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26775B1 - 임플란트용 지대주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지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775B1
KR101026775B1 KR1020090009911A KR20090009911A KR101026775B1 KR 101026775 B1 KR101026775 B1 KR 101026775B1 KR 1020090009911 A KR1020090009911 A KR 1020090009911A KR 20090009911 A KR20090009911 A KR 20090009911A KR 101026775 B1 KR101026775 B1 KR 101026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adhesive
cad
cam
guide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563A (ko
Inventor
정현철
윤지훈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9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775B1/ko
Publication of KR20100090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77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확한 보철작업과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픽스츄어의 상측에 연결부를 통하여 결합되되, 상기 연결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접착돌기부 및 상기 접착돌기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측에 형성되어 결합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고정부가 구비되는 CAD/CAM 전용 지대주; 및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의 상측에 결합되되, 내측에 상기 접착돌기부가 삽입되도록 CAD/CAM에 의해서 상기 접착돌기부의 외형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접착통로공이 구비되는 맞춤형 지대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임플란트용 지대주를 제공한다.
임플란트, 지대주, CAD/CAM 시스템

Description

임플란트용 지대주{abutment for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지대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AD/CAM을 이용한 맞춤형 보철을 제작하기 위해 맞춤형 지대주가 안착될 CAD/CAM 전용 지대주에 맞춤형 지대주가 의도된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삽입유도 기능을 갖는 임플란트 지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치과 시술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사용되거나 픽스츄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데, 자연 치아가 상실된 치조골에 인공 치근인 픽스츄어(fixture)를 심어 유착시키고, 픽스츄어에 치아 보철물(prosthsis)를 결합하여 형성된 것을 말한다.
또한, 임플란트는 크게 치조골에 고정되는 티타늄 소재의 픽스츄어(fixture)와 자연 치아를 대신하는 인공 치아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픽스츄어와 인공 치아는 지대주(abutment)와 지대주 스크류(abutment screw)에 의해 연결된다. 즉, 픽스츄어 상에 지대주가 지대주 스크류에 의하여 고정되고, 지대주에 내관(coping)과 외관으로 이루어진 인공 치아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지대주는 재료를 달리하는 상/하측의 두 개의 지대주가 결합되 어 구비되는데, 하측의 지대주는 티타늄 소재로 상부의 본딩되는 돌기부가 CAD/CAM 시스템에 의하여 스캔되는 부분이므로, 편의상 CAD/CAM 전용 지대주라 정의되며, 상측의 지대주는 세라믹 소재의 보철물을 의미하며, CAD/CAM 시스템에 의하여 형성된 내형 구조가 하측의 지대주의 상기 돌기부에 밀착되게 본딩결합되므로, 편의상 맞춤형 지대주라 정의된다.
즉, CAD/CAM을 이용한 인공치아의 맞춤형 보철을 위해서는 보철물인 맞춤형 지대주와 픽스츄어와의 연결 구조물인 CAD/CAM 전용 지대주가 필요한데, 이러한 CAD/CAM 전용 지대주의 수평단면은 통상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CAD/CAM 장비를 이용한 보철제작을 위한 CAD/CAM 전용 지대주의 수평단면은 통상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CAD/CAM을 이용한 맞춤형 지대주 제작 후 CAD/CAM 전용 지대주에 의도된 방향으로 안착 시킬 수 없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여 보철작업의 정확성을 저해하고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CAD/CAM 전용 지대주의 수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맞춤형 지대주와의 결합 시에 회전에 따른 결합 방향이 틀어지게 시술되어 불일치되는 치열구조를 유발하므로, 대합치와의 상호 충돌에 의한 결합력 약화로 시술의 부작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CAD/CAM을 이용한 맞춤형 보철을 제작하기 위해 맞춤형 지대주가 CAD/CAM 전용 지대주에 의도된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삽입유도 기능을 구현하여, 맞춤형 지대주와 CAD/CAM 전용 지대주의 시멘트 결합(cementation) 작업 시 정확한 방향으로 결합되고 작업효율이 증대되는 지대주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픽스츄어의 상측에 연결부를 통하여 결합되되, 상기 연결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접착돌기부 및 상기 접착돌기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측에 형성되어 결합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고정부가 구비되는 CAD/CAM 전용 지대주; 및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의 상측에 결합되되, 내측에 상기 접착돌기부가 삽입되도록 CAD/CAM에 의해서 상기 접착돌기부의 