입으로 분류된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lassified into a folder, a slide, and a swing type according to an operation method of a cover that is coupled to be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a main body.
특히, PDA나 PMP 등과 이동통신단말기는 슬라이드모듈에 의해 상하로 개폐 동작된다.In particular, the PDA or PMP, etc.,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ned and closed by the slide module.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은 본체의 전면판 좌우 양단부에 커버가 개폐되는 상하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되어 있는 제1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이와 대응하여 커버의 후면판 좌우 양단부에는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 딩편이 구비되어 있는 제2플레이트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2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면서 커버가 반자동 개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 조의 토션스프링이 설치된다.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lide module is provided with a first plate provided with a rail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plate of the main body, and correspondingly to the rails on both sides of the rear plate of the cover to be slidable A second plate having a sliding piece to be coupled is installed. And a set of torsion springs are provided which provide elasticity so that a cover may be semi-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connecting a 1st and 2nd plat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은 제2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동작시 커버의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개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stable and smooth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is not properly performed during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econd plate.
즉, 토션스프링에 의해 제2플레이트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커버의 개폐동작을 장기간 안정적이고 부드럽게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다. That is, since the second plate is slid up and down by the torsion spring, there is a limit in implemen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for a long time stably and smoothly.
또한, 토션스프링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그 설치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work is difficult due to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torsion spring.
그리고 제2플레이트에는 연성회로기판(FPC)이 가능한 한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기판통과홀이 형성되어 있으나, 기판통과홀의 크기적 문제로 인해 커버의 개방시 기판관통홀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기판관통홀의 외부 노출현상은 이물질 유입 및 미관 저해의 원인이 된다.The second plate has a substrate through-hole of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flexible circuit board (FPC) can pass smoothly without interference as much as possible, but a part of the substrate through-hole when the cover is opened due to the size problem of the substrate through-hole. The phenomenon that the area is exposed to the outside occurs. The external exposure phenomenon of the substrate through-holes is a cause of foreign matter inflow and aesthetic inhibition.
이는 결국,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This, in turn, results in deterioration of functionality and usability of the slide module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커버의 개폐동작을 안정적으로 구현함과 아울러 커버의 개방시 연성회로기판이 통과하는 기판관통홀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easily and efficiently preven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and the exposure of the substrate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flexible circuit board passes when the cover is opened to the outside. Its purpose is to.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은, 본체의 전면 상단에 설치되며, 중앙에 제1기판통과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플레이트; 상기 커버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제1기판통과홀과 대응되는 제2기판통과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제2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동작을 탄성적으로 제어하는 링크형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로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로드를 탄성적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lat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a front surface of a main body, and having a first substrate passing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 second plate installed at a rear surface of the cover to be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having a second substrate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strate through hole at a center thereof; A linkage actuator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o elastically control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econd plate relative to the first plate,
The actuator includes a housing; A pair of rod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housing so as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hinged to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mpression spring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elastically move the pair of rods back and forth.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은 제2플레이트가 제1플레이트에 슬라이딩될 때 본체에 대한 커버의 개방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2기판통과홀을 차단하는 스크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은, 제2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제2기판통과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면에서 돌출되는 걸림돌기는 갖는 차단판과, 일단은 제2플레이트에 연결됨과 아울러 타단은 차단판에 연결되어 차단판을 탄성적으로 구속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screen for blocking a second substrate through hol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cover for the main body when the second plate is slid to the first plate,
The screen is provided with a blocking plate having a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and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second substrate passing hole formed in the second plat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locking plat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tension spring that elastically restrains the blocking plate.
상기 제1플레이트에는 제2플레이트가 제1플레이트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차단판의 걸림돌기가 걸리게 되는 걸림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차단판은 제1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동작에 연동되다가 걸림돌기가 걸림부재에 걸리게 되면 더 이상 연동되지 않고 현위치를 유지하게 되어 커버의 개방시 제2기판통과홀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plate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that is caught by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blocking plate in the process of sliding the second plate along the first plate,
When the blocking plate is interlocked with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first plate and the catching protrusion is caught by the catching member, the blocking plate is no longer interlocked to maintain the current position, and thus it is preferable to block the second substrate passing hole when the cover is opened.
본 발명에 따르면, 액츄에이터의 구조 및 배치형태적 특징으로 인해 제1플레이트에 대한 제2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동작을 보다 안정적이고 부드럽게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the actuator,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econd plate relative to the first plate can be more stably and smoothly realized.
그리고 스크린을 통해 커버의 개방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2기판통과홀 부분적인 영역을 완전히 커버하여 제2기판통과홀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연성회로기판의 외부 노출로 인한 미관의 저해를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vering the partial area of the second substrate through hole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cover is opened through the screen,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through the second substrate through hole, and also to the external exposure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It can improve the inhibition of aesthetics caused.
