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26539B1 - 커넥터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539B1
KR101026539B1 KR1020090105991A KR20090105991A KR101026539B1 KR 101026539 B1 KR101026539 B1 KR 101026539B1 KR 1020090105991 A KR1020090105991 A KR 1020090105991A KR 20090105991 A KR20090105991 A KR 20090105991A KR 101026539 B1 KR101026539 B1 KR 101026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it
shell
connector
mol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화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화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화콘텍
Priority to KR1020090105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53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1) 터미널 소재가 공급되는 단계; (a-2) 단계(a-1)의 공정의 터미널 소재의 공급과 비례하여 쉘 소재가 공급되는 단계; (a-3) 일정 간격을 두고 몰딩 공간이 형성되되 몰딩 공간의 전방 및 후방 측에는 각각 터미널 단위 및 쉘 단위가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유도하는 기준구멍이 다수 형성되고 몰딩 공간과 일정 간격 떨어진 양쪽 상에는 각각 일정 피치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가이드 홀이 관통 형성이 된 캐리어 소재가 단계(a-1) 및 단계(a-2)에 의한 터미널 소재 및 쉘 소재의 공급과 비례하여 공급되는 단계; (b) 단계(a-1)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터미널 소재로부터 하나씩의 터미널 단위가 절단된 후, 절단된 하나씩의 터미널 단위가 단계(a-3)에 의해 공급되는 캐리어 소재의 해당 몰딩 공간에 정확하게 위치되는 단계; (c) 단계(a-2)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쉘 소재로부터 하나씩의 쉘 단위가 절단된 후, 절단된 하나씩의 쉘 단위가 단계(b)에 의해서 하나씩의 터미널 단위가 위치된 해당 몰딩 공간에 일정 시차를 두고 정확하게 위치되는 단계; (d) 단계(b)와 단계(c)에 의해서 캐리어 소재의 몰딩 공간에 하나씩의 터미널 단위 및 쉘 단위가 위치된 상태에서 일정 시차를 두고 터미널 단위 및 쉘 단위에 대한 인서트 몰딩이 실행되는 단계; (e) 단계(d)에서 인서트 몰딩이 된 하나씩의 터미널 단위 및 쉘 단위가 캐리어 소재로부터 절단 및 분리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커넥터의 제조가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90105991
커넥터, 터미널, 쉘, 캐리어, 인서트 몰딩

Description

커넥터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가 제조되는 공정의 축소 및 제조원가의 절감이 가능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불량의 발생을 줄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형태의 전기 전자 제품의 개발과 더불어 전기 전자 제품을 구성하는 수많은 부품 중의 하나인 커넥터도 다양한 형태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더 나아가서는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도 1 은 종래의 커넥터 제조방법을 통해 커넥터가 제조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터미널(12,22)이 형성된 띠 형태의 터미널 소재A(10)와 터미널 소재B(20)가 상호 마주하도록 공급이 이루어진다.
한편, 터미널 소재A(10) 및 터미널 소재B(20)에는 소재의 공급시 정확한 위 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터미널(12,22)과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상에는 일정 피치 간격을 두고 가이드 홀(14,24)이 관통 형성이 된다.
그리고 터미널 소재A(10) 및 터미널 소재B(20)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커넥터(40)에 포함되는 터미널 이외의 터미널들은 펀칭(punching) 공정에 의해서 재단이 됨으로써, 커넥터에 포함된 터미널들과 터미널들 사이에는 인서트 몰딩 작업을 위한 몰딩 공간(16,26)이 마련된다. 이 몰딩 공간(16,26)은 상호 마주하는 터미널 소재A(10)의 터미널들과 터미널 소재B(20)의 터미널들이 하나의 하우징(30)에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금형의 동작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금형을 통과하여 인서트 몰딩 공정이 마쳐지면 터미널 소재A(10) 및 터미널 소재B(20)와 연결된 터미널(12,22)들이 일정한 크기로 재단이 된다.
