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705B1 - Motor control panel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of motor control unit - Google Patents
Motor control panel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of motor control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7705B1 KR101027705B1 KR1020100101298A KR20100101298A KR101027705B1 KR 101027705 B1 KR101027705 B1 KR 101027705B1 KR 1020100101298 A KR1020100101298 A KR 1020100101298A KR 20100101298 A KR20100101298 A KR 20100101298A KR 101027705 B1 KR101027705 B1 KR 1010277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or control
- control unit
- unit
- control panel
- mo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제어반(MCC: Motor Control Center)에 다수로 설치되는 각각의 모터제어유닛(Motor Control Center Unit)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키며 자동으로 인입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터제어유닛 자동 개폐 기능을 구비한 모터제어반을 개시한다. 개시된 모터제어반은, 개별적인 모터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모터제어유닛이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모터제어유닛장착부가 다단으로 형성된 모터제어반에 있어서, 상기 모터제어반의 전면에 설치되는 인입인출제어수단;과, 상기 모터제어유닛 또는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인입인출제어수단의 제어명령에 따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이 설치되지 않은 상기 모터제어유닛 또는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을 인가받아 상기 모터제어유닛을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로부터 인출하거나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로 인입시키는 종동유닛;을 구비한 인입인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otor control uni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that allows each motor control center unit (MCC) installed in a plurality of motor control center (MCC) to be located at the correct position and automatically draw in and out. Start a motor control panel. The disclosed motor control panel includes a motor control panel having a multi-stage motor control unit mounting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motor control units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individual motors can be pulled in or pulled out, wherein the motor control panel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otor control panel. Control means; and a drive unit installed in any one of the motor control unit or the motor control unit mounting portion to generate a driving force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command of the draw-out control means; and the motor control without the drive unit installed. A driven unit installed in one of the unit or the motor control unit mounting unit and receiving a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to draw the motor control unit from or to the motor control unit mounting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ans.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터제어반(MCC: Motor Control Center)에 다수로 설치되는 각각의 모터제어유닛(Motor Control Center Unit)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키며 자동으로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터제어유닛 자동 개폐 기능을 구비한 모터제어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opening / closing function of a motor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placing or withdrawing each motor control unit located at a correct position in a plurality of motor control centers (MCCs). It relates to a motor control panel provided.
일반적으로, 모터제어반(MCC: Motor Control Center)은 빌딩 등의 대형 구조물에 설치되는 소방수공급펌프, 배수펌프, 상수도 공급펌프 등의 다양한 기능을 위해 구비되는 펌프 구동을 위한 각각의 모터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터제어패널을 가지는 다수의 모터제어유닛(Motor Control Center Unit)이 장착된 제어반을 말한다.In general, a motor control center (MCC) independently controls each motor for driving a pump provided for various functions such as a fire water supply pump, a drainage pump, and a water supply supply pump installed in a large structure such as a building. It refers to a control panel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motor control center units (Motor Control Center Unit) having a motor control panel configured to enable.