그로 인해,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functionality and usability of 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improv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은 본체(10)의 전면 상단에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30); 커버(20)의 후면에 설치되어 제1플레이트(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40); 제1플레이트(30) 및 제2플레이트(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액츄에이터(50); 제2플레이트(40)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제1플레이트(30)에 선택적으로 걸림 지지되는 스크린(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7 and 9, 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체(10)는 좌우폭이 상하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전면에 키패드부(12)가 구비되어 있다.The
커버(20)는 본체(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며, 전면에 디스플레이부(22)가 구비되어 있다.The
제1플레이트(30)는 밴드 형상을 가지고 본체(10)의 키패드부(12) 상단에 위치하며, 그 중앙에는 연성회로기판(FPC)(70)이 통과하는 제1기판통과홀(32)이 형성되어 있다. The
제1기판통과홀(32)은 본체(10)로부터 인출되는 연성회로기판(FPC)(70)에 대응되도록 슬릿 형상을 가진다.The first substrate through
그리고 제1플레이트(30)의 양단에는 절곡된 구조의 가이드레일(34a,34b)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레일(34a,34b)을 통해 제2플레이트(4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된다.
또, 제1플레이트(30)에는 이 제1플레이트(30)에 제2플레이트(40)가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후술할 스크린(60)의 차단판(62)에 형성되는 걸림돌기(61)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재(35)가 마련된다.
걸림부재(3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플레이트(40)가 제1플레이트(3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차단판(62)의 걸림돌기(61)에 걸리게 되어 차단판(62)으로 하여금 제2플레이트(40)의 슬라이딩에 연동되지 않고 제위치를 지키게 한다. 따라서 차단판(62)은 제1기판통과홀(32)과 후술할 제2기판통과홀(42)이 연통되는 일부 영역(P,도 3 참조)을 제외하는 제2기판통과홀(42)을 차단시킨다. In addition,
In addition, the
As described above, the
제2플레이트(40)는 커버(20)와 유사한 사각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에는 제1 플레이트(30)의 제1기판통과홀(32)과 대응되는 제2기판통과홀(42)이 형성되어 있다. The
제2기판통과홀(42)은 제1기판통과홀(32)을 통과한 연성회로기판(FPC)(70)을 커버(20)에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second substrate through
제2기판통과홀(42)은 연성회로기판(FPC)(70)이 가능한 한도 내에서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크기를 가진다. 예컨대, 제2기판통과홀(42)의 길이는 제1기판통과홀(32)과 유사하고, 그 폭은 제1기판통과홀(32) 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second substrate pass-through
액츄에이터(50)는 제1플레이트(30)에 대한 제2플레이트(40)의 슬라이딩 동작을 탄성적으로 제어하여 커버(20)를 반자동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액츄에이터(50)는 제2플레이트(40)의 슬라이딩 동작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제2기판통과홀(42)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액츄에이터(50)는 제2플레이트(40)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전·후진 이동하면서 회전되는 링크형 구조를 가진다.The
즉, 액츄에이터(50)는 하우징(52); 하우징(52)의 양측에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플레이트(30) 및 제2플레이트(40)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로드(54a,54b); 하우징(52)의 내부에 삽입되어, 한 쌍의 로드(54a,54b)를 탄성적으로 전·후진가능하게 하는 압축스프링(56)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하우징(52)의 양측에는 로드(54a,54b)가 전·후진 가능하도록 일정 깊이의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로드(54a,54b)는 스프링(56)의 탄성력에 의해 각각 전·후진 동작된다.Insertion spaces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이와 같은 액츄에이터(50)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제2플레이트(40)의 슬라이딩 동작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Due to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스크린(60)은 본체(10)에 대한 커버(20)의 개방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2플레이트(40)의 제2기판통과홀(42) 영역을 완전히 차단하여, 커버(20)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커버(20)의 외관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The
스크린(60)은 제2플레이트(40)에 형성되어 있는 제2기판통과홀(4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판(62)과, 일단은 제2플레이트(40)에 연결됨과 아울러 타단은 차단판(62)에 연결되어, 차단판(62)을 탄성적으로 구속하는 인장스프링(64)을 포함한다. The
차단판(62)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저면에서 돌출되는 걸림돌기(6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61)는 제2플레이트(40)가 제1플레이트(3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제1플레이트(30)의 걸림부재(35)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걸림돌기(61)가 걸림부재(35)에 걸리게 되면, 차단판(62)이 제2플레이트(40)의 슬라이딩 동작에 연동되어 슬라이딩 되다가 더 이상 연동되지 않고 현위치를 유지하게 되어 커버(20)의 개방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2기판통과홀(42)을 차단하게 된다.
인장스프링(6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차단판(62)을 탄성적으로 구속하는 역할을 하는데, 커버(20)가 개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2플레이트(40)의 제2기판통과홀(42)을 따라 이동되지 못하도록 구속한다. As illustrated, the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커버(20)의 폐쇄시에는 인장스프링(64)의 탄성력에 의해 차단판(62)이 제2플레이트(40)의 제2기판통과홀(42)을 차단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고, 커버(20)의 개방시에는 차단판(62)이 제1플레이트(30)에 걸림 지지되어 탄성적으로 이동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제2기판통과홀(42)의 영역을 차단하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이 때, 차단판(62)은 제2플레이트(40)의 제2기판통과홀(42) 전체를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아니고, 제1기판통과홀(32)과 대응되어 연성회로기판(FPC)(7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부 영역(P)은 제외된다.At this time, the
상기에서 설명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의 동작상태를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The operation of 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A and 8B.