한편, 전술한 터미널 소재A(10) 및 터미널 소재B(20)의 터미널(12,22)들과 그 터미널 주변은 전기적 성질의 우수해지도록 하기 위해서 금과 같이 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도금이 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 제조방법에 의하면 커넥터의 제조시 하우징의 몰딩 공정을 위해 필요한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해서 터미널 소재A 및 터미널 소재B의 일부분인 몰딩 공간이 반드시 절단되어야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비싼 소재의 낭비로 인하여 커넥터의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이 된 것으로서, 커넥터가 제조되는 공정의 축소 및 제조원가의 절감이 가능할 수 있는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의 제조 공정에서 하우징에 인서트 몰딩이 되는 터미널과 쉘의 위치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불량을 줄여 제품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이 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한쪽에는 터미널이 다른 한쪽에는 쉘이 인서트 몰딩이 된 형태의 커넥터를 제조하는 커넥터 제조방법에 있어서, (a-1) 한쪽 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터미널이 돌출 형성되는 한편 터미널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다른 한쪽 상에는 일정 피치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가이드 홀이 관통 형성된 터미널 소재가 공급되는 단계; (a-2) 일정 간격을 두고 쉘의 형태가 프레스 가공된 쉘 단위의 양쪽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가이드 홀이 관통 형성되는 한편 쉘 단위는 브릿지를 매개로 부착된 상태의 쉘 소재가 단계(a-1)의 공정의 터미널 소재의 공급과 비례하여 공급되는 단계; (a-3) 일정 간격을 두고 몰딩 공간이 형성되되 몰딩 공간의 전방 및 후방 측에는 각각 터미널 단위 및 쉘 단위가 정확한 위치에 놓 이도록 유도하는 기준구멍이 다수 형성되고 몰딩 공간과 일정 간격 떨어진 양쪽 상에는 각각 일정 피치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가이드 홀이 관통 형성이 된 캐리어 소재가 단계(a-1) 및 단계(a-2)에 의한 터미널 소재 및 쉘 소재의 공급과 비례하여 공급되는 단계; (b) 단계(a-1)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터미널 소재로부터 하나씩의 터미널 단위가 절단된 후, 절단된 하나씩의 터미널 단위가 단계(a-3)에 의해 공급되는 캐리어 소재의 해당 몰딩 공간에 정확하게 위치되는 단계; (c) 단계(a-2)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쉘 소재로부터 하나씩의 쉘 단위가 절단된 후, 절단된 하나씩의 쉘 단위가 단계(b)에 의해서 하나씩의 터미널 단위가 위치된 해당 몰딩 공간에 일정 시차를 두고 정확하게 위치되는 단계; (d) 단계(b)와 단계(c)에 의해서 캐리어 소재의 몰딩 공간에 하나씩의 터미널 단위 및 쉘 단위가 위치된 상태에서 일정 시차를 두고 터미널 단위 및 쉘 단위에 대한 인서트 몰딩이 실행되는 단계; (e) 단계(d)에서 인서트 몰딩이 된 하나씩의 터미널 단위 및 쉘 단위가 캐리어 소재로부터 절단 및 분리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커넥터의 제조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제조방법에서 단계(a-3)에서 각각의 터미널 단위 또는 쉘 단위에 대응되는 다수의 기준 구멍들 중 적어도 두 개의 기준구멍 상에는 단계(b) 및 단계(c)에서 위치되는 터미널 단위 및 쉘 단위의 위치가 고정되게 하기 위한 커링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한편 단계(b) 및 단계(c)에서 해당 몰딩 공간에 터미널 단위 및 쉘 단위가 위치된 후 일정 시차를 두고 커링부가 확장되게 하여 터미널 단위 및 쉘 단위가 캐리어 소재에 고정되게 하는 단계(b-1) 및 단계(c-1)가 더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제조방법에서 커링부의 확장을 위한 단계(b-1) 및 단계(c-1)은 커링 로드의 피스톤 동작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제조방법에서 단계(e)의 실행을 위해서 터미널 소재 및 쉘 소재의 특정 위치에는 단계(a-1)과 단계(a-2)가 진행되기 이전의 소재 준비 단계에서 절단선이 형성된 것이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제조방법에서 단계(d)가 실행이 된 후와 단계(e)가 실행이 되기 이전 사이에 일정 개수의 커넥터 단위를 포함하는 길이로 캐리어 소재가 절단이 되게 하는 단계(d-1)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고가인 도금된 소재의 손실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서 제조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공정의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제조방법에 의하면 정확한 위치 제어가 이루어짐에 따라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등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소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쉘 