도 1 내지 도 3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84497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의 모터제어반(Motor Control Center)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to 3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otor control panel (Motor Control Center)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84497.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모터제어반(201)은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 MC(Magnetic Contactor), CT(Current Transfer), 캐패시터(Capacitor), CT 검출용 셀 및 통신장치(KEN)가 구비되는 패널(205)과, 패널(205)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우징(209)으로 패널(205)의 인입 또는 인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패널(203)을 포함하여 각각의 모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모터제어유닛(Motor Control Center Unit)(204)들과 모터제어유닛(204)들이 모터제어반(201)의 내부로 인입 또는 내부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20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도 2와 같이 하우징(209)의 내부에는 각각의 모터제어유닛(204)들이 전원을 공급받도록 접속되는 다수의 캐패시터(301)들과 끼움결합부재(309)들과 전원공급바(319)들이 설치된다.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도 3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패널(203)은 전면에 손잡이(215)가 형성되고, 양측에 고정레일(501)과 유동레일(503)이 결합된 슬라이딩레일(504)이 구비되어, 하우징(209)의 내부로 슬라이딩 되어 인입되거나 하우징(209)의 내부로부터 슬라이딩되며 인출되는 것에 의해 모터제어유닛(204)들의 인입 또는 인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sliding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의 모터제어반(201)의 경우 모터제어유닛(204)이 슬라이딩되면서 기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을 위한 슬라이딩 운동이 멈추는 때에 충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선 또는 단자 등의 연결부가 풀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배선 또는 단자 등의 연결부위의 풀림에 의해 누전발생, 과도한 국부적인 열발생, 오동작 또는 감전사고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또한 모터제어유닛(204)을 인출하는 경우 과도한 힘이 작용하여 인출력이 커지게 되면, 모터제어유닛(204)이 급격히 인출되어 인접된 작업자와 충돌하는 것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In addition, when the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제어유닛의 인입 또는 인출 시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배선 또는 단자 등의 풀림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누전발생, 과도한 국부적인 열발생, 오동작 또는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모터제어반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모터제어유닛 자동 개폐 기능을 구비한 모터제어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shock during the entry or withdrawal of the motor control unit to prevent the loosening of the wiring or terminals, such as the occurrence of short circuit, excessive local heat gener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tor control panel having an automatic opening / closing function of a motor control unit that can prevent malfunction or electric shock and facilitate maintenance of the motor control panel.
본원 발명은 또한 모터제어유닛이 사용자인 일정 거리 이내로 인접하는 경우 모터제어유닛의 인출 작용을 멈추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모터제어유닛 자동 개폐 기능을 구비한 모터제어반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otor control panel having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of the motor control unit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by stopping the withdrawal action of the motor control unit when the motor control unit is adjacen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a user. For other purpose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터제어유닛 자동 개폐 기능을 구비한 모터제어반은, 개별적인 모터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모터제어유닛이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모터제어유닛장착부가 다단으로 형성된 모터제어반에 있어서, 상기 모터제어반의 전면에 설치되는 인입인출제어수단;과, 상기 모터제어유닛 또는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인입인출제어수단의 제어명령에 따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이 설치되지 않은 상기 모터제어유닛 또는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을 인가받아 상기 모터제어유닛을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로부터 인출하거나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로 인입시키는 종동유닛;을 구비한 인입인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tor control panel having a motor control uni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otor control unit mounting portion is mounted so that a plurality of motor control units for the independent control of each motor is retractable or withdrawable A multi-stage motor control panel comprising: a pull-out control mean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motor control panel; and a driving force installed in any one of the motor control unit or the motor control unit mounting unit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pull-out control means. And a driving unit which is installed in any one of the motor control unit or the motor control unit mounting unit in which the driving unit is not installed, and receives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to supply the motor control unit from the motor control unit mounting unit. A driven unit which draws out or draws into the motor control unit mounting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wing means comprises an inlet.
상기 인입인출수단은, 또한, 상기 모터제어반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와 모터제어반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입인출제어수단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거리정보를 기 설정된 거리 값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거리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pull-out means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sensor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motor control panel to sense a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motor control panel. The pull-out control means may further include distance information input from the sensing sensor. It may be configured to stop the driving of the drive unit when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distance value compared to the set distance value.
상기 인입인출수단은, 또한, 상기 모터제어유닛 또는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모터제어유닛의 인입 종료 위치 또는 인출 종료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제어유닛의 인입 또는 인출을 종료시키는 리미트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입인출제어패널은 상기 리미트스위치로부터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draw-out means further includes a limit switch provided at one of the motor control unit and the motor control unit mounting unit at an end end position or an end end position of the motor control unit to terminate the entry or withdrawal of the motor control unit. Further, wherein the pull-out control panel may be configured to stop the driving of the drive unit when a switching signal is input from the limit switch.
상기 구동유닛은, 원주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축결합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rive unit may include a drive gear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thereof, and a drive motor axially coupled to the drive gear.