외형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접착통로공이 구비되는 맞춤형 지대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임플란트용 지대주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고정부는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맞춤형 지대주가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에 접촉회전되고 안내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접착돌기부의 외측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고정부는 상기 접착돌기부의 외면에 단면상 삭제되는 삭제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고정부는 상기 접착돌기부의 외면에 단면상 돌출되는 돌출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고정부는 고정력이 강화되도록 상기 접착돌기부의 수직길이의 전체에 걸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고정부는 상기 접착통로공의 도입부가 회전에 의한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접착돌기부의 수직길이의 일부분에 걸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고정부는 상기 접착돌기부의 상단 테두리 상에 함몰되는 홈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맞춤형 지대주와 CAD/CAM 전용 지대주의 결합 위치가 정렬되도록 CAD/CAM 전용 지대주의 스캔 부위의 일측에 가이드고정부가 구비됨으로써, 맞춤형 지대주를 시술대상자의 치열구조에 맞게 의도된 방향으로 용이하게 안착시켜 정확한 보철작업을 할 수 있다.
둘째, 1차적으로 가이드고정부가 CAD/CAM 전용 지대주와 일체로 주물 제작됨으로써, 조립을 위한 가공 공정이 생략되어 공정 단순화로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2차적으로 CNC 등으로 정밀하게 가공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가이드로 작업능률이 향상됨을 물론 시술의 부작용 방지로 시술에 대한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가이드고정부가 CAD/CAM 전용 지대주와 주물 가공의 1차 작업과 CNC 가공의 2차 작업을 통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지대주들의 결합 방향 선정을 위한 추가 공정이 배제되어 공정단순화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므로, 생산성과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가이드고정부는 접착돌기부의 외면에 단면상 구분되는 삭제부로 구비됨으로써, 간단하게 제작되어 제작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넷째, 가이드고정부는 원형 단면의 접착돌기부의 외면에 단면상 돌출되는 돌출부로 구비됨으로써, 결합 후 맞춤형 지대주의 회전을 방지하여 결합의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다섯째, 가이드고정부는 접착돌기부의 상단 테두리 상에 구분되는 홈부로 구비됨으로써, 맞춤형 지대주를 접착돌기부에 자유롭게 회전시키면서 끼움결합시켜 체결의 용이성이 더욱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지대주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임플란트용 지대주(abutment)란 임플란트 시술 시 사용되는 픽스츄어(fixture)와 인공치아 등의 보철물을 연결하는 어버트먼트를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대주는 보철물인 맞춤형 지대주와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가 접착되어 결합된 것을 말한다.
즉, 임플란트 시술은 치조골에 심어져 유착되는 픽스츄어의 상측에 인공치아를 구비하기 위하여 픽스츄어와 인공치아를 연결하는 지대주(abutment)가 구비되는데, 상기 지대주는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픽스츄어의 내측 결합홈에 연통되는 결합공에 지대주 스크류(abument screw)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픽스츄어에 고정되고, 상기 지대주의 상측에 내관(coping)과 외관을 포함하는 인공치아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대주는 픽스츄어와 인공치아의 재료 차이에 따라 상/하측의 지대주로 나눈 것을 접착하여 사용하는데, 하측에는 티타늄 소재의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가 사용되고, 상측에는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의 접착 부위를 CAD/CAM 시스템에 의하여 스캔하여 대응되게 형성되는 내형 구조를 갖는 세라믹 소재의 맞춤형 지대주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대주(abutment)가 픽스츄어와의 연결방식에 따른 외부연결방식과 내부연결방식으로 구분됨에 따라 CAD/CAM 전용 지대주가 2 가지의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들의 공통 부분에 적용되므로, 외부연결방식과 내부연결방식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지대주를 적용한 임플란트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CAD/CAM 전용 지대주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CAD/CAM 전용 지대주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지대주(10, 100)는 CAD/CAM 전용 지대주(100), 맞춤형 지대주(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100)는 내측에 중공을 갖는 절두형 원추와 원통테의 결합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100)는 픽스츄어의 상측에 연결부(110)를 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11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접착돌기부(120) 및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측에 형성되어 결합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고정부(130)가 구비된다.