소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소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제조방법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중에 표시된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커넥터를 지시하는 것이며, 도면부호 200, 300 및 400 은 각각 터미널 소재, 쉘 소재 및 캐리어 소재를 지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커넥터(10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한쪽에는 터미널(120)이 인서트 몰딩이 되는 한편 다른 한쪽에는 쉘(130)이 인서트 몰딩이 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커넥터(100)는 자동화 설비인 커넥터 제조장치에 의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제조방법을 통해서 제조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제조방법이 실행되기 이전에는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터미널 소재(200), 쉘 소재(300) 및 캐리어 소재(300)가 별도의 준비공정을 통해서 준비가 이루어진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제조방법을 통한 커넥터(100)의 제조를 위해서 터미널 소재(200)가 준비되는 과정에 대해서 도 3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소재(200)의 전체적인 외형은 일정 폭을 가지며 길이가 긴 띠 형태로 형성이 되는데 필요할 경우에는 릴에 감긴 상태에서 커넥터 제조장치(도시되지 않음)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소재(200)의 한쪽 측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터미널이 돌출 형성되고, 터미널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다른 한쪽 상에는 일정 피치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가이드 홀(210)이 관통 형성이 된다. 가이드 홀(210)은 터미널 소재(200)가 공급이 되는 과정에서 정확한 위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미널 소재(200)에 형성된 터미널 및 가이드 홀(210)은 프레스 공정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필요할 경우 터미널은 어느 특정 방향으로 굴절이 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터미널과 그 주변은 전기적 성질이 우수한 금이나 구리 등의 귀금속으로 도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터미널 소재(200)의 한쪽 측면에 형성된 터미널의 특정 위치상에는 터미널 소재(200)의 준비 시에 절단선(240)이 형성이 된다. 이 절단선(240)은 커넥터(100)의 제조가 마무리되는 공정에서 터미널 단위(220)로부터 터미널이 쉽게 분리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전술한 터미널 단위(220)는 터미널 소재(200)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하나의 커넥터(100)에 대응하는 길이로 재단된 상태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제조방법을 통한 커넥터(100)의 제조를 위해서 쉘 소재(300)가 준비되는 과정에 대해서 도 4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쉘 소재(300)의 외형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폭을 가진 길이가 긴 띠의 형태로 형성이 되는데, 그 도중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쉘 단위(320)가 형성이 되는 한편 쉘 단위(320)의 양쪽 상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가이드 홀(310)이 관통 형성된다. 한편, 쉘 단위(320)는 브릿지(330)를 매개로 쉘 소재(300)의 몸체에 부착된 상태에 있게 된다. 브릿지(330)의 중간 부분에는 터미널 단위(220)와 함께 인서트 몰딩이 되는 과정에서 쉘 단위(320)의 위치 를 정확하게 잡아주기 위한 다수의 브릿지 구멍(332)이 관통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쉘 소재(300)가 준비되는 과정에서 쉘 단위(320)와 브릿지(330)가 연결된 연결부 상에는 절단선(340)이 형성이 되는데, 이 절단선(340)은 커넥터(100)의 제조가 마무리되는 공정에서 쉘 단위(320)가 브릿지(330)로부터 쉽게 분리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제조방법을 통한 커넥터(100)의 제조를 위해서 캐리어 소재(400)가 준비되는 과정에 대해서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소재(400)의 외형은 일정 폭을 가진 길이가 긴 띠의 형태로 형성되는데, 그 도중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몰딩 공간(420)이 형성된다. 또한, 몰딩 공간(420)과 일정 간격 떨어진 양쪽 상에는 각각 일정 피치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가이드 홀(410)이 관통 형성이 된다.