먼저, 도 8a에서와 같이 본체(10)에 대해 커버(20)가 폐쇄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2플레이트(40)의 상부영역에 제1플레이트(30)가 위치하고, 이러한 상태는 액츄에이터(50)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First, as shown in FIG. 8A, when the
이 때, 스크린(60)의 차단판(62)은 인장스프링(64)에 의해 제2플레이트(40)의 제2기판통과홀(42)을 차단하지 않게 되며, 인장스프링(64)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At this time, the blocking
그리고 도 8b에서와 같이 본체(10)에 대해 커버(30)가 개방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2플레이트(40)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제1플레이트(30)가 제2플레이트(40)의 하부영역에 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는 액츄에이터(50)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In addition, when the
스크린(60)의 차단판(62)은 제2플레이트(40)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걸림돌기(61)가 제1플레이트(30)의 걸림부재(35)에 걸림 지지되어 커버(20)의 개방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2플레이트(40)의 제2기판통과홀(42)의 영역을 차단하게 된다.The blocking
이 때, 차단판(62)은 인장스프링(64)에 의해 제1플레이트(3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인장스프링(64)은 인장된 상태를 유지한다.At this time, the block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의 설치된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한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stalled of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의 동작상태에 따른 저면도,4a to 4c is a bottom view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의 정면도,5 is a front view of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의 측면도,6 is a side view of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의 동작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8a and 8b is an operation state of 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 본체 20 : 커버 10: body 20: cover
30 : 제1플레이트 32 : 제1기판통과홀 30: first plate 32: first substrate through hole
40 : 제2플레이트 42 : 제2기판통과홀 40: second plate 42: second substrate through hole
50 : 액츄에이터 52 : 하우징 50: actuator 52: housing
54a,54b : 로드 56 : 압축스프링 54a, 54b: Rod 56: Compression Spring
60 : 스크린 62 : 차단판 60: screen 62: blocking plate
64 : 인장스프링 61 : 걸림돌기 64: tension spring 61: locking projection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9843A KR101027915B1 (en) | 2009-02-06 | 2009-02-06 | Slide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9843A KR101027915B1 (en) | 2009-02-06 | 2009-02-06 | Slide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0515A KR20100090515A (en) | 2010-08-16 |
KR101027915B1 true KR101027915B1 (en) | 2011-04-12 |
Family
ID=4275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9843A Expired - Fee Related KR101027915B1 (en) | 2009-02-06 | 2009-02-06 | Slide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7915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6773Y1 (en) | 2004-12-02 | 2005-03-11 | (주)하이텍파츠 | Slider assembly for sliding-type moblie phone |
KR100803495B1 (en) | 2006-12-14 | 2008-02-14 |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 Portable terminal with slide swing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
KR100810263B1 (en) | 2005-10-11 | 2008-03-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Key pad for portable terminal and sliding module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hereof |
-
2009
- 2009-02-06 KR KR1020090009843A patent/KR10102791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6773Y1 (en) | 2004-12-02 | 2005-03-11 | (주)하이텍파츠 | Slider assembly for sliding-type moblie phone |
KR100810263B1 (en) | 2005-10-11 | 2008-03-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Key pad for portable terminal and sliding module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hereof |
KR100803495B1 (en) | 2006-12-14 | 2008-02-14 |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 Portable terminal with slide swing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0515A (en) | 2010-08-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17690B1 (en) | Sliding 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JP4489745B2 (en)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lide module | |
JP4866205B2 (en)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lide module | |
US7583989B2 (en) | Sliding-type hinge | |
KR100640321B1 (en) | Sliding module of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 |
KR101027915B1 (en) | Slide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77474B1 (en) | Slide type mobile terminal | |
KR100689498B1 (en) | Sliding module of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 |
KR100661992B1 (en) | Sliding switchgear of portable terminal | |
KR200425749Y1 (en) | Slide type mobile phone | |
JP5403790B2 (en) | High frequency heating device | |
KR101035124B1 (en) | Slide module of the phone | |
KR100742361B1 (en)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lide module | |
KR100867233B1 (en) | Cross direction switchgear of sliding phone | |
KR100678199B1 (en) | Portable terminal with sliding module | |
KR100719518B1 (en) | Simple slide cover switchgear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using same | |
KR100761274B1 (en)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lide module | |
KR100552112B1 (en) | Sliding switchgear for mobile phones | |
KR100713375B1 (en) | Sliding Module of Portable Terminal | |
KR100824816B1 (en) | Driving device of slide type phone opened and closed in up and down direction | |
KR100856582B1 (en) | Up and dow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slide type phone | |
KR20060133276A (en) | Sliding Module of Portable Terminal | |
KR100853660B1 (en) | Sliding structure of switchgear for electronic devices | |
KR101307756B1 (en) | A slide assembly and a cellular phone with it | |
KR101446145B1 (en) | A slide hin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