즉,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100)는 연결부(110), 접착돌기부(120) 및 가이드고정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10)는 절두형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픽스츄어(15)의 상측에 결합되며, 그의 외측 상단에 마진부(11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110)는 픽스츄어 연결부(111), 픽스츄어 접촉부(112), 치은 접촉부(113) 및 마진부(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연결부(110)는 픽스츄어(15)와의 연결방식에 따라 구분되는 외부연결방식과 내부연결방식의 차이에 따라 상기 픽스츄어 연결부(111)와 상기 픽스츄어 접촉부(112)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즉, 도 2는 내부연결방식에 사용되는 CAD/CAM 전용 지대주(100)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외부연결방식에 사용되며, 상기 픽스츄어 연결부(111) 및 상기 픽스츄어 접촉부(112)를 포함하지 않는 연결부(510)의 구성을 갖는 CAD/CAM 전용 지대주(500)를 나타낸 것으로서, 내부연결방식과 외부연결방식의 차이는 하측의 픽스츄어(15)에 내측에 삽입되는 부분의 유무에 따른 것이다.
또한, 상기 픽스츄어 연결부(111)는 상기 픽스츄어(15)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사용되며, 상기 픽스츄어 접촉부(112)는 상기 픽스츄어(15)에 삽입될 때 접촉되는 부위를 말하며, 상기 치은 접촉부(113)는 상기 연결부(110)의 상부에 해당되며, 치은(잇몸, G)에 접촉되고 치조골(B)에 지지되는 형상으로 픽스츄어(15)를 턱뼈(B)에 고정시키고, 상기 마진부(114)는 상기 연결부(110)의 상단 테두리부의 상면으로 후술하는 맞춤형 지대주(10)의 하단 테두리부가 안착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15)는 치조골(B)에 유착되고, 픽스츄어(15)와 내관(coping, 13)과 외관(미도시)으로 이루어진 인공치아를 연결하는 임플란트용 지대주(10, 100)가 상기 픽스츄어(15)의 상측에 삽입 또는 접촉되어 내측의 지대주 스크류(미도시)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임플란트가 시술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부(11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접착돌기부(1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접착돌기부(120)는 상기 마진부(114)에 하단부가 안착되는 맞춤형 지대주(10)의 내부에 CAD/CAM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통로공(10a)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즉, 임플란트용 지대주(abutment, 10, 100)는 상기 픽스츄어(15)에 견고히 결합되게 티타늄 재료의 CAD/CAM 전용 지대주(100)와 인체의 치열 구조에 맞게 인공치아의 가공이 용이하도록 세라믹 재료의 맞춤형 지대주(10)를 본딩결합하여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 접착돌기부(120)와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외형을 CAD/CAM으로 3D 스캔한 자료에 의해 상기 맞춤형 지대주(10)의 내측에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외형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상기 접착통로공(10a)이 상호 밀착되게 삽입된 후 고정되게 본딩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CAD/CAM이란 캐드캠시스템(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 system)을 말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조각 후 주조 하는 방식 대신 3D 카메라로 영상을 채득하도록 스캔하고, 데이터화 한 후 컴퓨터 프로그램에 통제를 받는 밀링(Milling) 기계로 삭제 하여 만드는 방식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CAD/CAM 전용 지대주(100)는 CAD/CAM 장비를 이용하여, 스캔(scan) 작업을 통해 3D 모형을 데이터화 하여 맞춤형 지대주(10) 및 맞춤형 내관(coping, 13) 등의 개개인에 맞는 맞춤형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임플란트용 지대주(10, 100)의 부품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착돌기부(120)는 상기 연결부(11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티타늄 재료로 소형의 크기를 가지므로, 정밀 가공 등에 의해 제작되며, 그의 제작 방법은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100)의 상측에 결합되는 맞춤형 지대주(10)가 구비되는데, 상기 맞춤형 지대주(10)는 중공을 갖는 캡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상기 맞춤형 지대주(10)는 내측에 상기 접착돌기부(120)가 정밀하게 삽입되도록 CAD/CAM에 의해서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외형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접착통로공(10a)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접착통로공(10a)의 형상은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외형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접착통로공(10a)의 상단 중앙부에는 상술한 지대주 스크류가 통과되는 출입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맞춤형 지대주(10)는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100)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측에 가이드고정부(130)가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상기 맞춤형 지대주(10)와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100)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여 고정시킨다.