특히, 몰딩 공간(420)의 전방 및 후방 측에는 각각 터미널 단위(220) 및 쉘 단위(320)가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유도하는 기준 구멍(430, 432)이 다수 관통 형성이 되는데, 하나의 터미널 단위(220) 및 쉘 단위(320)에 대응하는 다수의 기준 구멍(430)들 중 적어도 2곳의 기준 구멍(430, 432) 상에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링부(440)가 돌출 형성이 된다. 터미널 단위(220)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기준 구멍(430)에는 터미널 소재(200)에 형성된 가이드 홀(210)이 일치되고, 쉘 단위(320)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기준 구멍(432)에는 쉘 소재(300)의 브릿지(330) 상에 관통 형성된 브릿지 구멍(332)이 일치되게 된다.
전술한 커링부(440)는 해당 몰딩 공간(420)에 터미널 단위(220) 및 쉘 단 위(320)가 위치된 후 일정 시차를 두고 끝단이 확장됨으로써 터미널 단위(220) 및 쉘 단위(320)가 캐리어 소재(400)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미널 소재(200), 쉘 소재(300) 및 캐리어 소재(400)가 준비가 된 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는 커넥터 제조방법을 통해 커넥터(100)의 제조가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제조방법을 통해 커넥터(100)가 제조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a-1)로써, 미리 준비된 터미널 소재(200)의 공급이 일정 속도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터미널 소재(200)는 릴 등에 감긴 채로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 제조장치에 장착이 된다.
또한, 단계(a-2)로써, 미리 준비된 쉘 소재(300)가 릴 등에 감긴 상태로 커넥터 제조장치에 장착되어 일정 속도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커넥터 제조장치에는 단계(a-3)로써 미리 준비된 캐리어 소재(400)의 공급이 일정 속도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단계(a-1), 단계(a-2) 및 단계(a-3)에 따른 터미널 소재(200), 쉘 소재(300) 및 캐리어 소재(400)의 공급은 상호 비례하는 속도로 이루어지며, 각 소재(200, 300, 400) 상에 마련된 가이드 홀(210, 310, 410)을 통해 정확한 위치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단계(b)로써, 단계(a-1)이 진행이 되는 과정에서 터미널 소재(200)로부터는 터미널 단위(220)가 하나씩 절단되고, 절단된 하나씩의 터미널 단위(220)는 단계(a-3)에 의해 공급되는 캐리어 소재(400)의 해당 몰딩 공간(420)에 정확하게 위치된다. 이때, 터미널 단위(220)의 절단 및 몰딩 공간(420)으로의 이동은 로봇 등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한 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터미널 소재(200) 및 캐리어 소재(400)는 연속적인 이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단계(b)에 의한 공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특정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정지된 상태에서 단계(b)에 의한 공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단계(c)에서는 단계(a-2)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쉘 소재(300)로부터 하나씩의 쉘 단위(320)가 절단된 후, 절단된 하나씩의 쉘 단위(320)는 단계(b)에 의해서 하나의 터미널 단위(220)가 위치된 해당 몰딩 공간(420)에 일정 시차를 두고 정확하게 위치된다. 이때, 쉘 단위(320)의 절단 및 몰딩 공간(420)으로의 이동은 로봇 등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한 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터미널 소재(200) 및 캐리어 소재(400)와 마찬가지로 쉘 소재(300)가 연속적인 이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단계(c)에 의한 공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특정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정지된 상태에서 단계(c)에 의한 공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b) 및 단계(c)에 의해서 해당 몰딩 공간(420)에 터미널 단위(220) 및 쉘 단위(320)가 위치되는 과정에서는 캐리어 소재(400)에 형성된 커링부(440)에 터미널 단위(220)의 가이드 홀(210)과 쉘 단위(320)의 브릿지 구멍(332)이 정확하게 끼워짐으로써 더욱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캐리어 소재(400)의 커링부(440)에 터미널 소재(220)의 가이드 홀(210) 및 쉘 소재(320)의 브릿지 구멍(332)이 끼워진 상태에서, 커링부(440)의 끝단이 확장되게 함으로써 터미널 단위(220) 및 쉘 단위(320)가 캐리어 소재(400) 에 고정되게 하는 단계(b-1) 및 단계(c-1)이 수행이 된다. 