상기 종동유닛은, 봉형으로 원주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양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모터제어유닛 또는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키는 서포트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riven unit may include: a driven gear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circumference in a rod shape; and a support unit rotatably supporting both end portions of the driven gear to fix the motor control unit or the motor control unit mounting par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인입인출수단은, 또한, 결합돌기가 형성된 결합부와 결합부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상기 종동유닛의 종동기어를 수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동조작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종동기어의 상기 단부면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모터제어반의 전면에는 결합홈과 대향하는 위치에 수동조작수단삽입구멍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pull-out means further includes a manual operation means for manually driving the driven gear of the driven unit, including a coupling part and a handle for rotatably fixing the coupling part where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The end surface of the gear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rojection is fixedly coupled, the front surface of the motor control panel may be configured to be formed in the manual operation means insertion hole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groove.
본원 발명은 모터제어반에 장창되는 모터제어유닛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스크류볼트를 회전시켜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터제어유닛의 인입 및 인출 시의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afety of the operator during the entry and withdrawal of the motor control unit by allowing a screw bolt to be pulled in or taken out by rotating the screw bolt manually or automatically.
또한, 본원 발명은 모터제어반에 장창되는 모터제어유닛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스크류볼트를 회전시켜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터제어유닛의 인입 또는 인출 시 충격의 발생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motor control unit mounted on the motor control panel to be pulled in or pulled out by rotating the screw bolt manually or automatically,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shock during the inlet or out of the motor control unit.
또한 본원 발명은 모터제어유닛의 인입 또는 인출 시의 충격 발생의 방지에 의해 모터제어유닛의 인입 또는 인출 시 배선 또는 단자 등의 풀림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누전발생, 과도한 국부적인 열발생, 오동작 또는 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loosening of wires or terminals when the motor control unit is pulled in or drawn out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shock when the motor control unit is pulled in or pulled out, thereby causing a short circuit, excessive local heat generation, malfunction or electric shock.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또한 본원 발명은 모터제어유닛의 인입 또는 인출 시 정확한 위치에 모터제어유닛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motor control unit to be positioned at the correct position when the motor control unit is pulled in or out.
또한 본원 발명은 전원 공급시에는 자동으로 단전 시에는 수동으로 모터제어유닛을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facilitates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 by allowing the motor control unit to be drawn in or taken out automatically when the power is supplied automatically when the power is cut off.
또한 본원 발명은 모터제어유닛이 인출되는 때에 사용자와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내로 되는 경우 모터제어유닛의 인출동작을 멈추도록 하는 것에 의해 모터제어유닛이 사용자와 충돌하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in which the motor control unit collides with the user by stopping the withdrawal operation of the motor control unit when the distance to the user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when the motor control unit is drawn out. to provide.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의 모터제어반(201)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모터제어반(201)의 슬라이딩 수납 기능을 가지는 모터제어유닛(204)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는 모터제어반(100)의 사시도.
도 5는 구동유닛(D)이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에 장착되고, 종동유닛(F)이 모터제어유닛(20)의 케이스(C) 저면에 형성된 안착홈(24)에 장착되는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는 모터제어반(100)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모터제어반(100)에 장착되는 모터제어유닛(20)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종동유닛(F)이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에 장착되고, 구동유닛(D)이 모터제어유닛(20')의 케이스(C) 저면에 형성된 안착홈(24)에 장착되는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모터제어반(100')의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모터제어반(100')에 장착되는 모터제어유닛(20')의 저면 사시도.1 and 2 show a
3 is a view showing a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5 is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drive unit (D) is mounted to the motor control unit mounting portion (11), and the driven unit (F) is mounted to the seating groove (2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C) of the motor control unit (20).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7 shows that the driven unit (F) is mounted to the motor control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motor control unit 20 'mounted on the motor control panel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는 모터제어반(10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구동유닛(D)이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에 장착되고, 종동유닛(F)이 모터제어유닛(20)의 케이스(C) 저면에 형성된 안착홈(24)에 장착되는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는 모터제어반(100)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6은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모터제어반(100)에 장착되는 모터제어유닛(20)의 저면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4와 같이 모터제어반(100)은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가 다단으로 형성된 외함(10)과, 본 발명의 인입인출수단(30)에 의해 각각의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모터제어유닛(20)들 및 모터제어유닛(20)들을 자동으로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인입인출수단(30)과 모터제어유닛(20)들을 수동으로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동조작수단(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도 5와 같이 상기 외함(10)의 각각의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는 격판(10a)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격판(10a)의 상부면 중 모터제어유닛(20)에 설치되는 인입인출수단(30)의 일 구성인 종동유닛(F)의 스크류볼트(31)에 대향하는 위치 중 전면에 인접되는 위치에 인입인출수단(30)의 또 다른 구성인 구동유닛(D)이 설치된다.As shown in FIG. 5, each motor control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의 내부 양측벽에는 모터제어유닛(20)의 인입 또는 인출 시 모터제어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3)이 설치된다.