즉,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측에 가이드고정부(130)가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상기 접착돌기부(120)가 상기 접착통로공(10a)에 설정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가이드하여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맞춤형 지대주(10)가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100)에 접촉회전되고 안내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외측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접착돌기부(120)는 내측에 상기 지대주 스크류가 삽입되는 통로공(121)이 형성되면서 원통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접착돌기부(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외면이나 상단 등에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상기 연결부(110)와 상기 접착돌기부(120)를 포함하는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100)와 일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기제작된 상기 가이드고정부(130)가 상기 CAD/CAM에 의한 스캔에 반영되어 상기 맞춤형 지대주(10)의 내측에 접착통로공(10a)의 형성시에 상기 가이드고정부(130)에 대응되는 구조를 형성하도록 반영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맞춤형 지대주(10)는 상기 접착돌기부(120)를 감싸면서 안착될 때, 접촉회전시켜 회전 방향에 대한 기준이 되는 상기 가이드고정부(130)의해 안내되고 끼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맞춤형 지대주(10)는 상기 가이드고정부(130)의 형성위치에 따라 어느 정도 접촉회전되면서 끼움된 후 상기 가이드고정부(130)에 의해 가이드되 어 완전 끼움되거나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상단부에 접촉회전되면서 가이드된 후 결합되게 직선상으로 완전 끼움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상측에 상기 맞춤형 지대주(10)를 결합할 때 상기 접착돌기부(120)가 상기 접착통로공(10a)에 가이드되어 정확한 방향으로 결합되게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1차적으로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100)와 일체로 주물 제작되고, 2차적으로 CNC 등으로 정밀하게 가공됨으로써, 절삭기(bur)에 의해 결합 기준이나 회전방지를 위해 구분되게 절개면 등을 형성시키는 추가적인 작업이 배제되고, 신속하고 정확한 보철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하여, 1차적으로 상기 가이드고정부(130)가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100)와 일체로 주물 제작됨으로써, 조립을 위한 가공 공정이 생략되어 공정 단순화로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2차적으로 CNC 등으로 정밀하게 가공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가이드로 작업능률이 향상됨을 물론 시술의 부작용 방지로 시술에 대한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스캔 작업시 작업 모형에 시적되어 있는 CAD/CAM 전용 지대주(100)에 CAD/CAM 장비에 의해 가공된 맞춤형 지대주(10)를 추가적인 회전방향에 대한 기준이 없이도 상기 맞춤형 지대주(10)를 제작자의 의도된 방향에 안착 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보철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용 절삭기(bur) 등을 이용하여 회전방지단면을 형성하는 작업 등이 불필요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상기 맞춤형 지대주(10)와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결합 위치를 정렬하도록 상기 접착통로공(10a)의 내면 일측과 스캔 작업에 의해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고정부(130)가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100)와 일체로 기제작되고, CAD/CAM에 의해 정확하게 대응되는 상기 접착통로공(10a)의 내면 일측 구조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지대주들(10, 100)의 결합에 대한 보완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공정이 단순해지고 작업 능률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상기 접착돌기부(120)가 상기 접착통로공(10a)에 설정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데, 상기 설정 방향은 상기 맞춤형 지대주(10)의 외형 구조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즉, 상기 맞춤형 지대주(10)는 개개인의 치열구조에 따라 여러가지 형상으로 구비되며, 이러한 다양한 형상을 갖는 맞춤형 지대주(10)을 정확하게 결합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고정부(130)가 필요하게 되며, 신속한 시술을 위해서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최소한의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상기 접착돌기부(120)가 상기 접착통로공(10a)에 