이때, 단계(b-1) 및 단계(c-1)은 커링 로드(500)의 피스톤 동작, 즉 커링 로드(500)의 하향과 상향 이동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캐리어 소재(400)의 몰딩 공간(420)에 하나씩의 터미널 단위(220) 및 쉘 단위(320)가 위치된 상태에서, 단계(d)에 의해서 일정 시차를 두고 커넥터(100)의 하우징(110)으로써 터미널(120) 및 쉘(130)이 감싸지거나 고정된 상태에 있도록 하기 위한 인서트 몰딩이 실행이 된다. 이때, 인서트 몰딩 공정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터미널 단위(220) 및 쉘 단위(320)에 하우징(110)이 동시에 형성되게 하는 인서트 몰드(600)에서 이루어지게 설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d)에 의해서 인서트 몰딩이 완료가 되어 하나의 터미널 단위(220) 및 쉘 단위(320)가 하나의 커넥터 단위로써 캐리어 소재(400)로부터 절단 및 분리된다. 즉, 터미널 소재(200) 및 쉘 소재(300)에 형성된 절단선(240,340)이 절단이 됨으로써 완성된 커넥터(100)가 캐리어 소재(400)로부터 분리가 된다.
한편, 완성된 커넥터(100)가 캐리어 소재(400)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단계(e)가 실행 이전과 단계(d)의 실행된 후의 사이의 공정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일정 길이로 캐리어 소재(400)가 절단되게 하는 단계(d-1)가 더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공정들을 통해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커넥터(100)가 제조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커넥터(100)는 정확한 위치제어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제작이 됨으로써 불량률이 낮아지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제조방법에 따라 커넥터(100)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귀금속인 금이나 구리로 도금이 된 소재의 낭비를 줄일 수 있음에 따라서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소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쉘 소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소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제조방법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커넥터 110. 하우징
120. 터미널 130. 쉘
200. 터미널 소재 210. 가이드 홀
220. 터미널 단위 240. 절단선
300. 쉘 소재 310. 가이드 홀
320. 쉘 단위 330. 브릿지
400. 캐리어 소재 420. 몰딩 공간
430, 432. 기준 구멍 440. 커링부

Claims (6)

  1. 하우징의 한쪽에는 터미널이 다른 한쪽에는 쉘이 인서트 몰딩이 된 형태의 커넥터를 제조하는 커넥터 제조방법에 있어서,
    (a-1) 한쪽 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터미널이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터미널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다른 한쪽 상에는 일정 피치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가이드 홀이 관통 형성된 터미널 소재가 공급되는 단계;
    (a-2) 일정 간격을 두고 쉘의 형태가 프레스 가공된 쉘 단위의 양쪽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가이드 홀이 관통 형성되는 한편 상기 쉘 단위는 브릿지를 매개로 부착된 상태의 쉘 소재가 상기 단계(a-1)의 공정의 터미널 소재의 공급과 비례하여 공급되는 단계;
    (a-3) 일정 간격을 두고 몰딩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몰딩 공간의 전방 및 후방 측에는 각각 터미널 단위 및 쉘 단위가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유도하는 기준구멍이 다수 형성되고 몰딩 공간과 일정 간격 떨어진 양쪽 상에는 각각 일정 피치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가이드 홀이 관통 형성이 된 캐리어 소재가 상기 단계(a-1) 및 단계(a-2)에 의한 터미널 소재 및 쉘 소재의 공급과 비례하여 공급되는 단계;
    (b) 상기 단계(a-1)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터미널 소재로부터 하나씩의 터미널 단위가 절단된 후, 절단된 하나씩의 터미널 단위가 상기 단계(a-3)에 의해 공급되는 캐리어 소재의 해당 몰딩 공간에 정확하게 위치되는 단계;
    (c) 상기 단계(a-2)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쉘 소재로부터 하나씩의 쉘 단위가 절단된 후, 절단된 하나씩의 쉘 단위가 상기 단계(b)에 의해서 하나의 터미널 단위가 위치된 해당 몰딩 공간에 일정 시차를 두고 정확하게 위치되는 단계;
    (d) 상기 단계(b)와 단계(c)에 의해서 캐리어 소재의 몰딩 공간 단위에 하나씩의 터미널 단위 및 쉘 단위가 위치된 상태에서 일정 시차를 두고 상기 터미널 단위 및 쉘 단위에 대한 인서트 몰딩이 실행되는 단계;