On both inner walls of the motor control
도 5에는 미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를 구획하는 격판(10a)에는 모터제어유닛(20)의 인출을 단계적으로 중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S)들이 설치된다. 도 5의 경우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의 내부 격판(10a)의 상부 좌측의 위치에 일렬로 3개의 리미트스위치(S)들이 형성된다. 이중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의 입구측에 위치되는 리미트스위치(S)는 모터제어유닛(20)의 완전인출시 모터제어유닛(20)의 인출을 정지시킨다. 다음의 내부 중간에 위치되는 리미트스위치(S)는 모터제어유닛(20)이 테스트 위치로 인출되는 경우 모터제어유닛(20)의 인출을 정지시킨다. 이는 모터제어유닛(20)의 내부 구성 부품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모선과의 결합이 분리되고 모터측의 접속은 유지된 상태를 가진다. 다음으로 최 내측에 위치되는 리미트스위치(S)는 모터제어유닛(20)이 주모선에 결합되는 완전 인입 상태에서 모터제어유닛(20)의 인입을 정지시킨다. 상기 리미트스위치(S)들은 다른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고, 하나의 리미트스위치(S)만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3개의 리미트스위치(S)들이 장착된 위치들이 본원 발명의 인입 또는 인출 종료위치가 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5, the
외함(1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모터제어반(201)과 같이 접촉방지패널(313), 끼움결합부재(309), 하우징(209), 끼움결합부재(309), 전원공급바(319), 캐폐시터(301) 등이 설치된다. 또한 모터제어유닛(20)의 배면과 인접되는 위치에는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1차외함접속단자(미도시), 외부전원을 각각의 모터로 공급하는 2차외함접속단자(미도시) 및 외부의 관제센터, 소방소 등의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3차외함접속단자(미도시)가 형성된다.Inside the
도 6과 같이 모터제어유닛(20)은 내부에는 모터제어반(100)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 MC(Magnetic Contactor), CT(Current Transfer), 캐패시터(Capacitor), CT 검출용 셀 및 통신장치(KEN)가 구비되는 패널(205)(모터제어패널)이 설치되어 슬라이드되면서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케이스(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케이스(C)의 전면에는 구동유닛(D)의 구동모터(5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원램프(41), 인입버튼(42), 인출버튼(43) 및 수동버튼(44)이 형성되고 내부에 감지센서(60)의 거리신호 또는 각 버튼(42~44)들의 입력에 따라 구동모터(51)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마이콤 또는 펌웨어 등을 구비하는 인입인출제어패널(40)과 자기장, 적외선, 초음파, 광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0)가 부착되고, 종동유닛(F)의 스크류볼트(31)의 전면측에 위치되는 단부에 대향하는 면에는 수동조작수단삽입구멍(21)이 형성된다.On the front of the case C, a
상기 케이스(C)의 저면 중 모터제어유닛(20)이 완전인입된 상태에서 모터제어유닛(20)의 인입을 중지시키는 위치에는 리미트스위치(S)들을 스위칭하기 위한 리미트돌기(P)가 형성된다.A limit protrusion P for switching the limit switches S is form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상기 인입인출제어패널(40)은 감지센서(60) 및 구동모터(51)와 신호제어선을 통해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된 인입인출제어패널(40)은 사용자의 인입버튼(42), 인출버튼(43) 또는 수동버튼(44)의 누름에 의해 입력되는 인입, 인출 또는 수동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그에 따라 구동모터(51)의 구동을 제어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된 인입인출제어패널(40)은 또한 감지센서(60)로부터 사용자와의 인접 거리 정보를 수신하여 인접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작은 경우 구동모터(51)의 회전을 강제로 정지시켜 모터제어유닛(20)의 인출을 차단하여 모터제어유닛(20)이 사용자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한다. 이 후 사용자의 인입버튼(42), 인출버튼(43) 또는 수동버튼(44)의 누름에 의해 입력되는 인입, 인출 또는 수동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그에 따라 구동모터(51)의 구동을 제어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ed pull-out
케이스(C)의 외부 양측 벽에는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3)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가이드홈(22)이 형성된다. 가이드홈(22)의 내부에는 가이드레일(13)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볼베어링(23)이 설치된다.