본딩고정되게 끼움결합시 신속한 결합을 위해서 최소한의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상기 접착돌기부(120)가 상기 접착통로 공(10a)에 삽입될 때, 전후좌우 중 어느 일측 방향에 대한 안내 기준이 필요할 경우에는 최소한의 크기를 가지고 동일간격으로 2개소에 형성되는 것이 신속한 결합에 유리하며, 전후좌우의 사방향에 대한 안내 기준이 필요한 경우에는 1개소에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즉,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일측 방향에 대한 결합 기준의 필요시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간격을 가지며 2개소에 형성되고, 복수 방향에 대한 결합 기준의 필요시에는 1개소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보철작업의 신속성과 정확성이 동시에 향상되어 임플란트 시술 후 치열 구조의 불일치에 따른 결합력이 약화되는 부작용이 방지되고,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내측에 형성된 통로공(121)의 형상이 변함없이 유지되도록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상기 맞춤형 지대주(10)의 상기 접착통로공(10a)에 접착되는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100)의 상기 접착돌기부(120)가 정확한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과 결합된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단면 원형 구조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통로공(121)의 형상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가이드 및 고정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그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외면이나 상단 등에 형성되어 상기 통로공(121)의 형상이 유지되게 구비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상기 지대주의 체결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그의 외면이나 상단 등의 외측에 구비되므로, 기존의 CAD/CAM 전용 지대주(100)에도 호환되게 적용가능한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CAD/CAM 전용 지대주(100)의 외면에 구분되는 단면을 갖는 삭제부를 형성하거나 상단의 테두리에 홈구조를 갖는 홈부를 형성하거나 외면의 일측에 티타늄 등의 동일 재료의 돌기 부재를 추가로 접착하여 돌출부(130)를 형성하는 것으로부터 상기 가이드고정부(130)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삭제부, 돌출부(130), 홈부 등에 의해 구비되는데, 상기 삭제부일 경우에는 제작편의성과 끼움 후 접착 결합에 따른 체결용이성을 고려하여 하나의 단면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돌출부(130)와 홈부일 경우에는 제작편의성, 가이드용이성, 체결용이성 및 회전방지성 등을 고려하여 2개의 돌기나 홈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외면에 단면상 구분되게 돌출되는 돌출부(130)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상기 맞춤형 지대주(10)의 접착통로공(10a)에 끼움이 용이하도록 단면 원형을 가지는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외면에 상기 끼움에 방해되지 않게 최소한의 크기를 가지면서 구분되도록 단면 반원 형상의 돌출된 돌출부(130)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고정부(130)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 형상도 가능하며 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나, 부드럽고 스무스한 결합을 위해 외측이 원호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상호 최장의 거리 간격을 위해서 동일 간격을 가지고,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2개의 돌출부(1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단면 원형상에 동일 직선상으로 상호 대향되게 2개의 돌출부(130)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상기 접착돌기부(120)를 상기 접착통로공(10a)에 접착시키기 위해 회전시키면서 끼움 결합될 때, 끼움에 방해되지 않게 최소한의 크기를 가지고, 상호 대응되는 크기와 상호 최장 거리를 갖는 동일 간격의 2개의 돌출부(130)로 구비됨으로써, 일측 방향에 대한 기준이 필요한 경우 회전 방향에 대한 기준을 쉽게 찾아 결합시키고 결합 후의 회전 방향에 대한 회전력을 방지하는 최소한의 고정성도 보장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를 통하여, 체결용이성과 결합고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상기 접착통로공(10a)의 도입부가 회전에 의한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수직길이의 일부분에 걸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고정부(130)는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하단에서 수직길이 방향으로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전체 수직길이의 1/2 이하의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접착돌기부(120)와 상기 접착통로공(10a)의 본딩 결합 을 위해 