    (e) 상기 단계(d)에서 인서트 몰딩이 된 하나씩의 터미널 단위 및 쉘 단위가 하나의 커넥터 단위로써 상기 캐리어 소재로부터 절단 및 분리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커넥터의 제조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3)에서 각각의 터미널 단위 또는 쉘 단위에 대응되는 다수의 기준 구멍 중 적어도 두 개의 기준구멍 상에는 상기 단계(b) 및 단계(c)에서 위치되는 터미널 단위 및 쉘 단위의 위치가 고정되게 하기 위한 커링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단계(b) 및 단계(c)에서 해당 몰딩 공간에 터미널 단위 및 쉘 단위가 위치된 후 일정 시차를 두고 상기 커링부가 확장되게 하여 터미널 단위 및 쉘 단위가 캐리어 소재에 고정되게 하는 단계(b-1) 및 단계(c-1)가 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커넥터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링부의 확장을 위한 단계(b-1) 및 단계(c-1)은 커링 로드의 피스톤 동작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의 실행을 위해서 상기 터미널 소재 및 쉘 소재의 특정 위치에는 상기 단계(a-1)과 단계(a-2)가 진행되기 이전의 소재 준비 단계에서 절단선이 형성된 것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가 실행이 된 후와 단계(e)가 실행이 되기 이전 사이에는 일정 개수의 커넥터 단위를 포함하는 길이로 캐리어 소재가 절단이 되게 하는 단계(d-1)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방법.
  6. 상기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커넥터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90105991A 2009-11-04 2009-11-04 커넥터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101026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991A KR101026539B1 (ko) 2009-11-04 2009-11-04 커넥터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991A KR101026539B1 (ko) 2009-11-04 2009-11-04 커넥터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6539B1 true KR101026539B1 (ko) 2011-04-01

Family

ID=44049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991A Expired - Fee Related KR101026539B1 (ko) 2009-11-04 2009-11-04 커넥터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5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7159B1 (ko) 1994-01-25 2002-08-27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전기컨넥터,하우징과컨택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7159B1 (ko) 1994-01-25 2002-08-27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전기컨넥터,하우징과컨택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71020B (zh) 嵌入模製之連接器接觸點
CN103959559A (zh) 连接器端子的连接结构和连接方法
JP2009158169A (ja) 回転コネクタ用リードブロックの製造方法
CN102496825A (zh) 电连接器的制造方法
JP2017193083A (ja) コネクタ端子類の製造法及び該製造法で用いるインサート成形用金型
JP3338667B2 (ja) 一部にコネクタ端子列を備える構造体およびその成形方法
CN104733978A (zh) 电连接器的制造方法
JP2007087710A (ja) コネクタ,それに用いる端子またはプレス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26539B1 (ko) 커넥터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CN104733873A (zh) 连接装置及其生产方法
JP5722088B2 (ja) ケーブル組立装置及びケーブル組立方法
JP3155182B2 (ja) 面実装型同軸コネクタ及び該面実装型同軸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913163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circuit traces
CN112582825A (zh) 一种pin针料带、电子元件外壳、电子元件及生产方法
JP5151743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CN102394410A (zh) 带线材电源连接器制造方法及其制品
CN206225593U (zh) 一种手机数据线连接端子
CN203760392U (zh) 一种引出脚及其插拔式电磁继电器
JP2017079298A (ja)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3584285U (zh) 一种pin针料带、电子元件外壳及电子元件
CN214900810U (zh) 一种网络滤波器外壳l型金属引脚结构
JP5706996B1 (ja) カードコネク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金型
CN103515831A (zh) 网通连接器构件的制造方法
CN103950145A (zh) 手机天线一体注塑工艺
CN109390835B (zh) 一种排线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105