케이스(C)의 저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종동유닛(F)이 설치되는 안착홈(24)이 형성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C) is formed with a
도면에는 미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케이스(C)의 배면에는 각각의 1차외함접속단자(미도시), 2차외함접속단자(미도시) 및 3차외함접속단자(미도시)와 대향하는 각각의 위치에 1차접속단자, 2차접속단자 및 3차접속단자가 형성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back of the case (C) has respective primary enclosure connection terminals (not shown), secondary enclosure connection terminals (not shown), and respective tertiary enclosure connection terminals (not shown). The primary connection terminal, the secondary connection terminal and the tertiary connection terminal are formed at the position.
본원 발명의 인입인출수단(30)은 상기 인입인출제어패널(40), 구동유닛(D), 종동유닛(F) 및 감지센서(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ull-out means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ull-out
도 6을 참조하여 인입인출수단(30)의 구성 중 구동유닛(D)과 종동유닛(F)을 포함하는 본원 발명의 인입인출수단(30)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6, the take-out means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driving unit D and the driven unit F among the configurations of the take-out means 30 will be described.
상기 구동유닛(D)은 스크류볼트(31)와 맞물리어 회전하는 웜기어(52)와 웜기어(52)가 축결합된 구동모터(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웜기어(52)는 원통형의 외주연에 원주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본원 발명의 구동기어의 일 실시예가 된다.The drive unit (D) includes a
상기 종동유닛(F)은 스크류볼트(31)와 스크류볼트(31)의 양단부에서 스크류볼트(3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트유닛(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볼트(31)의 모터제어유닛(20)의 전면에 대향하는 단부면에는 수동조작수단(90)의 결합돌기(92b)가 삽입되어 스크류볼트(31)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홈(32)이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유닛(33)은 스크류볼트(3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스크류볼트(31)의 단부에 결합된 후 서포트유닛(33)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크류볼트(31)가 서포트유닛(33)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결합홈(32)이 형성된 스크류볼트(31)의 단부는 수동조작수단삽입구멍(21)을 통해 결합돌기(92b)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스크류볼트(31)는 본원 발명의 종동기어의 일 실시예가 된다.The driven unit F is configured to include a
다음으로 수동조작수단(90)을 설명한다.Next, the manual operation means 90 will be described.