밀착되게 끼움시킬 때 상기 접착통로공(10a)의 도입부에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상부 구간이 구비되어 어느 정도 회전되면서 끼움된 후 가이드되어 직선상으로 완전 끼움결합되므로, 결합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고정부(130)가 상기 돌출부(130)일 경우에는 상기 접착돌기부(120)의 하부에 형성되고, 후기의 삭제부(530)일 경우에는 상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CAD/CAM 전용 지대주(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가이드고정부(330)가 제1실시예와 같은 돌출부(330)로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접착돌기부(320)의 수직길이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결합 후의 고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가이드고정부(330)는 고정력이 강화되도록 상기 접착돌기부(320)의 수직길이의 전체에 걸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고정부(330)는 상기 접착돌기부(320)의 상단부터 구성됨으로써, 상기 맞춤형 지대주(10)를 결합할 때 안내 기준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고, 결합 후의 상기 접착돌기부(320)의 단면 원형 구조에 따른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력이 상기 접착돌기부(320)의 수직길이 전체에 걸쳐 작용되므로, 정확한 결합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맞춤형 지대주(10)가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300)에 안착된 후 결합방향이 틀어지게 회전되거나 흔들림 등이 없이 안정된 고정으로 결합 안정성이 향상되어 정확한 보철작업을 돕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CAD/CAM 전용 지대주(4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가이드고정부(430)가 상기 접착돌기부(420)의 상단 테두리부에 구분되는 홈구조를 갖는 홈부(430)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맞춤형 지대주(10)가 상기 접착돌기부(420)에 기타 부재의 방해를 받지 않고 회전되면서 용이하게 결합되고, 이후에 설정 방향으로 안착되도록 홈부(430)에 가이드되어 걸림되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가이드고정부(430)는 상기 접착돌기부(420)의 상단 테두리부에 구분되게 함몰되는 홈구조를 갖는 홈부(430)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홈부(430)는 상기 접착돌기부(420)의 테두리 상단의 일측이 하측으로 'ㄷ'자 형상의 홈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호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대응되는 형태로 2개소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고정부(430)는 상기 접착돌기부(420)의 상단에 형성되는 홈부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맞춤형 지대주(10)가 상기 접착돌기부(420)에 방해되는 구성없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끼움결합되고, 결합의 마지막에 설정 방향으로 결합되게 가이드되고 상기 맞춤형 지대주(10)를 고정시킨다.
이를 통하여, 상기 맞춤형 지대주(10)를 상기 접착돌기부(420)에 자유롭게 회전시키면서 끼움 결합시킨 후 설정 방향으로 체결됨으로써, 체결의 신속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5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외부연결방식에 따른 CAD/CAM 전용 지대주(5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외부연결방식에 따른 CAD/CAM 전용 지대주(500)를 나타낸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CAD/CAM 전용 지대주(500)는 상기 임플란트용 지대주(10, 500)와 상기 픽스츄어(15)의 연결방식에 따라 분류되는 내부연결방식(100과 15)과 외부연결방식(500과 15) 중에서 외부연결방식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내부연결방식과 상기 픽스츄어(15)에 삽입되는 부분의 유무에 따라 배제되는 구성인 상기 픽스츄어 연결부(111) 및 상기 픽스츄어 접촉부(112)를 제외한 기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외부연결방식의 CAD/CAM 전용 지대주(500)에서 상기 가이드고정부(530)가 상기 접착돌기부(520)의 원주 방향의 외면에 단면상 구분되는 단면을 가지는 삭제부(530)로 구비되어, 최소한의 위치와 크기로 제작이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술한 돌출부(130, 330), 홈부(430) 및 삭제부(530)의 구성은 내부연결방식과 외부연결방식의 공통되는 구성인 상기 접착돌기부(120, 320, 420, 520)에 형성되는 것이므로, 상기 내부연결방식과 외부연결방식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삭제부(530)의 구성은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500)와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기존의 CAD/CAM 전용 지대주에도 간단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절삭기에 의한 상기 삭제부의 형성은 상기 캐드캠시스템의 스캔 작업 전에 이루어진다.