상기 수동조작수단(90)은 도 6과 같이, 손잡이(91)와 손잡이(9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9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manual operation means 90 includes a
상기 결합부(92)는 결합관(92a)과 결합관(92a)의 내부에서 스크류볼트(31)의 단부면에 형성된 결합홈(32)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9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구성의 수동조작수단(90)은 정전 등으로 모터제어유닛(20)의 자동 인입 또는 인출이 불가능한 경우 결합부(92)를 수동조작수단삽입구멍(21)을 통해 삽입하여 결합홈(32)에 결합돌기(92b)를 결합한 후 수동으로 스크류볼트(31)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모터제어유닛(20)을 수동으로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manual operation means (90) of the above configuration inserts the coupling portion (92) through the manual operation means insertion hole (21) when the automatic insertion or withdrawal of the motor control unit (20) is not possible due to a power failure or the like. After the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의 모터제어반(100)의 결합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인출수단(30)의 구동유닛(D)은 격판(10a)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종동유닛(F)은 모터제어유닛(20)의 저면에 형성된 안착홈(24)에 장착된다. 이때 스크류볼트(31)의 결합홈(32)이 형성된 단부면은 수동조작수단삽입구멍(21)과 대향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인입인출수단(30)의 인입인출제어패널(40)과 감지센서(60)는 모터제어유닛(20)의 케이스(C) 전면에 부착된다. 인입인출제어패널(40)은 신호제어선에 의해 구동모터(51) 및 감지센서(60)와 연결된다.As shown in Fig. 5 and 6, the drive unit (D) of the pull-out means 3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aphragm (10a), the driven unit (F) i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구성의 모터제어유닛(20)이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에 삽입되면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3)이 각각 모터제어유닛(20)의 양측벽에 형성된 가이드홈(22)에 삽입되어 모터제어유닛(20)의 인입 또는 인출 운동을 유도하며 모터제어유닛(20)의 이탈을 방지한다.When the
이때 모터제어유닛(20)의 저면에 장착된 종동유닛(F)의 스크류볼트(31)와 격판(10a)의 상부면에 장착된 구동유닛(D)의 웜기어(52)가 나사결합되는 것과 같이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된다.At this time, as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인입버튼(42) 또는 인출버튼(43)을 누르면 구동모터(51)가 모터제어유닛(20)을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모터제어유닛(20)을 인입 또는 인출시킨다. 이러한 인입 또는 인출 과정은 모터제어유닛(20)의 저면에 설치된 리미트돌기(P)에 의해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의 내부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S) 중 하나가 눌리는 경우 종료된다. 이후 다시 인입버튼(42) 또는 인출버튼(43)이 눌리는 경우 다음 리미트스위치(S)가 눌릴 때까지 인입 또는 인출 동작이 다시 수행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pull-
이 중 모터제어유닛(20)의 인출 시 인입인출제어패널(40)은 감지센서(60)로부터 감지된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값을 가지는 경우 구동모터(51)의 구동을 정지시켜 모터제어유닛(20)이 사용자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Among these, when the
그리고 수동버튼(44)이 눌리는 경우에는 구동모터(51)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사용자가 수동조작수단(90)을 이용하여 스크류볼트(31)를 회전시킴으로써 수동으로 모터제어유닛(20)을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에 인입하거나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도 7 및 도 8은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모터제어반(100')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은 종동유닛(F)이 외함(10')의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에 장착되고, 구동유닛(D)이 모터제어유닛(20')의 케이스(C) 저면에 형성된 안착홈(24)에 장착되는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모터제어반(100')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8은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모터제어반(100')에 장착되는 모터제어유닛(20')의 저면 사시도이다.7 and 8 show a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인입인출수단(30) 중 종동유닛(F)은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에 설치되고, 구동유닛(D)이 모터제어유닛(20')의 저면에 형성된 안착홈(24)에 장착된다.As shown in Fig. 7 and Fig. 8, the driven unit (F) of the pull-out means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motor control
상기 구조의 경우 구동모터(51)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모터제어유닛(20)으로부터 직접 공급받게 되므로 설치 및 모터제어유닛(20)의 인입 인출 동작이 용이하게 된다.In the above structure, since the power for driving the driving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기어를 웜기어(52)로 하고, 종동기어를 스크류볼트(31)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는 래크와 피니언 등의 다양한 기어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gear is a
또한 본원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인입인출수단(30) 중 구동유닛(D) 및 종동유닛(F)이 기어결합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인입인출수단(30)은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로드와 유압실린더를 구비한 유압장치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D) and the driven unit (F) of the pull-out
도 7 및 도 8의 외함(10')과 모터제어유닛(20')의 구동유닛(D) 및 종동유닛(F)의 설치 위치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도 5 및 도 6의 외함(10')과 모터제어유닛(20')의 구성과 동일하다.7 and 8 except fo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rive unit D and the driven unit F of the enclosure 10 'and the motor control unit 20', the enclosure 10 'of FIGS. And the motor control unit 20 '.