다시말해, 상기 가이드고정부(530)가 상기 접착돌기부(520)의 외면에 단면상 구분되게 삭제되는 단면을 가지는 삭제부(530)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삭제부(530)는 단면 원형을 갖는 상기 접착돌기부(520)의 내측 통로공(521)에 변형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접착돌기부(520)의 테두리측 외면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최소한의 길이로 단면상 절개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고정부(530)는 상기 접착돌기부(520)의 수직길이의 테두리 외면에 최소한의 위치인 1개소에 형성되고, 최소한의 구분가능한 너비를 가지는 단면의 삭제부로 구비됨으로써,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외부연결방식에 따른 CAD/CAM 전용 지대주(6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삭제부(530)의 구성이 상기 접착돌기부(620)의 수직길이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고정력이 더욱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삭제부(630)는 상기 접착돌기부(62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쉽게 가이드되어 결합되고, 상기 접착돌기 부(620)의 전체 길이에 대해 고정력이 작용되어 고정성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CAD/CAM 전용 지대주(100, 300, 400, 500, 600)는 내부연결방식이나 외부연결방식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돌기부(120, 320, 420, 520, 620)가 상기 접착통로공(10a)에 삽입될 때 결합 방향에 대한 기준이 되는 가이드고정부(130, 330, 430, 530, 630)가 체결의 정확성, 안정성, 신속성, 유도용이성 및 제작편의성에 따른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돌출부(130, 330), 홈부(430) 및 삭제부(530, 630)의 구성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고정부가 구비됨으로써, 맞춤형 보철물을 시술대상자의 치열구조에 맞게 의도된 방향으로 용이하게 안착시켜 구조 불일치에 따른 결합력의 약화 등의 시술 부작용이 방지되는 정확한 보철작업과 결합기준 형상이나 회전방지 형상을 추가로 형성하는 작업 등을 배제한 작업능률의 향상으로 임플란트 시술의 신뢰성과 작업의 신속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지대주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지대주를 적용한 임플란트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CAD/CAM 전용 지대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CAD/CAM 전용 지대주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CAD/CAM 전용 지대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CAD/CAM 전용 지대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외부연결방식에 따른 CAD/CAM 전용 지대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외부연결방식에 따른 CAD/CAM 전용 지대주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외부연결방식에 따른 CAD/CAM 전용 지대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맞춤형 지대주 10a: 접착통로공
13: 내관(coping) 15: 픽스츄어(fixture)
G: 잇몸 B: 치조골
100, 300, 400, 500, 600: CAD/CAM 전용 지대주 110: 연결부
111: 픽스츄어 연결부 112: 픽스츄어 접촉부
113: 치은 접촉부 114: 마진부
120, 320, 420, 520, 620: 접착돌기부
130, 330, 430, 530, 630: 가이드고정부

Claims (7)

  1. 픽스츄어의 상측에 연결부를 통하여 결합되되, 상기 연결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접착돌기부 및 상기 접착돌기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측에 형성되어 결합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고정부가 구비되는 CAD/CAM 전용 지대주; 및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의 상측에 결합되되, 내측에 상기 접착돌기부가 삽입되도록 CAD/CAM에 의해서 상기 접착돌기부의 외형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접착통로공이 구비되는 맞춤형 지대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임플란트용 지대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고정부는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맞춤형 지대주가 상기 CAD/CAM 전용 지대주에 접촉회전되고 안내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접착돌기부의 외측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지대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고정부는 상기 접착돌기부의 외면에 단면상 삭제되는 삭제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지대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고정부는 상기 접착돌기부의 외면에 단면상 돌출되는 돌출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지대주.
  5.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고정부는 고정력이 강화되도록 상기 접착돌기부의 수직길이의 전체에 걸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지대주.
  6.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고정부는 상기 접착통로공의 도입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접착돌기부의 수직길이의 일부분에 걸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지대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고정부는 상기 접착돌기부의 상단 테두리 상에 함몰되는 홈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지대주.