또한 본원 발명은 도면에는 미 도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도 5 및 도 7의 리미트스위치(S)들과 도 6 및 도 8의 리미트스위치돌기(P)들은 상술한 구성과 달리 리미트스위치들이 모터제어유닛(20)의 저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리미트돌기는 모터제어유닛장착부(11)의 격판(10a)의 상부 중 모터제어유닛(20)의 전면측에 위치되는 리미트스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터제어유닛(20)의 전면측에 위치되는 리미트스위치가 완전인입상태를 나타내며, 중간 리미트스위치가 테스트위치를 나타내고, 최 내측에 위치되는 리미트스위치가 완전인출위치를 나타낸다.
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limit switches S of FIGS. 5 and 7 and the limit switch protrusions P of FIGS. 6 and 8 are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20 are sequentially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limit protrus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mit switch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100, 100': 모터제어반(MCC: Motor Control Center), 10, 10': 외함
10a: 격판, 11: 모터제어유닛장착부, 13: 가이드레일
20, 20': 모터제어유닛(Motor Control Center Unit), C: 케이스
21: 수동조작수단삽입구멍, 22: 가이드홈, 23: 볼베어링, 24: 안착홈
30: 인입인출수단, F: 종동유닛, 31: 스크류볼트, 32: 결합홈, 33: 서포트유닛
D: 구동유닛, 51: 구동모터, 52: 웜기어
40: 인입인출제어패널, 41: 전원램프, 42: 인입버튼, 43: 인출버튼, 44: 수동버튼
60: 감지센서
90: 수동조작수단, 91: 손잡이, 92: 결합부, 92a: 결합관, 92b: 결합돌기
P: 리미트돌기, S: 리미트스위치100, 100 ': motor control center (MCC), 10, 10': enclosure
10a: diaphragm, 11: motor control unit mounting, 13: guide rail
20, 20 ': Motor Control Center Unit, C: Case
21: manual insertion means insertion hole, 22: guide groove, 23: ball bearing, 24: seating groove
30: drawing-out means, F: driven unit, 31: screw bolt, 32: coupling groove, 33: support unit
D: drive unit, 51: drive motor, 52: worm gear
40: draw-out control panel, 41: power lamp, 42: draw-out button, 43: draw-out button, 44: manual button
60: detection sensor
90: manual operation means, 91: handle, 92: coupling portion, 92a: coupling tube, 92b: coupling protrusion
P: limit protrusion, S: limit switch
Claims (6)
상기 모터제어반의 전면에 설치되는 인입인출제어수단;과,
상기 모터제어유닛 또는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인입인출제어수단의 제어명령에 따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이 설치되지 않은 상기 모터제어유닛 또는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을 인가받아 상기 모터제어유닛을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로부터 인출하거나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로 인입시키는 종동유닛;을 구비한 인입인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입인출수단은 상기 모터제어반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와 모터제어반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모터제어유닛의 인출을 단계적으로 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제어유닛 또는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모터제어유닛의 인입 종료 위치, 인출 종료 위치 및 중간 위치(테스트를 위해 모터제어유닛이 주모선과는 분리되고 모터측의 접속은 유지되는 위치)에 각각 리미트스위치(S)를 구비하고,
상기 인입인출제어수단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거리정보를 기 설정된 거리 값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거리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구동유닛의 인출구동을 정지시키며, 상기 리미트스위치들로부터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제어반.In a motor control panel having a multi-stage motor control unit mounting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motor control units are mounted to be retractable or withdrawn in order to independently control individual motors.
A draw-out control means installed in front of the motor control panel;
A driving unit installed in any one of the motor control unit or the motor control unit mounting portion to generate a driving force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drawout control means;
Installed in either the motor control unit or the motor control unit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driving unit is not installed, the motor control unit is drawn out from the motor control unit mounting portion by being drive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or to the motor control unit mounting por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withdrawal means having a driven unit;
The draw-out means for detecting the sensor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otor control panel for detec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motor control panel; In order to phase out the motor control unit, the inlet end position, the outlet end position and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motor control unit in either the motor control unit or the motor control unit mounting portion (the motor control unit may Are separated and the motor side connection is maintained), each with a limit switch (S),
The draw in and out control means stops the drawing drive of the driving unit when the distance information input from the sensing sensor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distance value by comparing the distance information input from the sensing sensor, and a switching signal is input from the limit switches. Motor control pane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stop the drive of the drive unit.