KR1020090009911A 2009-02-06 2009-02-06 임플란트용 지대주 Active KR101026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911A KR101026775B1 (ko) 2009-02-06 2009-02-06 임플란트용 지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911A KR101026775B1 (ko) 2009-02-06 2009-02-06 임플란트용 지대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563A KR20100090563A (ko) 2010-08-16
KR101026775B1 true KR101026775B1 (ko) 2011-04-11

Family

ID=4275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911A Active KR101026775B1 (ko) 2009-02-06 2009-02-06 임플란트용 지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77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2113A1 (ko) * 2011-07-21 2013-01-24 주식회사 덴트컴 맞춤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자재, 그 자재의 위치고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맞춤형 어버트먼트 가공방법
WO2015030281A1 (ko) * 2013-08-26 2015-03-05 주식회사 디오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WO2015160044A1 (ko) * 2014-04-16 2015-10-22 (주)로봇앤드디자인 치아모델의 제조방법
KR20210083662A (ko) * 2019-12-27 2021-07-0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EP4289390A1 (en) 2022-06-07 2023-12-13 Oneday Biotech Co., Ltd. Abutment coupled to upper part of dental implant fix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2411B4 (de) * 2013-03-11 2019-05-09 Bruno Spindler Abutmentaufsatz für ein kieferimplantat
KR102146836B1 (ko) * 2017-06-15 2020-08-2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힐링 어버트먼트
KR102504214B1 (ko) * 2021-10-08 2023-03-03 아이핸즈코퍼레이션 주식회사 크라운의 재사용이 가능한 임플란트용 듀얼 타입 어버트먼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853B1 (ko) 2002-10-17 2006-01-31 (주) 코웰메디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100795645B1 (ko) 2007-08-17 2008-01-17 김정한 임플란트용 일체형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KR100842096B1 (ko) 2006-12-07 2008-06-30 김대현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및 상부구조물에 있어 연결 구조가형성된 블록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66812A (ko) * 2005-10-24 2008-07-16 바이오메트 쓰리아이 인코포레이티드 치과 임플란트 부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853B1 (ko) 2002-10-17 2006-01-31 (주) 코웰메디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20080066812A (ko) * 2005-10-24 2008-07-16 바이오메트 쓰리아이 인코포레이티드 치과 임플란트 부품의 제조방법
KR100842096B1 (ko) 2006-12-07 2008-06-30 김대현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및 상부구조물에 있어 연결 구조가형성된 블록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795645B1 (ko) 2007-08-17 2008-01-17 김정한 임플란트용 일체형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2113A1 (ko) * 2011-07-21 2013-01-24 주식회사 덴트컴 맞춤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자재, 그 자재의 위치고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맞춤형 어버트먼트 가공방법
WO2015030281A1 (ko) * 2013-08-26 2015-03-05 주식회사 디오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WO2015160044A1 (ko) * 2014-04-16 2015-10-22 (주)로봇앤드디자인 치아모델의 제조방법
KR20210083662A (ko) * 2019-12-27 2021-07-0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2353975B1 (ko) * 2019-12-27 2022-01-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EP4289390A1 (en) 2022-06-07 2023-12-13 Oneday Biotech Co., Ltd. Abutment coupled to upper part of dental implant fixture
KR20230168478A (ko) 2022-06-07 2023-12-14 주식회사 원데이바이오텍 임플란트의 매식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대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563A (ko) 201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775B1 (ko) 임플란트용 지대주
KR102302292B1 (ko)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임프레션 포스트 용 몰드
EP2444028B1 (en) A method of providing a patient-specific dental fixture-mating arrangement
KR10109158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JP5356014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のアバットメントセット
US11602420B2 (en) Method for simultaneously installing a monolithic dental prosthesis on multiple dental implants
US20110014586A1 (en) Ceramic one-piece dental implant
US8684735B2 (en) Abutment inlay
JP2009101135A (ja) デジタルインプラント技術におけるアバットメントのデジタルデータの設計方法
US20080254413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head piece of a tooth implant and manufacturing kit for such a process
KR10130741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259940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2062575B1 (ko) 지대주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KR101318468B1 (ko) 임플란트용 하이브리드 어버트먼트
KR101198685B1 (ko) 임플란트용 경화성수지치아 위치정렬장치
JP2022511963A (ja) 接続スリーブを有する人工歯
JP5937401B2 (ja) スキャニングジグ
KR101038068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JP5755370B2 (ja) スキャニングジグ
CN116472007A (zh) 用于植入物支撑的假牙安装的常规或数字化工作流程的多功能假体部件
TWI855721B (zh) 與牙植體固定結構上部結合的支台柱
KR102594314B1 (ko) 맞춤형 앵글드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597778B1 (ko) 치과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KR102777366B1 (ko) 임플란트 피개의치용 맞춤형 로케이터 어태치먼트
KR102580491B1 (ko)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