원주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축결합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제어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e unit,
A drive gear threa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ce;
And a drive motor axially coupled to the drive gear.
봉형으로 원주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양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모터제어유닛 또는 상기 모터제어유닛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키는 서포트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제어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iven unit,
A driven gear formed with a threa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d;
And a support unit rotatabl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driven gear so as to be fixed to either the motor control unit or the motor control unit mounting part.
결합돌기가 형성된 결합부와 결합부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상기 종동유닛의 종동기어를 수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동조작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종동기어의 단부면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모터제어반의 전면에는 결합홈과 대향하는 위치에 수동조작수단삽입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제어반.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raw-out means,
It further comprises a manual operation means for manually driving the driven gear of the driven unit, including a coupling for forming a coupling projection and a handle for rotatably fixing the coupling portion,
An end face of the driven gear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a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fixed.
Motor control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motor control panel is formed with a manual operation means insertion hole in a position facing the coupling groov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1298A KR101027705B1 (en) | 2010-10-18 | 2010-10-18 | Motor control panel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of motor control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1298A KR101027705B1 (en) | 2010-10-18 | 2010-10-18 | Motor control panel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of motor control un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27705B1 true KR101027705B1 (en) | 2011-04-12 |
Family
ID=44049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129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27705B1 (en) | 2010-10-18 | 2010-10-18 | Motor control panel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of motor control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770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88774A (en) * | 2020-07-14 | 2020-09-22 | 山东新华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 Intelligent soft endoscope transfer trolle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76952B1 (en) * | 2001-04-20 | 2006-05-10 |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 Low voltage switchgear with locking device for electric appliance module |
KR100803028B1 (en) * | 2006-12-28 | 2008-02-18 | 동신기전 주식회사 | Switchgear with device take-out |
-
2010
- 2010-10-18 KR KR1020100101298A patent/KR10102770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76952B1 (en) * | 2001-04-20 | 2006-05-10 |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 Low voltage switchgear with locking device for electric appliance module |
KR100803028B1 (en) * | 2006-12-28 | 2008-02-18 | 동신기전 주식회사 | Switchgear with device take-ou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88774A (en) * | 2020-07-14 | 2020-09-22 | 山东新华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 Intelligent soft endoscope transfer trolle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99420B1 (en) | Switchgear with door interlock unit | |
KR101357285B1 (en) | Drawer unit for branch breaker with multi load in switchgear | |
KR101027705B1 (en) | Motor control panel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of motor control unit | |
KR101874884B1 (en) | distribution panel | |
KR102070082B1 (en) | Withdrawable cooling unit and switchgear having the same | |
CN114336342B (en) | Low-voltage drawer type switch cabinet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 |
CN115507256A (en) | Underground charging pile's removal type vehicular energy-saving detection equipment | |
CN216055832U (en) | Low-voltage drawer type switch cabinet | |
KR100555634B1 (en) | Electric motor control board | |
KR100722251B1 (en) | Elbow Connection Material Separator for Ground Transformer | |
CN111740338B (en) | Switch board convenient to maintenance | |
KR101627678B1 (en) | Three-stage withdrawal port device of the low-pressure motor control panel unit | |
KR102625603B1 (en) | Ceiling type electric vehicle charging cable withdrawal device that is easy to change the charging position | |
KR102348966B1 (en) | Remote draw-in/out control apparatus of vacuum circuit breaker | |
CN116646837A (en) | Low-voltage power distribution cabinet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 |
KR20170013615A (en) | Apparatus for opening door of power receiving and distributing board | |
KR102198957B1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874885B1 (en) | distribution panel | |
KR101412592B1 (en) | Draw-out safety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 |
CN210379810U (en) | Low-voltage draw-out type switch cabinet | |
KR102168703B1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14851576A (en) | Intelligent infrared heating welding equipment | |
CN220172641U (en) | High-low voltage switch cabinet convenient to maintain | |
KR101869257B1 (en) | Cross arm for 154kV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 |
KR102602462B1 (en) | The drawing in and out apparatus of motor control center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0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